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495B1 -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495B1
KR102200495B1 KR1020200090540A KR20200090540A KR102200495B1 KR 102200495 B1 KR102200495 B1 KR 102200495B1 KR 1020200090540 A KR1020200090540 A KR 1020200090540A KR 20200090540 A KR20200090540 A KR 20200090540A KR 102200495 B1 KR102200495 B1 KR 10220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edestrian
driving
warning messag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웅
Original Assignee
델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코(주) filed Critical 델코(주)
Priority to KR102020009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8War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9Distances to obs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2Type
    • B60W2554/4029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거리 내로 보행자가 주행 중인 차량으로 접근하면 즉각적으로 차량에서 보행자에게 주행 중인 차량이 근접해 있음을 알리도록 하는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속도로 주행 중인 차량에 설치되어 일정 거리 내로 상기 차량에 근접한 보행자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보행자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는 보행자 감지장치와; 상기 보행자 감지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연산 제어하여 상기 보행자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보행자 사이의 거리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차량속도센서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속도센서가 감지한 차량의 속도와 상기 보행자 감지장치가 계측한 거리를 상기 제어부가 수신하고 연산하여 치수로 출력하면, 상기 출력 치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 중임을 상기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해 문자나 이미지로 이루어진 경고메시지를 보행자 앞의 지면에 표시하는 경고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DEVICE FOR WARNING PEDESTRIAN NEARBY VEHICLE DRIVING}
본 발명은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거리 내로 보행자가 주행 중인 차량으로 접근하면 즉각적으로 차량에서 보행자에게 주행 중인 차량이 근접해 있음을 알리도록 하는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년 차량 대수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주차공간은 협소하여 이면도로의 갓길 주차가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차된 차량 사이를 지나가는 보행자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에 의한 보행자 교통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스쿨존에도 이면도로가 많아서 등하굣길 어린이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어린이가 학교 보행 안전구역인 스쿨존에서 거의 매일 교통사고의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외에서 개발되는 능동형 보행자 보호 기술은 주로 지능형 자동차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전방장애물 충돌방지시스템, 전방감지 카메라, 후방감지 카메라, 전방충돌 방지 지원 장치 등 여러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처럼 최근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보행자 보호를 위한 센싱과 제동 기능이 차량에 내장되고 있지만, 주로 고급차 위주로 내장되고 있고 아직 대부분의 차량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기자동차는 동력원으로 전기를 사용함에 따라 일반적인 내연기관에 비해 조용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차량 주변의 이동하고 있는 예컨대, 보행자에게 차량의 접근을 알리기 어려워 안전사고에 취약하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차속이 정해놓은 저속(25~30km/h)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차량에서 엔진음 소리 등을 발생시켜 상기한 보행자에게 차량의 접근을 경보하는 장치가 고안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을 이용하여 음악 등을 청취하거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의 경우에는 주위 경계가 소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의력 분산으로 인한 사고 발생 위험이 크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18-0051838호(2018년 05월 17일, 공개)에는 보행자 및 차량의 탑승자에게 상대방의 접근을 알리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특허문헌의 차량의 접근 여부를 알리는 방법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 장치를 사용 중인 대상자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대상자에게 차량의 접근 여부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선행특허문헌의 차량의 접근 여부를 알리는 방법은, 차량에 접근하는 촬영된 영상으로 대상자를 검출하는 등의 단계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운행 중인 차량에 근접되어 있는 보행자에게 즉각적으로는 알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일정 거리 내로 보행자가 주행 중인 차량으로 접근하면 즉각적으로 차량에서 보행자에게 주행 중인 차량이 근접해 있음을 알리도록 한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는,
일정 속도로 주행 중인 차량에 설치되어 일정 거리 내로 상기 차량에 근접한 보행자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보행자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는 보행자 감지장치와;
상기 보행자 감지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연산 제어하여 상기 보행자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보행자 사이의 거리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차량속도센서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속도센서가 감지한 차량의 속도와 상기 보행자 감지장치가 계측한 거리를 상기 제어부가 수신하고 연산하여 치수로 출력하면, 상기 출력 치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 중임을 상기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해 문자나 이미지로 이루어진 경고메시지를 보행자 앞의 지면에 표시하는 경고표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보행자 감지장치와 상기 차량속도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 설정된 거리 내에 보행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표시장치를 작동시켜 경고메시지를 보행자 앞의 지면에 표시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와 상기 보행자와 상기 차량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경고메시지를 보행자 앞의 지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30km/h이고, 상기 보행자와 상기 차량 사이의 거리가 30m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표시장치를 작동시켜 경고메시지를 30m 앞의 상기 보행자 앞의 지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경고메시지가 보행자 앞의 지면에 표시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일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고표시장치는, 다수 개의 LED가 구비되어 광을 방사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조명장치 앞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면에 경고메시지가 표시되며, 상기 조명장치의 광이 조사되면 상기 경고메시지가 전방으로 투영되게 구비된 필름과; 상기 필름 앞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에 표시된 경고메시지를 확대하여 전방으로 출력되게 하는 대물렌즈;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거리 내로 보행자가 주행 중인 차량으로 접근하면 즉각적으로 차량에서 보행자에게 주행 중인 차량이 근접해 있음을 경고이미지로 알릴 수 있어, 차량의 보행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30km/h 이하로 운전이 이루어지는 골목길이나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낮은 코스트로 장치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작동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경고표시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작동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2의 경고표시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100)는,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속도(V)로 도로 주행 중인 차량(C)에 설치되어 도로 내의 전방에 일정 거리 내로 차량(C)에 근접한 보행자(P)를 감지하고, 차량(C)과 보행자(P) 사이의 거리(L)를 계측하는 보행자 감지장치(110)와, 이 보행자 감지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연산 제어하여 보행자(P) 감지와 차량(C)과 보행자(P) 사이의 거리(L)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차량(C)의 주행 속도(V)를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전송하는 차량속도센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행자 감지장치(110)는, 예컨대, 초음파 송수신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고, 레이더(RADAR; Radio Detecting And Ranging) 장치나 라이더(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송수신 장치에는 타이머가 더 포함된다.
상기 초음파 송수신 장치는 비용이 저렴하고 적용도 다른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쉬워 보행자 감지장치(110)에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차량속도센서(130)는 차량(C)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속도계(또는 차속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100)와 함께 별도의 속도센서를 장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100)에는, 차량속도센서(130)가 감지한 차량의 속도(V)와, 보행자 감지장치(110)가 계측한 거리를 제어부(120)의 연산에 의해 치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면 상기 변환 치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50)와,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이 주행 중임을 보행자(P)에게 알리기 위해 문자나 이미지로 이루어진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하는 경고표시장치(1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차량(C)의 운전석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100)와 연결된 모니터이거나 차량(C)에 이미 장착된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메시지(I)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정한 문자나 이미지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100)에는, 제어부(120)에서 보행자 감지장치(110)와 차량속도센서(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 설정된 거리(예컨대, 20m 또는 30mm) 내에 보행자(P)가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경고표시장치(160)를 작동시켜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C)의 속도(V)와 보행자(P)와 차량(C) 사이의 거리(L)에 비례하여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차량(C)의 속도(V)가 30km/h이면, 보행자(P)와 차량(C) 사이의 거리(L)가 30m일 때, 제어부(120)가 경고표시장치(160)를 작동시켜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차량(C)의 속도(V)가 20km/h이면, 보행자(P)와 차량(C) 사이의 거리(L)가 20m일 때, 제어부(120)가 경고표시장치(160)를 작동시켜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차량(C)의 운전자에 의해 경고메시지(I)가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210)가 차량(C)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부(2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차량(C)의 속도(V)와 보행자(P)와 차량(C) 사이의 거리(L)가 제어부(120)의 메모리(미도시)에 이미 설정된 값(예컨대, 차량(C)의 속도(V)가 30km/h이고 보행자(P)와 차량(C) 사이의 거리(L)가 30m가 되면)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20)에서 자동으로 경고표시장치(160)를 작동시켜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할 수도 있고, 차량(C)의 운전자에 의해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작동부(2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에 의해 직접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작동부(210)는 작동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작동버튼에 의한 경고표시장치(160)의 작동은 상기한 기 설정값과 관계없이 운전자의 판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고표시장치(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구비되어 광을 방사하는 조명장치(161)와, 이 조명장치(161) 앞에 설치되고 경고메시지(I)가 표시되고 조명장치(161)의 광이 조사되면 상기 경고메시지(I)가 투영되게 구비된 필름(film)(165)과, 이 필름(165) 앞에 설치되어 필름(165)에 표현된 경고메시지(I)를 확대하여 전방으로 출력되게 하는 대물렌즈(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장치(161)에는 다수 개의 LED가 구비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제어부(120)에 의해 광량(또는 광의 세기)의 조절이 용이하며, 상기 필름(165)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100)는, 차량(C)이 주행 중이며, 특히, 골목길이나 어린이 보호구역의 도로를 주행 중일 때에는 차량(C)의 속도(V)가 30Km/s나 그 이하로 주행 중일 때, 상기 차량(C)의 전방으로 보행자(P)를 감지하여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면 상기 보행자(P)에게 문자나 이미지(또는 도형)로 된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 노면(또는 지면)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차량(C)이 주행 중이되, 상기한 골목길이나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진입하여 주행 중이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100)를 작동한다.
그러면, 예컨대, 초음파 송수신 장치로 이루어진 보행자 감지장치(110)가 작동하여 보행자(P)를 감지하는 동시에 보행자(P)와 차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즉, 보행자 감지장치(110)의 일 실시예인 초음파 송수신 장치의 초음파 송신부에서 초음파를 전방으로 발신하면 차량(C)의 전방에 보행자가 있는 경우 그 보행자(P)에게 초음파가 반사되어 초음파 송수신 장치의 초음파 수신부로 수신된다.
그러면, 초음파 송수신 장치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시간이 함께 체크되어 보행자(P)와 차량(C) 사이의 거리(L)가 제어부(120)에 의해 계산되는 것은 물론이고, 보행자(P) 감지까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때, 차량(C)의 차량속도센서(130)에 의해 차속(V)도 제어부(120)에 입력 및 연산된다.
이때, 상기 보행자(P)의 감지나 보행자(P)와 차량(C) 사이의 거리(L), 그리고 상기 차속(V)은 디스플레이(150)에 출력 표시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 상태를 쉽게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보행자(P)가 감지되고, 감지된 보행자(P)와 차량(C) 사이의 거리(L)가 계산되고, 이렇게 얻어진 상기 거리(L)와 차량(C)의 속도(V)가 이미 입력된 설정값 이내라고 제어부(120)에서 판단이 되면, 경고표시장치(160)를 작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차량(C)의 속도(V)가 30km/h이고, 보행자(P)와 차량(C) 사이의 거리(L)가 30m가 되면, 설정값 이내에 들어, 제어부(120)에서 자동으로 경고표시장치(160)를 작동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차량(C)의 운전자에 의해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작동부(210)(또는 작동버튼)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상기 경고표시장치(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예컨대, 차량(C)의 속도(V)가 30Km/s를 넘고 차량(C)과 보행자(P) 사이의 거리(L)가 30m가 넘어 제어부(120) 판단이 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가 수동으로 경고표시장치(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경고표시장치(160)가 작동이 되면, 조명장치(161)가 점등되어 전방의 필름(165)에 광이 조사되면, 대물렌즈(163)를 통해 확대 반사되어 필름(165)에 표시된 경고메시지(I)가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된다.
그러면, 예컨대 보행자(P)가 휴대폰을 보고 있어, 자신의 전방에 차량(C)이 주행 중임을 못하는 경우에도 쉽게 전방의 주행 중 차량(C)을 인지하게 되고, 보행자(P)는 주행 중인 차량(C)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도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100)가 자동으로 작동되므로, 운전자가 자신 차량(C)의 전방의 보행자(P)를 보지 못했어도 운전자를 피할 수 있다.
그리고 보행자(P)는 소리가 아닌 이미지로 경고를 받으므로 상대적으로 편안한 마음으로 상기 경고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보행자 감지장치
120. 제어부
130. 차량속도센서
150. 디스플레이
160. 경고표시장치
161. 조명장치
163. 대물렌즈
165. 필름

Claims (5)

  1. 일정 속도(V)로 주행 중인 차량(C)에 설치되어 일정 거리 내로 상기 차량(C)에 근접한 보행자(P)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C)과 상기 보행자(P) 사이의 거리(L)를 계측하는 보행자 감지장치(110)와;
    상기 보행자 감지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연산 제어하여 상기 보행자(P)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C)과 상기 보행자(P) 사이의 거리(L)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차량(C)의 주행 속도(V)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전송하는 차량속도센서(130)와;
    상기 차량(C)의 운전석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속도센서(130)가 감지한 차량(C)의 속도(V)와 상기 보행자 감지장치(110)가 계측한 거리를 상기 제어부(120)가 수신하고 연산하여 치수로 출력하면, 상기 출력 치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50)와;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차량(C)이 주행 중임을 상기 보행자(P)에게 알리기 위해 문자나 이미지로 이루어진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하는 경고표시장치(16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20)에서 상기 보행자 감지장치(110)와 상기 차량속도센서(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 설정된 거리 내에 보행자(P)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경고표시장치(160)를 작동시켜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하고,
    상기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에 표시하는 지면은, 골목길이나 어린이 보호구역의 도로이며, 상기 차량(C)의 속도(V)가 30Km/s나 그 이하로 주행 중일 때이며,
    상기 차량(C)의 운전자에 의해 경고메시지(I)가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가 상기 차량(C)의 운전석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차량(C)의 속도(V)와 상기 보행자(P)와 상기 차량(C)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경고메시지(I)를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C)의 속도(V)가 30km/h이고, 상기 보행자(P)와 상기 차량(C) 사이의 거리(L)가 30m이면,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경고표시장치(160)를 작동시켜 경고메시지(I)를 30m 앞의 상기 보행자(P) 앞의 지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표시장치(160)는,
    다수 개의 LED가 구비되어 광을 방사하는 조명장치(161)와;
    상기 조명장치(161) 앞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면에 경고메시지(I)가 표시되며, 상기 조명장치(161)의 광이 조사되면 상기 경고메시지(I)가 전방으로 투영되게 구비된 필름(165)과;
    상기 필름(165) 앞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165)에 표시된 경고메시지(I)를 확대하여 전방으로 출력되게 하는 대물렌즈(163);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KR1020200090540A 2020-07-21 2020-07-21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KR10220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540A KR102200495B1 (ko) 2020-07-21 2020-07-21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540A KR102200495B1 (ko) 2020-07-21 2020-07-21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495B1 true KR102200495B1 (ko) 2021-01-11

Family

ID=7412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540A KR102200495B1 (ko) 2020-07-21 2020-07-21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4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734A (ko) * 2012-03-06 2013-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고 표시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퍼들램프 장치
KR101768877B1 (ko) * 2016-05-13 2017-08-18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차량의 레이저 빔 경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7698B1 (ko) * 2016-11-01 201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6465317B2 (ja) * 2017-03-10 2019-02-06 株式会社Subaru 画像表示装置
JP2019064486A (ja) * 2017-10-02 2019-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認知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734A (ko) * 2012-03-06 2013-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고 표시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퍼들램프 장치
KR101768877B1 (ko) * 2016-05-13 2017-08-18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차량의 레이저 빔 경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7698B1 (ko) * 2016-11-01 201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6465317B2 (ja) * 2017-03-10 2019-02-06 株式会社Subaru 画像表示装置
JP2019064486A (ja) * 2017-10-02 2019-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認知支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2415B1 (e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8121755B2 (en) Sound-directed-outside-vehicle emitting device
US8669857B2 (en) Hand-held device integration for automobile safety
US10733893B1 (en) Intelligent intersection crosswalk vulnerable road user warning system
US7852233B2 (en) Driver notification system,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20090256698A1 (en) Brake light warning system with early warning feature
US2013009080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r assistance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 motor vehicle
WO2016049812A1 (en) Automatic parking warning system
KR101760025B1 (ko)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JP2018181061A (ja) 運転支援装置
US200401557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tor vehicle-based emergency/hazard detection
JP2020530926A (ja) 危険な状況下での交通弱者に対する警報
KR20180059663A (ko) 긴급차량 접근 알림 신호 시스템
JP2019211928A (ja) 車両用警報システム
US7657184B2 (en) Interactive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 between cars and its method of use
JP2015028672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サーバ、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9865170B2 (en)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conspicuousness of vehicles
KR101103357B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측방충돌방지 경보시스템
KR20110007662A (ko) 비상 주차 차량의 안전 확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7473B1 (ko) 후방 차량을 고려한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00071654A (ko) 교차로에서 차량 또는 사람의 접근을 알려주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78205B1 (ko)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0495B1 (ko) 보행자에게 근접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장치
KR20160112667A (ko)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KR20150087737A (ko)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