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144B1 - 무인민원발급장치 - Google Patents

무인민원발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144B1
KR102203144B1 KR1020200095668A KR20200095668A KR102203144B1 KR 102203144 B1 KR102203144 B1 KR 102203144B1 KR 1020200095668 A KR1020200095668 A KR 1020200095668A KR 20200095668 A KR20200095668 A KR 20200095668A KR 102203144 B1 KR102203144 B1 KR 10220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sor
output
scree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창범
Original Assignee
한국타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피(주) filed Critical 한국타피(주)
Priority to KR102020009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3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제공된다.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감지센서(110)를 포함하는 센서감지부(100); 상기 센서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200); 및 상기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상기 화면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배치가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민원발급장치{A SELF-SERVICE DOCUMENT ISSUANCE DEVICE}
본 발명은 무인민원발급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의 배치를 상이하게 출력하여 제공하고, 리모컨의 존재를 감지하여 리모컨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체적인 제약에 의해 제한됨이 없이 편리하게 민원발급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인민원발급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현재 정부기관에서 발급되는 주민등록등본, 건축물 등기부등본 등과 같은 민원 증명서류나 보험회사 또는 은행에서 발급되는 연말정산용 예금 또는 보험료 납부 증명서류 등의 각종 민원에 관련된 증명서류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동사무소, 구청 또는 법원 민원실, 은행 등을 직접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한 후 신원을 확인 받아야만 한다. 그리고 이렇게 사용자가 직접 증명서류 발급기관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감수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관공서 등에는 증명 발급업무를 자동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무인민원발급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자 사이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무인민원발급장치는 주로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어 있어, 시각 장애인, 휠체어 장애인 등이 관공서 등에 배치된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무인민원발급장치는 일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일반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특히 무인민원발급장치의 화면은 일반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키가 작은 사용자나 휠체어를 탄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높이가 맞지 않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화면의 높이를 낮추어 설계한 무인민원발급장치가 개발되어 설치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무인민원발급장치는 일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무인민원발급장치의 화면 위치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면, 일반 사용자나 키가 작은 사용자 또는 휠체어를 탄 사용자의 눈높이를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운 설정이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 화면을 물리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가 제안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키오스크의 일례로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97978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등이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사용자의 키 높이에 따라 터치 패널이 구비된 몸체부를 유압식이나 기어식 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의 높이조절수단을 통하여 승강시키도록 함으로써 키가 작거나 큰 사람 또는 휠체어를 탄 사용자의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는 터치 패널이 구비된 몸체부가 하드웨어적인 외부 동력에 의해서 승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이동이 빠르게 전환되지 않아 사용자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이 필요하며,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유입 등에 의해 높이조절수단이 손상되거나 높이 조절 시 사용자 신체 일부가 끼어 부상당할 우려 또한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승강 방식에는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특히 몸이 다소 불편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무인민원발급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인민원발급장치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의 배치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센서로 구현되는 사용자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와 휠체어 사용자인 경우를 나누어 화면의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보유한 리모컨의 존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리모컨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컨의 존재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리모컨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모컨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음성의 출력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는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감지부; 상기 센서감지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화면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배치가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감지센서는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의 전면 상단에 배치되어, 레이저를 출력하고 출력된 레이저에 대한 반사 레이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단일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감지센서의 활성화 시점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개시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감지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고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감지부는,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리모컨의 존재를 감지하는 리모컨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컨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리모컨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리모컨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모컨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어부에서 식별된 상기 리모컨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음성의 출력 방향을 조절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에 의하면,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의 배치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센서로 구현되는 사용자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와 휠체어 사용자인 경우를 나누어 화면의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에 의하면, 시각장애인이 보유한 리모컨의 존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리모컨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에 의하면, 리모컨의 존재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리모컨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모컨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음성의 출력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0)가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감지되는 사용자에 따라 컨텐츠를 상하로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감지센서(110)가 활성화되고 제어부(200)의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가 제어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초음파 센서로서 구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감지부(100)에 리모컨감지센서(120)가 추가로 구비되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와 리모컨(1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센서감지부(100), 제어부(200), 디스플레이부(300), 스피커(400), 조명부(5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감지부(1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감지부(1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면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감지된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지 또는 휠체어 사용자인지의 정보)를 제어부(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언급된 센서감지부(100)가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를 제어부(200)로 송신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직접 제어부(200)로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를 송신 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가 제어부(200)로 송신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 상단에 배치되어, 레이저를 출력하고 출력된 레이저에 대한 반사 레이저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단일의 센서(laser-based single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감지센서(110)가 배치되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 상단의 높이는 일반 사용자(예를 들어, 보통의 성인)의 대략 가슴부터 머리에 해당하는 높이일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감지센서(110)는 사용자감지센서(110)가 배치된 높이보다 낮은 키를 갖는 사용자(예를 들어, 휠체어 사용자, 키가 작은 사용자(예를 들어, 어린이) 등)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 상단에 배치되는 사용자감지센서(110)는 휠체어 사용자 또는 키가 작은 사용자가 접근할 때와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동일한 감지 값을 갖게 되므로(즉, 두 상황 모두에서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한 감지 신호가 없음), 이러한 두 상황을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문서 발급 의사를 조건으로 하여 사용자감지센서(110)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00)의 개시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이나 디스플레이부(30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동작 등이 사용자의 문서 발급 의사로서 미리 정의될 수 있으며, 제어부(200)가 이러한 사용자의 문서 발급 의사를 검출하게 되면 그 검출 순간에(또는 검출 순간에 바로 후속하여) 사용자감지센서(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문서 발급 의사가 검출되는 순간에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있다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를 일반 사용자로 판단하고, 문서 발급 의사가 검출되는 순간에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없다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를 휠체어 사용자 또는 키가 작은 사용자로 판단할 것이며, 특히 후자의 경우 제어부(200)는 운영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 또는 키가 작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 상단에 배치되는 사용자감지센서(110)에 감지되지 않는 휠체어 사용자 또는 키가 작은 사용자의 후방에 대기 중인 다른 일반 사용자로 인해 사용자감지센서(110)가 휠체어 사용자 또는 키가 작은 사용자를 일반 사용자로 오-감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감지센서(110)의 감지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로서 제한하고,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사용자에 대해서만 사용자감지센서(110)의 감지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로부터 1미터 이내에 있는 사용자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디스플레이부(300)가 상부 및 하부로 수평분할되어 감지되는 사용자에 맞추어 상하의 컨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감지센서(110)는 초음파를 이용한 단일의 센서(ultrasonic-based single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이저와 같은 직선 광을 출력하고 그에 대한 반사 광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를 감지하는 레이저 센서와는 대조적으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 구비되는 단일 센서를 초음파 센서로 구현하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키,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모두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문서 발급 의사를 조건으로 하여 레이저-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추가로 제어할 필요가 없이, 즉 문서 발급 의사를 사용자감지센서(110) 활성화의 트리거링(triggering) 조건으로 할 필요가 없이도,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를 감지하면 감지된 사용자의 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 및 하부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사용자의 키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모두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철을 감지하는 단일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철을 감지하는 단일의 센서(예를 들어, 철감지센서 등)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접근하는 휠체어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는 사용자의 높이 또는 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임에 반해,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철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현되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 접근하는 휠체어를 감지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고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휠체어를 구성하는 바퀴는 대부분 철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하부에 철을 감지하는 사용자감지센서(110)를 배치하여 감지되는 철 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때에 휠체어 사용자가 접근하였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부(300)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휠체어 사용자가 보다 접근이 용이한 디스플레이부(300)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휠체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300)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는 문서 발급을 위한 운영프로그램을 더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는 화면을 보다 근접한 거리에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면 제어부(200)로 감지된 사용자에 관한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한 후에 사용자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300) 또는 스피커(400)를 통해 사용자를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장소까지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00) 화면에서 ‘조금 더 가까이 접근하여 주십시오’라는 문구가 출력되거나 이를 스피커(400)가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올바르게 위치하는 경우 조명부(500)는 제어부(20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녹색으로 점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해 객체 검출 및 인식(object detection and recognition)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와 물리적으로 이격된 장소에 배치되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부를 촬영할 수 있거나, 또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부를 촬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자로 감지되고 감지된 휠체어 사용자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으면, 디스플레이부(300) 화면의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고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감지부(100)의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단일 센서로 구현되므로, 복수의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하는 장치(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센서를 배치하여 사용자를 감지하는 키오스크 장치)와 비교하여 보다 비용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해 단일 센서를 구비하므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보다 간결하고 심플한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하게 되면 센서 사이의 간섭 등으로 인해 센서 기능이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센서 기반의 사용자 감지 방식은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센서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생성된 화면제어신호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부(300) 및/또는 스피커(4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본적으로(즉, 디폴트 값이) 디스플레이부(300) 상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된다고 가정하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 즉,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 제어부(200)는 감지된 일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상하 출력의 디폴트 값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자 또는 키가 작은 사용자인 경우, 즉,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자 또는 키가 작은 사용자인 경우, 제어부(200)는 감지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 및 하부 컨텐츠 출력을 반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의 활성화 시점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00)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개시 동작을 검출하면, 사용자감지센서(1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300)에 사용자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화면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 화면의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를 제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300)를 사용자가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가 활성화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활성화가 되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300) 상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자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300) 터치에 의하여 제어부(200)가 사용자감지센서(110)에 활성화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감지센서(110)가 활성화 되었음에도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고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감지센서(11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제어부(200)가 화면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가 제어된 이후에도,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 추가 구비된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부(300) 상의 아이콘 클릭이나 터치 등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사용자로 감지되어 운영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경우에도, 일반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따라 운영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부(300)의 하부에 배치하여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휠체어 사용자임에도 불구하고 센서 오작동 등의 원인으로 일반 사용자로서 감지됨으로써 운영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출력되는 경우, 휠체어 사용자가 직접 운영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200)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배치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300)는 기본적으로 상부에 운영프로그램을 출력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300)는 기본적으로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부(300)의 기본적인 상부 및 하부 출력 컨텐츠가 시간 경과에 따라 자동으로 변화하도록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배치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되,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의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상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자인 경우,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의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고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감지센서(110)의 활성화를 트리거링(triggering)하기 위해 검출하는 사용자의 문서 발급 의사로서, 디스플레이부(300)를 터치하는 것에 더하여, 스피커(4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00)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는 것을 권유하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고 그에 대해 사용자가 화면 터치나 음성입력으로 동의하는 방식 등으로도 사용자감지센서(11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300)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수직으로 구성되지 않고 사용자가 위쪽에서 바라보기 쉽게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300)를 디스플레이부(300)의 하단이 상단보다 약간 전면으로 나오도록 하여 약간의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300)가 디스플레이부(300)의 하단이 상단보다 약간 전면으로 나오도록 하여 약간의 경사를 가지는 구성을 갖는 경우, 휠체어 사용자는 낮은 높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300)가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00)를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수직하게 구성하는 방식, 휠체어 사용자로 인식이 되면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이 바닥면을 보도록 각도가 조절되는 방식,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된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 및 하부의 사이의 경계면에 따라 하부는 바닥면과 수직되게 구성하고 상부는 약간의 경사를 주는 방식 등으로 일반 사용자와 휠체어 사용자 모두가 디스플레이부(300)를 보다 편안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비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제어부(200)는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를 제어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이 출력되도록 스피커(4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400)는 “사용자가 감지되었습니다”, “아래 쪽 화면에서 민원 발급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와 같이 사용자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사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안내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400)는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는 초음파가 공간을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왜곡성질을 이용하여 직진이 가능한 초음파를 정교하게 조작하여 음성신호를 실어 송신하는 방법을 이용한 스피커이다. 따라서,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를 이용하여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스피커(400)를 구현하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만 안내 음성 등 소리가 전달되므로 주변에 소음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고,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서로 소리가 겹치지 않아 사용자가 혼동하지 않고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조명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5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감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용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500)는 LED를 이용하여 녹색과 적색으로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5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 시 센서감지부(100) 또는 제어부(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녹색으로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녹색으로 점등 후 미리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하면 점등이 꺼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없거나, 사용자 감지가 불량한 경우에는 적색으로 점멸이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 상단에 배치되어, 레이저를 출력하고 출력된 레이저에 대한 반사 레이저를 수신함으로써 전면의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단일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a)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감지센서(110)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이는 도 2의 (c)와 비교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실제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비활성화된 상태이다. 다만,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반드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300) 터치 등의 활성화 단계를 통해 활성화 되는 것은 아니며,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사용자를 감지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의 (b)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 사용자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전면에 위치하였을 때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300) 상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00)의 개시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이나 디스플레이부(30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동작 등이 문서 발급 의사로서 검출되고, 이러한 동작을 조건으로 하여 사용자감지센서(110)가 활성화되면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제어부(200)로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수신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즉, 기본 화면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반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오-감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일의 사용자감지센서(110)가 감지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의 (c)는 휠체어 사용자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기 위해 접근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감지센서(1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 상단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감지센서(110)가 배치된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 휠체어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감지센서(110)는 휠체어 사용자가 접근할 때와 도 2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동일한 감지 값을 갖게 되므로, 이 두 상황을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문서 발급 의사를 조건으로 하여 사용자감지센서(110)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활성화된 사용자감지센서(110)는 제어부(200)로 감지신호 즉, 감지되는 사용자가 없다는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수신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고 하부에 운영프로그램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즉, 화면 배치 상태를 반전시킬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0)가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의 (a)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의 디스플레이부(300)를 나타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310)를 위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는데, 그 반대로 컨텐츠 상하 배치의 디폴트 값이 설정될 수 있음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도 3의 (b)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부(300)를 나타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의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상부에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310)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에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면 일반 사용자는 자신의 눈높이에 맞는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는 위치로 인하여 편리하게 무인민원발급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300)의 운영프로그램(320)을 이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
도 3의 (c)는 휠체어 사용자가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부(300)를 나타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자인 경우 즉,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 상단에 배치되는 사용자감지센서(110)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의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310)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고 하부에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감지센서(110)가 활성화되고 제어부(200)의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가 제어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의 (a)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감지센서(110)가 활성화되기 전인 비활성화 상태의 사용자감지센서(110)와 디스플레이부(300)를 나타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부(300)는 기본적으로 상부 및 하부로 수평분할되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310)를 위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4의 (a-1)은 사용자감지센서(110)가 활성화된 상태의 사용자감지센서(110)와 디스플레이부(300)를 나타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자인 경우 즉,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 상단에 배치되는 사용자감지센서(110)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감지센서(110)는 휠체어 사용자가 접근할 때와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동일한 감지 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 두 상황을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문서 발급 의사를 조건으로 하여 사용자감지센서(110)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00)에 별도의 개시 버튼을 두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00)의 개시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이나 디스플레이부(30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동작 등이 문서 발급 의사로서, 이러한 동작의 검출을 조건으로 하여 사용자감지센서(110)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4의 (b)는 활성화된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일반 사용자가 감지되어 일반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나타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동작 등 문서 발급 의사로서, 이러한 동작을 조건으로 활성화된 사용자감지센서(110)는 제어부(200)로 감지신호 즉, 사용자가 감지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수신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부에 운영프로그램(320)을 출력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310)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라는 화면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300)에 화면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에 의해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부에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310)를 위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4의 (c)는 활성화된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휠체어 사용자가 감지되어 휠체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나타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동작 등 문서 발급 의사로서, 이러한 동작을 조건으로 활성화된 사용자감지센서(110)는 제어부(200)로 감지신호 즉, 문서 발급 의사는 검출되었지만 사용자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없다는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수신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310)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고 하부에 운영프로그램(320)을 출력하라는 화면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300)에 생성된 화면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수신된 화면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부에 안내 또는 광고(310)를 위한 화면이 출력되고 하부에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초음파 센서(111)로 구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감지센서(110)는 초음파를 이용한 단일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 구비되는 단일 센서를 초음파 센서(111)로 구현하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키,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문서 발급 의사를 조건으로 하여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추가로 구성할 필요가 없이도 즉, 문서 발급 의사를 사용자감지센서(110) 활성화의 트리거링 조건으로 할 필요가 없이도,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감지된 사용자의 키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 및 하부에 출력되는 컨텐츠 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초음파 센서(111)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접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접근이 파악되면, 초음파 센서(111)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센서(111)는 수평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신하여, 수평방향의 거리(ℓ)를 구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111)는 초음파를 발신한 후, 사용자에 의해 반사된 수평 방향 반사파를 수신할 수 있고, 초음파 센서(111)는 수평 방향 반사파를 수신한 직후 초음파 센서(111)의 발광부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반사파를 계속 수신할 수 있다. 발광부의 회전에 의해 더 이상 반사파가 수신되지 않는 지점의 각도(θ)를 산출함으로써, 초음파 센서(111)는 사용자 머리 끝 부분을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음파 센서(111)를 기준으로 수평방향과 사용자 머리 방향 사이의 각도(θ)를 산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평방향의 거리(ℓ)와 각도(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키(H)를 하기의 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H = h1 + h2 = ℓ*tanθ + h2
위의 방식으로 산출된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감지되면 감지된 사용자의 키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에서 상부 및 하부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감지센서(120)가 추가로 구비되는 센서감지부(100)를 포함하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및 리모컨(1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센서감지부(100), 제어부(200), 디스플레이부(300), 스피커(400), 조명부(5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리모컨(10)은 리모컨감지센서(120)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감지부(1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와 리모컨감지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감지부(100)는 사용자감지센서(110)와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면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를 제어부(2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감지부(100)는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리모컨(10)의 존재를 감지하는 리모컨감지센서(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각장애인은 한국정보통신표준(KICS)에 의해 제작된 공용 리모컨(10)을 국가로부터 지급받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장애인용 공용 리모컨(10)은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이용 시에 음향으로 안내하는 교통 안전 시설인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와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리모컨감지센서(120)는 사용자의 리모컨(10)이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 즉, 시각 장애인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편안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리모컨감지센서(120)에 의해 리모컨(10)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리모컨(10)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200)로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수신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는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200)로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스피커(400)로 하여금 “무인민원발급기는 입구 오른쪽에 위치합니다”와 같은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위치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의 존재를 확인하였지만 먼저 다른 사용자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 중인 경우에,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대기를 위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른 사용자가 먼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감지하게 되면 리모컨감지센서(120)는 감지신호를 제어부(200)로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수신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스피커(400)가 리모컨(10)을 가진 사용자에게 “현재 이용 중이니, 잠시만 대기해주세요” 등의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배치되는 환경에서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감지하는 경우,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모두에서 안내 음성을 출력하지 않고,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중 어느 하나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만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 구비된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감지할 때에, 리모컨(10)이 감지되는 순간에 사용 가능한(즉, 대기 사용자가 없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또는 리모컨(10)을 감지하는 순간 대기 시간이 가장 짧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시각 장애인이 우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 음성이 스피커(4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리모컨(10)을 감지하여 스피커(400)가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경우, 스피커(400)는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를 활용하면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만 안내 음성 등의 소리가 전달되도록 하여 주변 일반 사용자에게 소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배치되는 환경에서도 서로 안내 음성이 중첩되지 않아 시각 장애인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위치 등을 혼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시각 장애인에게만 안내 음성 등의 소리가 전달될 수 있도록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를 활용하는 경우에, 리모컨(1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내지 모듈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리모컨감지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리모컨(10)의 위치 정보를 추가로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피커(400)는 제어부(200)에서 식별된 리모컨(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음성의 출력 방향을 조절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안내 음성의 출력 방향을 조절하게 되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주변에 소음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고,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간에 소리의 혼동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사용자에게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위치 등을 더욱 정교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스피커(400)가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로 구성되지 않는 경우라도 제어부(200)는 리모컨(10)의 존재뿐만 아니라 리모컨(1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스피커(400)의 출력 방향을 식별된 리모컨(10)의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지시하거나 제어부(200)에서 식별된 리모컨(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스피커(400)에게 안내 음성의 출력 방향을 조절하는 지시를 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안내 음성에 보다 집중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로의 경로 안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이 보유하는 리모컨(10)에 사용자 식별 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고, 따라서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서 리모컨(10)을 감지할 때에 해당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문서 발급을 위한 절차를 보다 간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10)으로부터 방출되는 신호에 사용자의 이름, 성별, 지문, 나이, 주소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감지하면서 리모컨감지센서(120) 또는 제어부(200) 내의 사용자 식별 정보 모듈이 사용자 식별 정보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서 발급을 위한 주소 입력, 지문 인식 등 번거로운 절차를 생략하고 문서를 발급 받을 수 있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사용 시에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리모컨감지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200)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스피커(400)를 통해 안내 음성을 출력하고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가 출력된 안내 음성을 듣고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앞에 도달한 경우에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200)는 화면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리모컨(10)을 보유한 사용자이면서 휠체어 사용자이기도 한 경우(즉, 휠체어 시각 장애인)에는, 사용자는 보유하고 있는 리모컨(10) 감지에 따른 안내 음성을 제공받을 뿐만 아니라, 휠체어 사용자로서 감지됨에 따라 문서 발급을 위한 운영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하부에 출력되도록 안내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가 운영프로그램을 잘 이용할 수 있도록 스피커(400)를 통해 안내 음성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복수 개의 리모컨(10)을 감지하게 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와 가장 근접하거나 시간적으로 신호가 가장 먼저 감지된 리모컨(10)의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지시하여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복수 개의 리모컨(10)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어부(200)는 가장 먼저 수신된 리모컨(10)의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 이후에 수신된 리모컨(10)의 사용자에게는 “먼저 다른 사용자가 민원발급 중이므로 대기해주시기 바랍니다” 와 같은 대기를 위한 안내 음성이 출력되도록 스피커(4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300)는 시각장애인용 촉각모니터 또는 점자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큰 화면으로 보기 위한 화면확대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촉각모니터 또는 점자모니터는 요철식 점자가 표현되지 않는 터치스크린 기기에 표시되는 텍스트 정보를 시각장애인이 진동 자극을 느낌으로써 마치 기존의 점자를 읽듯이 점자를 읽고 모션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확대 방식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 별도의 음성인식부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는 방식, 촉각모니터 또는 점자모니터를 이용하여 모니터에 화면확대의 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 버튼 입력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센서감지부(100)가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감지가 어려운 경우 디스플레이부(300)에 “조금 더 가까이 서주십시오”라는 화면을 출력하거나, 스피커(400)를 통해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400)는 리모컨감지센서(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200)에 의해서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음성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근처에 올 수 있도록 “무인민원발급기는 입구 옆 우측에 있습니다.” 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10)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서 민원 발급 중일 때, 제어부(200)의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에는 리모컨(10)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민원을 발급 받고 있다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고, 제어부(200)에 의해서 스피커(400)에서도 리모컨(10)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민원을 발급 받고 있다는 정보를 가진 안내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0)와 스피커(400)의 리모컨(10)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민원을 발급 받고 있다는 정보 출력은 민원 발급과 동시에 또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서 민원 발급을 요청하면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부(300)에는 “제증명 발급 중입니다.” 라는 문구가 출력되고, 그와 동시에 스피커(400)에서도 “제증명 발급 중입니다.” 라는 안내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300) 또는 촉각모니터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300)를 터치하였을 때 알맞은 버튼을 눌렀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00)를 터치할 때에 디스플레이부(300)가 짧게 진동하여 사용자가 터치 여부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스피커(400)를 통해서 알맞은 버튼을 눌렀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안내 음성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10)과 리모컨감지센서(120) 간에 신호 송수신이 불량하거나 끊어져 스피커(400)를 통한 안내 음성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리모컨(10)을 보유한 사용자는 리모컨(10)을 통해 리모컨감지센서(120)와 다시 연결 할 수 있다.
또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서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가 민원 서비스를 받는 경우 사용자가 확인의 의사표시를 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확인의 의사표시를 하라는 안내 음성이 없다면 사용자가 민원 발급을 무한정 기다리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으시겠습니까?”라는 안내 음성에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는 확인의 의사표시를 해야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안내 음성이 스피커(400)를 통해 출력된 경우에도 “확인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추가적인 안내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별도의 이어폰 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블루투스 이어폰과 호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를 감지한 후에 사용자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올바른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의 존재를 감지한 경우라도 감지신호가 약하거나 감지가 불충분한 경우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300) 또는 스피커(400)를 통해 올바른 위치로 유도하는 안내 화면 또는 안내 음성을 출력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으로 1m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와 같은 안내 음성을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조명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500)는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감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용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ED를 이용하여 녹색과 적색으로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를 감지 시 센서감지부(100) 또는 제어부(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녹색으로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녹색으로 점등 후 미리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 이후에 점등이 꺼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리모컨(10)과 거리가 멀거나 신호가 불량한 경우에는 적색으로 점멸을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감지되는 리모컨(10)이 없는 경우 모든 LED가 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감지센서(110)와 리모컨감지센서(120) 모두의 신호를 받는 경우 먼저 받은 신호에 따라 조명부(500)가 작동될 수 있다.
도 7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경우, 센서감지부(100)의 리모컨감지센서(12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리모컨(10)이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의 리모컨(10)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200)로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는 안내 음성을 스피커(400)가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200)로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스피커(400)로 하여금 “무인민원발급기는 입구 오른쪽에 위치합니다.”와 같은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가 배치되는 환경에서 리모컨감지센서(120)가 리모컨(10)을 감지하는 경우,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모두에서 안내 음성을 출력하지 않고,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중 어느 하나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만 안내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인 (d), (e), (f) 중에서 리모컨(10)이 감지되는 순간 사용 가능한 (d) 및 (f)가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거나 리모컨(10)을 감지하는 순간 대기 시간 또는 거리가 가장 짧은 (f)만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시각장애인용 키패드(0~9까지의 숫자버튼, 취소/정정/확인 버튼 포함)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휠체어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가능하도록 동전이나 지폐 투입구를 하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에 휠체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휠체어 사용자용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 가능하도록 음성인식기능을 가지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디스플레이부(300)가 상하로 움직여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QR 코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휠체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휠체어 전면부 하단을 장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본체 하부의 구조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디스플레이부(300) 화면의 상하 반전과 동기화하여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하단 전방 플레이트를 내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휠체어는 사용자 다리를 거치하는 전면부가 돌출되어 있어 휠체어 좌판과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사이의 이격 거리로 인해 휠체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디스플레이부(300)를 활용하는데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하단 전방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와 디스플레이부(3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에 의하면,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의 배치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센서로 구현되는 사용자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와 휠체어 사용자인 경우를 나누어 화면의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에 의하면, 시각장애인이 보유한 리모컨의 존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리모컨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에 의하면, 리모컨의 존재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리모컨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모컨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음성의 출력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리모컨
100: 센서감지부
110: 사용자감지센서
111: 초음파 센서
120: 리모컨감지센서
200: 제어부
300: 디스플레이부
310: 안내 또는 광고
320: 운영프로그램
400: 스피커
500: 조명부
1000: 무인민원발급장치

Claims (10)

  1.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로서,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감지센서(110)를 포함하는 센서감지부(100);
    상기 센서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200); 및
    상기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상기 화면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배치가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감지센서(110)는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 상단에 배치되어, 레이저를 출력하고 출력된 레이저에 대한 반사 레이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단일의 센서로 구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부 및 하부로 수평 분할되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되, 기본적으로 상부에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고 하부에 안내 또는 광고(310)가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가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문서발급의사로서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기 위한 개시 동작을 검출하는 순간 또는 검출하는 순간에 바로 후속하여 상기 사용자감지센서(110)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를 사용하기 위한 개시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개시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감지센서(11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일반 사용자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상기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고 하부에 상기 안내 또는 광고(310)가 출력되는 기본적인 화면의 배치 상태를 유지시키는 화면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송신하며,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감지센서(110)가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감지센서(11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휠체어 사용자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상기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고 하부에 상기 안내 또는 광고(310)가 출력되는 기본적인 화면의 배치 상태를 상하 반전시키는 화면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감지센서(110)는, 상기 사용자감지센서(110)의 감지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로서 제한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사용자에 대해서만 상기 사용자감지센서(110)의 감지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상기 제어부(200)의 상기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가 제어된 이후에도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 및 하부의 화면 배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1000)는,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1000)의 전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해 객체 검출 및 인식을 통해 휠체어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휠체어 사용자로 식별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부에 상기 안내 또는 광고(310)가 출력되고 하부에 상기 운영프로그램(320)이 출력되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감지부(100)는,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리모컨(10)의 존재를 감지하는 리모컨감지센서(120)를 더 포함하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감지센서(120)에 의해 상기 리모컨(10)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리모컨(1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400)를 더 포함하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컨감지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모컨(1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400)는, 상기 제어부(200)에서 식별된 상기 리모컨(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음성의 출력 방향을 조절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00).
KR1020200095668A 2020-07-31 2020-07-31 무인민원발급장치 KR10220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668A KR102203144B1 (ko) 2020-07-31 2020-07-31 무인민원발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668A KR102203144B1 (ko) 2020-07-31 2020-07-31 무인민원발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144B1 true KR102203144B1 (ko) 2021-01-14

Family

ID=7414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668A KR102203144B1 (ko) 2020-07-31 2020-07-31 무인민원발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1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71B1 (ko) * 2021-03-24 2021-09-01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시각 및 청각장애인용 키오스크
KR20230114376A (ko) * 2022-01-25 2023-08-01 재단법인 서울디지털재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키오스크
KR20230149401A (ko) *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다국어를 지원하는 무인 민원 발급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59992A (ko) *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감각 언어 모듈을 포함하는 무인 민원 발급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669A (ja) * 1993-09-22 199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聴覚障害者用案内システム
JP3843132B2 (ja) * 1995-12-19 2006-11-08 トーキング・サイ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視覚障害者および印刷物障害者が使用可能な自動処理機
KR20110069563A (ko) * 2009-12-17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43515A (ko) * 2013-06-07 2014-12-17 (주)본시스 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그 화면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669A (ja) * 1993-09-22 199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聴覚障害者用案内システム
JP3843132B2 (ja) * 1995-12-19 2006-11-08 トーキング・サイ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視覚障害者および印刷物障害者が使用可能な自動処理機
KR20110069563A (ko) * 2009-12-17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43515A (ko) * 2013-06-07 2014-12-17 (주)본시스 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그 화면 운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71B1 (ko) * 2021-03-24 2021-09-01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시각 및 청각장애인용 키오스크
KR20230114376A (ko) * 2022-01-25 2023-08-01 재단법인 서울디지털재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키오스크
KR102641503B1 (ko) 2022-01-25 2024-02-27 재단법인 서울디지털재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키오스크
KR20230149401A (ko) *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다국어를 지원하는 무인 민원 발급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59992A (ko) *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감각 언어 모듈을 포함하는 무인 민원 발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144B1 (ko) 무인민원발급장치
AU20173387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bled user assistance
JP5779641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12455A1 (en) Technical medical device having a multifunction display
US8571260B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11048900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method
KR102296271B1 (ko) 시각 및 청각장애인용 키오스크
KR102055677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2249512B1 (ko)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TW201039177A (en) Information inputting apparatus and electronc apparatus
KR20140143515A (ko) 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그 화면 운영 방법
JP2008204275A (ja) 入力操作装置および入力操作方法
KR102521659B1 (ko) 음주 측정을 통한 대리운전 연계 시스템 및 방법
WO2022158209A1 (ja) 空間浮遊映像表示装置
KR20180043642A (ko) 키오스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45970B1 (ko) 승강기용 승장조작 및 안내장치
KR102543476B1 (ko) 전자 디바이스용 하우징 구조체 및 입출력 디바이스
KR102490412B1 (ko) 주민생활 통합 지원 서비스를 위한 무인 민원대응 키오스크
JP2005122450A (ja) 表示入力部を備える機器
KR102538674B1 (ko)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
JP2011248733A (ja) 電子機器
JP2006127170A (ja) 情報端末入力システム
JPH1040440A (ja) 自動機
CN216083852U (zh) 一种具有灯光交互的迎宾及业务导办装置
KR102595343B1 (ko)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