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398B1 -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 Google Patents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398B1
KR102195398B1 KR1020200127212A KR20200127212A KR102195398B1 KR 102195398 B1 KR102195398 B1 KR 102195398B1 KR 1020200127212 A KR1020200127212 A KR 1020200127212A KR 20200127212 A KR20200127212 A KR 20200127212A KR 102195398 B1 KR102195398 B1 KR 10219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support frame
fram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복연
여운기
Original Assignee
조복연
여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복연, 여운기 filed Critical 조복연
Priority to KR102020012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로 상단의 가공지 선과 하단의 전력선에 설치되어 주간에는 비행 중인 조종사 또는 선박의 항해사가 장애물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설치하며, 또한 야간에는 발광소자(LED)를 밝힘으로써 헬리콥터, 경비행 기, 선박, 크레인 등이 용이하게 식별하여 항공장애등과 항공장애주간표시구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고안된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야간 항공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점등하는 점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AVIATION OBSTABLE INDICATOR WITH VIBRA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로 상단의 가공지 선과 하단의 전력선에 설치되어 주간에는 비행 중인 조종사 또는 선박의 항해사가 장애물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설치하며, 또한 야간에는 발광소자(LED)를 밝힘으로써 헬리콥터, 경비행기, 선박, 크레인 등이 용이하게 식별하여 항공장애등과 항공장애주간표시구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고안된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항공장애 표시등이란 비행 중인 조종사에게 장애물의 존재를 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등화를 말한다. 항공장애 주간표시구란 주간에 비행 중인 조종사 또는 선박에 선장에게 장애물의 존재를 알리기 위하여 설치하는 등화 이외의 시각적인 표시로 색채 표지(Color), 장애표지물(Marker), 기(Flag)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송전 또는 통신을 위한 가공선로는 송전탑 등에 의해서 서로 연결 되어 있는데, 헬리콥터 또는 항공기, 선박 운행자가 선로를 육안으로 식별하기는 거 의 불가능하여 항공기 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헬리콥터나 항공기, 선박 으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항공장애 표시구를 송전선로와 통신선로와 같은 가공전선로에 설치하게 되는데, 항공관련법에 따르면 일정 높이 이상의 가공선로에 이러한 항공장애 주간표시구를 반드시 설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송전탑 사이에 다수의 가공선로가 연결되며, 항공장애 주간표시구는 선로의 중간 중 간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항공장애 주간표시구는 일반적으로 반구 형상의 몸체가 선로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구형상을 이루어지며, 상부 및 하부 몸체 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또한 선로를 개재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결합부는 상하부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선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이 한 쌍의 돌출부는 나사못 등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다. 또한 돌출부에는 서로 밀착하는 부위에서 선로를 개재하기 위한 반원형 요홈이 형성되며, 선로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결합되거나 때로는 선로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항공장애 주간표시구는 일사량이 적어서 식별이 용 이하지 않은 경우와 안개 및 흐린날, 일몰 후와 같이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한 경 우에는 송전선로에 대한 충분한 식별력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항공장애등은 철탑 중심의 상단, 중단, 하단에 설치되어 야간 비행시 또는 안개시 식별을 위해 설치되나 설치에 대한 어려움과 지속적인 청소 및 보수에 대한 운영관리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사고 발생 시에 중대한 사고를 초래한다 .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857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3906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LED 태양광전지 진동방지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을 사용하여 주야간 전천후로 식별 가능하며, 태양광 발전 하이브리드(hybrid) 축전시스템도입으로 태양전지LED 광을 조사하여 일사량이 적은 날 또는 야간에도 식별력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전선의 진동방지와 태양광 자가발전을 통해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작동이 가능한 항공장애등 및 항공주간 표시구로 기능과 역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을 제공한다.
또한, 발전시스템과 충전시스템이 결합된 하이브리드(hybrid)방식으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 및 충전을 할 수 있게 이중 좌·우 태양 광 전지구조를 취하며, 다른 한쪽이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상호 연결되어 기능을 유 지하는 이중등화 시스템(Dual Lighting System)이며, 태양발전시스템에서의 냉각효율과 3중 방수구조로 조명각도는 306도 발광하여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 구성하였고 또한 태양전지 사용수명 단축을 예방할 수 있도록 2중 충전시스템(Dual Charging System)을 도입 발명한 것으로 낮(Day)에는 LED 항공장애주간표시구로 밤(Night)에는 항공장애표시등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은, 야간 항공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점등하는 점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점등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바라보며 설치되는 두 개의 몸체; 일 몸체와 다른 몸체 사이를 연결하는 진동 방지 스프링; 가공 선로에 체결되는 현수 클램프; 상기 진동 방지 스프링을 체결한 상태로 상기 현수 클램프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태양광 발전을 위해 태양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 또는 저장해 둔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공급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빛을 발산하는 LED 발광소자;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부; 및 상기 조도 센서부에서 감지된 조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상기 전기 공급부에서 상기 LED 발광소자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기 공급부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조도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LED 발광소자는, 흰색과 주황색으로 번갈아 가며 교차 발광되어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를 겸한 점등부는, 상기 LED 발광소자의 발광색이 주변과 대조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LED 발광소자의 발광색을 선택하는 색체 선택부; 및 상기 LED 발광소자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LED 발광소자로 전달되는 전기를 증폭시켜 주는 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등부는, 상기 가공 선로에 안착되며, 하부에 상기 현수 클램프가 거치되는 클램프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 거치부는, 상기 가공 선로가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을 형성하는 거치 몸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가공 선로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관통홀의 바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현수 클램프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 몸체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거치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관통홀의 바닥면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박스; 상기 지지 박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 및 하부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지지 박스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획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박스의 상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에 의하여 상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상부 유닛; "U" 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상부 유닛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관통홀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프레임;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박스의 하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테두리에 의하여 하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하부 유닛; 및 "∩_"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가 상기 하부 유닛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와 대향하는 상기 관통홀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은, "U"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유닛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착 터널에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거치대; 상기 안착 터널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 돌기; 상기 중심 돌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터널의 하부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보조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 돌기의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보조 공간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 돌기의 다른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유닛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상부 유닛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상부 유닛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 유닛에서의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1 제동부; 상기 상부 유닛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상부 유닛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 유닛에서의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2 제동부; 상기 하부 유닛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하부 유닛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 유닛에서의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3 제동부; 및 상기 하부 유닛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하부 유닛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 유닛에서의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4 제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동부는, 상기 지지 스프링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 스프링과 함께 상기 상부 유닛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 유닛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탱크;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공급 라인; 및 상기 안착 터널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부가 상기 안착 터널의 내부 공간으로 전진됨에 따라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와 밀착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송전선로에 설치되어 주변을 비행하는 비행체 또는 해상 선박이 송전선로에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전선의 진동방지를 예방하며, 자가발전을 통해 유지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파 장애 발생 또는 저휘도로 인해 발광 성능이 낮은 기존의 장애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306도 LED발광부의 탁월한 시인성과 3중 방수구조로 되어 있으며 아울러 하이브리드(hybrid)태양광 발전 및 축전시스템을 취하게 됨으로써 발전효율을 극대화하며 장기적인 수명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전선로 이외에 아파트 건설 현장 등의 높은 건물의 경우에도 체결을 위한 와이어만 있으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적용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항공장애주간표시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등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의 설치 예시도들이다.
도 8은 도 7의 클램프 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프레임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기존의 항공장애주간표시구(910a)는 항공장애표시구 결합철물(911)에 의해 송전선로(L)에 설치되고, 항공장애등(910b)는 철탑(C)의 상측에 설치되었다.
이때, 철탑(C)에는, 항공장애주간표시구(910a) 또는 항공장애등(910b)의 제어를 위한 인하도선(930) 및 항공장애등 제어반(940)이 설치되었다.
기존 개발된 항공장애등은, 철탑 상단, 중단, 하단에 설치되어 철탑 부자재에 의해 가려져 육안식별이 어려우며, 항공장애등 설치방법 및 구조가 복잡하며 설비유지관리에 대한 기대치가 많이 떨어지며, 폭우, 안개, 낙뇌 등 기타 이상전압 발생시 파손 및 고장의 위험 많으며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단 중단 하단의 항공장애등이 전원이 커져(OFF) 본연의 역할을 못하며 산악지대 및 해상 등 쉽게 접근이 어려운 곳에 설치되어 있어 복구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도 2 이하에서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은, 설치가 간단하며, 이상전압 등 고장의 원인이 발생되어도 최소화됨(이중관제시스템)에 항공표시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은, 점등부(10)를 포함한다.
점등부(10)는, 야간 항공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내부에 구비되는 발광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점등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점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점등부(20)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C) 사이에 설치되는 송전선로(L)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두 개의 몸체(110, 120), 진동 방지 스프링(200), 현수 클램프(300), 체결부(350), 전기 공급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LED 발광소자(500), 조도 센서부(600) 및 조도 스위치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몸체(110, 120)는, 주철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 방지 스프링(200)에 의해 서로 바라보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10, 120)의 일측에는, 몸체(110, 12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켜 고장 수리를 위한 방수캡(111, 121)이 구비될 수 있다.
진동 방지 스프링(200)은, 체결부(350)에 설치되어 일 몸체(110)와 다른 몸체(120) 사이를 연결하며, 일 몸체(110) 또는 다른 몸체(1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킨다.
바람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몸체(110, 12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이러한 외력이 모두 송전선로(L)에 전달되면 송전선로(L)가 진동하면서 다른 송전선로(L)와 충돌하거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력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탄력이 있는 진동 방지 스프링(200)이 몸체(110, 120) 사이에 설치된다.
현수 클램프(300)는, 가공 선로(L)에 체결되며, 하부에 체결부(350)가 설치된다.
전기 공급부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LED 발광소자(500)에서 소모되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몸체(110, 120)에 설치되며, 태양광 발전을 위해 태양전지(400)를 구비하며, 태양전지(400)에서 생산되는 전기 또는 저장해 둔 전기를 LED 발광소자(50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10, 120)는, 태양전지(4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장착면을 형성되며, 태양광의 수광이 원활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해당 장착면 상에 태양전지(400)가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공급부는, 태양전지(40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해 두거나, LED 발광소자(500)에 저장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전기 공급부는, 태양광이 수광 가능한 시간에 태양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에 축전하여 주간(Day), 야간(Night)이나 흐린 날씨에 LED발광램프(21)를 가동하는 가동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LED 발광소자(500)는, 송전선로(L)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외부로 광을 조사는 것으로서, 몸체(110, 120) 내에 설치되어 전기 공급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306도 각도로 빛을 발산한다.
일 실시예에서, LED 발광소자(500)는, 몸체(110, 120)의 전면 및 후단에 각각 20개씩 설치될 수 있다.
조도 센서부(600)는, LED 발광소자(500)의 발광 여부를 경정하기 위해 몸체(110, 120)에 설치되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조도센서(600)는 외부 밝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며 전천후, 해가 진 후, 또는 안개에 의해 햇빛이 가려져 어두워졌을 때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색체 선택부에 의한 비행체, 선박, 크레인 등이 송전선로(L)의 존재유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색채(Color) 선택 조정하여 점등 또는 점멸하도록 발광을 보조한다.
조도 스위치부는, 조도 센서부(600)에서 감지된 조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전기 공급부에서 LED 발광소자(500)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전기 공급부의 전기 공급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LED 발광소자(500)는, 흰색과 주황색으로 번갈아 가며 교차 발광되어 점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등부(20)는 LED 발광소자(500)의 가동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부(600)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태양전지(400)에서 생산되는 발전량이 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LED 발광소자(500)가 점등하거나 점멸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조도 센서부(600)의 설치를 생략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등부(20) 역시, 인하도선(21)에 의해 철탑에 설치되는 제어반(22)과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등부(20)는, 색체 선택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증폭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색체 선택부는, LED 발광소자(500)의 발광색이 주변과 대조를 이룰 수 있도록 LED 발광소자(500)의 발광색을 선택한다.
증폭부는, LED 발광소자(500)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전기 공급부로부터 LED 발광소자(500)로 전달되는 전기를 증폭시켜 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등부(30)은, 두 개의 몸체(110, 120), 진동 방지 스프링(200), 현수 클램프(300), 전기 공급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LED 발광소자(500), 조도 센서부(600), 조도 스위치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클램프 거치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두 개의 몸체(110, 120), 진동 방지 스프링(200), 현수 클램프(300), 전기 공급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LED 발광소자(500), 조도 센서부(600) 및 조도 스위치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클램프 거치부(700)는, 가공 선로(L)에 안착되며, 하부에 현수 클램프(300)가 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등부(30)은, 강풍이 심하게 부는 날에도 가공 선로(L)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가공 선로(L)의 출렁임을 감소시켜 본 발명이 안정적으로 가공 선로(L)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있다.
도 8은 도 7의 클램프 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램프 거치부(700)는, 거치 몸체(710), 지지 프레임(720), 프레임 지지부(730) 및 거치 바아(740)를 포함한다.
거치 몸체(710)는, 가공 선로(L)가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711)을 형성하며, 관통홀(711)의 하부에 지지 프레임(720) 및 프레임 지지부(730)이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720)은, 관통홀(711)에 삽입된 가공 선로(L)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이 프레임 지지부(7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프레임 지지부(730)는, 관통홀(711)의 바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720)의 하측을 지지한다.
거치 바아(740)는, 현수 클램프(3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 몸체(7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클램프 거치부(700)는, 강풍이 심하게 부는 날에도 가공 선로(L)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프레임 지지부(730)를 이용하여 최소화시킴으로써 가공 선로(L)의 출렁임을 감소시켜 본 발명이 안정적으로 가공 선로(L)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프레임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800)는, 지지 박스(810), 상부 유닛(820), 상부 지지 프레임(830), 하부 유닛(840) 및 하부 지지 프레임(850)을 포함한다.
지지 박스(81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720)과 관통홀(711)의 바닥면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구획 플레이트(811)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상측에 상부 유닛(820)이 설치되고, 구획 플레이트(811)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하측에 하부 유닛(840)이 설치된다.
상부 유닛(820)은, 지지 박스(810)의 내부 공간을 상부 및 하부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지지 박스(8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획 플레이트(8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지지 박스(810)의 상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에 의하여 상측 테두리가 지지되며, 상부 지지 프레임(830)의 하부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유닛(820)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구획 플레이트(81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B1, B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상부 유닛(820)은, 상부 지지 프레임(830)으로 상하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 박스(81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부 지지 프레임(830)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프레임(8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킬 수 있다.
상부 지지 프레임(830)은, "U" 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상부 유닛(820)의 내부에 안착되며, 관통홀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지지 프레임(720)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지지 프레임(830)은, 프레임 본체(831), 거치대(832), 중심 돌기(833), 제1 탄성체(834) 및 제2 탄성체(835)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831)는, "U"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형태에 대응하여 상부 유닛(820)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착 터널(S1)에 하부가 안착되어 지지 프레임(720)을 지지한다.
거치대(832)는, 프레임 본체(831)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720)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중심 돌기(833)는, 안착 터널(S1)에 안착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831)의 하부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탄성체(834)는, 중심 돌기(833)가 배치될 수 있도록 안착 터널(S1)의 하부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보조 공간(S2)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심 돌기(833)의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탄성체(835)는, 보조 공간(S2)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중심 돌기(833)의 다른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한다.
즉, 상부 지지 프레임(830)은,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720)에 의해 프레임 본체(831)로 경사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831)이 안착 터널(S1)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지지 프레임(7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유닛(840)은, 구획 플레이트(811)의 하측에 배치되며, 지지 박스(810)의 하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테두리에 의하여 하측 테두리가 지지된다.
하부 지지 프레임(850)은, "∩_"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가 하부 유닛(840)의 내부에 안착되며, 지지 프레임(720)와 대향하는 관통홀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이때, 하부 유닛(840) 및 하부 지지 프레임(850)은, 상부 유닛(820) 및 상부 지지 프레임(830)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서, 상부 유닛(820) 및 상부 지지 프레임(830)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프레임 지지부(800)는, 제1 제동부(860), 제2 제동부(870), 제3 제동부(880) 및 제4 제동부(8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동부(860)는, 상부 유닛(820)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부 유닛(820)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부 유닛(820)에서의 상부 지지 프레임(8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제2 제동부(870)는, 상부 유닛(82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부 유닛(820)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부 유닛(820)에서의 상부 지지 프레임(8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제3 제동부(880)는, 하부 유닛(840)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하부 유닛(840)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하부 유닛(840)에서의 하부 지지 프레임(8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제4 제동부(890)는, 하부 유닛(84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하부 유닛(840)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하부 유닛(840)에서의 하부 지지 프레임(8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여기서, 도 11에서 후술하는 제1 제동부(860)의 구성요소는 제2 제동부(870), 제3 제동부(880) 및 제4 제동부(89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800)는, 지지 프레임(720)과 관통홀(711) 사이를 탄성력을 위하여 지지함으로써 지지 프레임(7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완충하여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공선로(L)가 안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720)이 상하 수직 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가공선로(L)가 기울어짐에 따라 지지 프레임(720)이 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 프레임(720)을 지지하여 장비의 내구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제1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제동부(860)는, 유체 공급 탱크(861), 유체 공급 라인(862) 및 제동부(863)를 포함한다.
유체 공급 탱크(861)는, 지지 스프링의 내측에 안착되어 지지 스프링(B1)과 함께 상부 유닛(820)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부 유닛(820)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공급 라인(862)를 통해 제동부(863)로 공급한다.
유체 공급 라인(862)은, 유체 공급 탱크(861)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제동부(863)로 전달한다.
제동부(863)는, 안착 터널(S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유체 공급 라인(862)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부가 안착 터널(S1)의 내부 공간으로 전진됨에 따라 상부 지지 프레임(830)와 밀착되어 상부 지지 프레임(8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제동부(860)는, 지지 프레임(720)이 경사진 상태에서 승하강 되는 경우에 있어서 슬라이딩 이동된 상부 지지 프레임(830)이 승하강 하는 도중에 안착 터널(S1)에서 추가적인 슬라이딩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공선로(L)의 지지 구조가 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가공선로(L)의 지지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10, 20, 30: 점등부
100: 몸체
200: 진동 방지 스프링
300: 현수 클램프
400: 태양전지
500: LED 발광소자
600: 조도 센서부
700: 클램프 거치부
800: 프레임 지지부

Claims (2)

  1. 야간 항공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점등하는 점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등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바라보며 설치되는 두 개의 몸체;
    일 몸체와 다른 몸체 사이를 연결하는 진동 방지 스프링;
    가공 선로에 체결되는 현수 클램프;
    상기 진동 방지 스프링을 체결한 상태로 상기 현수 클램프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태양광 발전을 위해 태양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 또는 저장해 둔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공급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빛을 발산하는 LED 발광소자;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부; 및
    상기 조도 센서부에서 감지된 조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상기 전기 공급부에서 상기 LED 발광소자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기 공급부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조도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 발광소자는,
    흰색과 주황색으로 번갈아 가며 교차 발광되어 점등되며,
    상기 LED 발광소자의 발광색이 주변과 대조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LED 발광소자의 발광색을 선택하는 색체 선택부; 및
    상기 LED 발광소자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LED 발광소자로 전달되는 전기를 증폭시켜 주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공 선로에 안착되며, 하부에 상기 현수 클램프가 거치되는 클램프 거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거치부는,
    상기 가공 선로가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을 형성하는 거치 몸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가공 선로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관통홀의 바닥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현수 클램프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 몸체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거치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관통홀의 바닥면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박스;
    상기 지지 박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 및 하부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지지 박스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획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박스의 상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에 의하여 상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상부 유닛;
    "U" 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상부 유닛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관통홀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프레임;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박스의 하측 개구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테두리에 의하여 하측 테두리가 지지되는 하부 유닛; 및
    "∩_"형태로 형성되며,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가 상기 하부 유닛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와 대향하는 상기 관통홀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은,
    "U"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유닛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착 터널에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거치대;
    상기 안착 터널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 돌기;
    상기 중심 돌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터널의 하부 상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보조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 돌기의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보조 공간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 돌기의 다른 일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유닛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상부 유닛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상부 유닛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 유닛에서의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1 제동부;
    상기 상부 유닛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상부 유닛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 유닛에서의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2 제동부;
    상기 하부 유닛의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하부 유닛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 유닛에서의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3 제동부; 및
    상기 하부 유닛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하부 유닛이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 유닛에서의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제4 제동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2. 삭제
KR1020200127212A 2020-09-29 2020-09-29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KR10219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212A KR102195398B1 (ko) 2020-09-29 2020-09-29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212A KR102195398B1 (ko) 2020-09-29 2020-09-29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398B1 true KR102195398B1 (ko) 2020-12-28

Family

ID=7408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212A KR102195398B1 (ko) 2020-09-29 2020-09-29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3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671A (ko) * 2021-06-21 2022-12-2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KR20230062097A (ko) 2021-10-29 2023-05-09 유양산전 주식회사 내진동 성능개선 항공등화
CN117354346A (zh) * 2023-12-04 2024-01-05 湖南辰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太阳能航空障碍灯的远程监测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815Y1 (ko) * 2004-09-30 2004-12-18 김명한 고효율 방열/지지구조를 구비한 항공장애등
KR100898576B1 (ko) 2008-12-30 2009-05-20 신양식 가공송전선로용 항공 장애 표시구.
KR101039068B1 (ko) 2009-06-03 2011-06-07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송전철탑용 태양전지식 엘이디 항공 장애등
KR20120032798A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케이티 Led를 이용한 항공장애등
KR101427396B1 (ko) * 2012-08-31 2014-08-07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송전선로용 항공장애등
KR20170005659A (ko) * 2015-07-06 2017-01-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항공장애 표시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815Y1 (ko) * 2004-09-30 2004-12-18 김명한 고효율 방열/지지구조를 구비한 항공장애등
KR100898576B1 (ko) 2008-12-30 2009-05-20 신양식 가공송전선로용 항공 장애 표시구.
KR101039068B1 (ko) 2009-06-03 2011-06-07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송전철탑용 태양전지식 엘이디 항공 장애등
KR20120032798A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케이티 Led를 이용한 항공장애등
KR101427396B1 (ko) * 2012-08-31 2014-08-07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송전선로용 항공장애등
KR20170005659A (ko) * 2015-07-06 2017-01-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항공장애 표시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671A (ko) * 2021-06-21 2022-12-2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KR102580330B1 (ko) 2021-06-21 2023-09-19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KR20230062097A (ko) 2021-10-29 2023-05-09 유양산전 주식회사 내진동 성능개선 항공등화
CN117354346A (zh) * 2023-12-04 2024-01-05 湖南辰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太阳能航空障碍灯的远程监测系统
CN117354346B (zh) * 2023-12-04 2024-02-20 湖南辰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太阳能航空障碍灯的远程监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398B1 (ko)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KR100582288B1 (ko) 복수의 풍력설비를 갖는 풍력발전지대 및 비행 경계등 장치
KR100998741B1 (ko) 교통표지판
US20100265699A1 (en) Traffic safety cone incorporating a flashing light module
KR102523961B1 (ko) 조립식 도로 표지병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KR101433718B1 (ko) 가로등주를 이용한 광고장치
CN201195829Y (zh) 发光路锥
US20220154899A1 (en) Lighting apparatus for a flagpole
CN214656557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市政道路施工用警示装置
CN209980473U (zh) 一种可移动式光墙信号灯装置
KR20210071756A (ko) 태양광을 이용한 중앙분리대용 안전표지 장치
JP5558169B2 (ja) 自発光視線誘導標
CN216892108U (zh) 一种镂空抗风led发光预警路锥
CN113137092A (zh) 一种小型长航时无人机测控运载地面站
KR101850944B1 (ko)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KR20110000927U (ko) 착탈식 유도등
JPH11222824A (ja) 自発光式道路標識体及び自発光式道路標識装置
CN211809272U (zh) 一种应急保电车
CN212724298U (zh) 一种磁吸式太阳能发光体电力线路警示器
CN216898976U (zh) 一种用于隧道监测的智能支架装置
JP2003187602A (ja) 航空障害灯システム
CN2589506Y (zh) 太阳能汽车减速坡
KR200298083Y1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항공장애등
CN210896450U (zh) 一种发光警示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