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938B1 -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 Google Patents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938B1
KR102225938B1 KR1020200165610A KR20200165610A KR102225938B1 KR 102225938 B1 KR102225938 B1 KR 102225938B1 KR 1020200165610 A KR1020200165610 A KR 1020200165610A KR 20200165610 A KR20200165610 A KR 20200165610A KR 102225938 B1 KR102225938 B1 KR 102225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front panel
furniture
groov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호
Original Assignee
베스띠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띠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스띠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44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 A47B88/95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characterised by connection means for the front pan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Vertically-oriented drawers, i.e. drawers where the height exceeds the width
    • A47B2088/422Fittings for connecting the front pan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 A47B2088/939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to the front panel of a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8Covers or lids for sliding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서랍이 구비된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에 밀착 고정되는 전면패널에 별도 구비의 교정모듈러를 매입 형성하고, 상기 서랍의 서랍본체 내측으로부터 별도의 고정볼트가 상기 교정모듈러를 경유하여 전면패널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교정모듈러는 내부의 유동너트체가 고정결합체로부터 사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에 내장되는 서랍의 전면패널을 서랍의 서랍본체와 정확히 일치되는 각도 및 방향으로 조정하여 결합할 수 있어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에 삽입된 서랍 간 전면패널이 불균일하여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서랍의 전면패널이 서랍수용부와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서랍의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며, 서랍본체에 미리 가공되어진 삽입공의 위치가 다소 상이하거나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교정모듈러를 통해 상기의 전면패널에 대한 고정 위치를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편리성은 물론 불량률 억제 효과가 뛰어나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The drawer front panel unbalanced correction tool for drawer function storage furniture and household furniture products}
본 발명은 내부에 서랍이 구비된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장이나 옷장과 같은 수납가구 또는 주방 서랍장과 같은 주방가구는 물론 책상용 보조서랍장과 같은 다양한 가구 내에 레일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개폐되게 한 서랍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전면패널에 별도 구비의 교정모듈러를 매입한 후 상기 교정모듈러를 통해 전면패널이 서랍본체와 밸런스 교정 상태로 체결 고정되도록 한 서랍용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가정 내 출입구의 전실에는 신발이나 소품 등을 보관 및 수납하기 위한 신발장이 시공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신발장은 전면의 개폐도어와 내부의 수납 선반 및 서랍 등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신발장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옷장이나 다용도 수납장 등의 수납가구는 일반 가정은 물론 오피스텔이나 호텔 등의 업무 혹은 주거 시설에서 널리 시공 및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씽크대용 서랍장과 같은 주방가구는 물론 책상용 보조서랍장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가구에는 다양한 크기와 개체수 및 형태를 갖는 서랍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다양한 가구에 구비되어 있는 서랍의 경우 가구본체로부터 원활한 개폐 작동을 위해 양측의 레일에 의해 가구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서랍용 레일은 다양한 종류 및 형태를 갖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수납가구용 서랍의 경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가벼운 소품 등이 수납되는 것이므로 등록특허 제10-1395008호와 같이, 서랍에 고정 장착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이 슬라이딩 레일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구의 서랍 수납공간 내벽에 고정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레일의 서랍과 밀착 고정되는 면 또는 가이드 레일의 가구의 서랍 수납공간 내벽과 밀착 고정되는 면 상에는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둘 이상의 끼움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끼움돌기의 둘레에는 절개홈이 다수 형성되며, 또 끼움돌기의 중공 내측과 연결살에 의해 고정쐐기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이 고정쐐기는 외력을 받을 시 연결살을 파단하면서 끼움돌기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끼움돌기를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구조의 서랍용 레일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서랍용 서랍전면판에 관해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394호와 같이 수납장에 결합되는 서랍을 주변의 서랍 또는 문과 조화를 이루도록 수평상태 및 높이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서랍 전면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납함의 서랍수납부를 구성하는 서랍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서랍 본체를 사출성형하며, 서랍전면부 상단을 절곡하여 전면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되, 서랍 본체와 전면프레임 사이에 결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의 양측 끝에는 상하로 이어지는 측면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여 중앙부에는 고정공을, 하단부에는 장공을 각각 관통형성하며, 상기 전면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결합공간부에 삽입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이 고정되는 전면판으로 구성하여서 된 서랍전면판 고정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24035호와 같이 주방용 싱크대나 일반 책상등의 각종 가구류에 사용되는 조립식 서랍의 전면판과 골격체의 측벽 또는 측면판을 결합고정시키는 가구류 서랍 전면판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재 서랍 골격체와 전면판을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서랍 골격체의 측벽내부공간부에 삽입되도록 결착판상에 돌출형성시킨 결속체를 가지며, 그 측면에는 결착돌기와 체결구멍을 형성한 결속구를 서랍용 전면판의 후면부에 체결고정하고, 상기 전면판의 결속구에 의해 서랍골격체의 측벽과 전면판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하게끔 결합구성할 수 있도록 한 가구류 서랍 전면판의 결합장치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에 조립되는 서랍의 경우 서랍본체와 전면패널 간의 조립 작업상 허용오차를 벗어나거나 작업 실수로 인해 상기의 전면패널이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 및 생산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상기의 서랍이 원활하게 닫히지 않거나 닫힌 상태에서 전면패널이 기울어진 형태를 연출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클 뿐만 아니라 외관이 불량하고 고급스럽지 못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서랍은 통상적으로 목재 혹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서랍본체와, 상기 서랍본체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는 전면패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이들 서랍본체와 전면패널은 통상적으로 상기 서랍본체의 내측으로부터 관통 삽입되는 나사못 또는 고정볼트가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 나사 고정됨에 따라 상호 간의 견고한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의 서랍은 정면상 사각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서랍본체의 전면에 전면패널을 밀착시킨 후 서랍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나사못을 관통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의 전면패널이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흔들리게 되는 것이고, 상기 전면패널의 유동으로 인해 서랍본체와 일치하는 수평 상태를 연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서랍본체와 전면패널의 상호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랍본체의 전면부와 전면패널의 배면부에 각기 삽입공과 체결공을 미리 작업해 놓음으로써, 이들 삽입공과 체결공으로 삽입되는 나사못에 의해 서랍본체와 전면패널이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의 삽입공 또는 체결공이 선행 작업과정에서 정확한 위치로 미리 작업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의 전면패널이 역시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될 수 밖에 없어 지극히 불량한 외관 상태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전면패널에 한 번 나사못이 박힌 경우에는 나사못의 결합공이 잘못된 위치로 생성될 수 밖에 없어 미세하게 전면패널의 각도를 조정한 후 다시 나사못을 박더라도 기존의 잘못된 위치의 결합공으로 나사못이 다시 유도되면서 인위적인 힘으로는 상기 전면패널의 언밸런스 상태를 교정할 수 없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95008 (2014.05.08. 등록)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2009-0002394 (2009.03.10. 공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1994-0024035 (1994.11.16. 공개)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본체에 밀착 고정되는 전면패널에 별도 구비의 교정모듈러를 매입 형성하고, 상기 서랍의 서랍본체 내측으로부터 별도의 고정볼트가 상기 교정모듈러를 관통하여 전면패널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교정모듈러는 전면패널의 배면에 형성되는 장착홈에 압입되게 한 고정링체와 상기 고정링체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결합체 및 상기 조절결합체 내에 삽입되는 유동너트체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링체로부터 조절결합체가 출몰 상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은 물론 상기 조절결합체 내부의 유동너트체가 조절결합체로부터 사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서랍의 조립과정에서 상기의 서랍본체로부터 전면패널을 다양한 위치로 유동시킬 수 있어 서랍본체에 대한 전면패널의 정확한 위치로 상호 결합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의 전면패널이 서랍본체로부터 언밸런스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의 서랍은 물론 나아가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전체적인 생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구본체의 전면에 서랍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서랍수용부에 삽입되는 서랍이 가구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출몰 개폐되게 하되, 상기 서랍은 서랍수용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서랍의 양측에 장착되는 슬라이딩레일에 의해 개폐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서랍은 상측이 개방된 서랍본체와 상기 서랍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면패널로 구성된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에 대하여, 상기 서랍본체를 향하는 전면패널의 배면에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에는 별도 구비의 교정모듈러가 삽입 고정되되,
상기의 교정모듈러는, 상기 장착홈에 강제 고정되게 한 고정링체와,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상기 고정링체의 내측으로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조절결합체와, 상기 조절결합체의 내측으로부터 유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유동너트체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너트체의 중앙에는 체결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결합체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나사공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과 대응하여 관통 형성된 서랍본체의 삽입공으로 끼워지는 고정볼트가 상기 체결나사공 및 전면패널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동너트체에 의해 전면패널이 서랍본체에 대하여 위치 교정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에 내장되는 서랍의 전면패널을 서랍본체와 정확히 일치되는 각도 및 방향으로 조정하여 결합할 수 있어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에 삽입되는 서랍 간 전면패널이 서로 불균일하여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서랍의 전면패널이 가구의 서랍수용부와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서랍의 원활한 개폐 작용으로 인해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며, 서랍본체에 미리 가공되어진 삽입공의 위치가 다소 상이하거나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교정모듈러를 통해 상기의 서랍본체에 대한 전면패널의 고정 위치를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편리성은 물론 불량률 억제 효과가 뛰어나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다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언밸런스 교정모듈러가 적용된 서랍의 전면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전면패널용 언밸런스 교정모듈러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전면패널용 언밸런스 교정모듈러의 조절결합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전면패널용 언밸런스 교정모듈러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전면패널용 언밸런스 교정모듈러의 전체 분리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언밸런스 교정모듈러를 이용한 서랍 조립 과정도로서,
도 8은 전면패널에 대한 교정모듈러의 결합 설명도
도 9는 서랍본체와 전면패널 간 결합 과정도
도 10은 언밸런스 교정모듈러를 이용한 전면패널 위치 조정도
도 11은 서랍본체와 전면패널의 결합 상태 단면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전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다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언밸런스 교정모듈러가 적용된 서랍의 전면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전면패널용 언밸런스 교정모듈러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전면패널용 언밸런스 교정모듈러의 조절결합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전면패널용 언밸런스 교정모듈러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전면패널용 언밸런스 교정모듈러의 전체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전면패널용 언밸런스 교정모듈러는 기존의 다양한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는 물론 테이블용 보조수납장과 같은 다양한 서랍가구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신발장과 같은 통상적인 수납가구는 가구본체(100)의 전면에 개폐도어(101)가 구비되고, 상기 가구본체(100)의 전면 내측으로는 수납선반(102) 및 서랍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서랍수용부(110)에 삽입되는 서랍(120)이 가구본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출몰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통상적인 주방가구 혹은 보조서랍장 등은 가구본체(100)의 전면에 다수의 서랍수용부(110) 혹은 연통형의 서랍수용부(11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서랍수용부(110) 내에 다단의 서랍(120)이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 등의 다양한 서랍가구에 적용되는 서랍(120)은, 서랍수용부(110)의 내측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130)과 상기 서랍(120)의 양측에 장착되는 슬라이딩레일(140)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의 가이드레일(130)과 슬라이딩레일(140)은 단순 롤러 계지 형태 또는 볼 베어링이나 리니어 베어링이 결합된 형태 또는 다단 전개 및 절접 형태 등 다양한 구성 및 형태와 구조를 갖는 레일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서랍(120)은 통상적으로 목재 혹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수납공간을 갖는 서랍본체(121)와, 상기 서랍본체(121)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는 전면패널(122)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전면패널(122)은 서랍본체(121)의 전면을 미려하게 마감 및 장식하는 동시에 상기 전면패널(122)의 가공 혹은 부가 수단을 통해 상기의 서랍(120)이 보다 편리하게 개폐 작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필요한 경우 별도의 잠금수단을 함께 장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기한 바와 같은 서랍(120)에 있어, 상기 서랍본체(121)를 향하는 전면패널(122)의 배면에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장착홈(122a)(122a')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122a)(122a')에는 별도 구비의 교정모듈러(200)를 압입하여 고정 형성한 것으로, 상기의 교정모듈러(200)를 통해 서랍본체(121)와 전면패널(122)이 서로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교정모듈러(200)는, 상기 장착홈(122a)(122a')에 강제 삽입 고정되게 한 고정링체(210)와, 내측에 암나사부(211)가 형성된 상기 고정링체(210)의 내측으로 외면에 수나사부(220a)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조절결합체(220)와, 상기 조절결합체(220)의 내측으로부터 유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유동너트체(230)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너트체(230)의 중앙에는 체결나사공(231)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결합체(220)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나사공(231)과 대응하는 관통공(220b)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122a)(122a')과 대응하여 관통 형성된 서랍본체(121)의 삽입공(121a)(121a')으로 끼워지는 고정볼트(300)가 상기 체결나사공(221) 및 전면패널(122)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유동너트체(230)에 의해 전면패널(122)이 서랍본체(121)에 대하여 위치 교정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고정링체(210)의 외면에는 전면패널(122)의 장착홈(122a)(122a')에 대한 삽입 역방향의 고정쐐기(212)를 반복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 장착홈(122a)(122a')으로 강제 압입된 고정링체(210)는 상기 고정쐐기(212)에 의한 상호 간섭 저항에 의해 상기 장착홈(122a)(122a')으로부터 고정링체(210)의 되빠짐이 방지되는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교정모듈러(200)의 조절결합체(220)는, 외면의 수나사부(220a)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각기 회전홈(229)이 형성된 수용부재(221)와 체결부재(224)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221)에는 일측에 걸림홈(222)을 갖는 수용홈(22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24)에는 일측에 상기 걸림홈(222)으로 탄지 결합되는 걸림구(225)를 갖는 끼움부(226)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재(224)에는 전기한 유동너트체(230)가 비회전 안치 상태에서 사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너트안치홈(2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용부재(221)와 체결부재(224)가 상호 분할 상태에서 오픈되어 있는 체결부재(224)의 너트안치홈(227) 내에 상기의 유동너트체(230)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고, 이들 수용부재(221)와 체결부재(224)의 상호 가압에 의해 체결부재(224)의 끼움부(226)가 수용부재(221)의 수용홈(223)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끼움부(226)의 걸림구(225)가 수용홈(223) 내의 걸림홈(222)으로 탄력 계지되면서 상호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유동너트체(230)가 조절결합체(220)에 안정적으로 내장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동너트체(230)는 양측으로 간섭돌기(2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안치홈(227)에는 상기 간섭돌기(232)가 수용되게 한 확장홈(228)을 형성하여, 상기 확장홈(228) 내 간섭돌기(232)에 의해 유동너트체(230)가 너트안치홈(227)으로부터 비회전 상태에서 사방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전면패널(122)의 삽입공(121a)(121a')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교정모듈러(200)를 가압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도 9의 도시와 같이 서랍(120)의 서랍본체(121) 정면에 상기 전면패널(122)을 위치시키고, 상기 서랍본체(121)의 내측으로부터 삽입공(121a)(121a')을 통해 별도 구비의 고정볼트(300)를 삽입 및 나사 결합하면 상호 간의 간편하고 신속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의 고정볼트(300)는 서랍본체(121)의 삽입공(121a)(121a')을 통해 교정모듈러(200)의 내부 유동너트체(230)를 향하여 중앙의 체결나사공(231)으로 나사 결합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고정볼트(300)와 유동너트체(230)의 나사 결합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의 전면패널(122)을 움직여 서랍본체(121)와 정확한 수직 및 수평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유동너트체(230)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사방으로 고정결합체(220) 내에 유동할 수 있을 것이므로 결국 상기의 전면패널(122)이 너트안치홈(227)과 유동너트체(230) 간의 간극만큼 사방으로 유동되면서 전면패널(122)의 방향 및 위치의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 상기의 전면패널(122)에 대한 방향 및 위치의 교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300)를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고정볼트(300)는 유동너트체(230)를 관통하여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122)의 삽입공(121a)(121a') 내면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전면패널(122)이 서랍본체(121)에 정확한 위치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고정볼트(300)는 일반적인 나사 못 형태의 볼트를 사용함에 따라 위치 조정된 상태의 전면패널(122)에 고정볼트(300) 끝단이 파고 들어가면서 상호 간의 밀착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형태의 볼트를 사용하여 볼트 끝단이 목재로 된 전면패널(122)에 나사공을 강제로 생성시키면서 고정되게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정모듈러(200)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서랍(120)은 서랍본체(121)에 대하여 전면패널(122)을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교정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서랍본체(121)에 대하여 언밸런스 상태의 전면패널(122)에 대한 빠른 교정 조립이 가능한 것이고, 정확한 위치 및 각도로 조립된 전면패널(122)은 가구본체(100)의 서랍수용부(1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의 조립 상태를 연출하는 것은 물론 서로 이웃하는 서랍 또는 상,하로 연속하는 서랍 간의 간격이나 배치 및 나열 상태가 일정하게 연출되므로 더욱 고품질의 가구본체(100)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가구본체 101 : 개폐도어
102 : 수납선반
110 : 서랍수용부
120 : 서랍 121 : 서랍본체
122 : 전면패널
130 : 가이드레일
140 : 슬라이딩레일
200 : 교정모듈러
210 : 고정링체 211 : 암나사부
212 : 고정쐐기
220 : 고정결합체 221 : 수용부재
222 : 걸림홈 223 : 수용홈
224 : 체결부재 225 : 걸림구
226 : 끼움부 227 : 너트안치홈
228 : 확장홈
230 : 유동너트체 231 : 체결나사공
232 : 간섭돌기
300 : 고정볼트

Claims (4)

  1. 가구본체(100)의 전면에 서랍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서랍수용부(110)에 삽입되는 서랍(120)이 가구본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출몰 개폐되게 하되, 상기 서랍(120)은 서랍수용부(110)의 내측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130)과 상기 서랍(120)의 양측에 장착되는 슬라이딩레일(140)에 의해 개폐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서랍(120)은 상측이 개방된 서랍본체(121)와 상기 서랍본체(121)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면패널(122)로 구성된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에 대하여, 상기 서랍본체(121)를 향하는 전면패널(122)의 배면에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장착홈(122a)(122a')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122a)(122a')에는 별도 구비의 교정모듈러(200)가 삽입 고정되되,
    상기의 교정모듈러(200)는, 상기 장착홈(122a)(122a')에 강제 고정되게 한 고정링체(210)와, 내측에 암나사부(211)가 형성된 상기 고정링체(210)의 내측으로 외면에 수나사부(220a)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조절결합체(220)와, 상기 조절결합체(220)의 내측으로부터 유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유동너트체(230)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너트체(230)의 중앙에는 체결나사공(231)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결합체(220)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나사공(231)과 대응하는 관통공(220b)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122a)(122a')과 대응하여 관통 형성된 서랍본체(121)의 삽입공(121a)(121a')으로 끼워지는 고정볼트(300)가 상기 체결나사공(231) 및 전면패널(122)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동너트체(230)에 의해 전면패널(122)이 서랍본체(121)에 대하여 위치 교정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2. 제 1항에 있어서,
    조절결합체(220)는, 외면의 수나사부(220a)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각기 회전홈(229)이 형성된 수용부재(221)와 체결부재(224)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221)에는 일측에 걸림홈(222)을 갖는 수용홈(22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24)에는 일측에 상기 걸림홈(222)으로 탄지 결합되는 걸림구(225)를 갖는 끼움부(226)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재(224)에는 전기한 유동너트체(230)가 비회전 안치 상태에서 사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너트안치홈(227)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3. 제 2항에 있어서,
    유동너트체(230)는 양측으로 간섭돌기(2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안치홈(227)에는 상기 간섭돌기(232)가 수용되게 한 확장홈(228)을 형성하여, 상기 확장홈(228) 내 간섭돌기(232)에 의해 유동너트체(230)가 너트안치홈(227)으로부터 비회전 상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링체(210)의 외면에는 전면패널(122)의 장착홈(122a)(122a')에 대한 삽입 역방향의 고정쐐기(212)를 반복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KR1020200165610A 2020-12-01 2020-12-01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KR102225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610A KR102225938B1 (ko) 2020-12-01 2020-12-01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610A KR102225938B1 (ko) 2020-12-01 2020-12-01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938B1 true KR102225938B1 (ko) 2021-03-11

Family

ID=7514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610A KR102225938B1 (ko) 2020-12-01 2020-12-01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93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36U (ja) * 1991-07-03 1993-01-26 高橋金物株式会社 引出しの化粧板調整部材
KR940014398U (ko) * 1992-12-03 1994-07-16 이일환 씽크대용 설합
KR940024035U (ko) 1993-04-07 1994-11-16 가구류 서랍 전면판의 결합장치
JPH07265142A (ja) * 1994-03-31 1995-10-17 Takahashi Kanamono Kk 引出の化粧板調整構造
JP2000157360A (ja) * 1998-11-27 2000-06-13 Inoue Kanamono Kk 引き出し前板調整具
KR20090002394U (ko) 2007-09-05 2009-03-10 윤재기 서랍전면판 고정장치
KR101395008B1 (ko) 2012-07-06 2014-05-14 김종원 서랍용 레일
KR101811346B1 (ko) * 2016-10-25 2017-12-26 김종원 서랍용 인서트 너트
KR20200025220A (ko) * 2018-08-29 2020-03-10 김종원 서랍용 인서트 너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36U (ja) * 1991-07-03 1993-01-26 高橋金物株式会社 引出しの化粧板調整部材
KR940014398U (ko) * 1992-12-03 1994-07-16 이일환 씽크대용 설합
KR940024035U (ko) 1993-04-07 1994-11-16 가구류 서랍 전면판의 결합장치
JPH07265142A (ja) * 1994-03-31 1995-10-17 Takahashi Kanamono Kk 引出の化粧板調整構造
JP2000157360A (ja) * 1998-11-27 2000-06-13 Inoue Kanamono Kk 引き出し前板調整具
KR20090002394U (ko) 2007-09-05 2009-03-10 윤재기 서랍전면판 고정장치
KR101395008B1 (ko) 2012-07-06 2014-05-14 김종원 서랍용 레일
KR101811346B1 (ko) * 2016-10-25 2017-12-26 김종원 서랍용 인서트 너트
KR20200025220A (ko) * 2018-08-29 2020-03-10 김종원 서랍용 인서트 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0915B2 (en) Compact joining and leveling system for parts of furniture and furnishing items
US8231187B2 (en) Hinge bracket for a pocket door
US10702061B2 (en) Modular cabinet with hidden clamping system
US4563040A (en) Furniture assembly
US3835354A (en) Furniture and room partition components
US8016374B2 (en) Pull-out slide for drawers and drawer
US20030001470A1 (en) Mechanical joint including an angle bracket connector
CA2996745A1 (en) Joining device with wide accessibility for parts of furniture and furnishing items
CN109219375B (zh) 用于家具和家居用品的部件的具有调平件的接合系统
KR102225938B1 (ko) 서랍기능 수납가구 및 주방가구의 서랍 전면패널 언밸런스 교정모듈러
US20190166990A1 (en) Stapled on clamp
EP1647205A1 (en) Furniture structure for the production of cabinets, bookcases and similar
KR20130060417A (ko) 조립식 가구
EP3153717B1 (en) Double joining device with leveller for central panels of furniture and furnishing items
US3993377A (en) Prefabricated cabinet assembly
KR102234170B1 (ko) 서랍 측면 간격 조정용 모듈러가 구비된 서랍기능 수납가구
US2946639A (en) Sewing machine cabinets
WO2020092539A1 (en) Modular enclosure system
GB2573552A (en) A furniture kit
JP3218753U (ja) スチール製側面体を持つ複合箱状家具
KR100241720B1 (ko) 시스템퍼니쳐
KR100677911B1 (ko) 조립식 장식장의 프레임 구조
AU2019200352A1 (en) Modular plinth
NO115012B (ko)
JP2020142065A (ja) 棚柱取付構造及び棚柱利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