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052B1 - 골 고정 장치를 위한 로킹 부재 - Google Patents

골 고정 장치를 위한 로킹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052B1
KR102205052B1 KR1020157015761A KR20157015761A KR102205052B1 KR 102205052 B1 KR102205052 B1 KR 102205052B1 KR 1020157015761 A KR1020157015761 A KR 1020157015761A KR 20157015761 A KR20157015761 A KR 20157015761A KR 102205052 B1 KR102205052 B1 KR 102205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tooth
locking
along
conven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835A (ko
Inventor
마르첼로 메몰로
쿠르티스 베러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5008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reattaching pieces of the sku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골 고정 장치를 위한 로킹 부재는 외측 표면, 반대편의 골 접촉 표면, 및 골 접촉 표면으로부터 외측 표면까지 연장되는 슬롯을 한정하는 로킹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슬롯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 및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에 대면하는 맞닿음 표면을 한정하고 슬롯 내로 연장되는 편의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슬롯은 삽입 방향을 따라 치-형성된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편의 부재는 치-형성된 부재가 슬롯을 통해 삽입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을 따라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형성된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치가 로킹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와 맞물리도록 치-형성된 부재를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를 향해 편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골 고정 장치를 위한 로킹 부재{LOCKING MEMBER FOR A BONE FIXATION DEVICE}
관련 출원과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내용이 마치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2012년 11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726,79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골 플랩(bone flap) 또는 골 임플란트를 환자의 두개골에 고정시키는 것과 같은 치료를 가져오기 위해 연조직을 골에 고정시키거나 골을 골에 고정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외과적 시술들이 있다. 예를 들어, 개두술(craniotomy)은 종양 및 동맥류(aneurysm)를 비롯한 다양한 뇌 손상들을 치료하기 위해 수행되는 외과적 시술이다. 개두술 시술의 일부로서, 외과의는 두개골 내에 개구를 생성한다. 하나의 기법은 수 개의 인접한 구멍들을 드릴링하여 개구의 주연부를 한정한 다음에 공구를 사용하여 구멍들 사이를 절단하는 것이다. 외과의는 두개골의 전체 섹션을 제거할 수 있거나, 뇌 또는 머리 영역으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두개골을 멀리 구부리기에 충분한 양을 절단할 수 있다. 절제된 섹션은 흔히 골 플랩으로 지칭된다. 다른 경우들에서, 없어진 두개골의 섹션을 대체하기 위해 임플란트가 요구될 수 있다. 둘 모두의 경우에, 골 플랩 또는 임플란트는 외과적 시술이 완료된 후에 주위 두개골에 고착되거나 고정되어야 한다.
골 플랩 또는 임플란트를 주위 두개골에 고착시키기 위한 수 개의 기존 장치들이 있다. 이들 장치 중 몇몇은 스템(stem)에 의해 연결되는 외측 및 내측 디스크들을 포함함으로써, 골 플랩(또는 임플란트)과 주위 두개골이 외측 및 내측 디스크들 사이에 개재된다. 전형적으로, 사용 동안에, 외측 디스크는 스템을 따라 내측 디스크를 향해 활주가능하고,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예를 들어 리벳, 마찰 끼워맞춤, 또는 심지어 래치팅 부재(ratcheting member)에 의해 제 위치에 로킹된다. 래치팅 부재가 더욱 요구되는 로킹 메커니즘이었지만, 그의 사용의 결과로서, 외측 디스크가 주위 조직을 자극하고/하거나 환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미용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는, 주위 두개골에 대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인접한 해부학적 구조체들을 서로에 대해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골 고정 장치(bone fixation device)는 스템,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템은 제1 방향을 따라 길고,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템은 복수의 치(tooth)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부재는 스템의 제1 단부에 결합되고, 제1 외측 표면 및 제1 내측 표면을 한정한다. 제1 내측 표면은 인접한 해부학적 구조체들의 각자의 내측 표면들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외측 부재는 스템을 따라 제2 단부로부터 내측 부재를 향해 활주가능하다. 외측 부재는 제2 외측 표면 및 제2 내측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내측 표면은 인접한 해부학적 구조체들의 각자의 외측 표면들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외측 부재는 제2 내측 표면으로부터 제2 외측 표면까지 연장되는 스템 수용 슬롯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스템 수용 슬롯은 적어도 하나의 치를 포함하는 표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고, 외측 부재는 편의 부재(biasing member)를 추가로 포함하며, 편의 부재는 스템 수용 슬롯 내로 연장되고 스템을 표면을 향해 편의시키도록 구성되어, 스템이 스템 수용 슬롯을 통해 삽입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을 따라 병진이동하는(translating)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템이 스템 수용 슬롯을 통해 삽입 방향을 따라 삽입될 때 스템의 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외측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치와 맞물리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골 고정 장치를 위한 로킹 부재는 외측 표면, 반대편의 내측 골 접촉 표면, 및 내측 골 접촉 표면으로부터 외측 표면까지 연장되는 슬롯을 한정하는 로킹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슬롯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 및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에 대면하는 맞닿음 표면(abutment surface)을 한정하고 슬롯 내로 연장되는 편의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슬롯은 삽입 방향을 따라 치-형성된(toothed)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편의 부재는 치-형성된 부재가 슬롯을 통해 삽입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을 따라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형성된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치가 로킹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와 맞물리도록 치-형성된 부재를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를 향해 편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의 내용뿐만 아니라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들을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이 개시된 특정 실시예 및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목적을 위해 특허청구범위가 참조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골 플랩을 주위 두개골 부분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골 고정 장치들의 사시도.
도 1b는 골 플랩을 주위 두개골 부분에 부착시키는 도 1a의 골 고정 장치들 중 하나의 단면도.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골 고정 장치로서, 치-형성된 스템, 치-형성된 스템의 원위 단부(distal end)에 결합되는 제1 클램프(clamp) 부재, 및 원위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치-형성된 스템의 근위 단부(proximal end)로부터 제1 클램프 부재를 향해 치-형성된 스템을 따라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클램프 부재를 구비하는, 상기 골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골 고정 장치의 측면도.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골 고정 장치의 평면도.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치-형성된 스템으로서, 디스크 및 디스크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몸체를 구비하는, 상기 치-형성된 스템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치-형성된 스템의 측면도.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치-형성된 스템의, 선 3C-3C를 통한 단면도.
도 3d는 도 3b에 도시된 치-형성된 스템의 원위 단부의 확대 측면도.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제1 클램프 부재로서, 제1 클램프 부재가 치-형성된 스템의 원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치-형성된 스템을 수용하게 구성되는 제1 스템 수용 슬롯을 한정하는, 상기 제1 클램프 부재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1 클램프 부재의 평면도.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제1 클램프 부재의, 선 4C-4C를 통한 단면도.
도 5a는 도 2a에 도시된 제2 클램프 부재로서, 제2 클램프 부재는 제2 스템 수용 슬롯을 한정하고, 제2 스템 수용 슬롯을 한정하는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를 포함하며, 제2 스템 수용 슬롯 내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치에 대면하는 맞닿음 표면을 한정하는 편의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치-형성된 부재가 제2 스템 수용 슬롯 내에 수용될 때, 편의 부재가 치-형성된 스템을 적어도 하나의 치를 향해 편의시키게 하는, 상기 제2 클램프 부재의 저부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2 클램프 부재의 평면도.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제2 클램프 부재의, 선 5C-5C를 통한 단면도.
도 5d는 제1 또는 초기 위치에 있는, 도 5b에 도시된 제2 클램프 부재의 편의 부재의 확대 평면도.
도 5e는 슬롯이 치-형성된 스템을 수용한 후에 제2 또는 휘어진 위치에 있는, 도 5d에 도시된 제2 클램프 부재의 편의 부재의 확대 평면도.
도 6a는 제1 클램프 부재의 내측 표면이 각자의 제1 및 제2 해부학적 몸체들의 내측 표면들에 근접하도록 위치된 제1 클램프 부재, 및 치-형성된 스템의 일부분이 제1 및 제2 해부학적 몸체들로부터 돌출되어 그들의 외부에 있도록 제1 해부학적 몸체와 제2 해부학적 몸체 사이에 한정된 간극을 통해 연장된 치-형성된 스템의 측면도.
도 6b는 제1 및 제2 해부학적 몸체들의 외부에 있는 치-형성된 스템의 부분 상에 위치된 제2 클램프 부재의 측면도.
도 6c는 제2 클램프 부재의 내측 표면이 각자의 제1 및 제2 해부학적 몸체들의 외측 표면들에 근접하도록 치-형성된 스템을 따라 위치된 제2 클램프 부재의 측면도.
도 6d는 내측 디스크와 외측 디스크 사이에 포획된 제1 및 제2 해부학적 몸체들, 및 제2 클램프 부재의 외측 표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잘라 내어진 치-형성된 스템의 측면도.
도 7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형성된 스템의 정면도.
도 7b는 편의 부재를 포함하는 도 7a에 도시된 치-형성된 스템의, 선 7B-7B를 통한 단면도.
도 8a는 치-형성된 부재를 따라 병진이동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킹 부재로서, 치-형성된 몸체 및 치-형성된 몸체를 피벗(pivot)을 중심으로 편의시키도록 구성되는 편의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로킹 부재의 사시 단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로킹 몸체의 편의 부재 및 치-형성된 몸체의 상세 단면도.
오직 편의를 위해 하기의 설명에서 소정 용어가 사용되며, 제한적이지 않다. 단어 "우측", "좌측", "하부" 및 "상부"는 참조하는 도면에서의 방향들을 가리킨다. 단어 "근위 방향으로" 및 "원위 방향으로"는 각각 외과용 기구를 사용하는 외과의를 향하는 방향과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단어 "전방", "후방", "상방", "하방" 및 관련 단어 및/또는 문구는 참조하는 인체 내에서의 바람직한 위치 및 배향을 가리키며,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는 위에 열거된 단어,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골 고정 조립체(10)는 골절부 또는 절단부와 같은 골 간극(18)에 의해 분리되는, 임플란트 또는 골 플랩(16a)과 같은 제1 해부학적 구조체를 주위 두개골(16b)과 같은 제2 해부학적 구조체에 부착하거나 달리 고착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골 고정 장치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골 고정 장치(1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5개의 골 고정 장치(14)들이 골 플랩(16a)을 주위 두개골(16b)에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원하는 대로 임의의 개수의 골 고정 장치(14)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1b 및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 고정 장치(14)는 실질적으로 클램프로서 구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L)과 측방향(A)을 따라 수평으로 그리고 횡방향(T)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골 고정 장치(14)는 횡방향(T)을 따라 길고 제1 또는 원위 스템 단부(D) 및 원위 스템 단부(D)로부터 횡방향(T)을 따라 이격된 제2 또는 근위 스템 단부(P)를 한정하는 치-형성된 스템(22)으로서 예시되는 치-형성된 부재(20)를 포함한다. 골 고정 장치(14)는 원위 스템 단부(D)로부터 연장되거나 그에 달리 결합되는 내측 또는 제1 클램프 부재(26) 및 근위 스템 단부(P)로부터 제1 클램프 부재(26)를 향해 치-형성된 스템(22)을 따라 활주가능한 외측 또는 제2 클램프 부재(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 부재(26, 30)들이 제1 및 제2 고정 부재들이라고 말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길이방향과 측방향이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기술되고, 횡방향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기술되지만, 사용 동안에, 이러한 방향들이 연장되는 평면이 변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 동안에, 측방향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길이방향과 횡방향이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 용어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횡방향(T), 길이방향(L), 및 측방향(A)이 제1, 제2, 및 제3 방향들로 지칭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골 고정 장치(14)는 제1 클램프 부재(26)가 골 플랩(16a)의 각자의 내측 표면(40a, 40b)들과 주위 두개골(16b)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치된 때, 치-형성된 스템(22)은 골 간극(18)을 통해 연장되고, 치-형성된 스템(22)의 일부분이 주위 두개골(16b)의 외부에 있도록 골 간극(18)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어서 제2 클램프 부재(30)가 치-형성된 스템(22)의 근위 스템 단부(P) 위에 위치되고 치-형성된 스템(22)을 따라 제1 클램프 부재(26)를 향해 병진이동될 수 있다. 제2 클램프 부재(30)는 골 플랩(16a)과 주위 두개골(16b)이 제1 클램프 부재(26)와 제2 클램프 부재(30) 사이에 개재되도록 제2 클램프 부재(30)가 골 플랩(16a)의 각자의 외측 표면(44a, 44b)들과 주위 두개골(16b)에 맞닿을 때까지 병진이동될 것이다. 그러나, 골 고정 장치(14)들이 골 플랩(16a)을 주위 두개골(16b)에 대해 고착시키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골 고정 장치(14)들이 원하는 대로 임의의 해부학적 구조체들, 예를 들어 흉골(sternum)을 부착시키거나 달리 고착시킬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치-형성된 스템(22), 제1 클램프 부재(26), 및 제2 클램프 부재(30)를 포함하는 골 고정 장치(14)는 PEEK 또는 PEKK와 같은 생체적합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골 고정 장치(14)는 예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별개의 구성요소들로서 성형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치-형성된 스템(22) 및 제1 클램프 부재(26)는 사용 전에 제조자에 의해 또는 대안적으로 의사 또는 의사의 보조자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골 고정 장치(14)가 2개의 구성요소들로서 성형될 수 있음으로써, 치-형성된 스템(22) 및 제1 클램프 부재(26)가 추후에 제2 클램프 부재(30)에 결합될 단일 모놀리식(monolithic) 구성요소로서 성형됨을 알아야 한다. 또한, 치-형성된 스템(22), 제1 클램프 부재(26) 및 제2 클램프 부재(3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골 고정 장치(14)가 PEEK 또는 PEKK 이외의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치-형성된 스템(22)은 치-형성된 스템(22)의 길이의 일부분(예를 들어, 스템(22)의 길이의 대략 1/2)을 따라 근위 스템 단부(P)로부터 원위 스템 단부(D)를 향해 연장되는 제1 개시 영역(54) 및 제1 개시 영역(54)과 원위 스템 단부(D)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로킹 영역(58)으로 적어도 분할되는 스템 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로킹 영역(58)은 제1 개시 영역(54)으로부터 원위 스템(D)으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스템 몸체(50)는 측방향(A)을 따라 서로 이격된 반대편의 제1 및 제2 표면(50a, 50b)들을 한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표면(50a, 50b)들은 한 쌍의 측부 표면(51a, 51b)들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표면(50a, 50b)들은 측부 표면(51a, 51b)들보다 넓다. 그러나, 원하는 대로, 제1 및 제2 표면(50a, 50b)들이 측부 표면(51a, 51b)들보다 좁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성된 스템(22)의 제1 개시 영역(54)은 복수의 작은 돌출부(60)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들은 스템 몸체(50)의 제1 표면(50a)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며, 인접한 돌출부(60)들 사이에 배치된 만입 영역(64)들과 교번한다. 제1 개시 영역(54)은 돌출부(60)들에 근접한 테이퍼형 단부(6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형 단부(68)는 실질적으로 돌출부(60)들이 없을 수 있고, 테이퍼형 단부에서의 반대편의 측부 표면(51a, 51b)들은 이들이 근위 스템 단부(P)를 향해 근위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를 향해 수렴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개시 영역(54)이 원하는 대로 완전히 돌출부(60)가 없을 수 있고, 원하는 대로 테이퍼형 단부(68)가 없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성된 스템(22)의 제2 로킹 영역(58)은 복수의 로킹 치(76)들을 포함할 수 있고, 로킹 치들은 스템 몸체(50)의 제1 표면(50a)으로부터 돌출부(60)들의 거리보다 큰 거리로 연장되어 나오며, 인접한 로킹 치(76)들 사이에 배치되는 만입 영역(78)들에 의해 분리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로킹 영역(58)이 스템 몸체의 원위 부분을 따라 연장되지만, 원하는 대로, 로킹 영역(58)이 스템 몸체(50)의 임의의 부분을 따라, 최대로는 그 전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치(76)들은 제1 표면(50a)만을 따라 스템 몸체(50)로부터 연장되고, 횡방향(T)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각각의 로킹 치(76)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고, 횡방향(T)을 따라 인접한 치로부터 이격된다. 각각의 치(76)는 비스듬한 선단(leading) 또는 근위 에지(80) 및 후단(trailing) 또는 원위 에지(84)를 한정한다. 선단 에지(80)는 선단 에지(80)가 제2 클램프 부재(30)의 상호보완적인 로킹 치의 상호보완적인 비스듬한 선단 에지 위에서 캐밍하게(cam) 구성되도록 제1 표면(50a)으로부터 비스듬히 연장된다. 후단 에지(84)는 제1 표면(50a)으로부터 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후단 에지(84)가 제2 클램프 부재(30)의 로킹 치의 상호보완적인 후단 에지와 맞물리게 구성되도록 제1 표면(50a)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그러나, 로킹 치(76)가 원하는 대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후단 에지(84)는 또한 후단 에지(84)가 제2 클램프 부재(30)의 로킹 치의 상호보완적인 후단 에지와 맞물릴 수 있는 한 제1 표면(50a)으로부터 비스듬히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60)들과 로킹 치(76)들이 제1 및 제2 표면(50a, 50b)들 둘 모두로부터 또는 대안적으로 측부 표면(51a, 51b)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몸체(50)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표면(50a)은 제2 표면(50b)의 길이방향 치수(d2)보다 작은 길이방향 치수(d1)를 가질 수 있다. 사다리꼴 형상은 골 고정 장치(14)의 조립 동안에 사용자를 보조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즉, 제2 클램프 부재(30)는 스템 몸체(50)의 사다리꼴 형상에 대응하는 스템 수용 슬롯을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제2 클램프 부재(30)의 스템 수용 슬롯은 스템 몸체가 정확한 배향으로 있을 때에만 스템 몸체(50)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구성은 제2 클램프 부재(30)가 치-형성된 스템(22)과 정확하게 조립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그러나, 스템 몸체(50)가 원하는 대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원하는 대로, 스템 몸체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성된 스템(22)은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스템 몸체(50)의 외부 표면, 예를 들어 제2 표면(50b)으로부터 복수의 치(7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최외측 표면까지의 최대 거리(dM)를 한정할 수 있다. 최대 거리(dM)가 제2 클램프 부재(30)에 의해 한정되는 슬롯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치(76)에서 측정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또한, 최대 거리(dM)가 원하는 대로 임의의 거리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계속해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치-형성된 스템(22)은 원위 스템 단부(D)로부터 연장되는, 디스크로서 예시된 제1 커플링 부재(90), 및 원위 스템 단부(D)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스템 몸체(50)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커플링 부재(9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치-형성된 스템(22)은 스템 몸체(50)의 제1 및 제2 표면(50a, 50b)들 중 각자의 표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제2 커플링 부재(94)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90, 94)들은 제1 클램프 부재(26)의 일부분과 정합함으로써 제1 클램프 부재(26)를 치-형성된 스템(22)의 원위 스템 단부(D)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90)는 제1 포획 표면(98)을 한정하고, 제2 커플링 부재(94)들 각각은 제1 포획 표면(98)에 대면하는 각자의 제2 포획 표면(102)들을 한정한다. 제1 및 제2 포획 표면(98, 102)들은 각각의 제2 포획 표면(102)과 제1 포획 표면(98) 사이에 각자의 간극(106)들이 한정되도록 횡방향(T)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간극(106)들은 제1 클램프 부재(26)의 일부분을 수용함으로써 제1 클램프 부재(26)를 포획하거나 이를 치-형성된 스템(22)에 달리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1 커플링 부재(90)가 디스크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제1 커플링 부재(90)가 임의의 원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커플링 부재(90)는 블록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94)들이 원하는 대로 측부 표면(51a, 51b)들로부터 연장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1 클램프 부재(26)는 치-형성된 스템(22)의 원위 스템 단부(D)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클램프 부재(26)는 위에서 볼 때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그리고 내측 또는 골 접촉 표면(114) 및 횡방향(T)을 따라 내측 표면(114)에 반대편인 외측 표면(118)을 한정하는 제1 클램프 또는 로킹 몸체(110)를 포함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표면(114)이 제1 및 제2 해부학적 구조체(16a, 16b)들의 내측 표면(40a, 40b)들과 접촉할 때, 제1 몸체(110)가 휘어지도록, 내측 표면(114)은 오목하고 외측 표면(118)은 볼록하다. 그러나, 원하는 대로, 제1 몸체(110)가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원하는 대로, 제1 몸체(11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있거나, 내측 및 외측 표면(114, 118)들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제1 클램프 부재(26)는 치-형성된 스템(22)의 원위 스템 단부(D)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사용 시, 제1 클램프 부재(26)는 내측 표면(114)이 제1 및 제2 해부학적 구조체(16a, 16b)들의 내측 표면(40a, 40b)들에 근접하도록 위치되게 구성된다. 제1 클램프 부재(26)가 클램핑 위치로 이동될 때, 내측 표면(114)은 해부학적 구조체(16a, 16b)들의 내측 표면(40a, 40b)들과 접촉하거나 달리 맞닿으며, 제1 몸체(110)는 외향으로 휘어진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 부재(26)는 횡방향(T)을 따라 내측 표면(114)으로부터 외측 표면(118)까지 제1 몸체(110)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스템 수용 슬롯(122)을 추가로 한정한다. 제1 스템 수용 슬롯(122)은 내측 표면(114)이 근위 스템 단부(P)에 대면하도록 삽입 방향(I)을 따라 스템 몸체(50)를 수용하게 형상화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스템 수용 슬롯(122)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지만, 스템 수용 슬롯(122)이 원하는 대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원하는 대로, 제1 스템 수용 슬롯(122)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0)는 외측 표면(118) 내로 그리고 내측 표면(114)을 향해 연장되는 리세스(recess)(130)를 추가로 한정한다. 리세스(130)는 제1 몸체(110) 내로 연장되지만 그를 완전히 관통해 연장되지는 않아, 한 쌍의 스냅 부재(134)들이 한정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 부재(134)들은 스템 수용 슬롯(122)이 스냅 부재(13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도록 측방향(A)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스템 수용 슬롯(122)은 제1 몸체(110)를 통해 내측 표면(114)으로부터 리세스(130) 내로 연장된다.
리세스(130)는, 제1 커플링 부재(90)가 리세스(130)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커플링 부재(90)가 외측 표면(118)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도록, 치-형성된 스템(22)의 제1 커플링 부재(90)를 수용하게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는 제1 커플링 부재(90)의 디스크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상이 원통형이다. 그러나, 리세스(130)가 원하는 대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커플링 부재(90)가 원하는 대로 외측 표면(118) 위로 돌출되거나 외측 표면(118)에 대해 만입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계속해서 도 4c를 참조하면, 스냅 부재(134)들은 제1 클램프 부재(26)가 치-형성된 스템(22)에 결합될 때 치-형성된 스템(22)의 간극(106)들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 부재(134)들 각각은 치-형성된 스템(22)의 간극(106)들의 횡방향 높이(H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횡방향 높이(H1)를 갖는다. 따라서, 스냅 부재(134)들이 간극(106)들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클램프 부재(26)가 치-형성된 스템(22)의 원위 스템 단부(D)에 견고하게 결합될 것이다.
제1 클램프 부재(26)를 치-형성된 스템(22)에 결합시키기 위해, 치-형성된 스템(22)의 근위 스템 단부(P)는 제1 클램프 부재(26)가 스템 몸체(50)를 따라 제1 커플링 부재(90)를 향해 활주하도록 외측 표면(118)으로부터 내측 표면(114)에 대면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스템 수용 슬롯(12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클램프 부재(26)는 제1 커플링 부재(90)가 리세스(130)에 의해 수용되고 스냅 부재(134)들이 간극(106)들과의 맞물림 상태로 스냅 체결될 때까지 제1 커플링 부재(90)를 향해 이동될 것이다. 일단 스냅 부재(134)들이 간극(106)들과 맞물리고 제1 커플링 부재(90) 및 제2 커플링 부재(94)들의 제1 및 제2 포획 표면(98, 102)들 사이에 각각 포획되면, 제1 클램프 부재(26)가 치-형성된 스템(22)의 원위 스템 단부(D)에 견고하게 결합될 것이다. 제1 클램프 부재(26) 및 치-형성된 스템(22)은 함께 제1 로킹 부재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클램프 부재(26) 및 치-형성된 스템(22)이 원하는 대로 임의의 방법 또는 구조체를 사용하여 함께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클램프 부재(26) 및 치-형성된 스템은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을 사용하여 함께 용접될 수 있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제2 클램프 부재(30)는 스템 몸체(50)를 따라 근위 스템 단부(P)로부터 제1 클램프 부재(26)를 향해 활주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 클램프 부재(30)는 위에서 볼 때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그리고 내측 또는 골 접촉 표면(214) 및 횡방향(T)을 따라 내측 표면(214)에 반대편인 외측 표면(218)을 한정하는 제2 클램프 또는 로킹 몸체(210)를 포함한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210)는 중심 코어(220) 및 코어(22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복수의 가요성 연장부(222)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요성 연장부(222)는 반경방향 슬롯(224)에 의해 인접한 가요성 연장부(222)로부터 분리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220)와 가요성 연장부(222)의 외측 표면을 포함하는 외측 표면(218)은 실질적으로 볼록할 수 있다.
각각의 가요성 연장부(222)는 각자의 힌지(226)에 의해 코어(220)에 결합된다. 내측 표면(214)이 제1 및 제2 해부학적 구조체(16a, 16b)들의 외측 표면(44a, 44b)들과 접촉될 때, 가요성 연장부(222)들은 그들의 각자의 힌지(226)들을 중심으로 외향으로 휘어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요성 연장부(222)는 형상이 사다리꼴이지만, 가요성 연장부(222)가 원하는 대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제2 몸체(210)가 원하는 대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몸체(210)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있거나, 내측 및 외측 표면(214, 218)들이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램프 부재(30)는 횡방향(T)을 따라 내측 표면(214)으로부터 외측 표면(218)까지 제2 몸체(210)를 통해 연장되는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추가로 한정한다.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은 제2 클램프 부재(30)가 스템 몸체(50)를 따라 근위 스템 단부(P)로부터 제1 클램프 부재(26)를 향해 활주하고 있을 때 내측 표면(214)이 원위 스템 단부(P) 또는 제1 클램프 부재(26)에 대면하도록 삽입 방향(I)을 따라 스템 몸체(50)를 수용하게 형상화된다.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은 스템 몸체(50)가 삽입 방향(I)을 따라 일방향으로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통해 병진이동하게 구성되도록 치-형성된 스템(22)의 근위 스템 단부(P)를 수용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스템 몸체(50)는 삽입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을 따라서가 아니라 삽입 방향(I)을 따라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통해 병진이동할 수 있다.
단면에서,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은 형상이 사다리꼴이고, 스템 몸체(50)의 사다리꼴 형상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은 스템 몸체(50)가 정확한 배향으로 있을 때에만 스템 몸체(50)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이 원하는 대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은 제1 클램프 부재(26)의 제1 스템 수용 슬롯(122)의 단면과 유사하게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 5c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은 내측 표면(214)으로부터 외측 표면(218)까지 관통 연장되는 내부 또는 슬롯 표면(240)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고, 제2 클램프 부재(30)는 내부 표면(240)으로부터 제2 스템 수용 슬롯(232) 내로 연장되어 나오는 2개의 로킹 치(244)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24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244)가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고 말할 수 있다. 각각의 로킹 치(244)는 스템 몸체(50)가 삽입 방향(I)을 따라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통해 병진이동될 때 로킹 치(76)의 상호보완적인 비스듬한 선단 에지(80) 위에서 캐밍하도록 구성되는 비스듬한 선단 에지(250)를 한정한다. 각각의 로킹 치(244)는 비스듬한 선단 에지(250)보다 작게 경사지는 후단 에지(254)를 추가로 한정하여, 후단 에지(254)들이 스템 몸체(50)가 삽입 방향(I)과 반대인 방향을 따라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통해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킹 치(76)의 후단 에지(84)들과 맞물리게 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고정 장치(14)는 치-형성된 로킹 스템(22)을 로킹 치(76)를 향해 편의시키는 편의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 클램프 부재(30)는 편의 부재(260)를 포함하고, 편의 부재(260)는 제2 스템 수용 슬롯(232) 내로 연장되고 슬롯 표면(240)에 대면한다. 특히, 편의 부재(260)는 제2 클램프 부재(30)의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244)에 대향되고 그에 대면하는 만곡형 편의 또는 맞닿음 표면(264)을 한정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 부재(260)는 맞닿음 부재(272)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 다리부(268)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다리부(268)들은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대향하는 슬롯 표면(276)들로부터 연장된다. 슬롯 표면(276)들은 슬롯 표면(240)의 대향 단부들로부터 연장되고 길이방향(L)으로 서로 대면한다. 각각의 다리부(268)는 슬롯 표면(24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곧은 섹션(280) 및 슬롯 표면(240)을 향해 만곡된 만곡형 섹션(284)을 포함한다. 만곡형 섹션(284)들은 맞닿음 부재(272)가 맞닿음 표면(264)을 한정하도록 맞닿음 부재(272)에서 결합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닿음 표면(264)은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244)에 대향되고 그에 대면한다. 그러나, 편의 부재(260)가 원하는 대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5d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 부재(260)는 제1 또는 초기 위치와 제2 또는 휘어진 위치 사이에서 휘어질 수 있다. 편의 부재(260)는 내부 표면(240)의 가요성보다 큰 가요성을 갖는다.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클램프 부재(30)는 치-형성된 스템(22)의 최대 거리(dM)보다 작은, 측방향(A)을 따라 편의 부재(260)와 내부 표면(240) 사이에서 측정되는 부재 거리(db)를 한정한다. 슬롯(232)이 치-형성된 스템(22)을 수용할 때, 편의 부재(260)는 제2 위치로 휘어짐으로써, 부재 거리(db)가 최대 거리(dM)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그 결과, 편의 부재(260)는 복수의 치(76)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치(244)와 상호 로킹시키기(interlock) 위해 치-형성된 스템(22)을 내부 표면(240)을 향해 편의시킨다.
계속해서 도 5d 및 도 5e를 참조하면, 편의 부재(26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측방향(A)을 따라 맞닿음 표면(264)으로부터 슬롯 표면(240)까지 측정된 부재 거리(db)가 측방향(A)을 따라 측정된 스템 몸체(50)의 최대 거리(dM)보다 작다고 또한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템 몸체(50)가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통해 삽입될 때, 편의 부재(260)가 제2 위치로 휘어짐으로써, 스템 몸체(50)가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통과할 수 있도록 부재 거리(db)를 넓힐 것이다. 그 결과, 편의 부재(260)는 스템 몸체(50)의 제2 표면(50b)을 편의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2 표면에 대항하여 힘(F)을 가함으로써 스템 몸체(50)를 슬롯 표면(240)을 향해 가압할 것이다. 편의 부재(260)는 약 05 N 내지 약 100 N, 특히 약 10 N 내지 약 30 N인 편의력(F)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편의 부재(260)는 약 30 N의 편의력(F)을 가한다. 그러나, 편의 부재(260)가 원하는 대로 임의의 편의력(F)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램프 부재(30)는 2개의 로킹 치(244)들만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3개 이상의 로킹 치들을 구비하는 로킹 부재들에 비해 보다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클램프 부재(30)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인, 횡방향(T)을 따라 측정된 높이(H3)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 클램프 부재(30)는 약 1.25 mm인 높이(H3)를 갖는다. 그러나, 제2 클램프 부재(30)가 원하는 대로 임의의 높이(H3)를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제2 클램프 부재(30)는 근위 스템 단부(P)가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통해 삽입 방향(I)을 따라 내측 표면(214)로부터 외측 표면(218)까지 삽입되도록 근위 스템 단부(P) 위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제2 클램프 부재(30)는 이어서 스템 몸체(50)를 따라 제1 클램프 부재(26)를 향해 활주될 수 있다. 제2 클램프 부재(30)는 제2 클램프 부재(30)가 제1 및 제2 해부학적 구조체(16a, 16b)들의 외측 표면(44a, 44b)들에 맞닿거나 달리 그와 접촉할 때까지 스템 몸체를 따라 활주될 수 있다. 제2 클램프 부재(30)가 스템 몸체(50)를 따라 활주됨에 따라, 치-형성된 스템(22)의 로킹 치(76)들이 제2 클램프 부재(30)의 로킹 치(244)들과 맞물릴 것이다. 로킹 치(244)들과 로킹 치(76)들 사이의 맞물림은 제2 클램프 부재(30)가 스템 몸체(50)를 따라 제1 클램프 부재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클램프 부재(30)가 또한 제2 로킹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로킹 부재 또는 제2 로킹 부재의 특징부들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골 고정 장치들 내에 통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로킹 부재는 제1 및 제2 골 구조체들 주위에서 루프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스트랩을 갖는 흉골 타이(sternal tie)와 같은 골 고정 부재 내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제2 로킹 부재의 슬롯은 편의 부재가 가요성 스트랩에 대항하여 힘을 가하여 가요성 스트랩의 로킹 치들이 제2 로킹 부재의 로킹 치들과 맞물리게 하도록 가요성 스트랩을 수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로킹 헤드는, 그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2012년 3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616,555호에 개시된 로킹 부재들 중 임의의 것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작동 시, 제1 로킹 부재는 제1 클램프 부재(26)가 제1 및 제2 해부학적 구조체(16a, 16b)들의 내측 표면(40a, 40b)들에 근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치-형성된 스템(22)은 치-형성된 스템(22)의 일부분이 해부학적 구조체(16a, 16b)들의 외부에 있도록 골 간극(18)을 통해 연장된다. 일단 제1 로킹 부재가 제 위치에 있으면, 제2 로킹 부재(즉, 제2 클램프 부재(30))는 스템 몸체(50)가 삽입 방향(I)을 따라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통해 삽입되어, 편의 부재(260)가 스템 몸체(50)를 로킹 치(244)들을 향해 편의시키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클램프 부재(30)는 이어서 스템 몸체(50)를 따라 제1 클램프 부재(26)를 향해 활주되거나 달리 병진이동되어, 치-형성된 스템(22)의 적어도 하나의 치가 제2 클램프 부재(30)의 적어도 하나의 치(244)와 맞물림으로써 제2 클램프 부재가 치-형성된 스템(22)을 따라 제1 클램프 부재(26)로부터 멀리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램프 부재(30)는 제1 및 제2 클램프 부재(26, 30)들이 제1 및 제2 해부학적 구조체(16a, 16b)들의 내측 표면(40a, 40b)들과 외측 표면(44a, 44b)들에 각각 맞닿을 때까지 스템 몸체(50)를 따라 활주되어, 제1 및 제2 해부학적 구조체들이 제1 클램프 부재(26)와 제2 클램프 부재(30) 사이에 개재되거나 달리 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원하는 대로 수회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해부학적 구조체(16a)는 원하는 대로 하나의 골 고정 장치(14) 또는 임의의 개수의 골 고정 장치(14)들에 의해 제2 해부학적 구조체(16b)에 대해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고정 장치(14)는 편의 부재가 치-형성된 스템(322)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편의 부재는 슬롯 표면(240)에 대향하는 제2 슬롯 표면을 가압함으로써, 치-형성된 스템의 로킹 치들을 로킹 치(244)를 향해 편의시킬 것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성된 스템(322)은 치-형성된 스템(322)의 길이의 일부분(예를 들어, 스템(22)의 길이의 대략 1/2)을 따라 근위 스템 단부(P)로부터 원위 스템 단부(D)를 향해 연장되는 제1 개시 영역(354) 및 제1 개시 영역(354)과 원위 스템 단부(D)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로킹 영역(358)으로 적어도 분할되는 스템 몸체(3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로킹 영역(358)은 제1 개시 영역(354)으로부터 원위 스템(D)으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스템 몸체(350)는 측방향(A)을 따라 서로 이격된 반대편의 제1 및 제2 표면(350a, 350b)들을 한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표면(350a, 350b)들은 한 쌍의 측부 표면(351a, 351b)들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표면(350a, 350b)들은 측부 표면(351a, 351b)들보다 넓다. 그러나, 원하는 대로, 제1 및 제2 표면(350a, 350b)들이 측부 표면(351a, 351b)들보다 좁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성된 스템(322)의 제2 로킹 영역(358)은 복수의 로킹 치(376)들을 포함할 수 있고, 로킹 치들은 스템 몸체(350)의 제1 표면(350a)으로부터 돌출부들의 거리보다 큰 거리로 연장되어 나오며, 인접한 로킹 치(376)들 사이에 배치되는 만입 영역(378)들에 의해 분리된다. 원하는 대로, 로킹 영역(358)이 스템 몸체(350)의 임의의 부분을 따라, 최대로는 그 전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로킹 치(376)들은 제1 표면(350a)만을 따라 스템 몸체(350)로부터 연장되고, 횡방향(T)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각각의 로킹 치(376)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고, 횡방향(T)을 따라 인접한 치로부터 이격된다. 각각의 치(376)는 로킹 치(76)와 유사하고, 비스듬한 선단 또는 근위 에지 및 후단 또는 원위 에지를 한정한다. 선단 에지는 선단 에지가 제2 클램프 부재(30)의 상호보완적인 로킹 치의 상호보완적인 비스듬한 선단 에지 위에서 캐밍하게 구성되도록 제1 표면(350a)으로부터 비스듬히 연장된다. 후단 에지는 제1 표면(350a)으로부터 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후단 에지가 제2 클램프 부재(30)의 로킹 치의 상호보완적인 후단 에지와 맞물리게 구성되도록 제1 표면(350a)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그러나, 로킹 치(376)가 원하는 대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 고정 장치는 제2 표면(350b)으로부터 연장되는 편의 부재(380)를 포함할 수 있다. 편의 부재(380)는 제2 표면(350b)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적어도 하나의, 예를 들어 한 쌍의 가요성 핑거(384)들을 포함하여, 핑거(384)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한다. 각각의 핑거(384)는 각각의 핑거(384)의 내측 표면(392)이 제2 표면(350b)에 대면하고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된다. 핑거(384)들은 스템 몸체(350)의 제2 로킹 영역(358)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예를 들어 그의 전체를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스템 몸체(350)가 삽입 방향(I)을 따라 제2 스템 수용 슬롯(232)을 통해 병진이동하고 있을 때, 편의 부재(380)가 스템 몸체(350)를 로킹 치(244)를 향해 편의시킬 것이다.
이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클램프 부재는 로킹 부재(410)일 수 있는데, 로킹 부재는 로킹 몸체(414), 로킹 몸체(4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치-형성된 몸체(420)로서 구성되는 2개의 치(418)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치, 및 로킹 몸체(414)로부터 연장되고 치-형성된 몸체(420)를 편의시키도록 구성되는 편의 부재(4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편의 부재(260)처럼, 편의 부재(422)는 치-형성된 몸체(420)와 별개이며, 따라서 어떠한 로킹 치도 없다. 편의 부재(422)는 편의력을 치-형성된 몸체(420)에 가하도록 구성되어, 치-형성된 몸체(420)가 치-형성된 부재를 향해 회전하거나 달리 피벗되게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410)는 제2 클램프 부재(30)와 유사하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유사한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로킹 부재(410)는 스템 몸체(50)를 따라 근위 스템 단부(P)로부터 원위 단부(D)를 향해, 예를 들어 제1 클램프 부재를 향해 활주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몸체(414)는 위에서 볼 때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내측 또는 골 접촉 표면(428) 및 횡방향(T)을 따라 내측 표면(428)의 반대편에 있는 외측 표면(432)을 한정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410)는 횡방향(T)을 따라 내측 표면(428)으로부터 외측 표면(432)까지 로킹 몸체(414)를 통해 연장되는 제2 스템 수용 슬롯(440)을 추가로 한정한다. 제2 스템 수용 슬롯(440)은 로킹 부재(410)가 스템 몸체(50)를 따라 근위 스템 단부(P)로부터 제1 클램프 부재를 향해 활주하고 있을 때 내측 표면(428)이 원위 스템 단부(P) 또는 제1 클램프 부재에 대면하도록 삽입 방향(I)을 따라 스템 몸체(50)를 수용하게 형상화된다. 제2 스템 수용 슬롯(440)은 스템 몸체(50)가 삽입 방향(I)을 따라 일방향으로 제2 스템 수용 슬롯(440)을 통해 병진이동하게 구성되도록 치-형성된 스템(22)의 근위 스템 단부(P)를 수용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스템 몸체(50)는 삽입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을 따라서가 아니라 삽입 방향(I)을 따라 제2 스템 수용 슬롯(440)을 통해 병진이동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템 수용 슬롯(440)은 내측 표면(428)으로부터 외측 표면(432)까지 관통 연장되는 제1 슬롯 또는 내부 표면(444), 제1 내부 표면(444)에 대향되는 제2 내부 표면(448), 및 서로 대향되고 제1 내부 표면(444)으로부터 제2 내부 표면(448)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 표면(452)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로킹 몸체(414)는 제2 내부 표면(448) 및 측부 표면(452)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내부 표면(444)을 향해 연장되어 나오는 플랫폼(454)을 추가로 포함한다.
치-형성된 몸체(420)는 측부 표면(452)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치-형성된 몸체(420)는 피벗(456)에서 측부 표면(452)들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치-형성된 몸체(420)는 맞물림 면(engagement side)(460) 및 반대편의 편의 면(biasing side)(464)을 한정한다. 맞물림 면(460)은 로킹 치(418)들이 제1 내부 표면(444)에 대면하도록 로킹 치(418)들을 한정한다. 각각의 로킹 치(418)는 스템 몸체(50)가 삽입 방향(I)을 따라 제2 스템 수용 슬롯(440)을 통해 병진이동될 때 로킹 치(76)의 상호보완적인 비스듬한 선단 에지(80) 위에서 캐밍하도록 구성되는 비스듬한 선단 에지(470)를 한정한다. 각각의 로킹 치(418)는 비스듬한 선단 에지(470)보다 작게 경사지는 후단 에지(474)를 추가로 한정하여, 후단 에지(474)들이 스템 몸체(50)가 삽입 방향(I)과 반대인 방향을 따라 제2 스템 수용 슬롯(440)을 통해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킹 치(76)의 후단 에지(84)들과 맞물리게 한다.
편의 부재(422)는 편의 부재(422)가 제2 내부 표면(448)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플랫폼(454)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편의 부재(422)는 치-형성된 몸체(420)를 제1 내부 표면(444)을 향해 편의시키기 위해 치-형성된 몸체(420)의 편의 면(464)에 맞닿는 편의 표면(486)을 한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 표면(486)은 삽입 방향(I)을 따라 피벗(456)으로부터 이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피벗(456)은 내측 골 접촉 표면(428)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편의 표면(486)은 외측 표면(432)에 근접하여 편의 면(464)에 맞닿는다. 그러나, 피벗(456)과 편의 표면(486)이 슬롯(440) 내에서 삽입 방향(I)을 따라 어디든지 배치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피벗(456)은 외측 표면(432)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편의 표면은 내측 표면(428)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템 몸체(50)가 슬롯(440)을 통해 병진이동할 때, 스템 몸체(50)는 편의 부재(422)에 의해 내부 표면(444)에 대항하여 편의될 것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 부재(422)는 제1 또는 초기 위치와 제2 또는 휘어진 위치 사이에서 휘어질 수 있다. 편의 부재(422)는 내부 표면(444)의 가요성보다 큰 가요성을 갖는다. 제1 위치에 있을 때, 로킹 부재(410)는 측방향(A)을 따라 편의 부재(422)와 내부 표면(444) 사이에서 측정된 부재 거리(db2)를 한정한다. 슬롯(440)이 스템 몸체(50)를 수용할 때, 편의 부재(422)는 제2 위치로 휘어짐으로써 부재 거리(db2)가 증가한다. 그 결과, 편의 부재(422)는 복수의 치(76)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치(418)와 상호 로킹시키기 위해 치-형성된 스템(22)을 내부 표면(444)을 향해 편의시킨다.
예를 들어, 스템 몸체(50)가 제2 스템 수용 슬롯(440)을 통해 삽입될 때, 편의 부재(422)가 제2 위치로 휘어짐으로써, 스템 몸체(50)가 제2 스템 수용 슬롯(440)을 통과할 수 있도록 부재 거리(db)를 넓힐 것이다. 그 결과, 편의 부재(422)는 치-형성된 몸체(420)의 편의 면(464)을 편의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에 힘(F)을 가하여, 치-형성된 몸체(420)가 피벗(456)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고 스템 몸체(50)를 슬롯 표면(444)을 향해 가압하게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치(418)와 스템 몸체(50)의 치(76)의 맞물림은 스템 몸체(50)가 삽입 방향(I)과는 반대인 방향을 따라 슬롯(440)을 통해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로킹 부재(410)가 임의의 치-형성된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템 몸체(50)로 제한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골 고정 조립체(10)는 임의의 개수의 골 고정 장치(1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골 고정 조립체(10)는 골 고정 장치(14)들에 의해 주위 두개골(16b)에 부착될 임플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골 고정 조립체(10)는 임플란트와 복수의 골 고정 장치(14)들을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 또한, 골 고정 장치(14)는 기술된 로킹 부재들 및 치-형성된 부재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과 도면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서 다양한 추가, 변경, 조합 및/또는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이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성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 구조, 배열, 비율로 그리고 다른 요소, 재료 및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원리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환경 및 수술 요건에 특별히 맞추어지는 구조, 배열, 비율, 재료 및 구성요소의 많은 변경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징부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특징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와 관련되어 기술된 특징부는 다른 실시예에 기술된 특징부와 함께 사용되고/되거나 그것과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측면에서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전술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광범위한 범주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들 중 일부는 상기에서 논의되었으며 다른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8)

  1. 골 고정 장치(bone fixation device)로서,
    제1 방향을 따라 길고,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치(tooth)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템(stem);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상기 스템에 대한 병진이동(translation)에 관하여 상기 스템의 상기 제1 단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내측 표면 및 상기 내측 표면의 반대편의 외측 표면을 한정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제2 고정 부재로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몸체를 통해 상기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표면까지 연장되는 슬롯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상기 스템을 따라 활주가능하도록 상기 스템을 수용하게 크기 설정되며,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제2 고정 부재; 및
    상기 내부 표면의 가요성보다 큰 가요성을 갖는 편의 부재(biasing member)로서, 상기 편의 부재는 i)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상기 스템을 따라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향해 병진이동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치를 따라 활주하도록 그리고 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와 상호 로킹하게 하여(interlock)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상기 스템을 따라 상기 제1 고정 부재로부터 멀리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치와 맞물리도록, 상기 스템이 상기 슬롯을 통해 연장될 때 상기 스템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치를 향해 편의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편의 부재를 포함하는, 골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치와 대면하는, 골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치와 대면하는 만곡형 맞닿음 표면(curved abutment surface)을 한정하는, 골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맞닿음 표면을 한정하는 맞닿음 부재(abutment member)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만곡형 다리부(leg)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다리부들은 상기 슬롯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대향 표면들로부터 연장되는, 골 고정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반대편에 있는 제1 및 제2 표면들을 구비하고,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만 연장되는 복수의 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스템이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삽입될 때 상기 제2 표면에 대항하여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골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제1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제1 커플링 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표면들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커플링 부재들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1 커플링 부재와 상기 제2 커플링 부재들 사이에 각각 제1 및 제2 간극들이 한정되게 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간극들은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상기 스템에 결합시키는, 골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반대편에 있는 제1 및 제2 표면들을 구비하고,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만 연장되는 복수의 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골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한 쌍의 가요성 핑거들을 포함하여, 상기 핑거들이 서로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골 고정 장치.
  9. 골 고정 장치를 위한 로킹 부재로서,
    외측 표면, 제1 방향을 따르는 상기 외측 표면의 반대편의 내측 골 접촉 표면, 상기 내측 골 접촉 표면과 상기 외측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표면, 및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를 한정하는 로킹 몸체;
    상기 로킹 몸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굴곡되도록 구성되는 편의 부재로서,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내부 표면에 대면하는 편의 표면을 한정하는, 상기 편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몸체는 치-형성된(toothed)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i) 상기 치-형성된 부재가 상기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표면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로킹 몸체를 통해 병진이동하도록 그리고 ii) 상기 치-형성된 부재가 상기 외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측 표면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로킹 몸체를 통해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편의 표면이 상기 치-형성된 부재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치-형성된 부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치를 향해 편의시키게 하는, 로킹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면은 상기 내측 골 접촉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표면까지 연장되는 슬롯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로킹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반대편의 제1 및 제2 표면들을 갖는 스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스템 수용 슬롯이고,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만 연장되는 복수의 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스템이 상기 슬롯을 통해 삽입될 때 상기 제2 표면에 대항하여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부재.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표면은 만곡형 맞닿음 표면인, 로킹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맞닿음 표면을 한정하는 맞닿음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만곡형 다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다리부들은 상기 슬롯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대향 표면들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부재.
  14. 제10항에 있어서, 2개의 로킹 치들이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는, 로킹 부재.
  15. 제9항 내지 제11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몸체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슬롯을 한정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치-형성된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부재.
  16. 골 고정 장치로서,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스템으로서, 상기 스템은 스템 몸체 및 상기 스템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치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스템 몸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치의 최외측 표면까지의 최대 폭을 한정하는, 상기 스템;
    상기 제1 단부에 근접하게 상기 스템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부재 몸체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부재 몸체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부재 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슬롯;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 및
    상기 부재 몸체로부터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는 편의 부재로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편의 부재와 상기 내부 표면 사이의 부재 거리를 한정하고, 상기 편의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휘어질 수 있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부재 거리가 상기 최대 폭보다 작도록 하는, 상기 편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스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템이 상기 편의 부재로 하여금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부재 거리가 상기 최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편의 부재가 상기 스템을 상기 내부 표면을 향해 편의시켜서 상기 복수의 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와 상호 로킹시키게 하는, 골 고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부재는 i)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스템을 따라 상기 제1 부재를 향해 병진이동하도록 그리고 ii)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스템을 따라 상기 제1 부재로부터 멀리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템을 상기 내부 표면을 향해 편의시키는, 골 고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편의되는, 골 고정 장치.
  19. 골 고정 장치를 위한 로킹 부재로서,
    외측 표면, 상기 외측 표면의 반대편의 내측 골 접촉 표면, 상기 내측 골 접촉 표면과 상기 외측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표면을 한정하는 로킹 몸체;
    상기 로킹 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치-형성된 몸체로서, 상기 치-형성된 몸체는 상기 내부 표면에 대면하는 맞물림 면(engagement side) 및 상기 맞물림 면의 반대편의 편의 면(biasing side)을 구비하는, 상기 치-형성된 몸체;
    상기 로킹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편의 부재로서, 상기 편의 부재는 상기 편의 면에 대면하는 편의 표면을 한정하는, 상기 편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몸체는 치-형성된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i) 상기 치-형성된 부재가 상기 내측 골 접촉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표면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로킹 몸체를 통해 병진이동하도록 그리고 ii) 상기 치-형성된 부재가 상기 외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측 골 접촉 표면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로킹 몸체를 통해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편의 표면이 상기 편의 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치-형성된 몸체를 상기 치-형성된 부재를 향해 이동시키는, 로킹 부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성된 몸체는 피벗(pivot)에서 상기 로킹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킹 몸체가 상기 치-형성된 부재를 수용할 때 상기 편의 표면이 상기 편의 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치-형성된 몸체가 상기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로킹 부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은 상기 내측 골 접촉 표면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편의 표면은 상기 외측 표면에 근접하여 상기 편의 면에 맞닿는, 로킹 부재.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성된 몸체는 상기 맞물림 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를 포함하는, 로킹 부재.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157015761A 2012-11-15 2013-11-12 골 고정 장치를 위한 로킹 부재 KR102205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26797P 2012-11-15 2012-11-15
US61/726,797 2012-11-15
PCT/US2013/069559 WO2014078265A1 (en) 2012-11-15 2013-11-12 Locking member for a bone fix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835A KR20150085835A (ko) 2015-07-24
KR102205052B1 true KR102205052B1 (ko) 2021-01-22

Family

ID=4988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761A KR102205052B1 (ko) 2012-11-15 2013-11-12 골 고정 장치를 위한 로킹 부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433438B2 (ko)
EP (1) EP2919684B1 (ko)
JP (1) JP6258343B2 (ko)
KR (1) KR102205052B1 (ko)
CN (1) CN104918568B (ko)
BR (1) BR112015011072B1 (ko)
CA (1) CA2891908C (ko)
IN (1) IN2015DN04166A (ko)
WO (1) WO20140782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1706B2 (en) * 2008-08-12 2016-03-01 Covidien Lp Medical device for wound closure and method of use
US9945133B2 (en) 2011-11-15 2018-04-17 New Standards Manufacturing Co.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nd leveling tile
US9433438B2 (en) * 2012-11-15 2016-09-06 DePuy Synthes Products, Inc. Locking member for a bone fixation device
US10675060B2 (en) * 2014-04-02 2020-06-09 Kls-Martin, L.P. Cranial burr hole cover
CN104000644B (zh) * 2014-06-12 2016-02-03 深圳市沃尔德外科医疗器械技术有限公司 颅骨锁装置
CN105055011B (zh) * 2015-07-29 2018-12-28 胡晓予 一种颅骨瓣复位固定夹
US10604945B2 (en) 2016-09-21 2020-03-31 New Standards Manufacturing Co. Lippage control system with stretchable strap portion
TWI609670B (zh) * 2017-03-31 2018-01-01 頭蓋骨固定裝置及其手術工具
DE102017107261A1 (de) * 2017-04-04 2018-10-04 Karl Leibinger Medizintechnik Gmbh & Co. Kg Schädelknochenbefestigungs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Schädelknochenabschnitts an einer Positioniervorrichtung
CN108720917B (zh) * 2017-04-18 2021-05-14 合硕生技股份有限公司 头盖骨固定装置及其手术工具
TWI679003B (zh) * 2018-09-18 2019-12-11 合碩生技股份有限公司 骨骼鑽孔蓋裝置
CN109528279B (zh) * 2018-11-18 2021-01-26 赵建磊 一种适用于神经外科临床的颅骨破开修复装置
FR3099694B1 (fr) * 2019-08-06 2022-12-02 Vitalys Surgical Fixateur de volet crânien.
CN110960339A (zh) * 2019-11-26 2020-04-07 广州迈普再生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颅骨修补体和颅骨修补系统
US11779465B2 (en) * 2019-12-31 2023-10-10 Ruxandra Vidu Biocompatible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6760A1 (en) 2000-09-27 2003-02-20 Chung-Chun Yeh Post-surgical device comprising an adjustment ferrule for fixing a parietal bone under treatment
US20050137608A1 (en) 2000-07-27 2005-06-23 Synthes (Usa) Cranial flap clamp instrument
US20080275511A1 (en) 2007-04-23 2008-11-06 Marcus Weinacker Cranium fixing device
WO2012114360A1 (en) 2011-02-24 2012-08-30 Ntplast S.R.L. Fixing device for closing the sternum after a sternotomy and instrument for applying su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1613A (en) * 1930-05-31 1931-11-10 Symons Clamp & Mfg Company Shore
US3545387A (en) * 1967-07-28 1970-12-08 Joseph Giambalvo 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JPH0227209Y2 (ko) * 1986-09-02 1990-07-24
US4802477A (en) * 1987-05-07 1989-02-07 Shlomo Gabbay Sternum closure device
JPH0238708A (ja) * 1988-07-29 1990-02-08 Nifco Inc ナット型プラスチックファスナ
DE10128917C1 (de) * 2001-06-15 2002-10-24 Aesculap Ag & Co Kg Implantat zur Fixierung von Knochenplatten
CA2078530A1 (en) * 1991-09-23 1993-03-24 Jay Erlebacher Percutaneous arterial puncture seal device and insertion tool therefore
US5111557A (en) * 1991-12-03 1992-05-12 Emhart Inc. Metal weld stud and plastic clip
JPH0613038B2 (ja) 1992-02-10 1994-02-23 島 由美子 頭蓋骨骨弁固定装置
DE19603887C2 (de) * 1996-02-03 1998-07-02 Lerch Karl Dieter Anordnung zum Fixieren eines aus der Schädelkapsel zum Zwecke des operativen Eingriffs herausgetrennten Knochenstücks am verbliebenen Schädelbein
US5707373A (en) 1996-04-26 1998-01-13 Ikonos Corporation Bone fastener and instrument for insertion thereof
DE29724567U1 (de) 1996-02-14 2003-01-16 Walter Lorenz Surgical Inc Knochenbefestigungsvorrichtung und Instrument zum Einsetzen der Knochenbefestigungsvorrichtung
JP3409658B2 (ja) * 1997-09-01 2003-05-26 住友電装株式会社 結束バンド
FR2782133B1 (fr) * 1998-08-07 2000-11-03 Itw De France Article encliquetable sur une tige filetee et son utilisation
US6022351A (en) * 1999-02-23 2000-02-08 Bremer; Paul W. Skull closure device and procedure
DE19932862A1 (de) * 1999-07-14 2001-01-18 Raymond A & Cie Halteelement zur lösbaren Befestigung auf einem längsgerippten Kunststoffbolzen
US6197037B1 (en) 1999-07-29 2001-03-06 John Hunter Hair Surgical fastener for joining adjacent bone portions
US6379363B1 (en) * 1999-09-24 2002-04-30 Walter Lorenz Surg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ttachment of a cranial flap using a cranial clamp
DE19952359C1 (de) * 1999-10-30 2001-03-22 Aesculap Ag & Co Kg Chirurgisches Verbindungselement zur Fixierung benachbart angeordneter Knochenplatten
CN1155339C (zh) * 2000-01-14 2004-06-30 叶中权 颅骨术后固定装置
JP4871485B2 (ja) * 2000-07-27 2012-02-08 ジンテ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頭蓋弁締め具及び該締め具用器具
US6755834B2 (en) * 2000-09-15 2004-06-29 Medtronic, Inc. Cranial flap fixation device
US20020169455A1 (en) * 2001-02-23 2002-11-14 Brett Bannerman System and method for fixation of cranial flaps
US6485493B1 (en) * 2001-05-24 2002-11-26 Paul W. Bremer Skull closure
DE10128918C2 (de) 2001-06-15 2003-06-26 Aesculap Ag & Co Kg Implantat zur Fixierung benachbarter Knochenplatten
US6685707B2 (en) * 2001-09-25 2004-02-03 Walter Lorenz Surgical, Inc. Cranial clamp and method for fixating a bone plate
US7235090B2 (en) * 2002-02-04 2007-06-26 Damage Control Surgic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d organ tissue approximation
US20040034375A1 (en) * 2002-05-31 2004-02-19 Ruiz Larry R. Fastening system incorporating washer for skull closure
US7048737B2 (en) * 2002-06-11 2006-05-23 Bioplate, Inc. Cranial bone flap fixation system and method
US7320571B2 (en) * 2002-08-01 2008-01-22 Newfrey Llc Device for mounting a component such as a pipe on a stud
US7060067B2 (en) * 2002-08-16 2006-06-13 Sdgi Holdings, Inc. Systems, instrumentation and techniques for retaining fasteners relative to a bone plate
DE10310004B3 (de) * 2003-02-27 2004-10-21 Aesculap Ag & Co. Kg Chirurgisches Instrument
DE10326690B4 (de) * 2003-06-04 2005-04-28 Aesculap Ag & Co Kg Sternumverschluß
DE20315612U1 (de) * 2003-10-08 2003-12-11 Aesculap Ag & Co. Kg Chirurgisches Verbindungselement
FR2873771B1 (fr) * 2004-07-30 2008-08-15 I T W De France Sas Attache femelle et obturateur la comportant
DE102004038823B3 (de) 2004-08-04 2006-03-30 Aesculap Ag & Co. Kg Implantat zur Fixierung benachbarter Knochenplatten
DE102006046424B3 (de) * 2006-09-22 2007-11-08 Aesculap Ag & Co. Kg Sternumverschluss
DE102006046428A1 (de) * 2006-09-22 2008-04-03 Aesculap Ag & Co. Kg Sternumverschluss
US8500739B2 (en) * 2007-04-06 2013-08-06 DePuy Synthes Products, LLC Securing device to secure fixation devices to bone portions
US8241342B2 (en) * 2007-05-11 2012-08-14 X-Spine Systems, Inc. Flexible cranial clamp and method of anchoring to cranium
ES2336059B8 (es) * 2007-08-10 2011-08-03 Neos Surgery, S.L. Un dispositivo de fijacion de fragmentos oseos.
WO2009076978A1 (de) * 2007-12-14 2009-06-25 Stryker Leibinger Gmbh & Co. Kg Implantat zur verwendung für benachbart zueinander angeordnete knochenplatten
US9603626B2 (en) * 2009-09-27 2017-03-28 Rohit Khanna Telescopic cranial bone screw
JP5220174B2 (ja) 2011-10-05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548637B2 (en) * 2011-10-03 2020-02-04 Blockhead Of Chicago, Llc Implantable bone support systems
ES2595402T3 (es) * 2011-10-28 2016-12-29 Pina Medizintechnik Vertriebs Ag Dispositivo de fijación de bóveda craneal
JP6169680B2 (ja) 2012-03-28 2017-07-26 シンセス・ゲーエムベーハーSynthes GmbH 骨固定部材システム及び使用方法
US20150252832A1 (en) * 2012-07-09 2015-09-10 Andries Johannes Le Grange Fastening System
US8920095B2 (en) * 2012-09-13 2014-12-30 Dolphin Tree, Llc Fastener replacing a bolt or rivet
US9433438B2 (en) * 2012-11-15 2016-09-06 DePuy Synthes Products, Inc. Locking member for a bone fixation device
US9265530B2 (en) * 2012-12-18 2016-02-23 Neos Surgery S.L. Apparatus and methods for fixating a cranial bone flap with a cranial bone mass
US10076377B2 (en) * 2013-01-05 2018-09-18 P Tech, Llc Fixation systems and methods
RU2635480C2 (ru) * 2013-04-24 2017-11-13 Нтпласт С.Р.Л.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фрагмента черепа к венечной части черепа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в трепанационном отверстии или разрезе
US9261129B2 (en) * 2013-07-08 2016-02-16 Lockon Llc Through-hull fitting
DE102013110171A1 (de) * 2013-09-16 2015-03-19 Aesculap Ag Medizinisches Instrument
US20150282840A1 (en) * 2014-04-02 2015-10-08 Pat Lemoine Cranial Burr Hole Co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7608A1 (en) 2000-07-27 2005-06-23 Synthes (Usa) Cranial flap clamp instrument
US20030036760A1 (en) 2000-09-27 2003-02-20 Chung-Chun Yeh Post-surgical device comprising an adjustment ferrule for fixing a parietal bone under treatment
US20080275511A1 (en) 2007-04-23 2008-11-06 Marcus Weinacker Cranium fixing device
WO2012114360A1 (en) 2011-02-24 2012-08-30 Ntplast S.R.L. Fixing device for closing the sternum after a sternotomy and instrument for applying su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33438B2 (en) 2016-09-06
BR112015011072A2 (pt) 2017-07-11
US20160338736A1 (en) 2016-11-24
EP2919684B1 (en) 2018-01-10
EP2919684A1 (en) 2015-09-23
CN104918568B (zh) 2018-06-01
US9622784B2 (en) 2017-04-18
CN104918568A (zh) 2015-09-16
CA2891908C (en) 2020-07-28
JP6258343B2 (ja) 2018-01-10
IN2015DN04166A (ko) 2015-10-16
WO2014078265A1 (en) 2014-05-22
JP2015534879A (ja) 2015-12-07
CA2891908A1 (en) 2014-05-22
BR112015011072B1 (pt) 2021-08-10
KR20150085835A (ko) 2015-07-24
US20140135852A1 (en)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052B1 (ko) 골 고정 장치를 위한 로킹 부재
EP2906129B1 (en) Bone shortening device
JP6692802B2 (ja) 脊椎コネクター及び関連方法
CN103179912B (zh) 用于骨锚定件的低型面延伸附连件
JP4495212B2 (ja) 椎間用インプラント
US11627954B2 (en) Bi-planar instrument for bone cutting and joint realignment procedure
KR20100137435A (ko) 페싯 인터피어런스 스크류
US20190000451A1 (en) Surgical Staple and Instrument for Holding and Implanting the Surgical Staple
KR102127101B1 (ko) 임플란트를 위한 캡 및 임플란트 조립체
US20080183170A1 (en) Flexible shaft reduction tool
KR20110102297A (ko) 피부-뼈 클램프
JP4417303B2 (ja) 骨切りガイド
US10959741B2 (en) Bone fixation system, assembly, devices, insertion guides, and methods of use
US20050049629A1 (en) Medical clamp
JP6360632B2 (ja) 棘突起間バンド結合用機構
JP6445696B2 (ja) 棘突起間バンド固定用スペーサ装置
US20190192200A1 (en) Osteotomy device and methods
JP2010115477A (ja) 椎間関節の安定手段
JP2022549814A (ja) フレキシブル脊椎固定ロッド
JP5819997B2 (ja) 円滑な後端部を含む骨接合用ネイル
JP2018531111A6 (ja) 脊椎インプラントを安定的に組み立て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8531111A (ja) 脊椎インプラントを安定的に組み立て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012260A1 (en) Bone fixation assembly
JP2000225122A (ja) 高位脛骨骨切り術用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