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621B1 -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621B1
KR102196621B1 KR1020170095815A KR20170095815A KR102196621B1 KR 102196621 B1 KR102196621 B1 KR 102196621B1 KR 1020170095815 A KR1020170095815 A KR 1020170095815A KR 20170095815 A KR20170095815 A KR 20170095815A KR 102196621 B1 KR102196621 B1 KR 102196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ta
communication device
radio channe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785A (ko
Inventor
히토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04W16/20Network planning tools for indoor coverage or short range network deplo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8Connectivity information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른 장치가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제1의 모드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제2의 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된 상기 제1의 모드에서 사용된 제1의 무선 채널이, 디바이스가 해당 무선 채널을 사용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장치로서 동작할 때, 전파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을 갖는 상기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는 특정의 무선 채널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 있고, 상기 제1의 모드와 상기 제2의 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때,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2의 모드의 동작을 제어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IEEE802.11규격 시리즈로 대표되는 무선 LAN시스템이, 많은 기기에서 사용되어져도 된다. 무선 LAN에서는, 1개이상의 무선단말과 통신가능한 기지국으로서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이하, "AP"이라고 부른다)에 의해서, 네트워크가 제어된다. 무선 LAN에 의한 네트워크는, AP와, 그 AP가 방사한 전파의 도달 범위내에 들어가고, 그 AP와 무선접속을 확립한 무선단말인 스테이션(이하, "STA"라고 부른다)로 구성된다. 최근, 이러한 종래의 AP와 STA의 단순한 무선 네트워크 구성과 아울러, 여러가지 형태의 무선 LAN에 의한 네트워크를 실현하는 제품 및 사양규격이 시장에 출현하고 있다.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해서, 기지국으로서 통신을 행하는 AP기능(이하, "AP모드"라고 부른다)과, 기지국으로서 동작하는 다른 장치에 접속해서 통신을 행하는 STA기능(이하, "STA모드"라고 부른다)을 병행하여 실행가능한 통신 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STA로서 동작해서 다른 AP에 접속되면서, AP로서 동작해서 별도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일본 특허공개 2011-259033호 공보 및 2013-172275호 공보 참조).
통신 장치가 STA모드와 AP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경우, 그 통신 장치가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채널에 제약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에 의해, 유저의 편리성이 손상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 모드를 실행가능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통신 채널의 제한에 의해 유저의 편리성이 손상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다른 장치가 형성한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제1 모드와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제2 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1 무선 채널이,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할 때, 전파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을 상기 통신 장치가 가지는 것이 요구되는 특정의 무선 채널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및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제1 무선 채널이 상기 특정의 무선 채널이라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의 일부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STA-AP(101)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STA-AP(101)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STA모드 접속 처리의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AP모드 기동 처리의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
도 7은, STA모드 접속 처리의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AP모드 기동 처리의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인쇄 처리의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
도 11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들에 나타낸 부품의 상대적 배치, 수식 및 수치는,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각 실시예에 공통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무선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통신 장치(후술하는 STA-AP(10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 후에, 각 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각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본 무선통신 시스템은, IEEE802.11규격 시리즈에 준거한 무선 LAN에 의한 통신 시스템이며, 복수의 통신 장치(STA-AP 101, AP 102, STA 103, 및 STA 104)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STA-AP(101)는, IEEE802.11규격에 준거하는, STA(스테이션)모드와 AP(액세스 포인트)모드의 양쪽의 기능을 가지는 통신 장치이며, STA모드와 AP모드를 병행하여 실행가능한 통신 장치다. 한편, AP 102는, IEEE802.11규격에 준거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통신 장치이며, STA 103 및 STA 104는, IEEE802.11규격에 준거한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하는 통신 장치다.
STA-AP(101)는, STA모드에 있어서 다른 AP기능을 가지는 통신 장치에 의해 형성된 제1의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 있다. 또한, STA-AP(101)는, AP모드에 있어서, STA-AP(101)가 STA모드에 있어서 참가하고 있는 제1의 무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STA-AP 101이, STA모드에 있어서 AP 102에 의해 형성된 무선 네트워크 105에 참가하면서, AP모드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106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은, 한층 더, STA 103이 AP 102에 의해 형성된 무선 네트워크 105에 참가할 수 있고, STA-AP(101)에 의해 AP모드로 형성된 무선 네트워크 106에 STA 104가 참가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STA-AP(101)과 같은, STA모드와 AP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통신 장치가 통신에 사용가능한 무선 채널에 제약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드웨어의 제약으로 인해, 1개의 무선 채널로만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는, STA모드와 AP모드에 대해 같은 무선 채널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즉, 이러한 통신 장치는, STA모드로 2.4GHz대의 채널1(2412MHz)의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경우, AP모드에 있어서도 2.4GHz대의 채널1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복수의 RF제어 모듈 및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무선 채널의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존재한다. 그렇지만, 상기 통신 장치에 복수의 RF제어 모듈 및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으로, 회로나 안테나의 배치가 복잡해져 비용이 상승하거나, 장치의 사이즈가 커져버릴 수 있다. 이 때문에, AP모드와 STA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의 모두가, 이러한 복수의 RF제어 모듈 및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은 반드시 현실적이지 않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STA-AP(101)는, RF 제어 회로를 1개 구비하고, 한 번에 1개의 무선 채널에서만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문에, STA-AP(101)가 STA모드와 AP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경우, 무선 네트워크105와 무선 네트워크106이 동일한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무선 채널에 따라서는 여러가지 종류의 이용 제약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LAN기능을 가지는 통신 장치의 대부분은 2.4GHz대에서 통신할 수 있지만, 심지어 이러한 통신 장치는 5GHz대에서의 통신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5GHz대에서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이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일부의 통신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또한, 5GHz대의 W53(채널 52∼60:5260MHz∼5320MHz), W56(채널 10O∼140:5500MHz∼5700MHz)이라고 불리는 무선 채널은, 일부의 나라와 지역에서는, 다른 시스템과의 간섭을 막기 위한 제한이 부과되어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는, 이것들의 무선 채널을 사용하기 위해서, DFS(Dynamic Frequency Selection)이나 TPC(Transmit Power Control)등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의무적이다. 특히, W53/W56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AP는 레이더를 검지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므로, 제조/운용 비용이 상승하고, 제어가 복잡해져버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AP는,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 소정 기간 레이더를 검지할 필요가 있고, 이 기간 동안에 무선통신을 행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유저의 편리성이 저하된다. 또한, 이러한 AP는, 레이더를 검지하는 경우에는, 사용된 채널을 다른 무선 채널로 전환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다시 레이더 검지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STA-AP(101)는, 이러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한 통신 제어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TA-AP(101)는, 인접한 AP와 STA모드에 의해 접속하는데 사용된 무선 채널이, 예를 들면 5GHz대의 무선 채널일 경우나 W53/W56에 포함된 무선 채널일 경우에, AP모드를 정지시키거나 기동시키지 않는다. 추가로, STA-AP(101)는, 인접한 AP와 STA모드로 접속하는데 사용된 무선 채널이 상술한 소정의 무선 채널일 경우에, 예를 들면, AP모드를 2.4GHz대에서 기동하고, AP모드와 STA모드를 시분할로 각각의 모드간에 전환해서 기동한다. 이것들의 제어동작의 결과, STA모드로 사용하는 무선 채널에서 AP모드를 기동함으로써 STA모드와 AP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하면, AP모드로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다른 장치를 접속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STA-AP(101)는, 인접한 AP와 STA모드로 접속하는데 사용된 무선 채널이 상술한 소정의 무선 채널이 아닐 경우는, STA모드로 사용한 무선 채널과 같은 무선 채널을 사용해서 AP모드를 기동/재기동한다. 이에 따라, STA-AP(101)는, AP모드로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다른 장치를 접속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 무선 채널에 있어서는, STA모드와 AP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다.
(STA-AP(101)의 구성)
도 2는, STA-AP(101)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낸다. STA-AP(101)는, 그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기억부(201), 제어부(202), 기능부(203), 입력부(204), 출력부(205), 통신부(206) 및 안테나(207)를 구비한다.
기억부(201)는, 예를 들면, ROM, RAM의 양쪽, 또는, 그것들 중 한쪽으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각종 동작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에서, ROM은, Read Only Memory의 머리 글자어이며, RAM은, Random Access Memory의 머리 글자어다. 또한, 기억부(201)로서, ROM이나 RAM등의 메모리의 이외에,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DVD등의 기억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적어도 1개의 CPU 또는 MPU로 구성되고,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 함에 의해 STA-AP(101) 전체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머리 글자어이며, MPU는 Micro Processing Unit의 머리 글자어다. 또한, 제어부(202)는,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과 OS와의 협동에 의해 STA-AP(101)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OS는 Operating System의 머리 글자어다. 또한, 제어부(202)는, 기능부(203)를 제어하여, 촬상처리, 인쇄처리, 투영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기능부(203)는, STA-AP(101)가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다. 예를 들면, STA-AP(101)가 카메라일 경우, 기능부(203)는 촬상부이며, 촬상 처리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STA-AP(101)가 프린터일 경우, 기능부(203)는 인쇄부이며, 인쇄 처리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STA-AP(101)가 프로젝터일 경우, 기능부(203)는 투영부이며, 투영 처리를 행한다. 기능부(203)가 처리하는 데이터는, 기억부(20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일 수 있거나, (후술하는) 통신부(206)를 통해서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STA-AP(101)가 프린터이며, 소정의 처리로서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STA-AP(101)는, 복사기,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PC,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장치등의 임의의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입력부(204)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접수한다. 출력부(205)는, 유저에 대하여 각종 출력을 행한다. 여기에서, 출력부(205)에 의한 출력은, 화면상에의 표시나, 스피커에 의한 음성출력, 진동 출력 등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한다. 또한, 터치패널 등에 의해 입력부(204)와 출력부(205)를 단일의 모듈에 실현할 수 있다.
통신부(206)는, IEEE802.11규격 시리즈에 준거한 무선통신의 제어나, IP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IP는 Internet Protocol의 머리 글자어다. 또한, 통신부(206)는 안테나(207)를 제어하여,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STA-AP(101)는 통신부(206)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나 문서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STA-AP(101)의 통신부(206)는, 적어도 1개의 RF제어 모듈(소위 무선 칩) 및 1개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한 번에 1개의 무선 채널로만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3은, STA-AP(101)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다. STA-AP(101)는, 기능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무선 LAN제어부(301), STA제어부(302), AP제어부(303), 인쇄 제어부(304), 및 조작 제어부(305)를 구비한다.
무선 LAN제어부(301)는, 다른 무선 LAN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대응하는 무선 LAN의 신호 포맷에 따라서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무선 LAN제어부(301)는, IEEE802.11규격 시리즈에 준거하는 무선 LAN에 관련된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STA 제어부(302)는, STA모드에서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이며, 자신과 다른 AP로서 기능하는 통신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AP 제어부(303)는, AP모드에서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이며, 자신을 AP로서 기능시켜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인쇄 제어부(304)는, 무선 LAN제어부(301)를 통해서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인쇄 잡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인쇄 잡에 따라서 인쇄를 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STA-AP(101)가 프린터일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STA-AP(101)는, 상기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각종 기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TA-AP(101)가 카메라일 경우, 촬영 제어부를 구비하여도 좋고, STA-AP(101)가 스캐너일 경우는 독취 제어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조작 제어부(305)는, STA-AP(101)의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해서 관리하고, 그 조작에 따라, 무선 LAN제어부(301), STA제어부(302), AP제어부(303) 및 인쇄 제어부(304)의 각각에, 적시에 적절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이것들의 각 제어부(301∼305)의 기능은, 일례에 있어서,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제어부(202)에 의해 실행하여서 실현된다. 이 때, 제어부(202)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정보의 연산과 가공을 행하는 것과 아울러, 각 하드웨어의 제어를 행하여서 각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도 3의 기능 구성에 포함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하드웨어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이 경우, 각 제어부(301∼305)에 포함된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구성된다.
(처리 순서)
다음에, 상술한 STA-AP(101)가 실행하는 처리의 일부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STA-AP(101)가 STA모드로 무선 네트워크(105)에 참가할 때의 처리의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본 처리는, STA-AP(101)의 유저가, STA-AP(101)를 무선 LAN의 네트워크에 참가시키기 위한 설정을 완료할 때 실행된다. 무선 LAN의 네트워크에 STA-AP(101)를 참가시키기 위한 설정은, 그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SSID, 시큐어러티 방식, 및 패스 프레이즈(pass phrase) 등의 설정을 포함한다. 또한, 유저가 본 설정을 한번 실행했으면, 본 처리는, STA-AP(101)가 STA모드로 네트워크에 참가하지 않은 경우나 전원이 투입되었을 경우에, 실행된다. 여기에서는, STA 104는, 2.4GHz대에서만 통신할 수 있고, 5GHz대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STA-AP(101)는, STA모드로 5GHz대를 사용할 경우는, AP모드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기동시키지 않고, STA모드로 2.4GHz대를 사용할 경우는 STA모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AP모드를 기동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흐름도는, STA-AP(101)의 제어부(202)가 기억부(201)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각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것과 아울러 정보의 연산 및 가공을 실행하여서 실현될 수 있다.
우선, STA-AP(101)는, 유저가 입력부(204)를 통해 입력한 설정에 따라 상기 AP를 탐색한다(단계 S401). STA-AP(101)는, 예를 들면, 유저가 지정한 SSID, 시큐어러티 방식에 일치한 AP를, IEEE802.11규격 시리즈로 규정되어 있는 프로브 요구를 송신함에 의해 탐색한다. STA-AP(101)는, AP를 발견할 수 없는 동안(단계 S402에서 NO)은 AP의 탐색을 계속한다. AP를 발견하는 경우(단계 S402에서 YES)는, 처리를 단계 S403에 진척시킨다. 또한, 여기에서는, 사전에 유저가 무선설정을 끝마치고나서 AP를 탐색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STA-AP(101)는, 인접한 AP를 탐색한 후에, 예를 들면 출력부(205)를 통해 각 접속 후보의 AP를 유저에 통지하고 나서, 유저에 의해 그 후보들로부터 선택된 원하는 접속처의 AP를 접수하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는, STA-AP(101)는, 자신이 AP모드를 실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다시 말해, STA-AP(101)는, AP제어부(303)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106)를 형성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STA-AP(101)는, AP모드를 실행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403에서 YES)는, 단계 S401에서 발견한 AP가 5GHz대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 다시 말해, 5GHz의 주파수대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404). STA-AP(101)는, 발견한 AP가 5GHz대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404에서 YES), STA-AP(101)는, 그 뒤에, 자신이 현재 실행된 AP모드로 인쇄 잡을 기다리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405). 달리 말하면, STA-AP(101)는, AP모드로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106)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인쇄 잡을 수신하고 있고, 현재 인쇄 상태에 있는가를 판정한다. 다시 말해, STA-AP(101)는, 인쇄중일 경우는 인쇄 잡 대기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단계 S405에서 NO). 한편, STA-AP(101)는, 인쇄중이 아닐 경우에는 인쇄 잡 대기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단계 S405에서 YES). 또한, 비록 인쇄중이 아닐지라도,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잡을 기억부(201)가 기억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말해, 인쇄 대기 잡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STA-AP(101)는, 인쇄 잡 대기 상태에 있지 않다고(단계 S405에서 NO)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TA-AP(101)는, 인쇄중에 용지없음이나 잉크 떨어짐 등의 에러의 발생으로 인해 인쇄를 중단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자신이 인쇄 잡 대기 상태에 있지 않다고(단계 S405에서 NO) 판정할 수 있다. STA-AP(101)는, 인쇄중이며, 인쇄 잡 대기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405에서 NO), 인쇄 잡 대기 상태로 변경될 때까지 대기한다. STA-AP(101)는, AP모드로 인쇄 잡 대기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405에서 YES), AP모드를 정지한다(단계 S406). 다시 말해, STA-AP(101)는, 그 시점에 있어서 인쇄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있는 상태로 변경될 때까지 AP모드를 정지하지 않고, AP모드에서의 통신을 유지하고 나서, 인쇄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있는 상태로 변경된 후에 AP모드를 정지한다. 이에 따라, AP모드로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가한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잡에 근거해서 인쇄를 실행중일 경우에 AP모드를 정지하는 것을 막고,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인쇄 요구가 정상으로 종료하고나서 네트워크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STA-AP(101)는, AP모드를 정지할 때에, AP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 것을 유저에 통지해도 좋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STA 104의 유저는, STA-AP(101)에서 인쇄를 실행하기 위해서, STA 104를 직접 STA-AP(101)과 접속시키는 것이 아니고, STA-AP(101)가 STA모드를 사용하여 접속된 AP에 접속시킬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STA-AP(101)는, 단계 S406에서 AP모드를 정지하기 전에, AP모드를 정지할 수 있는가 아닌가에 관한 유저의 선택을 접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TA-AP(101)는, 출력부(205)에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에 의해 AP모드의 정지가 허가되었을 경우에만 처리를 단계 S406에 진행시킬 수 있다.
그 후, STA-AP(101)는, 단계 S401에서 발견한 (5GHz대에서 동작중의) AP에 접속한다(단계 S407). STA-AP(101)가 STA모드에 있어서 5GHz대에서 동작중에, 한층 더 AP모드로 동시에 동작할 경우, STA-AP(101)는 5GHz대에서 AP모드를 사용하여서도 동작하여야 할 것이다. STA-AP(101)가 AP모드를 사용하여 5GHz대에서 무선 네트워크(106)를 기동하는 경우에, 2.4GHz대에서만 동작하는 다른 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106)에 참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비록 STA-AP(101)가 AP모드를 실행중일지라도, 그 AP모드로 형성된 무선 네트워크에 통신 장치가 참가할 수 없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유저가 혼란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STA-AP(101)는, STA모드에 있어서 5GHz대에서 동작할 경우는, AP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STA-AP(101)는, STA모드에 있어서 5GHz대에서 동작할 때 AP모드에 있어서 5GHz대에서의 동시 동작을 억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그 동작 상태에 대해 유저에 통지함으로써, 상술한 유저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
추가로, AP기능만을 갖는 AP(102)는, 2.4GHz대 및 5GHz대의 양쪽의 RF제어 기능을 갖는 경우도 적지 않다. 따라서, AP(102)가 5GHz대에서 STA-AP(101)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5)를 형성하면서, 2.4GHz대에서 별도의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2.4GHz대의 무선 LAN기능을 갖는 STA(104)는, AP(102)를 경유해서 STA-AP(101)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STA-AP(101)는, 5GHz대에서 AP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고, AP모드를 정지시키고 이 정지를 유저에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STA(104)를, AP(102)를 통해 STA-AP(101)에 접속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단계 S403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STA-AP(101)는, AP모드를 실행중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403에서 NO), 즉석에서 단계 S401에서 발견한 AP에 접속한다(단계 S407). 이것은, STA 모드와 AP모드가 병행하여 실행될 수 있는 환경하에 있지 않으면, 무선 채널의 제약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STA-AP(101)는, 단계 S404에 있어서, 발견한 AP의 동작 주파수가 5GHz대가 아니었을 경우(단계 S404에서 NO), 발견한 AP의 무선 채널과, 자신이 AP모드에서 사용한 무선 채널이 서로 다른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408). STA-AP(101)는, 이것들의 무선 채널이 동일할 경우(단계 S408에서 NO), 그대로 발견한 AP에 접속한다(단계 S407). 한편, STA-AP(101)는, 이것들의 무선 채널이 서로 다른 경우(단계 S408에서 YES), 자신의 AP모드에서 사용한 무선 채널을 상기 발견한 AP와 같은 무선 채널이 되도록 변경하고, AP모드를 재기동한다(단계 S409). 그 후, STA-AP(101)는, AP모드를 재기동한 후에, 단계 S401에서 발견한 AP에 접속한다(단계 S407). 이에 따라, 동시에 1개의 무선 채널로만 STA모드 및 AP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STA-AP(101)가, 동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09에서는, 단계 S405와 같이, AP모드에서 사용하는 무선 채널을 변경하기 전에 인쇄 잡이 있을 경우에는, STA-AP(101)는, 인쇄가 끝날 때까지 대기해도 좋다. 이에 따라, 인쇄 동작의 중단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인쇄 잡이 끝나기 전에 무선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인쇄 잡을 송신한 통신 장치가 즉시 재접속을 시험하여, 정상 인쇄가 중단없이 행해질 수 있다. 추가로, 이 경우, STA-AP(101)는, 재빠르게 단계 S401에서 발견한 AP에 접속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STA-AP(101)가 AP모드를 기동할 때의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처리는, STA-AP(101)의 유저에 대한 응답이, STA-AP(101)에 무선 LAN의 네트워크를 구성시키기 위한 설정을 완료할 때 실행된다. 무선 LAN의 네트워크를 구성시키기 위한 설정은, 그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SSID, 시큐어러티 방식 및 패스 프레이즈등의 설정을 포함한다. 또한, 유저가 그 설정을 한번 실행한 후, STA-AP(101)는, 전원의 투입에 응답하여, 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STA-AP(101)는, 도 4의 흐름도에 따라서 한번 AP모드를 정지할 때, STA모드에서 접속처 AP가 변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이탈한 경우에, 본 처리를 다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흐름도는, STA-AP(101)의 제어부(202)에 의해, 각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것과 아울러, 기억부(201)에 기억된 대응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의 연산 및 가공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우선, STA-AP(101)는, 자신이 STA모드로 다른 AP에 현재 접속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501). 그리고, STA-AP(101)는, 자신이 STA모드로 AP에 접속한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501에서 YES), 그 후, 그 STA모드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502). STA-AP(101)는, STA모드에서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일 경우에는(단계 S502에서 YES), AP모드를 기동할 수 없는 것을 유저에 통지한다(단계 S503). 이때, 본 처리가 유저로부터의 명시적인 지시에 의해 개시되지 않은 경우, STA-AP(101)는, 출력부(205)로서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에 아이콘 등을 표시시킴으로써, AP모드를 기동할 수 없는 사실을 유저에 통지할 수 있다.
STA-AP(101)는, STA모드에 있어서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가 아니고 2.4GHz대일 경우(단계 S502에서 NO), STA모드에서 사용된 무선 채널과 같은 무선 채널로 AP모드를 기동한다(단계 S504). 이에 따라, 1개의 무선 채널로만 무선통신이 가능한 STA-AP(101)가, STA모드와 AP모드를 사용하여 동시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다.
한편, STA-AP(101)는, 자신이 STA모드로 AP에 접속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501에서 NO), 2.4GHz대에서 이용 가능 채널을 탐색해(단계 S505),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된 무선 채널을 사용해서 AP모드를 기동한다(단계 S506).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실행된 처리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STA-AP(101)는, 그 기동에 응답하여 STA모드 접속 처리를 개시한다(S601). 이 처리는, 도 4의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된다. STA-AP(101)는, 유저가 사전에 설정한 무선설정에 따라, AP(102)를 탐색하기 위해서 프로브 요구를 송신한다(S602). 이때, AP(102)는, 전원이 투입되지 않거나 STA-AP(101)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있는 등의 이유로 인해, 프로브 응답을 송신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또 STA-AP(101)는, 이 시점에서는 AP(102)를 발견할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에, 유저가 입력부(204)를 조작하고, STA-AP(101)에 대하여, AP모드의 기동을 지시한 것으로 가정한다(S603). STA-AP(101)는, AP모드의 기동의 지시를 받으면, 도 5에 따라, AP모드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S604). 이때, STA-AP(101)는, STA모드로 AP에 접속하고 있지 않으므로, 2.4GHz대에서 이용 가능한 무선 채널을 탐색한다(S605). 여기에서는, STA-AP(101)는, 탐색의 결과, 채널1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STA-AP(101)는, 이 판정 결과에 따라, 채널1에서 AP모드를 기동하고, 무선 네트워크(106)를 형성한다(S606).
여기에서, STA(104)가, STA-AP(101)에 대하여 인쇄를 요구하기 위해서, 접속 처리를 실행한 것으로 가정한다(S607). 접속 처리는 IEEE802.11규격에 따라서 행해지고, 인증, 연관(association), 및 키 교환이 행해진 후에 접속이 확립된다. STA(104)는, 무선 네트워크(106)에 참가하면, STA-AP(101)에 인쇄를 요구한다(S608). STA-AP(101)는, 인쇄 요구를 받으면, STA(104)로부터 인쇄를 위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수신한다. 또한, 이 때 인쇄를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도 6에 도시되지 않고 있지만, 이 처리는 (후술하는) S611의 인쇄 완료까지 계속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에서, STA-AP(101)는, 인쇄 요구중에, 프로브 요구를 송신하고, AP(102)로부터 프로브 응답을 수신하여서 AP(102)를 발견한 것으로 가정한다(S609, S610). 또한, 이때, AP(102)가 사용한 무선 채널은, 5GHz대에서 채널36인 것으로 가정한다. STA-AP(101)는, AP(102)의 발견에 응답하여 AP(102)에 STA모드로 접속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시점에서는, AP모드로 STA-AP(101)가 인쇄중이므로, 인쇄가 완료할 때까지, 접속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그 후, STA-AP(101)는, AP모드로 인쇄가 완료하면, STA(104)에 인쇄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S611). 그리고, STA-AP(101)는, 인쇄 완료 통지를 송신한 후, 무선 네트워크(106)에 참가하고 있는 STA(104)와의 접속을 절단하는 절단 처리를 실행한다(S612). 예를 들면, STA-AP(101)는, IEEE802.11규격에 따라, 인증해제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 확립된 접속을 절단한다. STA-AP(101)는, 절단 처리를 완료한 후, AP모드로 동작을 정지한다(S613). STA-AP(101)는, AP모드로 동작을 정지한 후에, AP(102)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한다(S614). 그 후, STA-AP(101)는, 무선 네트워크(105)에 참가하고 있는 각 통신 장치(예를 들면, STA(103))로부터의 인쇄 요구 등을 접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STA-AP(101)는, STA모드와 AP모드의 동시 동작에서는, 5GHz대의 무선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2.4GHz대의 동일한 무선 채널을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STA모드로 독특하게 동작할 때, 5GHz대의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2.4GHz대로만 동작하는 통신 장치(예를 들면, STA(104))를 AP모드를 사용하여서 지원하기 위해서, STA-AP(101)는, STA모드로 접속되는 대상 AP가 5GHz대에서 동작 중일 때, AP모드를 정지한다. 그렇지만, STA-AP(101)는, 원래 AP모드에 있어서 5GHz대에서 STA(104)와 통신하고 있고 있던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STA-AP(101)는, 단계 S404에 있어서, 발견한 AP가 2.4GHz대에서 동작 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STA-AP(101)는, 현재 동작중의 AP모드에서 사용한 주파수대와, STA모드에서의 접속 대상AP에서 사용한 주파수대가 서로 다를 때, AP모드를 정지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된 주파수대는, 2.4GHz대, 5GHz대등의, 복수의 무선 채널을 포함한 1개의 주파수대를 가리키고, 무선 채널은 각각의 주파수대에 포함된 1개이상의 부분 대역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STA-AP(101)는, 단계 S404에서, 사용 주파수대가 서로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일치하는 경우(단계 S404에서 NO), STA-AP(101)는 그 주파수대에서 사용한 무선 채널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408). 추가로, STA-AP(101)는, AP모드를 사용하여 접속된 STA(104)가 발견한 AP가 사용한 주파수대를 지원하는 경우, AP모드를 정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STA-AP(101)는, AP모드로 접속된 STA(104)에 의해 지원된 주파수대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을 행해도 좋다.
또, STA(104)가 5GHz대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등, AP모드로 동작하는데 5GHz대를 사용해야 할 상태일 경우, STA-AP(101)는, STA모드에서의 사용 주파수대가 2.4GHz대일 경우에, AP모드를 기동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STA-AP(101)는, 단계 S502에 있어서, STA모드에서 사용 주파수대가 2.4GHz대일 때, AP모드를 기동할 수 없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STA-AP(101)는, 단계 S505에서는, 5GHz대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을 탐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5GHz대에서 STA모드와 AP모드의 동시 실행을 제한했다. 그렇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레이더 검지를 필요로 하는 W53/W56의 무선 채널을 사용해서 STA모드와 AP모드의 동시 실행을 제한한다. STA-AP(101)는, W53/W56의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AP모드를 기동할 때, 이 채널이 기상 레이더등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그 기동전에 소정 기간에 레이더 검지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기간 동안에 무선통신을 행할 수 없다. 또한, STA-AP(101)는, 소정 기간 레이더의 전파를 검지하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106)를 형성한 경우에도, 그 후도 레이더 검지 처리의 연속적인 실행을 필요로 한다. STA-AP(101)는, 레이더의 전파를 검지했을 경우는, 이 무선 채널에서의 무선통신을 소정 기간 정지하고, 다른 무선 채널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STA-AP(101)는, 이 전환 동작시에 다시 레이더 검지를 행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통신할 수 없는 기간을 연장시키고, 유저의 편리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STA-AP(101)는, STA모드로 인쇄를 행할 때에도, AP모드로 레이더의 전파의 검지로 인해 다른 무선 채널에 전환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고, 한층 더 그 전환처의 무선 채널에서 소정 기간 레이더 검지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STA-AP(101)는, STA모드에서의 인쇄동작의 도중에 잡의 수신을 중단하므로, 그 인쇄 동작을 정상으로 종료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STA-AP(101)는, 도 4의 단계 S404에 있어서, 발견한 AP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발견한 AP에서 사용한 무선 채널이 W53/W56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또한, STA-AP(101)는, 도 5의 단계 S502에 있어서, STA모드에서 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그 사용한 무선 채널이 W53/W56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그리고, STA-AP(101)는, STA모드에서 사용한 무선 채널이 W53/W56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AP모드를 기동할 수 없다고 판정한다. 또한, STA-AP(101)는, STA모드에서 사용한 무선 채널이 W53/W56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STA모드에서 사용한 무선 채널과 같은 무선 채널로 AP모드를 기동한다.
더욱이, STA-AP(101)는, 단계 S505 및 S506에 있어서, 2.4GHz대에서 이용 가능한 무선 채널로 AP모드를 기동함으로써, 여러가지 종류의 통신 장치와 접속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즉, STA-AP(101)는, STA모드를 기동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5GHz대에서 AP모드를 기동하는 것이 아니고 2.4GHz대에서 AP모드를 기동한다. 이에 따라, 보다 많은 통신 장치가 AP모드로 STA-AP(101)와 접속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하드웨어 제약으로 인해 한번에 1개의 무선 채널로만 통신을 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분할로 상기 사용 채널을 동적으로 전환하여서 서로 다른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에 병행하여 참가할 수 있는 통신 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가 STA모드로 채널1의 무선 네트워크에 이미 참가하고 있을 때에도, AP모드에서, 채널6등의 채널1과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는, IEEE802.11규격으로 정해진 절전 상태에 들어감으로써, 비콘이 송신되는 전후이외의 타이밍에서는 패킷을 수신할 수 없다는 사실의 STA모드로 참가하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AP에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는, 비콘이 송신되는 전후이외의 타이밍에서는 AP모드의 무선 채널로 동작한다. 다음에, 통신 장치는, STA모드로 참가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비콘이 송신되는 타이밍에서, AP모드로 참가한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채널에 있어서 RTS/CTS를 송신함으로써, 다른 통신 장치가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억제한다. 그 후, 통신 장치는, STA모드로 참가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비콘이 송신되는 타이밍에서, 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채널로 전환하고, 그 무선 네트워크내의 각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STA-AP(101)는,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무선 채널을 동적으로 전환하여서 시분할적으로 (의사적으로) 병행하여 복수의 무선 채널로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STA-AP(101)는, STA모드와 AP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때에, STA모드 기동시에 발견한 AP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일 경우에 AP모드를 2.4GHz대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후술하는) 도 7∼도 9에 나타낸 흐름도는, 각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것과 아울러, STA-AP(101)의 제어부(202)가 기억부(201)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의 연산 및 가공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7은, STA-AP(101)가 STA모드로 무선 네트워크(105)에 참가할 때의 처리의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단계 S701∼S704, 단계 S707, 및 단계 S708은, 도 4의 단계 S401∼단계 S404, 단계 S408 및 단계 S409와 같아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STA-AP(101)는, 발견한 AP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일 경우, AP모드로 2.4GHz대를 사용하면서 그 발견한 AP에 접속하기 위해서, 자신의 동작 모드를 동적 채널 변경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705). STA-AP(101)는, 동적 채널 변경 모드에 있어서는, 동적으로 사용하는 무선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STA-AP(101)는, 동적 채널 변경 모드를 설정한 후, 단계 S702에서 발견한 AP에 5GHz대에서 접속한다(단계 S706).
도 8은, STA-AP(101)가 AP모드를 기동할 때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단계 S801, S805 및 S806은, 도 5의 단계 S501, 단계 S505 및 S506과 같아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STA-AP(101)는, 단계 S801에서, 자신이 STA모드에 있어서 AP에 접속된다고 판정할 때, STA모드에서 사용한 주파수대가 2.4GHz대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802). STA-AP(101)는, STA모드에서 사용한 주파수대가 2.4GHz대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02에서 YES), STA모드에서 사용된 무선 채널과 같은 무선 채널로 AP모드를 기동한다(단계 S803). 한편, STA-AP(101)는, STA모드에서 사용한 주파수대가 5GHz대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02에서 NO), 자신의 동작 모드를 동적 채널 변경 모드로 변경한다(단계 S804). 그 후, STA-AP(101)는, 단계 S805 및 S806에 있어서, 2.4GHz대내에서 이용 가능한 무선 채널을 탐색하고, 그 이용 가능한 채널에서 AP모드를 기동한다.
이상과 같이, STA-AP(101)는, STA모드에서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일 경우에도, AP모드를 보다 많은 통신 장치에 의해 지원된 2.4GHz대에서 동작시킴으로써, 다른 통신 장치와의 접속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STA-AP(101)는, STA모드의 사용 주파수대가 2.4GHz대일 경우에는, AP모드를 STA모드에서 사용된 무선 채널과 같은 무선 채널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분할로 동적으로 무선 채널을 전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무선통신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인쇄 처리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처리는, STA-AP(101)가, AP모드 또는 STA모드로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인쇄 잡을 수신할 때 실행된다. STA-AP(101)는, 인쇄 잡을 수신하면, 우선, 자신의 동작 모드가 동적 채널 변경 모드에 설정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S901). 그리고, STA-AP(101)는, 자신의 동작 모드가 동적 채널 변경 모드로 설정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901에서 NO), 수신한 인쇄 잡에 근거해서 인쇄 처리를 시작한다(단계 S902). 한편, STA-AP(101)는, 자신의 동작 모드가 동적 채널 변경 모드로 설정된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901에서 YES)은, 안정한 인쇄를 실행할 수 있도록, 자신이 인쇄 잡을 수신하지 않고 있는 모드에서의 무선통신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단계 S903). 예를 들면, STA-AP(101)는, 무선 네트워크(105)에 참가하고 있는 통신 장치로부터 인쇄 잡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STA-AP(101)는, AP모드를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다시 말해, STA-AP(101)는, 무선 네트워크(106)에서의 통신을 정지한다. 한편, STA-AP(101)는, 무선 네트워크(106)에 참가하고 있는 통신 장치로부터 인쇄 잡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STA-AP(101)는, STA모드를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무선 네트워크(105)로부터 이탈한다. STA-AP(101)는, 인쇄 잡을 수신하지 않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통신을 정지하면, STA-AP(101)는, 인쇄 잡을 수신한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있는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904). 그 후, STA-AP(101)는, 인쇄를 완료하면, 단계 S903에서 정지한 모드에서의 무선통신을 재개한다(단계 S905). 다시 말해, STA-AP(101)는, 단계 S903에 있어서 AP모드를 정지하였을 경우에는, 무선 네트워크(106)를 다시 형성하고, STA-AP(101)는, 단계 S903에 있어서 STA모드를 정지하였을 경우에는 무선 네트워크(105)에 다시 참가한다.
다음에,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각의 처리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AP(102)가 5GHz대를 사용해서 동작하고 있을 경우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내고, 도 11은 AP(102)가 2.4GHz대를 사용해서 동작하고 있을 경우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S10O1∼S10O7은, 도 6의 S601∼S607과 같아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STA-AP(101)는, S10O7 후에 AP(102)를 발견한 것으로 가정한다(S10O8, S10O9). 이 경우, STA-AP(101)는, 도 7에 따라 AP모드를 기동하였고, 발견한 AP가 5GHz대를 사용해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동작 모드를 동적 채널 변경 모드로 설정한다(S1010). 그리고, STA-AP(101)는, AP(102)에 접속하고, 무선 네트워크(105)에 참가한다(S1011). 여기에서, STA-AP(101)는, 무선 네트워크(106)에 참가하고 있는 STA(104)로부터 인쇄 요구를 받는 것으로 가정한다(S1012). 그리고, STA-AP(101)는, 도 9에 따라, 자신의 동작 모드가 동적 채널 변경 모드이므로, 인쇄 요구를 수신하지 않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105)로부터 일시적으로 이탈한다(S1013). 그리고, STA-AP(101)는, 인쇄가 완료하면 인쇄 완료 통지를 STA(104)에 송신해(S1014), 다시 무선 네트워크(105)에 참가한다(S1015).
다음에 도 1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S1101∼S1109는 도 10의 S10O1∼S10O9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STA-AP(101)는, AP모드를 기동하였고, AP(102)가 2.4GHz대의 채널6을 사용중이므로, 도 7에 따라 채널6을 사용하여 AP모드를 재기동한다(S1110). STA-AP(101)는, 채널6을 사용하여서 AP(102)에 접속하는 것(S1111)과 아울러, 사용 무선 채널을 채널6으로 전환한 무선 네트워크(106)에 있어서, STA(104)와 한층 더 재접속한다(S1112). 다음에, STA-AP(101)는, STA(104)로부터 인쇄 요구를 받으면(S1113), 이 경우의 자신의 동작 모드가 동적 채널 변경 모드가 아니므로, 도 9에 따라, STA모드를 정지하지 않고 인쇄를 실행한다. 그 후, STA-AP(101)는, 인쇄 처리를 완료하면, 인쇄 완료 통지를 STA(104)에 송신한다(S1114). 마찬가지로, STA-AP(101)는, STA(103)로부터 (예를 들면, AP(102)를 통해서) 인쇄 요구를 받는 경우도(S1115), STA-AP(101)는, 도 9에 따라, AP모드를 정지하지 않고 인쇄를 실행하고, 인쇄를 완료한 후 인쇄 완료 통지를 STA(103)에 송신한다(S1115).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STA-AP(101)는, STA모드의 사용 주파수대가 2.4GHz대일 경우에는, AP모드를 위해 동일한 무선 채널을 사용해서 통신을 안정시켜, 많은 통신 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상태를 설정한다. 한편, STA-AP(101)는, STA모드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일 경우에도, AP모드를 2.4GHz대에서 동작시켜서 많은 통신 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더욱, STA-AP(101)는, STA모드와 AP모드가 다른 채널에서 동작할 경우, 애플리케이션 통신이 개시되었을 때에, 그 통신에서 사용된 모드의 무선통신을 유효하게 하고 다른 무선통신을 정지함으로써, 통신을 안정화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5GHz대에서의 STA모드와 AP모드의 동시 동작을 제한했지만, 제4 실시예에서는, 레이더 검지를 할 필요가 있는 W53/W56의 무선 채널에서의 STA모드와 AP모드의 동시 동작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STA-AP(101)는, 도 7의 단계 S704에 있어서, 발견한 AP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발견한 AP가 사용한 무선 채널이 W53/W56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또한, STA-AP(101)는, 도 8의 단계 S802에 있어서, STA모드에서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사용한 무선 채널이 W53/W56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STA-AP(101)는, STA모드에서 사용한 무선 채널이 W53/W56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AP모드에서는, W53/W56에 포함되지 않는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서 동작한다.이에 따라, STA-AP(101)가 레이더 검지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STA-AP(101)는, 레이더 전파의 검지에 응답하여 접속을 절단한다고 하는 사태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STA-AP(101)는, 레이더 검지 기능을 갖지 않고, STA모드와 AP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STA-AP(101)는, STA모드에 있어서 W53/W56에 포함된 무선 채널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AP모드에서 사용하는 무선 채널을 STA모드와 동일하게 한다. 이에 따라, 1개의 시점에 있어서 1개의 무선 채널로만 무선통신할 수 있는 STA-AP(101)는, STA모드와 AP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더욱이, STA-AP(101)는, 단계 S805 및 단계 S806에 있어서, 2.4GHz대에서 이용 가능한 무선 채널로 AP모드를 기동함으로써, 여러가지 종류의 통신 장치와 접속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 STA-AP(101)는, STA모드를 기동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5GHz대에서 AP모드를 기동하는 것이 아니라 2.4GHz대에서 AP모드를 기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많은 통신 장치가 AP모드의 STA-AP(101)와 접속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제1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 STA-AP(101)가 접속처의 AP의 후보로서 2.4GHz대를 사용하는 AP와 5GHz대를 사용하는 AP를 발견했을 경우에는, STA-AP(101)는, 2.4GHz대를 사용하는 AP를 우선적으로 접속처의 역할을 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TA-AP(101)는, AP모드를 정지할 필요가 없어지거나, 자신의 동작 모드를 동적 채널 변경 모드로 설정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STA-AP(101)는 AP모드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을 막을 수 있어, 유저의 편리성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STA-AP(101)가 2.4GHz대를 사용하는 AP와 5GHz대를 사용하는 AP의 양쪽을 발견하는 경우, STA-AP(101)는 5GHz대를 사용하는 AP쪽이 고속으로 통신할 수 있을 때만, 5GHz대를 사용하는 AP를, 접속처의 AP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4GHz대를 사용하는 제1의 AP가 IEEE802.11n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고, 5GHz대를 사용하는 제2의 AP가 IEEE802.11ac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에 대해서 검토한다. 이 경우, STA-AP(101)는, 제2의 AP가이 고속으로 통신할 수 있으므로, 접속처의 AP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제2의 AP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2.4GHz대를 사용하는 제1의 AP와 5GHz대를 사용하는 제2의 AP가 함께 IEEE802.11n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므로, 그 2개의 AP가 같은 통신 레이트로 통신할 수 있는 것이 예상될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 검토한다. 이 경우, STA-AP(101)는, 제1의 AP와 제2의 AP의 양쪽이 거의 같은 속도로만 통신할 수 있으므로, AP모드를 기동할 때에도 제한 없이 통신할 수 있는 2.4GHz대의 AP를, 접속처의 AP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STA-AP(101)가 단계 S401 및 단계 S701에서 AP 탐색 처리를 계속한다고 설명했지만, AP 모드로 인쇄중일 때 AP를 발견하는 경우에도 인쇄가 완료할 때까지는 접속 처리를 행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인쇄중에 이 탐색 처리를 정지할 수 있다. STA-AP(101)는, 인쇄중에 AP탐색 처리를 정지함에 의해, 인쇄를 빠르게 완료시킬 수 있고, 또한, 탐색 처리에 관한 소비전력과 무선대역의 점유를 감소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STA-AP(101)가, AP모드를 기동하기 위해 항상 2.4GHz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STA-AP(101)는, 무선 네트워크(106)에 참가하는 통신 장치가 5GHz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미리 알고 있을 경우에, STA모드의 사용 주파수대가 5GHz대일 때에는, AP모드를 5GHz대에서 기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TA-AP(101)의 UI상에서, AP모드의 사용 주파수대로서 5GHz대를 허용할 수 있는 설정 항목을 준비하여, 유저가 임의로 5GHz대를 선택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도, 무선 통신에 관한 지식이 풍부하지 않은 유저를 수용하기 위해, STA-AP(101)의 디폴트 설정으로서, AP모드는 항상 2.4GHz대를 사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추가로, STA-AP(101)는, AP모드를 Wi-Fi Direct의 Group owner Negotiation(이하, "Go Nego"라고 부른다.)을 거쳐 기동하여도 된다. 이 경우, STA-AP(101)는, AP모드를 기동하기 전에, 무선 네트워크(106)에 참가하는 각 통신 장치가 사용가능한 무선 채널을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AP모드는, Wi-Fi Direct규격으로 Group Owner로서 정해진 역할에 대응하고, 무선 네트워크(106)에 참가하는 STA로서의 통신 장치는, Wi-Fi Direct규격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에 대응한다. 이러한 경우, STA-AP(101)는, STA모드로 5GHz대의 특정한 무선 채널을 사용하고, 또 클라이언트가 그 5GHz대의 무선 채널을 지원할 때 AP모드를 5GHz대에서 기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TA-AP(101)는, 동적으로 무선 채널을 전환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 AP모드로 통신을 요구하는 상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 STA-AP(101)가, GO Nego를 거쳐 AP모드를 기동할 때에도, AP모드에서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106)에 있어서 GO Nego를 실행한 통신 장치이외의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가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STA-AP(101)는, 2.4GHz대에서 AP모드를 기동할 수 있다. 또한, STA-AP(101)가 GO Nego를 실행한 통신 장치이외의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STA-AP(101)의 유저에 의한 사전조작을 접수하는 것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TA-AP(101)가 자신에 의해 행해진 다이렉트 통신을 점유하는 모드와, 복수의 통신 장치로부터 다이렉트 모드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드를 갖고, 유저가 STA-AP(101)의 UI로부터 그 모드들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STA-AP(101)는, 무선 네트워크(106)에 참가하는 통신 장치가 사용가능한 무선 채널을 사전에 알기 위해서, Wi-Fi Direct규격에 있어서의 Invitation등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2.4GHz대역과 5GHz대역을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주파수 대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쪽의 주파수대역에 대하여 다른쪽의 주파수대역쪽에, 보다 많은 사용 제약이 있을 경우에, 이들의 주파수대역에서 병행하여 무선통신가능한 장치에 상술한 각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및 제4의 실시예에서는, STA모드에서 사용된 무선 채널이 W53/W56에 포함된 무선 채널등의 레이더 검지가 필요한 무선 채널일 경우에, STA모드와 AP모드의 동시 실행을 제한하였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STA모드에서 사용된 무선 채널을 AP모드로 사용할 때의 조건으로서 소정의 기능을 갖는데 요구된 무선 채널이면, W53/W56에 포함되지 않는 무선 채널인 경우에도, 같은 제한을 부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통신 모드를 병행하여 실행가능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통신 채널의 제한에 의해 유저의 편리성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4)

  1. 다른 장치가 형성한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제1 모드와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제2 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1 무선 채널이,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할 때, 전파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을 상기 통신 장치가 가지는 것이 요구되는 특정의 무선 채널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및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제1 무선 채널이 상기 특정의 무선 채널이라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제1 무선 채널이 상기 특정의 무선 채널이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를, 상기 제1 무선 채널을 사용해서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무선 채널은, 적어도 5GHz대의 W53과 W56 중 하나인, 통신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무선 채널은,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한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없는 무선 채널인, 통신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무선 채널은, 상기 제2 모드에서의 사용 조건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부과되는 무선 채널인, 통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능은 레이더의 전파를 검지하는 기능인, 통신 장치.
  10. 다른 장치가 형성한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제1 모드와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제2 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1 무선 채널이,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할 때, 전파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을 상기 통신 장치가 가지는 것이 요구되는 특정의 무선 채널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단계에서 상기 제1 무선 채널이 상기 특정의 무선 채널이라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모드를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11. 다른 장치가 형성한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제1 모드와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제2 모드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에 구비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장치가 청구항 10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무선 채널은 5GHz대인, 통신 장치.
  1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IEEE802.11 규격에 준거하는 스테이션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IEEE802.11 규격에 준거하는 스테이션 모드인, 통신 장치.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무선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1개의 무선 칩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20170095815A 2016-07-29 2017-07-28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196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0553 2016-07-29
JP2016150553A JP6800647B2 (ja) 2016-07-29 2016-07-29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785A KR20180013785A (ko) 2018-02-07
KR102196621B1 true KR102196621B1 (ko) 2020-12-30

Family

ID=5956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815A KR102196621B1 (ko) 2016-07-29 2017-07-28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26666B2 (ko)
EP (1) EP3277052B1 (ko)
JP (1) JP6800647B2 (ko)
KR (1) KR102196621B1 (ko)
CN (2) CN1140072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7947B2 (en) * 2017-05-18 2020-10-06 Bae Systems Controls Inc. Initialization and configuration of end point devices using a mobile device
JP6552563B2 (ja) 2017-08-10 2019-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6770570B2 (ja) * 2018-12-28 2020-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2020157656A (ja) * 2019-03-27 2020-10-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7494512B2 (ja) * 2020-03-26 2024-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JP2024046245A (ja) 2022-09-22 2024-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1187A1 (en) * 2012-04-23 2014-08-28 Omri Barkay Systems and methods for avoiding interference for a peer-to-peer network connection
US20140349669A1 (en) * 2013-05-22 2014-11-27 Emily Qi Wireless communication in radar transmission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3789B2 (ja) 2010-06-04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JP5868147B2 (ja) 2011-12-01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3172275A (ja) 2012-02-20 2013-09-02 Canon Inc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JP2013183378A (ja) * 2012-03-02 2013-09-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35437B2 (ja) * 2013-04-26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18457B2 (ja) 2014-05-05 2017-04-19 ▲華▼▲為▼終端有限公司Huawei Device Co., Ltd. Wi−Fi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Wi−Fiコントローラ及びWi−Fi装置
JP6451977B2 (ja) * 2014-08-01 2019-01-16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US9693327B2 (en) * 2014-08-20 2017-06-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media streaming over multiple hops in WiFi mesh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1187A1 (en) * 2012-04-23 2014-08-28 Omri Barkay Systems and methods for avoiding interference for a peer-to-peer network connection
US20140349669A1 (en) * 2013-05-22 2014-11-27 Emily Qi Wireless communication in radar transmission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34707A1 (en) 2018-02-01
JP6800647B2 (ja) 2020-12-16
EP3277052A1 (en) 2018-01-31
US10326666B2 (en) 2019-06-18
CN107666674B (zh) 2021-11-19
CN114007236A (zh) 2022-02-01
CN107666674A (zh) 2018-02-06
KR20180013785A (ko) 2018-02-07
CN114007236B (zh) 2024-05-10
JP2018019366A (ja) 2018-02-01
EP3277052B1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621B1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JP5153468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US9560689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939494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00198952A1 (en) Method for WALN network and device role activation
KR102200775B1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CN110784855A (zh) 通信装置和控制方法
JP7141437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306944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5915498A (zh) 通信设备、控制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80089902A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JP6448831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8408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4284102A1 (en) Controlling concurrent operation in infrastructure connection mode and in direct connection mode based on channels to be used
US2023038905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38909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38911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7135677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62598A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CN111149420A (zh) 在近邻感知网络中强制分配ipv6地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