KR102207678B1 -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678B1
KR102207678B1 KR1020190047868A KR20190047868A KR102207678B1 KR 102207678 B1 KR102207678 B1 KR 102207678B1 KR 1020190047868 A KR1020190047868 A KR 1020190047868A KR 20190047868 A KR20190047868 A KR 20190047868A KR 102207678 B1 KR102207678 B1 KR 102207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electrode
modification treatment
surface modification
deformable member
impla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490A (ko
Inventor
주윤관
최병노
김건래
정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Priority to KR1020190047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6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2Cooling arrangements; Heating arrangements; Means for circulating gas or vapour within the discharge space
    • H01J61/523Heating or cooling particular parts of the lamp
    • H01J61/526Heating or cooling particular parts of the lamp heating or cooling of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램프 사용 과정에서 방전용기에 열팽창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완충시킬 수 있고, 외부 방열판과의 밀착이 용이한 외부 전극이 구비된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로서, 외측관과 내측관이 구비된 이중관 구조의 방전용기와, 내측에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관의 내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내부 전극과,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외부 전극 및 상기 외부 전극의 외측에 구비되는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극에는 상기 방전용기의 열팽창을 완충시키는 탄성 변형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UV LAMP FOR IMPLANT SURFACE TREATME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램프 사용 과정에서 방전용기에 열팽창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완충시킬 수 있고, 외부 방열판과의 밀착이 용이한 외부 전극이 구비된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공치아인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임플란트는 치골에 삽입되는 픽스쳐(Fixture)에 결합되어 치아 역할을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공치아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는 Fixture(고정체-인공치근), Abutment(지대주), Crown(보철,인공치아)  3개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고, Fixture재질은 티타늄 및 티타늄합금이 일반적이다.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치골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Fixture 부위는 치골에 완전하게 식립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 기술로써, UV(자외선)광을 임플란트 표면, 특히 Fixture 부위에 조사하면 UV(자외선)광 빛에너지와 UV(자외선)광에 의해 생성된 오존으로 인한 임플란트 표면개질 현상이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뼈 형성 세포의 증식, 부착 기능을 촉진시켜 뛰어난 치료 결과를 얻게 해 주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크게 3가지 이유로 설명되어 진다.
첫번째, UV(자외선)광 빛에너지와 UV(자외선)광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임플란트 표면에 붙어있는 탄소 분자를 분해, 증발시켜 뼈 형성세포가 임플란트 표면에 잘 부착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두번째, UV(자외선)광 빛에너지와 UV(자외선)광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임플란트 표면 전하를 마이너스 전하에서 플러스 전하로 변화시켜 마이너스 전하를 띠고 있는 인체 세포 및 그 세포의 부착과 기능을 돕는 단백질을 정전기적으로 임플란트 표면으로 끌어 당겨 밀접한 결합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세번째, UV(자외선)광 빛에너지와 UV(자외선)광에 의해 생성된 오존이 임플란트 표면의 친수성을 증가시켜 임플란트 표면에 혈액이 잘 젖게하면, 임플란트 표면에 잘 형성된 혈병은 이후 뼈 형성 세포가 임플란트 표면에 잘 부착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이러한 자외선 램프에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이 구비되는데 램프 사용 과정에서 열팽창이 발생하더라도 방열판과 맞닿은 부분은 열에 의한 팽창을 할 수 없도록 방열판이 구조적으로 제한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방전관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온의 열이 발생하는 방전관이나 외부 전극과 방열을 위한 방열판과의 접촉이 불량하여 방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램프 사용 과정에서 방전용기에 열팽창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완충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외부 전극과 방열판과의 밀착이 용이한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로서, 외측관과 내측관이 구비된 이중관 구조의 방전용기와, 내측에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관의 내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내부 전극과,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외부 전극 및 상기 외부 전극의 외측에 구비되는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극에는 상기 방전용기의 열팽창을 완충시키는 탄성 변형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외부 전극과 상기 방열판은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전극은 평면형 구조의 상기 외부 전극을 원통형 구조로 말아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변형부는 연속 배열되는 복수의 탄성 변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변형 부재에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배열 방향을 따라 헤드, 바디 및 테일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일측 탄성 변형 부재의 상기 테일에는 타측 탄성 변형 부재의 상기 헤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일측 탄성 변형 부재의 상기 테일은 타측 탄성 변형 부재의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방전용기의 반경 방향을 따라 눌리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변형된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방전용기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변형된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외측관과 상기 방열판 사이의 이격 거리 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변형 부재에는 상기 외측관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점과, 상기 방열판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점이 교번하여 형성되되, 상기 내측 지지점과 상기 외측 지지점 사이에는 상기 방전용기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외부 전극의 열팽창 시 상기 내측 지지점과 상기 외측 지지점 사이의 높이가 감소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전극과 상기 방열판의 사이에는 열 전달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관에는 상기 방전용기의 단면이 축소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전극에는 상기 함몰면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전용기는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는 엑시머 램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는 사용 과정에서 방전용기에 열팽창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 전극의 탄성 변형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열팽창을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방전용기의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전극에 탄성 변형부가 구비되어 외부 전극과 방열판이 상호 밀착되므로 방열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외부 전극과 방열판 사이에 열 전달 부재가 구비되어 방열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아울러 외측관에 함몰면이 형성되고, 외부 전극은 이러한 함몰면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 와이어가 구비되므로 간단한 방식으로 외부 전극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변형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3의 (a)는 단일의 탄성 변형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복수의 탄성 변형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I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변형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변형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3의 (a)는 단일의 탄성 변형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복수의 탄성 변형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I-I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변형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로서, 외측관(301)과 내측관(302)이 구비된 이중관 구조의 방전용기(300)와, 내측에 피처리물(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관(302)의 내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내부 전극(100)과, 상기 외측관(302)의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외부 전극(200) 및 상기 외부 전극(200)의 외측에 구비되는 방열판(400)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극(200)에는 상기 방전용기(300)의 열팽창을 완충시키는 탄성 변형부(210)가 구비된다.
이러한 방전용기(300)의 내부에는 자외선이 방사되도록 방전가스가 봉입되고, 방전용기(30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내부 전극(100)과 외부 전극(200) 사이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면 방전가스의 에너지 변화에 의해 자외선이 발생된다.
방전용 가스로는 Xe (파장 172nm), ArF (파장 193nm), KrCl(파장 222 nm), KrF (파장 248nm), XeCl (파장 308nm), XeF (파장 351nm) 등의 엑시머 UV광을 발생하는 방전가스가 사용될 수 있으나, UVC파장대 (100nm~280nm)의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전용기(300)는 외부 전극(2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외측관(301)과, 내부 전극(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내측관(302)이 형성된 이중관 구조이며, 외측관(301)과 내측관(302) 사이에는 방전영역이 형성되어 전술한 방전가스가 봉입될 수 있다.
내부 전극(100)의 형상은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 전극(100)은 외부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전원 플레이트(2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내부 전극(100)의 내측에는 임플란트 픽스쳐와 같은 피처리물(10)이 배치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피처리물(10)은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표면개질 처리가 이루어진다.
내부 전극(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와이어를 그물망 형태로 직조하여 다수의 투과홀(100a)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내부 전극(100)이 그물망 형태로 직조된 것은 하나의 예이며, 금속재 원통 구조의 면에 펀칭 등의 방법으로 다수의 투과홀(100a)을 형성하거나, 금속재 원통 구조의 면에 다수의 절결부를 형성하여 슬릿 형상의 광 투과부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전극(100), 외부 전극(200) 및 방전용기(3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통형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원통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단면을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통형 구조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내부 전극(100)과 대향 배치되도록 원통형 외부 전극(200)이 구비된다. 이때, 외부 전극(200)은 평면형 구조의 외부 전극(200)을 원통형 구조로 말아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극(200)의 외측에는 사용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4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판(4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핀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핀은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줌으로써 방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때, 램프 사용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면 전술한 방전용기(300)가 열팽창하면서 외부 전극(200)과 방열판(400)을 반경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방열판(400)은 방열 성능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을 원통형 구조로 형성하고, 방열판(400)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냉각핀이 구비되는데, 방열판(400)의 이러한 재질 및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방전용기(300)가 반경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에도 방열판(400)은 변형되지 않고 그 형상이 유지되며, 결국 방열판(400)에 의해 방전용기(300)의 열팽창이 제한되어 방전용기(30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전용기(300)와 방열판(400) 사이에 별도의 여유 공간을 형성해서 방열판(400)이 방전용기(300)의 열팽창을 제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방전용기(300)가 열팽창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방전용기(300)와 방열판(400)이 상호 이격됨으로 인해 방열 성능이 저하되는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전극(200)에는 방전용기(300)의 열팽창을 완충시키는 탄성 변형부(210)가 구비된다. 즉, 램프 사용 이전을 기준으로 방전용기(200), 외부 전극(200) 및 방열판(400)이 순차적으로 상호 밀착하도록 구성하면 램프 사용 초기에도 충분한 방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램프 사용 과정에서 방전용기(300)에 열팽창이 발생하더라도 외부 전극(200)의 탄성 변형부(210)가 탄성 변형되면서 이러한 열팽창을 완충하게 되므로 방전용기(300)의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탄성 변형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배열되는 복수의 탄성 변형 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탄성 변형 부재(211)가 연속 배열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일부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 변형 부재(211)가 탄성 변형된 상태로 외측관(301)과 방열판(400) 사이에 배치되면 탄성 변형 부재(211)가 탄성 복원되는 힘에 의해 외부 전극(200)이 방열판(400)의 내측에 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방전용기(300)에 열팽창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탄성 변형 부재(211)가 탄성 변형되면서 이를 완충하게 된다.
이를 위해 탄성 변형 부재(211)에는 탄성 변형 부재(211)의 배열 방향을 따라 헤드(211a), 바디(211b) 및 테일(211c)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도 3의 경우 이러한 탄성 변형 부재(211)가 방전용기(300)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방향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탄성 변형 부재(211)는 방전용기(3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변형 부재(211)가 배열되면서 상호 결합되는데, 탄성 변형 부재(211)의 결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배치된 탄성 변형 부재(211)의 테일(211c)에는 이에 연속하는 타측에 배치된 탄성 변형 부재(211)의 헤드(211a)가 결합된다.
즉, 일측 탄성 변형 부재(211)의 테일(211c)은 타측 탄성 변형 부재(211)의 헤드(211a)에 의해 방전용기(3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눌리면서 탄성 변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속 배열되는 탄성 변형 부재(211)의 테일(211c)이 방전용기(3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눌리면서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외측관(301)과 방열판(400) 사이에 배치되면 외부 전극(200)이 방열판(400)의 내측에 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방전용기(300)에 열팽창이 발생하는 경우 이미 탄성 변형된 탄성 변형 부재(211)의 테일(211c)이 다시 탄성 복원되면서 이를 완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탄성 변형 부재(211)의 테일(211c)이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타측 탄성 변형 부재(211)의 헤드(211a)로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이와 같이 탄성 변형 부재(211)의 헤드(211a)와 테일(211c)이 동시에 탄성 변형되므로 외부 전극(200)이 방열판(400)의 내측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고, 열팽창 시 이를 완충하는 정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탄성 변형된 탄성 변형 부재(211)는 방전용기(3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h)를 갖게 된다. 즉, 탄성 변형 부재(211)가 일정 높이(h)를 갖도록 형성되되, 특히, 이러한 탄성 변형된 탄성 변형 부재(211)는 외측관(301)과 방열판(400) 사이의 이격 거리 이상의 높이(h)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외측관(301)과 방열판(400)의 사이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열팽창이 발생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이러한 열팽창을 완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변형 부재(211)에는 외측관(301)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점(212)과, 방열판(400)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점(213)이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지지점(212)과 외측 지지점(213) 사이에는 방전용기(3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h)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탄성 변형 부재(211)에는 내측 지지점(212)과 외측 지지점(213)이 교번하여 형성되나, 다른 하나의 탄성 변형 부재(211)를 일정 거리 평행 이동시킨 상태에서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탄성 변형 부재(211)에 내측 지지점(212)이 형성되면 다른 하나의 탄성 변형 부재(211)에는 외측 지지점(2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측관(301)와 방열판(400)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외부 전극(200)이 방열판(400)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탄성 변형 부재(211)는 외부 전극(200)의 열팽창 시 내측 지지점(212)과 외측 지지점(213) 사이의 높이(h)가 감소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방식으로 열팽창을 완충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극(200)과 방열판(400) 사이에는 열 전달 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열 전달 부재(500)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포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열 전달 부재(500)는 외부 전극(200)을 감싸면서 외부 전극(200)에 밀착하도록 형상이 일부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전극(200)의 방열 면적이 증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외부 전극(200)의 방열 면적이 증가한 상태에서 방열판(400)에 밀착하게 되면 방열 성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아울러 외측관(301)에는 방전용기(300)의 단면이 축소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면(30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전극(200)에는 이러한 함몰면(301a)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 와이어(220)가 구비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외부 전극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고, 고정된 외부 전극(200)이 방전용기(300)의 축 방향을 따라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방전용기(300)는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는 엑시머(Excimer) 램프일 수 있다. 진공 자외선(Vacuum Ultraviolet, VUV)은 자외선 중에서도 X선에 가까운 100nm 내지 200nm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으로서, 가지고 있는 광자 에너지가 매우 높기 때문에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를 시험할 때 사용하는 표준 바이러스인 MS2 바이러스를 공기 중에 흘려 보낸 뒤 진공 자외선을 방사할 경우 대략 0.026초 정도이면 모든 바이러스가 제거될 수 있다. 즉, 엑시머 램프를 통해 공기 중에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게 되면 짧은 시간 내에 살균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피처리물 20 : 전원 플레이트
100 : 내부 전극 100a : 투과홀
200 : 외부 전극 210 : 탄성 변형부
211 : 탄성 변형 부재 211a : 헤드
211b : 바디 211c : 테일
212 : 내측 지지점 213 : 외측 지지점
220 : 고정 와이어 300 : 방전용기
301 : 외측관 301a : 함몰면
302 : 내측관 400 : 방열판
500 : 열 전달 부재

Claims (13)

  1. 외측관과 내측관이 구비된 이중관 구조의 방전용기;
    내측에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관의 내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내부 전극;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외부 전극; 및
    상기 외부 전극의 외측에 구비되는 방열판;
    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극에는 상기 방전용기의 열팽창을 완충시키는 탄성 변형부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 변형부는 연속 배열되는 복수의 탄성 변형 부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과 상기 방열판은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은 평면형 구조의 상기 외부 전극을 원통형 구조로 말아서 형성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에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배열 방향을 따라 헤드, 바디 및 테일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일측 탄성 변형 부재의 상기 테일에는 타측 탄성 변형 부재의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일측 탄성 변형 부재의 상기 테일은 타측 탄성 변형 부재의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방전용기의 반경 방향을 따라 눌리면서 탄성 변형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탄성 변형된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방전용기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갖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탄성 변형된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외측관과 상기 방열판 사이의 이격 거리 이상의 높이를 갖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에는 상기 외측관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점과, 상기 방열판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점이 교번하여 형성되되,
    상기 내측 지지점과 상기 외측 지지점 사이에는 상기 방전용기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가 형성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외부 전극의 열팽창 시 상기 내측 지지점과 상기 외측 지지점 사이의 높이가 감소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과 상기 방열판의 사이에는 열 전달 부재가 구비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에는 상기 방전용기의 단면이 축소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전극에는 상기 함몰면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 와이어가 구비되는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용기는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는 엑시머 램프인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KR1020190047868A 2019-04-24 2019-04-24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KR102207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868A KR102207678B1 (ko) 2019-04-24 2019-04-24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868A KR102207678B1 (ko) 2019-04-24 2019-04-24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490A KR20200124490A (ko) 2020-11-03
KR102207678B1 true KR102207678B1 (ko) 2021-01-26

Family

ID=7319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868A KR102207678B1 (ko) 2019-04-24 2019-04-24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6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736A (ja) * 2000-07-19 2002-02-08 Orc Mfg Co Ltd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
JP2005011569A (ja) 2003-06-17 2005-01-13 Hoya Candeo Optronics株式会社 エキシマランプ
JP2017004702A (ja) 2015-06-09 2017-01-0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エキシマランプ
JP2018010795A (ja) * 2016-07-14 2018-01-1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エキシマ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601A (ja) * 1997-03-28 1998-10-13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誘電体バリヤ放電ランプおよび誘電体バリヤ放電ランプ装置
JP4029715B2 (ja) * 2002-10-18 2008-01-09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エキシマ放電ランプ
JP3938010B2 (ja) * 2002-10-29 2007-06-27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エキシマランプ装置
JP4013923B2 (ja) * 2003-09-04 2007-11-2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エキシマランプ
JP4830722B2 (ja) * 2006-08-29 2011-12-07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エキシマラ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736A (ja) * 2000-07-19 2002-02-08 Orc Mfg Co Ltd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
JP2005011569A (ja) 2003-06-17 2005-01-13 Hoya Candeo Optronics株式会社 エキシマランプ
JP2017004702A (ja) 2015-06-09 2017-01-0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エキシマランプ
JP2018010795A (ja) * 2016-07-14 2018-01-1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エキシマ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490A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867B1 (ko)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장치
ES2728061T3 (es) Elemento protésico y método relativo de fabricación
ES2578080T3 (es) Tela implantable en el cuerpo para reparar el suelo pélvico
KR102207678B1 (ko)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JP2006324435A (ja) 光照射装置
PE65799A1 (es) Sistema radiante en acumuladores y producto resultante
KR102229631B1 (ko)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KR102207676B1 (ko)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JPH01169866A (ja) 放電灯
HUP9902402A2 (hu) Eljárás kép sugárzás útján sugárzásérzékeny anyagba való begravírozására, különösen lézergravírozásra
KR102162336B1 (ko) 표면개질 처리 중 발생한 오존의 제거장치
KR102207677B1 (ko)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KR102229630B1 (ko) 임플란트 표면개질 처리용 자외선 램프
TWI269344B (en) Excimer lamp
KR102285769B1 (ko)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용 램프
AU2003262118A1 (en) High quantum energy efficiency x-ray tube and targets
KR102269661B1 (ko)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US200402546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thermal and photochemical medical treatments with incoherent light
KR102214444B1 (ko) 유전체 배리어 방전램프
WO2009060762A1 (ja) 電子線源、該電子線源を用いた電子線照射装置及びx線管、該x線管が配置されたx線照射装置、並びに電子線源の製造方法
JP7414640B2 (ja) 固定陽極x線管
JP2006305245A (ja) 環状弾性体
US20230181307A1 (en) Graft for biological tube and system thereof
JP6776837B2 (ja) レーザ駆動ランプ
JP2009302131A (ja) 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