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812B1 - 집합 전선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집합 전선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812B1
KR102202812B1 KR1020187013615A KR20187013615A KR102202812B1 KR 102202812 B1 KR102202812 B1 KR 102202812B1 KR 1020187013615 A KR1020187013615 A KR 1020187013615A KR 20187013615 A KR20187013615 A KR 20187013615A KR 102202812 B1 KR102202812 B1 KR 10220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conductor
adhesive layer
layer
interlayer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781A (ko
Inventor
게이스케 이케다
히데오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에섹스 후루카와 마그넷 와이어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섹스 후루카와 마그넷 와이어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섹스 후루카와 마그넷 와이어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reducing conductor losses when carrying alternating current, e.g. due to skin effect
    • H01B7/303Conductors comprising interwire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embedding wires in plast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01B7/0225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75Disposition of insulation comprising one or more extruded layers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7Polyeth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단면 사각형의 도체 소선이 층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 적층 배치된 집합 도체와, 상기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는 상기 집합 도체를 피복하는 외층 절연층을 가지고, 상기 집합 도체와 상기 외층 절연층과의 사이에, 두께 3㎛ 이상 1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가지는 집합 전선이다.

Description

집합 전선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본 발명은, 복수의 평각(平角) 금속체를 적층하여 구성된 주로 고주파용 집합 전선(Collective electric wire)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용 평각 전선은, 교류 모터나 고주파 전기 기기의 코일 등에 이용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HV), 전기 자동차(EV)용 모터 외에 고속 철도 차량용 모터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평각 전선은, 외주에 절연용 에나멜 피막이나 산화막이 형성된, 단면이 사각형인 평각 금속체를 적층하여 구성되고 있다. 또한, 에나멜 피막을 이용하지 않는 평각 전선으로서, 접착용 열경화성 수지막이나 산화막이 외주에 형성된, 단면이 직사각형인 평각 금속체를 적층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체선간에 절연성 열경화성 수지의 접착층을 가지는 집합 도체가 개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외주에 산화 피막을 형성한 평각 금속 도체를 적층하여, 그 적층 도체부를 절연층으로 피복한 평각 전선이 개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867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5666호
복수의 평각 금속체를 적층하여, 그 외주에 절연용의 에나멜 피막을 형성한 고주파용 종래의 평각 전선에서는, 평각 금속체를 적층하는 것으로 고주파용으로서 특성을 발현하고 있다. 그러나, 모터를 조립할 때의 용접 공정에 있어서, 에나멜 피막이 그을음이 되어서 잔존해 버리고, 강고한 용접은 곤란했다. 또한, 에나멜 피막을 이용하지 않는 평각 전선에서는, 양호한 용접성은 얻어지지만, 굽힘 가공시 각 평각 금속 도체간의 밀착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고주파 특성을 만족하면서, 강고한 용접을 가능하게 하는 것 및 적층된 도체 소선(Conductor strands)과 외층 절연층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굽힘 가공성을 높인 집합 전선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1) 단면 사각형의 도체 소선이 층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 적층 배치된 집합 도체와, 상기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는 상기 집합 도체를 피복하는 외층 절연층을 가지고, 상기 집합 도체와 상기 외층 절연층과의 사이에, 두께 3㎛ 이상 1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가지는 집합 전선.
(2) 상기 접착층이, 250℃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10MPa 이상 1000MPa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1)에 기재된 집합 전선.
(3) 상기 접착층이, 유리 전이 온도가 200℃ 이상 300℃ 이하인 비정성 수지, 혹은 융점이 250℃ 이상 35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1) 또는 (2)에 기재된 집합 전선.
(4) 상기 접착층이,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술폰(PPSU)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1) ~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합 전선.
(5) 상기 접착층이,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1) ~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합 전선.
(6) 상기 층간 절연층이, 융점 250℃ 이상 35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1) ~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합 전선.
(7) 상기 층간 절연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아미드 6T(PA6T), 폴리아미드 9T(PA9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1) ~ (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합 전선.
(8) 상기 외층 절연층이, 융점 270℃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1) ~ (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합 전선.
(9) 상기 외층 절연층이,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변성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변성 PEEK), 열가소성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1) ~ (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합 전선.
(10) 상기 도체 소선의 적층수가 2층 이상으로부터 6층 이하인 (1) ~ (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합 전선.
(11)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정성 수지 혹은 아미드 결합을 가지는 결정성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의 층간 절연층을 베이킹 도장에 의해 일면에 형성한 단면 직사각형의 도체 소선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집합 도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집합 도체의 외주에 열가소성 수지의 접착층을 피복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층의 외주에 외층 절연층을 피복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외층 절연층을 피복하기 전에 상기 집합 도체의 외주에 두께를 3㎛ 이상 10㎛ 이하의 접착층을 형성하는 집합 전선의 제조 방법.
(12) 배선을 가지는 전기 기기로서, 상기 배선의 적어도 일부는, 단면 직사각형의 도체 소선이 층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 적층 배치된 집합 도체와, 상기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는 상기 집합 도체를 피복하는 외층 절연층을 가지고, 상기 집합 도체와 상기 외층 절연층과의 사이에, 두께 3㎛ 이상 1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가지는 전기 기기.
본 발명의 집합 전선은, 적층된 도체 소선간에 층간 절연층을 가짐과 함께 외주에 열가소성 수지의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외층 절연층이 형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고주파에 있어서의 손실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과 함께, 용접했을 때에 그을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강고한 용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용접하기 쉬움을 겸비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에 의해 외장 절연층과 집합 도체와의 밀착력이 강화되어서, 집합 전선의 굽힘 가공성이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집합 전선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고주파 특성, 용접성 및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집합 전선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기기는, 집합 전선이 용접성, 굽힘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선 접속의 신뢰성이 높고, 고주파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적절히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기재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집합 전선에 관한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집합 전선에 관한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용접성의 평가를 나타낸 도면이다. (a)는 용접성이 우수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b)는 용접이 가능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c)는 용접성이 떨어지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d)는 용접이 불가하게 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성형성 평가를 나타낸 도면이다. (a)는 성형성이 우수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b)는 성형성이 양호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는 성형성이 허용 범위 내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d)는 성형성이 떨어지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의 기재는 생략했다.
본 발명의 집합 전선에 대해서,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도 1에 의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 전선(1)은, 단면 직사각형의 도체 소선(11)이 복수 개 적층 배치된 집합 도체(10)를 가진다. 도면에서는, 일례로서 도체 소선(11)을 2층으로 적층한 집합 전선(1)을 나타냈다. 상기 도체 소선(11, 11)간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층간 절연층(12)이 배치되고 있다. 집합 도체(10)는 열가소성 수지의 접착층(13)을 사이에 두고 외층 절연층(14)으로 피복되고 있다.
(도체 소선)
상기 집합 전선(1)에 있어서의 도체 소선(11)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종래의 집합 전선(평각 전선)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사각형 단면은 직사각형 단면을 의미하고, 그 직사각형의 모서리부에 둥그스름한 모양을 가지는 것도 포함하여 말한다. 도체 소선(11)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산소 함유량이 30ppm 이하의 저산소동 또는 무산소동의 도체를 들 수 있다. 도체 소선(11)의 산소 함유량이 적으면, 도체 소선(11)을 용접하기 위해서 열로 용융시켰을 경우, 용접 부분에 함유 산소에 기인하는 보이드의 발생이 없다. 또한 용접 부분의 전기 저항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용접 부분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체 소선간의 층간 절연층)
도체 소선(11, 11)간의 층간 절연층(12)에는, 융점 250℃ 이상 35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가 이용된다. 층간 절연층(12)의 융점이 너무 낮으면, 내열성 시험에 있어서 전기 특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한편, 층간 절연층(12)의 융점이 너무 높으면 용접시에 완전하게 용융되지 않고 잔존되고, 용접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층간 절연층(1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9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융점은 252℃이며,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의 융점은 265℃이다. 또한, 폴리아미드 6T(PA6T)의 융점은 320℃이며, 폴리아미드 9T(PA9T)의 융점은 300℃이다.
층간 절연층(12)은, 도체 소선(11, 11)끼리가 접촉하지 않기 위한 절연층이며, 도체 소선(11, 11)의 대향하는 변의 사이에 형성된다.
(집합 도체의 외주의 접착층)
접착층(13)은, 집합 전선(1)을 굽힘 가공을 실시했을 때에, 도체 소선(11)의 적층 상태가 어긋나는 일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인장 탄성률을 가진다. 접착층(13)의 250℃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10MPa 이상 1000MPa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0MPa 이상 500MPa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0MPa 이상 200MPa 이하이다. 인장 탄성률은, 탄성 한도 내에 있어서 재료가 받은 인장 응력을 재료에 생긴 변형으로 나눈 값이다. 이 값이 클수록 집합 전선(1)에 걸리는 하중에 대한 집합 전선(1)의 변형이 작아진다. 인장 탄성률이 너무 낮으면, 집합 전선(1)을 굽힘 가공했을 때에 도체 소선(11)의 적층 상태의 어긋남이 커진다. 한편, 인장 탄성률이 너무 높으면, 집합 전선(1)을 굽힘 가공했을 때에 굽히기 어려워진다.
또한 접착층(13)은, 도체 소선(11)과 외층 절연층(14)에 대해서 밀착성이 얻어지면 좋다. 이 때문에, 접착층(13)의 두께는, 3㎛ 이상 1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 이상 8㎛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4㎛ 이상 7㎛ 이하이다. 접착층(13)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집합 전선(1)을 굽힘 가공했을 때에 도체 소선(11)의 적층 상태의 어긋남이 커진다. 또한 접착층(13)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집합 전선(1)을 굽힘 가공했을 때에 굽히기 어려워진다.
상기 접착층(13)은, 열가소성 수지이며, 유리 전이 온도가 200℃ 이상 300℃ 이하의 비정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가 너무 낮으면 내열성 시험에 있어서 전기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유리 전이 온도가 너무 높으면 용접시에 완전하게 용융되지 않고 잔존되고, 용접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비정질 수지에는,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술폰, 페닐술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이미드(PEI)의 인장 탄성률은 100MPa, 유리 전이 온도는 217℃이다. 폴리에테르술폰(PES)의 인장 탄성률은 200MPa, 유리 전이 온도는 225℃이다. 폴리페닐술폰(PPSU)의 인장 탄성률은 200MPa, 유리 전이 온도는 220℃이다. 그리고 페닐술폰(PSU)의 인장 탄성률은 30MPa, 유리 전이 온도는 185℃이다.
또는, 접착층(13)에는, 층간 절연층(12)을 변형시키지 않도록, 융점이 250℃ 이상 35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융점이 너무 낮으면 내열성 시험에 있어서 전기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융점이 너무 높으면 용융시에 완전하게 용융되지 않고 잔존되고, 용접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접착층(13)의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층간 절연층(12)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 층간 절연층(12)의 융점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PEI, PES, PPSU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층(13)은 복수층으로 형성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 소선(11)간에 층간 절연층(12)을 사이에 둔 집합 도체(10)를 접착층(13A)과 접착층(13B)의 2층으로 피복하고 있어도 좋다. 접착층(13A)에는, 집합 도체(10)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다. 또한 접착층(13B)에는 외층 절연층(14)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접착층(13A)에는, 폴리아미드 9T(PA9T),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13B)에는, PEI, 폴리페닐술폰(PPSU), 폴리에테르술폰(PE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접착층(13A)과 접착층(13B)과의 밀착성도 우수하다. 이와 같이, 접착층(13)을 2층으로 하는 것으로, 보다 강고한 밀착력을 얻을 수 있다. 즉, 집합 도체(10)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접착층(13A)인 상기 수지와, 외층 절연층(14)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접착층(13B)인 상기 수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강고한 밀착이 가능하게 된다.
(외층 절연층)
외층 절연층(14)은, 융점 270℃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이다. 이 융점은, 상기 층간 절연층(12)이나 접착층(13)을 변질시키지 않기 위해, 이들의 융점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변성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열가소성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페닐렌술피드(PPS)는 융점이 280℃이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은 융점이 343℃이다. 변성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변성 PEEK)은 융점이 345℃이다. 열가소성 폴리이미드는 융점이 388℃이다.
외층 절연층(14)의 두께는, 3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외층 절연층(14) 자체에 강성이 있기 때문에 집합 전선(1)으로서의 가요성이 저하된다. 한편, 외층 절연층(14)의 두께는, 절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30㎛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층 절연층(14)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도,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용접시, 예를 들면 아크 용접시에, 그을음을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고, 상기 그을음에 의한 용접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체 소선의 적층수)
집합 도체(10)의 적층하는 도체 소선(11)의 수가 2층 이상으로부터 6층 이하이다. 적층수가 2층으로 충분히 고주파에서의 손실량의 저감이 예상되고, 층수가 증가할수록 손실량이 더 저감된다. 적층수가 1층이면, 고주파에서의 손실량이 너무 많아진다. 한편, 적층수가 7층 이상이면, 층간 절연층(12)의 층수가 너무 많아져서 굽힘을 행하기 어려워지고 성형성(가공성)이 저하된다. 즉, 적층되고 있는 도체 소선(11)이 어긋나기 쉬워진다. 이상으로부터, 적층수는 6층 이하까지가 현실적이고, 3층 이하가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적층하는 방향은, 도체 소선(11)의 변 중 긴 쪽을 폭, 변 중 짧은 쪽을 두께로 하면, 폭, 두께 중 어느 쪽 방향으로 적층해도 문제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도체 소선(11)의 변 중 긴 쪽을 접촉시키고,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다.
본 발명의 집합 전선(1)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층(12), 접착층(13) 및 외주 절연층(14)을 가진다. 이 때문에, 용접 공정에 있어서 그을음의 발생을 억제한 것에 의해 용접이 용이해지고, 강고한 용접을 할 수 있다. 또한, 도체 소선간에 층간 절연층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고주파에 있어서의 손실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3)에 의해 집합 도체(10)와 외주 절연층(14)과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집합 전선(1)이 성형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집합 전선(1)을 굽혀도 도체 소선(11)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즉, 굽힘 가공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1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층간 절연층(12)이 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바니스를 도체 소선(11) 상에 도포, 베이킹한다.
이 열가소성 수지의 베이킹층은, 단면 직사각형의 도체 소선(11)의 외주 4면 중 1면에만,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바니스를 도포, 베이킹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포에 필요한 면 이외를 마스킹하고, 그 필요한 1면에만 바니스를 도포하는 것으로, 소망의 구성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베이킹 조건은 그 사용되는 노(furnace)의 형상 등에 좌우된다. 예를 들면, 대략 5m의 자연 대류식 수직형 로이면, 400 ~ 500℃에서 통과 시간을 10 ~ 90초로 설정하는 것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접착층(1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집합 도체(10)의 외주에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바니스를 바람직하게는 도포, 베이킹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지 바니스를 도포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좋고, 예를 들면, 집합 도체(10)의 형상과 닮은 꼴로 한 바니스 도포용 다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집합 도체(1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면 우물 정(井)자 형상으로 형성된 「유니버설 다이스」라고 불리는 다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바니스를 도포한 집합 도체(10)는 통상의 방법으로 베이킹로에서 베이킹된다. 구체적인 베이킹 조건은 그 사용되는 노의 형상 등에 좌우된다. 예를 들면, 대략 5m의 자연 대류식의 수직형 로이면, 400℃ ~ 500℃에서 통과 시간을 10초 ~ 90초로 설정하는 것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외주 절연층(14)은, 접착층(13)의 외측에 적어도 1층 또는 복수층이 마련된다. 외주 절연층(14)은 접착층(13)에 의해 집합 도체(10)와의 밀착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외주 절연층(14)의 형성 방법은, 예를 들면, 압출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압출 성형에 의한다. 이 점에서, 열가소성 수지는, 융점이 27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30℃ 이상의 것이다. 이 융점의 상한은, 45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2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이다. 이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 분석(DS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는, 내열 노화 특성에 더하여, 적층 도체부와 적층 도체부의 외주의 층과의 접착 강도 및 내용제성도 우수하다.
또한 외주 절연층(14)은, 부분 방전 개시 전압을 보다 한층 높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비유전율이 4.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8 이하이다. 이 비유전율은 시판의 유전율 측정 장치로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온도, 주파수에 대해서는, 필요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25℃, 50Hz에서 측정한 값이다.
상기 압출 성형 가능한 비유전율이 4.5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변성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외층 절연층(14)에는, 융점이 270℃ 이상 450℃ 이하이며, 비유전율이 4.5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단독이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좋다. 2종 이상 혼합의 경우에서 융점이 2종류 이상 존재하는 경우는 27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수지를 포함하면 좋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대표되는 방향환, 에테르 결합, 케톤 결합을 포함하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 융점 343℃)을 이용한다. 혹은, PEEK에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한 변성 PEEK(융점 345℃)를 이용한다. 또는, PAEK, 변성 PEEK, 열가소성 폴리이미드(TPI: 융점 388℃)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변성 PEEK는, 예를 들면, PEEK에 폴리페닐술폰(PPSU)을 첨가한 혼합물이며, PPSU는 PEEK보다 혼합율이 낮다.
상기 외층 절연층(14)을 압출 성형할 때의 압출 온도 조건은,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응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바람직한 압출 온도의 일례를 들면, 구체적으로는, 압출 피복에 적절한 용융 점도로 하기 위해서 융점보다 약 40℃에서 60℃ 높은 온도로 압출 온도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온도 설정된 압출 성형에 의해서 열가소성 수지의 외층 절연층(14)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제조 공정에서 외층 절연층을 형성할 때에 베이킹로를 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층 절연층(14)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집합 전선(1)은, 집합 도체(10)와 그 외주의 접착층(13)이 높은 접착 강도로 밀착하고 있다. 또한 접착층(13)과 외층 절연층(14)이 높은 접착 강도로 밀착하고 있다. 집합 도체(10)와 그 외주의 접착층(13)과의 접착 강도 및 접착층(13)과 외층 절연층(14)과의 접착 강도는, 예를 들면, JIS C3216-3 코일 시험 방법- 제3부 기계적 특성 중, 5.2 신장 시험과 동일한 요령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신장 후의 시험편에 들뜸이 없는지 육안으로 조사한다.
본 발명의 집합 전선(1)은, 상기 집합 도체(10)를 가로로 복수열로 배열하여, 전체를 접착층(13) 및 외층 절연층(14)으로 피복한 구성이라도 좋다. 복수열의 구성이라도 단열(單列)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집합 전선(평각 전선)(1)은, 전기 기기의 일례로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혹은 전기 자동차의 모터를 구성하는 코일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5955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회전 전기(모터)의 고정자의 코일을 형성하는 코일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은 집합 전선을 적층한 구성에서는, 고주파 영역에 있어서도 전류 손실이 작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0.85×3.2mm(두께×폭)로 4모서리의 모따기 반경 r = 0.3mm인 산소 함유량 15ppm의 구리로 이루어지는 도체 소선(11)(도 1 참조)을 준비했다.
도체 소선(11)의 폭방향의 1면에만, 상기 층간 절연층(12)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층이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이에 두고, 도체 소선(11)을 얻었다. 얻어진 도체 소선(11)을 두께 방향으로 2층 적층하여 집합 도체(10)(도 1 참조)를 얻었다. PET 필름에는 토레샤(TORAY INDUSTRIES, INC.)제 르미라(등록상표)를 사용했다.
접착층(13)의 형성은, 집합 도체(10)의 형상과 닮은 꼴의 다이스를 사용하여,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바니스를 집합 도체(10)에 코팅했다. PEI에는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사(SABIC Innovative Plastics)제, 상품명: 우르템 1010을 이용했다. 그리고, 450℃로 설정한 노 길이 8m의 베이킹로 내를, 베이킹 시간 15초가 되는 속도로 통과시켰다. 폴리에테르이미드 바니스는, N-메틸-2-피롤리돈(NMP)에 폴리에테르이미드를 용해시켰다. 이 1회의 베이킹 공정으로 두께 3㎛의 폴리에테르이미드층을 형성했다. 바니스 농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두께 3㎛의 폴리에테르이미드층을 형성하고, 피막 두께 3㎛의 접착층(13)을 얻었다.
또한 접착층(13)을 형성한 집합 도체(10)를 얻어서, 압출 성형에 의해 그 외주에 상기 외층 절연층(14)이 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층(도 1 참조)을 형성했다. 압출기의 스크류는, 30mm 풀 플라이트, L/D = 20, 압축비 3을 이용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을 이용하고, 압출 온도 조건은 표 1에 따라서 행했다. PEEK에는,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사제, 상품명: 키타스파이어 KT-820, 비유전율 3.1, 융점 343℃를 이용했다. 압출기 내의 실린더 온도를, 수지 투입측으로부터 순서대로 3존의 온도, 300℃, 380℃, 380℃로 했다. 또한 헤드부의 온도를 390℃, 다이스부의 온도를 400℃로 했다. 압출 다이를 이용하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의 압출 피복을 행한 후, 10초간, 방치하고 나서 수냉했다. 그리고, 외주에 접착층(13)을 형성한 집합 도체(10)의 더 외주에, 두께 50㎛의 열가소성 수지의 외층 절연층(14)을 형성하고, 집합 전선(1)(도 1 참조)을 제작했다.
(실시예 2, 4)
층간 절연층(12) 및 외층 절연층(14)의 각각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3)
도체 소선(11)의 적층수를 6층으로 하고, 층간 절연층(12) 및 외층 절연층(14)의 각각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5)
층간 절연층(12), 접착층(13) 및 외층 절연층(14)의 각각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6)
층간 절연층(12)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로 변경하고, 또한 층간 절연층(12), 접착층(13) 및 외층 절연층(14)의 각각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8)
삭제
삭제
도체 소선(11)의 적층수를 6층으로 변경했다. 또한 층간 절연층(12)을 폴리아미드 6T(PA6T)로 변경하고, 또한 층간 절연층(12)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9)
층간 절연층(12)을 폴리아미드 9T(PA9T)로 변경하고, 접착층(13)을 폴리에테르술폰(PES)으로 변경했다. 또한 접착층(13) 및 외층 절연층(14)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10)
층간 절연층(12)을 변성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변성 PEEK)으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11)
도체 소선(11)의 적층수를 4층으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12)
접착층(13)을 페닐술폰(PSU)으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13)
접착층(13)을 폴리프로필렌(PP)으로 변경했다. 또한 층간 절연층(12) 및 외층 절연층(14)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16)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외층 절연층(14)을 폴리아미드 66(PA66)으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17)
접착층(13)을 2층으로 변경하고, 도체 소선(11)측의 접착층을 폴리아미드 9T(PA9T)로 하고, 외층 절연층(14)측의 접착층을 폴리에테르이미드(PEI)로 했다. 또한 2층의 접합층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18)
접착층(13)을 2층으로 변경하고, 도체 소선(11)측의 접착층을 폴리아미드 9T(PA9T)로 하고, 외층 절연층(14)측의 접착층을 폴리에테르이미드(PEI)로 했다. 또한 2층의 접합층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19)
층간 절연층(12)을 폴리아미드 6T(PA6T)로 변경했다. 또한 접착층(13)을 2층으로 변경하여, 도체 소선(11)측의 접착층을 폴리아미드 9T(PA9T)로 하고, 외층 절연층(14)측의 접착층을 폴리에테르이미드(PEI)로 했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12) 및 2층의 접합층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실시예 20)
접착층(13)을 2층으로 변경하여, 도체 소선(11)측의 접착층을 폴리에테르이미드(PEI)로 하고, 외층 절연층(14)측의 접착층을 폴리에테르술폰(PES)으로 했다. 또한 층간 절연층(12), 외층 절연층(14), 및 2층의 접합층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1)을 제작했다.
(비교예 1 ~ 5)
비교예 1은, 층간 절연층(12)을 이용하지 않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을 제작했다.
비교예 2는, 도체 소선(11)의 적층수를 7층으로 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각 전선을 제작했다.
비교예 3은, 층간 절연층을 폴리아미드이미드(PAI)로 변경하고, 접착층(13)을 폴리페닐술폰(PPSU)으로 변경했다. 또한 층간 절연층(12)로 접착층(13)의 피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을 제작했다.
비교예 4는, 접착층(13)을 이용하지 않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을 제작했다.
비교예 5는, 접착층(13)의 두께를 15㎛로 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집합 전선을 제작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실시예 1 ~ 20, 비교예 1 ~ 5의 집합 전선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용접성)
전선 단말에 대해서, 용접 전류를 30A, 용접 시간을 0.1초의 조건으로, 아크 방전을 발생시켜서 용접을 행했다. 전선 단말에 용접볼(weld balls)이 완성되면 용접 가능, 용접볼이 생기지 않고 흘러 버리면 용접 불가로 판정했다. 또한, 용접한 개소 주변에 흑색의 그을음이 발생했을 경우도 용접 불가로 판정했다. 즉,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 전선(1)의 용접한 개소 주변의 색조의 변화가 없고, 또한 집합 전선(1)의 단말에 용접볼(5)이 완성되었을 경우에 우수한 것으로 하여 「A」라고 평가했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 전선(1)의 용접한 개소 주변에 그을음(6)이 발생했지만, 집합 전선(1)의 단말에 용접볼(5)은 완성되었을 경우에, 양호한 것으로 하여 「B」라고 평가했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 전선(1)의 용접한 개소 주변의 색조의 변화가 없고, 집합 전선(1)의 단말에 용접볼이 생기지 않는 경우에, 떨어지는 것으로 하여 「C」라고 평가했다.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 전선(1)의 용접한 개소 주변에 그을음(6)이 발생하고, 집합 전선(1)의 단말에 용접볼이 생기지 않는 경우에, 불가로 하여 「D」라고 평가했다.
합격의 기준은 「A」 및 「B」 판정으로 했다.
또한, 상기 용접한 개소의 주변은, 용접한 단말로부터 선 방향 5mm 정도의 범위를 말한다.
(고주파 특성)
1000Hz, 2.16A, 138Vrms의 조건에 있어서, 교류 자계 발생 장치를 작동시키고, 50mT의 교류 자계를 발생시켰다. 시료를 자계 중에 세트하면 와전류에 의한 발열이 생긴다. 이때의 발열량을 측정하고, 전류 손실(W)로 했다. 적층이 없는 도체 상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를 압출 피복한 집합 전선의 전류 손실량 W0를 상기와 같이 계산했다.
각 시료의 전류 손실량 W와 W0와의 비율이 0.8 이하(손실량의 억제율이 20% 이상)의 경우에 양호라고 평가하여 「B」라고 나타냈다. 또한 상기한 비율이 0.4 이하(손실량의 억제율이 60% 이상)인 경우를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여 「A」라고 나타냈다. 한편, 상기한 비율이 0.8보다 큰(손실량의 억제율이 20% 미만)인 경우를 열악한 것으로 평가하여 「D」라고 나타냈다.
P = EIcosΦ, 단, Φ = tan-1(Ls·2πf/Rs)
E(V): 입력시 전압 실측치
Ls(H): 인덕턴스 실측치
I(A): 입력시 전류 실측치
Rs(Ω): 저항 실측치
이다.
(성형성)
집합 도체(10) 상에 접착층(13), 외층 절연층(14) 등을 압출 피복하여 형성한 집합 전선(1)에 대해서, 단면을 컷하여 관찰했다. 기울거나 어긋남 없이 적층되어 있는지를 확인했다. 기울기에 대해서는 적층시키는 방향에 대해서 각도가 기울어져 있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또한, 어긋남에 대해서는, 도 4에 나타낸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도체 소선(11)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키는 경우는, 폭의 길이의 1/3의 길이 이상의 어긋남이, 서로 이웃이 되는 도체뿐만이 아니라 가장 어긋남이 큰 도체끼리에 대해서도, 없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기울기나 어긋남이 폭의 길이의 1/3n 길이 미만의 경우를 허용 범위 내인 것으로 하여 「A」, 「B」 또는 「C」라고 나타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울기나 어긋남이 있는 경우에는 떨어지는 것으로 하여 「D」라고 나타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 도체(10)를 구성하는 도체 소선(11)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키는 경우, 가장 어긋남이 큰 도체 소선(11)의 폭방향의 어긋남이, 폭 W의 1/10 미만의 길이인 경우에, 우수한 것으로 하여 「A」라고 평가했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 전선(10)을 구성하는 도체 소선(11)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키는 경우, 가장 어긋남이 큰 도체 소선(11)의 폭방향의 어긋남이, 폭 W의 1/10 이상 1/5 미만의 길이인 경우에, 양호한 것으로 하여 「B」라고 평가했다.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도체부(3)을 구성하는 평각선(4)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키는 경우, 가장 어긋남이 큰 평각선(4)의 폭방향의 어긋남이, 폭 W의 1/5 이상 1/3 미만의 길이인 경우에, 허용 범위 내인 것으로 하여 「C」라고 평가했다.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 전선(10)을 구성하는 도체 소선(11)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키는 경우, 가장 어긋남이 큰 도체 소선(11)의 폭방향의 어긋남이, 폭 W의 1/3 이상의 길이인 경우에, 떨어지는 것으로 하여 「D」라고 평가했다.
합격은 「A」, 「B」 및 「C」 평가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층간 절연층(12)의 도시는 생략했다.
(굽힘 가공성 시험(밀착성 시험))
집합 전선(1)에 있어서의 집합 도체(10)와 외측 절연층(14)과의 밀착성을, 하기 굽힘 가공성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제조된 각 집합 전선(1)으로부터 길이 300mm의 직선 형상 시험편을 잘랐다. 이 직선 형상 시험편의 엣지면의 외측 절연층(14)의 중앙부에, 전용 지그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과의 2방향 각각, 깊이 약 5㎛로 길이 50㎛의 결함(절입)을 부여했다. 이 때, 외측 절연층(14)과 집합 도체(10)는 접착층(13)을 사이에 두고 밀착하고 있고, 박리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엣지면은, 평각 형상의 집합 전선(1)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측변(두께, 도 1 및 도 2의 도면 상에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변)이 축선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면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결함은, 도 1 또는 2에 나타나는 집합 전선(1)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쪽의 측면에 부여되어 있다.
이 결함을 정점으로 하고, 직경 1.0mm의 철심을 축으로 하여 직선 형상 시험편을 180°(U자 형상)로 굽히고, 이 상태를 5분간 유지했다. 직선 형상 시험편의 정점 부근에 발생하는 집합 도체(10)와 외측 절연층(14)과의 박리의 진행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본 시험에 있어서, 외측 절연층(14)에 형성한, 어느 결함도 확장되지 않고, 외측 절연층(14)이 집합 도체(10)로부터 박리되지 않았던 경우를 「합격」으로 하여 「A」라고 나타냈다. 외측 절연층(14)에 형성한 결함의 적어도 1개가 확장되어서, 외측 절연층(14)의 전체가 집합 도체(10) 등으로부터 박리되었을 경우를 「불합격」으로 하여, 「D」라고 나타냈다.
Figure 112018047109374-pct00001
Figure 112018047109374-pct00002
Figure 112018047109374-pct00003
Figure 112018047109374-pct00004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20은, 모두, 용접성, 고주파 특성, 성형성, 굽힘 가공성 중 어느 것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실시예 1 ~ 20에서는, 층간 절연층의 두께가 50㎛를 초과 100㎛ 이하에서는 용접성의 평가가 「B」가 되었다. 층간 절연층의 두께가 10㎛ 이상 50㎛ 이하에서는 용접성의 평가가 「A」 또는 「B」가 되었다. 또한, 도체 소선(11)의 적층수가 2층에서는 고주파 특성의 평가가 「B」가 되고, 도체 소선(11)의 적층수가 3층 이상에서는 「A」가 되었다. 또한 접착층의 두께가 3㎛ 이상 10㎛ 이하에서는, 도체 소선(11)의 폭방향의 어긋남이 작고, 성형성의 평가가 「A」 또는 「B」가 되었다. 또한, 접착층을 가지는 모든 실시예에서 굽힘 가공성의 평가가 「A」가 되었다.
이것에 비해, 도체 소선(11)의 적층수가 1층의 비교예 1에서는, 고주파 특성의 평가가 「D」였다. 도체 소선(11)의 적층수가 너무 많은 비교예 2에서는, 성형성의 평가가 「D」였다. 또한, 층간 절연층이 열가소성 수지가 아니라 열경화성 수지의 폴리아미드이미드(PAI)를 이용한 비교예 3에서는, 용접볼이 완성되지 않고, 용접한 개소의 주변에 그을음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용접성의 평가가 「D」였다. 또한 접착층이 없거나 또는 접합층이 너무 두꺼운 비교예 4, 5에서는, 도체 소선(11)의 폭방향의 어긋남이 커지고 성형성의 평가가 「D」였다. 또한, 접착층을 가지는 비교예 1 ~ 3, 5에서는 굽힘 가공성의 평가가 「A」로 우수했지만, 접착층을 가지지 않는 비교예 4에서는 도체 소선으로부터 외층 절연층이 박리되었기 때문에, 굽힘 가공성의 평가가 「D」가 되었다.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함께 설명했지만, 우리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우리의 발명을 설명의 어느 상세한 부분에 있어서도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는 일 없이 폭넓게 해석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본원은, 2015년 11월 20일에 일본에서 특허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5-227868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것들은 여기에 참조하여 그 내용을 본 명세서의 기재의 일부로서 넣는다.
1: 집합 전선
10: 집합 도체
11: 도체 소선
12: 층간 절연층
13, 13A, 13B: 접착층
14: 외층 절연층

Claims (12)

  1. 단면 직사각형의 도체 소선이 층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 적층 배치된 집합 도체와, 상기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는 상기 집합 도체를 피복하는 외층 절연층을 가지고,
    상기 집합 도체와 상기 외층 절연층의 사이에, 두께 3㎛ 이상 1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가지고,
    상기 층간 절연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9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융점 250℃ 이상 350℃ 이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집합 전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250℃에서의 인장 탄성률이 10MPa 이상 1000MPa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집합 전선.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술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집합 전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집합 전선.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절연층이, 융점 27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집합 전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절연층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변성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열가소성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집합 전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소선의 적층수가 2층 이상에서 6층 이하인 집합 전선.
  11.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정성 수지 혹은 아미드 결합을 가지는 결정성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의 층간 절연층을 베이킹 도장에 의해 일면에 형성한 단면 직사각형의 도체 소선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집합 도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집합 도체의 외주에 열가소성 수지의 접착층을 피복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층의 외주에 외층 절연층을 피복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외층 절연층을 피복하기 전에 상기 집합 도체의 외주에 두께를 3㎛ 이상 10㎛ 이하의 접착층을 형성하며,
    상기 층간 절연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9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융점 250℃ 이상 350℃ 이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집합 전선의 제조 방법.
  12. 배선을 가지는 전기 기기로서, 상기 배선의 적어도 일부는, 단면 직사각형의 도체 소선이 층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 적층 배치된 집합 도체와, 상기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는 상기 집합 도체를 피복하는 외층 절연층을 가지고, 상기 집합 도체와 상기 외층 절연층과의 사이에, 두께 3㎛ 이상 1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가지며,
    상기 층간 절연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9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융점 250℃ 이상 350℃ 이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
KR1020187013615A 2015-11-20 2016-11-15 집합 전선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KR102202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7868 2015-11-20
JP2015227868A JP6200480B2 (ja) 2015-11-20 2015-11-20 集合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機器
PCT/JP2016/083815 WO2017086309A1 (ja) 2015-11-20 2016-11-15 集合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781A KR20180084781A (ko) 2018-07-25
KR102202812B1 true KR102202812B1 (ko) 2021-01-15

Family

ID=5871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615A KR102202812B1 (ko) 2015-11-20 2016-11-15 집합 전선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91483B2 (ko)
EP (1) EP3379545B1 (ko)
JP (1) JP6200480B2 (ko)
KR (1) KR102202812B1 (ko)
CN (1) CN108292542A (ko)
MY (1) MY177617A (ko)
WO (1) WO2017086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6500A1 (ja) * 2018-03-12 2019-09-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集合導線、分割導体、これを用いたセグメントコイル及びモータ
JP6887967B2 (ja) * 2018-03-12 2021-06-16 エセックス古河マグネットワイヤジャパン株式会社 絶縁電線、その製造方法、コイル、電気・電子機器および電気・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7105778B2 (ja) 2018-03-30 2022-07-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イル及び電気・電子機器
WO2019188777A1 (ja) 2018-03-30 2019-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イル及び電気・電子機器
JP7452019B2 (ja) * 2020-01-14 202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機子、及び電機子の製造方法
JP2023538532A (ja) * 2020-08-07 2023-09-08 エセックス フルカワ マグネット ワイヤ ユーエスエイ エルエルシー 熱可塑性絶縁体を有するマグネットワイヤ
CN113012847B (zh) * 2021-02-24 2021-11-23 佳腾电业(赣州)有限公司 一种绝缘电线及其制备方法、线圈和电子/电气设备
AT524754A1 (de) * 2021-03-12 2022-09-15 Miba Emobility Gmbh Maschinenbautei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3820A1 (ja) * 2013-09-06 2015-03-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平角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2558A (en) * 1960-12-23 1965-08-24 Gen Electric Process for insulating an electric coil
SE341742B (ko) * 1970-02-24 1972-01-10 Asea Ab
US4204087A (en) * 1976-11-22 1980-05-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Adhesive coated electrical conductors
US4321426A (en) * 1978-06-09 1982-03-23 General Electric Company Bonded transposed transformer winding cable strands having improved short circuit withstand
EP0030338B1 (de) * 1979-12-11 1985-04-03 Asea Ab Isolierter elektrischer Leiter für Wicklungen von Transformatoren und Drosselspulen
CH677565A5 (ko) * 1988-11-10 1991-05-31 Asea Brown Boveri
US5393933A (en) * 1993-03-15 1995-02-28 Goertz; Ole S. Characteristic impedance corrected audio signal cable
EP0931323B1 (de) * 1996-09-30 2000-02-02 ASTA ELEKTRODRAHT GmbH Mehrfachparallelleiter für wicklungen elektrischer maschinen und geräte
US7582692B2 (en) * 2004-04-01 2009-09-0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JP2008528574A (ja) * 2005-01-26 2008-07-31 チョン クン ダ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コープ. フマギロール誘導体またはフマギロ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医薬用組成物
JP4295744B2 (ja) * 2005-06-07 2009-07-15 株式会社モステック 丸線、コイル、ステータコイル、ロータコイル、及び変成器
JP4878002B2 (ja) * 2006-07-06 2012-02-1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電磁機器
JP2008193860A (ja) * 2007-02-07 2008-08-21 Mitsubishi Cable Ind Ltd 集合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6724A (ja) 2007-01-30 2008-08-14 Mitsubishi Cable Ind Ltd 集合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379393B2 (ja) 2008-03-28 2013-12-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平角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JP5306742B2 (ja) * 2008-08-28 2013-10-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ワイヤ
CN201307453Y (zh) * 2008-11-20 2009-09-09 南京绿安智能装饰布线集成有限公司 室内阻燃同轴射频电视电缆
KR101073698B1 (ko) * 2009-09-07 2011-10-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점착테이프와 리드프레임의 라미네이션 방법
JP5166495B2 (ja) * 2010-08-11 2013-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ドライマイカ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絶縁線輪
CN201984898U (zh) * 2010-12-23 2011-09-21 吴江奇才电子科技有限公司 极细音视频线
WO2014103665A1 (ja) 2012-12-28 2014-07-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ワイヤ、電気機器および絶縁ワイヤの製造方法
JP5391341B1 (ja) * 2013-02-05 2014-01-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耐インバータサージ絶縁ワイヤ
EP3043355A4 (en) * 2013-09-06 2017-04-26 Furukawa Electric Co., Ltd. Flat electric wir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3820A1 (ja) * 2013-09-06 2015-03-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平角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00480B2 (ja) 2017-09-20
WO2017086309A1 (ja) 2017-05-26
US20180268962A1 (en) 2018-09-20
CN108292542A (zh) 2018-07-17
EP3379545A4 (en) 2019-07-10
EP3379545A1 (en) 2018-09-26
KR20180084781A (ko) 2018-07-25
JP2017098030A (ja) 2017-06-01
EP3379545B1 (en) 2023-07-19
MY177617A (en) 2020-09-23
US10991483B2 (en)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812B1 (ko) 집합 전선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JP6325550B2 (ja) 平角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機器
JP6325549B2 (ja) 平角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機器
US9691521B2 (en) Rectangular insulated wire and electric generator coil
US9224523B2 (en) Inverter surge-resistant insulated wire
US9536636B2 (en) Insulated wire, coil, and electric/electronic equipments as well as method of producing a film delamination-resistant insulated wire
JP6407168B2 (ja) 絶縁ワイヤ、モーターコイル、電気・電子機器および絶縁ワイヤの製造方法
US10037833B2 (en) Insulated wire, coil, and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insulated wire
US20160322126A1 (en) Insulated wire, coil, and electrical/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eventing cracking of insulated wire
US11217364B2 (en) Insulated wire, coil, and electric/electronic equipments
US9892819B2 (en) Insulated wire, coil, and electronic/electrical equipment
JP6974330B2 (ja) 絶縁電線、コイルおよび電気・電子機器
TW201802831A (zh) 絕緣電線、馬達線圈及電氣、電子機器
KR20180118660A (ko) 절연 전선, 코일 및 전기·전자 기기
JPWO2019188776A1 (ja) 絶縁電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イル及び電気・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