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287B1 - 미세조류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의 바이오매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조류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의 바이오매스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287B1
KR102202287B1 KR1020157020594A KR20157020594A KR102202287B1 KR 102202287 B1 KR102202287 B1 KR 102202287B1 KR 1020157020594 A KR1020157020594 A KR 1020157020594A KR 20157020594 A KR20157020594 A KR 20157020594A KR 102202287 B1 KR102202287 B1 KR 10220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ass
weight
dha
acid
expressed b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976A (ko
Inventor
세르주 코미니
베르나르 포라
Original Assignee
로께뜨프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께뜨프레르 filed Critical 로께뜨프레르
Publication of KR2015011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9/013Other fatty acid esters, e.g. phospha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5Unicellular algae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C12P7/6427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45Glycerides
    • C12P7/6463Glycerides obtained from glyceride producing microorganisms, e.g. single cell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C12R1/89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89Algae ; Processes using algae

Abstract

본 발명은 많은 양의 도코사헥사엔산 (또는 DHA) 및 팔미트산을 생성하는 능력을 갖는, 2012년 11월 22일자로 CNCM에 기탁 번호 I-4702로 기탁된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Schizochytrium mangrovei) 균주, 관심대상의 상기 지질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응하는 바이오매스(biomass)의 제조 방법, 및 이 균주로부터 제조된 생성물 및 조성물을 함유하는 바이오매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조류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의 바이오매스 및 이의 제조 방법{BIOMASS OF THE MICROALGAE SCHIZOCHYTRIUM MANGROVEI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도코사헥사엔산 (또는 DHA), 팔미트산 및 인지질, 특히 포스파티딜콜린이 풍부한 미세조류(microalgae)의 바이오매스(biomass), 트라우스토카이트리움(Thraustochytrium) 속의 미세조류, 더욱 특히는 시조카이트리움(Schizochytrium)의 바이오매스, 적절한 예로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Schizochytrium mangrovei)의 특정 균주(strain)의 바이오매스에 관한 것이다.
지질은 단백질 및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주요 영양소(macronutrient)의 3가지 주요 패밀리(family) 중 하나를 구성한다.
지질 중에서, 특히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인지질이 두드러진다:
- 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아실글리세롤 또는 트리아실글리세라이드 또는 TAG로도 칭해짐)는 글리세롤의 3개의 히드록실기가 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된 글리세라이드이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식물유 및 동물성 지방의 주요 구성성분이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인간에 의해 섭취되는 식이 지질(dietary lipid)의 대략 95%에 상당한다. 체내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주로 지방 조직에 존재하며, 주요 에너지 저장 형태를 구성한다.
- 인지질은 친양쪽성 지질, 즉, 1개의 극성 (친수성) "헤드(head)" 및 2개의 지방족 (소수성) "테일(tail)"로 이루어진 지질이다.
인지질은, 인지질이 특히 유동성을 제공하는 세포막의 구성성분이기 때문에 구조적 지질이다.
대부분의 인지질은 포스포글리세라이드인데, 이의 헤드는 극성 분자로 에스테르화된 글리세롤-3-포스페이트 잔기 주위에서 구조화되며(organized), 2개의 테일은 2개의 지방산의 지방족 사슬이다.
다른 인지질로는 스핑고마이엘린이 있으며, 이는 구조적으로 스핑고신으로부터 유도되고 글리세롤로부터는 유도되지 않고, 스핑고신은 상기 2개의 지방족 테일 중 하나를 구성한다.
생조직으로부터 단리된 제1 인지질은 난황 레시틴으로부터 특성화되었으며, 상기 인지질은 더욱 특히는 포스파티딜콜린이었다. 게다가, 이것은 포스파티딜콜린이 레시틴으로도 공지된 이유이다.
포스파티딜콜린은 간에 의해 천연적으로 생성된다. 포스파티딜콜린은 담즙의 중요한 구성성분이며, 여기서, 포스파티딜콜린은 십이지장에 존재하는 지방을 유화시킨다. 포스파티딜콜린은 담즙산염에 더하여, 지질 소적이 재응집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또한 필요하다.
인지질로서, 포스파티딜콜린은 세포막에 참여하며 세포막의 점탄성을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포스파티딜콜린은 신경계의 필수 성분이며, 뇌의 건조 중량의 30% 및 신경의 15%에 가까운 %를 구성한다.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인지질은 주로 지방산으로 구성되며, 이들 둘 모두는 음식물(diet)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인지질 중 일부는 유기체에 의해 합성된다.
생화학적 분류 (지방산 분자 중에 함유된 이중 결합의 수를 기반으로 함)에 의하면 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SFA), 단일불포화 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및 다중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이 구별된다.
생리학적 관점에서, 하기가 구별된다:
- 인체의 발달 및 올바른 기능에 요구되지만 신체가 생성할 수는 없는 불가결 지방산;
- 세포의 정상적인 성장 및 생리학적 기능에 필수적이지만, 음식물에 의해 제공될 경우 전구체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조건부" 불가결 지방산. 따라서 이 지방산은 그의 불가결 전구체가 부재할 경우 철저하게 요구된다;
- 비불가결 지방산.
불가결 및 "조건부" 불가결 지방산의 세트가 필수 지방산을 구성한다.
다른 지방산은 비필수 지방산으로 칭해진다.
비불가결 지방산 중에는 특히 하기가 있다:
- 오메가 3 지방산 패밀리의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 음식물 중 주된 단일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 및
- 포화 지방산, 예컨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또는 팔미트산.
다중불포화 지방산은 최종 메틸 작용체로부터 시작하여 제1 이중 결합의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따라서, 명명법에서, 오메가 "x" 또는 "nx"에 있어서 "x"는 제1 불포화체의 위치에 상응한다.
필수 지방산의 2가지 주요 패밀리가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전구체 및 주요 대표자가 리놀레산(LA)인 오메가 6 지방산 (또는 n-6 PUFA), 및 전구체가 알파-리놀렌산 (ALA)인 오메가 3 지방산 (또는 n-3 PUFA).
생물학적 관심대상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중 대다수는 오메가 6 패밀리 (아라키돈산 또는 ARA) 또는 오메가 3 패밀리 (에이코사펜타엔산 또는 EPA, 도코사헥사엔산 또는 DHA)에 속한다.
게다가, 명명법에서, 사슬을 구성하는 탄소수가 또한 정의되며, 따라서, EPA는 C20:5로 기술되고 DHA는 C22: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5" 및 "6"은 각각 EPA 및 DHA로 제시되는 탄소 사슬의 불포화체의 개수에 상응한다.
오메가 3 지방산 패밀리의 DHA는 유기체가 알파-리놀렌산으로부터 합성할 수 있거나, 기름기가 많은 생선 (참치, 연어, 청어 등)의 소비에 의해 제공되는 지방산이다.
DHA는 막의 구조에서, 그리고 뇌 및 망막의 발달 및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유는 DHA 및 EPA와 같은 오메가 3 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 주로 사용되지만, 어유는 미세조류의 오일에서 또한 발견되며, 여기서 어유는 혼합물로서 또는 별도로 추출되는데, 이는 예를 들어 단지 미량의 EPA를 함유하지만 높은 DHA 함량을 함유하는 시조카이트리움 속의 균주와 같은 특정한 선발된 균주로부터 유래되는 오일에서 흔히 있는 일이다.
DHA가 풍부한 미세조류의 바이오매스의 상업적 제제가 입수가능하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하기에 대해 언급될 수 있다:
- 담륜충(rotifer) 양식에서의 영양을 위하여 제안된, 아쿠아포나 바이오-마린 인크.(Aquafauna Bio-Marine Inc.)에 의해 판매되는 알가막류(Algamac range)의 제품, 또는
- 디에스엠(DSM)이라는 회사에 의해 브랜드명 DHA 골드(Gold)TM로 판매되는 제품.
그러나, DHA 함량이 높고, 장쇄 포화 또는 다중불포화 지방산 및 인지질의 전적으로 특정한 프로파일을 갖는 양질의 미세조류의 바이오매스를 제공할 필요가 남아 있다.
우선, DHA가 풍부하고, 하기를 갖는 미세조류의 신규한 바이오매스를 제공한 것은 본 출원인의 큰 명예였다:
- DHA 이외의 낮은 함량의 다중불포화 지방산 (예컨대 EPA),
- 제한된 함량의 특정한 장쇄 포화 지방산 (예컨대 미리스트산 및 라우르산),
- 높은 함량의 인지질 (상업적 제제에서 통상적으로 발견되는 양의 2배 이하), 더욱 특히는 포스파티딜콜린.
마찬가지로, 종래 기술에 기술된 것보다 더 효율적이고 훨씬 덜 비싼 생산 공정의 개발을 열망하여, 본 출원인은 연구 동안, DHA를 생성하고 하기를 생성하는 독특함을 갖는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의 신규한 균주를 동정하였다:
- 매우 적은 고콜레스테롤(hypercholesterolemic) 포화 지방산 (당업자가 알고 있는 공지된 가장 고콜레스테롤성인 라우르산 및 미리스트산 6% 미만),
- 팔미트산 40% 초과,
(본원에서, 상기 %는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이 이해됨).
헥사데칸산 또는 세틸산으로도 칭해지는 팔미트산은 동물 및 식물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C16:0 포화 지방산 중 하나이다.
팔미트산은 지질 생성 동안 생성되는 첫 번째 지방산이며; 더 긴 지방산은 상기 팔미트산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것은 ATP의 합성에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산이다. 이의 연소의 에너지 균형은 129 ATP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것은 탁월한 에너지 식품을 구성한다.
산업적으로, 팔미트산은 마가린 및 경질 비누의 제조에 또한 사용된다.
페인트 분야에서, 이것이 포화됨을 고려하면, 팔미트산은 (올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과는 달리) 일단 대기중 산소와 접촉하면 중합될 수 없고 강성으로 될 수 없다. 따라서, 이것은 그의 연질 고체 형태로 남아 있고 중합 유성 결합제용 가소제로서 작용한다 (스테아르산에서). 따라서, 스테아르산에서, 이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오일-함유 회화 재료의 우수한 보존에 요구되는 탄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의 바이오매스는 하기를 갖는다:
- 1.5 내지 2%의 인지질 함량, 이 중 1 내지 1.3%는 포스파티딜콜린으로 이루어짐,
- N x 6.25로 표현되는 10 내지 20%의 전체 아미노산 함량 (본원에서 상기 %는 건조 물질 99%의 바이오매스 100 g에 대한 중량 기준의 것으로 이해됨).
이러한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 균주는 2012년 11월 22일자로 프랑스에서 프랑스 75724 빠리 세덱스 15 뤼 뒤 독뙤르 루 25 소재의 파스퇴르 연구소(Institut Pasteur)의 미생물 배양 기탁 기관(Collection Nationale de Cultures de Microorganismes[National Collection of Microorganism Cultures]; CNCM)에 기탁 번호 CNCM I-4702로 기탁되었다.
이것은 18 S rRNA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서열결정에 의해 특성화되었는데, 이는 이것을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 타입의 균주로 동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Figure 112015073623168-pct00001
따라서, 본 발명은 2012년 11월 22일자로 CNCM에 기탁 번호 I-4702로 기탁된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 균주에 관한 것이다.
이 균주는 본 출원에서 후속적으로 "CNCM I-4702"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 균주의 변이체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균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변이체 또는 상기 유래된 균주에서는 높은 함량의 DHA 및 팔미트산을 생성하는 특성이 보존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또는 유전자 형질전환에 의해 CNCM I-4702 균주로부터 수득되는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 균주에 관한 것이다. 돌연변이 유발은 부위 지정(site-directed) 및/또는 랜덤(random) 돌연변이 유발일 수 있다. 이 균주에서는 높은 함량의 DHA 및 팔미트산을 생성하는 특성이 보존된다. 특히, 이것은 35% 초과의 DHA 및 40% 초과의 팔미트산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이것이 실시예 1에 기술된 조건 하에서 배양될 때 그러한데, 상기 두 %는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된다. 게다가, 이것은 건조 물질 99%의 바이오매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1 내지 1.3%의 포스파티딜콜린을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균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는 CNCM I-4702 균주의 돌연변이 유발 또는 유전자 형질전환 단계 및 선택적으로, 하기를 생성하는 균주를 선발하기 위한 스크리닝 단계를 포함한다:
- 35% 초과의 DHA,
- 40% 초과의 팔미트산
(이들 두 %는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됨),
- 1 내지 1.3%의 포스파티딜콜린
(이 %는 건조 물질 99%의 바이오매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됨).
본 발명은 CNCM I-4702 균주 또는 DHA 및 팔미트산의 생성 능력이 보존된 이의 변이체의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는 상기 균주를 적절한 배지에서 적합한 배양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의 바이오매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는 상기 바이오매스를 하기 단계의 시퀀스(sequence)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균주를 종속 영양 조건에서 배양하여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35 내지 40%의 DHA,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40 내지 50 중량%의 팔미트산, 및 바이오매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가 표현될 경우 1 내지 1.3%의 포스파티딜콜린을 생성하는 단계,
○ 그렇게 제조된 바이오매스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바이오매스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배양은 종속 영양 조건에서 실시된다. 일반적으로, 배양 단계는 상기 균주를 회복시키기 위한 전배양 단계, 그 후 적당한 배양 또는 발효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후자의 단계는 관심대상의 지질 화합물의 생성 단계에 상응한다.
본 출원인은 CNCM I-4702 균주에 있어서, 3단계 호기성 발효의 실시를 권고하며, 이는 이하에 예시되는 바와 같다.
이전의 전배양 단계 후, 3개의 발효 단계는 CNCM I-4702를, 탄소원의 공급이 상기 미생물에 의한 글루코스 소비에 따라 조절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글루코스 소비는 첫 번째 시간의 발효에서 점진적으로 소비되며, 그 후 이것은 발효 마지막까지 일정하게 남아 있음이 주지된다.
후속적으로, 본 발명은 발효 마지막에, 관심대상의 지질 화합물, 이 경우에는 DHA 및 팔미트산이 풍부한 바이오매스의 회수에 관한 것이다.
발효 단계 후, 바이오매스는
- 그러한 바이오매스에 존재하는, 그러나 배양 배지에도 존재하는 지질 분해 효소 (리파아제(lipase))가 불활성화되도록 저온 살균되며,
- 당업자에게 그 자체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발효 배지로부터 회수되며; 예를 들어, 바이오매스는 발효기로부터 추출되어 단순히 미세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농축되거나 수성 용액을 이용한 연속적인 농도 희석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발효 후, 바이오매스는
-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35 내지 40%의 DHA,
-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40 내지 50 중량%의 팔미트산,
- 바이오매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가 표현될 경우 1.5 내지 2%의 인지질 - 이의 1 내지 1.3%는 포스파티딜콜린으로 이루어짐 - 을 함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식품 부문(sector), 특히 동물 영양용으로 의도된, 그러나 또한 인간 영양용으로 의도된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된 DHA, 팔미트산 및 포스파티딜콜린 풍부 바이오매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한 DHA, 팔미트산 및 포스파티딜콜린 풍부 바이오매스의 생성, 그 후 식품 부문용으로 의도된 조성물의 제조를 포함하는, 식품 부문용으로 의도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CNCM I-4702 균주 또는 DHA를 생성하는 능력이 보존된 이의 변이체, 및 이의 배양 또는 발효 후 수득되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생성물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생성물 또는 이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식품 또는 영양 보충제이다.
이것은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일 수 있다.
이 생성물 또는 이 조성물은 분말, 과립, 겔 캡슐, 캡슐 또는 정제 형태, 바람직하게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이고자 하는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 명확하게 이해된다.
실시예 1: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 균주 CNCM I-4702에 의한 DHA 및 팔미트산 풍부 바이오매스의 생성
배양 배지의 조성 및 발효 조건이 하기 표에 주어져 있다.
Figure 112015073623168-pct00002
10 m3 발효기의 살균 배양 배지 중 초기 글루코스 농도를 15 내지 16 g/ℓ로 고정한다.
Figure 112015073623168-pct00003
10 m3의 발효 동안 글루코스를 공급하는 원칙은 하기와 같다:
√ 글루코스 공급 용액의 농도는 50 내지 60%이며,
√ 잔존 글루코스 농도(residual glucose concentration; RCS)가 48시간 전에 1 g/ℓ로 감소할 때, 글루코스가 고갈되고 발효가 완료될 때까지 0.65 g/ℓ의 글루코스를 함유하는 용액을 1단계로 공급한다.
다양한 발효의 결과가 하기 표에 주어져 있다.
Figure 112015073623168-pct00004
Figure 112015073623168-pct00005
Figure 112015073623168-pct00006
처음 24시간의 발효 동안 아미노 질소의 거의 70%가 소비되며; 인은 또한 세포 성장 단계 동안 소비되고, 후속적으로 더 이상 소비되지 않는다 (통기 유량 및 발효 온도의 조절과 관련됨).
지질 축적 수준 및 DHA 생성 수준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72시간에 최대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세포의 회수는 이 발효 시간에 도달하면 최적으로 된다.
발효를 81시간에 중단하는 것을 선택한다.
실시예 2: 동물 및 인간 영양에서의 응용을 위한 CNCM I-4702 균주의 바이오매스의 회수 및 컨디셔닝(conditioning)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발효의 마지막에 회수한 바이오매스는 하기 조성을 갖는다:
Figure 112015073623168-pct00007
회수된 바이오매스를 처음에 6000 g에서 원심분리하고, 그 후, 회수된 세포를 살균수에서 희석시키고 (1.5/1의 비), 그 후 두 번째로 원심분리한다.
그 후, 이것을 70℃에서 15분 동안 열처리한다.
2.55 t의 습윤 바이오매스 (16.7%의 건조 물질)를 회수한다.
동물 영양용으로 의도된 제형을 위하여 여기에 하기를 첨가한다:
- 18의 덱스트로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을 갖는 2%의 말토덱스트린,
- 0.5%의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디글리세라이드,
- 1%의 시트르산,
- 0.2%의 안트라신(anthracyne) 2727 (산화방지제로서) 및
- 0.2%의 인산삼칼슘.
인간 영양용으로 의도된 제형에 있어서, 토코페롤계의 식품 등급 산화방지제 또는 로즈마리 추출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바이오매스는 하기 표 7에 주어진 조건에서 단일 스테이지(stage) 분무 건조기에서 분무 건조시킨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실행):
Figure 112015073623168-pct00008
건조된 바이오매스의 조성은 하기와 같다 (표 8):
Figure 112015073623168-pct00009
실시예 3: 구매가능한 것과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의 지질 프로파일의 비교 연구
지방산은 메탄올성 염산을 이용한 에스테르 교환 및 클로로포름을 이용한 추출 후 메틸 에스테르의 형태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분포 %로 표현하며; 분석을 내부 표준화법으로 실시한다.
화염 이온화 검출기 및 탭포커스 라이너(tapfocus liner)를 갖춘 분할-비분할 주입기(split-splitless injector)가 구비된 크로마토그래프 (바리안(Varian) 3800)를 사용하였다.
메탄올 1 ml당 대략 정확하게 0.5 mg의 메틸 헵타데카노에이트를 함유하는 내부 표준 용액을 제조하였다. 메틸 헵타데카노에이트는 기준물의 크로마토그래피점(chromatographic point)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대략 정확하게 30 mg의 사전 건조된 샘플을 6 ml 튜브 내로 칭량하여 넣었다. 1 ml의 내부 표준 용액, 그리고 그 후 2 ml의 3 N 메탄올성 염산을 2개의 측정선을 갖는 피펫을 사용하여 첨가하였다. 그 후, 상기 튜브의 뚜껑을 닫고, 이를 110℃로 온도 조절된 건조 조(dry bath) 내에 4시간 동안 두었다.
냉각 후, 약 0.5 ml의 물 및 0.5 ml의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3회의 1 ml 클로로포름을 이용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클로로포름 상을 6 ml 튜브에 회수하였으며, 이때 이를 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컬럼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클로로포름 상을 질소 스트림 하에서 약 1 ml로 농축시켜 주입하였다.
각각의 지방산 (i)의 분포 %는 라우르산 (C12:0)으로부터 DHA (C22:6 Δ4c, 7c, 10c, 13c, 16c, 19c)까지 - 상기 라우르산과 상기 DHA를 포함함 - 크로마토그램 상에 정확하게 보여지는 모든 피크의 면적의 합계에 대한 이 지방산의 피크의 면적의 비로 수득하였으며, 이때 메틸 헵타데카노에이트 피크를 제외하였다.
인지질은 하기 조건 하에서 실시한 바이오매스의 파괴 및 냉추출 후 분석한다.
바이오매스의 파괴
정확하게 200 mg의 신선 바이오매스를 나사식 뚜껑(screw-top) 파이렉스(Pyrex) 튜브 내에 칭량하여 넣는다. 약 1 내지 1.5 cm의 유리 비드 (레트슈(Retsch), 참조 번호: 22.222.0003) 및 0.1 ml의 메탄올을 첨가한다. 상기 튜브를 밀폐하고, 와동 혼합기에 의해 5분 이상 동안 교반시킨다.
냉추출
정확하게 2 mg의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순도: 98% 이상)를 마이크로그램 저울을 이용하여 작은 알루미늄 보트(boat) 내로 칭량하여 넣는다.
상기 보트를 0.9 ml의 메탄올 및 2 ml의 클로로포름과 함께 직경이 5 mm인 파이렉스 NMR 튜브 내에 둔다. 상기 튜브를 밀폐시키고, 와동 혼합기에 의해 1분 동안 교반시킨다.
상기 튜브를 냉장고 내에 둔다. 침강 후 (최소 1시간), 투명한 상부 상을 조심스럽게 회수하고, 질소 스트림 하에서 주위 온도에서 증발 건조시키기 위하여 유리병 내로 옮긴다.
고형 추출물을 0.5 ml의 CDCl3 및 0.1 ml의 CD3OD에 용해시키고, NMR 튜브 내로 옮긴다.
인지질 함량을 NMR에 의해 수득된 인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표현하기 위하여, 4가지의 주요 인지질에 의해 제공되는 인을 고려하며, 올레산을 사용하여 이들 각각의 몰 질량을 계산한다.
인지질 함량은 그렇게 계산된 이들 4가지 인지질의 양의 합계이다. 본 발명의 것에 더하여, 이들 방법에 따라 분석된 바이오매스 (하기 표 9 및 표 10에서)는 아쿠아포나 바이오-마린 인크., 디에스엠/마르텍(DSM/Martek) 및 뉴 호라이즌(New Horizon)이라는 회사에 의해 판매되는 바이오매스이다.
Figure 112015073623168-pct00010
Figure 112015073623168-pct00011
본원에 제시된 결과의 판독시에, 지방산 프로파일에 대하여
-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는 상업적 DHA 풍부 바이오매스의 DHA 함량보다 약간 더 낮은 DHA 함량을 갖지만, 2배인 팔미트산 함량을 갖는데, 이는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의 바이오매스의 핑거프린트(fingerprint)를 구성하며;
- 등가의 DHA 함량 및 팔미트산 함량을 갖는 상업적 오일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는 2배의 함량의 인지질 (더욱 특히는 포스파티딜콜린)을 갖고;
- 아미노 질소 함량이 훨씬 더 높다.
미생물 배양 기탁 기관 CNCMI-4702 20121122
SEQUENCE LISTING <110> ROQUETTE FRERES <120> BIOMASSE DE LA MICROALGUE SCHIZOCHYTRIUM MANGROVEI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130> B1551PC <160> 1 <170> PatentIn version 3.3 <210> 1 <211> 454 <212> DNA <213> Schizochytrium mangrovei <400> 1 ggttttacat tgctctcatt ccgatagcaa aacgcataca cgcttcgcat cgatatttct 60 cgtcctacct cgtggagtcc acagtgggta atttacgcgc ctgctgctat ccttggatat 120 ggtagccgtc tctcaggctc cctctccgga gtcgagccct aactctccgt cacccgttat 180 agtcaccgta gtccaataca ctaccgtcga caactgatgg ggcagaaact caaacgattc 240 atcgaccaaa awagtcaatc tgctcaatta tcatgattca ccaataaaat cggcttcaat 300 ctaataagtg cagccccata cagggctctt acagcatgta ttatttccag aattactgca 360 ggtatccata taaaagaaac taccgaagaa attattactg atataatgag ccgttcgcag 420 tctcacagta caatcgctta tacttacaca gcag 454

Claims (15)

  1. 2012년 11월 22일자로 CNCM에 기탁 번호 I-4702로 기탁된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Schizochytrium mangrovei) 균주.
  2. 제1항에 청구된 균주의 배양 단계 및 관심대상의 지질 화합물이 풍부한 바이오매스(biomass)의 회수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관심대상의 상기 지질 화합물은 도코사헥사엔산 (또는 DHA) 및 팔미트산인, 관심대상의 지질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세조류(microalga)의 바이오매스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를 하기 단계의 시퀀스(sequence)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균주를 종속 영양 조건에서 배양하여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35 내지 40%의 DHA 및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40 내지 50 중량%의 팔미트산을 갖는 바이오매스를 생성하는 단계,
    ○ 그렇게 제조된 바이오매스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바이오매스를 건조시키는 단계.
  5.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항에 정의된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도코사헥사엔산 (또는 DHA) 및 팔미트산인 관심대상의 지질 화합물을 함유하는 바이오매스:
    ○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35 내지 40%의 DHA,
    ○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40 내지 50 중량%의 팔미트산, 및
    ○ 건조 물질 99%의 바이오매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1.5 내지 2%의 인지질.
  6. 삭제
  7.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4항에 정의된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도코사헥사엔산 (또는 DHA) 및 팔미트산인 관심대상의 지질 화합물을 함유하는 바이오매스:
    ○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35 내지 40%의 DHA,
    ○ 전체 지방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40 내지 50 중량%의 팔미트산, 및
    ○ 건조 물질 99%의 바이오매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될 경우 1.5 내지 2%의 인지질.
  8. 제5항에 있어서, N x 6.25로 표현될 경우 10 내지 20% - 상기 백분율은 바이오매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됨 - 의 전체 아미노산 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N x 6.25로 표현될 경우 10 내지 20% - 상기 백분율은 바이오매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됨 - 의 전체 아미노산 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11. 제5항, 제7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 영양용으로 의도된 식품 제품 또는 식품 보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12. 제2항 또는 제4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매스 또는 제5항, 제7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식품 부문(sector)용으로 의도된 조성물.
  13. 제2항 또는 제4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매스 또는 제5항, 제7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식품 제품.
  14. 삭제
  15. 삭제
KR1020157020594A 2013-02-06 2014-02-05 미세조류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의 바이오매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02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1017A FR3001736B1 (fr) 2013-02-06 2013-02-06 Biomasse de la microalgue schizochytrium mangrovei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FR1351017 2013-02-06
PCT/EP2014/052214 WO2014122158A1 (fr) 2013-02-06 2014-02-05 Biomasse de la microalgue schizochytrium mangrovei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976A KR20150112976A (ko) 2015-10-07
KR102202287B1 true KR102202287B1 (ko) 2021-01-13

Family

ID=4817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594A KR102202287B1 (ko) 2013-02-06 2014-02-05 미세조류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의 바이오매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816116B2 (ko)
EP (1) EP2954072B1 (ko)
JP (1) JP2016509483A (ko)
KR (1) KR102202287B1 (ko)
CN (1) CN104968779A (ko)
CA (1) CA2899231C (ko)
FR (1) FR3001736B1 (ko)
WO (1) WO2014122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1984B1 (fr) * 2015-01-27 2019-05-24 Roquette Freres Procede d'enrichissement de la biomasse de microalgues du genre traustochytrium en dha et en acides amines arg et glu
KR101777217B1 (ko) * 2015-09-15 2017-09-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Dha를 고농도로 포함한 바이오오일 생산 미세조류인 스키조키트리움 속 sh103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17131188A1 (ja) * 2016-01-28 2017-08-03 日本水産株式会社 高度不飽和脂肪酸を含む油脂の製造方法
GB201701014D0 (en) * 2017-01-20 2017-03-08 Megatech Res Gmbh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CN109938193A (zh) 2017-12-20 2019-06-28 罗盖特公司 Dha生物质、ara残余物和玉米蛋白粉用于白虾饲料的应用
EP3852544A4 (en) 2018-09-21 2022-07-06 Heliae Development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ODD-CHAIN FATTY ACIDS INTO POULTRY EGGS
EP4198136A3 (en) 2021-12-16 2023-08-30 Indian Oil Corporation Limited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enhancing high value lipids
CN116555362A (zh) 2022-01-29 2023-08-08 罗盖特公司 使用解脂耶氏酵母生产脂质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3475B1 (en) 1995-04-17 2009-06-17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Novel microorganisms capable of producing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and process for producing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by using the microorganisms
US20100239712A1 (en) 2008-10-14 2010-09-23 Solazyme, Inc. Food Compositions of Microalgal Bioma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70929A (zh) * 2005-12-16 2009-02-18 阿维沙基因有限公司 生产二十二碳六烯酸(dha)的破囊壶菌菌株-sc1
JP5531324B2 (ja) 2006-08-01 2014-06-25 ディーエスエム ニュートリショナル プロダクツ アーゲー 油生産微生物およびその改変方法
CN102839129A (zh) * 2011-06-23 2012-12-26 法国罗凯特兄弟公司 一种裂殖壶菌诱变方法及其产生的变异株
UA112080C2 (uk) * 2011-07-13 2016-07-25 Олтек, Інк.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водоростевої біомаси і її використанн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3475B1 (en) 1995-04-17 2009-06-17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Novel microorganisms capable of producing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and process for producing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by using the microorganisms
US20100239712A1 (en) 2008-10-14 2010-09-23 Solazyme, Inc. Food Compositions of Microalgal Biomas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2004, Vol. 52, pp. 1196-1200
J. Agric. Food Chem., 2007, Vol. 55, pp. 2906-2910
J. Phycol., 2011, Vol. 47, pp. 944-95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99231C (fr) 2021-05-25
US20160145656A1 (en) 2016-05-26
US20180016605A1 (en) 2018-01-18
FR3001736A1 (fr) 2014-08-08
WO2014122158A1 (fr) 2014-08-14
US9816116B2 (en) 2017-11-14
CA2899231A1 (fr) 2014-08-14
CN104968779A (zh) 2015-10-07
EP2954072B1 (fr) 2016-11-16
KR20150112976A (ko) 2015-10-07
FR3001736B1 (fr) 2016-03-04
EP2954072A1 (fr) 2015-12-16
JP2016509483A (ja)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287B1 (ko) 미세조류 시조카이트리움 만그로베이의 바이오매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hen et al. Fatty acid and lipid class composition of the eicosapentaenoic acid-producing microalga, Nitzschia laevis
Bondioli et al. Oil production by the marine microalgae Nannochloropsis sp. F&M-M24 and Tetraselmis suecica F&M-M33
CA2837215C (en) Algal lip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tilizing the same
Tanaka et al. Production of eicosapentaenoic acid by high cell density cultivation of the marine oleaginous diatom Fistulifera solaris
Bona et al. Semicontinuous nitrogen limitation as convenient operation strategy to maximize fatty acid production in Neochloris oleoabundans
WO2011108755A1 (en) Method of producing lauric acid-containing oil or fat
Yang et al. Total lipids content,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en species of microalgae
US20110129884A1 (en)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order thraustochytriales
Schulze et al. A one-stage cultivation process for lipid-and carbohydrate-rich biomass of Scenedesmus obtusiusculus based on artificial and natural water sources
Chin et al.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nitrogen concentration to enhance lipid production in four tropical microalgae
JP2004519231A (ja) 培養培地に適切な前駆体分子を加えることによる、繊毛虫培養物からのγ−リノレン酸の製造方法
JP6406978B2 (ja) 脂肪酸混合物
TWI512108B (zh) 從腐霉屬菌種生產omega-3脂肪酸
Chtourou et al. Dunaliella sp. a wild algal strain isolated from the Sfax-Tunisia solar evaporating salt-ponds, a high potential for biofuel production purposes
Yamada et al. Biotechnological processes for produc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US8486672B2 (en) Method of producing lauric acid or an ester thereof
JP5371750B2 (ja) 微生物発酵によるdha含有リン脂質の製造方法
Irmak et al. Determination of the fatty-acid composition of four native microalgae species
Praharyawan et al. Characterization of lipid productivity and fatty acid profile of three fast-growing microalgae isolated from Bengkulu for possible use in health application
WO2018097931A1 (en) Extraction of free dha from algal biomass
JP6647593B2 (ja) 緑藻を用いた有用脂質製造法
US9222111B2 (en) Method of producing lauric acid-containing oil or fat
Abirami et al. Effect of various pretreatment methods prior to extraction of omega 3 fatty acids from Nannochloropsis gaditana
JP5903214B2 (ja) 微生物発酵によるdha含有ホスファチジルセリ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