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755B1 - 연속 주조 주형의 3차원 진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 주형의 3차원 진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755B1
KR102195755B1 KR1020167002252A KR20167002252A KR102195755B1 KR 102195755 B1 KR102195755 B1 KR 102195755B1 KR 1020167002252 A KR1020167002252 A KR 1020167002252A KR 20167002252 A KR20167002252 A KR 20167002252A KR 102195755 B1 KR102195755 B1 KR 10219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vibration
frequency
face plates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047A (ko
Inventor
귄터 라이트너
마르틴 뮈흘바흘러
요제프 바칭어
Original Assignee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2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3Means for oscillat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into moulds having oscilla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3Means for oscillating the moulds
    • B22D11/0535Means for oscillating the moulds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6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mould osc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1/00Alloys based on lead
    • C22C11/02Alloys based on lead with an alkali or an alkaline earth metal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 설비의 주형(1)을 진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주조 분말에 의해 스트랜드의 윤활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트랜드가 진동 자국을 덜 가질 수 있는, 연주 설비의 주형(1)을 진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상기 주형(1)의 적어도 하나의 광면판(3, 3a, 3b)이 이러한 광면판(3, 3a, 3b)의 폭 방향(H)으로 수평으로
Figure 112016008562631-pct00052
주파수로 진동하고 - 이 경우
Figure 112016008562631-pct00053
의 식이 적용되며 -, 그리고 상기 광면판(3)의 궤적 곡선의 모든 지점에 있어서 일반식(I)의 속도 값이 0보다 큼으로써 해결된다.

Description

연속 주조 주형의 3차원 진동, 방법 및 장치{THREE-DIMENSIONAL OSCILLATION OF A CONTINUOUS CASTING MOULD,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연주 설비의 주형(연속 주조 주형으로도 언급됨)을 진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편으로는 연주 설비의 주형을 진동시키기 위한 방법과 관련이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주형은 2개의 협면판(narrow side plate) 및 2개의 광면판(broad side plate)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주형은 고정 지지 구조물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01
로 진동한다.
본 발명은 다른 한 편으로는 연주 설비의 주형을 진동시키기 위한 장치와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장치는
-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주형 공동부(mould cavity)를 갖는 주형 - 이 경우 상기 주형은 2개의 협면판 및 2개의 광면판을 포함하고 -; 및
- 고정 지지 구조물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주형을 진동시키기 위한 제 1 진동 장치를 구비한다.
오래전부터 연속 주조 시에는, 주형을 1차원으로 고정 지지 구조물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한 편으로는 상기 주형 내에 형성되는 스트랜드(strand)가 액체 강(liquid steel) 위에 제공되는 주조 분말에 의해 윤활 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상기 주형의 동판(copperplate)에 스트랜드가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된다. 주형의 1차원 진동에 의해, 스트랜드는 소위 진동 자국(oscillation mark)들을 갖고, 이러한 진동 자국들은 횡 균열(transverse crack), 주조 분말 삽입, 국부적으로 변경되는 열 방출 또는 적합하지 않은 입자로 인해 스트랜드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 밖에 공지된 바에 따르면, 연속 주조 공정 또는 스트랜드 품질은 최적화된 주조 분말 삽입에 의해 또는 주형 진동의 최적화된 파라미터(진폭, 주파수, 사인파 또는 비사인파 곡선 모양)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JP 2000042691 A호에는 또한, 슬래브 주형의 광면판을 원형 또는 타원형 진동으로 세팅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이 갖는 단점은, 광면판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수직 방향으로 진동 주파수와 같음)로 진동하고, 그리고 원형 진동 시 수직 및 수평 진동에 대한 진폭이 동일하게 높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밖에도 궤적 곡선(locus curve)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다. 상기와 같은 방법 또는 장치는 복잡성이 높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이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선행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그리고 주조 분말에 의해 스트랜드의 윤활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트랜드가 진동 자국을 덜 가질 수 있는, 연주 설비의 주형을 진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2차원 진동을 위해 공지된 장치들보다 더 단순해야 한다.
상기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된 방법과 관련하여, 상기 주형의 적어도 하나의 광면판이 이러한 광면판의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02
)로 진동하고 - 이 경우
Figure 112016008562631-pct00003
의 식이 적용되며 -, 그리고 상기 광면판의 궤적 곡선의 모든 지점에 있어서 속도 값(
Figure 112016008562631-pct00004
)이 0보다 큼으로써 해결된다.
2차원 진동 패턴(궤적 곡선) 평가 시 놀랍게도,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에서 진동 주파수가 상이할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로 인해 진동 주기 동안 궤적 곡선의 길이가 연장되고, 이는 주조 분말의 윤활 작용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스트랜드 및 광면판이 매우 균일한 하중을 받는다. 그 밖에도 주형 광면판의 궤적 곡선이 사점(즉, 속도 값이 동일하게 0인, 즉
Figure 112016008562631-pct00005
인 사점)들을 갖지 않는 경우가 매우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면판의 방향 전환이 방지된다.
2차원 진동 시에는,
Figure 112016008562631-pct00006
에 의해 수평 방향
Figure 112016008562631-pct00007
및 수직 방향
Figure 112016008562631-pct00008
으로의 속도 성분(velocity component)을 갖는 속도 값(
Figure 112016008562631-pct00009
)이 산출된다.
-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10
)가 상기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11
)의 정수배인, 즉 n ∈ {2, 3, 4, 5 ...}를 갖는
Figure 112016008562631-pct00012
이거나, 또는
-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13
)가 상기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14
)의 정수배인, 즉 n ∈ {2, 3, 4, 5 ...}를 갖는
Figure 112016008562631-pct00015
인 경우,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진동의 간단한 동기화가 가능하다.
이 경우 주형의 광면판은 수직 방향으로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16
)로 진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 1 주파수는 수평 진동의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17
)의 정수배(예: 2배, 3배, 4배 등)이거나,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18
)가 수직 진동의 상기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19
)의 정수배이다.
- 상기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20
)가 상기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21
)의 정수배가 아닌, 즉 n ∈ {2, 3, 4, 5 ...}를 갖는
Figure 112016008562631-pct00022
이거나, 또는
- 상기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23
)가 상기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24
)의 정수배가 아닌, 즉 n ∈ {2, 3, 4, 5 ...}를 갖는
Figure 112016008562631-pct00025
인 경우, 진동 주기 동안 궤적 곡선의 최대 큰 길이가 달성된다.
(광면판들을 포함하여) 전체 주형의 수직 방향으로의 진동에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 주형의 적어도 하나의 광면판, 바람직하게는 2개의 광면판은 이러한 광면판의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즉, 스트랜드의 폭 방향으로, 이 경우 상기 폭 방향은 주조 방향 및 두께 방향에 법선임) 진동하게 된다. 광면판의 궤적 곡선의 모든 지점에 있어서 속도 값이 > 0, 즉
Figure 112016008562631-pct00026
인 경우로 제한함으로써, 상기 광면판의 이동 경로가 평탄하고, 사점을 갖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이 때문에 스트랜드의 윤활에 특히 불리한 주형의 방향 전환이 방지된다. 따라서 주조 분말의 품질이 동일한 경우, 스트랜드의 더욱 효과적인 윤활 작용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한 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윤활 작용이 동일할 경우 주조 속도 - 그리고 이로 인해 생산성도 -가 증가될 수 있다.
입방형 진동 주파수는 에너지 소비와 관련되기 때문에, 수평 진동의 에너지 소비는 제 1 주파수(fV)가 제 2 주파수(fH)보다 클 경우, 즉 fV > fH인 경우에 특히 낮다.
이에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수직 진동의 진폭이 수평 진동의 진폭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가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이로 인해서도 수평 진동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주형의 "비틀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형의 2개의 광면판이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즉 기본적으로 180°의 위상차(phase difference)를 갖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인하여 주형의 질량 밸런스(mass balance)가 향상된다.
물론 주형의 2개의 광면판이 같은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 즉 기본적으로 0°의 위상차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직선 또는 곡선 주형에서 사용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수직으로 진동하는 주형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수평으로 진동하는 주형(소위, 수평 설비)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도입부에 언급된 장치에 의해서도 해결되며, 이 경우 주형의 적어도 하나의 광면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제 2 진동 장치가 인접한 협면판들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광면판은 인접한 협면판들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조화로운 진동 유도는 재차 조화로운 진동을 의미하기 때문에, 광면판이 이러한 광면판의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조화롭게 진동하는 경우 상기 광면판의 평탄한 궤적 곡선이 달성된다. 마찬가지로 수직 진동도 조화로운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직 방향으로의 주형 진동을 위한 제 1 장치에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광면판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협면판에 대해 주형의 적어도 하나의 광면판의 수평 진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진동 장치를 갖는다.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주형 진동에 의해, 주조 속도가 동일할 경우 스트랜드에 대한 주조 분말의 윤활 작용이 향상된다.
2개의 광면판 각각에 폭 방향으로 수평 진동을 위한 고유한 제 2 진동 장치가 할당된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주형의 질량 밸런스가 개선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의 주형 진동을 위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제 1 진동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 1 탄성 부재 및 제 1 진동 구동 장치를 갖는 경우가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제 1 탄성 부재 및 제 1 진동 구동 장치는 각각 주형과 고정 지지 구조물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진동 장치의 간단한 구조는, 주형이 주형 프레임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진동 장치가 제 2 진동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에 얻어지며, 한 편으로 이때 상기 제 2 진동 구동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주형 프레임과 광면판에 연결되어 있다.
광면판들의 수평 진동을 위한 에너지 소비는, 제 2 탄성 부재가 주형 프레임과 광면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광면판이 제 2 진동 구동 장치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주형 프레임에 대해 폭 방향으로 수평 진동하도록 세팅될 수 있는 경우에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제 2 탄성 부재는 스프링 힌지(spring hinge) 또는 나사선 스프링(helical spring)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특히, 크기가 더 작은 스트랜드 포맷(빌릿 포맷(billet format) 또는 블룸 포맷(bloom format))의 경우, 제 1 및/또는 제 2 진동 구동 장치가 전기 선형 모터(electric linear motor)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힘 밀도가 높기 때문에, 상기 전기 선형 모터는 압전 액추에이터(piezoactuator)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크기가 더 큰 포맷의 경우, 제 1 및/또는 제 2 진동 구동 장치가 유압 실린더와 같은 유압 선형 모터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수평 진동을 위한 마찰 그리고 이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광면판들 및 인접한 협면판들은 바람직하게는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소결 금속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면들을 갖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 진동에 대한 마찰 및 전력 소비는, 제 1 광면판이 고정측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제 2 광면판이 주형 프레임의 이완측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완측은 유압 클램핑 유닛을 통해서 상기 고정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력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압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램핑력은, 예컨대 클램핑 유닛을 상이한 크기의 유압으로 적용하여 유압식으로 간단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들 및 특징들은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에 대한 설명:
도 1은 1차원(1D) 진동 시 광면판의 이동 경로(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2b는 각각 2차원 진동 시 광면판의 이동 경로(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4는 각각 2차원 진동 시 광면판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경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5-8은 주형을 2차원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다양한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도 5는 비스듬히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 도 6은 비스듬히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 도 7은 주형 프레임의 이완측 없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주형의 광면과 관련하여 진동 장치를 세부도로 도시한 도면).
도 1에는, 1차원 진동 시 수직으로 진동하는 주형의 광면에 대한 선행 기술에 따른 궤적 곡선(이동 경로로도 언급됨)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궤적 곡선에는, 주형의 이동 방향 - 그리고 마찬가지로 이에 따른 광면판의 이동 방향 - 이 각각 상사점(OT)과 하사점(UT)에서 전환되는 것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두 사점(OT 및 UT)에서는 주형의 속도(v)에
Figure 112016008562631-pct00027
의 식이 적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두 사점(OT 및 UT)에서 주형의 가속도는 특히 최댓값을 갖는다(예컨대, y-방향으로 경로(s)가
Figure 112016008562631-pct00028
이면, 속도(v) 및 가속도(a)는
Figure 112016008562631-pct00029
Figure 112016008562631-pct00030
임).
Figure 112016008562631-pct00031
을 갖는 높은 가속도(a)에 의해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두 사점(OT 및 UT)에서의 높은 마찰력에 의해, 스트랜드 쉘 내지 마찬가지로 주형 내에서 스트랜드의 충분한 윤활 작용을 보장해야 하는 주조 분말은 상기 두 사점에서 특히 높은 하중을 받는다
도 2a, 2b는 주형의 2차원으로 진동하는 광면판(광면판의 폭 방향으로 수직 진동 및 수평 진동)의 이동 경로를 보여준다(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아님). 도 2a는 진동의 시간적 시퀀스(가로 좌표: 초 단위)를 보여주고; 도 2b는 이동 경로의 궤적 곡선을 보여준다. 수직 V-방향 및 수평 H-방향 이동 경로에는 각각 다음의 식이 적용된다(단위는 각각 ㎜임):
Figure 112016008562631-pct00032
도 2b에 나타난 궤적 곡선은 2개의 뚜렷한 사점(OT, UT)을 가지며, 그 결과 스트랜드는 상기 사점들에서 높은 하중을 받는다.
도 3a, 3b는 연주 슬래브 단면적에 대한 주형 광면의 이동 경로 및 궤적 곡선을 보여주는데, 이때 상기 연주 슬래브 단면적은 본 발명에 따라 2차원으로 진동하게 된다(즉, 광면판의 폭 방향에서 수직 및 수평으로). 진동 파라미터들은 fH = 33.3/60Hz, fV = 100/60Hz, AH = 2㎜, AV = 4㎜ 및
Figure 112016008562631-pct00033
이다. 상기 궤적 곡선에서는 이동 경로가 사점들을 갖지 않고, 따라서 상기 이동 경로가 적합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도 4a, 4b는 주형의 광면판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이동 경로를 보여준다. 진동 파라미터는 fH = 170/60Hz, fV = 100/60Hz, AH = 2㎜, AV = 4㎜ 및
Figure 112016008562631-pct00034
이다. 상기 궤적 곡선에서도 이동 경로가 사점들을 갖지 않고, 이 때문에 도 3a, 3b에 비해 이동 경로가 훨씬 더 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fH/fV fV/fH 모두 정배수 아님). 따라서 상기 이동 경로가 가장 적합하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주형의 광면판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경로들이, 상사점과 하사점 모두에서 주형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1차원 수직 진동 시보다 훨씬 더 평탄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경로들은 방향 전환을 갖는 뚜렷한 사점들을 갖지 않는다. 더 평탄한 이동 경로에 의해서는 주조 분말의 윤활 작용이 향상되거나 주형과 스트랜드 사이 마찰이 감소된다.
도 5에는 슬래브 포맷과 관련한 연주 설비의 주형(1)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된 지지 구조물, 지지 구조물과 주형 프레임(6) 사이 스프링 힌지들 그리고 주형(1)의 수직 진동을 위한 제 1 진동 구동 장치를 포함한) 주형의 수직 진동을 위한 진동 장치는 도시되지 않았다. 수직 주형 진동 개념은 1921년 (Van Ranst) 이후 이미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유압 진동 장치들은 1962년 이후 (Koopers)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주형의 수직 진동을 위한 장치들은 문헌, 예를 들면, The Making, Shaping and Treating of Steel(MSTS), Casting Volme, Kap. 15 (특히, 15.6.8.1-15.6.8.4), AISE, 2003에도 공지되어 있다.
도 8에는 제 2 진동 장치(5)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주형(1)의 2개의 광면판(3, 3a 3b) 및 협면판(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주형 프레임(6)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 1 진동 장치에 의해 수직 진동(V)으로 이동한다. 2개의 협면판(2) 및 2개의 광면판(3)은 직사각형 주형 공동부(4)를 형성한다(본 발명에서는 주형 공동부(4)가 정사각인지 아닌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또한, 특히 광면판은 협면판보다 길지 않아야 함). 각 하나씩의 제 2 진동 장치(5a, 5b)에 의해 광면(3a, 3b)은 수직 방향(V)으로 진동하는 주형 프레임(6)에 대해 광면판(3a, 3b)의 폭 방향(H)으로(즉, 스트랜드의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진동하게 된다. 도 7에 따르면, 유압 실린더(9)로서 형성된 제 2 진동 구동 장치(7)는 주형 프레임(6)에서 지지되고, 스프링 힌지로 주조된 제 2 탄성 부재(8)에 접촉된다. 상기 스프링 힌지를 통해서 광면판(3)은 지지판(10) 및 주형(1)의 수조(11)와 함께 스트랜드의 두께 방향에 횡 방향으로 수평 진동(H)으로 이동된다. 광면판(3)에 인접한 협면판(2)들은 수평 방향으로 진동되진 않지만, 주형 프레임(6)과 함께 수직 방향(V)으로 진동한다. 광면판과 협면판(3, 2)의 마찰을 적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판들은 각각 소결 금속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면(12)들을 갖는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유압 클램핑 실린더를 포함한 클램핑 유닛(15)은, 광면판과 협면판 사이에서 지나치게 높은 마찰이 일어나더라도, 주형 공동부(4)가 유체 밀봉 방식으로 밀폐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5 및 도 8의 경우, 각각의 광면판(3a, 3b)에 고유한 제 2 진동 방향(5)이 할당되어 있더라도(그리고 이에 따라 2개의 광면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더라도), 마찬가지로 단 하나의 단일 제 2 진동 구동 장치(5)를 통해 2개의 광면판(3a, 3b)의 수평 진동 이동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각 하나씩의 제 2 진동 구동 장치(5)는 폭 방향으로 광면판(3)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10)을 통해 광면판(3a 또는 3b)과 연결되어 있는 수조(11)와 주형 프레임(6)의 이완측(14) 또는 고정측(13) 사이 지나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11)는 지지 구조물(6)에 지지되어 있지 않거나(예컨대, 수조(11)와 지지 구조물(6) 사이 간극이 제공될 수 있음), 수조와 지지 구조물 사이에는 슬라이딩 면(12)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6에는 비스듬히 아래에서 바라본 주형(1)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주형(1) 내에 형성되는, 그러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트랜는 다수의 풋 롤러(foot roller)(16)에 의해 지지된다.
도 7은 주형 프레임(6)의 이완측(14)(도 6 참조)을 갖지 않는 주형(1)의 예시를 보여준다. 상기 주형(1)의 이완측(14)은 고정측(13)을 갖는 2개의 클램핑 유닛(15)에 의해 클램핑된다. 이 경우 클램핑력은 유압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자세하게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은 기술된 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남 없이 상기 예들로부터 다른 변형예들을 추론할 수 있다
1: 주형
2: 협면판
3, 3a, 3b: 광면판
4: 주형 공동부
5, 5a, 5b: 제 2 진동 장치
6: 주형 프레임
7: 제 2 진동 구동 장치
8: 제 2 탄성 부재
9: 유압 실린더
10: 지지판
11: 수조
12: 슬라이딩 면
13: 고정측
14: 이완측
15: 클램핑 유닛
16: 풋 롤러
f: 주파수
H: 수평 폭 방향
OT: 상사점
UT: 하사점
V: 수직 방향

Claims (18)

  1. 연주 설비의 주형(1)을 진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주형(1)이 2개의 협면판(narrow side plate)(2) 및 2개의 광면판(broad side plate)(3, 3a, 3b)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주형(1)이 고정 지지 구조물에 대해 수직 방향(V)으로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35
    )로 진동하는, 주형 진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형(1)의 적어도 하나의 광면판(3, 3a, 3b)이 이러한 광면판(3, 3a, 3b)의 폭 방향(H)으로 수평으로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36
    )로 진동하고, 이 경우
    Figure 112016008562631-pct00037
    의 식이 적용되며, 그리고
    상기 광면판(3)의 궤적 곡선(locus curve)의 모든 지점에 있어서 속도 값(
    Figure 112016008562631-pct00038
    )이 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39
    )가 상기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40
    )의 정수배인, 즉 n ∈ {2, 3, 4, 5 ...}를 갖는
    Figure 112016008562631-pct00041
    이거나, 또는
    - 상기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42
    )가 상기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43
    )의 정수배인, 즉 n ∈ {2, 3, 4, 5 ...}를 갖는
    Figure 112016008562631-pct0004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45
    )가 상기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46
    )의 정수배가 아닌, 즉 n ∈ {2, 3, 4, 5 ...}를 갖는
    Figure 112016008562631-pct00047
    이거나, 또는
    - 상기 제 2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48
    )가 상기 제 1 주파수(
    Figure 112016008562631-pct00049
    )의 정수배가 아닌, 즉 n ∈ {2, 3, 4, 5 ...}를 갖는
    Figure 112016008562631-pct000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가 상기 제 2 주파수보다 큰, 즉
    Figure 112016008562631-pct0005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진동의 진폭이 수평 진동의 진폭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1)의 2개의 광면판(3, 3a, 3b)이 수평 방향(H)으로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1)의 2개의 광면판(3, 3a, 3b)이 수평 방향(H)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면판(3, 3a, 3b)이 이러한 광면판의 폭 방향(H)으로 수평으로 조화롭게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방법.
  9. 연주 설비의 주형(1)을 진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주형 공동부(mould cavity)(5)를 갖는 주형(1) - 이 경우 상기 주형(1)은 2개의 협면판(2) 및 2개의 광면판(3, 3a, 3b)을 포함하고 -; 및
    - 고정 지지 구조물에 대해 수직 방향(V)으로 상기 주형(1)을 진동시키기 위한 제 1 진동 장치를 구비하는; 주형 진동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장치가 상기 주형(1)의 적어도 하나의 광면판(3, 3a, 3b)을 인접한 협면판(2)들에 대해 광면판(3, 3a, 3b)의 폭 방향(H)으로 수평 진동시키기 위한 제 2 진동 장치(5)를 구비하며, 상기 광면판(3, 3a, 3b)은 인접한 상기 협면판(2)들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2개의 제 2 진동 장치(5a, 5b)를 포함하고, 제 2 진동 장치 각각이 폭 방향(H)으로 상기 주형(1)의 광면(3, 3a, 3b)의 수평 진동을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1)이 주형 프레임(6)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진동 장치(5, 5a, 5b)가 제 2 진동 구동 장치(7)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진동 구동 장치(7)는 한 편으로는 수직 방향(V)으로 진동하는 상기 주형 프레임(6)과 상기 광면판(3)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진동 장치(5, 5a, 5b)가 상기 주형 프레임(6)과 광면판(3, 3a, 3b) 사이에 배치된 제 2 탄성 부재(8)를 포함하고, 상기 광면판(3, 3a, 3b)은 상기 제 2 진동 구동 장치(7)에 의해, 수직 방향(V)으로 진동하는 상기 주형 프레임(6)에 대해 광면판(3, 3a, 3b)의 폭 방향(H)으로 수평 진동으로 세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8)가 스프링 힌지(spring hin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진동 구동 장치(7)가 선형 모터(linear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모터가 유압 선형 모터 또는 전기 선형 모터(electric linear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면판(3, 3a, 3b)과 주형 프레임(6) 사이에 지지판(10) 및 수조(11)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장치.
  17.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면판(3, 3a, 3b)과 인접한 협면판(2)들이 슬라이딩 면(12)들을 갖고, 상기 슬라이딩 면들은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광면판(3a)이 고정측(13)과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제 2 광면판(3b)이 상기 주형 프레임(6)의 이완측(14)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완측(14)은 클램핑 유닛(15)을 통해서 상기 고정측(13)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진동 장치.
KR1020167002252A 2013-06-27 2014-06-13 연속 주조 주형의 3차원 진동, 방법 및 장치 KR102195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425/2013 2013-06-27
ATA50425/2013A AT514495B1 (de) 2013-06-27 2013-06-27 Zweidimensionale Oszillation einer Stranggießkokille
PCT/EP2014/062303 WO2014206761A2 (de) 2013-06-27 2014-06-13 Zweidimensionale oszillation einer stranggiesskok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047A KR20160027047A (ko) 2016-03-09
KR102195755B1 true KR102195755B1 (ko) 2020-12-29

Family

ID=5098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252A KR102195755B1 (ko) 2013-06-27 2014-06-13 연속 주조 주형의 3차원 진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013499B1 (ko)
KR (1) KR102195755B1 (ko)
AT (1) AT514495B1 (ko)
WO (1) WO201420676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8279A1 (de) * 2021-12-22 2023-06-29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Kokille einer stranggies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434B2 (ja) * 1989-07-25 1997-02-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設備の鋳型振動装置
US5579824A (en) * 1993-11-29 1996-12-03 Kawasaki Steel Corporation Continuous casting process with vertical mold oscillation
JP2857050B2 (ja) * 1993-12-29 1999-02-10 川崎製鉄株式会社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水平振動鋳型
DE19718235A1 (de) * 1997-04-30 1998-11-05 Schloemann Siemag Ag Stranggießkokille zum Gießen von Brammen insbesondere Dünnbrammen
JP2000042691A (ja) 1998-07-31 2000-02-15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用鋳型の振動方法
WO2005009638A1 (ja) * 2003-07-24 2005-02-03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マグネシウム合金薄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DE102004020130A1 (de) * 2004-04-24 2005-11-17 Sms Demag Ag Vorrichtung für die Aufnahme einer Stranggießkokille auf einem Hubtisch zum Gießen von flüssigen Metallen, insbesondere von flüssigen Stahlwerkstof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14495B1 (de) 2016-05-15
KR20160027047A (ko) 2016-03-09
WO2014206761A3 (de) 2015-04-23
EP3013499B1 (de) 2017-08-09
CN105517729A (zh) 2016-04-20
WO2014206761A2 (de) 2014-12-31
AT514495A1 (de) 2015-01-15
EP3013499A2 (de)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41590B (zh) 一种装配式叠合楼板成型制备方法
CN205128852U (zh) 一种振动消失模铸造专用振动机架
KR102195755B1 (ko) 연속 주조 주형의 3차원 진동, 방법 및 장치
ATE171655T1 (de)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giessen von metallbändern
KR100740546B1 (ko) 금속, 특히 강의 연속 주조 장치
BE1022846A9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snel wisselen van de stempelplaat
JPS63199643A (ja) 印刷装置
CN206689406U (zh) 一种振动去砂眼装置
KR101594654B1 (ko) 연주기용 주형 진동장치
JP4272158B2 (ja) 多スランド鋳造設備において長尺製品を形成するための金属、特に鋼材、を連続鋳造するための装置
CN105517729B (zh) 连铸结晶器的二维的振荡
DE59804207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rammen verschiedener formate
JP2585434B2 (ja) 連続鋳造設備の鋳型振動装置
CN2723052Y (zh) 连铸结晶器振动装置
CN213971721U (zh) 一种多功能混凝土用震动装置
JP2010188375A (ja) 金属の連続鋳造用鋳型設備及び連続鋳造方法
CN1065790C (zh) 结晶器装置
RU27618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и деформации плоских заготовок
KR20010080508A (ko) 가변 진동 변수에 의해 연속주조 주형을 진동시키는 방법
CN210547853U (zh) 一种震壳机用金属铸件模具固定装置
JPS62230458A (ja) 片面凝固式連続鋳造装置
KR101235269B1 (ko) 금속 박판 제조장치
KR101330546B1 (ko) 압연기용 워크롤러 연삭방법
JP5800215B2 (ja) 金型鋳造方法
JPH1094856A (ja) 鋳片サイズが可変な鋳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