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942B1 - 전기 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942B1
KR102203942B1 KR1020170068229A KR20170068229A KR102203942B1 KR 102203942 B1 KR102203942 B1 KR 102203942B1 KR 1020170068229 A KR1020170068229 A KR 1020170068229A KR 20170068229 A KR20170068229 A KR 20170068229A KR 102203942 B1 KR102203942 B1 KR 102203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inner pot
electric cooker
tempera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757A (ko
Inventor
곽동후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8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94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Abstract

본 발명은 내솥에 조리물과 물이 분리되어 수용되며, 물을 가열하여 가열된 물이 조리물과 접촉하여 조리물의 전분을 제거하면서 조리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하는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내솥과, 상기 내솥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내솥 내의 공간을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조리물이 수용되는 상부 공간으로 분리하며, 상기 하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 공간과 상부 공간 간의 유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관을 구비하는 분리 장치와,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를 가열 동작시켜 상기 하부 공간 내의 유체를 상기 이동관을 통하여 상기 상부 공간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조리물과 접촉되도록 하는 상기 조리물의 전분 제거 및 조리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조리기{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솥에 조리물과 물이 분리되어 수용되며, 물을 가열하여 가열된 물이 조리물과 접촉하여 조리물의 전분을 제거하면서 조리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하는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전분(녹말)은 식물에 존재하는 주요 저장 탄수화물로서 인류의 주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어 오고 있다. 산업의 발달에 따른 식생활 패턴의 변화는 열량의 과잉섭취를 가져오고 이로 인해 비만이나 당뇨병,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만성퇴행성질병들이 유발됨에 따라 저열량 및 질병치료 식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8741호(발명의 명칭: 건강 밥솥 및 쌀의 녹말 제거 방법)에서의 녹말 제거 장치는, 조리물인 쌀이 수용되는 내측 솥과, 내측 솥을 개폐하는 밥솥 뚜껑과, 내측 솥과 외부 케이스 사이에 놓여 있는 중간 케이스, 중간 케이스의 외측에 장착되어 물을 수용하는 저수통 및 탈착 방식의 배수통을 포함한다. 알루미늄제 물 도관의 일 단부는 저수통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밥솥 뚜껑 안으로 연장되어 내측 솥의 상부에 연결되며, 배수통은 배수관을 통해서 내측 솥의 바닥과 연결된다.
사용자가 저수통에 물을 채우고, 내측 솥에 쌀을 붓고, 적절한 기능을 작동 패널에서 선택하여 건강 밥솥을 동작시키면, 저수통으로부터의 물이 알루미늄제 물 도관 내로 유입되고, 가열관의 가열에 의해 알루미늄제 물 도관 내의 물이 가열 및 증발되어 증기가 생성된다. 생성된 증기가 밥솥 뚜껑을 통과해서 내측 솥의 상부로부터 내측 솥 안으로 유입되며, 이 때 증기가 냉각되어서 80 ~ 90 ℃의 물이 되어 내측 솥 내의 쌀을 세척하며, 수분 후에 내측 솥 내의 물이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통으로 배출되며, 다시 가열관의 가열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내측 솥의 상부에 공급되는 과정이 수회 반복되어, 쌀의 녹말을 제거한다. 저수통의 물이 완전이 증발하여 내측 솥에 공급된 이후에,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판이 작동하여 세척된 쌀을 조리한다.
상술된 종래 기술은 물 또는 증기가 저수통, 내측 솥 및 배수통으로 전달되는 구성을 통하여 쌀의 세척을 수행하는 제1공정과, 내측 솥 내에서 세척된 쌀을 조리하는 제2공정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므로, 제1공정을 위한 내측 솥에 대하여 별개로 저수통과 배수통, 및 저수통 내의 물을 증기로 변환하기 위한 가열관과, 제2공정을 위한 내측 솥 내의 세척된 쌀을 조리하는 가열판을 각각 구비해야 한다. 이에 따라 건강 밥솥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 크기도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쌀을 세척하는 물의 온도는 80 ~ 90 ℃에 불과하여, 쌀의 전분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내솥에 조리물(예를 들면, 곡물 등)과 물이 분리되어 수용되며, 물을 가열하여 가열된 물이 조리물로 이동하여 조리물과 접촉한 후 다시 분리되어 조리물의 전분을 제거하면서 조리물의 조리를 함께 수행하는 전기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내솥과, 상기 내솥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내솥 내의 공간을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조리물이 수용되는 상부 공간으로 분리하며, 상기 하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 공간과 상부 공간 간의 유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관을 구비하는 분리 장치와,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를 가열 동작시켜 상기 하부 공간 내의 유체를 상기 이동관을 통하여 상기 상부 공간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조리물과 접촉되도록 하는 상기 조리물의 전분 제거 및 조리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기 조리기는 상기 내솥 내의 증기나 공기가 상기 뚜껑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의 전분 제거 및 조리 과정에서 상기 하부 온도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보다 높게 될 때까지 상기 가열부를 동작시키는 가열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공정 이후에 상기 하부 온도를 상기 제 1 하부 제어 온도보다 높으며, 상기 제 1 하부 제어 온도보다 높은 제 2 하부 제어 온도 이하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 및 가열 동작 중단을 수행하는 가열 유지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유지 공정 이후에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는 휴식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식 공정 이후에 상기 상부 가열부나 측면 가열부를 동작시켜 제 1 뜸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뜸 공정 이후에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켜 제 2 뜸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공정에서 상기 상부 온도가 상부 제어 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상기 하부 가열부만을 동작시키고, 상기 상부 온도가 상기 상부 제어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하부 가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열부들을 동작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솥에 조리물과 물이 분리되어 수용되며, 물을 가열하여 가열된 물이 조리물로 이동하여 조리물과 접촉한 후 다시 분리되어 조리물의 전분을 제거하면서 조리물의 조리를 함께 수행하며, 조리물의 전분 함량을 확연히 감소시켜 다이어트에 용이하고 당뇨병 환자의 백미 섭취를 가능하게 함에 따라 현미와 같은 잡곡 섭취로 인한 소화장애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종료 시에 가열부를 제어하여 조리물과 물을 분리함으로써 조리물이 물에 과다하게 노출되어 발생하는 밥 퍼짐과 같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인분에 따른 물량 조절이 불필요하므로, 물량 조절 시에 사용자의 부주의(물량 조절 실패)로 인한 밥 품질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같은 저수통과 배수통과 같은 별도의 복잡한 구조없이 내솥 내부의 간단한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전분제거가 가능하며 또한 분리판 제거 시 종래의 밥솥과 동일하게 조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공정에 있어 상부 온도 센서로부터의 상부 온도를 기준으로 가열부를 제어하여 조리물의 비산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동작 설명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 순서도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은 도 4의 제어 순서도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온도 그래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과 도면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내솥을 수용하는 수용부(1a)를 구비하는 본체(1)와, 본체(1)(또는 수용부(1a))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3)과, 본체(1) 의 수용부(1a)에 수용되는 내솥(5)으로 이루어지며, 내솥(5)과 뚜껑(1)에 의해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 공간이 형성된다.
본체(1)에는 수용부(1a)의 저면에서 내솥(5)의 하부를 가열하기 위한 하부 가열부(13c)와, 수용부(1a)의 측면에서 내솥(5)의 측면을 가열하기 위한 측면 가열부(13b)와, 내솥(5) 하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하부 온도 센서(15)가 구비한다.
또한, 뚜껑(3)에는 내솥(5)(또는 수용부(1a))의 상부를 가열하기 위한 상부 가열부(13a)와, 조리 공간과 뚜껑(3)(또는 본체(1))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홀(3a)과, 내솥(5)(또는 수용부(1a))의 상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부 온도 센서(14)가 구비된다. 이 관통홀(3a)은 적어도 가열 동작 중에 개방 상태가 유지되어 조리 공간 내의 공기나 증기가 뚜껑(3)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가열 동작 중에 상부 공간(St)의 증기압을 감소시키거나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전기 조리기는 조리 공간을 조리물(예를 들면, 곡물 등)이 수용되는 상부 공간(St)과 유체(본 실시예에서는 물)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Sb)으로 분리하는 분리 장치(20)가 내솥(5)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분리 장치(20)가 내솥에서 탈거된 경우, 일반적인 전기 조리기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분리 장치(20)는 분리판(21)과, 분리판(21)의 중심 부근에 상부 공간(St)에 수용된 조리물이 하부 공간(Sb)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하부 공간(Sb)과 상부 공간(St) 간에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된 플레이트(22)와, 일측은 플레이트(22)의 관통홀들을 둘러싸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즉 하부 공간(Sb)으로 삽입 연장되어 하부 공간(Sb)과 상부 공간(St) 간의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관(23)을 구비한다. 이동관(23)의 타측이 내솥(5)의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분리 장치(20)가 내솥(5)의 측면에 장착되어, 이동관(23)을 통하여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리 장치(20)는 분리판(21)의 외주면과 내솥(5) 측면 사이가 밀폐되도록 하는 분리판 패킹(25)을 구비한다. 또한, 이동관(23)의 타측과 내솥(5)의 저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분리판(21)이 내솥(5) 측면에 형성된 단차에 위치되며 분리판 패킹(25)이 분리판(21)과 내솥(5) 사이에 장착되어 밀폐 기능을 수행한다.
도 2a 내지 2c는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동작 설명도들이다. 도 2a 내지 2c에서는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일부만 도시된다.
도 2a에서, 조리물(G)(예를 들면, 쌀,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이 분리 장치(20)의 상측인 상부 공간(St)에 공급되고, 물(W)이 분리 장치(20)의 하측인 하부 공간(Sb)에 공급된다. 하부 공간(Sb)에는 물(W)의 표면과 분리 장치(20)의 하측 사이에 공기층(S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a에서, 분리판 패킹(25)이 분리판(21)과 내솥(5) 측면 사이를 밀폐하고 있기에 물과 공기는 이동관(23)을 통해서만 상부 공간(St)과 하부 공간(Sb)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조리 시에 위와 같이 물은 분리판(21) 미만으로만 내솥에 공급하면 되므로, 종래의 전기 조리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조리되는 조리물의 인분(양)에 따른 물량 조절을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다.
도 2b에서, 내솥(5)에 대한 가열이 상부 가열부(13a), 측면 가열부(13b) 및 하부 가열부(13c)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진행되며, 하부 공간(Sb) 내의 물(W)이 가열되어 가열된 물(W)이 증기로 변하면서 하부 공간(Sb) 또는 공기층(Sa) 내에 증기압이 형성된다. 형성된 증기압이 가열된 물(W)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가열된 물(W)이 이동관(23)을 통하여 상부 공간(St)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부 공간(St)에 관통홀(3a)이 형성되어 있기에 내솥(5)에 대한 가열 동작이 수행 중이더라도 상부 공간(St)에는 증기압이 형성되지 않거나 상당히 작게 형성되므로, 가열된 물(W)이 하부 공간(Sb)의 증기압에 의해 상부 공간(St)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된 물(W)이 상부 공간(St)에 놓여진 조리물(G)과 접촉하며, 조리물(G)의 전분을 조리물(G)로부터 분리 제거하면서 조리물(G)에 대한 조리를 함께 수행한다. 이러한 전분의 분리 및 제거와 조리가 수행되는 중에, 하부 공간(Sb)의 온도가 물의 비등점 이상으로 유지되어 하부 공간(Sb)에 형성된 증기압이 유지됨으로써, 가열된 물(W)과 조리물(G) 간의 접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전기 조리기에서는 조리물이 80~90℃의 물과 접촉하나, 본 발명에서는 비등점 이상의 물과 접촉하여 조리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전분의 분리 및 제거가 가능하며, 조리도 함께 수행된다.
도 2c에서, 내솥(5)에 대한 가열이 중단되면, 하부 공간(Sb)에서 생성된 증기가 액화되므로 공기층(Sa)의 증기압이 감소하게 되며, 상부 공간(St)에 있는 물(W)(즉, 전분을 포함한 물)이 이동관(23)을 통하여 다시 하부 공간(S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물(W)의 이동에 의해, 조리물(G)로부터 분리 및 제거된 전분이 하부 공간(S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가열 중단에 의해, 조리물과 물을 분리함으로써 조리물이 물에 과다하게 노출되어 발생하는 밥 퍼짐과 같은 문제를 사전에 예방된다.
도 2a 내지 2c의 수행(또는 반복 수행)에 의해서, 조리물(G)의 전분의 제거와 조리 과정이 수행된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조리 시작, 조리 종료, 전분 제거 및 조리 명령 등)을 획득하는 입력부(11)와, 다양한 정보(예를 들면, 조리 동작 상태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12)와, 조리 공간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가열부(13)와, 조리 공간의 상부 온도를 감지하는 상부 온도 센서(14)와, 조리 공간의 하부 온도를 감지하는 하부 온도 센서(15)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전분의 제거 및 조리 공정 또는 조리 공정(전분 제거 공정이 없는 일반적인 조리 공정)을 수행하는 제어부(19)로 구성된다. 다만, 전원부(미도시), 입력부(11) 및 표시부(12)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에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생략된다.
먼저, 가열부(13)는 조리 공간 또는 내솥(5)의 상부를 가열하기 위해 뚜껑에 장착되는 상부 가열부(13a)와, 조리 공간 또는 내솥(5)의 측면을 가열하는 측면 가열부(13b)와, 조리 공간 또는 내솥(5)의 하부를 가열하는 하부 가열부(13c)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한다.
상부 온도 센서(14)와 하부 온도 센서(15)는 각각 조리 공간 또는 내솥(5)의 상부 온도 및 하부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9)에 상부 온도와 하부 온도를 각각 인가한다.
제어부(19)에 의해 수행되는 조리물의 전분 제거 및 조리 과정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는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제어 순서도의 시작에서, 제어부(19)는 입력부(11)를 통하여 전분 제거 및 조리 공정을 위한 조리 시작 입력을 획득한 이후에 하기의 제어를 시작하며, 상부 온도 센서(14) 및 하부 온도 센서(15)는 지속적으로 상부 온도와 하부 온도를 각각 감지하여 제어부(19)에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9)는 표시부(1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하부 공간(Sb)에 물을 공급하고, 분리 장치(20)를 내솥(5)의 측면에 고정하고, 분리 장치(20)의 분리판(21) 상에 조리물을 투입할 것을 안내하여, 도 2a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단계(S11)에서, 제어부(19)는 하부 온도 센서(15)로부터의 하부 온도(Tb)와 기저장된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를 비교한다. 여기서,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는 물을 하부 공간(Sb)에서 상부 공간(St)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지닌 증기압(이하에서, '제 1 증기압'이라 함)을 하부 공간(Sb) 또는 공기층(Sa)에 생성할 수 있는 온도에 해당되며, 예를 들면 물의 비등점(1기압에서 100℃)에 해당된다. 만약 하부 온도(Tb)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 이하이면, 단계(S13)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S15)로 진행한다.
단계(S13)에서, 제어부(19)는 가열부(13)를 동작시켜 제 1 가열 공정을 수행한다. 제어부(19)는 하부 가열부(13c)만을 동작시키거나, 상부 가열부(13a) 또는 측면 가열부(13b)를 하부 가열부(13c)와 함께 동작시키는 제어를 수행하여 제 1 가열 공정을 수행한다. 하부 가열부(13c)만을 동작시키는 제 1 가열 공정의 경우보다 상부 가열부(13a) 또는 측면 가열부(13b)를 하부 가열부(13c)와 함께 동작시키는 제 1 가열 공정이 하부 공간(Sb)으로부터의 가열된 물이 상부 공간(St)에서 식지 않고 그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에 조리물의 전분을 녹여내는(또는 제거하는) 작용면에서 우수하다. 제어부(19)는 제 1 가열 공정을 수행하면서 단계(S11)로 진행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19)는 수행 중인 제 1 가열 공정을 중단(즉, 가열부(13)의 가열 동작 중단)하고 단계(S21)로 진행한다. 다만, 제어부(19)가 제어 시작 이후 최초로 단계(S11)를 수행할 때, 하부 온도(Tb)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보다 높으면 제어부(19)는 단계(S13)의 제 1 가열 공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단계(S21)로 바로 진행한다.
상술된 단계(S11), (S13) 및 (S15)로 구성된 가열 공정에서, 제어부(19)는 하부 온도(Tb)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보다 높게 되어 하부 공간(Sb) 내에서 가열된 물로부터의 증기에 의해 생성된 압력이 제 1 증기압보다 높게 될 때까지 제 1 가열 공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도 2b와 같이 하부 제어 온도(Tb1)를 초과하는 온도를 지닌 물을 이동관(23)을 통하여 상부 공간(St)으로 이동시켜 조리물을 조리하면서 조리물로부터 전분을 분리시킨다. 또한, 상술된 단계(S11)과 (S13)의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즉 제어부(19)가 제 1 가열 공정을 먼저 수행하고, 하부 온도(Tb)와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를 비교하여, 만약 하부 온도(Tb)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 이하이면, 제 1 가열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5)로 진행한다.
단계(S21)에서, 제어부(19)는 하부 온도(Tb)와 기저장된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를 비교한다. 여기서,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는 상부 공간(St)으로 이동된 물이 하부 공간(Sb)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부 공간(St)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지닌 증기압(이하에서, '제 2 증기압'이라 함)을 하부 공간(Sb) 또는 공기층(Sa)에 생성할 수 있는 온도에 해당되며, 예를 들면 물의 비등점(1기압에서 100℃)보다 높은 온도(예를 들면, 105℃)에 해당되며, 제 2 증기압은 제 1 증기압보다 높은 압력이다. 만약 하부 온도(Tb)가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 이하이면, 단계(S23)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S25)로 진행한다.
단계(S23)에서, 제어부(19)는 가열부(13)를 동작시켜 제 2 가열 공정을 수행한다. 이 제 2 가열 공정에서, 제어부(19)는 하부 공간(Sb) 내의 증기압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하부 가열부(13c)를 동작시키거나, 하부 공간(Sb) 내의 증기압의 상승과 상부 공간(St)의 온도 상승을 위해 상부 가열부(13a), 측면 가열부(13b) 및 하부 가열부(13c)를 동작시키며 단계(S27)로 진행한다.
단계(S25)에서, 하부 온도(Tb)가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보다 높아서 상부 공간(St)의 물이 하부 공간(Sb)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부 공간(St)에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9)는 수행 중인 제 2 가열 공정을 중단하고 단계(S27)로 진행한다. 다만, 제어부(19)가 제어 시작 이후 최초로 단계(S21)를 수행하는 경우에, 하부 온도(Tb)가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보다 높으면 제어부(19)는 단계(S23)의 제 2 가열 공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단계(S25)를 수행하지 않고 단계(S27)로 바로 진행한다.
단계(S27)에서, 제어부(19)는 단계(S21)부터의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경과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 1 기준 시간은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 부근의 물이 상부 공간(St)에서 조리물을 조리하고 조리물 내의 전분을 조리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시간에 해당에 되며, 예를 들면 2분이다. 만약 산정된 경과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으면 단계(S3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1)로 진행한다.
상술된 단계(S21) 내지 (S27)로 구성된 가열 유지 공정에서, 제어부(19)는 제 1 기준 시간 동안 하부 온도(Tb)를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보다 높으며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 이하로 유지시키도록, 즉 하부 공간(Sb) 내에서 가열된 물로부터의 증기에 의해 생성된 압력이 제 1 증기압보다 크고 제 2 증기압 이하가 유지되도록, 제 2 가열 공정의 수행과 중단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상부 공간(St)의 물이 상부 공간(St)에 유지되면서 열을 공급 받아 조리물을 조리하고 조리물로부터 전분을 분리시킨다. 상술된 가열 공정은 하부 공간(Sb)의 물을 상부 공간(St)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고, 가열 유지 공정은 가열 공정 이후에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가열 공정에서 상부 공간(St)으로 이동된 물이 상부 공간(St)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단계(S31)에서, 제어부(19)는 가열부(13)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킨다. 가열부(13)의 가열 동작 중단에 의해서, 하부 공간(Sb) 내의 증기압이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상부 공간(St) 내의 물이 이동관(23)을 통하여 하부 공간(Sb)으로 이동된다. 즉, 상술된 가열 공정과 가열 유지 공정에 의해 하부 공간(Sb)에서 상부 공간(St)으로 이동된 물은 가열이 지속되는 중에는 역류 없이 조리물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조리와 전분 분리 동작을 수행하며, 가열 동작이 중단된 때 이후에 상부 공간(St)의 전분을 포함하는 물이 하부 공간(Sb)으로 모두 모이게 된다.
단계(S33)에서, 제어부(19)는 단계(S31)의 가열 동작 중단의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경과 시간이 제 2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 2 기준 시간은 상부 공간(St) 내의 물이 하부 공간(Sb)으로 이동될 수 있는 시간에 해당되며, 예를 들면 제 2 기준 시간은 3분이다.
상술된 단계(S31)과 (S33)로 구성된 휴식 공정에서, 제어부(19)는 제 2 기준 시간 동안 내솥(5)에 대한 가열을 중단하여 조리물로부터 분리된 전분을 포함하는 물이 상부 공간(St)에서 하부 공간(Sb)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조리물로부터 분리된 전분을 하부 공간(Sb)으로 이동시킨다.
단계(S41)에서, 제어부(19)는 상부 공간(St) 및 조리물에 남아 있는 물을 증발시키기 위해 가열부(13)를 동작시켜 제 3 가열 공정을 수행한다. 이 제 3 가열 공정에서, 제어부(19)는 적어도 상부 가열부(13a)나 측면 가열부(13b)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상부 공간(St) 및 조리물에 남아 있는 물을 증발시켜 조리물의 퍼짐 등을 방지하여 조리물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단계(S43)에서, 제어부(19)는 제 3 가열 공정의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경과 시간이 제 3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 3 기준 시간은 상부 공간(St) 및 조리물에 남아 있는 물을 충분히 증발시킬 수 있는 시간에 해당되며, 예를 들면 3분이다.
상술된 단계(S41)과 (S43)로 구성된 제 1 뜸 공정에서, 제어부(19)는 상부 공간(St)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제 3 가열 공정을 적어도 제 3 기준 시간 동안 수행하여 단계(S31)과 (S33)에서 상부 공간(St)에서 하부 공간(Sb)으로 배출되지 않은 물을 증발시킨다.
단계(S51)에서, 제어부(19)는 가열부(13)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킨다.
단계(S53)에서, 제어부(19)는 단계(S51)의 가열 동작 중단의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경과 시간이 제 4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 4 기준 시간은 조리물에 대한 뜸 공정을 수행하는 시간에 해당되며, 예를 들면 제 4 기준 시간은 3분이다.
상술된 단계(S51)과 (S53)로 구성된 제 2 뜸 공정에서, 제어부(19)는 내솥(5)에 대한 가열 없이 적어도 제 4 기준 시간 동안 뜸 공정을 수행한다.
단계(S55)에서, 제어부(19)는 조리물에 대한 조리를 종료한다.
상술된 가열 공정과 가열 유지 공정 및 휴식 공정을 포함하는 전분 제거 및 조리 공정이 1회 수행되었으나, 조리물의 전분을 추가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복수 회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9)는 가열 공정 -> 가열 유지 공정 -> 휴식 공정 -> 가열 공정 -> 가열 유지 공정 -> 휴식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이후에 단계(S41)로 진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제어 순서도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의 제어 순서도의 수행 중에, 물이나 조리물이 전기 조리기에 형성된 관통홀(3a)을 통하여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의 제어 순서도가 수행된다.
단계(S16)은 도 4의 단계(S11)와 동일하여, 하부 온도(Tb)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 이하인 경우, 제어부(19)는 단계(S1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0)로 진행한다.
단계(S17)에서, 제어부(19)는 상부 온도 센서(14)로부터의 상부 온도(Tt)와 기저장된 상부 제어 온도(Tt1)를 비교한다. 여기서, 상부 제어 온도(Tt1)는 전분 제거 및 조리 공정의 수행 중에 물이나 조리물이 관통홀(3a)을 통하여 비산될 수 있는 비산 온도이거나 이 비산 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온도에 해당되며, 예를 들면 100℃이다. 만약 상부 온도(Tt)가 상부 제어 온도(Tt1)보다 높거나 같으면, 단계(S1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9)로 진행한다.
단계(S18)에서, 제어부(19)는 하부 가열부(13c)만을 동작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여, 상부 온도(Tt)가 하강되도록 하여 비산을 방지하며, 단계(S16)로 진행한다.
단계(S19)에서, 제어부(19)는 비산의 우려가 없으므로, 하부 가열부(13c)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열부들을 동작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여, 상부 온도(Tt)를 상승시키며 단계(S16)로 진행한다. 즉, 제어부(19)는 상부 가열부(13a)와 측면 가열부(13b)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과 하부 가열부(13c)를 가열 동작시킨다.
단계(S20)에서, 제어부(19)는 가열부(13)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고 도 4의 단계(S21)로 진행한다.
상술된 단계(S16) 내지 (S20)를 포함하는 가열 및 비산 방지 공정에서, 제어부(19)는 상부 온도(Tt)가 상부 제어 온도(Tt1)보다 높거나 같으면 하부 공간(Sb)만에 대한 가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비산을 방지하며, 상부 온도(Tt)가 상부 제어 온도(Tt1) 미만이면 상부 공간(St)과 하부 공간(Sb) 모두에 대한 가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9)는 단계(S11)에서 하부 온도(Tb)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보다 높아질 때까지 가열 및 비산 방지 공정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4의 제어 순서도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온도 그래프들이다. 온도 그래프들은 상부 온도(Tt)의 그래프와 하부 온도(Tb)의 그래프를 포함한다.
시간(0~t1)에서, 제어부(19)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를 통하여 조리 시작 입력을 획득한 이후의 대기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대기 공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시간(t1)에서, 제어부(19)는 단계(S11)를 수행하고, 하부 온도(Tb)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보다 낮으므로 단계(S13)으로 진행하여 제 1 가열 공정을 수행한다.
시간(t1~t2)에서, 제어부(19)는 단계(S13)과 단계(S11)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하부 온도(Tb)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에 도달하게 된다.
시간(t2)에서, 하부 온도(Tb)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Tb1)보다 높게 되어, 제어부(19)는 단계(S15)를 수행하여 제 1 가열 공정을 중단하고, 단계(S21)을 수행하여 하부 온도(Tb1)가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보다 낮으므로 단계(S23)로 진행하여 제 2 가열 공정을 수행한다.
시간(t2~t3)에서, 제어부(19)는 단계(S27)의 제 1 기준 시간 동안 단계(S21) 내지 단계(S27)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제 2 가열 공정의 수행 시 하부 온도(Tb)가 갑자기 하강한 이후 상승되고 다시 하강한 이후에 상승하여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에 도달한다. 하부 공간(Sb)에서 상부 공간(St)로 가열된 물이 이동되나, 상부 공간(St)의 상부 온도(Tt)가 가열된 물의 온도보다 현저하게 낮은 상태이어서, 가열된 물이 상대적으로 차가운 상부 공간(St)과 접촉하게 되어 하부 공간(Sb)으로 역류하게 되어 이러한 하부 온도(Tb)의 변화가 발생된다. 제어부(19)는 이러한 하부 온도(Tb)의 변화 중에서도 단계(S23)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상부 온도(Tt)도 상승하게 되어 하부 온도(Tb)가 하강하는 폭이 점차 감소되며, 상부 온도(Tt)와 하부 온도(Tb)가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에 도달한다.
시간(t3)에서, 제어부(19)가 단계(S31)의 가열부의 가열 동작 중단을 수행함으로써, 상부 공간(St)과 하부 공간(Sb)에 가열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여 하부 공간(Sb) 내의 증기압이 하강하게 되어 상부 공간(St)에 있는 물이 하부 공간(Sb)으로 이동되기 시작한다.
시간(t3~t4)에서, 제어부(19)는 제 2 기준 시간 동안 가열부의 가열 동작 중단을 수행하여, 상부 공간(St)에 있는 물이 하부 공간(Sb)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시간(t4~t5)에서, 제어부(19)는 단계(S31) 및 (S33)의 수행 이후 단계(S41) 이전에 단계(S11) 내지 (S27)을 다시 수행하여, 하부 공간(Sb)의 물을 가열하여 상부 공간(St)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전분 제거 및 조리를 다시 수행한다. 즉, 본 온도 그래프에서, 제어부(19)는 전분 제거 및 조리를 2회 반복한 것이다.
시간(t5~t6)에서, 제어부(19)는 단계(S31) 및 (S33)로 진행하여 제 2 기준 시간 동안 가열부의 가열 동작 중단을 수행하여, 상부 공간(St)에 있는 물이 하부 공간(Sb)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시간(t6~t7)에서, 제어부(19)는 단계(S41)로 진행하여 제 3 가열 공정을 수행하여, 상부 공간(St)만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하여, 상부 공간(St) 및 조리물에 남아 있는 물을 충분히 증발시킨다.
시간(t7~t8)에서, 제어부(19)는 단계(S51) 내지 (S55)를 진행하여, 뜸 공정을 수행하고 조리를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의 전기 조리기는 도 3의 전기 조리기와 비교하여, 압력 배출부(16)와 압력 배출부(16)를 추가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9a)의 구성만이 상이하다.
압력 배출부(16)는 본체(1)나 뚜껑(3)에 형성되며 제어부(19a)의 개방 및 폐쇄 제어에 따라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여, 조리 공간 내의 공기 또는 증기가 전기 조리기의 외부로 배출 및 차단되도록 하여 조리 공간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해당되며, 예를 들면 솔레노이브 밸브를 구비한다. 압력 배출부(16)는 도 1의 관통홀(3a) 대신에 뚜껑(3)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의 전기 조리기는 관통홀(3a)을 구비하여 전분 제거 및 조리 공정을 수행할 때, 제어부(19)가 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었으나, 도 7에서는 압력 배출부(16)가 구비되어, 제어부(19a)가 압력 배출부(16)를 제어하여 압력을 조절한다.
제어부(19a)는 도 3의 제어부(19)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면서, 추가적으로 압력 배출부(16)에 대한 개방 및 폐쇄 제어를 하기의 표 1과 같이 수행한다.
공정 구분 압력 배출부의 상태
비산 방지 공정 개방 또는 폐쇄
가열 공정 개방
가열 유지 공정 개방 또는 폐쇄
휴식 공정 개방
제 1 뜸 공정 개방 또는 폐쇄
제 2 뜸 공정 개방
먼저 비산 방지 공정의 수행 시에는, 상부 공간(St)의 온도가 상부 제어 온도(Tt1) 이상일 경우, 제어부(19a)가 상부 가열부(13a) 및 측면 가열부(13b)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켜 비산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어부(19a)가 압력 배출부(16)를 개방 또는 폐쇄 상태 중의 어느 상태로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가열 공정의 수행 시에는, 제어부(19a)가 하부 공간(Sb)의 물이 상부 공간(St)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압력 배출부(16)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가열 유지 공정의 수행 시에는, 제어부(19a)가 압력 배출부(16)를 개방 또는 폐쇄 상태 중의 어느 상태로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압력 배출부(16)의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에 대비하여, 조리 공간 또는 내솥(5) 내의 내부 압력이 보다 빨리 증가함에 따라 하부 온도(Tb)가 제 2 하부 제어 온도(Tb2)에 보다 빨리 도달 가능하며 조리물로부터 전분을 분리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휴식 공정의 수행 시에는, 제어부(19a)가 상부 공간(St)의 물이 하부 공간(Sb)으로 이동되도록 압력 배출부(16)를 개방 제어한다.
제 1 뜸 공정의 수행 시에는, 제어부(19a)가 압력 배출부(16)를 개방 또는 폐쇄 상태 중의 어느 상태로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제 2 뜸 공정의 수행 시에는, 제어부(19a)가 압력 배출부(16)를 개방 제어하여 조리 공간 내부의 남은 잠열에 의한 압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뚜껑(3)을 열고자 할 때 뚜껑(3)이 잘 열리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본체 3: 뚜껑
5: 내솥 11: 입력부
12: 표시부 13: 가열부
14: 상부 온도 센서 15: 하부 온도 센서
16: 증기 배출부 19, 19a: 제어부

Claims (23)

  1. 내솥과;
    상기 내솥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내솥 내의 공간을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조리물이 수용되는 상부 공간으로 분리하며, 상기 하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 공간과 상부 공간 간의 유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관을 구비하는 분리 장치와;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를 가열 동작시켜 상기 하부 공간 내의 유체를 상기 이동관을 통하여 상기 상부 공간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조리물과 접촉되도록 하는 상기 조리물의 전분 제거 및 조리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리기는 상기 내솥 내의 증기나 공기가 상기 뚜껑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개방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리기는 상기 내솥의 하부 온도를 감지하는 하부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의 전분 제거 및 조리 과정에서 상기 하부 온도가 제 1 하부 제어 온도보다 높게 될 때까지 상기 가열부를 동작시키는 가열 공정을 수행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온도가 상기 제 1 하부 제어 온도 이하이면 상기 가열부를 가열 동작시키고 상기 하부 온도가 상기 제 1 하부 제어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내솥의 상부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뚜껑에 장착되는 상부 가열부와, 상기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측면 가열부와, 상기 내솥의 하부를 가열하는 하부 가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가열부만을 동작시키거나, 상기 상부 가열부 또는 측면 가열부를 상기 하부 가열부와 함께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리기는 상기 본체나 뚜껑에 형성되어 상기 내솥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공정의 수행 시에 상기 압력 배출부를 개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공정 이후에 상기 하부 온도를 상기 제 1 하부 제어 온도보다 높으며, 상기 제 1 하부 제어 온도보다 높은 제 2 하부 제어 온도 이하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 및 가열 동작 중단을 수행하는 가열 유지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유지 공정을 제 1 기준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내솥의 상부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뚜껑에 장착되는 상부 가열부와, 상기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측면 가열부와, 상기 내솥의 하부를 가열하는 하부 가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유지 공정 중에 적어도 하부 가열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유지 공정 이후에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는 휴식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식 공정을 제 2 기준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리기는 상기 본체나 뚜껑에 형성되어 상기 내솥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식 공정의 수행 시에 상기 압력 배출부를 개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식 공정 이후에 상기 가열부를 동작시켜 제 1 뜸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뜸 공정을 제 3 기준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뜸 공정 이후에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켜 제 2 뜸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뜸 공정을 제 4 기준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리기는 상기 본체나 뚜껑에 형성되어 상기 내솥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뜸 공정의 수행 시에 상기 압력 배출부를 개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2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리기는 상기 내솥의 상부 온도를 감지하는 상부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내솥의 상부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뚜껑에 장착되는 상부 가열부와, 상기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측면 가열부와, 상기 내솥의 하부를 가열하는 하부 가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공정에서 상기 상부 온도가 상부 제어 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상기 하부 가열부만을 동작시키고, 상기 상부 온도가 상기 상부 제어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상부 가열부 또는 상기 측면 가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하부 가열부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공정, 상기 가열 유지 공정 및 상기 휴식 공정을 순차적으로 복 수회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KR1020170068229A 2017-06-01 2017-06-01 전기 조리기 KR10220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29A KR102203942B1 (ko) 2017-06-01 2017-06-01 전기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29A KR102203942B1 (ko) 2017-06-01 2017-06-01 전기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757A KR20180131757A (ko) 2018-12-11
KR102203942B1 true KR102203942B1 (ko) 2021-01-18

Family

ID=6467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229A KR102203942B1 (ko) 2017-06-01 2017-06-01 전기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839B1 (ko) 2019-11-29 2021-07-12 (주)쿠첸 조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950A (ja) 2005-11-29 2007-06-14 Yamamoto Denki Kk 液状食品の調理方法および液状食品調理器
JP2007209341A (ja) 2006-01-27 2007-08-23 Pensonic (Hk) Corp Ltd 電気炊飯器及び米の澱粉の除去方法
JP2014217503A (ja) 2013-05-07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174B2 (en) * 2003-12-05 2008-06-17 Salim Ejaz Starch-reducing rice coo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950A (ja) 2005-11-29 2007-06-14 Yamamoto Denki Kk 液状食品の調理方法および液状食品調理器
JP2007209341A (ja) 2006-01-27 2007-08-23 Pensonic (Hk) Corp Ltd 電気炊飯器及び米の澱粉の除去方法
JP2014217503A (ja) 2013-05-07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757A (ko)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1101B2 (en) Steam oven
JP5251557B2 (ja) 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WO2017190522A1 (zh) 一种电饭锅
JP2010535055A (ja) 米のような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6880283A (zh) 通过顶部喷淋降低米饭淀粉含量的养生煲及控制方法
JP4639873B2 (ja) 加熱調理装置
KR102203942B1 (ko) 전기 조리기
JP4581846B2 (ja) 蒸煮装置
JP4055684B2 (ja) 真空蒸気調理機
JP4823963B2 (ja) 調理器
CN103494509A (zh) 一种蒸汽烹饪装置及蒸汽食物加工方法
KR102203944B1 (ko) 전기 조리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4678306B2 (ja) 調理装置の運転制御方法
CN111227622B (zh) 电烹饪机及其控制方法
JP2006325781A (ja) 炊飯器
JP5754839B2 (ja) 蒸煮装置
JP2011087615A (ja) 炊飯器
JP2007268018A (ja) 蒸気加熱装置
KR100526210B1 (ko) 증기조리장치
JP5754838B2 (ja) 蒸煮装置
KR20210109920A (ko) 전기 조리기
WO2010030051A1 (en) Vapor condenser for pressure type rice cooker
KR101594311B1 (ko) 전기 압력 조리기
KR20150126450A (ko) 떡 시루 장치
KR200182394Y1 (ko) 압력튀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