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330B1 -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330B1
KR102580330B1 KR1020210080030A KR20210080030A KR102580330B1 KR 102580330 B1 KR102580330 B1 KR 102580330B1 KR 1020210080030 A KR1020210080030 A KR 1020210080030A KR 20210080030 A KR20210080030 A KR 20210080030A KR 102580330 B1 KR102580330 B1 KR 10258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part
vibration reduction
disposed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671A (ko
Inventor
나현호
김정은
오도원
조민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8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33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설치대상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일단에 삽입홈이 구비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이 마련되고, 일단에 연결대상체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Aircraft warning light connecting structure with vibration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연결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 저감 기능을 가진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연결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 고층빌딩, 송전탑, 플랜트설비 및 풍력발전기와 같은 구조물에는 야간에 운항하는 항공기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항공장애표시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항공장애표시등은, 항공기 조종사가 야간 또는 안개 상황에도 구조물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램프의 밝기 및 점멸주기 등의 조건을 항공법에 따라 준수해야 한다.
풍력발전기와 같이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구조물에 항공장애표시등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진동으로 인해 항공장애표시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풍력발전기에 설치된 항공장애표시등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크레인을 이용한 고공작업이 요구되므로,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가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켜, 항공장애표시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용 구조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동 저감 기능을 구비한 연결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설치대상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일단에 삽입홈이 구비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이 마련되고, 일단에 연결대상체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용 구조체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삽입홈은 복수개 구비되되, 복수개의 상기 삽입홈은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기 돌출부를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용 구조체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연결대상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한쌍 구비되고, 한쌍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단 및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삽입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홀은, 타원 형상이되, 상기 타원 형상의 제2 결합홀의 장축은 상기 제2 연결부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연결부가 결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측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측벽부 및 상기 한쌍의 측벽부 중 일 측벽부의 단부로부터, 마주보는 타 측벽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한쌍 구비되고, 한쌍의 상기 절곡부는 상기 한쌍의 측벽부의 단부 각각에 배치되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는, 탄성부와 완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연결용 구조체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대상체에 외력이 전달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및 연결대상체가, 설치대상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A-A'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을 B-B'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및 연결대상체가, 설치대상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A-A'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이하, 연결용 구조체; 1)는 설치대상체(10)에 연결대상체(2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대상체(10)는 예를 들어, 풍력발전기일 수 있으며, 연결대상체(20)는 항공장애표시등(Aircraft warning light)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설치대상체(10)가 작동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연결용 구조체(1)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연결용 구조체(1)에 가해지는 외력은, 주로 연결용 구조체(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일 수 있다.
연결용 구조체(1)는 베이스부(100), 제1 연결부(200), 제2 연결부(300) 및 탄성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설치대상체(10)에 결합되고, 제1 연결부(200) 및 제2 연결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00)는 설치대상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00)는 베이스판(110), 측벽부(120) 및 절곡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판(110)에는 제1 연결부(200)가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판(110)은 직사각형 단면의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이러한 베이스판(110)에는 측벽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120)는 베이스판(110)의 일 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120)는 베이스판(110)의 일 측단으로부터, 베이스부(1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2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측벽부(120)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벽부(120)는 베이스판(110)의 양 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측벽부(12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절곡부(130)는 측벽부(12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절곡부(130)는 측벽부(120)로부터, 베이스부(1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측벽부(120)의 단부에 배치된 절곡부(130)는, 일 측벽부(120)와 마주보는 타 측벽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부(120)가 구비되는 경우, 절곡부(130) 또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절곡부(13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절곡부(1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절곡부(130)는, 베이스부(100)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판(110), 측벽부(120) 및 절곡부(130)로 둘러싸인 공간의 내부로, 설치대상체(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설치대상체(10)의 적어도 일부는, 풍력발전기의 상단에 설치된 구조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베이스부(100)는 설치대상체(10)와 단면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설치대상체(10)가 베이스부(100)에 핏(fit)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200)는 베이스부(100)와 제2 연결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200)는 베이스판(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00)는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연결부(200)는 십자(十)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결부(200)는 완충부(210), 관통홀(220), 삽입홈(230) 및 제1 결합홀(240)을 구비할 수 있다.
완충부(210)는 연결대상체(2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완충부(210)는 제1 연결부(2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210)는 제1 연결부(200)의 일단으로부터, 제1 연결부(2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210)는 상부 완충부(211)와 하부 완충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완충부(211)와 하부 완충부(212)는, 각각 제1 연결부(200)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200)의 상단은, 제1 연결부(2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단부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200)의 하단은, 제1 연결부(200)의 상단에 대향하는 단부일 수 있다.
완충부(21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완충부(21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완충부(210)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완충부(210)는, 연결용 구조체(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형상이 압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210)는 형상을 제1 연결부(2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압축시킴으로써, 연결대상체(2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210)는 연결대상체(20)가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용 구조체(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완충부(210)는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210)는 제1 연결부(2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팽창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관통홀(220)은 제1 연결부(20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20)은 제1 연결부(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220)은 제1 연결부(200)의 상단 중앙부로부터, 제1 연결부(2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제1 연결부(200)의 하단 중앙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220)을 구비함으로써, 제1 연결부(200)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200)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연결용 구조체(1)의 전체적인 무게가 절감될 수 있다.
삽입홈(230)은 후술할 탄성부(400)가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삽입홈(230)은 제1 연결부(2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230)은 제1 연결부(200)의 상단으로부터, 제1 연결부(2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30)은 적어도 한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삽입홈(23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홈(230)의 개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삽입홈(230)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4개의 삽입홈(23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230)은 관통홀(220)을 중심으로, 관통홀(2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삽입홈(230)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00)는, 제1 연결부(200)와 후술할 제2 연결부(30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홀(24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홀(240)은 제1 연결부(200)의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홀(240)은 제1 연결부(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220)은 제1 연결부(200)의 일 측면부로부터, 제1 연결부(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연결부(200)의 일 측면부와 마주보는 타 측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통홀(220)은 제1 연결부(200)의 일 측면부로부터, 일 측면부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제1 연결부(200)의 일 측면부와 마주보는 타 측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홀(240)은 전술한 삽입홈(2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홀(240)은, 삽입홈(230)의 하단부보다, 제1 연결부(2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홀(240)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결합홀(24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홀(240)의 개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제1 결합홀(240)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제1 결합홀(24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홀(240)은 전술한 관통홀(220)을 중심으로, 관통홀(2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제1 결합홀(240)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300)에는 연결대상체(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00)는 제1 연결부(2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00)는 제1 연결부(2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00)가 십자 형상인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제2 연결부(300) 또한 십자 형상일 수 있다.
제2 연결부(300)는 돌출부(310), 삽입공간(320) 및 제2 결합홀(330)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310)는 제2 연결부(3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310)는 제2 연결부(300)의 일단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10)는 제2 연결부(300)의 일단 중앙부로부터, 제2 연결부(3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10)는 삽입홀(311)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홀(311)은 내부에 연결대상체(20)가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삽입홀(311)은 돌출부(310)의 일단으로부터, 제2 연결부(3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홀(311)은, 돌출부(310)의 일단으로부터, 후술할 삽입공간(320)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홀(311)은 삽입공간(320)과 연통할 수 있다.
삽입홀(311)은 연결대상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삽입홀(311)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삽입공간(320)에는 제1 연결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공간(320)에는 제1 연결부(200) 상측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공간(320)은 제2 연결부(30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공간(320)은 제2 연결부(300)의 타단으로부터, 제2 연결부(3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300)의 타단은, 돌출부(310)가 배치되는 제2 연결부(300)의 일단과 마주보는 단부일 수 있다.
삽입공간(320)은 제1 연결부(2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00)가 십자 형상인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제2 연결부(300) 또한 십자 형상일 수 있다.
제2 연결부(300)는, 제1 연결부(200)와 제2 연결부(30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홀(3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홀(330)은 제2 연결부(300)의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홀(330)은 삽입공간(320)과 제2 연결부(300)의 측방향 외부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홀(330)은, 제2 연결부(300)의 일 측면부 외측으로부터, 삽입공간(320)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홀(330)은, 제2 연결부(300)의 일 측면부 외측으로부터, 제2 연결부(3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삽입공간(3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홀(330)은, 제2 연결부(300)의 일 측면부 외측으로부터, 일 측면부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삽입공간(3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홀(330)은 직사각형, 원형, 타원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결합홀(330)은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타원 형상의 제2 결합홀(330)의 장축은, 제2 연결부(3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홀(330)의 높이 방향(Z축 방향) 지름은, 제2 결합홀(330)의 폭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지름보다 클 수 있다.
제2 결합홀(330)은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결합홀(33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결합홀(330)은, 제2 연결부(300)의 일 측면부 및 제2 연결부(300)의 일 측면부와 마주보는 타 측면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홀(330)은, 제1 결합홀(240)의 2배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제1 결합홀(240)이 구비되는 경우, 제2 결합홀(330)은 4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결합홀(33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러 쌍의 제2 결합홀(330)은 전술한 관통홀(220)을 중심으로, 관통홀(2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쌍의 제2 결합홀(330)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을 B-B'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연결용 구조체(1)는 탄성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400)는 연결용 구조체(1)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탄성부(400)는 삽입홈(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400)의 일단은 삽입홈(2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탄성부(400)의 타단은 제2 연결부(300)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탄성부(400)는 탄성력을 가지는 구조체일 수 있다. 탄성부(400)는 예를 들어,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탄성부(400)는, 연결용 구조체(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400)는 연결용 구조체(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연결용 구조체(1)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용 구조체(1)에 가해지는 외력이, 연결대상체에는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400)는 연결대상체가 외력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용 구조체(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탄성부(400)는 다시 초기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400)는 연결용 구조체(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팽창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연결용 구조체(1)는 제1 연결부(200)와 제2 연결부(30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는 예를 들어, 볼트(Bolt)일 수 있다.
결합부재는 제1 결합홀(240)의 내부 및 제2 결합홀(3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는 제1 결합홀(240)의 내부에 삽입되는 동시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2 결합홀(3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의 중심축은 도면에서 C로 표현될 수 있다.
결합부재는 제1 연결부(200)와 제2 연결부(300)를 결합하되, 일 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연결용 구조체(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결합홀(330)은 장축이 제2 연결부(300)의 높이 방향과 평행한,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제2 결합홀(330)이 이러한 타원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 연결부(300)는, 결합부재를 통해 제1 연결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연결부(3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소폭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300)는, 연결용 구조체(1)에 외력이 가해질 때, 제1 연결부(200)와 가까워지는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300)는, 외력으로 인해 탄성부(400) 및 상부 완충부(211)가 압축되는 길이만큼, 제1 연결부(200)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용 구조체(1)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제2 연결부(300)는 제1 연결부(200)와 멀어지는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결합부재, 제1 연결부(200) 및 제2 연결부(300)가 이러한 결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탄성부(400)와 완충부(210)가 원활하게 압축 및 팽창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용 구조체(1)에 가해진 외력이, 연결대상체(20)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구조체(1)는, 탄성부(400)와 완충부(210)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1 연결부(200)와 제2 연결부(300)가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연결용 구조체(1)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대상체(20)에 외력이 전달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10: 설치대상체
20: 연결대상체
100: 베이스부
200: 제1 연결부
300: 제2 연결부
400: 탄성부

Claims (11)

  1. 설치대상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일단에 삽입홈이 구비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이 마련되고, 일단에 연결대상체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삽입홈은 복수개 구비되되, 복수개의 상기 삽입홈은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기 돌출부를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삽입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홀을 구비하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하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용 구조체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용 구조체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연결대상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한쌍 구비되고,
    한쌍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단 및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각각 배치되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홀은, 타원 형상이되, 상기 타원 형상의 제2 결합홀의 장축은 상기 제2 연결부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연결부가 결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측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측벽부; 및
    상기 한쌍의 측벽부 중 일 측벽부의 단부로부터, 마주보는 타 측벽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한쌍 구비되고,
    한쌍의 상기 절곡부는 상기 한쌍의 측벽부의 단부 각각에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는,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KR1020210080030A 2021-06-21 2021-06-21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KR102580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030A KR102580330B1 (ko) 2021-06-21 2021-06-21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030A KR102580330B1 (ko) 2021-06-21 2021-06-21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671A KR20220169671A (ko) 2022-12-28
KR102580330B1 true KR102580330B1 (ko) 2023-09-19

Family

ID=8453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030A KR102580330B1 (ko) 2021-06-21 2021-06-21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3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940A (ja) 2000-08-31 2002-03-08 Nec Environment Eng Ltd 除振マウント
CN101737733B (zh) 2009-12-21 2012-03-14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减振装置及使用该减振装置的灯具
CN204962629U (zh) * 2015-09-28 2016-01-13 陈锐 一种灯具减震安装架
CN107842742A (zh) * 2017-11-28 2018-03-27 成都创年科技有限公司 多功能led灯
KR102083395B1 (ko) 2019-07-26 2020-03-02 주식회사 누리온 투광등기구용 진동흡수구조체
KR102195398B1 (ko) 2020-09-29 2020-12-28 조복연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940A (ja) 2000-08-31 2002-03-08 Nec Environment Eng Ltd 除振マウント
CN101737733B (zh) 2009-12-21 2012-03-14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减振装置及使用该减振装置的灯具
CN204962629U (zh) * 2015-09-28 2016-01-13 陈锐 一种灯具减震安装架
CN107842742A (zh) * 2017-11-28 2018-03-27 成都创年科技有限公司 多功能led灯
KR102083395B1 (ko) 2019-07-26 2020-03-02 주식회사 누리온 투광등기구용 진동흡수구조체
KR102195398B1 (ko) 2020-09-29 2020-12-28 조복연 진동방지를 겸한 항공장애표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671A (ko)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40223T3 (es) Dispositivo de soporte amortiguador de vibraciones
CN101737733B (zh) 一种减振装置及使用该减振装置的灯具
CN103258885B (zh) 用以支撑太阳能模块的支架
KR102580330B1 (ko)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KR20140088162A (ko) 마찰 진동 댐퍼
CN104404865A (zh) 一种u形阻尼器支座减震结构
CN212429595U (zh) 三向等刚度金属阻尼减振器
CN112709344A (zh) 一种x型连接双肢防屈曲支撑
CN115405660A (zh) 一种鱼骨仿生耗能支撑装置及耗能减震方法
CN113719575A (zh) 一种阻尼器
CN113818338B (zh) 桥梁及其水平双向减振/震支座与减振/震方法
CN212802053U (zh) 阻尼装置、塔架以及风力发电机组
CN115076275B (zh) 一种减震系统及建筑室内机器人
CN212243418U (zh) 一种具有防撞和减震功能的工具车
CN219492990U (zh) 一种高强度机车齿轮箱
KR102097688B1 (ko)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CN209672129U (zh) 一种利用电力载波传输同步信号的航空障碍灯
CN101737734A (zh) 一种减振装置及使用该减振装置的灯具
CN217440656U (zh) 一种组合式碟簧箱
CN114737707A (zh) 一种轻钢龙骨与墙体的减振消能连接件
CN213954249U (zh) 一种节能装置保护箱内部防震夹具
CN221591600U (zh) 减震衬套结构及车辆
CN220585946U (zh) 一种柔性防晕防振锤
CN220234102U (zh) 电缆桥架
CN220928278U (zh) 一种自复位金属剪切型筒式消能支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