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610B1 -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610B1
KR102196610B1 KR1020190135263A KR20190135263A KR102196610B1 KR 102196610 B1 KR102196610 B1 KR 102196610B1 KR 1020190135263 A KR1020190135263 A KR 1020190135263A KR 20190135263 A KR20190135263 A KR 20190135263A KR 102196610 B1 KR102196610 B1 KR 10219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e shaft
power plant
door system
nucle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규
김민정
추봉식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4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dapted for selective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상황과 같이 제한된 상황에서 전기없이 최소한의 인력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원전 시설물에 배치되는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전 시설물에 지지되는 구동축 및 상호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축에 감기거나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원전 시설물로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될 때에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인력(人力)을 기반으로 상기 구동축이 상기 원전 시설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이탈클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시스템{DOOR SYSTEM}
본 발명은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전 환경에 마련되는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전 환경에는 발전소 전원상실 시에 비상전원 및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 등이 보관 및 운영될 수 있는 통합 보관고가 마련된다. 이러한 통합 보관고에는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시스템에 장착된다.
이러한 도어 시스템은 평상시에 인력 및 차량 등이 출입될 수 있는 도어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발전소 전원상실 사고 시에 사고를 대처하기 위한 차량 및 장비들이 출입하기 위하여 출입구를 개방한다. 이러한 도어 시스템은 스파이럴 형태의 도어를 가질 수 있으며, 개방에서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거나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 보관고에 보관 중인 설비는 발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극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인 설비이므로 필요 시 신속한 출동이 요구된다. 다만, 통합 보관고의 전원 상실이 발생하거나 외부 요인이 발생된다면 도어의 개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설비의 출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5943호(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2010.06.16.)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 상황과 같이 제한된 상황에서 전기없이 최소한의 인력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시스템은 원전 시설물에 배치되는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전 시설물에 지지되는 구동축 및 상호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축에 감기거나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원전 시설물로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될 때에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인력(人力)을 기반으로 상기 구동축이 상기 원전 시설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이탈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이탈클립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가 상기 원전 시설물의 게이트를 폐쇄한 상태일 때에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과 상기 도어 플레이트가 상기 원전 시설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 하측에는 상기 구동축이 상기 원전 시설물로부터 이탈될 때에 상기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클립은 일단이 상호 연결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이 상기 요철을 따라 요동치며 소정의 각도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 각각은 상면과 하면에 소정의 경사를 갖는 빗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빗면 각도와 동일한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이 상기 이탈클립을 따라 낙하할 때에 상기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저장 공간 사이에는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가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과 상기 도어 플레이트가 상기 원전 시설물로부터 이탈될 때에 인력을 기반으로 상기 저장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시스템은 무전원 도어 개방 및 저장이 가능하여 전원상실과 같은 사고 발생 시에 차량의 출동을 방해하는 상황을 방지하고 차량 출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적절한 사고 대응을 통해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도어 플레이트와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이탈클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이탈클립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분리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도어 플레이트와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지지클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0)은 원전 환경에 건설된 통합 보관고에 적용되어 통합 보관고의 게이트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시스템(10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0)은 다양한 재난 환경에서 긴급 출동이 요구되는 시설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시스템(100)은 구동축(110), 도어 플레이트(120), 연결부(130) 및 이탈클립(1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구동축(110)은 통합 보관고에 형성된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축(110)은 이탈이 용이한 방식으로 통합 보관고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축(110)은 도시되지 않은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도어 플레이트(120)는 도어 시스템의 도어를 형성한다. 이러한 도어 플레이트(12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120)가 적층되는 것에 의해 도어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상단에 위치한 도어 플레이트(120)는 구동축(110)에 연결된다. 이때, 각각의 도어 플레이트(120)는 각각의 상면과 하면이 빗면 형태, 예컨대 상향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도어 플레이트(120)의 양 측벽에는 연결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121)는 도어 플레이트(120)의 양 측벽에서 소정의 길이로 도출된다.
그리고 연결부(130)는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120)에 각각 마련된 연결돌기(121)를 상호 연결하여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12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예컨대, 연결부(130)는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한 쌍의 도어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연결돌기(121)를 상호 연결하는 방식에 의해 도어 플레이트(120)들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는 체인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30)는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120)를 상호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면, 연결부(130)의 종류 및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도어 시스템(100)은 통합 보관고에 전력이 공급되는 환경에서 전력을 기반으로 한 동력원에 의해 구동축(110)이 회전하게 마련된다. 이에,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120)는 동력원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110)에 감겨지거나 구동축(110)으로부터 풀려나올 수 있다.
즉, 구동축(110)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최상부에 위치한 도어 플레이트(120)로부터 하부에 위치한 도어 플레이트(120) 순으로 구동축(110)에 감겨지게 된다. 이때, 도어 플레이트(120) 각각이 빗면을 갖도록 마련되는 바, 상호 간섭없이 구동축(110)에 감겨질 수 있다. 또한, 구동축(110)이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사전에 감겨진 도어 플레이트(120)가 구동축(110)으로부터 풀려나오며 게이트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에, 도어 시스템(100)은 전력이 공급되는 환경에서 동력원을 기반으로 게이트의 개폐를 수행하며 통합 보관고 내에 위치한 차량 및 장비들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만, 원전 환경에서는 전원상실 사고 등과 같이 전력이 차단되는 긴급 상황이 발생될 수 있고, 이때 통합 보관고로 제공되는 전력 역시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이탈클립(140)은 구동축(110)에 연결되어 구동축(110)이 통합 보관고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예컨대, 이탈클립(14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통합 보관고에 연결된 구동축(110)에 체결되어 인력(人力)을 기반으로 구동축(110)이 통합 보관고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이탈클립(140)은 견고한 재질로 마련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클립(140)은 일단이 연결된 한 쌍의 프레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탈클립(140)은 상호 연결된 상부 프레임(141) 및 하부 프레임(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141)과 하부 프레임(142)의 연결부위는 곡률을 갖도록 마련되어, 이탈클립(140)이 구동축(110)에 연결될 때에 구동축(110)을 지지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42)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요철(14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클립(140)은 통합 보관고로 제공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전력을 기반으로 게이트의 개방이 어려울 때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분리 공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지지클립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분리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0)은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인력을 기반으로 통합 보관고에 게이트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어 플레이트(120) 하부에 마련된 커버(10, 도 1참조)를 지면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커버(10)의 하부 공간에는 도어 플레이트(120)의 저장 공간(30)이 형성되어 있다. 저장 공간(30)은 도어 플레이트(120)의 하부로부터 통합 보관고의 내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때, 저장 공간(30)의 경사 각도는 도어 플레이트(120)의 하부 빗면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들은 도어 플레이트(120)를 지지하고 있는 구동축(110)의 양측에 이탈클립(140)이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들은 저장 공간(30)의 경사방향으로 이탈클립(140)을 끌어내린다. 이에, 통합 보관고에 지지된 구동축(110)이 통합 보관고로부터 이탈되고, 도어 플레이트(120)의 최하부에 위치한 도어 플레이트(120)가 저장 공간(30)의 경사면에 안착된다.
이후, 구동축(110)은 자중을 기반으로 이탈클립(140)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하부 프레임(141)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구동축(110)은 상하부 방향으로 요동치며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120)는 각각이 저장 공간(30)의 경사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착하게 된다.
이때, 이탈클립(140)을 붙잡고 있는 작업자 이외의 작업자가 도어 플레이트(120)가 저장 공간(30)의 경사면에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120)가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도어 플레이트(120)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도어 시스템(100)은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인력을 기반으로 게이트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향후 재난 상황이 완료된 이후에 구동축(110)을 다시 통합 보관고에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도어 시스템(100)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시스템은 무전원 도어 개방 및 저장이 가능하여 전원상실과 같은 사고 발생 시에 차량의 출동을 방해하는 상황을 방지하고 차량 출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적절한 사고 대응을 통해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도어 시스템
110: 구동축
120: 도어 플레이트
130: 연결부
140: 이탈클립

Claims (7)

  1. 원전 시설물에 배치되는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전 시설물에 지지되는 구동축;
    상호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축에 감기거나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원전 시설물로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될 때에 작업자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노출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의 인력(人力)에 의해 상기 구동축이 상기 원전 시설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축을 상기 원전 시설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도어 플레이트가 원전 시설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이탈클립을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 하측에는
    상기 구동축이 상기 원전 시설물로부터 이탈될 때에 상기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도어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클립은
    일단이 상호 연결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이 상기 요철을 따라 요동치며 소정의 각도로 낙하되도록 하는 도어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 각각은
    상면과 하면에 소정의 경사를 갖는 빗면이 형성되는 도어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빗면 각도와 동일한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이 상기 이탈클립을 따라 낙하할 때에 상기 복수 개의 도어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도어 시스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저장 공간 사이에는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가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과 상기 도어 플레이트가 상기 원전 시설물로부터 이탈될 때에 인력을 기반으로 상기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도어 시스템.



KR1020190135263A 2019-10-29 2019-10-29 도어 시스템 KR102196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263A KR102196610B1 (ko) 2019-10-29 2019-10-29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263A KR102196610B1 (ko) 2019-10-29 2019-10-29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610B1 true KR102196610B1 (ko) 2020-12-30

Family

ID=7408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263A KR102196610B1 (ko) 2019-10-29 2019-10-29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6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0089A (ja) * 1990-06-26 1992-02-26 Bunka Shutter Co Ltd 押上げ式パネルシヤツタ装置
KR200154820Y1 (ko) * 1995-11-23 1999-08-16 조정현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JP2003082956A (ja) * 2001-09-11 2003-03-19 Yasuhiro Fujita 地下施設浸水防水シャッター装置
JP2008184813A (ja) * 2007-01-30 2008-08-14 Shinko Kenzai Kk 起倒式水防装置
KR100965943B1 (ko) 2009-08-26 2010-06-24 우생윤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0089A (ja) * 1990-06-26 1992-02-26 Bunka Shutter Co Ltd 押上げ式パネルシヤツタ装置
KR200154820Y1 (ko) * 1995-11-23 1999-08-16 조정현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JP2003082956A (ja) * 2001-09-11 2003-03-19 Yasuhiro Fujita 地下施設浸水防水シャッター装置
JP2008184813A (ja) * 2007-01-30 2008-08-14 Shinko Kenzai Kk 起倒式水防装置
KR100965943B1 (ko) 2009-08-26 2010-06-24 우생윤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1645A (en) Projector ceiling lift
US6412221B1 (en) Catalyst door system
US11345571B2 (en) Rack-and-pinion elevator system having a protective roof
JP5086147B2 (ja) 養生装置付きゴンドラ
KR102196610B1 (ko) 도어 시스템
KR20140007723A (ko)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PL194047B1 (pl) Winda, zwłaszcza z linowym krążkiem trakcyjnym i urządzenie do tymczasowego ograniczenia jazdy kabiny lub przeciwwagi windy, zwłaszcza z linowym krążkiem trakcyjnym
US11358702B2 (en) Aircraft security doo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door handling
CN106382444A (zh) 挂装结构及显示设备
JP5596233B2 (ja) 風力発電装置の作業壇、及び風力発電装置
JP5843495B2 (ja) ホームドア装置
US6788755B2 (en) Safe lift and process for transporting canisters of spent nuclear fuel
KR102196609B1 (ko) 도어 시스템
JP2019086376A (ja) ブローアウト装置
EP0572744A1 (en) Fire door for an elevator
CN209023991U (zh) 一种防入侵的轿厢电梯通风装置
JP2568807B2 (ja) 可動閉鎖壁付き搬入口装置
US4618177A (en) Automatic latching mechanism for overhead doors
JP2002509062A (ja) 建設用エレベータのための安全装置
JP2010090660A (ja) 建物
JP3224812U (ja) 防水シート式浸水防止用設備
JP4266432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盤保守・点検用防護用具
JPS6299564A (ja) プラント用パツケ−ジに一時的に接続される支援パツケ−ジ
CN113349615B (zh) 智能物流终端
CN214298822U (zh) 一种升降机吊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