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515B1 - 동축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515B1
KR102201515B1 KR1020187034716A KR20187034716A KR102201515B1 KR 102201515 B1 KR102201515 B1 KR 102201515B1 KR 1020187034716 A KR1020187034716 A KR 1020187034716A KR 20187034716 A KR20187034716 A KR 20187034716A KR 102201515 B1 KR102201515 B1 KR 10220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onnector
coaxial
spring
shielding
l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438A (ko
Inventor
토마스 뢰딩
크리스티앙 마이어
군나르 닥터. 암브레히트
토마스 슈미드
Original Assignee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0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동축커넥터는 제1동축커넥터부(1) 및 제2동축커넥터부(2)를 구비한다. 상기 제1동축커넥터부(1)는 동축소켓으로 설계되고 그 말단부가 개별 스프링 러그들(91,92,93,94 및 95)를 가지는 스프링 케이지(3)로 설계된 외부도체를 구비한다. 제2동축커넥터부(2)는 동축 플러그로 설계된 외부도체(6)를 구비한다. 전기 및 기계적인 연결은 상기 제1동축커넥터부(1)의 상기 스프링 러그들(91,92,93,94 및 95)과 상기 제2동축커넥터부(2)의 상기 외부도체(6)의 외부 쉘 표면 사이에 존재한다.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들(91,92,93,94 및 95) 사이에 위치되는 각각의 갭(101,102,103,104 및 105)의 영역에는 상기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들(91,92,93,94 및 95) 중 하나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가 제공된다. 다수의 동축커넥터부는 하우징(12)에 배치된 다수의 제1동축커넥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동축커넥터
본 발명은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안테나, 예컨대 이동 무선 안테나 및 GPS 안테나를 구비한 자동차 루프 안테나는 DE 20 2005 004 658 U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하나의 동축커넥터부를 하우징 내에 구비한다. 이하에서 제1동축커넥터부들로 언급될 동축커넥터부들은 전형적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하에서 제2동축커넥터부들로 언급될 관련된 동축 대응 커넥터부들과 함께 각각의 경우 하나의 동축커넥터를 형성한다.
개별 동축커넥터부는 자동차 루프 안테나(motor vehicle roof antenna)의 하우징 내의 관련된 안테나 연결부에 대한 고주파 신호 라인(high-frequency signal line)과 자동차 내의 관련된 단말기(associated terminal)에 대한 고주파 신호 라인 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성한다.
상기 유형의 제1동축커넥터부의 외부도체는 소위 스프링 케이지(spring cage)로 설계된다. 스프링 케이지는 외부도체의 말단부(distal end)에서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측면 에지들(side-edges)을 따라 특정 길이의 하나의 갭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프리즘형(prismatic) 또는 슬리브형 중공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프리즘형 중공체의 경우 - 또는 등간격의 각섹션들(equidistant angular sections)에서 - 슬리브형 중공체의 경우.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스프링 러그(spring lug)는 2개의 갭들 사이에 위치한다.
각각의 스프링 러그는 외부도체의 말단부의 방향, 즉 스프링 케이지의 말단부의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고 프리즘형 또는 슬리브형 중공체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동축커넥터부가 관련된 제1동축커넥터부로 플러그됨(plugged)에 따라 제2동축커넥터부를 보다 쉽게 집중하기 위해 스프링 케이지의 말단부에서 개별 스프링 러그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다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프리즘 중공체는 스프링 케이지로 사용되는 각각의 경우, 개별 스프링 러그들은 각각 평면이다. 개별 스프링 러그의 평면성은 개별 스프링 러그의 근위 단부에서 높은 수준의 신축성을 허용한다.
제2동축커넥터부가 제1동축커넥터부에 플러그될 경우, 제1동축커넥터부에 속하는 스프링 케이지의 각각의 스프링 러그는 그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영역과 그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영역 사이의 전이에서 관련된 제2동축커넥터부의 외부도체의 외피 표면(outer shell surface)과 접촉하게 된다. 플러그-연결 상태(plugged-together state)에서, 스프링 케이지의 개별 스프링 러그는 보강되고, 이에 의해 그 스프링력이 생성되어, 제1 및 제2동축커넥터부들 사이의 양호한 전기 접촉 및 불명확하게 록킹된 기계적인 연결(non-positively locking mechanical connection)에 영향을 미친다.
각 스프링 케이지의 개별적이면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프링 러그는 그 중앙의 내부에 스프링 러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내향 높이, 소위 비드(bead)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드는 추가적으로 개별 스프링 러그의 말단부에서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특히 동축커넥터의 플러그-연결 상태에서, 스프링 케이지의 개별 스프링 러그들 사이의 갭들이 커져서, 제2동축커넥터부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 방사선(electromagnetic radiation)을 최적으로 차폐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수의 제1동축커넥터부 및 다수의 제2동축커넥터부는 하우징 내에 각각 병렬로 배치되고, 여기에서는 개별적인 제1동축커넥터들 사이의 간격이 제조상의 이유로 관련된 제2동축커넥터들 사이의 간격과 다를 경우, 개별 스프링 케이지들(spring cages)의 개별 갭들의 폭은 또한 더 커져서 스프링 케이지의 차폐 감쇠(shielding attenuation)를 추가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차폐 특성을 가지는 동축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특허 청구항 11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동축커넥터부에 의해 특허 청구항 10의 특징을 가지는 제1동축커넥터부에 의해 특허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에 의해 달성되고, 특허 청구항 12의 특징을 가지는 제1동축커넥터에 속하는 스프링 케이지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기술적인 개선예들은 각각 종속적인 특허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경우에 스프링 케이지의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 사이의 각 갭의 영역에서,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들 중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차폐구성요소가 제공된다.
차폐구성요소(shielding component)는 차폐구성요소가 연결되는 스프링 러그에 대해 그 형상(shape), 크기(size), 위치(position) 및 방향(orientation)으로 인해,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들 사이의 갭을 통해 동축커넥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쇠시키거나 방출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를 실질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 각각의 갭에 대해, 각각의 경우에 스프링 러그에 고정되고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들 사이의 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하나의 단일 차폐구성요소가 제공된다.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 사이의 전체 갭이 차폐구성요소에 의해 커버될수록, 갭 내의 전자기 방사선의 차폐 및 그로 인한 갭으로부터의 전자기 방사선의 방출의 감쇠가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개선예에서, 각각의 갭에 대해 제공되고 스프링 러그에 고정되는 차폐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갭의 다른 단부에 위치한 스프링 러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한다. 전자기 방사선이 차폐구성요소와 서로 마주보는 스프링 러그 사이의 기능 및 제조상의 이유로 잔류 슬롯(residual slot)을 통해 동축커넥터로부터 피할 수 있는 차폐구성요소에 의한 갭의 대략적으로 완전한 커버리지(coverage)인 경우에도, 이것은 서로 마주보는 스프링 러그가 차폐구성요소에 의해 커버되어 있는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스프링 러그의 커버리지가 증가함에 따라 더 큰 정도로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1하위-변형예에서, 차폐구성요소는 평면 디자인이다. 이러한 차폐구성요소의 디자인은 유리하게 제조면에서 가장 쉬운 차폐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2하위-변형예에서, 차폐구성요소는 굴곡부를 가진다. 굴곡부에 의해, 갭은 차폐구성요소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특히, 굴곡부에 의해 차폐구성요소의 2개의 하위-영역의 방향은 각각 인접한 스프링 러그의 방향에 적응될 수 있고, 따라서 커버되지 않은 잔류 갭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3하위-변형예에서, 차폐구성요소는 개별 스프링 러그들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진다. 제1하위-변형예와 비교하여, 제3하위-변형예는 갭의 개선된 커버리지를 나타내며, 따라서 차폐가 개선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각각의 차폐구성요소는 차폐구성요소가 연결되는 스프링 러그에 대한 크기, 위치 및 방향과 관련하여 설계되고, 매개 변수화되어야 한다. 비-플러그-연결 상태(non-plugged-together state)에서 그리고 제1 및 제2동축커넥터부들의 플러깅-연결 단계(plugging-together phase) 중에 둘 다, 차폐구성요소와 차폐구성요소에 연결되지 않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 스프링 러그 사이에서 차단(blockage), 고착(seizing) 또는 걸림(jamming)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 각각 갭을 가로질러 서로 인접한 2개의 스프링 러그에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차폐구성요소가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제1하위-변형예에서,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은 동축커넥터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다시 말해서 각각의 스프링 러그에 대해 대략 수직각도로 각각의 스프링 러그들의 갭-측 단부들에 각각 고정된다.
제1하위-변형예에서,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은 대략 평행하게 배향되고, 따라서 채널을 형성하도록 동축커넥터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관련된 갭을 연장한다. 반경방향에서의 갭의 이러한 채널-형 연장(channel-like elongation)에서, 방출된 전자기 방사선은 적어도 하나의 차폐구성요소에 의한 갭의 커버리지의 경우와 유사한 정도로 감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제2하위-변형예에서, 플러그-연결 상태에서,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를 커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제3하위-변형예에서, 제1 및 제2동축커넥터부들의 플러그-연결 상태에서,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은 각각 공통 갭의 다른 영역을 커버한다.
비-플러그-연결 상태에서 그리고 제1 및 제2동축커넥터부들의 플러깅-연결 단계에서, 갭의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 사이의 차단(blockage), 고착(seizing) 또는 차단(blockage)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은 각각 그들이 고정되는 각각의 스프링 러그에 대해 그 크기, 형상, 위치 및 방향에 대해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동축커넥터부는 제2동축커넥터부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동축커넥터를 형성한다. 이에 부가하여, 다수의 제1동축커넥터부들은 예컨대 다수의 고주파 신호들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동축커넥터부의 하우징 내에서 각각 간격을 두고 이격된 방식으로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통합되어, 자동차 루프 안테나에 각각 집적된 다수의 안테나 및 자동차에 배치된 다수의 단말기들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개별 동축커넥터부들로서 또는 추가의 다수의 동축커넥터부의 하우징 내에 병렬로 집적된 관련된 제2동축커넥터부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동축커넥터를 각각의 경우에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동축커넥터부의 관련된 제1동축커넥터부들에 연결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동축커넥터부를 제조하기 위해, 내부도체 및 절연체에 추가하여 외부도체가 제조되어야 한다. 특히, 제1동축커넥터의 외부도체를 형성하는 스프링 케이지의 제조사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1방법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청동(CuSn6)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금속으로 구성된 전기적으로 전도성 평면 구성요소는 동축소켓 또는 스프링 케이지로 구현되는 외부도체의 필요한 축 길이 및 필요한 원주 길이에 따라 펀칭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로부터, 스프링 케이지의 각각의 갭에 대해, 차폐구성요소 또는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은 각각 연결되는 스프링 러그에 대한 그 크기, 형상 및 그들의 위치에 따라 각각 펀칭된다.
다음의 방법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1동축커넥터부의 동축소켓 또는 스프링 케이지로서 구현되는 외부도체를 구현하기 위해 펀칭된 평면 구성요소가 구부러져 중공의 원통형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2개의 쉘-측 단부들(shell-side ends)에서 함께 연결된다.
최종 방법 단계에서, 스프링 케이지로서 구현된 외부도체의 개별적인 갭들에서, 관련된 차폐구성요소 또는 관련된 차폐구성요소들은 각각의 차폐구성요소가 고정되는 관련된 스프링 러그에 대해 최종 형상 및 최종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 본 발명에 따른 제1동축커넥터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동축커넥터부 및 본 발명에 따른 제1동축커넥터부의 스프링 케이지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 개선예들 및 하위-변형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항목의 도면에서: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플러그-연결 상태의 동축커텍터의 측면도 및 정면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플러그-연결 상태의 동축커넥터의 측면도 및 정면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제1실시예의 제1하위-변형예의 동축커넥터의 측면도 및 정면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제1실시예의 제2하위-변형예의 동축커넥터의 측면도 및 정면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제1실시예의 제3 및 제4하위-변형예의 동축커넥터의 측면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제2실시예의 제1하위-변형예의 동축커넥터의 측면도 및 정면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제2실시예의 제2하위-변형예의 동축커넥터의 측면도 및 정면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제2실시예의 제3하위-변형예의 동축커넥터의 측면도 및 정면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동축커넥터들의 3차원 예시를 도시한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동축커넥터부의 3차원 예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동축커넥터부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차폐 감쇠의 스펙트럼 예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가 상세하게 설명되기 전에, 종래기술에 따른 동축커넥터는 먼저 도 1a 및 도 1b를 기초로 하여 비-플러그-연결 상태(non-plugged-together state) 및 도 2a 및 도 2b를 기초로 하여 플러그-연결 상태(plugged-together state)를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동축커넥터는 제1동축커넥터부(1) 및 제2동축커넥터부(2)로 구성된다.
제1동축커넥터부(1)는 외부도체를 형성하는 스프링 케이지(3), 스프링 케이지(3) 내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절연체부(4) 및, 중공의 원통형 절연체부(4) 내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내부도체(5)를 구비한다.
제2동축커넥터부(2)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외부도체(6), 외부도체(6) 내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절연체부(7) 및, 절연체부(7) 내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내부도체(8)를 구비한다.
도 1a에 따른 3차원 측면도 및 도 1b에 따른 2차원 정면도에서, 스프링 케이지(3)는 실질적으로 5개의 에지들(edges)을 가지는 프리즘형 중공체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케이지(3)는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갭(101,102,103,104 및 105)에 의해 서로 분리된 총 5개의 스프링 러그들(91,92,93,94 및 95)을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술적으로 유리한 다른 수의 에지들(edges) 및 스프링 러그들을 가지는 스프링 케이지(3)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는 각각의 경우에 프리즘형 메인 중공체(prismatic main hollow body)에 대응하여 하나의 평면을 구비한다.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의 평면은 각각의 경우에 제1동축커넥터부(1)의 말단부를 향한 그 폭과 관련하여 좁아진다. 또한, 제1동축커넥터부(1)의 말단부의 방향으로, 각각의 스프링 러그의 평면은 제1섹션(first section)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향되고, 인접한 제2섹션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향된다.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의 제2섹션의 반경방향 배향에 의해, 플러깅-연결 공정(plugging-together process) 중에, 제2동축커넥터부(2)는 제1동축커넥터부(1)에서 보다 쉽게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동축커넥터의 플러그-연결 상태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제1섹션과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의 제2섹션 사이의 전이 영역 내에서 각각의 경우에 제2동축커넥터(2)의 외부도체(6)와 실질적으로 점접촉한다.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는, 그 내측에서, 각각의 경우에 도 1, 도 2,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동축커넥터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높이, 소위 비드(bead)를 가진다. 동축커넥터의 단말부로부터 진행하여, 상기 비드는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지 않는다. 비드가 연장된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의 영역에서,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는 각각의 경우에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지만, 비드가 생략된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의 영역에서,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는 각각의 경우에 높은 신축성을 나타낸다.
도 1b 및 도 2b의 비교는, 개별 스프링 러그들(91,92,93,94 및 95) 사이의 갭들(101,102,103,104 및 105)이 플러그-연결 상태에서 보다 동축플러그커넥터의 비-플러그-연결 상태에서 더 작아서 상당히 큰 양의 전자기 방사선을 방출함으로써, 동축커넥터로부터 상당히 큰 양이 전자기 신호 에너지를 방출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개별 스프링 러그들(91,92,93,94 및 95) 사이의 갭들(101,102,103,104 및 105)을 통한 전자기 신호 에너지의 방출을 줄이기 위해,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 및 115)은 개별 갭들(101,102,103,104 및 105)에 각각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및 115)는 각각의 갭(101,102,103,104 및 105)에 제공된다. 상기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및 115)는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의 갭-측 단부에 고정되며, 차폐되는 갭(101,102,103,104 및 105)에 인접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1하위-변형예에서,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및 115)는 바람직하게는 평면 디자인이 된다. 이는 각각의 갭(101,102,103,104 및 105)의 최적의 차폐를 허용하는 고정된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에 대한 크기, 형상, 위치, 및 방향을 가진다. 또한,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및 115)의 크기, 형상, 위치 및 방향은 동축커넥터부의 비-플러그-연결 상태에서, 그리고 제2동축커넥터부(2)를 가지는 제1동축커넥터부(1)의 플러깅-연결 중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와 함께 걸림(jamming) 또는 차단(blocking)을 방지한다.
도 4a 및도 4b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2하위-변형예에서,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및 115)는, 그 폭의 거의 중앙에,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및 115)를 각각 다른 방향을 가지는 2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굽힘부(bend)를 가진다. 각각의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및 115)의 2개의 영역들의 방향은 각각 인접한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의 방향에 거의 대응한다. 각각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들(91,92,93,94 및 95)은 다른 방향들을 가지기 때문에, 인접한 스프링 러그들(91,92,93,94 및 95)의 방향에 근접한 방향의 2개의 영역들을 가지는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및 115)는 개재된 갭(101,102,103,104 및 105)의 실질적으로 최적의 차폐를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3하위-변형예에서, 도 5에 따른 개별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 115 및 116) 각각은 개별 스프링 러그들(91,92,93,94,95 및 96)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3하위-변형예는 특히 중공 원통형 본체를 가지는 스프링 케이지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3하위-변형예의 경우에, 갭은 관련된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115 및 116)에 의해 실질적으로 최적으로 커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개선예에서, 개별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 115 및 116)은 각각의 갭 뿐만 아니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스프링 러그(91,92,93,94,95 및 96)의 하위-영역을 또한 커버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3하위-변형예와 같이 곡선형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115 및 116)의 경우에 대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관련된 갭 뿐만 아니라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 스프링 러그(91,92,93,94,95 및 96)를 커버하는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 115 및 116)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제1 및 제2하위-변형예들에 대해 고려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은 각각의 갭(101,102,103,104 및 105) 내에 제공되고, 차폐구성요소들은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 중 하나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스프링 러그(91,92,93,94 및 95)의 갭-측 단부에 고정된다.
도 6a 및 도 6b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제1하위-변형예에서, 갭(101,102,103,104 및 105)의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은 각각의 경우에 인접한 각각의 스프링 러그들(91,92,93,94 및 95)의 갭-측 단부에 고정되고, 동축커넥터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갭(101,102,103,104 및 105)의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 사이에는 전자기 방사선 에너지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 사이에서 감쇠되는 하나의 채널이 각각의 경우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자기 방사선 에너지는 상기 유형의 채널의 출구에서 상당히 감쇠된다.
도 7a 및 도 7b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제2하위-변형예에서, 갭(101,102,103,104 및 105)의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는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한다. 갭(101,102,103,104 및 105)의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의 크기, 형상, 위치 및 방향은 갭(101,102,103,104 및 105)의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이 비-플러그-연결 상태에서 및, 동축커넥터의 플러그-연결 상태에서, 그리고 동축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한 제1동축커넥터부와 제2동축커넥터부가 플러깅-연결 중에 서로에 대해 고착(seizing), 걸림(jamming) 또는 차단(blocking)되지 않도록 이러한 경우에 선택된다. 또한, 갭(101,102,103,104 및 105)의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의 크기, 형상, 위치 및 방향은 관련된 갭(101,102,103,104 및 105)이 가능한 한 최적으로 커버되어 차폐되도록 구성된다.
도 8a 및 도 8b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제3하위-실시예에서, 갭(101,102,103,104 및 105)의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은 각각의 갭(101,102,103,104 및 105)의 다른 섹션을 커버한다. 갭(101,102,103,104 및 105)의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111,112,113,114,115,111',112',113',114', 및 115')의 형상, 크기, 위치 및 방향은 이러한 경우에 우선 각각의 갭(101,102,103,104 및 105)이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에 의해 가능한 한 최적으로 커버되어 차폐되도록 구성되고, 두번째로, 서로에 대한 갭의 2개의 차폐구성요소들의 고착(seizing), 걸림(jamming) 또는 차단(blocking)은 동축커넥터의 플러그-연결 및 비-플러그-연결 상태들 및 동축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한 제1동축커넥터부와 제2동축커넥터부가 플러깅-연결 중에 발생한다.
도 9b는 3개의 동축커넥터들(11, 12, 및 13)이 하나의 하우징(12) 내에 병렬로 배치되고 통합되어 있는 비-플러그-연결 상태에서 다수의 동축커넥터부를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하우징(12) 내에 다른 수의 제1동축커넥터부들의 통합을 포함한다.
도 9a는 제1동축커넥터부들(11, 12, 및 13)이 각각 하나의 하우징(12) 내에 배치되고 통합된 경우에 병렬로 함께 플러깅된 다수의 동축커넥터부들을 도시하고, 관련된 제2동축커넥터부들(21, 22, 및 23)은 각각 추가의 하우징(13) 내에 배치되고 통합된다.
프리즘형 기본 구조를 가지는 제2동축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도 10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1방법 단계(S10)에서, 스프링 케이지 또는 제1동축커넥터부의 동축소켓을 형성하기 위한 평면구성요소는 스프링 케이지 또는 동축소켓의 축방향 길이 및 원주방향 길이를 따라 펀칭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기 전도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금속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 합금, 예컨대 스프링 청동(CuSn6)으로 구성된 비교적 큰 평면 구조체가 사용된다. 펀칭 공정(punching process) 동안, 스프링 케이지의 각 갭에 제공되는 차폐구성요소들은 특히 그 크기,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또한 펀칭된다.
여기서, 스프링 케이지의 개별적인 갭들에서 개별 차폐구성요소들의 크기(size), 형상(shape), 개수(number) 및 배치(arrangement)는 형성된 스프링 케이지의 영역에서 평면 구조체로 펀칭될 수 있도록 치수를 정하고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다음 방법 단계(S20)에서, 펀칭된 평면구성요소는 구부러져 프리즘형 스프링케이지를 형성하고, 프리즘형의 구성요소의 2개의 쉘-측 단부에서 함께 연결된다.
다음 방법 단계(S30)에서, 스프링 케이지의 각 갭들에서 각각의 차폐구성요소는 연결되어 있는 각 스프링 러그에 대해 그 형상 및 방향에 대해 구부러지고 정렬된다.
다음 방법 단계(S40)에서, 스프링 케이지가 외부도체로 기능하는 선행하는 방법 단계(S30)에서 제조된 스프링 케이지 내로, 관련된 절연체부가 끼워지고(fitted) 관련된 내부도체가 끼워지며, 절연체부와 내부도체가 서로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제1동축커넥터부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최종 방법 단계(S50)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다수의 제1동축커넥터부는 다수의 동축커넥터부를 생성하기 위해 하우징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프리즘형 및 슬리브형 기본 구조를 가지는 스프링 케이지는 펀칭 및 벤딩 공정 대신에 절단 제조 방법들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또한, 기계적인 연결 기술들(mechanical connecting techniques), 예컨대, 브레이징(brazing) 또는 용접(welding)에 의해 스프링 케이지의 개별 스프링 러그들에 대한 차폐구성요소들의 부착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별 갭들(점선)에서의 차폐구성요소가 없는 스프링 케이지의 경우 및 개별적인 갭들(실선)에서 적어도 하나의 차폐구성요소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케이지의 경우에 대한 차폐 감쇠(shielding attenuation)(aD)의 시뮬레이션에 의해 생성된 스펙트럼도를 마침내 도시한다.
고려된 전체 주파수 범위에 걸쳐서, 차폐 감쇠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폐구성요소가 없는 스프링 케이지의 경우보다 차폐구성요소들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케이지의 경우에 훨씬 더 뚜렷해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들, 하위-변형예들 및 개선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개별적인 특허 청구범위에서 각각 청구된 특징들, 설명에서 각각 개시된 특징들 및 기술적으로 적합할 경우 도면항목의 도면들에 각각 도시된 특징들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Claims (12)

  1. 제1 동축커넥터(1) 및 제2 동축커넥터(2)를 구비한 동축 플러그 커넥터로서, 상기 제1 동축커넥터(1)는 동축 부싱으로 설계된 외부도체를 구비하며, 상기 동축커넥터(1)의 말단부는 개별 스프링 러그들(91,92,93,94,95)을 갖는 스프링 케이지(3)로 설계되며,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들(91,92,93,94,95) 사이에 위치되는 각각의 갭(101,102,103,104,105)의 영역에는 상기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러그들(91,92,93,94,95) 중 하나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111',112',113',114',115')가 제공되며,
    각각의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각각의 갭(101,102,103,104,105)을 커버하는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는 각각의 갭(101,102,103,104,105)에 각각 인접한 2개의 스프링 러그(91,92,93,94,95)의 각각의 경우에 단일의 스프링 러그(91,92,93,94,95)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동축커넥터(2)는 동축 플러그로 설계된 외부도체(6)를 구비하며, 전기 및 기계적인 연결은 상기 제1 동축커넥터(1)의 상기 스프링 러그들(91,92,93,94,95)과 상기 제2 동축커넥터의 상기 외부도체(6)의 외부 재킷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플러그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는 또한 상기 각각의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에 의해 커버된 상기 갭(101,102,103,104,105)에 각각 인접한 상기 각각의 다른 스프링 러그(91,92,93,94,9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는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플러그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는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플러그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는 상기 스프링 케이지(3)의 상기 스프링 러그들(91,92,93,94,95)의 외부 표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플러그 커넥터.
  7. 제1항에 따른 제1 동축커넥터(1)의 동축 부싱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동축 부싱의 상기 스프링 케이지(3)의 각각의 갭(101,102,103,104,105)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를 상기 동축 부싱의 축 길이 및 원주 길이에 대응하는, 평면의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로부터 펀칭하는 단계- 각각의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각각의 갭(101,102,103,104,105)을 커버하는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는 각각의 갭(101,102,103,104,105)에 각각 인접한 2개의 스프링 러그(91,92,93,94,95)의 각각의 경우에 단일의 스프링 러그(91,92,93,94,95)에 고정됨 -;
    단부측 상에 형성된 스프링 케이지(3)를 갖는 상기 동축 부싱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펀칭된 평면의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를 벤딩하고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동축 부싱의 상기 스프링 케이지(3)의 상기 개별 갭들(101,102,103,104,105)로 펀칭된 각각의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를 상기 각각 펀칭된 차폐구성요소(111,112,113,114,115)가 고정된 스프링 러그(91,92,93,94,95)에 대해 최종 형상 및/또는 최종 배향으로 벤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동축커넥터의 동축 부싱을 제조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7034716A 2016-06-06 2017-04-28 동축커넥터 KR102201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06923.6A DE102016006923B4 (de) 2016-06-06 2016-06-06 Koaxialsteckverbinder
DE102016006923.6 2016-06-06
PCT/EP2017/000528 WO2017211437A1 (de) 2016-06-06 2017-04-28 Koaxialsteck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438A KR20190007438A (ko) 2019-01-22
KR102201515B1 true KR102201515B1 (ko) 2021-01-12

Family

ID=5869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716A KR102201515B1 (ko) 2016-06-06 2017-04-28 동축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08199B2 (ko)
EP (1) EP3465841B1 (ko)
JP (1) JP2019522340A (ko)
KR (1) KR102201515B1 (ko)
CN (1) CN109716596B (ko)
DE (1) DE102016006923B4 (ko)
WO (1) WO2017211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751B1 (ko) * 2017-12-18 2023-12-0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
WO2023280390A1 (en) * 2021-07-06 2023-01-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Contact sleeve, connection arrangement, signal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ion arran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4339A1 (en) * 2011-02-17 2012-08-23 Casey Roy Stein Blind mate interconnect and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63085A (fr) 1960-07-25 1961-06-05 Schaltbau Gmbh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prises de courant
US3439110A (en) 1968-06-04 1969-04-15 G & W Electric Speciality Co Prefabricated stress control shield
JPS4979787U (ko) 1972-10-30 1974-07-10
JPS5669872U (ko) 1979-11-01 1981-06-09
US5167543A (en) 1991-09-23 1992-12-01 Custom Stamping, Inc. Multiple beam electrical connector socket having anti-tangle shields
JP2590997Y2 (ja) 1992-09-18 1999-02-24 進竹産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807147A (en) 1997-01-22 1998-09-15 The Whitaker Corporation Center contact for RF cable
DE29701944U1 (de) 1997-02-04 1997-04-0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 Koaxial-Steckverbinderbuchse
US6450829B1 (en) 2000-12-15 2002-09-17 Tyco Electronics Canada, Ltd. Snap-on plug coaxial connector
US6638116B2 (en) * 2001-12-21 2003-10-28 Square D Company Medium voltage motor control center springless finger cluster
DE102005013282A1 (de) 2005-03-22 2006-09-2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202005004658U1 (de) 2005-03-22 2005-06-0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fz-Dachantenne
JP5243946B2 (ja) 2008-12-24 2013-07-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同軸コネクタ
EP2209167B1 (en) * 2009-01-20 2012-05-23 ODU- Steckverbindungssysteme GmbH & Co. KG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temperature environments
WO2011124562A1 (en) 2010-04-09 2011-10-13 Fci Automotive Hold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US8876562B2 (en) * 2011-05-05 2014-11-04 Lear Corporation Female typ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8992270B2 (en) * 2012-09-26 2015-03-31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CN202906019U (zh) 2012-11-27 2013-04-24 东莞利铿电子有限公司 中心针偏转电连接器
CN103682842B (zh) 2013-12-02 2015-1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插座连接器及同轴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4339A1 (en) * 2011-02-17 2012-08-23 Casey Roy Stein Blind mate interconnect and cont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16596A (zh) 2019-05-03
WO2017211437A9 (de) 2019-02-28
DE102016006923B4 (de) 2022-05-05
WO2017211437A1 (de) 2017-12-14
EP3465841A1 (de) 2019-04-10
JP2019522340A (ja) 2019-08-08
EP3465841B1 (de) 2020-08-26
US11108199B2 (en) 2021-08-31
KR20190007438A (ko) 2019-01-22
US20200235534A1 (en) 2020-07-23
CN109716596B (zh) 2021-04-06
DE102016006923A1 (de)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6028B2 (ja) 多極コネクタセット
JP6752293B2 (ja) ケーブル取付け電気コネクタ
JP6796429B2 (ja) 放射パターン同士間の干渉を低減したアンテナシステムおよびアンテナモジュール
US10553977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JP6116751B2 (ja) 可変角度emi遮蔽アセンブリ
JP2018534733A (ja) 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ー
US20180198266A1 (en) Shield conductive path
KR102201515B1 (ko) 동축커넥터
US9899815B2 (en) Removable cable inlet
CN106684556B (zh) 具有多个接地谐振器的柔性聚合物天线
JP2009516971A (ja) マルチバンド全方向性アンテナ
KR102416333B1 (ko)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
US20180138632A1 (en) A mechanical protective ring for a female connector of the jack type for a 4.3-10 coaxial connection system
US7029335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JP2010232046A (ja) スリーブ
CN102959809A (zh) 插入式连接器
JP5027864B2 (ja) シールド一体型rfコネクタ
JP2018032550A (ja) コネクタ
JP6387275B2 (ja) 広帯域リニアアレーアンテナ
US20240047917A1 (en) Shield Wire Assembly
US10971862B2 (en) Cable connector having crimp structure
JP6943728B2 (ja) 接地用部材、及び、接地用部材付きシールド電線
JP5058869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
CN113594742A (zh) 接触环和接触系统
JP2009301717A (ja) インナーターミナ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