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644Y1 - 싱크대 설합의 전면판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설합의 전면판 체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8644Y1 KR200268644Y1 KR2020010037654U KR20010037654U KR200268644Y1 KR 200268644 Y1 KR200268644 Y1 KR 200268644Y1 KR 2020010037654 U KR2020010037654 U KR 2020010037654U KR 20010037654 U KR20010037654 U KR 20010037654U KR 200268644 Y1 KR200268644 Y1 KR 20026864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ont plate
- assembly
- present
- wedge
- sink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설합의 전면판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설합의 전면판을 손쉽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된 전면판의 수평 및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싱크대 설합(1)의 양쪽 측판부재(2)의 전단부에 전면판(3)을 고정함에 있어서, 전면판(3)의 양측에 형성한 요홈(4)에 나사공(6)과 복수개의 걸림돌조(7)를 가진 쐐기(5)를 강제로 박아서 고정하고, 상기한 쐐기(5)에 나사 결합한 축보울트(8)를 측판부재에 형성된 관공(10)에 삽입한 후 축보울트의 헤드(11)를 회전식 체결못(12)의 편심걸고리(13)로 끌어당겨서 전면판(3)을 고정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싱크대 설합의 전면판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싱크대나 조리대 등의 설합을 조립식으로 형성함에 있어서, 설합의 전면판에 대한 수평조절이 가능하고 견고한 체결력을 갖도록 체결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종래에는 싱크대 설합(1)의 전면판을 조립할 때 스크류를 이용하여 측면부재에 고정하므로서 도1 및 도2와 같이 전면판이 약간 삐딱하게 고정되는 경우가 많고 한번 고정된 전면판은 수평 및 기울기를 현장에서는 조절할 수 없어 설합 자체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거나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설합의 전면판을 손쉽게, 그리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된 전면판의 수평 및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인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싱크대의 시공설치상태도
도2는 종래 싱크대 설합의 문제점을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전면판 조립구조를 보인 평면예시도
도4,도5는 본 고안 조립상태의 평면확대도
도6,도7은 본 고안 조립상태의 측면확대도
도8은 본 고안의 체결구 분리사시도
도9는 체결구의 진퇴작동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작동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설합 2: 측판부재 3: 전면판
4: 요홈 5: 쐐기 6: 나사공
7: 걸림돌조 8: 축보울트 10: 관공
11: 헤드 12: 체결못 13: 편심걸고리
싱크대 설합(1)의 양쪽 측판부재(2)의 전단부에 전면판(3)을 고정함에 있어서, 전면판(3)의 양측에 형성한 요홈(4)에 나사공(6)과 복수개의 걸림돌조(7)를 가진 쐐기(5)를 강제로 박아서 고정하고, 상기한 쐐기(5)에 나사 결합한 축보울트(8)를 측판부재에 결합된 소켓(9)의 관공(10)에 삽입한 후 축보울트의 헤드(11)를 회전식 체결못(12)의 편심걸고리(13)로 끌어당겨서 전면판(3)을 고정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3 및 도4와 같이 먼저 전면판(3)에 형성된 요홈(4)에 쐐기(5)를 강하게 때려서 박아주면 레칫기어형의 일방향 돌기로 된 걸림돌조(7)가 좁은 요홈(4)에 압입된 상태로 이탈의 우려 없이 박혀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축보울트(8)의 나사부를 쐐기(5) 중앙의 나사공(6)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킨 후 축보울트(8)를 측판부재의 관공(10)에 삽입되게 전면판(3)을 설합체에 조립하고 체결못(12)을 조임방향으로 돌려주면 조립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5,도7, 도9에서와 같이 측판부재(2)의 측면에 끼워진 상태로 제자리 회전하는 체결못(12)을 일측으로 돌려주면 그 내단의 편심걸고리(13)가 축보울트(8)의 헤드(11)를 끌어당겨서 전면판(3)이 측판부재(2)에 밀착되게 하므로 설합이 견고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체결못(12)을 반대로 돌려주면 편심걸고리(13)가 당기고 있던 축보울트(8)를 놓아주므로 전면판(3)의 해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설합이 조립된 상태로 싱크대에 결합되었을 때 도2와 같이 각 층의 설합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지게 되면 이를 바르게 교정해야 하는바, 이때는 체결못(12)을 약간 풀어주면 전면판(3)이 상하 유동되므로 시공자가 전면판(3)을 수평상으로 위치되게 교정한 상태로 다시 체결못(12)을 조여주면 간단히 교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전면판을 보수하거나 교체할 때에도 체결못(12)을 풀어서 전면판을 분리한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조립식 설합의 전면판을 제자리 회전식 체결못에 의해서 진퇴되는축보울트에 연결하여 체결못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서 전면판을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취급상의 요령이나 어려움 없어 전문인이 아니라도 누구나 신속 간편히 조립할 수 있고, 임의적인 풀림이나 유동의 우려가 없는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싱크대를 시공시 다수의 설합에 대한 전면판 기울기를 현장에서 간편히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종래 설합의 조립수단이나 체결수단에 비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 싱크대 설합(1)의 양쪽 측판부재(2)의 전단부에 전면판(3)을 고정함에 있어서, 전면판(3)의 양측에 형성한 요홈(4)에 나사공(6)과 복수개의 걸림돌조(7)를 가진 쐐기(5)를 강제로 박아서 고정하고, 상기한 쐐기(5)에 나사 결합한 축보울트 (8)를 측판부재에 형성된 관공(10)에 삽입한 후 축보울트의 헤드(11)를 회전식 체결못(12)의 편심걸고리(13)로 끌어당겨서 전면판(3)을 고정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씽크대 설합의 전면판 체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7654U KR200268644Y1 (ko) | 2001-12-06 | 2001-12-06 | 싱크대 설합의 전면판 체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7654U KR200268644Y1 (ko) | 2001-12-06 | 2001-12-06 | 싱크대 설합의 전면판 체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8644Y1 true KR200268644Y1 (ko) | 2002-03-16 |
Family
ID=7311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7654U KR200268644Y1 (ko) | 2001-12-06 | 2001-12-06 | 싱크대 설합의 전면판 체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8644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5222B1 (ko) | 2017-06-14 | 2018-09-05 | 김종원 | 서랍용 인서트 너트 |
KR20180119752A (ko) | 2017-04-26 | 2018-11-05 | 김종원 | 서랍용 인서트 너트 |
KR20200025220A (ko) | 2018-08-29 | 2020-03-10 | 김종원 | 서랍용 인서트 너트 |
-
2001
- 2001-12-06 KR KR2020010037654U patent/KR20026864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9752A (ko) | 2017-04-26 | 2018-11-05 | 김종원 | 서랍용 인서트 너트 |
KR101895222B1 (ko) | 2017-06-14 | 2018-09-05 | 김종원 | 서랍용 인서트 너트 |
KR20200025220A (ko) | 2018-08-29 | 2020-03-10 | 김종원 | 서랍용 인서트 너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33048B2 (en) | Fixture set | |
US11047409B2 (en) | Quick-threaded rod locking device and method | |
US9033637B2 (en) | Threaded connector for pole, machinery and structural elements | |
JP4062740B2 (ja) | 水栓の取付装置 | |
US6676349B1 (en) | Single-piece fixing element in the form of a screw or nail | |
KR200268644Y1 (ko) | 싱크대 설합의 전면판 체결장치 | |
KR20100010115A (ko) |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 |
JP2009138329A (ja) | パネルサポート | |
KR20110046071A (ko) | 세트 앵커볼트 | |
KR200285519Y1 (ko) | 싱크대 설합의 전면판 기울기 교정장치 | |
KR200381417Y1 (ko) | 볼트에 결합된 너트가 이탈되지 않는 크램프 | |
KR200352318Y1 (ko) | 다기능 광고 게시대 | |
JP2634998B2 (ja) | 二重床用パネルの支持脚 | |
US12117108B1 (en) | Rail-pipe brackets, pipe clamps, and related components for supporting solar panels | |
JP5440475B2 (ja) | 出隅用パネル取付金具及び出隅用パネル取付構造 | |
CN210511309U (zh) | 一种连接装置以及吸顶灯 | |
KR200359984Y1 (ko) | 서랍의 전면판 조립구조 | |
JP4363945B2 (ja) | 柱脚金物 | |
JP2003191171A (ja) | 勾配座金共回り防止スパナ | |
KR200339374Y1 (ko) | 거푸집 지지대용 고정구 | |
KR200343925Y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브래킷 | |
KR20070060249A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체의 마운팅구조 | |
JPH1181401A (ja) | 水栓の取付装置 | |
KR200241334Y1 (ko) | 돔 구조물용 결속구 | |
KR200341681Y1 (ko) | 구조물용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