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943B1 -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 Google Patents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943B1
KR100965943B1 KR1020090079324A KR20090079324A KR100965943B1 KR 100965943 B1 KR100965943 B1 KR 100965943B1 KR 1020090079324 A KR1020090079324 A KR 1020090079324A KR 20090079324 A KR20090079324 A KR 20090079324A KR 100965943 B1 KR100965943 B1 KR 10096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vable shaft
main housing
closed
hydraul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생윤
Original Assignee
우생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생윤 filed Critical 우생윤
Priority to KR102009007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943B1/ko
Priority to PCT/KR2010/005684 priority patent/WO2011025251A2/ko
Priority to US13/392,284 priority patent/US8677561B2/en
Priority to CN201080037788.3A priority patent/CN102844515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2003/228Arrangements where the end of the closer arm is sliding in a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9Wrap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플한 구조로 가공이 용이하고, 도어 개방 및 닫힘 시 각각 오일을 안내하는 독립된 유압회로를 구비하여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화재시에 오일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며 하부가 폐쇄된 통 형상의 메인 하우징; 메인 하우징을 상부 및 하부 챔버로 구획하며 내측에 오일이 장입되고 고정베인이 중앙으로 돌출된 댐퍼 하우징;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 일단이 커버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을 통하여 메인 하우징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샤프트; 가동샤프트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베인과 함께 댐퍼 하우징 내부를 제1 및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가동베인; 도어의 닫힘시에 가동샤프트를 초기설정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 및 가동샤프트와 가동베인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댐핑 기능을 제공하는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압회로, 방화 도어, 댐핑, 스파이럴 스프링

Description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Auto Door Closer Unit}
본 발명은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플한 구조로 가공이 용이하고, 도어 개방 및 닫힘 시 각각 오일을 안내하는 유압회로를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내부에 장입된 오일의 외부 누출을 차단할 수 있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클로우저(door closer)는 방화문과 같이 대형 철문 등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후 놓으면 자동으로 원위치로 서서히 복원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폐쇄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 도어 클로우저는 도어의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구조가 다양하다. 그 중 하나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446221호에는 부피를 콤팩트하게 형성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기계적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유량조절용 유압회로와 체크밸브의 유압회로가 함께 연동하여 동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 용하였으며, 아울러, 2개의 유압회로가 격리되지 않은 상태로 함께 구성되어 있어 상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구조로 인해 제품의 동작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샤프트가 외부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조절기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화재발생 등의 경우 외부열에 의해 씰링이 손상되어 장입된 오일이 누출되기 쉽고 누출된 오일에 의해 화재가 방화도어 이면에 전이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 개방 및 닫힘 시 각각 오일을 안내하는 댐핑용 유압회로 및 도어의 닫힘속도제어용 유압회로를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도어의 닫힘속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장입된 오일의 외부 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방화용 도어에 적합한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력변화치가 가장 낮은 스파이럴 스프링을 채용하여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며, 도어 닫힘 시에는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 닫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 부품의 구조를 심플하게 하고 부품수를 최소화하며 각 부품간에 조립이 용이한 착탈 결합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가공 및 조립성이 우수하고, 전체적으로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댐퍼 역할을 하는 가동베인과 가동샤프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모듈화함에 의해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시에 부품간의 마찰로 인하여 금속 칩이 발생하는 요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금속 칩에 의해 유압회로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며 하부가 폐쇄된 통 형상의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부 및 하부 챔버로 구획하도록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오일이 장입되고 고정베인이 중앙으로 돌출된 댐퍼 하우징; 상기 댐퍼 하우징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 일단이 상기 커버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을 통하여 메인 하우징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도어의 회전력이 외부로 연장된 일단에 인가되는 가동샤프트; 상기 가동샤프트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베인과 함께 상기 댐퍼 하우징 내부를 제1 및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가동베인; 상기 하부 챔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시에 응력이 저장되고 도어의 닫힘시에 가동샤프트를 초기설정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가동샤프트와 가동베인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댐핑 기능을 제공하는 댐핑수단; 및 상기 가동샤프트와 가동베인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댐핑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댐핑력을 미리 설정된 각도 구간마다 감소시켜 도어의 닫힘 속도를 각도별로 제어하기 위한 각도별 닫힘속도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가동베인에 구비된 제1 및 제2 챔버를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압회로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시에 제1 유압회로를 개방하고, 도어의 닫힘 시에 제1 유압회로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며 하부가 폐쇄된 통 형상의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부 및 하부 챔버로 구획하도록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오일이 장입되고 고정베인이 중앙으로 돌출된 댐퍼 하우징; 상기 댐퍼 하우징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 일단이 상기 커버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을 통하여 메인 하우징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도어의 회전력이 외부로 연장된 일단에 인가되는 가동샤프트; 상기 가동샤프트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베인과 함께 상기 댐퍼 하우징 내부를 제1 및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가동베인; 상기 하부 챔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시에 응력이 저장되고 도어의 닫힘시에 가동샤프트를 초기설정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가동샤프트와 가동베인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댐핑 기능을 제공하는 댐핑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챔버 사이를 유동할 수 있는 오일 유동량을 제어하여 도어의 닫힘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닫힘속도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가동베인에 구비된 제1 및 제2 챔버를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압회로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시에 제1 유압회로를 개방하고, 도어의 닫힘 시에 제1 유압회로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제1 및 제2 챔버 사이를 유동할 수 있는 오일 유동량을 제어하여 도어의 닫힘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닫힘속도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닫힘속도제어수단은 상기 가동베인의 전단과 후단으로부터 가동샤프트의 중앙부를 통하여 제1 및 제2 챔버를 유동할 수 있는 제2 유압회로; 및 상기 제2 유압회로에 설치되어 제2 유압회로의 오일 유동량을 제어하여 도어의 닫힘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유압회로는 상기 가동베인의 전단으로부터 가동샤프트의 중앙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연통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와 다른 높이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동베인의 후단으로부터 가동샤프트의 중앙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챔버와 연통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로를 수직으로 연통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조절볼트는 상기 가동샤프트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유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가동베인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챔버를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압회로; 및 상기 제1 유압회로 내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시 유로를 개방하고, 도어 닫힘 시 유로를 폐쇄하는 볼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상기 가동샤프트와 가동베인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댐핑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댐핑력을 미리 설정된 각도 구간마다 감소시켜 도어의 닫힘 속도를 각도별로 제어하기 위한 각도별 닫힘속도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별 닫힘속도제어수단은 댐퍼 하우징의 바닥면에 원호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속구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속홈이 형성되지 않은 구간은 도어의 닫힘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구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상기 고정베인의 일측에 댐퍼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도어의 초기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초기위치 세팅용 돌기; 및 상기 고정베인 타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개방각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샤프트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베어링; 및 상부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샤프트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턴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메인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샤프트에 고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탄성력을 보유한 상태로 상기 메인 하우징에 설치하여 도어 닫힘 시 최종 닫힘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방향으로 미리 설정한 각도만큼 회전한 상태로 상기 메인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문틀 상단에 설치되며 레일을 구비하는 레일부재; 일단이 상기 가동샤프트의 상부에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을 레일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롤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샤프트의 상부는 2절 링크를 통하여 문틀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고정브라켓을 사용하여 도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클로저 유닛은 도어의 측면에 버터플라이 형태의 경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터플라이 형태의 경첩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도어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경첩과,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기 메인하우징으로부터 상/하부로 연장된 가동샤프트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이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 문틀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2경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문틀 상단에 설치되며 레일홈을 구비하는 레일부재; 도어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어가 개방된 경우 도어에 자동 복귀력을 제공하는 도어 클로우저 유닛; 일단이 상기 도어 클로우저 유닛의 가동샤프트의 상부에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을 레일부재의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연결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도어에 설치되며 하부가 폐쇄된 통 형상의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부 및 하부 챔버로 구획하도록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오일이 장입되고 고정베인이 중앙으로 돌출된 댐퍼 하우징; 상기 댐퍼 하우징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 일단이 상기 커버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을 통하여 메인 하우징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도어의 회전력이 링크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일단에 인가되는 가동샤프트; 상기 가동샤프트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베인과 함께 상기 댐퍼 하우징 내부를 제1 및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가동베인; 상기 하부 챔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시에 응력이 저장되고 도어의 닫힘시에 가동샤프트를 초기설정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및 상기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가동샤프트와 가동베인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댐핑 기능을 제공하는 댐핑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가동베인에 구비된 제1 및 제2 챔버를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압회로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시에 제1 유압회로를 개방하고, 도어의 닫힘 시에 제1 유압회로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있어서는, 도어 클로우저 유닛 작동 시 오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방화도어에 설치 시 외부로 누출되는 오일에 의해 발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댐퍼 하우징과 가동샤프트를 통해, 도어가 개방될 때와 닫힐 때 제1 및 제2 챔버 간을 이동하는 오일의 유압회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체크밸브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속도조절볼트를 통해 도어의 닫힘 속도를 더욱 정밀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개별 부품의 구조를 심플하게 하고 부품수를 최소화하며 각 부품간에 조립이 용이한 착탈 결합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가공 및 조립성이 우수하고, 전체적으로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응력변화치가 가장 낮은 스파이럴 스프링을 채용하여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며, 도어 닫힘 시에는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 닫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도어 클로우저 유닛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메인 하우징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a는 댐퍼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표시된 도어 닫힘 속도의 지연구간(D1,D2,D3) 및 가속구간(S1,S2,S3)에 대응하는 도어의 개방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가동샤프트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우저 유닛(1)은 메인 하우징(10), 스파이럴 스프링(30), 댐퍼 하우징(50), 가동샤프트(70) 및 커버(9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하우징(10)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 된 대략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스파이럴 스프링(30), 댐퍼 하우징(50) 및 가동샤프트(70)가 삽입 설치되고, 개방된 상단은 커버(90)에 의해 폐쇄된다. 이와 같이 메인 하우징(10)은 하단이 폐쇄되어 있어 내부 또는 댐퍼 하우징에 충진된 비압축성 오일이 메인 하우징(10) 하단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0)은 내측 하부에 스파이럴 스프링(30)이 삽입되는 하부 챔버(10a)가 마련되고, 내측 상부에는 댐퍼 하우징(50)이 삽입되는 상부 챔버(10b)가 마련된다. 이 경우, 상부 챔버(10b)는 하부 챔버(10a) 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제1 및 상부 챔버(10a,10b)의 직경차이로 인해 제1 및 제제 공간부(10a,10b)의 경계에는 댐퍼 하우징(50)의 하단이 안착되는 단턱(10c)이 형성된다.
하부 챔버(10a)는 내주면에 양측에 대칭 형성된 한쌍의 스프링 고정홈(11a,1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한쌍의 스프링 고정홈(11a,11b)을 둔 이유는 도어(D)의 열림 방향에 따라 우측타입 및 좌측타입 스파이럴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 챔버(10a)에는 소정의 오일을 주입하여 스파이럴 스프링(30)의 윤활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스파이럴 스프링(30)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30)은 도어(D)의 개방 시에 압축되고 도어(D)의 닫힘시에 가동샤프트(70)를 초기설정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턴 스프링으로서 스파이럴 스프 링(30)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토션 스프링과 같이 가동샤프트(70)를 초기설정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부 챔버(10b)는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댐퍼 하우징 고정홈(13)이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커버(90)의 외주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4)가 형성된다.
메인 하우징(10)은 바닥면에 하부 베어링(B1)이 삽입되는 베어링 삽입홈(15a)이 형성되고, 베어링 삽입홈(15a) 중앙에는 단차를 두고 가동샤프트(70)의 하단이 안착되는 축받이홈(15b)이 형성된다.
메인 하우징(10)은 후방에 고정브라켓(20)이 결합되며, 이 고정브라켓(20)을 통해 도어(D)에 고정 설치된다. 도어 클로우저 유닛(1)을 도어(D)에 설치하는 경우, 먼저 고정브라켓(20)을 고정나사로 도어 벽에 고정한 후, 고정브라켓(20)에 메인 하우징(10)을 조립한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체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파이럴 스프링(30)은 우측 타입(Right hand)으로 가장 바깥쪽의 일단(31)이 한쌍의 스프링 고정홈(11a,11b) 중 좌측의 스프링 고정홈(11a)에 고정되고, 가장 내측의 타단(33)이 후술하는 가동샤프트(70)의 하부(70c)에 형성된 슬릿(79, 도 6a 참조)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30)은 도어(D)를 개방한 후 도어(D)에 가해졌던 외력이 없어지면 탄성력에 의해 가동샤프트(70)를 도어 닫힘 위치로 회전시킨다.
한편, 스파이럴 스프링(30)은 종래의 도어 클로우저에 사용되었던 토션 스프링이나 압축 스프링에 비해 가장 낮은 탄성계수를 갖고 있어, 사용자가 큰 힘을 들 이지 않고 도어(D)를 열 수 있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댐퍼 하우징(50)는 상단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높이는 상부 챔버(10b)의 높이 보다 다소 낮게 형성된다. 댐퍼 하우징(50)은 바닥면 중앙에 가동샤프트(7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구멍(51)이 형성되며, 관통구멍(51) 주변을 따라 가동샤프트(70)의 중앙부(50b)가 거치되는 제1 거치홈(53)이 형성된다.
또한 댐퍼 하우징(50)은 내주면 일측에 중앙을 향해 돌출된 고정베인(54)이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베인(54)은 선단을 따라 제1 패킹(54a)이 결합되며, 제1 패킹(54a)은 가동샤프트(70)의 중앙부(70b)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고정베인(54)은 후술하는 회전베인(74)과 함께 댐퍼 하우징(50) 내부를 제1 및 제2 챔버(C1,C2)로 구획한다.
더욱이 댐퍼 하우징(50)은 고정베인(54) 일측에 댐퍼 하우징(50) 내주면을 따라 도어(D)의 초기위치 세팅용 돌기(55)가 형성되며, 고정베인(54) 타측에는 도어(D)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개방각제한부재(56)가 설치된다. 개방각제한부재(56)는 일측(56a)이 고정베인(54)에 인접하게 설치된 고정돌기(52)에 의해 고정되며, 타측(65b)이 회전베인(74)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절곡 형성된다. 이 경우, 초기위치 세팅용 돌기(55)의 선단(55a)과 개방각제한부재(56)의 타측(56b) 사이의 각도는 원하는 도어(D)의 개방각도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댐퍼 하우징(50)은 외주를 따라 다수의 댐퍼 하우징 고정홈(13)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57)가 형성된다. 다수의 결합돌기(57)는 고정홈(13)에 결합됨에 따라 가동샤프트(70)의 회전 시 댐퍼 하우징(50)이 상부 챔버(10b) 내에서 가동샤프트(7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댐퍼 하우징(50)은 바닥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가속홈(58a,58b,58c)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가속홈(58a,58b,58c)은 도어 닫힘 시 오일이 제1 챔버(C1)에서 제2 챔버(C2)로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가속홈(58a,58b,58c)은 도어 닫힘 시 닫힘 속도를 가속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가속구간(S1,S2,S3)이며, 개방각제한부재(56)와 제1 가속홈(58a) 사이 구간(D1)과 제1 내지 제3 가속홈(58a,58b,58c) 사이의 구간(D2,D3)은 닫힘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 지연구간(D1,D2,D3)에 해당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가속구간(S1,S2,S3) 및 제1 내지 제3 지연구간(D1,D2,D3)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도어(D)의 개방각도에 각각 대응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 가속구간(S1,S2,S3)과 제1 내지 제3 지연구간(D1,D2,D3)은 교대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도어(D)의 닫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닫히는 도어(D)에 의해 사람이 다치거나 도어(D)가 문틀에 강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개방각도 가속구간 지연구간
180도~100도 - D1
100~70도 S1 -
70도~50도 - D2
50도~13도 S2 -
13도~5도 - D3
5도~0도 S3 -
상기 구간 들 중에서 제3 지연구간(D3)은 도어(D)와 문틀(D1) 사이에 손이 끼었을 경우 이를 보호하기 위해 도어(D)의 닫힘 속도를 최종적으로 지연하며, 제3 가속구간(S3)은 도어(D)의 래치(미도시)가 문틀(D1)에 설치된 록킹홈(미도시)에 록킹될 수 있도록 가속하는 구간이다.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3 가속홈(58a,58b,58c)은 그 길이 및 폭을 도어의 종류에 따라 달리 형성하여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가속 및 지연구간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도어 클로우저 유닛의 동작 설명을 하면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댐퍼 하우징(50)은 상단 내주를 따라 커버(90)의 하단이 거치되는 제2 거치홈(59)이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가동샤프트(70)는 중앙부(70b) 내측에 제1 및 제2 유로(71a,71b)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유로(71a,71b)는 가동샤프트(7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가동샤프트(70)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연결유로(71c)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 및 제2 유로(71a,71b)와 연결유로(71c)는 도어(D)의 닫힘시에 도어의 닫힘 속도를 결정하는 제2유압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가동샤프트(70)는 상부(70a)의 선단으로부터 연결유로(71c) 까지 가동샤프트(70)의 축방향을 따라 가동샤프트(70)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속도조절볼트(73)가 설치된다. 이 경우, 속도조절볼트(73)는 가동샤프트(70) 내에서 다수의 O-링(O1)에 의해 씰링되어 오일의 누출을 방지한다.
속도조절볼트(73)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속도조절볼트(73)의 선단(73c)이 연결유로(71c)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연결유로(71c)를 통과하는 오일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도어(D)의 닫힘 속도를 조절한다. 이 경우, 속도조절볼트(73)는 헤드부(73a)에는 드라이버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조절홈(73b)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드라이버 등의 툴을 이용하여 손쉽게 속도조절볼트(7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유압회로와 속도조절볼트(73)는 도어의 닫힘속도제어수단을 형성한다.
더욱이, 가동샤프트(70)는 중앙부(70b) 일면에 회전베인(74)이 댐퍼 하우징(50)의 내주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돌출 형성된다. 회전베인(74)은 선단을 따라 제2 패킹(74a)이 결합되며, 제2 패킹(74a)은 댐퍼 하우징(5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회전베인(74)은 가동샤프트(70)와 함께 회전 시 제1 및 제2 챔버(C1,C2) 내의 오일을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기 위한 체크밸브(77)를 갖는다. 이 체크밸브(77)는 도어 개방 시 제2 챔버(C2) 내의 오일이 제1 챔버(C1)로 이동이 가능한 반면, 도어 닫힘 시 제1 챔버(C1) 내의 오일이 제2 챔버(C2)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한다. 이에 따라 도어 닫힘 시 제1 챔버(C1)의 오일은 제1 유로(71a), 연결유로(71c) 및 제2 오일유로(71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 챔버(C2)로 이동한다.
상기 체크밸브(77)는 회전베인(74)을 관통하는 오일통과구멍(75)과, 오일통과구멍(75)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일통과구멍(75)을 개폐하는 볼밸브(77a)를 포함한다. 이 경우, 오일통과구멍(75)은 제1 챔버(C1)와 연통하는 제1 입구(75a)가 제2 챔버(C2)와 연통하는 제2 입구(75b) 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1 입구(75a) 측에는 볼밸브(77a)가 오일통과구멍(75)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핀(78)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베인(74)을 관통하는 오일통과구멍(75)은 제1유압회로를 형성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체크밸브(77)가 볼밸브(77a)를 이용한 타입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판밸브와 같이 주지된 다른 형태의 체크밸브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동샤프트(70)는 댐퍼 하우징(50)의 관통구멍(51)에 삽입될 때, O-링(O2)에 의해 씰링되어 댐퍼 하우징(50) 내의 오일이 메인 하우징(10)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가동샤프트(70)는 하부(70c)에 스파이럴 스프링(30)의 타단(53)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슬롯(79)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동샤프트(70)와 댐퍼 하우징(50)은 상호 결합하는 경우, 제1 및 제2 패킹(54a,74a)을 통해 제1 및 제2 챔버(C1,C2) 간의 씰링이 이루어지며, O-링(O2)을 통해 가동샤프트(70) 및 댐퍼 하우징(50) 간의 씰링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씰링처리가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90)는 메인 하우징(10) 상부의 개방단을 폐쇄함과 동시에, 다수의 O-링(O3,O4,O5)을 통해 메인 하우징(10), 댐퍼 하우징(50) 및 가동샤프트(70) 간의 씰링이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90)는 가동샤프트(70)의 상부(70a)가 관통하는 관통구멍(91)이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91) 주변의 베어링 삽입홈(92)에 설치되는 베어링(B2)을 통해 가동샤프트(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더욱이 커버(90)는 가동샤프트(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구멍(91) 내주를 따라 이탈방지턱(93)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하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이 이루어진다.
먼저, 메인 하우징(10)의 베어링 삽입홈(15a)에 베어링(B1)을 압입한 후, 스파이럴 스프링(30)을 하부 챔버(10a)에 삽입한다. 이 경우, 스파이럴 스프링(30)의 일단(31)은 메인 하우징(10)의 스프링 고정홈(11a)에 고정한다.
이어서, 가동샤프트(70)의 외주에 O-링(O2,O5)을 장착하고, 가동샤프트(70)의 회전베인(74)에 제2 패킹(74a)을 장착한다. 아울러 댐퍼 하우징(50)의 고정베인(54)에 제1 패킹(54a)을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가동샤프트(70)를 댐퍼 하우징(50)의 관통구멍(51)에 결합하여 모듈화한다. 이때 가동샤프트(70)의 회전베인(74)은 댐퍼 하우징(50) 상의 소정 위치에 표시된 초기 세팅위치로 위치시킨다.
계속해서, 가동샤프트(70)와 댐퍼 하우징(50)의 결합체를 메인 하우징(10)의 상부 챔버(10b)로 1차 삽입한다. 이 경우, 가동샤프트(70)의 고정슬릿(79)에 스파이럴 스프링(30)의 타단(33)을 삽입하여 가동샤프트(70)와 스파이럴 스프링(30)을 상호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가동샤프트(70)와 댐퍼하우징(50)의 결합체를 약 180~200도 회전시켜 댐퍼하우징(50)의 고정베인(54) 센터와 메인 하우징(10)의 센터가 일치하는 지점에서 가동샤프트(70)와 댐퍼 하우징(50)의 결합체를 메인 하우징(10)에 압입하여 가동샤프트(70)의 하부(70c)를 베어링(B1)에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도어(D)의 마지막 닫힘력 즉, 도어(D)가 닫힐 때 도어(D)의 래치(미도시)가 문틀(D1)의 록킹홈(미도시)으로 삽입될 수 있는 힘을 갖는다.
그 후, 고점성 및 비압축성 오일을 댐퍼 하우징(50)의 제1 및 제2 챔버(C1,C2)에 적정량을 주입한다. 이와 같은 오일 주입은 커버(90)조립이 완료된 후 진공 상태에서 행하여도 무방하다.
이어서, O-링(O3,O4)을 커버(90)의 외주에 각각 장착하고 베어링(B2)을 베어링 삽입홈(92)에 삽입한 후, 커버(90)를 메인 하우징(10)에 나사 결합한다. 이때, 커버(90)를 메인 하우징(10)에 완전히 결합하면 커버(10)의 하부면은 댐퍼 하우징(50)의 상부 내측과 밀착 결합하여 댐퍼 하우징(50) 내부의 실링이 이루어진다.
그 후, 잉여기름을 제거한 후 스피드 조절볼트(73)를 가동샤프트(70) 상단에 조립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우저 유닛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우저 유닛의 작동을 첨부된 도 5a, 도 5b, 도 7 내지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어(D)가 닫힌 상태 즉, 초기 상태는 회전베인(74)이 초기위치 세팅용 돌기(55)의 선단(55a)에 일면이 밀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도어(D)를 열면, 도 7과 같이, 가동샤프트(70)의 회전베인(7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제2 챔버(C2) 내의 오일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오일통과구멍(75)의 제2 입구(75b) 주변의 오일이 제2 입구(75b)로 유입되면서 볼밸브(77a)를 제1 입구(75a) 측으로 밀어 자연스럽게 제1 입구(75a)가 개방된다.
계속해서 도어(D)를 개방하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회전베인(74)이 개방각제한부재(56)를 향해 시계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고, 제2 챔버(C2)의 오일은 오일통과구멍(75)을 통해 제1 챔버(C1)로 이동한다. 이와 함께 스파이럴 스프링(30)은 도어(D)의 개방각도가 점차 커질수록 탄성력이 증가한다.
도어(D)를 완전히 개방하면, 회전베인(74)은 개방각제한부재(56)의 타측(56b)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문을 통과한 사용자가 도어(D)를 놓으면, 도어(D)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서 스파이럴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D)가 윈위치로 복귀하기 시작한다.
회전베인(7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챔버(C1) 내의 오일이 오일통과구멍(75)의 제1 입구(75a)로 유입되고, 이 유압에 의해 볼밸브(77a)는 오일통과구멍(75)의 제2 입구(75b)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제1 챔버(C1) 내의 오일은 가동샤프트(70)의 중앙부(70b) 내측을 관통하는 제1 유로(71a), 연결유로(71c) 및 제2 유로(71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 챔버(C2)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어(D)가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적정속도로 닫힌다.
도 5b와 같이, 도어(D)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180도)에서 도어(D)가 완전히 닫힐 때(0도) 까지, 지연구간(D1,D2,D3)과 가속구간(S1,S2,S3)을 통과하면서 속도의 완급이 이루어진다. 회전베인(74)이 가속구간(S1,S2,S3)을 통과하는 동안, 제1 챔버(C1)의 오일은 제1 유로(71a), 연결유로(71c) 및 제2 유로(71b)는 물론, 제1 내지 제3 가속홈(58a,58b,58c)을 통해서도 제2 챔버(C2)로 이동하므로 도어(D)의 닫힘 속도가 증가한다.
도어(D)는 마지막 가속구간(S3)에 의해 도어(D)의 래치가 문틀(D1)의 록킹홈으로 삽입되는 닫힘력을 제공받으며, 이 경우 가속구간(S3)의 시작지점은 도 5b와 같이 도어(D)가 약 5도에 위치하는 지점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우저 유닛(1)은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슬라이딩 아암 타입 및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링크 아암 타입 도12a 및 도12b 의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도어(D)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아암 타입으로 사용하는 경우, 문틀(D1) 상단에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레일부재(110)와, 일단이 도어 클로우저 유닛(1)의 가동샤프트(70) 상부(70a)에 연결되는 링크부재(130)를 구비한다. 이 경우, 링크부재(130)의 타단은 롤러부재(120)를 통해 레일부재(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롤러부재(120)는 레일부재(110)의 레일홈(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부재(121)와, 링크부재(130)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2 부재(123)와, 제1 및 제2 부재(121,123)를 상호 체결하는 연결나사(12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아암 타입은 도어 개방 및 닫힘 시 링크부재(130)가 선회와 동시에 레일부재(110)에 연결된 상태로 슬라이딩 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링크 아암 타입으로 사용하는 경우, 문틀(D1) 상단에 고정된 브라켓(211)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는 제1 링크로드(210)와, 일단이 제1 링크로드(210)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도어 클로우저 유닛(1)의 가동샤프트(70) 상부(70a)에 고정 연결되는 제2 링크로드(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링크로드(210)는 종동링크로서 역할을 하며, 제2 링크로드(230)는 구동링크로서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로드(210,230)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절첩되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펼쳐진다.
도 10b 및 도 11b에 표시된 미설명 부호 H는 도어와 문틀을 연결하는 경첩을 나타내고, 251 및 253은 스페이서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도어의 상측에 설치하고 슬라이딩 아암 타입 및 링크 아암 타입의 링크장치를 통하여 상부 문틀과 상호 연결된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의 설치 브라켓 구조를 변형하여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터플라이 형태의 경첩 구조로 구현하여 도어(D)와 문틀(D1)의 측면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도어 클로저 유닛은 도어(D)의 측면에 버터플라이 형태의 경첩(310,320)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 클로저 유닛(100)은 메인 하우징(100a)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하우징(100a)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가동샤프트(70)의 상부(70a) 및 하부(70d)가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어 클로저 유닛(100)은 상기 메인 하우징(100a)의 일측으로부터 도어(D)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며 보강판 역할을 하는 연장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01)로부터 제1경첩(310)이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 도어(D)의 측면에 고정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경첩(310)에는 다수의 고정나사를 사용하여 도어에 고정될 수 있게 나사구멍(3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경첩(310)과 대응하여 구비되는 제2경첩(320)은 각각 상기 메인 하우징(100a)으로부터 상/하부로 연장된 가동샤프트(70)의 상부(70a) 및 하부(70d)에 회전억제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결합부(324,325)를 구비하며, 상부 및 하부 결합부(324,325)는 연결부(3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 결합부(324,325)는 각각 제1경첩(310)과 유사하게 일측에 문틀(D1)과 접촉하는 평면의 접촉면이 형성되고, 접촉면의 일측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 문틀(D1)의 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 경첩(321,322)을 구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부 및 하부 경첩(321,322)에는 다수의 고정나사를 사용하여 문틀(D1)에 고정될 수 있게 나사구멍(3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23)에도 문틀(D1)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구멍(327)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어 클로저 유닛(100)은 도 12d와 같이 도어(D)와 문틀(D1)의 측면에 버터플라이 형태의 제1 및 제2 경첩(310,320)으로 설치되며, 이 경우 제1 및 제2 경첩(310,320)은 도어(D)와 문틀(D1) 사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되지 않는다.
즉, 설치시에 제1 경첩(310)과 연장부(101) 사이에 도어(D)의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제2 경첩(320)의 상부 및 하부 경첩(321,322)과 상부 및 하부 결합부(324,325) 사이에 문틀(D1)의 일측단부가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그 결과, 제1경첩(310)은 메인 하우징(100a)으로부터 보강판 역할을 하는 연장부(101)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경첩(320)도 상부 및 하부 경첩(321,322)과 상부 및 하부 결합부(324,325)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풍과 같은 강한 외력이 도어(D)에 인가될지라도 힘이 분산되어 큰 내구성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있어서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작동 시 오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방화도어에 설치 시 외부로 누출되는 오일에 의해 발화의 원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댐퍼 하우징(50)과 가동샤프트(70)를 통해, 도어(D)가 개방될 때와 닫힐 때 제1 및 제2 챔버 간을 이동하는 오일의 유압회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체크밸브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피드 조절볼트(73)를 통해 도어(D)의 닫힘 속도를 더욱 정밀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성을 심플하게 함으로써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응력변화치가 가장 낮은 스파이럴 스프링(30)을 채용하여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도어(D)를 개방할 수 있으며, 도어 닫힘 시에는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 닫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운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회전운동 직접제어형의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에 관한 것으로, 건자재용 도어 특히, 방화도어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메인 하우징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는 댐퍼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 표시된 도어 닫힘 속도의 지연구간 및 가속구간에 대응하는 도어의 개방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a 및 도 6b는 가동샤프트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도어 개방 구간에 따라 체크밸브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슬라이딩 아암 타입으로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링크 아암 타입으로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을 버터플라이 경첩 타입으로 구성한 사시도, 제1경첩의 평면도, 제2경첩의 부분 단면도 및 도어에 대한 설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100a: 메인 하우징 10a: 하부 챔버
10b: 상부 챔버 11a,11b: 스프링 고정홈
13: 댐퍼 하우징 고정홈 30: 스파이럴 스프링
50: 댐퍼 하우징 51: 관통구멍
53: 제1 거치홈 54: 고정베인
54a: 제1 패킹 55: 초기위치 세팅용 돌기
56: 개방각제한부재 57: 결합돌기
58a,58b,58c: 제1-3 가속홈 59: 제2 거치홈
70: 가동샤프트 71a: 제1 유로
71b: 제2 유로 71c: 연결유로
73: 속도조절볼트 74: 회전베인
74a: 제2 패킹 75: 오일통과구멍
77: 체크밸브 77a: 볼밸브
78: 핀 90: 커버
20: 고정브라켓 100: 도어 클로우저 유닛
101: 연장부 110: 레일부재
120: 롤러부재 130: 링크부재
210: 브라켓 210,230: 링크로드
310: 제1경첩 320: 제2경첩
D: 도어 D1: 문틀
H: 경첩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도어에 설치되며 하부가 폐쇄된 통 형상의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부 및 하부 챔버로 구획하도록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오일이 장입되고 고정베인이 중앙으로 돌출된 댐퍼 하우징;
    상기 댐퍼 하우징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
    일단이 상기 커버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을 통하여 메인 하우징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도어의 회전력이 외부로 연장된 일단에 인가되는 가동샤프트;
    상기 가동샤프트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베인과 함께 상기 댐퍼 하우징 내부를 제1 및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가동베인;
    상기 하부 챔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시에 압축되고 도어의 닫힘시에 가동샤프트를 초기설정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가동샤프트와 가동베인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댐핑 기능을 제공하는 댐핑수단; 및
    상기 가동샤프트와 가동베인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댐핑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댐핑력을 미리 설정된 각도 구간마다 감소시켜 도어의 닫힘 속도를 각도별로 제어하기 위한 각도별 닫힘속도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가동베인에 구비된 제1 및 제2 챔버를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압회로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시에 제1 유압회로를 개방하고, 도어의 닫힘 시에 제1 유압회로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18. 도어에 설치되며 하부가 폐쇄된 통 형상의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부 및 하부 챔버로 구획하도록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오일이 장입되고 고정베인이 중앙으로 돌출된 댐퍼 하우징;
    상기 댐퍼 하우징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
    일단이 상기 커버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을 통하여 메인 하우징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도어의 회전력이 외부로 연장된 일단에 인가되는 가동샤프트;
    상기 가동샤프트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베인과 함께 상기 댐퍼 하우징 내부를 제1 및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가동베인;
    상기 하부 챔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시에 압축되고 도어의 닫힘시에 가동샤프트를 초기설정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가동샤프트와 가동베인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댐핑 기능을 제공하는 댐핑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챔버 사이를 유동할 수 있는 오일 유동량을 제어하여 도어의 닫힘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닫힘속도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가동베인에 구비된 제1 및 제2 챔버를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압회로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시에 제1 유압회로를 개방하고, 도어의 닫힘 시에 제1 유압회로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19. 문틀 상단에 설치되며 레일홈을 구비하는 레일부재;
    도어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어가 개방된 경우 도어에 자동 복귀력을 제공하는 도어 클로우저 유닛;
    일단이 상기 도어 클로우저 유닛의 가동샤프트의 상부에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을 레일부재의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연결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클로우저 유닛은
    도어에 설치되며 하부가 폐쇄된 통 형상의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부 및 하부 챔버로 구획하도록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오일이 장입되고 고정베인이 중앙으로 돌출된 댐퍼 하우징;
    상기 댐퍼 하우징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
    일단이 상기 커버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을 통하여 메인 하우징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도어의 회전력이 링크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일단에 인가되는 가동샤프트;
    상기 가동샤프트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베인과 함께 상기 댐퍼 하우징 내부를 제1 및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가동베인;
    상기 하부 챔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시에 압축되고 도어의 닫힘시에 가동샤프트를 초기설정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및
    상기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가동샤프트와 가동베인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댐핑 기능을 제공하는 댐핑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가동베인에 구비된 제1 및 제2 챔버를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압회로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시에 제1 유압회로를 개방하고, 도어의 닫힘 시에 제1 유압회로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별 닫힘속도제어수단은 댐퍼 하우징의 바닥면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가속구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가속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속홈이 형성되지 않은 구간은 도어의 닫힘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구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21. 제17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챔버 사이를 유동할 수 있는 오일 유동량을 제어하여 도어의 닫힘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닫힘속도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속도제어수단은
    상기 가동베인의 전단과 후단으로부터 가동샤프트의 중앙부를 통하여 제1 및 제2 챔버를 유동할 수 있는 제2 유압회로; 및
    상기 제2 유압회로에 설치되어 제2 유압회로의 오일 유동량을 제어하여 도어의 닫힘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23. 삭제
KR1020090079324A 2009-08-26 2009-08-26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KR10096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24A KR100965943B1 (ko) 2009-08-26 2009-08-26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PCT/KR2010/005684 WO2011025251A2 (ko) 2009-08-26 2010-08-25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US13/392,284 US8677561B2 (en) 2009-08-26 2010-08-25 Automatic door closure unit
CN201080037788.3A CN102844515B (zh) 2009-08-26 2010-08-25 自动门板闭合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24A KR100965943B1 (ko) 2009-08-26 2009-08-26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943B1 true KR100965943B1 (ko) 2010-06-24

Family

ID=4237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324A KR100965943B1 (ko) 2009-08-26 2009-08-26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77561B2 (ko)
KR (1) KR100965943B1 (ko)
CN (1) CN102844515B (ko)
WO (1) WO201102525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610B1 (ko) 2019-10-29 2020-12-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도어 시스템
KR102196609B1 (ko) 2019-10-29 2020-12-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도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6562B (zh) * 2013-07-12 2015-12-09 秦源 螺旋滚动传动机构
DE14841578T1 (de) 2013-09-09 2016-10-20 Yale Security Inc. Vorrichtung zum Anschliessen eines Türschliessers oder Bedieners an einer Pendeltür
US10480229B2 (en) * 2017-02-13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tary hinge assembly
DE102017112176A1 (de) * 2017-06-02 2018-12-06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Türanordnung
CN107191085A (zh) * 2017-06-26 2017-09-22 济南大学 一种门用缓冲器
CN107762327B (zh) * 2017-11-20 2023-01-13 苏州升德精密电气有限公司 一种旋转弹脱开闭器
EP3802369A4 (en) * 2018-05-30 2022-04-06 MGB Rentals PTY, Ltd. HINGE SYSTEM FOR THE LID OF A WASTE CONTAINER
CN112576675A (zh) * 2020-12-30 2021-03-30 赣州禾盈通用零部件有限公司 一种旋转阻尼器
CN113104401B (zh) * 2021-03-03 2022-12-09 广州旺朝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菜品智能保鲜设备
CN113057455B (zh) * 2021-04-12 2022-11-15 江西白莲智能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储物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2927A (en) * 1975-04-19 1976-10-27 Tokico Ltd Door clos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5968A (en) * 1936-07-06 1938-05-03 Kaywood Corp Door check
US2493116A (en) * 1946-08-19 1950-01-03 G G Bakewell Door closer
US2490258A (en) * 1948-05-24 1949-12-06 G G Bakewell Hydraulically controlled hinge
US2707796A (en) * 1949-09-01 1955-05-10 Otis J Hawks Door check and closer
US3357040A (en) * 1965-03-10 1967-12-12 Cardinal Of Adrian Door closer
JPS5724839Y2 (ko) * 1977-03-19 1982-05-29
ES295448Y (es) * 1986-06-25 1987-09-01 Zeljko Bebek Vuksic Bisagra de resorte con amortiguador, perfeccionada
JPH0446470Y2 (ko) * 1986-11-10 1992-10-30
JPH0681873B2 (ja) * 1990-05-23 1994-10-1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ー
KR100202260B1 (ko) * 1997-03-04 1999-06-15 우생윤 자동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US6253417B1 (en) * 1999-09-30 2001-07-03 Architectural Builders Hardware Mfg., Inc. Door holder and stop with retaining means for holding a door shut while in a closed position
US6629334B2 (en) * 2000-01-11 2003-10-07 Yueh-Nu Huang Structure of a hinge
KR200190952Y1 (ko) 2000-03-16 2000-08-01 김성기 도어 클로우저용 자동 스토퍼
KR100446221B1 (ko) 2002-04-10 2004-08-30 우생윤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DE20215983U1 (de) * 2002-10-17 2003-02-27 Lin Wu Shiong Türschließer
US7155776B2 (en) * 2003-06-10 2007-01-02 I-One Innotech Co., Ltd. Multipurpose hinge apparatus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KR100580588B1 (ko) 2004-07-26 2006-05-16 세원정밀주식회사 회전식 오일 댐퍼
CN1280512C (zh) * 2003-12-31 2006-10-18 世元精密株式会社 旋转型油阻尼器
KR100761904B1 (ko) * 2006-08-08 2007-09-28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건자재용 도어의 자동복귀 힌지장치
US7865999B2 (en) * 2007-02-02 2011-01-11 Yale Security Inc. Door motion controller assembly
KR20080078317A (ko) 2007-02-23 2008-08-27 박철수 도어클로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2927A (en) * 1975-04-19 1976-10-27 Tokico Ltd Door clo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610B1 (ko) 2019-10-29 2020-12-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도어 시스템
KR102196609B1 (ko) 2019-10-29 2020-12-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도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44515B (zh) 2015-08-19
US8677561B2 (en) 2014-03-25
WO2011025251A3 (ko) 2011-06-30
US20120144623A1 (en) 2012-06-14
CN102844515A (zh) 2012-12-26
WO2011025251A2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943B1 (ko)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JP3001645B2 (ja) 自動ドアクローザーユニット
US8191206B1 (en) Hinge for cold rooms, swing gates or the like
KR20100021598A (ko) 도어 힌지
US7356878B2 (en) Door closer
US8875345B2 (en) Hinge
GB2506236A (en) Hydraulically damped hinge
CN101389881B (zh) 气动的阻尼器
KR20040014236A (ko) 피벗 작용 댐퍼
CN103225458A (zh) 阻尼自动定心铰链机制
KR20060093868A (ko) 유압식 힌지가 장착된 자동닫힘 도어
KR100580588B1 (ko) 회전식 오일 댐퍼
JPH0711836A (ja) 中折れドア
KR20130132017A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WO2020109755A1 (en) Door closer
KR20060093556A (ko) 이중실린더를 가진 유압식 힌지
KR102190978B1 (ko) 공압식 도어클로저
KR100483884B1 (ko) 도어경첩
JPH01247681A (ja) ドアチエツク
RU2466259C2 (ru) Петля для дверцы
KR20210047774A (ko) 공압식 도어클로저
KR20240050705A (ko) 도어 개폐용 플로어 힌지
KR20010036540A (ko) 유압식 완충용 경첩
KR100776731B1 (ko) 유압식 자동폐문 경첩
RU2417298C2 (ru) Шарнирн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самозакрывающихся дверей или т.п., в частности стеклянных дверей или т.п., и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такую структур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