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484B1 - 차량용 우산수납함 - Google Patents

차량용 우산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484B1
KR102198484B1 KR1020200123482A KR20200123482A KR102198484B1 KR 102198484 B1 KR102198484 B1 KR 102198484B1 KR 1020200123482 A KR1020200123482 A KR 1020200123482A KR 20200123482 A KR20200123482 A KR 20200123482A KR 102198484 B1 KR102198484 B1 KR 102198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blower
vehicle
cap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기호
Original Assignee
추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기호 filed Critical 추기호
Priority to KR1020200123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우산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 도어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는 차량용 우산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우산수납함{Umbrella storage box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우산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 도어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는 차량용 우산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오는 날 젖은 우산을 들고 차량에 올라 타는 경우 긴 형상의 우산을 보관할 곳도 마땅치 않거니와 차량 내 어딘가에 우산을 둔다 하더라도 물이 계속 흘러 차량 바닥은 물론 각종 전자장치에까지 물에 닿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우산을 들고 차량에 탑승하였을 때, 특히 비에 젖은 우산을 들고 탑승하였을 때 빠르게 수납을 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우산수납함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 젖은 우산으로부터 흘러 내린 잔수를 모아 쉽게 흘려 버릴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우산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3365호(2003.11.06 등록)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우산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부 내에 송풍부를 둠으로써 보관 중인 우산을 건조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때에, 상기 송풍부는 우산의 캡(꼭지)에 의해 눌림이 가능한 푸쉬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송풍부의 온/오프를 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된 우산을 둘러싸고 있는 수납부 외측면으로도 송풍이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우산의 건조가 더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부 내 보관된 젖은 우산으로부터 잔수가 흘러내리면 이를 집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 실내가 잔수에 의해 젖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산수납함은, 내부에 우산(5)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100); 상기 수납부(100) 내부 공간으로 상기 우산(5)의 건조를 위한 바람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송풍부(200); 및 상기 수납부(100)에 수납된 우산(5)으로부터 나온 잔수가 상기 수납부(100)를 따라 흘러 집수되는 집수통(400);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우산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우산(5)의 캡(53)과 접촉이 가능하고, 외력에 의해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푸쉬 스위치(2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푸쉬 스위치(210)는 송풍부(200)의 바람 생성을 위한 구동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우산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내측면에 상기 송풍부(200)의 구동에 따라 생성되는 바람이 통과되는 송풍관(230); 및 상기 송풍관(230)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납부(100) 내부 공간에 상기 송풍관(230)을 따라 통과하는 바람이 인입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송풍구(24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우산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400)은, 외력에 의한 내측인입 또는 외측돌출이 가능한 것으로서, 외측돌출 시 집수통(400)내 잔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캡(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우산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푸쉬 스위치(210)의 표면(215)에는 특정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특정 패턴은 우산(5)의 캡(53)에 형성된 캡 시그니처(53)와 매칭되는 것이고, 상기 푸쉬 스위치(210)는, 표면(215)에 형성된 특정 패턴과 상기 캡 시그니처(53)가 매칭될 때에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부에서 젖은 우산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내부 또는 차량에 착석한 사용자가 빗물에 의해 젖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중인 우산을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부 내에 우산의 캡(꼭지)에 의해 눌림이 가능한 푸쉬 스위치를 둠으로써 송풍부의 제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수통에 우산 표면의 잔수를 모을 수 있어 차량 내부가 지저분해 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물이 찬 집수통은 차량 도어가 열릴 때마다 배수가 가능하게 디자인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산수납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차량용 우산수납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차량용 우산수납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차량용 우산수납함의 구성 중 집수통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차량 도어의 닫힘 또는 열림에 따라 집수통으로부터 물이 배수되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차량용 우산수납함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우산의 캡에 형성된 시그니처 패턴과 푸쉬 스위치의 스위치 피스 상에 형성된 패턴이 상호 매칭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차량용 우산수납함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산수납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외관상으로는 차량 도어(1)의 내측면에 우산(5) 수납을 위한 수납부(100), 그리고 수납부(100)의 말단에 연결된 집수통(400)이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수납부(100)와 관련하여, 수납부(100)는 그 내부에 우산(5)을 수납하기 위한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며, 수납부(100)에 우산(5)을 넣거나 빼기 위한 열린 부분(예. 입구)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00)는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젖은 우산(5)으로부터 나오는 잔수를 경사를 통해 흘려 보내기 위함이다. 도 1에는 수납부(100)의 한쪽 끝(A)이 다른 한쪽 끝(B)에 비해 더 낮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수납부(100)가 소정의 각도(θ)만큼 경사지게 형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정의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0도 초과 90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75도일 수 있다.
한편, 집수통(400)과 관련하여, 집수통(400)은 수납부(100)의 경사 아래쪽 말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100)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리는 우산(5)으로부터 잔수가 모아지는 통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00) 또는 집수통(400)은 열 또는 압력에 의해 성형할 수 있는 유기물 기반의 고분자 물질 및 그 혼합물(예. 플라스틱)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나 재료가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용 우산수납함 중 일부 구성은 금속성 소재, 실리콘 소재 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 또는 집수통은 차량 도어(1)의 도어 트림에 매립 설치될 수 있거나, 상기 도어 트림의 설계 자체를 수납부 및 집수통이 포함되도록 하여 생산을 하거나, 또는 상기 도어 트림 상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탈부착 가능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수납부 또는 집수통의 일면에는 접착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부재에 의해 도어 트림 상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기존 도어 트림에 존재하는 구조물, 예를 들어 도어 포켓 구조물 등에 걸 수 있거나 결착이 가능한 부재를 활용하여 상기 수납부 또는 집수통이 도어 트림의 구조물 상에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차량용 우산수납함의 구성 중 수납부(100)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할 때, 수납부(100) 내에는 젖은 우산(5)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바람을 일으켜 상기 수납부(100) 내부 공간으로 통과시키는 송풍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200)는 도 2에 보이는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수납부(10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일 수 있다.
송풍부(200)는 수납부(100) 내에서 바람을 생성시킬 수 있는 한 그 구현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바람직한 구현 방식 중 하나로는 팬(FAN) 및 모터를 구비시켜 팬의 회전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방식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송풍부(200)는 전원공급부(3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차량용 우산수납함이 자체적으로 가지는 구성이거나, 또는 차량의 전원공급을 담당하는 타 구성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건전지를 끼워 넣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전원공급부(300)는 차량 내 시거잭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부(200)를 더 자세히 살펴볼 때, 송풍부(200)는 우산(5)의 캡(꼭지)과 맞닿는 부분에 도면에서와 같은 푸쉬 스위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 스위치(210)는 외부로부터의 미는 힘에 의해 온/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스위치의 한 종류로, 상기 푸쉬 스위치(210)는 우산 캡에 의해 눌려졌을 때에는 온(on)으로, 이 후 다시 우산 캡에 의해 눌려지면 오프(off)로 스위칭 될 수 있다. 상기 푸쉬 스위치(210)는 송풍부(200)의 켜짐과 꺼짐을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수납부(100) 내에 우산(5)을 수납할 때에 우산(5)의 캡(꼭지)이 푸쉬 스위치(210) 상에 맞춘 채 밀어 넣음으로써 송풍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푸쉬 스위치(210)는 송풍부(20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산(5)의 캡(꼭지)과 맞닿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송풍부(200)는 복수 개의 통풍구(22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풍구(220)들은 우산(5)이 수납되어 있는 내부 공간으로 바람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송풍부(200)가 원통형이라 가정할 때에, 바람직하게는 송풍부(200)의 밑면으로부터 윗면까지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통풍구(220)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송풍부(200)의 윗면(우선과 마주보고 있는 면)에만 통풍구(220)들이 형성되어 송풍부(200) 내부에서 발생된 바람이 통풍구(220)들을 통해 우산(5) 쪽으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송풍부(200)는 반드시 도 2에서와 같이 원통형상의 케이스 내에 팬 및 모터를 구비하여 그 내부에서 바람을 생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풍부(200)는 푸쉬 스위치(210)를 구비하고 있되, 실제 바람을 생성시키는 팬(FAN)은 송풍부(2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송풍부(200) 좌측으로 별개의 팬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푸쉬 스위치(210)가 눌렸을 때 팬이 구동되게 함으로써 바람이 송풍부(200), 더 정확하게는 통풍구(220)들을 통과하여 우산(5)이 수납되어 있는 공간 내까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차량용 우산수납함의 구성 중 수납부(100)의 또 다른 구현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할 때, 수납부(100) 내에 송풍부(200)가 구비되는 것 까지는 앞서의 도 2와 동일하나, 도 3에서는 수납부(100)의 외측면을 따라 송풍관(230) 및 송풍구(240)들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송풍관(230)이란, 푸쉬 스위치(210)가 온(on) 되었을 때 생성된 바람이 통과하는 관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때 송풍관(230)은 바람직하게는 우산(5)이 수납되는 공간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송풍관(230)은 수납부(100)의 최외곽면, 그리고 상기 최외곽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수납부(100)의 내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관(230)을 따라서는 복수 개의 송풍구(240)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 송풍구(240)들은 송풍관(230)을 따라 흐르는 바람이 우산(5)이 수납되어 있는 공간 내부로 흘러 들어가도록 설계된 것일 수 있다. 즉, 도 3에 따른 수납부(100)는 내부에 수납된 우산(5)의 외측면으로 바람이 닿게 함으로써 우산(5)의 캐노피가 더 잘 건조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도 3을 참고할 때 수납부(100)는 아래쪽으로는 배수관(410) 및 배수구(42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410)은 우산(5)으로부터 떨어지는 잔수가 집수통(400)까지 흘러 내려갈 수 있게 한 관이며, 배수구(420)들은 우산(5)으로부터 떨어진 잔수가 배수관(410)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기 위한 구멍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산수납함의 수납부(100)는 도 2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다양한 내부 구조로 설계될 수 있으며, 다만 그 내부에 송풍부(200)가 구비되고, 송풍부(200) 상에 구비된 푸쉬 스위치(210)를 통해 송풍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통풍구(220)들은 도 3의 수납부(10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산(5)이 수납된 공간 내부로는 통풍구(220) 및 송풍구(240)들을 통해 바람이 들어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산수납함 중 집수통(4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도 언급하였듯 집수통(400)이란 젖은 우산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잔수가 모이는 구성으로, 집수통(400)은 바람직하게는 수납부(100)의 한쪽 말단, 더 정확하게는 기울어져 있는 수납부(100)의 낮은 쪽 말단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집수통(400)은 물이 빠질 수 있도록 배수캡(4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통(400)은 수납부(100)와는 분리 착탈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집수통(400)에 물이 찼을 때에 사용자로 하여금 집수통(400)을 비워낼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집수통(400)에 구비된 배수캡(430)을 개방함으로써 내용물인 잔수가 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집수통(400)은 차량 도어(1)가 열릴 때에 배수캡(430)이 자연스럽게 열리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굳이 힘들여 집수통(400)을 비우지 않더라도 잔수가 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집수통(400) 및 배수캡(43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 5를 참고할 때 배수캡(430)은 차량 도어(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 5의 왼쪽 도면에서와 같이 집수통(40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물이 바깥으로 배수되지 않도록 하며, 차량 도어(1)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 5의 오른쪽 도면에서와 같이 배수캡(430)이 집수통(400)의 바깥쪽으로 일부 돌출 되면서 내부 잔수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차량 도어(1)의 닫힘과 열림에 배수캡(430)이 연동되어 집수통(400)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집수통(400)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고할 때, 상기 배수캡(430)은 도 6의 왼쪽 도면에서와 같이 차량 도어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웨지(w)에 의해 받쳐져 집수통(430)의 내측으로 인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의 집수통(400) 도면이 정면도라 가정할 때에, 도 6은 집수통(400)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를 때에 집수통(400) 자체, 그리고 여기에 구비되는 배수캡(430)은 수평선 대비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도 6에서와 같이 차량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낮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렇게 기울어진 집수통(400), 배수캡(430)과 차량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웨지(w)는 차량 도어(1)가 닫혔을 때에는 도 6의 왼쪽 도면과 같이 배수캡(430)을 받침으로써 잔수가 흘러 나오지 않도록, 차량 도어(1)가 열렸을 때에는 도 6의 오른쪽 도면과 같이 웨지(w)로부터 멀어지면서 배수캡(430)이 자연스럽게 열려 잔수가 흘러 나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웨지(w)와 관련하여, 배수캡(430)의 열림과 닫힘을 제어하기 위해 반드시 차량 바닥면에 별도의 웨지(w)가 힘들여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의 프레임 그 자체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차량의 사이드 스커트, 사이드 스텝, 또는 로커 패널 등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배수캡(430)의 열림과 닫힘이 조절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산수납함 중 수납부(10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고할 때, 수납부(100)는 차량 도어(1)에 설치되되, 수납부(100)가 실내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차량 도어(1)의 내측면에는 내측 홈(120)이 형성되어 수납부(100)가 상기 내측 홈(120) 내에 적어도 일부 인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7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납부(100)의 일정 각도 회전을 위해서는 수납부(100)의 일단에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 및 힌지 구조물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00)가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 차량에 탔을 때에 비교적 긴 형상의 우산을 보다 쉽게 꽂아 넣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우산은 긴 형상을 가지지만 구부러지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좁은 실내에서 사람이 이를 핸들링 하기가 쉽지 않은데, 도 7에서와 같이 수납부(100)가 일정 각도 사용자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더 편한 각도에서 우산(5)을 수납부(100)에 꽂아 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도어의 내측 홈(120)은 가능한 한 차량 실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 수납을 위한 수납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차량 도어(1)의 내측에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도 8은 수납부(100) 내에 우산(5)이 수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 8의 수납부(100) 역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수납부(100) 말단에 푸쉬 스위치(210)가 구비되어 송풍부(도 8에서는 미도시)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왼쪽 도면은 우산(5)의 캡(53) 표면에 캡 시그니쳐(54), 즉 고유의 패턴이 새겨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9의 오른쪽 도면은 상기 캡(53)과 맞닿는 푸쉬 스위치 표면(215)에 상기 캡 시그니쳐(54)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같이 우산(5) 및 푸쉬 스위치 표면(215)에 서로 매칭되는 패턴을 형성시킨 이유는, 차량용 우산수납함이 특정 우산(5)에 의해서만 작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또는 기업)에서 생산한 차량에서는 상기 브랜드(또는 기업)에서 판매하는 우산(5)을 사용하여야지만 건조 기능 등 우산수납함의 모든 기능을 온전히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고급 브랜드의 차량들의 경우 차량만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에 필요한 액세서리들도 함께 판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산(5) 역시 고급 브랜드의 차량 업체에서 판매하는 액세서리 중 하나로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우산(5)의 캡(53) 부분에 특정 패턴(캡 시그니쳐; 54)을 형성시키고, 푸쉬 스위치 표면(215)는 상기 캡 시그니쳐(54)에 대응되는 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두 표면이 정확하게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만 차량용 우산수납함의 온전한 기능(예. 건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설계 변경에 따라 상기 우산(5)과 푸쉬 스위치(210)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매칭관계를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산(5)의 캡(53)에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를 구비시키고, 우산수납함 내 임의로 구비된 신호감지기에 의해 상기 특정 주파수 신호가 감지되면 푸쉬 스위치(210)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해당 브랜드의 차량에는 동일 브랜드의 우산(5)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 및 도 8의 수납부(100) 하단에는 집수통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단지 수납부(100)의 구조를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집수통은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납부(100)의 말단에 연결 구비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산수납함 중 수납부(100)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0에서는 차량 도어(1)의 내측면에 상부커버(130), 하부커버(140) 및 측면커버(150)로 구성된 수납부(100)가 돌출된 포켓 형태로 구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는 따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00) 내에도 송풍부(200) 및 푸쉬 스위치(210)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우산(5)이 수납되어 있는 공간 쪽으로 바람을 생성 및 통풍시키기 위한 구조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 차량용 우산수납함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차량 도어
5 우산
51 캐노피 52 손잡이 53 캡 54 캡 시그니쳐
100 수납부
110 빈 공간 120 내측 홈
130 상부 커버 140 하부 커버 150 측면 커버
200 송풍부
210 푸쉬 스위치 215 푸쉬 스위치 표면 패턴
220 통풍구 230 송풍관 240 송풍구
300 전원공급부
400 집수통
410 배수관 420 배수구

Claims (5)

  1. 차량용 우산수납함에 있어서,
    내부에 우산(5)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100);
    상기 수납부(100) 내부 공간으로 상기 우산(5)의 건조를 위한 바람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송풍부(200); 및
    상기 수납부(100)에 수납된 우산(5)으로부터 나온 잔수가 상기 수납부(100)를 따라 흘러 집수되는 집수통(400);
    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우산(5)의 캡(53)과 접촉이 가능하고, 외력에 의해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푸쉬 스위치(2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푸쉬 스위치(210)는 송풍부(200)의 바람 생성을 위한 구동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푸쉬 스위치(210)의 표면(215)에는 특정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특정 패턴은 우산(5)의 캡(53)에 형성된 캡 시그니처(54)와 매칭되는 것이고, 상기 푸쉬 스위치(210)는, 표면(215)에 형성된 특정 패턴과 상기 캡 시그니처(54)가 매칭될 때에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수납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는,
    내측면에 상기 송풍부(200)의 구동에 따라 생성되는 바람이 통과되는 송풍관(230); 및
    상기 송풍관(230)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납부(100) 내부 공간에 상기 송풍관(230)을 따라 통과하는 바람이 인입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송풍구(240)들;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수납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400)은,
    외력에 의한 내측인입 또는 외측돌출이 가능한 것으로서, 외측돌출 시 집수통(400)내 잔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캡(4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수납함.
  5. 삭제
KR1020200123482A 2020-09-24 2020-09-24 차량용 우산수납함 KR102198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482A KR102198484B1 (ko) 2020-09-24 2020-09-24 차량용 우산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482A KR102198484B1 (ko) 2020-09-24 2020-09-24 차량용 우산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484B1 true KR102198484B1 (ko) 2021-01-05

Family

ID=7414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482A KR102198484B1 (ko) 2020-09-24 2020-09-24 차량용 우산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53B1 (ko) 2021-03-29 2022-03-04 대우공업 (주) 차량 내부 우산 수납 건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090U (ko) * 1989-08-25 1991-04-16
KR200333365Y1 (ko) 2003-06-30 2003-11-15 양근호 자동차용 우산보관함
JP2009154800A (ja) * 2007-12-27 2009-07-16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乾燥装置
CN106235845A (zh) * 2016-08-31 2016-12-21 重庆展成家俱制造有限公司 自动收折式雨伞架
KR20180051919A (ko) * 2016-11-09 2018-05-17 장지우 차량용 우산 보관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090U (ko) * 1989-08-25 1991-04-16
KR200333365Y1 (ko) 2003-06-30 2003-11-15 양근호 자동차용 우산보관함
JP2009154800A (ja) * 2007-12-27 2009-07-16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乾燥装置
CN106235845A (zh) * 2016-08-31 2016-12-21 重庆展成家俱制造有限公司 自动收折式雨伞架
KR20180051919A (ko) * 2016-11-09 2018-05-17 장지우 차량용 우산 보관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39090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53B1 (ko) 2021-03-29 2022-03-04 대우공업 (주) 차량 내부 우산 수납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484B1 (ko) 차량용 우산수납함
US20040206760A1 (en) Vacuum-operated trash receptacle
US10004371B2 (en) Cleaner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KR20170067327A (ko)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KR102013865B1 (ko) 제습기
US20070011841A1 (en) Cleaning apparatus
KR20130143409A (ko) 우산 물기 제거장치
CN110793274A (zh) 雨伞除湿装置
KR20160139561A (ko) 우산 건조기
KR20090085170A (ko) 우산 건조장치
KR101851589B1 (ko) 우산 빗물제거 탈수장치
KR20180051919A (ko) 차량용 우산 보관함
JP2013231566A (ja) 携帯用気体発生装置
KR102017609B1 (ko) 우산 건조 장치
KR20200000226U (ko) 우산 빗물 털이장치
CN206069043U (zh) 一种离型纸收集器
CN103654615B (zh) 吸尘器
KR20100032479A (ko) 젖은 우산용 드라이어
KR102370753B1 (ko) 차량 내부 우산 수납 건조장치
KR20120109795A (ko) 우산 탈수장치
KR100448202B1 (ko) 자동차의 우산 보관장치
KR20190002073U (ko) 우산 건조장치
CN105603702A (zh) 一种干衣机集水盒及干衣机
KR102134426B1 (ko) 에어 재순환 시스템이 적용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