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850B1 -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850B1
KR102201850B1 KR1020200049539A KR20200049539A KR102201850B1 KR 102201850 B1 KR102201850 B1 KR 102201850B1 KR 1020200049539 A KR1020200049539 A KR 1020200049539A KR 20200049539 A KR20200049539 A KR 20200049539A KR 102201850 B1 KR102201850 B1 KR 10220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internal inspection
frame
guide
generator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류홍석
박선규
박민수
주광희
한성재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는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결합되게 마련되는 고정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 개구 및 하측 개구와 연통되는 중공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게 상기 가이드부의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관찰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고정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바디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바디, 상기 제2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 고정부 바디 및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 중 곡률을 가진 부분에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각각 임의의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부 바디 및 상기 제2 고정부 바디가 서로 이루는 각도를 상기 곡률에 대응되게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고정부 바디와 상기 제2 고정부 바디를 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비틀림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결합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INSPECTION APPARATUS FOR INSIDE OF STEAM GENERATOR AND INSPECTION SYSTEM FOR INSIDE OF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증기 발생기에서 생성된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으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증기 발생기는 터빈을 회전시키는 증기를 생성하는 기기이므로 내부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검사하고, 내부에 침전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에는, 릴에 감겨있는 산업용 내시경 장비를 수직으로 내려서 육안검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내시경을 가이드 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증기 발생기의 하부로 산업용 내시경 장비를 내릴 때, 릴에 감긴 산업용 내시경 장비가 릴에 감겨 있는 모양인 원형으로 변형되어 있으므로, 직진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산업용 내시경 장비는 수직 하강 이외에 수평 이동 및 회전등이 불가능하므로,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산업용 내시경 장비를 정확히 위치 시킬 수 없었고, 그로 인해 이물질 제거 장비를 이물질이 존재하는 위치로 정확히 유도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증기 발생기 검사 장비를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증기 발생기 내부로의 진입이 필요하나, 종래에는 작업용 발판이나 안전한 지지구조물이 없어 증기 발생기 내부에서의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증기 발생기 내부에서 수직으로 정확히 하강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증기 발생기 내부에서 작업자가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할 때,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의 일 예에서는,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결합되게 마련되는 고정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 개구 및 하측 개구와 연통되는 중공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게 상기 가이드부의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관찰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고정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바디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바디, 상기 제2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 고정부 바디 및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 중 곡률을 가진 부분에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각각 임의의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부 바디 및 상기 제2 고정부 바디가 서로 이루는 각도를 상기 곡률에 대응되게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고정부 바디와 상기 제2 고정부 바디를 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비틀림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결합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다른 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측 개구 및 하측 개구와 연통되는 중공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 및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 중 최하단에 위치한 말단 튜브는, 상하 방향에 대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의 망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의 중공을 동시에 관통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인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부분,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인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3 부분의 말단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부를 파지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그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제1 구속부, 상기 제2 부분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제2 구속부 및 상기 제3 부분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제3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이고,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검사부는, 상기 연결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이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부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게 마련되는 내시경부 및 상기 내시경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부가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마련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의 일 예에서는, 증기 발생기 내부를 검사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관찰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 및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의 서포트 빔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부,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격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커버부를 체결시키는 프레임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되, 함몰되어 형성되는 프레임 홈 및 상기 커버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 홈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의 다른 예에서, 증기 발생기 내부를 검사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관찰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 및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의 서포트 빔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격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서포트 빔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프레임 바디,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프레임 바디, 상기 제1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제2 프레임 바디를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1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제2 프레임 바디가 이루는 각도가 180도일 때, 상기 제1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제2 프레임 바디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시킬 수 있는 힌지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의 또 다른 예에서, 증기 발생기 내부를 검사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관찰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 및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의 서포트 빔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격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서포트 빔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최대 인출 시,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드 부 및 상기 슬라이드 부의 최대 인출 시, 상기 슬라이드 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통해, 증기 발생기 내부에서, 검사부가 수직으로 하강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증기 발생기의 내측 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통해, 검사부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로 검사부를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증기 발생기 내부에서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증기 발생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의 고정부 및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고정부 및 연결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에서 연결부, 가이드부 및 검사부가 복수 개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의 복수개의 가이드 튜브가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증기 발생기를 도시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의 내시경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증기 발생기를 도시하고, 증기 발생기 내부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증기 발생기를 도시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의 이물질 제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증기 발생기 내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증기 발생기 내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가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의 프레임부 및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의 프레임부 및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고정부(110), 가이드부(120), 연결부(130), 및 검사부(140)를 포함한다. 도 1은 증기 발생기(1)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의 고정부(110) 및 연결부(1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고정부(110) 및 연결부(13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고정부(110)는, 증기 발생기(1)의 내측면에 결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지면을 기준으로 위로 향하는 방향 및 아래로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연결부(130)는, 고정부(110) 및 가이드부(1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고정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검사부(140)는, 가이드부(120)를 관통하게 가이드부(120)의 중공에 배치될 수 있다. 검사부(140)는, 가이드부(120)의 하측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증기 발생기(1)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종래에는, 릴에 감겨있는 산업용 내시경 장비를 수직으로 내려서 육안검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산업용 내시경 장비를 가이드 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산업용 내시경 장비를 증기 발생기의 하부로 내릴 때, 직진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산업용 내시경 장비는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산업용 내시경 장비를 정확히 위치 시킬 수 없었고, 그로 인해 이물질 제거 장비를 이물질이 존재하는 위치로 정확히 유도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120)를 통해, 증기 발생기(1) 내부에서, 검사부(140)가 수직으로 하강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증기 발생기(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30)를 통해, 검사부(140)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로 검사부(140)를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부(110)>
고정부(110)는, 결합부(111) 및 고정부 바디(1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H'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증기 발생기(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부(111)는, 제1 결합부(111a) 및 제2 결합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1)는, 자석일 수 있으나, 볼트와 너트 또는 접착제 방식 등 벽면에 부착될 수 있는 방식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결합부(111a) 및 제2 결합부(111b)는 한 개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 되어 있듯이, 제1 결합부(111a) 및 제2 결합부(111b)는 각각 2개일 수 있다.
고정부 바디(112)는, 제1 고정부 바디(112a), 제2 고정부 바디(112b) 및 탄성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 바디(112a)는 제1 결합부(111a)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2 고정부 바디(112b)는 제2 결합부(111b)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고정부 바디(112a) 및 제2 고정부 바디(112b)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13)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고정부 바디(112a)와 제2 고정부 바디(112b)를 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탄성부(113)는, 제1 고정부 바디(112a)와 제2 고정부 바디(112b)를 비틀림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증기 발생기(1)는 내측에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10)가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 중 곡률을 가진 부분에 잘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부(113)를 통해, 제1 고정부 바디(112a) 및 제2 고정부 바디(112b)가 이루는 각도를 곡률에 대응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113)의 비틀림 탄성력을 통해 제1 결합부(111a) 및 제2 결합부(111b)를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잘 밀착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20)>
가이드부(120)는, 하측 개구 및 하측 개구와 연통되는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20)는 속이 빈 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속이 빈 형태를 가짐에 따라, 검사부(140)가 가이드부(120)의 내측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의 가이드부(1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의 복수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가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연결부(13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가이드부(1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 및 체결부(122a, 122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는, 각각 하측 개구 및 하측 개구와 연통되는 중공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20)가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를 포함함에 따라, 필요한 길이에 맞게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 1개의 길이가 1m이고, 측정하고자 하는 깊이가 5m인 경우,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 5개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체결부(122a, 122b)는,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체결한다 함은, 내부에 포함하는 중공이 연통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체결하는 것을 말한다. 체결부(122a, 122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나사산과 그에 대응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석, 핀, 접착제 등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 중 최하단에 위치한 튜브인, 말단 튜브는 상하 방향에 대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단 튜브는 'L'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J'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말단 튜브가 곡률을 가짐에 따라, 작업자가 검사하고자 하는 다양한 범위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L'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바라보는 면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말단 튜브의 말단부는, 후술할 검사부(14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뿔 형태로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사각뿔 형태로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말단부의 개구가 원형이 아닌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는, 와이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미도시)는,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의 중공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미도시)는,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 중의 일부가 증기 발생기(1) 내부에서 망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든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양측 말단은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있고,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의 중공이 모두 관통된 형태일 수도 있고, 일측 말단은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있고, 타측 말단은 말단 튜브의 말단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연결부(130)>
연결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부분(131), 제2 부분(132) 및 제3 부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31)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축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을 말한다. 제1 방향(D1)은,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일 수 있다.
제2 부분(132)은, 제2 방향(D2)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부분(131)에 연결 될 수 있다.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직교하는 일 방향일 수 있다. 제2 축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축을 말한다.
제3 부분(133)은, 제3 방향(D3)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그리고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2 부분(1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방향(D3)은, 제2 방향(D2)에 직교하는 일 방향일 수 있다. 제3 축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축을 말한다.
연결부(130)가 제1 부분(131), 제2 부분(132) 및 제3 부분(133)을 포함함에 따라,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으로 가이드부(120)를 움직여, 원하는 위치에 검사부(14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연결부(13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그립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134)는, 제3 부분(133)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립부(134)는, 가이드부(120)를 파지하여 가이드부(12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그립부(134)는 가이드부(120)를 파지하여 가이드부(120)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와, 가이드부(120)를 파지하지 않아, 가이드부(120)가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일 수 있다. 그립부(13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집게 형상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클램프 등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제1 구속부(135), 제2 구속부(136) 및 제3 구속부(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속부(135)는, 제1 부분(131)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제2 구속부(136)는, 제2 부분(132)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제3 구속부(137)는, 제3 부분(133)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제1 구속부(135), 제2 구속부(136) 및 제3 구속부(137)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나비 볼트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 구조 등,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130a, 130b)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에서 연결부(130a, 130b), 가이드부(120a, 120b) 및 검사부(140a, 140b)가 복수 개인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가이드부(120a, 120b) 및 검사부(140a, 140b)는, 연결부(130a, 130b)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이고, 복수 개의 연결부(130a, 130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 개의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에서 복수 개의 위치를 한번에 검사하고자 할 때, 검사부(140)를 복수 개 배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검사부(140a, 140b)를 배치하기 위해, 복수 개의 연결부(130a, 130b) 및 복수 개의 가이드부(120a, 120b)가 필요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연결부(130a, 130b), 가이드부(120a, 120b) 및 검사부(140a, 140b)는 2개일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3개, 4개 및 그 이상도 가능하다.
<검사부(140)>
검사부(140)는, 내시경부(141), 디스플레이(142), 이물질 제거부(143) 및 제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내시경부(141)는, 가이드부(120)의 하측 개구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증기 발생기(1)를 도시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의 내시경부(141)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내시경부(141)는, 증기 발생기(1) 내부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미지 정보라 함은, 사진처럼 캡쳐된 이미지 정보일수도 있고, 동영상처럼 연속적으로 획득된 이미지의 집합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42)는, 내시경부(141)에 연결되어, 내시경부(141)가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업자는 디스플레이(142)를 통해 내시경부(141)가 획득한 증기 발생기(1) 내부의 이미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물질 제거부(143)는, 증기 발생기(1) 내부의 이물질(I)을 제거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증기 발생기(1)를 도시하고, 증기 발생기(1) 내부에 이물질(I)이 있는 경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증기 발생기(1)를 도시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의 이물질 제거부(143)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물질 제거부(143)는, 가이드부(120)의 하측 개구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142)를 통해 내시경부(141)가 획득한 증기 발생기 내부의 이미지 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증기 발생기(1) 내부에 이물질(I)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물질(I)이 존재하는 경우, 작업자는 이물질 제거부(143)를 작동시켜, 이물질(I)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143)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이물질(I)을 파지하여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144)는, 내시경부(141), 디스플레이(142) 및 이물질 제거부(143)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44)는, 작업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이물질 제거부(143)를 작동하도록 제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44)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이물질 제거부(143)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 등을 프로세서에서 생성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제어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의 데이터 스토어일 수 있다.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 실시예 1>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에 대해 상술한다. 도 11은 증기 발생기 내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증기 발생기 내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가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의 프레임부(2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는, 프레임부(210) 및 커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210)는, 증기 발생기(1)의 내측면 및 증기 발생기(1) 내부의 서포트 빔(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부(210)는, 복수 개의 프레임(201) 및 복수 개의 이격 공간(20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레임(201)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격 공간(202)은, 복수 개의 프레임(201)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을 말한다.
커버부(220)는, 프레임부(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프레임부(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커버부(220)는, 복수 개의 이격 공간(202)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증기 발생기(1)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를 설치할 때, 작업자는 커버부(220)를 딛고 서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증기 발생기 검사 장비를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증기 발생기 내부로의 진입이 필요하나, 종래에는 작업용 발판이나 안전한 지지구조물이 없어 증기 발생기 내부에서의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증기 발생기(1) 내부에서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를 딛고 서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증기 발생기(1) 내부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는, 프레임부(210) 및 커버부(220)를 체결시키는 프레임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체결부는, 프레임 홈 및 커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홈은, 프레임부(210)에 형성되되,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돌출부는, 커버부(2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돌출부는, 프레임 홈에 삽입되도록, 프레임 홈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 체결부의 형상이 프레임 홈 및 커버 돌출부를 갖는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핀이나 볼트와 너트 등 고정을 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프레임부(210)는, 제1 프레임 바디(211), 제2 프레임 바디(212), 힌지부 및 힌지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바디(211)는, 증기 발생기(1) 내부의 서포트 빔(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바디(212)는, 증기 발생기(1)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힌지부는, 제1 프레임 바디(211) 및 제2 프레임 바디(212)를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힌지 구속부는, 제1 프레임 바디(211) 및 제2 프레임 바디(212)가 이루는 각도가 180도일 때, 제1 프레임 바디(211) 및 제2 프레임 바디(212)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시킬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프레임부(210)는, 증기 발생기(1)의 내부로 프레임부(210)를 운반할 때, 제2 프레임 바디(212)를 제1 프레임 바디(211)에 대해 회전시켜 접을 수 있다. 즉, 접는 방식으로 프레임부(210)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증기 발생기(1) 내부로의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발생기(1) 내부에서는 힌지 구속부를 통해 프레임부(210)가 커버부(220)를 안정적으로 지지 할 수 있다.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300) 실시예 2>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300)의 실시예 2에 대해 상술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300)의 프레임부(310) 및 커버부(3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300)의 프레임부(310) 및 커버부(32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300)는, 프레임부(310)에 있어 실시예 1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와 차이가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300)의 프레임부(310)는, 지지 프레임(311), 슬라이드 부(312) 및 위치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11)은, 서포트 빔(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312)는, 지지 프레임(311)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312)는, 인출 방향으로 최대 인출 되는 경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는, 슬라이드 부(312)의 최대 인출 시, 슬라이드 부(31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는 핀 일수 있고, 그 밖에 볼트와 너트 구조 등 체결이 가능한 구조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2에 따른 프레임부(310)는, 증기 발생기(1)의 내부로 프레임부(310)를 운반할 때, 슬라이드 부(312)를 지지 프레임(311)의 내부로 삽입하여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증기 발생기(1) 내부로의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이하에서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100)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 300)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을 통하여, 작업자가 증기 발생기(1)의 내부를 검사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술한다.
첫 번째로, 작업자는 증기 발생기(1) 내부로 진입하기 위해,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 300)의 프레임부(210, 310)를 증기 발생기(1) 내부의 서포트 빔(B)에 의해 지지되게, 그리고 증기 발생기(1)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게 배치한다.
두 번째로, 작업자는 프레임부(210, 310)의 상측에 커버부(220, 320)를 배치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210, 310)에 존재하던 복수 개의 이격 공간(202, 302)이 커버부(220, 320)에 의해 커버되게 된다.
세 번째로, 작업자는 프레임 체결부를 통해 프레임부(210, 310)와 커버부(220, 320)를 체결시킨다. 이 과정을 통해, 작업자가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200, 300)를 안전하게 딛고 설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증기 발생기(1)의 내부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네 번째로, 작업자는 증기 발생기(1)의 내부로 이동하여, 증기 발생기(1)의 내측면에 고정부(110)를 결합시킨다. 이 때, 내측면에 곡률이 있는 경우, 그 곡률에 맞도록 고정부(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섯 번째로, 작업자는 고정부(110)에 연결된 연결부(130)의 그립부(134)에 가이드부(120)를 파지시킨다. 이때 가이드부(120)는, 작업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위치에 검사부(140)를 배치할 수 있는 개수만큼의 가이드 튜브(121a, 121b, 121c)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여섯 번째로, 작업자는 가이드부(120)의 중공으로 검사부(140)를 관통시킨다.
일곱 번째로, 작업자는 원하는 위치로 검사부(140)를 이동시켜 증기 발생기(1) 내부를 관찰하거나, 이물질 제거부(143)를 통해 증기 발생기(1) 내부의 이물질(I)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증기 발생기
100: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110: 고정부
111: 결합부
111a: 제1 결합부
111b: 제2 결합부
112: 고정부 바디
112a: 제1 고정부 바디
112b: 제2 고정부 바디
113: 탄성부
120, 120a, 120b: 가이드부
121a, 121b, 121c: 가이드 튜브
122a, 122b: 체결부
130, 130a, 130b: 연결부
131: 제1 부분
132: 제2 부분
133: 제3 부분
134: 그립부
135: 제1 구속부
136: 제2 구속부
137: 제3 구속부
140, 140a, 140b: 검사부
141: 내시경부
142: 디스플레이
143: 이물질 제거부
144: 제어부
200, 300: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
201, 301: 프레임
202, 302: 이격 공간
210, 310: 프레임부
211: 제1 프레임 바디
212: 제2 프레임 바디
220, 320: 커버부
311: 지지 프레임
312: 슬라이드 부
B: 서포트 빔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I: 이물질

Claims (16)

  1.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결합되게 마련되는 고정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 개구 및 하측 개구와 연통되는 중공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게 상기 가이드부의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관찰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고정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바디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바디;
    상기 제2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 고정부 바디; 및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 중 곡률을 가진 부분에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각각 임의의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부 바디 및 상기 제2 고정부 바디가 서로 이루는 각도를 상기 곡률에 대응되게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고정부 바디와 상기 제2 고정부 바디를 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비틀림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결합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측 개구 및 하측 개구와 연통되는 중공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 및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 중 최하단에 위치한 말단 튜브는, 상하 방향에 대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지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의 망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튜브의 중공을 동시에 관통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인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부분;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인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3 부분의 말단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부를 파지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그립부를 더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제1 구속부, 상기 제2 부분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제2 구속부 및 상기 제3 부분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제3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이고,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검사부는, 상기 연결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이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게 마련되는 내시경부; 및
    상기 내시경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시경부가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마련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12. 증기 발생기 내부를 검사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관찰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 및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의 서포트 빔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부;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격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커버부를 체결시키는 프레임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되, 함몰되어 형성되는 프레임 홈; 및
    상기 커버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 홈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 돌출부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13. 증기 발생기 내부를 검사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관찰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 및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의 서포트 빔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격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서포트 빔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프레임 바디;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프레임 바디;
    상기 제1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제2 프레임 바디를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1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제2 프레임 바디가 이루는 각도가 180도일 때, 상기 제1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제2 프레임 바디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시킬 수 있는 힌지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14. 증기 발생기 내부를 검사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관찰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보조 장비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 및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의 서포트 빔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격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서포트 빔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최대 인출 시,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드 부; 및
    상기 슬라이드 부의 최대 인출 시, 상기 슬라이드 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KR1020200049539A 2020-04-23 2020-04-23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KR10220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539A KR102201850B1 (ko) 2020-04-23 2020-04-23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539A KR102201850B1 (ko) 2020-04-23 2020-04-23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850B1 true KR102201850B1 (ko) 2021-01-12

Family

ID=7412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539A KR102201850B1 (ko) 2020-04-23 2020-04-23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8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43B1 (ko) * 2013-10-22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KR101543531B1 (ko) * 2014-05-02 2015-08-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로 이물질 제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원자로
KR101937626B1 (ko) * 2018-10-05 2019-04-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상부다발 이물질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43B1 (ko) * 2013-10-22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KR101543531B1 (ko) * 2014-05-02 2015-08-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로 이물질 제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원자로
KR101937626B1 (ko) * 2018-10-05 2019-04-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상부다발 이물질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3555B2 (en) Tank cleaning system
JPH0389828A (ja) 発電機ステータウェッジの締まり具合を測定する装置
KR102201850B1 (ko)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장비 및 증기 발생기 내부 검사 시스템
JPS6234097A (ja) 制御棒検査法及び制御棒検査装置
US4425296A (en) Probe-holding apparatus for holding a probe for checking steam generator tubes particularly in a nuclear reactor installation
JP2013113597A (ja) 調査ビークル、容器内の調査装置及び画像の処理方法
KR101939534B1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검사 및 제거 툴 안내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물질 검사 및 제거장치
KR101937626B1 (ko) 증기발생기 상부다발 이물질 처리장치
JP6025638B2 (ja) 原子炉内調査方法および調査装置
US118507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an underground utility vault
US4172760A (en) Neutron transmission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CN112393221B (zh) 对蒸汽发生器内部的异物进行检查及去除的装置及其系统
KR102207795B1 (ko) 비출입형 맨홀 검사장치
KR20160048497A (ko) 마찰력 테스트 설비 및 그것을 이용한 마찰력 테스트 방법
JP7328908B2 (ja) 遠隔作業装置及び遠隔作業方法
CN102207435A (zh) 消除牵引力测试装置水平偏移的方法及其牵引力测试装置
KR20090032480A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유량분배판 고정볼트의육안검사장치
JPS61118657A (ja) 機械式送出し・遠隔位置決め装置
KR100977274B1 (ko) 증기 발생기 육안 검사 장치
KR101754087B1 (ko) 마찰력 테스트 설비 및 그것을 이용한 마찰력 테스트 방법
JP3174625B2 (ja) シンブルチューブ炉内接触状況の確認方法
KR20140008722A (ko) 가속도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장치
JPS63225192A (ja) 燃料集合体炉内配置検査装置
KR101384666B1 (ko) 탄성로프를 이용한 제진대
BR102019004456A2 (pt) Ferramenta para limpeza e inspeção de juntas flexíveis submers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