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80B1 -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80B1
KR102201480B1 KR1020180122247A KR20180122247A KR102201480B1 KR 102201480 B1 KR102201480 B1 KR 102201480B1 KR 1020180122247 A KR1020180122247 A KR 1020180122247A KR 20180122247 A KR20180122247 A KR 20180122247A KR 102201480 B1 KR102201480 B1 KR 10220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hite inorganic
coating composition
inorganic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102A (ko
Inventor
강우규
송영춘
송은정
김진호
한규성
황광택
김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주식회사 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주식회사 랜코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2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2Poly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2Treatment with organo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7Forms or constructions including a machine-readable marking, e.g. a bar c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콕시 실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코올계 실리카 졸 10∼8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알루미늄 0.1∼2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티타늄 0.1∼2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300∼1000중량부 및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되어 형성된 가수분해물 코팅액과,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0nm 크기의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 10∼50중량부를 포함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white inorganic pig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rcode label for printing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지 않고,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고온안정성과 화학안정성이 우수하여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이나 화학 세정 과정에서 바코드 라벨의 황변(Yellowing) 현상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바코드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은 다수의 전자 부품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작된 배선이 패턴화된 기판을 의미한다.
인쇄회로기판(PCB)은 제작 및 재고 과정에서 이력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조립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바코드 라벨(Barcode label)이 부착된다. 인쇄회로기판(PCB)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은 인쇄회로기판(PCB) 제조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품질의 내구성이 유지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쇄회로기판(PCB) 제조 공정은 공정시간 단축 및 공정단가 절약을 위하여 리플로우 솔더링(Reflow soldering) 공정으로 제작되고 있다.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은 260∼300℃의 고온 분위기에서 진행되고 있다.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 후에는 화학 세정 과정을 거친다. 이로 인하여 바코드 라벨의 황변(Yellowing) 현상 발생으로 인한 바코드 인식률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현재 전자기기는 전 세계적으로 RoHS in EEE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부자재인 인쇄회로기판(PCB)용 바코드 라벨의 경우에도 중금속 및 유해물질 사용은 불가하며, 친환경 소재로 개발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937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지 않고,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고온안정성과 화학안정성이 우수하여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이나 화학 세정 과정에서 바코드 라벨의 황변(Yellowing) 현상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바코드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알콕시 실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코올계 실리카 졸 1 0∼8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알루미늄 0.1∼2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티타늄 0.1∼2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300∼1000중량부 및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되어 형성된 가수분해물 코팅액과,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0nm 크기의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 10∼50중량부를 포함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이산화세륨, 실리카(SiO2) 및 알루미나(Al2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는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처리된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실란은 테트라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 triethoxysilane),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 trimethoxysilane), 비닐트리클로로실란(vinyl trichlorosilane), 비닐트리스(베타-메톡시에톡시)실란(vinyl tris(◎methoxyethoxy)silane, 감마-메타크릴옥시프로필디메톡시실란(-methacryloxypropyldimethoxysilane), 베타-(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minopropyltri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in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메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isocyanatepropyltriethoxysilane) 및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알루미늄은 이소프로필 알루미네이트(Isopropyl Aluminate), 에틸 알루미네이트(Ethyl Aluminate), n-프로필 알루미네이트(n-propyl Aluminate), n-부틸 알루미네이트(n-Butyl Aluminate) 및 폴리-n-부틸 알루미네이트(Poly- N-Butyl Alumi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 티타늄은 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Isopropyl Titanate), 에틸 티타네이트(Ethyl Titanate), n-프로필 티타네이트(n-propyl Titanate), n-부틸 티타네이트(n-Butyl Titanate), 폴리-n-부틸 티타네이트(Poly- N-Butyl Titanate),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2-Ethylhexyl Titanate), 옥틸렌 글리콜 티타네이트(Octylene Glycol Titanate) 및 테트라 이소옥틸 티타네이트(Tetra isooctyl Tita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염산(HCl), 질산(HNO3), 황산(H2SO4) 및 인산(H3PO4)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초산, 젖산, 구연산 및 옥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축방지제 0.1∼3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축방지제는 에폭시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도조절제 0.01∼3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amine),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mine), 4,4-비스(세크-부틸아미노)디페닐메탄(4,4-bis(sec-butylamino) Diphenylmethane),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 ethanolamine),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디이소프로판올아민(Diisopropanolamine)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실리카 졸은 알코올을 용매로 하고 실리카의 함량이 10∼50중량%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는 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핀 0.001∼2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경화하여 백색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백색의 코팅층은 1∼10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지 않고,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고온안정성과 화학안정성이 우수하여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이나 화학 세정 과정에서 바코드 라벨의 황변(Yellowing) 현상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바코드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PCB)와 바코드 라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이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위에 코팅되어 형성된 백색의 코팅층(Coating layer)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접착강도 기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알콕시 실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코올계 실리카 졸 10∼8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알루미늄 0.1∼2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티타늄 0.1∼2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300∼1000중량부 및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되어 형성된 가수분해물 코팅액과,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0nm 크기의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 10∼5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이산화세륨, 실리카(SiO2) 및 알루미나(Al2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는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처리된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실란은 테트라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 triethoxysilane),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 trimethoxysilane), 비닐트리클로로실란(vinyl trichlorosilane), 비닐트리스(베타-메톡시에톡시)실란(vinyl tris(◎methoxyethoxy)silane, 감마-메타크릴옥시프로필디메톡시실란(-methacryloxypropyldimethoxysilane), 베타-(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minopropyltri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in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메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isocyanatepropyltriethoxysilane) 및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알루미늄은 이소프로필 알루미네이트(Isopropyl Aluminate), 에틸 알루미네이트(Ethyl Aluminate), n-프로필 알루미네이트(n-propyl Aluminate), n-부틸 알루미네이트(n-Butyl Aluminate) 및 폴리-n-부틸 알루미네이트(Poly- N-Butyl Alumi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 티타늄은 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Isopropyl Titanate), 에틸 티타네이트(Ethyl Titanate), n-프로필 티타네이트(n-propyl Titanate), n-부틸 티타네이트(n-Butyl Titanate), 폴리-n-부틸 티타네이트(Poly- N-Butyl Titanate),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2-Ethylhexyl Titanate), 옥틸렌 글리콜 티타네이트(Octylene Glycol Titanate) 및 테트라 이소옥틸 티타네이트(Tetra isooctyl Tita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염산(HCl), 질산(HNO3), 황산(H2SO4) 및 인산(H3PO4)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초산, 젖산, 구연산 및 옥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축방지제 0.1∼3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축방지제는 에폭시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도조절제 0.01∼3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amine),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mine), 4,4-비스(세크-부틸아미노)디페닐메탄(4,4-bis(sec-butylamino) Diphenylmethane),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 ethanolamine),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디이소프로판올아민(Diisopropanolamine)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실리카 졸은 알코올을 용매로 하고 실리카의 함량이 10∼50중량%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는 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핀 0.001∼2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은,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경화하여 백색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백색의 코팅층은 1∼10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쇄회로기판(PCB)은 제작 및 재고 과정에서 이력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조립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바코드 라벨(Barcode label)이 부착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PCB)와 바코드 라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쇄회로기판(PCB)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은 인쇄회로기판(PCB) 제조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품질의 내구성이 유지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쇄회로기판(PCB) 제조 공정은 공정시간 단축 및 공정단가 절약을 위하여 리플로우 솔더링(Reflow soldering) 공정으로 제작되고 있다.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은 260∼300℃의 고온 분위기에서 진행되고 있다.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 후에는 화학 세정 과정을 거친다. 이로 인하여 바코드 라벨의 황변(Yellowing) 현상 발생으로 인한 바코드 인식률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쇄회로기판(PCB)에 사용되는 바코드 라벨지는 고온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30)이 기판으로 사용되며, 갈색의 폴리이미드 필름(30)에 백색 코팅층(40)을 형성하고, 백색 코팅층(40) 위에 검은색의 바코드 이미지를 인쇄하고 있다. 폴리이미드 필름(30)은 라이너(Liner)(10)와 접착제(Adhesive)(20)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백색의 코팅층은 인쇄회로기판(PCB) 제조 공정(예컨대, 리플로우 솔더링 및 화학세정 공정)에서 열변형 및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코드의 인식률이 저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관련 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인쇄회로기판(PCB) 바코드 인쇄용 라벨의 핵심요소인 백색 코팅층(또는 탑 코팅층(Top coating 층))은 백색의 무기안료와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접착을 위해 무기 바인더가 적용되어 열적·화학적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사용한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고온 내열성이 우수하고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하여 우수한 부착성을 갖는 무기질계 코팅액이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알콕시 실란, 알코올계 실리카 졸, 알콕시 알루미늄, 알콕시 티타늄, 촉매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되어 형성된 가수분해물 코팅액을 포함한다.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은 실록산(siloxane, -O-Si-O-Si-O-) 골격을 갖는다.
상기 알콕시 실란은 테트라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 triethoxysilane),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 trimethoxysilane), 비닐트리클로로실란(vinyl trichlorosilane), 비닐트리스(베타-메톡시에톡시)실란(vinyl tris(◎methoxyethoxy)silane, 감마-메타크릴옥시프로필디메톡시실란(-methacryloxypropyldimethoxysilane), 베타-(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minopropyltri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in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메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isocyanatepropyltriethoxysilane),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실리카 졸은 알코올을 용매로 하고 실리카의 함량이 10∼50중량%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 증진 등을 위해 상기 실리카는 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리카는 2∼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르말 부틸 알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실리카 졸은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에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80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 알루미늄은 이소프로필 알루미네이트(Isopropyl Aluminate), 에틸 알루미네이트(Ethyl Aluminate), n-프로필 알루미네이트(n-propyl Aluminate), n-부틸 알루미네이트(n-Butyl Aluminate), 폴리-n-부틸 알루미네이트(Poly- N-Butyl Aluminate),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알루미늄은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에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 티타늄은 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Isopropyl Titanate), 에틸 티타네이트(Ethyl Titanate), n-프로필 티타네이트(n-propyl Titanate), n-부틸 티타네이트(n-Butyl Titanate), 폴리-n-부틸 티타네이트(Poly- N-Butyl Titanate),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2-Ethylhexyl Titanate), 옥틸렌 글리콜 티타네이트(Octylene Glycol Titanate), 테트라 이소옥틸 티타네이트(Tetra isooctyl Titanate),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 티타늄은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에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류 등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300∼100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에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250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는 염산(HCl), 질산(HNO3), 황산(H2SO4), 인산(H3PO4), 이들의 혼합물 등의 무기산이거나, 초산, 젖산, 구연산, 옥살산, 이들의 혼합물 등의 유기산일 수 있으며, 상기 무기산과 상기 유기산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상기 촉매는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에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고온 치수안정성 및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부착성 증진을 위한 수축 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축 방지제는 비스페놀-A(Bisphenol-A)((CH3)2C(C6H4OH)2)와 같은 에폭시 레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축방지제는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에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내열성 증진, 백색도 구현 등을 위하여 10∼500nm 크기의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이산화세륨,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내에서 분산성 향상을 위해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처리된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일 수 있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그라비아 롤 코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안정적인 점도 유지를 위한 점도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amine),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mine), 4,4-비스(세크-부틸아미노)디페닐메탄(4,4-bis(sec-butylamino) Diphenylmethane),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 ethanolamine),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디이소프로판올아민(Diisopropanolamine),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amine),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에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3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핀 0.001∼2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은 투명감을 유지하면서도 유연성(flexibility) 증진 등을 위해 사용한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알콕시 실란, 알코올계 실리카 졸, 알콕시 알루미늄, 알콕시 티타늄, 용매를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여기에 물(예컨대, 증류수)과 촉매를 투입하여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을 하여 가수분해물 코팅액을 제조한다.
상기 알콕시 실란은 테트라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 triethoxysilane),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 trimethoxysilane), 비닐트리클로로실란(vinyl trichlorosilane), 비닐트리스(베타-메톡시에톡시)실란(vinyl tris(◎methoxyethoxy)silane, 감마-메타크릴옥시프로필디메톡시실란(-methacryloxypropyldimethoxysilane), 베타-(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minopropyltri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in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메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isocyanatepropyltriethoxysilane),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실리카 졸은 알코올을 용매로 하고 실리카의 함량이 10∼50중량%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 증진 등을 위해 상기 실리카는 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리카는 2∼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르말 부틸 알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실리카 졸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8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 알루미늄은 이소프로필 알루미네이트(Isopropyl Aluminate), 에틸 알루미네이트(Ethyl Aluminate), n-프로필 알루미네이트(n-propyl Aluminate), n-부틸 알루미네이트(n-Butyl Aluminate), 폴리-n-부틸 알루미네이트(Poly- N-Butyl Aluminate),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알루미늄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 티타늄은 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Isopropyl Titanate), 에틸 티타네이트(Ethyl Titanate), n-프로필 티타네이트(n-propyl Titanate), n-부틸 티타네이트(n-Butyl Titanate), 폴리-n-부틸 티타네이트(Poly- N-Butyl Titanate),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2-Ethylhexyl Titanate), 옥틸렌 글리콜 티타네이트(Octylene Glycol Titanate), 테트라 이소옥틸 티타네이트(Tetra isooctyl Titanate),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 티타늄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류 등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300∼100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25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는 염산(HCl), 질산(HNO3), 황산(H2SO4), 인산(H3PO4), 이들의 혼합물 등의 무기산이거나, 초산, 젖산, 구연산, 옥살산, 이들의 혼합물 등의 유기산일 수 있으며, 상기 무기산과 상기 유기산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상기 촉매는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은 40∼80℃ 정도의 온도에서 1분∼6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은 40∼80℃ 정도의 온도에서 1∼24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을 거쳐 형성된 가수분해물 코팅액은 실록산(siloxane, -O-Si-O-Si-O- ) 골격을 갖는다.
고온 치수안정성 및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부착성 증진을 위해 수축방지제를 가수분해물 코팅액에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축방지제는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축 방지제는 비스페놀-A(Bisphenol-A)((CH3)2C(C6H4OH)2)와 같은 에폭시 레진 등일 수 있다. 상기 수축방지제의 혼합은 1분∼1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500nm 크기의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를 준비한다. 상기 무기산화물 입자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이산화세륨,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성 향상을 위해 상기 무기산화물 입자를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는 상기 무기산화물 입자와 상기 실란커플링제를 공명음향혼합기(Resonant acoustic mixer)에 장입하고 20∼80Hz의 공명주파수로 혼합하고 건조하는 공정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상기 무기산화물 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명음향혼합기에서의 혼합은 10초∼6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40∼200℃ 정도의 온도에서 10분∼4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성 증진, 백색도 구현 등을 위하여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를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에 혼합한다. 상기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는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은 비즈밀 등의 고속 혼합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비즈밀을 이용하여 2000∼6000 rpm의 회전속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와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의 혼합물에 점도조절제를 추가적으로 혼합하여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그라비아 롤 코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안정적인 점도 유지를 위하여 점도조절제를 혼합한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amine),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mine), 4,4-비스(세크-부틸아미노)디페닐메탄(4,4-bis(sec-butylamino) Diphenylmethane),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 ethanolamine),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디이소프로판올아민(Diisopropanolamine),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amine),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3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와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의 혼합물에 그래핀을 추가적으로 혼합하여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그래핀은 투명감을 유지하면서도 유연성(flexibility) 증진 등을 위해 사용한다. 상기 그래핀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2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폴리이미드 필름에 코팅하고 경화하여 인쇄회로기판(PCB) 바코드 인쇄용 라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그라비아 롤 코팅, 바 코팅(Bar coating), 딥 코팅(Dip coaging)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코팅 두께는 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7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후의 경화 온도는 60∼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이 경화되어 백색의 코팅층이 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시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알콕시 실란인 테트라에톡시실란(KBE-04, 신에츠사) 230g, 알코올계 실리카 졸인 Optisol-LSA230T(IPA base Silica sol, ㈜ 랜코) 100g, 알콕시 알루미늄인 이소프로필 알루미네이트(Isopropyl Aluminate, 알드리치) 5g, 알콕시 티타늄인 n-부틸 티타네이트(n-Butyl Titanate, 알드리치) 4g, 용매인 에탄올 1kg을 미리 2ℓ 반응기에 투입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충분히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여기에 증류수 300g와 촉매인 염산 2g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10시간 동안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을 하여 가수분해물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가수분해물 코팅액에 에폭시 레진인 Bisphenol-A((CH3)2C(C6H4OH)2 시약, 알드리치) 10g을 투입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여 1차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산화티탄(평균입도 0.5㎛ 이하, R-996 중국산) 분말 200g, 메틸트리에톡시실란(표면처리제) 10g을 공명혼합기에 40Hz의 공명주파수로 3분간 혼합하여 이산화티탄을 표면처리 한 후, 150℃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상기 1차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표면처리된 이산화티탄 30중량부를 교반기로 충분히 혼합한 후, 고속 분산기(비즈밀)로 4500 rpm의 회전속도로 분산시킨 후, 최종적으로 점도 조절제를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투입하여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폴리이미드 필름에 코팅하였다. 상기 코팅은 바 코팅(Bar coating)을 이용하였다.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필름을 100℃로 설정된 오븐(oven)에 넣은 후 30분간 유지하여 경화시켜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백색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이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위에 코팅되어 형성된 백색의 코팅층(Coating layer)을 보여주고 있다.
아래의 표 1에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의 코팅 두께를 나타내었다.
Bar No. 두께 Bar No. 두께 Bar No. 두께
3 6.86 6 13.7 14 32.0
4 9.14 7 16.0 16 36.6
5 11.4 8 18.3 18 41.1
6 13.7 9 20.6 20 45.7
7 16.0 10 22.9 22 50.3
8 18.3 12 27.4 24 54.8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코팅되어 형성된 백색 코팅층의 접착강도, 광택도(Glossiness), 백색도(Whiteness)를 측정하여 고온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접착강도 기준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열처리 전 100℃
처리 후
200℃
처리 후
300℃
처리 후
400℃
처리 후
접착강도 0 0 0 0 0
GU (60°) 21.4 21.3 22.7 24.2 18.2
L 87.8 88.6 86.9 89.1 88.9
표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절단 모서리들(edges of the cuts)이 완전히 평탄하고 격자면들(squares of the lattice)이 단 하나도 떨어져나가지(detached) 않았으며,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접착강도 기준으로 '0'을 나타내었다. 또한, L(명도) 값이 열처리 전이나 100℃, 200℃, 300℃ 및 400℃에서 열처리 후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400℃까지 우수한 고온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학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화학안정성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pH 13.6에서 대한 화학안정성은 물(H2O) 96㎖와 HVF 클리너(Cleaner) 4㎖를 45℃에서 교반하고 여기에 실시예 1에 따라 백색 코팅층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필름을 투입하고 60초 동안 교반한 후 필름 상태를 분석하였다.
pH 1.6에서 대한 화학안정성은 물(H2O) 90㎖와 서큐포지트 컨디셔너(Circuposit conditioner) 10㎖를 45℃에서 교반하고 여기에 실시예 1에 따라 백색 코팅층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필름을 투입하고 60초 동안 교반한 후 필름 상태를 분석하였다.
화학처리 전 화학처리 후
(pH : 13.6)
화학처리 후
(pH : 1.6)
접착강도 0 0 0
GU (60°) 21.4 22.0 21.8
L 87.8 88.5 87.9
표 3을 참조하면, L(명도) 값이 화학처리 전이나 화학처리 후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산성 및 염기성 분위기에서 화학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7)

  1. 알콕시 실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코올계 실리카 졸 10∼8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알루미늄 0.1∼2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티타늄 0.1∼20중량부,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300∼1000중량부 및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 0.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되어 형성된 가수분해물 코팅액; 및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0nm 크기의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 10∼5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는 탄산칼슘 및 실리카(Si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촉매는 젖산, 구연산 및 옥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산을 포함하며,
    상기 가수분해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amine),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mine), 4,4-비스(세크-부틸아미노)디페닐메탄(4,4-bis(sec-butylamino) Diphenylmethane),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 ethanolamine),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디이소프로판올아민(Diisopropanolamine)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 0.01∼3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는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처리된 백색 무기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실란은 테트라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 triethoxysilane),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 trimethoxysilane), 비닐트리클로로실란(vinyl trichlorosilane), 비닐트리스(베타-메톡시에톡시)실란(vinyl tris(◎methoxyethoxy)silane, 감마-메타크릴옥시프로필디메톡시실란(-methacryloxypropyldimethoxysilane), 베타-(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minopropyltri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in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메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isocyanatepropyltriethoxysilane) 및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알루미늄은 이소프로필 알루미네이트(Isopropyl Aluminate), 에틸 알루미네이트(Ethyl Aluminate), n-프로필 알루미네이트(n-propyl Aluminate), n-부틸 알루미네이트(n-Butyl Aluminate) 및 폴리-n-부틸 알루미네이트(Poly- N-Butyl Alumi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티타늄은 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Isopropyl Titanate), 에틸 티타네이트(Ethyl Titanate), n-프로필 티타네이트(n-propyl Titanate), n-부틸 티타네이트(n-Butyl Titanate), 폴리-n-부틸 티타네이트(Poly- N-Butyl Titanate),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2-Ethylhexyl Titanate), 옥틸렌 글리콜 티타네이트(Octylene Glycol Titanate) 및 테트라 이소옥틸 티타네이트(Tetra isooctyl Tita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축방지제 0.1∼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방지제는 에폭시 레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계 실리카 졸은 알코올을 용매로 하고 실리카의 함량이 10∼50중량%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실란 100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핀 0.001∼2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16.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제1항에 기재된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을 경화하여 백색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의 코팅층은 1∼10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
KR1020180122247A 2018-10-15 2018-10-15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 KR102201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247A KR102201480B1 (ko) 2018-10-15 2018-10-15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247A KR102201480B1 (ko) 2018-10-15 2018-10-15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02A KR20200042102A (ko) 2020-04-23
KR102201480B1 true KR102201480B1 (ko) 2021-01-12

Family

ID=7047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247A KR102201480B1 (ko) 2018-10-15 2018-10-15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979B1 (ko) * 1996-06-11 1999-10-15 성재갑 저장안정성, 내마모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실록산계피복조성물
KR101041123B1 (ko) * 2010-11-25 2011-06-13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다기능성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5524825B2 (ja) * 2007-04-19 2014-06-18 アクゾ ノーベル コーティング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ビー ヴィ 金属基材のための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16517905A (ja) * 2013-04-03 2016-06-20 ドンジン セミケ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ビス−タイプシラン化合物を含む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871867B1 (ko) * 2011-04-14 2018-06-27 엑사테크 엘.엘.씨. 유기 수지 라미네이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74B1 (ko) 2009-02-17 2011-06-08 유수용 바코드 인쇄필름용 내열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979B1 (ko) * 1996-06-11 1999-10-15 성재갑 저장안정성, 내마모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실록산계피복조성물
JP5524825B2 (ja) * 2007-04-19 2014-06-18 アクゾ ノーベル コーティング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ビー ヴィ 金属基材のための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041123B1 (ko) * 2010-11-25 2011-06-13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다기능성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71867B1 (ko) * 2011-04-14 2018-06-27 엑사테크 엘.엘.씨. 유기 수지 라미네이트
JP2016517905A (ja) * 2013-04-03 2016-06-20 ドンジン セミケ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ビス−タイプシラン化合物を含むコーティング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02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93025B (ko)
EP1790703B1 (en) Coating liquid for forming silica-based film having low dielectric constant and substrate having film of low dielectric constant coated thereon
KR101985547B1 (ko) 전극 보호막 형성제
EP3085736B1 (en) Black titanium oxynitride powder, and semiconductor sealing resin compound using same
KR101878478B1 (ko) 시아네이트계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한 실리카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3225600B1 (en) Glass plate with low-reflection coating
KR102201480B1 (ko) 백색 무기안료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바코드 인쇄용 라벨지의 제조방법
JP5905704B2 (ja) 離型フィルムおよび離型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離型コート剤
JP7171829B2 (ja) 窒化アルミニウム系フィラー
US20170298250A1 (en) Liquid coating compositions, processe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JP3724004B2 (ja) 熱硬化性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6778007B2 (ja) 被膜形成用の塗布液とその製造方法、及び被膜付基材の製造方法
JP4225133B2 (ja) 樹脂表面改質用光触媒シート、積層体および樹脂表面改質方法
JP2007231213A (ja) 分散液、ペースト組成物、および樹脂組成物
JP2013055156A (ja) 放熱基板
JP6480781B2 (ja) 透明被膜形成用塗布液、透明被膜形成用塗布液の製造方法、透明被膜付基材、および透明被膜付基材の製造方法
TWI682010B (zh) 被膜形成用之塗佈液及其製造方法、以及附被膜基材之製造方法
JP4656807B2 (ja) 難燃性エポキシ樹脂硬化用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成形体
CN110088215B (zh) 红外线遮蔽膜形成用涂料、带有红外线遮蔽膜的透明基体及其制造方法
US10479722B2 (en) Process for producing structured coatings
WO2015056772A1 (ja) 保護膜を有するガラス基板
KR102480868B1 (ko) 내크랙성이 개선된 내열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
JPWO2006038262A1 (ja) ソルダーレジスト塗料、その硬化物及びその被膜を備えたプリント配線板
JP2000256618A (ja)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被膜形成材料
KR102230885B1 (ko) 전도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접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