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824B1 - 서랍용 인서트 너트 - Google Patents

서랍용 인서트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824B1
KR102199824B1 KR1020180102235A KR20180102235A KR102199824B1 KR 102199824 B1 KR102199824 B1 KR 102199824B1 KR 1020180102235 A KR1020180102235 A KR 1020180102235A KR 20180102235 A KR20180102235 A KR 20180102235A KR 102199824 B1 KR102199824 B1 KR 102199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screw
hollow
casing
drawe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220A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18010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8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threaded bolts or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44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 A47B88/95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characterised by connection means for the front pan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44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 A47B88/95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characterised by connection means for the front panel
    • A47B2088/952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characterised by connection means for the front panel having two parts and using a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허출원 제10-2017-0074813호에 개시된 서랍용 인서트 너트를 개량하여 서랍 간의 설치 간격, 높낮이, 기울기, 수평 등이 틀어지는 조립 오차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인서트 너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바깥쪽 면 둘레에 요철이 형성되고, 중공의 안쪽 면 둘레에 암나사삽입부가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상기 암나사삽입부 내에 상기 중공의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은 불가능하게 삽입된 암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가 수나사와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중공의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암나사삽입부 내에 삽입된 상태를 벗어나 상기 중공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암나사삽입부의 사방에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의 사방에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스토퍼홈이 형성된 서랍용 인서트 너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서랍용 인서트 너트{INSERT NUT FOR DRAWER}
본 발명은 서랍의 표면판을 서랍의 본체(전면판)에 볼팅(bolting) 방식으로 체결하는데 사용하는 인서트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의 본체(전면판)에 대한 서랍의 표면판 고정 위치를 다른 서랍과의 설치 간격이나 높낮이, 기울기, 수평 등이 틀어지는 조립 오차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아울러 그 위치 조정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서랍용 인서트 너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서랍장이나 수납장, 싱크대, 장식장, 옷장, 화장대 등의 각종 가구에 설치되는 서랍은 양질의 원목 가격 상승과 원목 자원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일부를 합성수지제로 사출 성형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테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의 본체(1)만을 사출 성형하고, 그 전면부에는 미려한 외관 등을 위해 목재 또는 장식재로 이루어진 전면판(7)을 나사(8)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 및 무게를 최소화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서랍은 본체(1)에 전면판(7)을 나사로 조립하는 방식의 특성상 한번 고정위치가 설정되면 사실상 위치의 변경이나 조절이 상당히 어려울 수밖에 없고, 또 조립 과정에서 자칫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으면 다른 서랍과의 간격, 높낮이, 기울기 등이 틀어지거나 수평이 맞지 않는 조립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전면판(7)을 본체(1)에서 일일이 떼어낸 후 다시 정확한 위치에 장착해야만 하기 때문에 조립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수지 사출물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경도가 약하고 무른 연금속 등의 피장착대상물(모재/기재)에 각종 구조물을 볼트로 결합 고정할 경우, 볼트와의 나사 체결에 따른 체결 강도 및 결속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피장착대상물의 장착홈 속에 압입(force insertion) 장착하는 이른바 인서트 너트(팝 너트)를 이용한 나사 체결방식은 오늘날 반도체 분야를 비롯하여 자동차, 건축자재, 건설,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서랍과 같은 가구를 조립 시 사용하는 인서트 너트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6600호에「가구 판재 조립용 체결너트구」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몸체(110)의 내측에 너트(30)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111)의 중앙으로 볼트삽입공(11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홈(111)에는 상기 너트(30)가 움직임 가능하도록 유동공간(1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피장착대상물인 가구에 고정한 상태에서 너트(30)와 볼트 등의 대응 부재 간에 중심이 미세하게 틀어지더라도 너트(30)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어 대응 부재(수나사)를 나사 결합으로 체결하여 다른 피장착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너트(30)를 몸체의 수용홈(111) 속에 끼워넣고 볼트삽입공(112)을 통해 볼트 등의 대응 부재(수나사)를 체결하는 구조적 특성상 너트(30)와 볼트 등의 대응 부재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가구의 설치 간격이나 높낮이, 기울기, 수평 등이 틀어지는 조립 오차가 미세한 경우에는 결합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나 조립 오차가 크게 발생할 경우 이를 적절히 조정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2012-0086600 A(2012.08.03) KR 20-1999-0029584 U(1999.07.26) KR 20-0268644 Y1(2002.03.06) KR 20-2009-0002394 U(2009.03.1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결합형 서랍과 인서트 너트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서랍 간의 설치 간격이나 높낮이, 기울기, 수평 등이 틀어지는 조립 오차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 및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조립 오차에 따른 위치 조정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고, 아울러 서랍의 장착구멍 속에 압입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회전력 등의 외력에 의해 헛돌거나 그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최초 암나사가 수나사와 체결 전 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쏠려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서랍용 인서트 너트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수나사와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용 인서트 너트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암나사가 수나사와 체결 전 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쏠려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용 인서트 너트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피장착대상물의 장착구멍에 압입되도록 바깥쪽 면 둘레에 요철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안쪽 면 둘레에 암나사삽입부가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상기 암나사삽입부 내에 상기 중공의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은 불가능하게 삽입된 암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가 수나사와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중공의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암나사삽입부 내에 삽입된 상태를 벗어나 상기 중공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암나사삽입부의 사방에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의 사방에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스토퍼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들 사이의 상기 암나사삽입부에, 상기 케이싱의 중공 축선과 상기 암나사의 축선이 일치하도록 상기 암나사를 접촉 간섭으로 안내 및 잡아주고, 상기 암나사가 상기 수나사와 체결을 위해 상기 케이싱의 중공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 시 접촉 간섭을 해제하도록 유연하게 변형되는 위치결정돌기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인서트 너트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서랍 간의 설치 간격이나 높낮이, 기울기, 수평 등이 틀어지는 조립 오차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조립 오차에 따른 수나사와 암나사 간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랍의 장착구멍 속에 압입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회전력 등의 외력에 의해 헛돌거나 그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 암나사가 위치결정돌기의 안내 및 접촉 간섭으로 인해 그 축선이 케이싱의 중공 축선과 일치되기 때문에 최초 암나사가 암나사삽입부의 어느 한쪽으로 쏠려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암나사는 가운데 부분에 나사구멍을 갖는 열십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서랍 간의 설치 간격, 높낮이, 기울기, 수평 등이 틀어지는 오차에 따른 서랍 표면판의 조립 위치 조정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케이싱은, 그 중공의 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양분되어 대향하는 면 중 한쪽 단부는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라인힌지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반대쪽) 단부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조립 및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케이싱의 상기 요철 중 볼록부는, 피장착대상물의 장착구멍에 대한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이어 형성됨으로써 서랍의 장착구멍 속에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박힌 상태를 유지하여 가해지는 회전력 등의 외력에 의해 헛돌거나 그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서랍의 본체 등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케이싱의 중공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암나사의 나사축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므로 서랍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다른 서랍과의 설치 간격이나 높낮이, 기울기, 수평 등이 틀어지는 조립 오차 등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보정(조절)하여 손쉽게 균형을 맞추도록 세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랍 간의 조립 오차 발생에 따른 보정을 위해 암나사의 수나사와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암나사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가 암나사삽입부를 벗어나 케이싱의 중공 속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최초 암나사의 축선이 위치결정돌기의 안내 및 접촉 간섭으로 인해 케이싱의 중공 축선과 일치되기 때문에 암나사가 수나사와 체결 전에 암나사삽입부의 어느 한쪽으로 쏠려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나사와의 체결에 따른 편리성 및 신속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랍의 본체와 서랍의 표면판 등과 같은 가구 조립 시 그 조립 오차에 따른 수나사와 암나사 간의 체결 위치를 이동 및 조정할 수 있는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의 용이성과 능률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랍 등의 피장착대상물의 장착구멍에 압입 시 요철 등에 의해 그 내주연과의 마찰력 및 지지력이 증강되어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나사결합을 위한 체결 시 자유로이 헛돌거나 피장착대상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서랍의 일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구용 인서트 너트의 일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인서트 너트 중 케이싱을 편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인서트 너트 중 케이싱을 편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인서트 너트 중 케이싱을 접은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인서트 너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인서트 너트는, 크게 케이싱(10) 및 암나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10)은 중공(H)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바깥쪽 면 둘레에는 피장착대상물의 장착구멍에 압입되도록 요철(11)이 상하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고, 그 중공(H)의 안쪽 면 둘레에는 암나사(20)를 그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암나사삽입부(12)는 암나사(20)의 폭과 넓이보다 약간 큰 폭과 넓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나사삽입부(12)의 사방에는 암나사(20)가 수나사(B)와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중공(H)의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과정에서 암나사삽입부(12) 내에 삽입된 상태를 벗어나 중공(H) 속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암나사삽입부(12)의 사방은 암나사(20)의 사방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케이싱의 중공(H)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13)들 사이의 암나사삽입부(12)에는 케이싱의 중공(H) 축선과 암나사(20)의 축선이 일치하도록 암나사(20)를 접촉 간섭으로 안내 및 잡아주는 위치결정돌기(17)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위치결정돌기(17)는 암나사(20)가 수나사(B)와 체결을 위해 케이싱의 중공(H)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 시 접촉 간섭을 자연스럽게 해제하도록 외력을 받을 시 유연하게 변형되는 연질 소재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암나사(20)가 위치결정돌기(17)들의 안내 및 접촉 간섭으로 인해 그 축선이 케이싱의 중공(H) 축선과 자연스럽게 일치됨으로써 최초 조립 시 암나사(20)가 암나사삽입부(12)의 어느 한쪽으로 쏠리어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철(11)은 회전 토크에 저항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케이싱(10)의 바깥쪽 면 둘레를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거나 그 테두리의 단면 형상이 스플라인(spline), 세레이션(serration)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요철(11) 중 볼록부는 피장착대상물의 장착구멍에 대한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인 쐐기형 또는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돌기(17)는 암나사(20)의 두께만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그 자유 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차 끝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력을 받을 시 쉽게 휘어지는 변형이 일어나거나 찢듯이 파단되어 케이싱(10)에서 떨어지도록 두께가 얇고 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결정돌기(17)는 두께가 얇고 가는 막이나 뿔 모양의 짧은 돌기 또는 털 형태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케이싱(1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케이싱(10)은 암나사삽입부(12)의 가공 및 형성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암나사(20)의 삽입 장착이 수월하도록 하기 위해 그 중공(H)의 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양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싱(10)의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양분한 형태로 사출성형할 수 있고, 또 대향하는 면 중 한쪽 단부는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라인힌지(14)로 연결하여 완전히 분할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한쪽(반대쪽)의 단부는 접은 상태를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해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홈(15)과 결합돌기(16)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20)는 케이싱의 중공(H) 중 암나사삽입부(12) 내에 그 중공(H)의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약간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은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즉, 암나사(20)는 서랍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다른 서랍 간의 설치 간격, 높낮이, 기울기, 수평 등이 틀어지는 오차 등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보정하여 손쉽게 균형을 맞추도록 세팅할 수 있도록 수나사(B)와 체결 시 그 나사축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위치 이동은 가능하면서 수나사(B)와 함께 회전되지 않게 케이싱의 암나사삽입부(12)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20)의 나사구멍은 케이싱의 중공(H)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나사(20)의 사방에는 그 위치 이동 시 스토퍼(13)와 접촉간섭을 일으키고, 아울러 수나사(B)와 체결 시 수나사(B)와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케이싱의 스토퍼(13)와 대응되는 형상의 스토퍼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암나사(20)는 가운데 부분에 나사구멍을 갖는 열십자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경이 이루는 폭과 넓이는 암나사삽입부(12)의 내경보다는 작고 중공(H)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암나사(20)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재 소재에 탭 가공을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인서트 너트의 주요 작용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싱(10)의 암나사삽입부(12) 내에 암나사(20)를 삽입 장착한 채로 서랍의 본체와 같은 피장착대상물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압입하면, 그 요철(11)의 마찰력과 지지력에 의해 피장착대상물에 견고하게 박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암나사(20)와 수나사(B)를 체결 시 암나사(20)가 자유로이 헛돌거나 피장착대상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암나사(20)의 축선이 위치결정돌기(17)들의 안내 및 접촉 간섭으로 인해 케이싱의 중공(H) 축선과 자연스럽게 일치됨으로써 최초 조립 시, 즉 암나사(20)와 수나사(B)의 체결 전에 암나사(20)가 암나사삽입부(12)의 어느 한쪽으로 쏠리어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암나사삽입부(12) 내에 암나사(20)를 삽입 장착한 채로 서랍의 본체와 같은 피장착대상물에 박은 상태에서 그 피장착대상물의 표면에 서랍의 표면판 등을 밀착한 후 볼트 등의 수나사(B)를 암나사(20)와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나사(B)와 암나사(20) 간의 체결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른 서랍과의 설치 간격이나 높낮이, 기울기, 수평 등이 틀어지는 오차 등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보정하고 손쉽게 균형을 맞추도록 세팅할 수 있다.
이때, 암나사(20)가 조립 오차 보정을 위해 위치 이동하더라도 그 어느 한쪽 가장자리, 즉 스토퍼홈(21)은 스토퍼(13)와의 접촉 간섭으로 암나사삽입부(12)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그 조립 오차에 따른 암나사(20)의 위치 이동 및 조정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다.
요컨대, 서랍의 표면판 등에 고정 위치가 미리 정해진 수나사(B)와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20)는 수나사(B)의 위치에 따라 케이싱(10) 내에서의 위치를 이동시켜 조정함으로써 서랍 간의 설치 간격이나 높낮이, 기울기, 수평 등이 틀어지는 오차 등을 자연스럽게 보정할 수 있는데, 암나사(20)의 케이싱(10) 내에서의 위치 이동 범위를 최대한 늘리기 위해서는 케이싱의 중공(H)과 암나사삽입부(12)의 공간이 클수록 유리하면서 효율적이다.
하지만, 케이싱의 중공(H)이 지나치게 크면 암나사(20)가 조립 오차 보정을 위한 위치 이동 중 중공(H)에 쉽게 빠지면서 기울어져 수나사(B)와 나사 결합을 위해 끼우거나 조일 수 없고, 자칫 중공(H)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인서트 너트는 케이싱의 스토퍼(13)와 암나사(20)의 스토퍼홈(21)이 항시 접촉 간섭을 일으키도록 형성함으로써 위치 조정 과정에서 암나사(20)가 케이싱의 중공(H) 속에 빠지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있고, 결국 케이싱의 중공(H)과 암나사삽입부(12)의 공간을 유리한 크기로 키울 수 있어 암나사(20)의 위치 이동 및 조정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서랍의 본체 등에 서랍의 표면판 등을 설치 및 고정하는 작업이 한층 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설치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의 용이성과 능률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케이싱 11: 요철
12: 암나사삽입부 13: 스토퍼
14: 라인힌지 15: 결합홈
16: 결합돌기 17: 위치결정돌기
20: 암나사 21: 스토퍼홈

Claims (4)

  1. 바깥쪽 면 둘레에 요철(11)이 형성되고, 중공(H)의 안쪽 면 둘레에 암나사삽입부(12)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케이싱(10);
    상기 케이싱의 중공(H)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은 불가능하게 상기 암나사삽입부(12) 내에 삽입되고, 가운데 부분에 나사구멍을 갖는 열십자형으로 이루어진 암나사(20);
    를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20)가 상기 암나사삽입부(12) 내에서 수나사(B)와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의 중공(H)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암나사삽입부(12) 내에 삽입된 상태를 벗어나 상기 케이싱의 중공(H) 속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암나사삽입부(12)의 사방에 스토퍼(13)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20)의 사방에 상기 스토퍼(13)와 대응되는 스토퍼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3)들 사이의 상기 암나사삽입부(12)에, 상기 케이싱의 중공(H) 축선과 상기 암나사(20)의 축선이 일치하도록 상기 암나사(20)를 접촉 간섭으로 안내 및 잡아주고, 상기 암나사(20)가 상기 수나사(B)와 체결을 위해 상기 케이싱의 중공(H) 축선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 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접촉 간섭을 해제하여 조립 오차에 따른 암나사(20)와 수나사(B) 간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결정돌기(17)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인서트 너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그 중공(H)의 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양분되어 대향하는 면 중 한쪽 단부는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라인힌지(14)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반대쪽) 단부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홈(15)과 결합돌기(16)가 서로 대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인서트 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11) 중 볼록부는, 피장착대상물의 장착구멍에 대한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인서트 너트.
KR1020180102235A 2018-08-29 2018-08-29 서랍용 인서트 너트 KR10219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35A KR102199824B1 (ko) 2018-08-29 2018-08-29 서랍용 인서트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35A KR102199824B1 (ko) 2018-08-29 2018-08-29 서랍용 인서트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220A KR20200025220A (ko) 2020-03-10
KR102199824B1 true KR102199824B1 (ko) 2021-01-07

Family

ID=6980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235A KR102199824B1 (ko) 2018-08-29 2018-08-29 서랍용 인서트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938B1 (ko) * 2020-12-01 2021-03-11 베스띠아 주식회사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631A (ja) * 1999-02-24 2000-09-05 Nec Eng Ltd フローティングナット・アッセンブリ
JP2002242918A (ja) 2001-02-14 2002-08-28 Minebea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ナット
JP2004232745A (ja) * 2003-01-30 2004-08-19 Toshiba Tec Corp ナット取り付け構造
KR101811346B1 (ko) * 2016-10-25 2017-12-26 김종원 서랍용 인서트 너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584U (ko) 1997-12-29 1999-07-26 양재신 스페셜너트 취부구조
KR200268644Y1 (ko) 2001-12-06 2002-03-16 이철수 싱크대 설합의 전면판 체결장치
KR20090002394U (ko) 2007-09-05 2009-03-10 윤재기 서랍전면판 고정장치
KR20120086600A (ko) 2011-01-26 2012-08-03 김평진 가구 판재 조립용 체결너트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631A (ja) * 1999-02-24 2000-09-05 Nec Eng Ltd フローティングナット・アッセンブリ
JP2002242918A (ja) 2001-02-14 2002-08-28 Minebea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ナット
JP2004232745A (ja) * 2003-01-30 2004-08-19 Toshiba Tec Corp ナット取り付け構造
KR101811346B1 (ko) * 2016-10-25 2017-12-26 김종원 서랍용 인서트 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220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6225A (en) Adjustable spacer
US20060280579A1 (en) Plastic tolerance compensating assembly
KR102199824B1 (ko) 서랍용 인서트 너트
CN209025953U (zh) 调节单元及组件
KR102325744B1 (ko) 전자기기 고정용 브라켓 및 전자기기 고정 구조
JP2000035013A (ja) 構造部品を相互連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2122119A (ja) 構造部品連結装置
US10316523B2 (en) Baluster joint block
KR20200072075A (ko) 접시머리 볼트의 풀림 방지용 와셔 및 이를 포함한 접시머리 볼트 구조체
AU2011294325A1 (en) Nut-holding member and bolt-joining method
US6688830B2 (en) Connecting device
EP1777333B1 (en) Foot base and foot for an appliance
KR20110033631A (ko) 가구용 받침대
KR101895222B1 (ko) 서랍용 인서트 너트
KR101811346B1 (ko) 서랍용 인서트 너트
KR102321701B1 (ko) 서랍용 인서트 너트
US20160377221A1 (en) Interchangeable bracket flange system
EP1524466B1 (en) Clamp support system for electrical, electronic, optical and mechanical devices and components
JP2009138329A (ja) パネルサポート
EP3162970B1 (en) Covering rosette for a concealed sanitary fitting
CA3047946C (en) Fastening mechanism and furniture assembly
JP6096429B2 (ja) フローティングナットおよびフローティングボルト
JP4568721B2 (ja) 締結装置
CN114109999A (zh) 螺母紧固件组件
KR102397605B1 (ko) 상판 다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