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837B1 - 탈각장치 - Google Patents
탈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8837B1 KR102198837B1 KR1020200097705A KR20200097705A KR102198837B1 KR 102198837 B1 KR102198837 B1 KR 102198837B1 KR 1020200097705 A KR1020200097705 A KR 1020200097705A KR 20200097705 A KR20200097705 A KR 20200097705A KR 102198837 B1 KR102198837 B1 KR 102198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rotating
- fastening
- ring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4—Devices or machines for opening raw eggs or separating the contents thereof
- A47J43/145—Machin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계란을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된 날계란을 이송부를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이송부를 통해 전달받은 날계란을 탈각장치를 이용하여 탈각하는 탈각단계; 및 상기 탈각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액란들을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단계는 강황가루 또는 치자를 끓여 만든 추출액을 상기 액란들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단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으로 날계란의 껍질을 탈각시키는 탈각장치를 이용하여 지단제조를 자동화하는 동시에, 지단제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지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처리 단계에서, 사람들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날계란을 깨거나 대형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날계란을 가압하여 깨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액란이 손상 또는 액란에 껍질 파편들이 포함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신뢰성과 효율성이 높은 자동화된 탈각장치를 포함하는 지단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날계란의 껍질을 탈각시키는 탈각장치를 이용하여 지단제조를 자동화하는 동시에, 지단제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지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단 제조방법은, 날계란을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된 날계란을 이송부를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이송부를 통해 전달받은 날계란을 탈각장치를 이용하여 탈각하는 탈각단계; 및 상기 탈각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액란들을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단계는 강황가루 또는 치자를 끓여 만든 추출액을 상기 액란들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각장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서 수평 방향의 사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암; 상기 암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공급되는 날계란을 좌우에서 잡는 바이스; 상기 암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바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난각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고정편; 상기 암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바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날계란을 깨는 크랙칼; 상기 크랙칼과 연결형성되어 상기 크랙칼이 전후로 유동 되면서 상기 날계란을 깨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핀스프링 및 상기 날계란에서 액란이 빠져나간 상태의 상기 날계란의 껍질을 잡고 있는 상기 바이스의 이동로에 구비되어 상기 껍질이 상기 바이스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난각이탈편; 상기 난각이탈편에 의해 이탈된 상기 껍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계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껍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모듈; 상기 하우징모듈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모듈; 상기 지지모듈에 거치된 상기 하우징모듈을 상기 지지모듈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시켜 주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모듈의 지름에 대응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모듈의 전단에 설치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모듈을 함께 회전시키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후단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모듈이 회전 도중에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하우징모듈을 체결하는 체결 지그; 상기 회전링의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링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어; 및 상기 회전 기어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기어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링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둥글게 말린 뒤 일단과 타단이 서로 체결되어 링 형태를 형성하는 링 본체; 상기 링 본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전단과 상기 링 본체의 전단 사이 및 상기 관통홀의 후단과 상기 링 본체의 후단 사이 마다 형성되는 체결홈; 상기 링 본체의 일단 및 타단이 포개진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홈을 통해 삽입된 뒤 하측에 위치하는 체결홈을 통해 하부가 하측으로 노출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볼트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기어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의 하측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 원통; 및 상기 기어 원통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 원통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들에 차례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링을 회전시켜 주는 체결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원통은, 상기 체결 기어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 개의 기어 설치홈이 상기 체결 기어의 개수에 대응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 기어는, 상기 기어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기어 설치홈의 외부로 노출된 일단이 둥글게 라우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기어날; 상기 기어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리 방지턱에 걸려 상기 기어날이 상기 기어 설치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기어날의 타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기어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어날의 타단을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각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액란들을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혼합된 액란을 충전받아, 지단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지단을 생성하는 지단생성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단계는 강황가루 또는 치자를 끓여 만든 추출액을 상기 액란들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교반기는, 상기 혼합액란란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용기; 상기 수용 용기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자전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 용기의 바닥면을 따라 공전하면서 상기 혼합액란란을 교반시켜 주는 회전 교반부; 및 상기 수용 용기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 용기의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 교반부를 자전 및 공전되도록 구동시켜 주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용 용기의 하측을 덮으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 용기의 하측면과 대향하며 상기 하부 커버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제1 렉기어가 형성되는 링형 기어; 상기 링형 기어의 내측 중심에 설치되는 센터 기어; 상기 센터 기어와 상기 링형 기어 사이에서 상기 센터 기어와 상기 제1 렉기어 각각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센터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링형 기어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수용 용기의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 교반부와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회전 교반부를 자전 및 공전시켜 주는 중간 기어; 상기 센터 기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센터 기어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 모터; 및 상기 링형 기어가 상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링형 기어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기어는, 상기 센터 기어와 상기 링형 기어 사이에서 상기 센터 기어와 상기 링형 기어 각각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 본체; 상기 기어 본체의 중심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중심홀의 일측에서 상기 기어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관통홀; 상기 중심홀의 다른 일측에서 상기 기어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관통홀; 상기 제1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 회전 자석;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2 회전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 자석은, 각 면마다 N극 또는 S극이 교대로 형성되는 8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자석 본체; 및 상기 자석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원판의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렉기어에 하부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자석 본체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렉기어는, 상기 회전 기어가 설치되는 상기 제1 회전 자석의 일측의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상기 지지 원판의 상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 교반부는, 상기 수용 용기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자전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 용기의 바닥면을 따라 공전하는 교반 본체; 상기 제1 회전 자석과 대향하며 상기 교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회전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으로 상기 제1 회전 자석에 체결되는 제1 체결 자석; 상기 제2 회전 자석과 대향하며 상기 교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회전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으로 상기 제2 회전 자석에 체결되는 제2 체결 자석; 및 상기 교반 본체의 외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교반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혼합액란란을 교반시켜 주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지단생성장치는, 혼합액란란이 충전되는 액란공급수단; 상기 액란공급수단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혼합액란란을 이송 및 가열시켜 연속적으로 얇게 부쳐내는 지단 형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단 형성수단은, 상기 액란공급수단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종동롤러; 상기 종동롤러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동롤러;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소성벨트; 상기 종동롤러를 감싸면서 지나는 상기 소성벨트와 함께 상기 액란을 공급받는 오목하면서 상기 종동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액란 소성공간부를 형성하는 냉각자켓; 및 상기 액란 소성공간부 측으로 공급된 상기 액란이 이송되는 상기 소성벨트에 의해 부쳐지도록 상기 소성벨트를 가열하는 가열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액란 소성공간부에 공급된 액란은 상기 액란 소성공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지면서 상기 가열버너에 의해 가열된 상기 소성벨트의 표면과 접촉해 상기 지단 형태로 부쳐지면서 이송되는 상기 소성벨트를 따라 상기 종동롤러를 지나 상기 구동롤러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부를 통해 전달받은 날계란을 탈각장치를 이용하여 탈각하는 탈각단계; 를 포함하는 지단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날계란의 껍질을 탈각시키는 탈각장치를 이용하여 지단제조를 자동화하는 동시에, 지단제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지단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단 제조방법을 개략적인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단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회전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중간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 자석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교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 교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단형성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단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회전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중간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 자석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교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 교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단형성장치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단 제조방법을 개략적인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단 제조방법은, 세척단계, 이송단계, 탈각단계, 혼합단계 및 지단생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세척단계(S100)는 날계란을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로서, 다수의 날계란을 수조등의 공간에 넣어 세척액 또는 물 등을 이용하여 날계란의 껍질을 세척할 수 있다. 이때, 계란들이 서로 부딪혀서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날계란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개별 수용홈을 포함하는 수용모듈을 세척장치는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하여, 이송단계(S200)는 세척단계(S100)를 통해 세척된 날계란을 이송부를 통해 후술할 탈각장치 등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부(180)는 날계란 한 개가 별도로 거치 되면서, 다수 개의 날계란이 상호 이격 된 채로 연이어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계속하여, 탈각단계(S300)는 이송부를 통해 전달받은 날계란을 탈각장치를 이용하여 탈각할 수 있다. 탈각단계(S300)는 탈각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날게란의 껍질을 깨고 날계란의 액란을 분리할 수 있다.
혼합단계(S400)는 탈각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액란들을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혼합단계(S400)는 강황가루 또는 치자를 끓여 만든 추출액을 상기 액란들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날계란의 흰자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황가루 또는 치자를 끓여 만든 추출액을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혼합된 액란의 발색을 더욱 짙은 노란색에 가깝게 구현할 수 있다. 추가되는 강황가루나 치자를 끓여 만든 추출액의 양은 실시에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계속하여, 지단생성단계(S500)는 혼합단계(S400)를 통해 혼합된 액란을 충전받아, 지단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지단을 생성할 수 있다. 지단생성단계는 액체상태의 액란을 가열하여 고체화시킨 후 이를 가공하는 단계로서, 지단생성장치를 통해 자동화함으로써 지단 생성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단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80)는,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체인(182)과, 상기 체인(182)을 가로지르며 고정되는 다수 개의 고정축(184), 상기 고정축(18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면서 날계란(5)을 지지하는 지지봉(18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 개의 날계란은, 하나의 지지봉(186)과 다른 하나의 지지봉(186) 사이에 한 개씩 거치 된 채로 상 기 체인(182)의 회전을 통해 후술할 탈각장치(110)에 공급되게 된다. 이때, 이송부(180)와 탈각장치(110) 사이에는, 이송부(180)와 탈각장치(110) 사이의 낙차로 인해 날계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소형태로 운동하는 이송보조편(190)이 배치된다. 이송보조편(190)은, 이송부(180)와 탈각장치(11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축(184)과 축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왕복 반 회전하는 보조축(192) 상부에 고정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송보조편(190)은, 보조축(192)의 회전에 따라 시소 형태로 운동하면서 이송부(180)에서 이송되는 날계란(5)을 탈각장치(110)로 원활하게 이송하게 된다. 이송부(180)와 이송보조편(190)으로부터 이송된 날계란(5)은, 탈각장치(110)로 이송되어 날계란(5)에서 껍질을 제거하고 액란(30)을 교반장치(120)로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탈각장치(110)는 날계란(5)에서 껍질을 제거하고 액란(30)을 교반장치(120)로 제공한다. 탈각장치(11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회전되는 회전축(112)과, 상기 회전축(112)에서 수평 방향의 사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암(114)을 갖는다. 이어서, 탈각장치(110)는, 암(114)에 연결되어 이송부(180)를 통해 공급되는 날계란(5)을 좌우에서 잡는 바이스(116)와, 암(114)에서 연장형성되되 바이스(116)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날계란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고정편(118)을 포함한다. 또한 암(114)에서 연장형성되되 바이스(116)의 하부에 배치되어 날걔란(5)의 껍질(10)을 깨는 크랙칼(111)과. 상기 크랙칼(111)과 연결형성되어 상기 크랙칼(111)이 전후로 유동 되면서 껍질(10)을깨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핀스프링(113)을 포함한다. 그리고, 날계란(5)에서 액란(30)이 빠져나간 상태의 상기 껍질(10)을 잡고 있는 바이스(116)의 이동로에 구비되어 상기 껍질(10)이 상기 바이스(116)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난각이탈편(115)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크랙칼(111)은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별도로 유동 되면서 껍질(10)을 깨게 된다. 여기서, 고정편(118)은, 수직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바이스(116)에 의해 거치 된 껍질(10)의 상부를 가압하며, 껍질(10)이 바이스(11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편(118)은, 암(114)에 연장형성되어 고정편(118)이 암(114)과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핀(117)을 포함하고, 연결핀(117)은 암(114)과 연결핀(117)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축인 핀축(119)에 연결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연결핀(117)은 고정편(118)이 거치 된 상태에서 핀축(119)에 축 결합 되어 고정편(118)이 수직 방향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탈각장치(110)는, 회전축(112)의 주변에 배치되되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반 호 형태로 형성되면서 핀스프링(113)과 더불어 크랙칼(111)의 전후 움직임을 안내하는 내측안내봉(102)을 포함한다. 그리고, 탈각장치(110)는, 상기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반 호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축(112)과 내측안내봉(102) 과의 거리보다 먼 거리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편(118)의 수직 움직임을 안내하는 외측안내봉(104)를 포함한다. 또한, 크랙칼에는, 크랙칼(111)에서 연장형성되면서 핀스프링(113)과 연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안내봉(102)에 밀착된 채로 안내되는 칼안내편(106)이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축(112)이 회전하면, 상기 암(114)이 상기 회전축(112)과 연동 되어 회전되고, 상기 암(114)에 연결되는 상기 크랙칼(111)과 상기 바이스(116)도 같이 연동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핀(117)은 상기 외측안내봉(104)의 상부에 밀착 거치 된 채로 유동 되다가 외측안내봉 (104)이 끝나는 부위에서 하강하게 되고, 연결핀(117)에 거치된 고정편(118)이 껍질(1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핀(117)은, 핀축(119) 상에서 회전되면서 고정편(118)이 연동 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칼안내편(106)은, 내측안내봉(102)의 측면에 밀착 된 채로 유동 되다가 상기 내측안내봉(102)이 끝나는 부위에서 상기 핀스프링(113)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축(112)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이때, 칼안내편(106)과 크랙칼(111)은 상호 수직을 이루며 연결형성되기 때문에, 칼안내편(106)이 회전축(112) 방향으로 가깝게 유동되면 크랙칼(111)은 회전축(112) 방향으로 멀게 유동됨과 동시에 상기 바이스(116)에 지지 된 껍질(10)을 깨게 된다. 특히, 난각이탈편(115)은, 외측안내봉(104)에 거치 고정되는데, 액란(30)이 빠져나간 껍질(10)은, 암(114)의 회전에 의해 바이스(116)에 지지되어 있다가 난각이탈편(115)과 부딪히면서 바이스(116)에서 이탈되어 버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껍질(10)에서 빠져나온 액란(30)은, 액란이송용기(120)에 떨어진 채로, 액란이송용기(120)의 이동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탈각장치(110)와 인접한 위치에는, 탈각장치(110)의 바이스(116)와 크랙칼(111)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탈각장치의 하부에 난각이탈편에 의해 이탈된 껍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계폐유닛을 포함하고, 껍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모듈(210), 하우징모듈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모듈(220) 및 지지모듈에 거치된 상기 하우징모듈을 상기 지지모듈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시켜 주는 회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모듈(210)은 도시되는 바와 같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부는 하우징모듈(210)에 일정량의 껍질이 수용되면 하우징모듈을 회전시켜 하우징모듈 내부에 수용된 껍질들을 하부로 개구부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 모듈의 회전시에는 개폐유닛을 통해 개구부를 닫고 있다가, 토출을 시작할 때에는 개구를 개방할 개폐유닛을 개방하여 개구부를 통해 껍질들이 수용부 하부로 토촐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모듈(220) 하부에는 하우징모듈에서 토출된 껍질을 다른 곳으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벨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모듈(220)에는 하우징모듈(210)의 회전시 충격을 완하시키는 탄성부재(240, 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400)는, 회전링(410), 체결 지그(420), 회전 기어(430) 및 구동 모터(440)를 포함한다.
회전링(410)은, 하우징모듈(210)의 지름에 대응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모듈(210)의 전단에 설치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모듈(210)을 함께 회전시킨다.
체결 지그(420)는, 회전링(410)의 후단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하우징모듈(210)이 회전 도중에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우징모듈(210)을 체결한다.
회전 기어(430)는, 회전링(410)의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구동 모터(440)의 구동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링(410)을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440)는, 회전 기어(430)의 전단에 설치되어 회전 기어(430)를 회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부(400)는, 지지모듈(220)의 내측에 거치된 하우징모듈(210)을 지지모듈(220)로부터 분리시키지 아니하고 회전시켜 하우징모듈(210) 내부에 수용된 껍질을 용이하게 버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모듈(220) 하부에는 껍질을 다른 곳으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벨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컨베이어벨트는 회전부(400)의 회전운동으로 공급받은 껍질을 다른 장소로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링(410)은, 링 본체(411), 관통홀(412), 체결홈(413), 체결 볼트(414) 및 체결 너트(415)를 포함한다.
링 본체(41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둥글게 말린 뒤 일단과 타단이 서로 체결되어 링 형태를 형성한다.
관통홀(412)은, 링 본체(411)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체결홈(413)은, 관통홀(412)의 전단과 링 본체(411)의 전단 사이 및 관통홀(412)의 후단과 링 본체(411)의 후단 사이 마다 형성된다.
체결 볼트(414)는, 링 본체(411)의 일단 및 타단이 포개진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홈(413)을 통해 삽입된 뒤 하측에 위치하는 체결홈(413)을 통해 하부가 하측으로 노출된다.
체결 너트(415)는, 체결 볼트(414)의 하부에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링(410)은, 하우징모듈(210)의 지름에 대응하여 링 본체(411)의 체결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지름의 하우징모듈(210)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회전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 기어(430)는, 기어 원통(431) 및 체결 기어(432)를 포함한다.
기어 원통(431)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링(410)의 하측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구동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원통(431)은, 체결 기어(432)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 개의 기어 설치홈(4311)이 체결 기어(432)의 개수에 대응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기어(432)는, 기어 원통(431)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기어 원통(431)이 회전됨에 따라 관통홀(412)들에 차례로 삽입되면서 회전링(410)을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기어(432)는, 기어날(4321), 돌출부(4322) 및 탄성체(432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날(4321)은, 기어 설치홈(4311)에 삽입 설치되며, 관통홀(412)에 삽입되기 위해 기어 설치홈(4311)의 외부로 노출된 일단이 둥글게 라우드진 형태(4321a)로 형성된다.
돌출부(4322)는, 기어 설치홈(4311)의 입구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리 방지턱(4312)에 걸려 기어날(4321)이 기어 설치홈(43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기어날(4321)의 타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탄성체(4323)는, 기어 설치홈(4311)의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어날(4321)의 타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 기어(430)는, 회전링(410)의 하측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관통홀(412)에 삽입되는 체결 기어(432)를 이용하여 회전링(410)을 회전시키면서 회전링(410)에 의해 체결된 하우징모듈(2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 기어(432)가 관통홀(412)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체결 기어(432)가 기어 설치홈(4311)을 통해 기어 원통(43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체결 기어(432)에 의해 회전링(4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기어(432)는, 기어날(4321), 돌출부(4322), 탄성체(4323) 및 슬라이딩 돌기(4324)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어날(4321), 돌출부(4322) 및 탄성체(4323)는, 도 9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슬라이딩 돌기(4324)는, 기어날(4321)외 외주면에 설치되어 기어 설치홈(4311)의 내주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기어 원통(431)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그재그홈(4313)에 안착되며, 기어날(4321)이 기어 설치홈(4311)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지그재그홈(4313)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향으로 변경하며 이동하면서 지그재그홈(4313)의 형태에 대응하여 기어날(4321)을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기어(432)는, 체결 기어(432)가 관통홀(412)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체결 기어(432)가 기어 설치홈(4311)을 통해 기어 원통(43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지그재그홈(4313)의 형태에 대응하여 기어날(4321)이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진동되는 과정 중에 기어날(4321)이 관통홀(412)에 삽입되도록 하여 회전 기어(430)에 의한 회전링(410)의 연속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0)는, 수용 용기(100), 회전 교반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수용 용기(100)는, 혼합액란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회전 교반부(200)아 안착된다.
회전 교반부(200)는,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에 안착되며, 자전하는 동시에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을 따라 공전하면서 혼합액란을 교반시켜 준다.
구동부(300)는, 수용 용기(1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을 사이에 두고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이용하여 회전 교반부(200)를 자전 및 공전되도록 구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10)는, 혼합액란, 강황가루 등을 균일하게 교반시켜, 지단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부(300)는, 하부 커버(310), 링형 기어(320), 센터 기어(330), 중간 기어(340), 구동 모터(350) 및 지지 원판(360)을 포함한다.
하부 커버(310)는, 수용 용기(100)의 하측을 덮으며 링형 기어(320), 센터 기어(330), 중간 기어(340), 구동 모터(350) 및 지지 원판(360) 등의 구성이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링형 기어(320)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수용 용기(100)의 하측면과 대향하며 하부 커버(3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제1 렉기어(321)가 형성된다.
센터 기어(330)는, 링형 기어(32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되며,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350)의 구동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측에 설치되는 중간 기어(34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중간 기어(340)는, 센터 기어(330)와 링형 기어(320) 사이에서 센터 기어(330)와 제1 렉기어(321) 각각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센터 기어(33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면서 링형 기어(320)의 내주면, 즉 제1 렉기어(321)를 따라 이동되며,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을 사이에 두고 회전 교반부(200)와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체결되어 회전 교반부(200)를 자전 및 공전시켜 준다.
즉, 중간 기어(340)가 자전함에 따라 회전 교반부(200) 역시 자전하고, 중간 기어(340)가 공전함에 따라 회전 교반부(200) 역시 공전하게 된다.
구동 모터(350)는, 센터 기어(3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센터 기어(330)를 회전시켜 준다.
지지 원판(360)은, 링형 기어(320)가 상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링형 기어(320)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동부(300)는, 회전 교반부(200)와 중간 기어(340)가 자기력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교반부(200)를 공전 및 자전시키면서 혼합액란이 교반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중간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중간 기어(340)는, 기어 본체(341), 제1 관통홀(342), 제2 관통홀(343), 제1 회전 자석(344) 및 제2 회전 자석(345)을 포함한다.
기어 본체(341)는, 센터 기어(330)와 링형 기어(320) 사이에서 센터 기어(330)와 링형 기어(320) 각각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센터 기어(330)가 회전함에 따라 이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자전 및 공전하면서 센터 기어(330)와 링형 기어(320)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제1 관통홀(342)은, 제1 회전 자석(344)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기어 본체(341)의 중심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중심홀(3411)의 일측에서 기어 본체(34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관통홀(343)은, 제2 회전 자석(345)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중심홀(3411)의 다른 일측에서 기어 본체(34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회전 자석(344)은, 제1 관통홀(342)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을 사이에 두고 자력을 발생시켜 자기력에 의해 제1 체결 자석(220)을 체결한다.
제2 회전 자석(345)은,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을 사이에 두고 제2 관통홀(343)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켜 자기력에 의해 제2 체결 자석(230)을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간 기어(340)는, 기어 본체(341)의 자전 및 공전을 이용하여 회전 교반부(200)를 자기력에 의해 자전 및 공전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회전 자석(344)과 제2 회전 자석(345)의 별도의 회전에 의해 교반부(200)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교반부(200)의 혼합물의 교반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 자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회전 자석(344)은, 자석 본체(3441) 및 회전 기어(3442)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제1 회전 자석(344)의 각각의 구성 및 기능은 제2 회전 자석(34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자석 본체(3441)는, 제1 관통홀(342)에 가로로 누인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체결 자석(220)과 자기력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면마다 N극 또는 S극이 교대로 형성되는 8각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 기어(3442)는, 자석 본체(3441)의 일측에 설치되며, 지지 원판(360)의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렉기어(361)에 하부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렉기어(361)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자석 본체(3441)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렉기어(36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기어(3442)가 설치되는 제1 회전 자석(344)의 일측의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지지 원판의 상측면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교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교반부(200)는, 교반 본체(210), 제1 체결 자석(220), 제2 체결 자석(230) 및 교반 날개(240)를 포함한다.
교반 본체(210)는, 중간 기어(340)의 자전 및 공전 운동에 따라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에 안착되어 자전하는 동시에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을 따라 공전한다.
제1 체결 자석(220)은, 제1 회전 자석(344)과 대향하며 교반 본체(210)에 설치되며 제1 회전 자석(344)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으로 제1 회전 자석(344)에 체결된다.
제2 체결 자석(230)은, 제2 회전 자석(345)과 대향하며 교반 본체(210)에 설치되며 제2 회전 자석(345)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으로 제2 회전 자석(345)에 체결된다.
교반 날개(240)는, 교반 본체(210)의 외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교반 본체(21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혼합액란을 교반시켜 준다.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 교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교반부(200a)는, 제1 회전 자석(344)의 형태에 대응하여 각 면마다 N극 또는 S극이 교대로 형성되는 8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회전 자석(344)과 동일한 극성의 경우에는 제1 회전 자석(344)과의 반발력에 의해 교반 본체(210)를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으로부터 승강시켜 주고, 제1 회전 자석(344)과 반대 극성의 경우에는 제1 회전 자석(344)과의 인력에 의해 교반 본체(210)를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1 체결 자석(220a)을 포함한다.
여기서, 교반 본체(210)는, 상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교반부(200a)는, 제1 회전 자석(344)과 반대의 극성이 제1 회전 자석(344)과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회전 자석(344) 방향으로의 인력이 작용하여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과 밀착되고, 제1 회전 자석(344)과 동일한 극성이 제1 회전 자석(344)과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회전 자석(344) 방향으로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수용 용기(100)의 바닥면(110)으로 승강되면서 교반 본체(21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진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날개(240a)는, 4 개의 날개(241) 및 회전 바아(242)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날개(241)는, 회전하면서 혼합액란을 교반시켜 줄 수 있도록 서로 직각되도록 설치된다.
회전 바아(242)는, 4 개의 날개(241)의 중심으로부터 제1 체결 자석(220)의 회전축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체결 자석(22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어 4 개의 날개(241)를 회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교반부(200a)는, 단순히 자전 및 공전하면서 혼합액란을 교밭하는 2차원적 평면적 구동을 넘어서 상하 방향의 진동이 가능함으로써 입체적인 구동함에 따라 혼합액란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단형성장치를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액란공급수단(111)은 내부에 혼합액란(E)이 충전되는 액란공급호퍼(112)를 포함한다. 액란공급호퍼(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프레임(F)의 상부 일측에 고정 장착 된다. 이렇게 프레임(F)의 상부 일측에 고정 장착된 액란공급호퍼(112)에는 외부에서부터 액란공급호퍼(112) 내부로 혼합액란(E)을 공급하는 액란공급관(114)이 연결되고, 액란공급호퍼(112)의 내부에는 충전되는 혼합액란(E)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그리고 액란공급호퍼(112)의 하부 측에는 내부 충전된 액란(E)을 연속적으로 후술하는 지단 형성수단(120)의 액란 소성공간부(134) 측으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액란배출노즐(116)이 장착된다. 여기서, 액란(E)은 계란의 노른자 또는 흰자만을 풀어 낸 것일 수 있으며, 액란(E)은 계란의 노른자와 함께 흰자를 풀어 낸 것일 수 있다. 또한 액란(E)은 계란의 흰자, 노른자, 강황가루, 치자를 끓여 만든 성분을 함께 교반시킨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액란공급수단(111)의 하부 측에는 지단 형성수단(120)이 배치된다. 지단 형성수단(120)은 액란공급호퍼(112)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종동롤러(122)와, 종동롤러(122)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동롤러(124)와, 종동롤러(122)와 구동롤러(124)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소성벨트(130), 종동롤러(122)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130)와 함께 액란(E)을 공급받는 냉각자켓(132), 및 공급된 액란(E)이 부쳐지도록 소성벨트(130)를 가열하는 가열버너(138)를 포함한다.
종동롤러(122)와 구동롤러(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의 프레임(F) 사이에 게재되고 양단이 프레임
(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종동롤러(122) 및 구동롤러(124)의 양단이 끼워진 프레임(F) 상에는 통상의 장력조절수단(126)이 배치된다. 그리고 구동롤러(124)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인접한 프레임(F) 상에는 장력조절수단(126)에 간섭되지 않게 구동롤러(124)의 일단과 연결되는 구동수단(128)이 배치된다. 여기서 구동수단(128)은 통상의 모터(mo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절수단(126)은 종동롤러(122)와 구동롤러(124)의 위치를 조정해 소성벨트(1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소성벨트(13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소재로 된 금속박판으로 제조된다.
냉각자켓(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종동롤러(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냉각자켓(132)은 종동롤러(122)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130)와 함께 액란(E)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소성벨트(13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소성벨트(130)에 접하게 양단이 프레임(F) 상에 고정 장착된다. 즉, 종동롤러(122)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130)와 냉각자켓(132)은 오목하면서 냉각자켓(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액란 소성공간부(134)를 형성하는데, 액란 소성공간부(134) 측으로 공급된 액란(E)은 액란 소성공간부(134)에 수용되면서 액란 소성공간부(134)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지고, 이렇게 펼쳐진 액란(E)는 가열버너(138)에 의해 가열된 소성벨트(130)의 표면과 접촉해 소정의 폭을 가지는 지단(D)의 형태로 부쳐지면서 이송되는 소성벨트(130)를 따라 종동롤러(122)를 지나 구동롤러(124) 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냉각자켓(132)은 액란(E)이 액란 소성공간부(134)에 눌러 붙지 않고 지단(D)의 형태로 소성되게 함과 동시에 가열된 소성벨트(130)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표면이 차갑게 제공되는데, 이를 위해서 냉각자켓(132)에는 냉각수 순환라인(136)이 장착된다.
여기서, 액란(E)이 접촉되는 냉각자켓(132)의 표면온도는 0~40℃, 바람직하게는 10~30℃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냉각자켓(132)의 표면온도가 0℃ 미만이면 냉각수가 냉각자켓(132) 내부에서 얼어 냉각수가 순환하지 못하게 되고, 냉각자켓(132)의 표면온도가 40℃를 초과하게 되면 소성벨트(130)에 접촉되는 액란(E)의 일측부분 뿐만 아니라 냉각자켓(132)에 접촉되는 액란(E)의 타측부분도 익어지기 때문에 냉각자켓(132)에 달라붙거나 탄화될 뿐만 아니라 지단(D)이 일정한 두께로 소성되지 못하고 울퉁불퉁해지거나 찢어지게 된다.
가열버너(138)는 종동롤러(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종동롤러(122)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130) 뿐만 아니라 종동롤러(122)를 지나 구동롤러(124) 측으로 이송되는 소성벨트(130)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가열버너(138)는 액란 소성공간부(134)에 수용된 액란(E)이 지단(D)의 형태로 부쳐질 수 있도록 종동롤러(122)를 직접 가열하는데, 이때 종동롤러(122)를 지나는 소성벨트(130)는 종동롤러(122)로부터 열기가 전도되어 가열되며, 종동롤러(122)에 부딪힌 열기는 상부 측으로 안내되면서 종동롤러(122)를 지나 구동롤러(124) 측으로 이송되는 소성벨트(130)를 직, 간접적으로 가열시킨다. 이를 위해서 가열버너(1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롤러(122)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소성벨트(130)의 내측에 배치되되 종동롤러(122)를 측면에서 봤을 때 3시 방향과 6시 방향 사이에 배치되면서 화구(140)는 종동롤러(122)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가열버너(138)는 액란(E)이 지단(D) 형태로 소성될 수 있도록 [0040] 소성벨트(130)의 표면온도를 120~180℃, 바람직하게는 140~160℃가 되도록 가열시키는데, 소성벨트(130)의 표면온도가 120℃ 미만이면 소성(가열)온도가 약하게 되어 지단(D)이 완전히 익지 않게 되며, 소성벨트(130)의 표면온도가 180℃을 초과하면 지단(D)이 소성벨트(130)에 눌러 붙게 되거나 탄화된다.
그리고 가열버너(138)의 양단은 화구(140)가 각도조절 가능하게 프레임(F) 상에 연결되는데, 가열버너(138)의 양단과 프레임(F)은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 가열버너(138)의 양단과 프레임(F)의 연결 관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가열버너(138)에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라인(도시되지 않음),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라인(도시되지 않음), 산소를 이용해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는데, 가열버너(138)와 산소 공급라인, 가스 공급라인 및 점화수단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지단 형성수단(120)은 종동롤러(122)와 구동롤러(124) 사이의 프레임(F)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타공판(142)을 더 포함한다.
타공판(142)에는 다수의 타공(14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타공판(142)은 종동롤러(122)를 지나 구동롤러(124) 측으로 이송되는 소성벨트(130)가 균일하게 가열되게 함과 아울러 지단(D) 소성 시 소성벨트(130) 온도편차를 최소화하여 지단(D)이 골고루 익게 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탈각장치
210: 하우징모듈
220: 지지모듈
400: 회전부
210: 하우징모듈
220: 지지모듈
400: 회전부
Claims (2)
- 이송부를 통해 전달받은 날계란을 탈각하여 지단을 제조하고,
탈각장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서 수평 방향의 사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암;
상기 암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공급되는 날계란을 좌우에서 잡는 바이스;
상기 암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바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날계란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단단하게 형성되어 있는 껍데기를 의미하는 난각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고정편;
상기 암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바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날계란을 깨는 크랙칼;
상기 크랙칼과 연결형성되어 상기 크랙칼이 전후로 유동 되면서 상기 날계란을 깨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핀스프링 및
상기 날계란에서 액란이 빠져나간 상태의 상기 날계란의 껍질을 잡고 있는 상기 바이스의 이동로에 구비되어 상기 껍질이 상기 바이스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난각이탈편;
상기 난각이탈편에 의해 이탈된 상기 껍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은,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계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껍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모듈;
상기 하우징모듈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모듈;
상기 지지모듈에 거치된 상기 하우징모듈을 상기 지지모듈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시켜 주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모듈의 지름에 대응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모듈의 전단에 설치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모듈을 함께 회전시키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후단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모듈이 회전 도중에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하우징모듈을 체결하는 체결 지그; 상기 회전링의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링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어; 및 상기 회전 기어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기어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링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둥글게 말린 뒤 일단과 타단이 서로 체결되어 링 형태를 형성하는 링 본체; 상기 링 본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전단과 상기 링 본체의 전단 사이 및 상기 관통홀의 후단과 상기 링 본체의 후단 사이 마다 형성되는 체결홈; 상기 링 본체의 일단 및 타단이 포개진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홈을 통해 삽입된 뒤 하측에 위치하는 체결홈을 통해 하부가 하측으로 노출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볼트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기어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의 하측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 원통; 및 상기 기어 원통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 원통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들에 차례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링을 회전시켜 주는 체결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원통은, 상기 체결 기어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 개의 기어 설치홈이 상기 체결 기어의 개수에 대응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 기어는, 상기 기어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기어 설치홈의 외부로 노출된 일단이 둥글게 라우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기어날; 상기 기어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리 방지턱에 걸려 상기 기어날이 상기 기어 설치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기어날의 타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기어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어날의 타단을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탈각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7705A KR102198837B1 (ko) | 2020-08-05 | 2020-08-05 | 탈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7705A KR102198837B1 (ko) | 2020-08-05 | 2020-08-05 | 탈각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8837B1 true KR102198837B1 (ko) | 2021-01-05 |
Family
ID=7414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7705A KR102198837B1 (ko) | 2020-08-05 | 2020-08-05 | 탈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883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09856A (zh) * | 2021-04-15 | 2021-08-06 | 陈土弟 | 一种补水祛痘复合中药面膜往复交错搅拌制备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7033B1 (ko) * | 2011-12-02 | 2013-02-26 | (주)파머스 | 계란 프라이 대량 조리설비 |
KR101334989B1 (ko) | 2011-10-11 | 2013-11-29 | 김민석 | 김밥용 지단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
2020
- 2020-08-05 KR KR1020200097705A patent/KR1021988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4989B1 (ko) | 2011-10-11 | 2013-11-29 | 김민석 | 김밥용 지단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KR101237033B1 (ko) * | 2011-12-02 | 2013-02-26 | (주)파머스 | 계란 프라이 대량 조리설비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09856A (zh) * | 2021-04-15 | 2021-08-06 | 陈土弟 | 一种补水祛痘复合中药面膜往复交错搅拌制备装置 |
CN113209856B (zh) * | 2021-04-15 | 2023-09-01 | 广东利盈医药科技有限公司 | 一种补水祛痘复合中药面膜往复交错搅拌制备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8804B1 (ko) | 지단제조방법 | |
CN1195440C (zh) | 食品加工器具 | |
KR102198837B1 (ko) | 탈각장치 | |
US8307758B2 (en) | Continuous stir-fry cooking apparatus | |
KR101400599B1 (ko) | 고소한 참깨 로스팅기 | |
GB205080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hucking scalops | |
JP2007113809A (ja) | 加熱処理機 | |
KR101742441B1 (ko) | 음식 교반기를 갖는 조리용 솥 | |
CN105517467A (zh) | 加热处理装置以及加热烹调装置 | |
KR100804106B1 (ko) | 분립체용 로스터 | |
KR100820718B1 (ko) | 구운 어묵 제조기 | |
KR101351533B1 (ko) | 곡물 볶음기 | |
JP4598029B2 (ja) | 冷却方法 | |
JP2016055258A (ja) | 混合装置 | |
JP7411866B2 (ja) | 粒状食品熱処理装置 | |
CN113679254A (zh) | 包括带有蒸汽喷射的搅拌叶片的烹饪设备 | |
CN216455571U (zh) | 一种鸡蛋剥壳装置 | |
US11219237B2 (en) | Apparatus for roasting green bean | |
JP2011156103A (ja) | ロータリー式調理器 | |
KR101919992B1 (ko) | 오징어 자동 자숙 배합기 | |
JP2000210201A (ja) | ボール状食品の焼き上げ方法並びに焼き上げ装置 | |
JP2003061579A (ja) | 生茶葉用蒸機 | |
KR102127051B1 (ko) | 잣과 견과류를 함유한 강정 제조방법 | |
CN109770276B (zh) | 贻贝蒸煮剥壳系统及方法 | |
JP5854817B2 (ja) | 茹で卵の殻ひび入れ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