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053B1 -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 Google Patents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053B1
KR102197053B1 KR1020200083249A KR20200083249A KR102197053B1 KR 102197053 B1 KR102197053 B1 KR 102197053B1 KR 1020200083249 A KR1020200083249 A KR 1020200083249A KR 20200083249 A KR20200083249 A KR 20200083249A KR 102197053 B1 KR102197053 B1 KR 10219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ltra
chucking device
fine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봉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씨이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씨이디엠 filed Critical (주)케이티씨이디엠
Priority to KR102020008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26Apparatus for moving or positioning electrode relatively to workpiece; Mounting of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5Retention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9/00Machining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particular metal objects or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or results on metal objects
    • B23H9/14Mak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초미세한 전극을 척킹(chucking)하고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는, 핀홀(41)에 미세 전극이 삽입되어 안정되게 가이드 해주는 전극가이드핀(40); 내부에 전극가이드핀(40)이 조립 설치되고, 선단에서 미세전극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샤프트(30); 및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게 구멍(11)이 형성되고, 전극가이드핀(40)이 샤프트(30)와 동심이 되도록 조정하는 스핀들(10);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초미세한 전극(30미크론~60미크론)을 척킹(chucking)하고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척킹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hyperfine electrode automatic chuck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미세한 전극(30미크론~60미크론)을 척킹(chucking)하고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척킹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방전가공(electric discharge machining, 放電加工)이란 두 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킬 때 생기는 물리적·기계적·전기적 작용을 이용해서 가공하는 방법으로, 방전의 종류에 따라 스파크가공·아크가공·코로나가공으로, 피가공물의 재질에 따라금속가공·비금속가공으로, 작업의 종류에 따라 구멍파기·절단 및 연삭(硏削) 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에 대한 구멍파기, 특수모양의 가공에는 스파크가공이, 금속절단에는 아크가공이, 비금속재의 구멍뚫기 등에는 코로나가공이 이용된다. 방전가공은 ① 재료의 강도에 무관하며, ② 평면·입체 등의 복잡한 형상의 가공이용이하고, ③ 표면가공일 경우 길이 0.1~0.2μmmax까지 가능하며, ④ 열에 의한 표면변질이 적다는 점 등 다른 가공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이점이 있어 특수가공에 많이이용된다.
가공장치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DC 전원에 의하여 축전기 C에 충전된 전압이극간 거리에 따른 가공용액의 절연파괴 전압보다 높아지면, 피가공물 표면에서방전이 시작된다. 한편 방전에 의하여 C의 단자전압이 낮아지면 방전이 중지되며동시에 충전이 시작된다.
이러한 충·방전이 반복지속되어 표면가공이 진행된다. 최근에는트랜지스터·사이리스터 등을 이용하여 방전을 단속시키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는데, 가공속도가 빠르고 전극소모가 적으며, 부품의 세밀가공 등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방법은 정밀급 각종 금형(金型) 제작에 적합하다.
또한 브러시를 통하여 +극 쪽에 연결된 금속원판 전극과, -극 쪽에 연결된 피가공물사이에 물유리 등의 전해질 용액을 주입하여 원판을 회전하면, 방전이 발생하여피가공물이 절단된다. 이 방법은 재질이 강한 변압기 박판 철심, 자석강·초경질합금등의 절단에 이용된다.
그리고 회전식 원판전극을 이용하여 초경(超硬) 바이트 등을 방전연삭하는데 가공속도가느리고 균열이 생기는 등의 결점이 있어 전해연삭(電解硏削)의 방법이 이용된다.
한편, 가공물 침전타입의 세혈방전가공장치는 가는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공전극봉에 가공액을 고압으로 통과시키면서 초경합금과 담금질한 고속도강 및 내열강 등과 같이 경도가 매우 높은 시료(재료)에 세혈(미세한구멍)을 뚫어줄 때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경도가 매우 높은 시료에 세혈(細穴)을 뚫어줄 때에 사용되는 종래의 세혈 방전가공장치로서는 다수의 특허가 공개되어 있다.
이들 기존의 세혈 방전 가공기에서 미세전극이라함은 통상 Ø 0.1㎜ 이하를 말하며 현재까지는 드릴척에 의해 척킹하였으나 드릴척 조(Jaw)의 선단부가 뾰족하여 Ø 0.1㎜ 이하의 전극을 조이기에 매우 부적합하고, 전극을 드릴척에 잠글 경우 3개의 드릴척 조의 사이로 전극이 빠져나갈 수 있다.
또 한편, 급속한 산업사회의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AI) 및 웨어러블 기기의 폭발적 수요에 따라 초소형 전자부품이 필수적으로 뒷받침 되어 야만 하는데, 이러한 부품 제조 공정에 꼭 필요한 초 미세 방전 가공기의 미세한 전극(30미크론~60미크론) 척킹(Chucking)장치 및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하는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전극 길이 끝단을 고정해서 소모가 될 때까지 가공을 해왔는데, 이는 미세한 전극은 강성이 매우 취약하므로 쉽게 휘어짐이 발생하여 정밀한 가공을 하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시판중인 드릴척 장치는 미세한 전극(30미크론~60미크론) 척킹(Chucking)이 불가능 하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수많은 구멍을 연속 작업 하기 위해서는 저동 전극 공급 장치 및 척킹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나, 종래에는 이러한 기술이 없다는 문제점으로 지적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34353호(2014. 08. 2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95973호(2008. 01. 11)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64159호(2006. 03. 2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8470호(2010. 04. 07)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에 스핀들과 커버 그리고 샤프트와 전극가이드핀 또한 캡과 구동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초미세한 전극(30미크론~60미크론)을 척킹(chucking)하고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초미세 전극의 척킹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초미세 전극의 동심도를 정확히 맞추어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동심도를 정확히 맞추게 되어 초미세 전극의 찌그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미세전극의 휘어짐이 없기 때문에 정밀가공을 할 수 있어서 초소형 전자제품을 수월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전극 자동 공급 장치로 인해 수많은 구멍을 연속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Multi Layer Ceramic Condencer)(전자제품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제어하는 핵심부품, 휴대폰 1대당 1,000개 이상필요)의 적층 필름 진공 흡착 장치의 패드(Pad) 가공에 최적화 (현재는 소형 패드가 사용되고 있으나 대량 생산을 하기 위해 대형 흡착 패드가 절실하게 필요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이로 인해 척킹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초미세한 전극을 척킹(chucking)하고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는, 핀홀에 미세 전극이 삽입되어 안정되게 가이드 해주는 전극가이드핀; 내부에 전극가이드핀이 조립 설치되고, 선단에서 미세전극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샤프트; 및 샤프트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게 구멍이 형성되고, 전극가이드핀이 샤프트와 동심이 되도록 조정하는 스핀들;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에 스핀들과 커버 그리고 샤프트와 전극가이드핀 또한 캡과 구동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초미세한 전극(30미크론~60미크론)을 척킹(chucking)하고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초미세 전극의 척킹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초미세 전극의 동심도를 정확히 맞추어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심도를 정확히 맞추게 되어 초미세 전극의 찌그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미세전극의 휘어짐이 없기 때문에 정밀가공을 할 수 있어서 초소형 전자제품을 수월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극 자동 공급 장치로 인해 수많은 구멍을 연속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Multi Layer Ceramic Condencer)(전자제품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제어하는 핵심부품, 휴대폰 1대당 1,000개 이상필요)의 적층 필름 진공 흡착 장치의 패드(Pad) 가공에 최적화 (현재는 소형 패드가 사용되고 있으나 대량 생산을 하기 위해 대형 흡착 패드가 절실하게 필요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척킹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샤프트에 스핀들이 결합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샤프트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샤프트에 스핀들과 커버가 결합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핀들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의 전체 결합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를 회전 및 척킹장치에
조립한 구성도.
도 9 는 초미세 가공기계의 전체 사시도.
본 발명에 적용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는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초미세한 전극을 척킹(chucking)하고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핀홀(41)에 미세 전극이 삽입되어 안정되게 가이드 해주는 전극가이드핀(40)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전극가이드핀(40)이 조립 설치되고, 선단에서 미세전극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샤프트(3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게 구멍(11)이 형성되고, 전극가이드핀(40)이 샤프트(30)와 동심이 되도록 조정하는 스핀들(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30)의 외주면에는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6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60)는 샤프트(3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부시(63)와, 이 부시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하우징(62),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베어링(64)이 구비되고, 아울러 스핀들(10)의 상단에는 보조부시(65)가 구비되고, 더하여 샤프트(10)의 끝단에는 키링(66)과 함께 벨트가 연결되는 벨트풀리(6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벨트풀리(61)에는 전극가이드핀(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50)이 씌워져 마감 처리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스핀들(10)의 선단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며, 스핀들의 선단 외주면을 보호하면서 회전시 볼플런저(16)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샤프트(3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내부 중앙에 형성되며, 전극가이드핀(40)이 삽입되는 가이드핀삽입공(37)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주면에 형성되며, 복귀스프링(36)이 조립 설치됨과 아울러 가동범위고정볼트(18)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스프링삽입부(35)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 선단에 구비되며, 미세 전극을 선택적으로 파지 및 해제시키는 복수개의 조(JAW)(3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조(JAW)(31)의 선단 외주면에는 동심도 조정용 볼플런저(16)가 선택적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경사면(3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조(JAW)(31)의 몸체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가공용홀(33a)(33b)이 형성되고, 이 가공용홀(33a)(33b)과 상호 연결되어 볼플런저(16)에 의해 조(JAW)(31)가 선택적으로 눌릴 수 있도록 텐션조절용홀(3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조절용홀(34)에 의해서는 조(JAW)(31)의 A지점과 B지점 그리고 C지점이 상호 맞닿게 되고, 누름이 해제되면 다시 최초상태로 복귀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스핀들(1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스핀들 몸체의 상부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스프링삽입부(35)와 대향되는 같은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볼트체결공(17)이 형성되고, 이 고정볼트체결공(17)에 조립되어 복귀스프링(36)을 눌러주는 가동범위고정볼트(18)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핀들 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플런저체결공(15)이 형성되고, 이 볼플런저체결공(15)에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조(JAW)(31)의 경사면(32)과 상호 맞닿게 작동하는 볼플런저(16)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볼플런저체결공(15)을 중심으로 하부와 외주면 둘레부에는 각각 슬릿(12)이 형성되고, 스핀들 몸체에는 볼플런저의 갯수에 맞게 복수개의 고정볼트체결공(13)이 형성되고, 이 고정볼트체결공(13)에는 볼플런저(16)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조여주는 블플런저고정볼트(14)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초미세가공기계(100)의 회전 및 척킹장치(110)에 조립 설치하되,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는 에어실린더(111)의 구동과 리프트(112)의 상하 승하강 작동으로 스핀들(10)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고,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의 하단에는 미세 전극을 선택적으로 잡아주는 전극그립실린더(113)와 이 전극그립실린더(113)의 하단에는 공작물(115)에 맞닿은 미세 전극을 가이드해주는 전극가이드(1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초미세가공기계(100)에는 초미세가공기계를 콘트롤하는 모니터 및 제어부(12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초미세한 전극(30미크론~60미크론)을 척킹(chucking)하고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의 전체 분해 사시도로, 커버와 스핀들 그리고 샤프트와 전극가이드핀을 비롯하여 다수의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샤프트(30)에 스핀들(10)이 결합된 부분 절개 사시도로, 스핀들의 내부가 일부 보이도록 한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샤프트(30)의 사시도로, 스프링삽입부에서 복귀스프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스핀들(10)이 결합되고, 스핀들의 외주면에는 커버(20)가 결합된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핀들(10)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가동범위고정볼트와 볼플런저고정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가 구동부와 함께 전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의 전체 결합 단면도와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회전 및 척킹장치(110)에 조립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는 초미세 가공기계(100)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의 조립과정은, 샤프트(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프링삽입부(35)에 각각 복귀스프링(36)을 끼워 넣는다.
이후 스핀들(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플런저체결공(15)에 각각 볼플런저(16)를 체결한다.
이후 전극가이드핀(40)을 샤프트(3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핀삽입공(37)에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전극가이드핀(40)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는 전극가이드핀(40)과 샤프트(30)가 동심이 되도록 동심도 조정용 볼플런저(16)를 볼플런저체결공(15)에 체결하게 되고, 이후 상기 볼플런저를 각각 알맞게 조절한 후 볼플런저(16)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일측에 구비된 볼플런저고정볼트(14)를 고정볼트체결공(13)에 조이게 되면 원주방향의 슬릿(12)과 선단부분의 슬릿(12)이 긴밀히 밀착되면서 볼플런저(16)를 긴밀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어서 스핀들(10)의 고정볼트체결공(17)에 가동범위고정볼트(18)를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복귀스프링(36)을 약간 압축시킨 상태에서 가동범위고정볼트(18)를 체결하게 되면 가동범위고정볼트(18)의 선단이 스프링삽입부(35)의 일단에 끼워지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핀들(10)이 복귀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항시 조(JAW)(31)를 조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에는 구동부(60)가 조립 설치된다.
즉, 상기 구동부(60)는 샤프트(3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보조부시(65)와, 이 보조부시의 상단에 부시(63)가 끼워진 하우징(62)을 중심으로 상하단에 각각 베어링(64)이 조립 설치되고, 이후 키링(66)과 벨트풀리(61)가 샤프트(30)의 상단에 각각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0)의 최상단에는 캡(50)이 조립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 설치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도 8,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미세가공기계(100)의 회전 및 척킹장치(110)에 조립 설치한다.
즉, 본 발명의 초미세 전극의 삽입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미세가공기계(100)의 회전 및 척킹장치(110)가 가공축 하한 위치까지 내려오면 에어실린더(111)를 동작시켜 리프트(112)가 스핀들(10)을 밑으로 내려 스핀들(10)의 척킹부위 즉, 조(JAW)(31)를 열리게 한다.
이때 전극가이드핀(40)에 초미세 전극을 삽입하면 초미세 전극이 스핀들(10)을 통과하여 공작물 표면에 초미세 전극이 닿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미세 전극이 공작물(115)에 닿게 되면 모니터 및 제어부(120)는 이를 인식하여 전극그립실린더(113)를 동작시켜 초미세 전극을 붙잡게 된다.
이후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는 에어실린더(111)의 리프트(112)가 밑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모니터 및 제어부(120)가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가공물 두께의 약 2배 정도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에어실린더(111)의 리프트(112)를 원위치 시키면 초미세 전극이 고정되고 더하여 상기 초미세 전극을 잡고 있던 전극그립실린더(113)를 해제시킨다.
이어서 상기 회전 및 척킹장치(110)의 모터를 구동하면 벨트풀리(61)가 회전하면서 구동부(60)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부(60)의 구동에 의해 스핀들(10)을 회전시켜 공작물(115)을 가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정에서 초미세 전극이 소모되면 모니터 및 제어부(120)가 초미세 전극 소모량을 계산해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작동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10)이 상부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볼플런저(16)가 조(JAW)(31)의 경사면(32)을 따라 올라 가면서 조(JAW)(31)를 모아지게 하면 가공용홀(33a)(33b)을 중심으로 텐션조절용홀(34)에 의해서 조(JAW)(31)의 A지점과 B지점 그리고 C지점이 상호 맞닿게 되고, 이때 상기 텐션조절용홀(34)의 형상 모양은 텐션조절용홀(34)이 과도하게 밀리지 않게 하거나 편중이 안되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스핀들(10)이 다시 하강하게 되면 최초상태로 복귀하게 됨은 당연하다.
상기한 결과 본 발명은 초미세한 전극(30미크론~60미크론)을 척킹(chucking)하고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10: 스핀들
20: 커버
30: 샤프트
40: 전극가이드핀
50: 캡
60: 구동부
100: 초미세 가공기계
110: 회전 및 척킹장치
111: 에어실린더
112: 리프트
113: 전극그립실린더
114: 전극가이드
115: 공작물

Claims (5)

  1. 초미세한 전극을 척킹(chucking)하고 전극 소모량에 따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는,
    핀홀(41)에 미세 전극이 삽입되어 안정되게 가이드 해주는 전극가이드핀(40);
    내부에 전극가이드핀(40)이 조립 설치되고, 선단에서 미세전극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샤프트(30); 및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게 구멍(11)이 형성되고, 전극가이드핀(40)이 샤프트(30)와 동심이 되도록 조정하는 스핀들(10);이 포함되되,
    상기 샤프트(30)는 내부 중앙에 형성되며, 전극가이드핀(40)이 삽입되는 가이드핀삽입공(37); 외주면에 형성되며, 복귀스프링(36)이 조립 설치됨과 아울러 가동범위고정볼트(18)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스프링삽입부(35); 및 하부 선단에 구비되며, 미세 전극을 선택적으로 파지 및 해제시키는 복수개의 조(JAW)(31);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0)의 선단 외주면에 조립 설치되며, 스핀들의 선단 외주면을 보호하면서 회전시 볼플런저(16)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2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0)은,
    스핀들 몸체의 상부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스프링삽입부(35)와 대향되는 같은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볼트체결공(17)이 형성되고, 이 고정볼트체결공(17)에 조립되어 복귀스프링(36)을 눌러주는 가동범위고정볼트(18); 및
    스핀들 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플런저체결공(15)이 형성되고, 이 볼플런저체결공(15)에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조(JAW)(31)의 경사면(32)과 상호 맞닿게 작동하는 볼플런저(16);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볼플런저체결공(15)을 중심으로 하부와 외주면 둘레부에는 각각 슬릿(12)이 형성되고, 스핀들 몸체에는 볼플런저의 갯수에 맞게 복수개의 고정볼트체결공(13)이 형성되고, 이 고정볼트체결공(13)에는 볼플런저(16)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조여주는 블플런저고정볼트(14);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를 초미세가공기계(100)의 회전 및 척킹장치(110)에 조립 설치하되,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는 에어실린더(111)의 구동과 리프트(112)의 상하 승하강 작동으로 스핀들(10)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고,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1)의 하단에는 미세 전극을 선택적으로 잡아주는 전극그립실린더(113)와 이 전극그립실린더(113)의 하단에는 공작물(115)에 맞닿은 미세 전극을 가이드해주는 전극가이드(114)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KR1020200083249A 2020-07-07 2020-07-07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KR10219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49A KR102197053B1 (ko) 2020-07-07 2020-07-07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49A KR102197053B1 (ko) 2020-07-07 2020-07-07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053B1 true KR102197053B1 (ko) 2020-12-30

Family

ID=7408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249A KR102197053B1 (ko) 2020-07-07 2020-07-07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192B1 (ko) 2021-09-30 2022-05-30 (주)케이티씨이디엠 초미세 세혈 방전 가공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823A (ja) * 1997-02-10 1998-08-25 Watanabe Tekko Kk チャック装置
KR100376035B1 (ko) * 1999-09-18 2003-03-15 (주)케이.티.씨 미세심공 방전가공기용 전극 홀더
KR100448470B1 (ko) 2001-04-23 2004-09-13 케이 이엔지(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도포용 고정장치
KR100493610B1 (ko) * 2000-05-22 2005-06-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세공가공용 방전가공장치
KR100564159B1 (ko) 2005-01-20 2006-03-31 임창영 공작물 표면 가공정도 향상 cnc 세혈방전가공기 및 그사용방법
KR100795973B1 (ko) 2007-05-03 2008-01-21 임창영 이동형 중간 지지대를 구비한 방전가공형 드릴장치
KR101434353B1 (ko) 2014-03-19 2014-08-29 (주)케이.티.씨 미세 전극 척킹장치
JP2017064850A (ja) *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細穴放電加工機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823A (ja) * 1997-02-10 1998-08-25 Watanabe Tekko Kk チャック装置
KR100376035B1 (ko) * 1999-09-18 2003-03-15 (주)케이.티.씨 미세심공 방전가공기용 전극 홀더
KR100493610B1 (ko) * 2000-05-22 2005-06-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세공가공용 방전가공장치
KR100448470B1 (ko) 2001-04-23 2004-09-13 케이 이엔지(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도포용 고정장치
KR100564159B1 (ko) 2005-01-20 2006-03-31 임창영 공작물 표면 가공정도 향상 cnc 세혈방전가공기 및 그사용방법
KR100795973B1 (ko) 2007-05-03 2008-01-21 임창영 이동형 중간 지지대를 구비한 방전가공형 드릴장치
KR101434353B1 (ko) 2014-03-19 2014-08-29 (주)케이.티.씨 미세 전극 척킹장치
JP2017064850A (ja) *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細穴放電加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192B1 (ko) 2021-09-30 2022-05-30 (주)케이티씨이디엠 초미세 세혈 방전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053B1 (ko) 초미세 전극 자동 척킹장치
CN103447642B (zh) 一种绝缘陶瓷涂层金属电火花加工的电极旋转及夹紧装置
CN104439299B (zh) 一种电主轴
CN111250746B (zh) 电磁声多场复合辅助钻削微小深孔的方法及装置
JP3815329B2 (ja) 細穴加工用放電加工装置
JPH02503075A (ja) ワークの電気的腐蝕穴あけ装置
KR200455903Y1 (ko) 이동식 슈퍼 드릴
US20100126877A1 (en) Electrochemical grinding electrode, and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10460208A (zh) 屏蔽电机定子铁芯热装工装装置
CN106493216A (zh) 板料电致塑性无模复合渐进成形系统
JPS60259331A (ja) 放電加工装置における棒状電極保持装置
CN115771031A (zh) 一种阀体的螺纹自动化一体加工设备
CN212071301U (zh) 一种轻便型的微细超声或微细超声振动辅助加工主轴
CN214393181U (zh) 一种尾座支撑电刷架结构及电脉冲辅助车削装置
CN207043483U (zh) 用于多微细孔电火花脉冲放电同步旋转加工的夹具装置
CN111438569A (zh) 一种轻便型的微细超声或微细超声振动辅助加工主轴
CN107052486A (zh) 一种具有修复工具电极的磨削放电加工装置及方法
CN205614151U (zh) 一种微球电火花加工夹持装置
CN212070690U (zh) 一种适用于高速旋转的微细电火花/电解加工主轴
CN217315952U (zh) 一种五金制品夹紧辅助打孔装置
CN114147244B (zh) 一种硬脆材料电场辅助车削加工装置及方法
JPS6328525A (ja) 放電加工装置
CN213646235U (zh) 一种用于微细电火花加工机床的电极夹持装置及机床
CN108318340A (zh) 复合金属件强度测试方法及拉伸试样和拉伸接头
KR102502911B1 (ko) 소구경 초경인서트 전용 그리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