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895B1 -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895B1
KR102205895B1 KR1020190160325A KR20190160325A KR102205895B1 KR 102205895 B1 KR102205895 B1 KR 102205895B1 KR 1020190160325 A KR1020190160325 A KR 1020190160325A KR 20190160325 A KR20190160325 A KR 20190160325A KR 102205895 B1 KR102205895 B1 KR 10220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et printing
jig
gravure offset
head assembly
roll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엔씨 filed Critical (주)케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6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 B41F9/06Details
    • B41F9/18Auxiliary devices for exchanging forme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1/00Rotary presses or machines having forme cylinders carrying a plurality of printing surfaces, or for performing letterpress, lithographic, or intaglio processes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러 헤드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에 있어서, 지그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롤러 헤드 조립체;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장착된 지그를 수평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를 회전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Gravure offset printing unit}
본 발명은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러 헤드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는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탐폰 인쇄(Tampon printing),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Gravure-offset printing)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탐폰 인쇄(Tampon printing) 방법과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Gravure-offset printing) 방법은 곡면의 글라스의 표면에 인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중,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Gravure-offset printing)는 패턴이 형성된 원통형 그라비어 롤러에 잉크를 묻혀, 그라비어 롤러의 볼록 부분의 잉크를 제거한 후, 그라비어 롤러의 오목한 부분의 잉크를 전사 롤러로 전사하고, 전사 롤러의 잉크를 다시 피인쇄물에 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88385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인쇄판과, 상기 인쇄판에서 전사된 잉크를 피인쇄물로 전사시키는 전사롤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판에는 상기 피인쇄물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에 기초한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잉크를 상기 피인쇄물로 전사시킬 때, 상기 전사롤이 상기 피인쇄물을 감싸는 것처럼 상기 전사롤이 상기 피인쇄물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제시하고 있을 뿐, 인쇄 장치의 유지 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더 나아가 지그의 견고한 지지를 통한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88385호(공개번호 : 10-2016-0088385, 발명의 명칭 : 인쇄방법 및 인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롤러 헤드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기판을 장착한 지그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쇄 정밀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에 있어서, 지그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롤러 헤드 조립체;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장착된 지그를 수평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를 회전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기판이 장착된 지그의 양측 영역을 각각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는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어 인쇄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사이에는 인계 컨베이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에 의하면, 롤러 헤드 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한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판을 장착한 지그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인쇄 정밀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의 롤러 헤드 조립체를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를 구성하는 이송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를 두 개 연결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100)는 복수 개의 롤러들로 구성되는 롤러 헤드 조립체(10),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 하부에 배치되는 이송 수단(30) 및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 상부에 배치되는 위치 조정 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는 지그(40)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는 그라비어 롤러(15), 전사 롤러(17), 그라비어 롤러(15)에 인쇄 물질을 묻히는 잉크 롤러(13), 회전하는 그라비어 롤러(15)의 표면을 긁어서 홈에 해당하는 패턴의 인쇄 물질만 남도록 하는 스크래퍼(scrapper)(19) 및 이들을 장착 지지하는 롤러 지지 프레임(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사 롤러(17)는 그라비어 롤러(15)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라비어 롤러(15)와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그라비어 롤러(15)의 패턴에 남아있는 인쇄 물질은 전사 롤러(17)로 전사될 수 있다. 기판이 장착된 지그(40)는 상기 이송 수단(30)에 의해 인쇄 방향(도 3에서 볼 때,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때 지그(40)에 장착된 상기 기판은 상기 전사 롤러(17)와 접촉되며, 전사 롤러(17)에 전사된 인쇄 물질은 상기 기판에 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상기 기판은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는 대상체이면 모두 해당된다. 특히, 상기 기판은 곡면 글라스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11)은 상기 롤러들 및 스크래퍼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위치 조정 수단(50)의 결합 프레임(6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프레임(60)의 회전 이동 또는 수평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11)을 포함하는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가 회전 이동 또는 수평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는 상기 위치 조정 수단(50)에 의해 회전 이동 또는 수평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조정 수단(50)은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를 회전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정 수단(50)은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를 수평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조정 수단(50)은 베이스(51), 회전 레일(52), 회전판(53), 제1방향 레일(54), 제1방향 이동판(55), 제2방향 레일(56), 제2방향 이동판(57), 연결 바(58), 클램프(59), 결합 프레임(60), 제1방향 구동수단(61) 및 제2방향 구동수단(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51)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 배치되고, 상기 연결 바(58)가 관통 배치되도록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다. 상기 베이스(51) 상에 상기 회전 레일(52)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 레일(52) 상에 상기 회전판(53)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전판(53) 하부에는 상기 회전 레일(52)과 안정적으로 맞물리는 롤러 등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53)은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 레일(52)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53) 상에는 제1방향 레일(54)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방향 이동판(55)이 배치된다. 상기 제1방향 레일(54)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판(53) 상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수평 직선 방향인 제1방향(지그의 수평 왕복 이송 방향 또는 이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방향 이동판(55)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제1방향 레일(54)과 각각 안정적으로 맞물리는 롤러 등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방향 이동판(55)은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61)에 의해 상기 제1방향 레일(54) 상에서 제1방향으로 수평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 이동판(55) 상에는 제2방향 레일(56)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2방향 이동판(57)이 배치된다. 상기 제2방향 레일(56)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방향 이동판(55) 상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수평 직선 방향인 제2방향(제1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방향이 지그의 수평 왕복 이송 방향이면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전사 롤러(17)의 길이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방향 이동판(57)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제2방향 레일(56)과 각각 안정적으로 맞물리는 롤러 등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방향 이동판(57)은 상기 제2방향 구동수단(65)에 의해 상기 제2방향 레일(56) 상에서 제2방향으로 수평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 이동판(57)에는 상기 연결 바(58)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 바(58)의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부(58a)는 상기 결합 프레임(60)과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바(58)가 회전 이동 또는 수평 직선 방향(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결합 프레임(60)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는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11)을 포함하는 롤러 헤드 조립체(10) 역시 회전 이동 또는 수평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인쇄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회전판(53)은 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반대로 작업자에 의한 롤러 헤드 조립체의 유지 보수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측면에서 롤러들이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도 7 상태), 상기 회전판(53)은 회전될 수 있도록 클램핑되지 않는 상태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판(53)과 상기 베이스(51) 또는 회전 레일(52) 사이를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할 수 있는 클램프(59)가 상기 회전판(53) 또는 베이스(51)에 결합된다.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61)은 상기 제1방향 이동판(55)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61)은 상기 제1방향 이동판(55) 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너트 부재(62), 상기 회전판(53) 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지지 부재(63),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너트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1 너트 부재(62)와 나사 결합되는 제1 샤프트(64)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63)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샤프트(64)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다이얼(64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상기 제1 다이얼(64a)을 돌리면 상기 제1 샤프트(64)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1 너트 부재(62)가 제1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 이동판(55)이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방향 이동판(55) 상에 배치되는 제2방향 이동판(57) 및 연결 바(58) 역시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바(58)와 고정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60) 역시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상기 결합 프레임(60)에 고정 결합되는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11)을 포함하는 롤러 헤드 조립체(10)가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 구동수단(65)은 상기 제2방향 이동판(57)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방향 구동수단(65)은 상기 제2방향 이동판(57) 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너트 부재(66), 상기 제1방향 이동판(55) 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2 지지 부재(67),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너트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2 너트 부재(66)와 나사 결합되는 제2 샤프트(68)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67)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샤프트(68)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다이얼(68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상기 제2 다이얼(68a)을 돌리면 상기 제2 샤프트(68)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2 너트 부재(66)가 제2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방향 이동판(57)이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방향 이동판(57) 상에 배치되는 연결 바(58) 역시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바(58)와 고정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60) 역시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상기 결합 프레임(60)에 고정 결합되는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11)을 포함하는 롤러 헤드 조립체(10)가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위치 조정 수단(50)을 통해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상기 클램프(59)를 언클램핑하여 상기 회전판(53)이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든 후, 상기 회전판(53)에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킨다.
일반적으로 측면(도 3 및 도 7에 보이는 상태)이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측면에서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 전체 또는 이에 포함되는 롤러들을 유지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들이 측면에서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를 회전시킨 후 교체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수단(30)은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1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장착된 지그(40)를 수평 왕복 이송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 수단(30)은 인쇄 과정 또는 이송 과정에서, 기판 또는 지그의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이 장착된 지그(40)의 양측 영역을 각각 지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송 수단(30)은 상기 지그(40)에 장착된 기판을 진공 흡입 구조를 통해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 수단(3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31), 각 슬라이딩 플레이트(31)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부재(32), 각 이동 부재(32)에 인접 배치되어 지그(40)의 양측 영역을 각각 하나씩 안착 지지하는 한 쌍의 지그 지지 부재(34) 및 상기 각각 인접 배치되는 이동 부재(32)와 지그 지지 부재(34)를 상호 체결하는 한 쌍의 체결 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31)는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31) 상에는 이동 부재(3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이동 부재(32)에 대응하여 지그 지지 부재(34)가 체결 부재(33)를 통해 대응하는 이동 부재(32)에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각 이동 부재(32)의 이동에 따라 대응하는 지그 지지 부재(34) 역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각 이동 부재(32)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대응하는 구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구동 수단은 모터인 구동기(39), 구동기(39)에 의해 회전되는 볼 스크류(Ball screw)(미도시) 및 볼 스크류에 맞물린 상태로 대응하는 각 이동 부재(32)에 연결되는 이동 블록(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39)가 구동되면 상기 볼 스크류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블록이 수평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대응하는 이동 부재(32)가 수평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32)는 반드시 동기화되어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구동 수단(미도시)은 한 쌍의 이동 부재(32)가 동기화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동기 구동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32)는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고 동일한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각각의 이동 부재(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덮개 플레이트(47)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각 덮개 플레이트(47)에 인접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5)가 배치된다. 상기 각 가이드 플레이트(45)의 외측부는 대응하는 덮개 플레이트(47)에 인접되고, 상기 각 가이드 플레이트(45)의 내측부에는 상기 지그(40)의 측부를 지지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46)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5)의 가이드부(46)는 지그(40)의 일측부를 지지하여 가이드하고, 타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5)의 가이드부(46)는 지그(40)의 타측부를 지지하여 가이드한다.
상기 한 쌍의 지그 지지 부재(34)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일측에 배치되는 지그 지지 부재(34)는 지그(40)의 일측 영역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치되고, 타측에 배치되는 지그 지지 부재(34)는 지그(40)의 타측 영역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치된다.
각 지그 지지 부재(34)는 수평 실린더(35), 수직 실린더(36) 및 안착 연결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 실린더(35)는 수평으로 배치되되, 상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로드(rod)의 단부에 전단 지지부(35a)가 결합된다. 상기 수직 실린더(36)는 수직으로 배치되되, 로드(rod)가 상측을 향하고 로드(rod)의 단부에 후단 지지부(36a)가 결합된다. 상기 안착 연결부(37)는 수평 실린더(35)와 수직 실린더(36)를 연결하되, 상부면이 평평하고 상기 수평 실린더(35)의 상부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그(40)의 양측 영역 중, 일측 영역은 일측에 배치되는 지그 지지 부재(34)에 의해 안착되어 지지되고, 타측 영역은 타측에 배치되는 지그 지지 부재(34)에 의해 안착되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지그(40)의 일측 영역은 일측에 배치되는 지그 지지 부재(34)의 수평 실린더(35)와 안착 연결부(37)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단은 상기 수평 실린더(35)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단 지지부(35a)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은 상기 수직 실린더(36)의 구동에 따라 상기 후단 지지부(36a)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그(40)의 타측 영역은 타측에 배치되는 지그 지지 부재(34)의 수평 실린더(35)와 안착 연결부(37)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단은 상기 수평 실린더(35)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단 지지부(35a)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은 상기 수직 실린더(36)의 구동에 따라 상기 후단 지지부(36a)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판이 장착된 지그의 양측 영역은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지그 지지 부재(34)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그(40)의 양측단부는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 플레이트(45)의 가이드부(46)에 안착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그(40)는 양측단이 가이드부(46)에 의해 안착 지지되고, 양측 영역이 지그 지지 부재(34)에 의해 안착 지지되며, 양측 영역 각각의 전단과 후단이 고정 지지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쇄 정밀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과 양측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양측 영역은 각각에 대응하는 지그 지지 부재(34)와 가이드부(46)에 의해 안착 지지되며, 중앙 영역에는 기판이 장착되는 장착부(41)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41)는 상기 지그(40)의 중앙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41)에는 복수개의 관통홀(4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41)에 장착되는 기판 역시 이송 과정에서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31) 사이에 흡입 박스(38)가 길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 박스(38)는 상기 이송되는 지그(40)의 중앙 영역과 중첩되도록 길게 배치되되, 상기 지그(40)가 접촉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입 박스(38)는 내부가 비어 있는 복수 개의 중공이 분할 형성되는 얇은 박스 형상을 가지고, 상부면에는 각각의 중공과 통하는 흡입홀(38a)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40)는 중앙 영역이 상기 흡입 박스(38)에 접촉 안착된 상태로 이송된다. 이 상태에서, 진공 흡입 장치(미도시)를 구동시켜 상기 흡입 박스(38)의 중공 내의 공기를 흡입하면, 상기 장착부(41)와 기판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가 상기 관통홀(42)과 상기 흡입홀(38a)을 경유하여 상기 중공 내로 흡입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장착부(41)에 장착되어 있는 기판은 진공 흡입 과정을 통해 상기 장착부(41)에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연속해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기판에 복수 개의 색깔, 패턴 등을 인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를 적어도 두 개로 구성하고, 이들 사이에서 기판이 장착된 지그(40)를 이송하기 위하여 인계 컨베이어(70)를 채택 적용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어 인쇄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100) 사이에는 인계 컨베이어(70)가 배치되는 것을 채택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계 컨베이어(70)는 일측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100)의 이송 수단(30)으로부터 인쇄 공정을 수행받은 기판이 장착된 지그를 인계받아 이송한 후 다음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100)의 이송 수단(30)으로 인계해 주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기판에 복수의 패턴 또는 색깔을 인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롤러 헤드 조립체 11 : 롤러 지지 프레임
13 : 잉크 롤러 15 : 그라비어 롤러
17 : 전사 롤러 19 : 스크래퍼(scrapper)
30 : 이송 수단 31 : 슬라이딩 플레이트
32 : 이동 부재 33 : 체결 부재
34 : 지그 지지 부재 35 : 수평 실린더
35a : 전단 지지부 36 : 수직 실린더
36a : 후단 지지부 37 : 안착 연결부
38 : 흡입 박스 38a : 흡입홀
39 : 구동기 40 : 지그
41 : 장착부 42 : 관통홀
45 : 가이드 플레이트 46 : 가이드부
47 : 덮개 플레이트 50 : 위치 조정 수단
51 : 베이스 52 : 회전 레일
53 : 회전판 54 : 제1방향 레일
55 : 제1방향 이동판 56 : 제2방향 레일
57 : 제2방향 이동판 58 : 연결 바
58a : 결합부 59 : 클램프
60 : 결합 프레임 61 : 제1방향 구동수단
62 : 제1 너트 부재 63 : 제1 지지 부재
64 : 제1 샤프트 64a : 제1 다이얼
65 : 제2방향 구동수단 66 : 제2 너트 부재
67 : 제2 지지 부재 68 : 제2 샤프트
68a : 제2 다이얼 70 : 인계 컨베이어
100 :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Claims (3)

  1.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에 있어서,
    지그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롤러 헤드 조립체;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이 장착된 지그를 수평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를 회전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상에서 제1방향으로 수평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방향 이동판, 상기 제1방향 이동판 상에서 제2방향으로 수평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방향 이동판, 상기 제2방향 이동판에 고정 결합되되, 하단이 결합 프레임과 고정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 헤드 조립체의 롤러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기판이 장착된 지그의 양측 영역을 각각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는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어 인쇄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사이에는 인계 컨베이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KR1020190160325A 2019-12-05 2019-12-05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KR10220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25A KR102205895B1 (ko) 2019-12-05 2019-12-05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25A KR102205895B1 (ko) 2019-12-05 2019-12-05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895B1 true KR102205895B1 (ko) 2021-01-21

Family

ID=7423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325A KR102205895B1 (ko) 2019-12-05 2019-12-05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8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957A (ja) * 1995-06-02 1996-12-10 Isowa Corp 段ボールシート印刷装置
KR20070088327A (ko) * 2004-12-07 2007-08-29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인쇄기
KR20120005354A (ko) * 2010-07-08 2012-01-16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롤투롤 얼라인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KR20160088385A (ko) 2013-11-20 2016-07-25 사카모토 준 인쇄방법 및 인쇄장치
KR20170032607A (ko) *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파인텍 열전사기의 히팅롤러 교체장치
JP2017193147A (ja) * 2016-04-22 2017-10-26 株式会社写真化学 電子デバイス用の転写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用の転写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957A (ja) * 1995-06-02 1996-12-10 Isowa Corp 段ボールシート印刷装置
KR20070088327A (ko) * 2004-12-07 2007-08-29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인쇄기
KR20120005354A (ko) * 2010-07-08 2012-01-16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롤투롤 얼라인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KR20160088385A (ko) 2013-11-20 2016-07-25 사카모토 준 인쇄방법 및 인쇄장치
KR20170032607A (ko) *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파인텍 열전사기의 히팅롤러 교체장치
JP2017193147A (ja) * 2016-04-22 2017-10-26 株式会社写真化学 電子デバイス用の転写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用の転写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3780B1 (en)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JP5700951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4763466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6856029B2 (ja) 曲面スクリーン印刷装置
CN101374663B (zh) 油墨移印系统
KR102205895B1 (ko)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장치
KR20150138093A (ko) 실린더형 스크린 인쇄기
JP4763467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6659261B2 (en) Ceramic shaped body-positioning system
KR102099466B1 (ko) 성형제품의 다면 및 다색 패드인쇄 자동시스템
JP3192640B2 (ja) 版胴上への可撓性印刷版の位置決め装置
KR102192869B1 (ko)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 시스템
WO2019239452A1 (ja) クランプレールユニット
IL180111A (en) Two-mode printer
KR101450478B1 (ko) 필름전사 시스템
JPWO2017216948A1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WO2010143401A1 (ja) オフセット印刷装置
JP2001206728A (ja) ガラス基板のブレーク装置
EP2439073B1 (en) Self-adjusting blanket washer mechanism for cylinders in variable cutoff printing presses
CN219769366U (zh) 夹持机构及丝网印刷机
US20130319268A1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KR101382344B1 (ko) 차체 프레임용 정렬장치
CN108314304B (zh) 划片设备
GB2031341A (en) An adjusting device for lithographic printing plates
JP3212518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