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327B1 -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327B1
KR102207327B1 KR1020180054512A KR20180054512A KR102207327B1 KR 102207327 B1 KR102207327 B1 KR 102207327B1 KR 1020180054512 A KR1020180054512 A KR 1020180054512A KR 20180054512 A KR20180054512 A KR 20180054512A KR 102207327 B1 KR102207327 B1 KR 102207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hot water
outlet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611A (ko
Inventor
허창회
이은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8005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327B1/ko
Priority to US16/410,535 priority patent/US11441788B2/en
Publication of KR2019012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12Temperature of the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12Temperature of the water
    • F24H15/215Temperature of the water befor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69Time, e.g. hour or d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81Input from 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55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 F24H15/36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of bur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1/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air-condition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은 온수기로 유입되는 유입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에어 핸들러로부터 유출되는 출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입수 온도와 상기 출수 온도의 온도 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차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지 여부를 계산하여 온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hot water use by using temperature gap}
본 발명은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보다 상세하게는 유량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온도 차를 이용하여 온수 사용을 판단할 수 있는 온수 판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난방과 온수를 위해 온수기와 에어 핸들러(Air handler)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있다. 온수기는 따뜻한 물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며, 에어 핸들러는 난방을 위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장치이다. 에어 핸들러는 온수기에서 가열된 물을 공급받아 난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에어 핸들러가 온수기에서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도중에 온수 사용이 이루어지면, 온수 온도와 난방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온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할 때, 사용자는 이를 문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핸들러가 난방을 하는 도중에 온수가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종래에는 유량 스위치(Flow Switch)를 통해 온수 사용 여부가 판단되었다. 즉, 온수기에 공급되는 직수관에 유량스위치가 형성되고, 유량 스위치를 통해 판단된 순환 유량이 일정 유량 이상인 경우, 온수 사용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하지만 유량 스위치는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내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유량 스위치를 통해서는 정확한 온수 사용 판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량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온수 사용을 판단할 수 있는 온수 사용 판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온수기와 에어 핸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온수 사용 판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로 유입되는 유입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에어 핸들러로부터 유출되는 출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입수 온도와 상기 출수 온도의 온도 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차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지 여부를 계산하여 온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유입수 온도와 상기 출수 온도는 난방을 위해 상기 온수기가 연소한 후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에 감지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클 때, 온수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유입수 온도와 상기 감지된 출수 온도의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온수 사용이 중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온수기; 상기 온수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온도 센서; 난방을 위해 상기 온수기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아 열 교환 후 출수를 배출하는 에어 핸들러; 상기 출수의 출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온도 센서; 및 상기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온도센서와 통신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된 유입수 온도와 상기 감지된 출수 온도의 온도 차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온도 차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지 여부를 계산하여 온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제2온도 센서는 상기 출수가 흐르는 출수관에 형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온도 센서는 상기 출수가 다시 상기 온수기로 유입되는 환수관에 형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클 때, 온수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된 유입수 온도와 상기 감지된 출수 온도의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온수 사용이 중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온수기로 유입되는 유입수 온도와 에어 핸들러의 출수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온수 사용을 판단할 수 있음으로써, 유량 스위치 판단에 따른 오차 문제 해결과 유량 스위치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핸들러의 동작 중 온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핸들러가 동작 중이고 온수 사용 중인 경우에 대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100)은 온수와 난방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100)은 온수기(10), 에어 핸들러(20), 펌프(31), 에어 핸들러(20)로부터 나오는 출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온도 센서(33, 또는 35), 및 믹싱 밸브(37)를 포함한다.
온수기(10)는 조작 모듈(11), 컨트롤러(13), 버너(15), 및 제1온도 센서(17)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컨트롤러(13)와 제1온도 센서(17)가 온수기(10) 내부에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컨트롤러(13)와 제1온도 센서(17)는 온수기(10)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3)는 온수기(10), 제1온도 센서(17) 및 제2온도 센서(33 또는 35)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온수기(10) 외부에 형성된 별도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1온도 센서(17)는 온수기(10)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면 온수기(10)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조작 모듈(11)을 이용하여 온수를 선택하거나, 난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 모듈(11)을 이용하여 온수와 난방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 모듈(11)을 이용하여 원하는 온수 온도, 또는 난방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3)는 조작 모듈(11)에 응답하여 온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컨트롤러(13)는 가열된 난방수가 에어 핸들러(20)로 공급되도록 온수기(10)의 버너(1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3)는 제1온도 센서(17)에 의해 감지된 유입수 온도를 데이터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유입수란 온수기(10)로 유입되는 물로 정의된다. 유입수는 직수와, 환수관(43)을 통해 에어 핸들러(20)로부터 유출되는 출수가 혼합된 물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에어 핸들러(20)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유입수는 직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에어 핸들러(20)가 동작하고, 직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 상기 유입수는 출수일 수 있다.
버너(15)는 컨트롤러(11)의 제어 하에 공급되는 물을 가열한다. 버너(15)로 공급되는 물은 유입수이다. 버너(15)에 의해 가열된 온수는 믹싱 밸브(37)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에어 핸들러(20)는 온수기(10)로부터 가열된 난방수를 공급받아 난방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에어 핸들러(20)는 열 교환기(21) 및 송풍기(23)를 포함한다. 공급된 난방수는 열 교환기(21)로 공급된다. 차가운 공기는 송풍기(23)를 통해 공급된다. 차가운 공기는 열 교환기(21)를 통해 상기 난방수와 열 교환을 통해 따뜻한 공기가 배출된다. 또한, 열 교환기(21)는 난방수보다 온도가 낮은 출수를 외부로 유출한다. 온도가 낮은 출수는 환수관(43)을 통해 다시 온수기(10)로 유입될 수 있다.
출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온도 센서(33)는 출수관(41)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온도 센서(35)는 환수관(43)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출수관(41)과 환수관(43) 두 곳 모두에 출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온도 센서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제2온도 센서(33)가 에어 핸들러(20) 외부의 출수관(41)에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제2온도 센서(33)는 에어 핸들러(20) 내부에 형성되어 출수의 온도를 센싱할 수도 있다.
에어 핸들러(20)의 동작 중에 온수가 사용되는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에어 핸들러(2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물과, 온수를 위해 필요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량이 버너(15)의 열량보다 큰 경우, 난방과 온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난방 중에 온수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 온수기(10)와 에어 핸들러(20)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핸들러의 동작 중 온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에어 핸들러(20)가 동작 중일 때, 컨트롤러(13)는 난방을 위해 온수기(10)의 버너(15)가 연소한 후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났는지 판단한다(S10).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시간이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초기 동작 시 온수의 온도가 잘못 판단되는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제1온도 센서(17)는 온수기(10)로 유입되는 유입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온도 센서(33, 또는 35)는 에어 핸들러(20)의 출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3)는 유입수 온도와 출수 온도를 데이터 형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3)는 유입수 온도와 출수 온도의 온도 차를 계산한다(S20).
컨트롤러(13)는 온도 차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지 여부를 계산하여 온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S30). 미리 결정된 값은 설정 값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값이다. 배관(예컨대, 41, 또는 43)에 의한 온수의 온도 손실과 온도 센서(17, 33, 또는 35)의 편차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온도 차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클 때, 컨트롤러(13)는 온수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S40). 온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에어 핸들러(20)의 출수가 다시 환수되어 온수기(10)로 유입된다. 따라서 온수기(10)로 유입되는 유입수는 출수이다. 하지만, 온수가 사용될 때, 온수기(10)로 유입되는 유입수는 출수와 직수가 혼합된 물이다. 온수기(10)로 유입되는 직수는 차가운 물이므로, 온수기(10)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온도는 직수가 유입되기 전의 물의 온도보다 더 낮다. 따라서 직수가 유입될 때의 유입수 온도와 출수 온도의 온도 차는 직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의 유입수 온도와 출수 온도의 온도 차보다 크므로, 컨트롤러(13)는 온수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버너(15)의 열량으로 난방과 온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없을 때, 컨트롤러(13)는 에어 핸들러(2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온수만을 배출하도록 에어 핸들러(20)와 온수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핸들러가 동작 중이고 온수 사용 중인 경우에 대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온수가 사용 중이고, 에어 핸들러(20)가 동작 중일 때, 컨트롤러(13)는 온수기(10)의 버너(15)가 연소한 후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났는지 판단한다(S100).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제1온도 센서(17)는 온수기(10)로 유입되는 유입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온도 센서(33, 또는 35)는 에어 핸들러(20)의 출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3)는 상기 유입수 온도와 상기 출수 온도를 데이터 형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3)는 상기 유입수 온도와 상기 출수 온도의 온도 차를 계산한다(S200).
컨트롤러(13)는 상기 온도 차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지 여부를 계산하여 온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S300).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을 때, 컨트롤러(13)는 온수기(10)의 온수 사용이 중지된 것으로 판단한다(S400).
난방 중 온수 사용이 중지될 때, 온수기(10)는 더 이상의 직수 유입이 없다. 따라서 난방 중 온수 사용이 중지될 때의 상기 유입수 온도와 상기 출수 온도의 온도 차는 난방과 온수 사용이 동시에 될 때의 상기 유입수 온도와 상기 출수 온도의 온도 차보다 작다. 왜냐하면 동시에 난방과 온수 사용이 될 때, 직수의 유입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입수 온도와 상기 출수 온도의 온도 차는 상대적으로 크다.
컨트롤러(13)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난방을 하기 위해 에어 핸들러(20)로 더 많은 난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100)은 유량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온수기(10)의 유입수 온도와 에어 핸들러(20)의 출수 온도의 온도 차를 이용하여 온수 사용을 판단할 수 있음으로써, 유량 스위치 판단에 따른 오차 문제 해결과 유량 스위치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
10: 온수기;
11: 조작 모듈;
13: 컨트롤러;
15: 버너;
17: 제1온도 센서;
20: 에어 핸들러;
21: 열 교환기;
23: 송풍기;
31: 펌프;
33, 35; 제2온도 센서;

Claims (9)

  1. 온수기와 에어 핸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온수 사용 판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로 유입되는 유입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에어 핸들러로부터 유출되는 출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입수 온도와 상기 출수 온도의 온도 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차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지 여부를 계산하여 온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 온도와 상기 출수 온도는,
    난방을 위해 상기 온수기가 연소한 후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에 감지되는,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클 때, 온수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유입수 온도와 상기 감지된 출수 온도의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온수 사용이 중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5. 온수기;
    상기 온수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온도 센서;
    난방을 위해 상기 온수기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아 열 교환 후 출수를 배출하는 에어 핸들러;
    상기 출수의 출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온도 센서; 및
    상기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온도센서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감지된 유입수 온도와 상기 감지된 출수 온도의 온도 차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온도 차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지 여부를 계산하여 온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 센서는,
    상기 출수가 흐르는 출수관에 형성되는,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 센서는,
    상기 출수가 다시 상기 온수기로 유입되는 환수관에 형성되는,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클 때, 온수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된 유입수 온도와 상기 감지된 출수 온도의 상기 온도 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온수 사용이 중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온수 사용 판단 시스템.
KR1020180054512A 2018-05-11 2018-05-11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207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12A KR102207327B1 (ko) 2018-05-11 2018-05-11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US16/410,535 US11441788B2 (en) 2018-05-11 2019-05-13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hot water use by using temperature g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12A KR102207327B1 (ko) 2018-05-11 2018-05-11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611A KR20190129611A (ko) 2019-11-20
KR102207327B1 true KR102207327B1 (ko) 2021-01-25

Family

ID=6846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512A KR102207327B1 (ko) 2018-05-11 2018-05-11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41788B2 (ko)
KR (1) KR102207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540B1 (ko) 2023-04-14 2023-07-21 에프이시스템주식회사 제염대상체 형상 측정장치
KR102558083B1 (ko) 2023-04-14 2023-07-21 에프이시스템주식회사 금속폐기물 제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6352A (zh) * 2019-11-19 2020-04-10 上海乾进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水量伺服功能的中央热水系统
CN112097306B (zh) * 2020-08-10 2021-09-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温差控制方法、装置、系统及热水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620B1 (ko) * 2013-12-24 2015-06-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기능이 구비된 온수기 및 이를 이용한 난방수온도조절방법
KR101607666B1 (ko) 2014-02-07 2016-03-30 송창석 동파방지용 스마트 절전형 온도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온도컨트롤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0190B1 (en) * 1984-08-07 1991-06-26 Vulcan Australia Limited Water heater
US5056712A (en) * 1989-12-06 1991-10-15 Enck Harry J Water heater controller
JP3077065B2 (ja) * 1991-04-08 2000-08-14 清水建設株式会社 動物飼育室の空調制御システム
US5322216A (en) * 1992-07-17 1994-06-21 Leslie M. Sandl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let water temperature of an instantaneous water heater
JP2900608B2 (ja) * 1993-12-27 1999-06-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
US5632154A (en) * 1995-02-28 1997-05-27 American Standard Inc. Feed forward control of expansion valve
US5963458A (en) * 1997-07-29 1999-10-05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 Digital controller for a cooling and heating plant having near-optimal global set point control strategy
JP2002364901A (ja) * 2001-06-07 2002-12-18 Hitachi Ltd 蓄熱式空調設備の制御システム、制御計画立案装置、制御計画立案方法、制御計画立案を実行するための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3836796B2 (ja) * 2003-02-10 2006-10-25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6819563B1 (en) * 2003-07-02 2004-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oling electronics racks using pre-cooled air
KR200404905Y1 (ko) * 2005-10-11 2005-12-29 범양냉방공업 주식회사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JP5584052B2 (ja) * 2010-08-20 2014-09-03 東洋熱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における高効率熱搬送装置
CN103900249B (zh) * 2012-12-25 2017-08-11 福州斯狄渢电热水器有限公司 即热式空气能热泵热水器及其控制方法
US9746213B2 (en) * 2014-08-14 2017-08-29 Siemens Industry, Inc Demand flow for air cooled chillers
US10156835B2 (en) * 2014-12-08 2018-12-18 Research Foundation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 for identifying shortcoming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BAS)
US10041860B2 (en) * 2015-01-30 2018-08-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for detecting a faulty air handler in a heat pump appliance
KR101831804B1 (ko) * 2015-12-23 2018-02-2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8850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양방향 펌프를 구비한 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5980187U (zh) * 2016-08-02 2017-02-22 上海冰核时代科技中心(有限合伙) 数据中心冷站的智能优化控制系统
WO2018193615A1 (ja) * 2017-04-21 2018-10-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ァンコイルシステム
CN207006323U (zh) * 2017-05-26 2018-02-13 青岛海尔新能源电器有限公司 一种生活用水与采暖热水集成热泵系统
JP2019105397A (ja) * 2017-12-12 2019-06-27 日本ピーマ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6987727B2 (ja) * 2018-09-28 2022-01-05 株式会社コロナ 冷房排熱貯湯装置
CN110470076A (zh) * 2019-08-16 2019-11-19 南京天加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户式水机智能控制方法
KR102516594B1 (ko) * 2020-06-22 2023-04-03 최재환 입수라인히터가 구비된 순간가열식 온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620B1 (ko) * 2013-12-24 2015-06-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기능이 구비된 온수기 및 이를 이용한 난방수온도조절방법
KR101607666B1 (ko) 2014-02-07 2016-03-30 송창석 동파방지용 스마트 절전형 온도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온도컨트롤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540B1 (ko) 2023-04-14 2023-07-21 에프이시스템주식회사 제염대상체 형상 측정장치
KR102558083B1 (ko) 2023-04-14 2023-07-21 에프이시스템주식회사 금속폐기물 제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611A (ko) 2019-11-20
US11441788B2 (en) 2022-09-13
US20190346155A1 (en)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327B1 (ko) 온도 차를 이용한 온수 사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US11029039B2 (en) Heating and hot water supplying device
US8117998B2 (en) Hot water supplying system
JP6092815B2 (ja) 給湯装置
KR101772956B1 (ko) 예열 기능이 구비된 온수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539692B2 (ja) 貯湯式給湯機
JP2007278674A (ja) 給湯装置
JP2007139201A (ja) 貯湯式給湯装置
CA2921833C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hot water is used during heating of an air handler system
KR102207961B1 (ko) 예열 기능이 구비된 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956395B2 (ja) 温水利用システム
JP6886640B2 (ja) 温水暖房システム
JP6760016B2 (ja) 給湯装置
KR200473075Y1 (ko) 비데용 및 의료용 온수공급장치
CA3090904A1 (en) Water heater with integrated building recirculation control
JP2011106735A (ja) 浴室暖房装置における誤配管検知システム
JP6593775B2 (ja) 即湯システム
JP2021001712A (ja) 給湯装置及び給湯システム
JP6515550B2 (ja) 一缶二水路給湯装置
JP2023172543A (ja) 貯湯式給湯システム
JP6745028B2 (ja) 風呂給湯装置
JP5478354B2 (ja) 給湯システム
JP2010156480A (ja) 燃焼機器
JP2570099B2 (ja) 温水暖房装置の自動試運転方法
JPH10153343A (ja) 追焚、湯張り機能付き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