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688B1 -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 Google Patents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688B1
KR102097688B1 KR1020190071269A KR20190071269A KR102097688B1 KR 102097688 B1 KR102097688 B1 KR 102097688B1 KR 1020190071269 A KR1020190071269 A KR 1020190071269A KR 20190071269 A KR20190071269 A KR 20190071269A KR 102097688 B1 KR102097688 B1 KR 102097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
vibration
absorbing member
vibration absorb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표
윤재식
김연규
김대중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 매그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매그나텍 filed Critical (주) 매그나텍
Priority to KR102019007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구조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지주구조물의 진동을 방지하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로, 지주구조물의 내측에 상기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에 교차되어 설치되고 중앙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앙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로드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연장로드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중량부; 상기 중량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로드가 연결되는 제2 중량부; 및 상기 중량부의 외측면과 상기 지주구조물의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2 중량부의 외측면과 상기 지주구조물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제1 진동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Assemblable Vibration Proof Apparatus for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및 조명 타워 등과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구조물은 외부 환경이나 지반 자체의 원인에 기인한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 구조물 자체의 성능이 저하되고 사용기간이 단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지주구조물과 지면 간 결합 부위가 약화되어 심각한 안전상의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개략적으로 도시된 종래의 도로 표지판(2)이 구비된 지주구조물(1)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종래의 지주구조물의 경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면과 인접한 지주구조물의 하단 부위에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탄성패드 등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패드에 의하여 진동이 저감되는 데 한계가 있고, 특히 외력이 지주구조물 자체에 작용하는 경우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조명 타워 등의 지주구조물은 그 높이가 상당하기 때문에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진동에 따른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특허 10-1316696호)가 개발된 바 있고 이는 지주구조물 내부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의 진동을 방지하는 진동 흡수부재를 구비하여 외력 작용에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좌우 방향에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외력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 방향의 진동과,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성분을 모두 갖는 진동에 대처하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진동까지 흡수하여 지주구조물, 특히 조명기구 등의 부착물이 구비되는 조명 타워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상하 방향의 성분을 갖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지주구조물의 성능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 문제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주구조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지주구조물의 진동을 방지하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로, 지주구조물의 내측에 상기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에 교차되어 설치되고 중앙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앙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로드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연장로드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중량부; 상기 중량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로드가 연결되는 제2 중량부; 및 상기 중량부의 외측면과 상기 지주구조물의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2 중량부의 외측면과 상기 지주구조물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제1 진동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은 상하 좌우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지주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로용 표지판이 설치된 지주구조물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이 지주구조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이 지주구조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습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이 다른 종류의 지주구조물인 조명부를 구비하는 조명타워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에 적용되는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에 적용되는 중량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된 중량부가 적용되는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a), 및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b)이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된 중량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2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a), 및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b)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3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a), 및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b)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3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완충연결부의 여러 실시예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4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a), 및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b)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a), 및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b)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종래의 방진모듈이 지주구조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방진모듈이 지주구조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습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이 다른 종류의 지주구조물인 조명부를 구비하는 조명타워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200)이 설치된 지주구조물(100)은 상부지주구조물(110)과 하부지주구조물(120)로 나뉘어 구성되며, 상기 상부지주구조물(110)과 하부지주구조물(120)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진모듈(2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주구조물(120)은 상기 상부지주구조물(110)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외관부(122)와 상기 방진모듈(200)가 안착되는 안착부(121)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주구조물(100)은 상부지주구조물(110)과 하부지주구조물(120)로 나뉘어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지주구조물은 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 방진모듈(200)가 내설 또는 외설된 상태로 지주구조물이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지 않은 일체형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지주구조물(100)이 상기 상부지주구조물(110)과 하부지주구조물(120)로 분리되는 구성은 방진모듈(200)의 설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일 형태이며, 다른 다양한 구조를 지니는 지주구조물에 본 발명 방진모듈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방진모듈(200)는 조명 타워(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모듈(200)는 조명 타워(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조명부(2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200)는 하우징(210), 플레이트(220), 이동부재(240) 및 중량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10)은 지주구조물(1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형 드럼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하우징(210) 내측면에 지주구조물(100)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우징(210)은 내측에 소정의 고정턱(215)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턱(215)에 상 기 플레이트(220)가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20)는 소정 두께를 지니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부위로 중앙홀(225)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재(240)는 상기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안착된 후 지지되는 안착부(241) 와, 상기 안착부(241)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220)의 중앙홀(225)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220)의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로드(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241)는 상기 중앙홀(225)의 직경보다 더 큰 크기를 지니며, 상기 연장로드(242)가 측단면상 하부 끝단이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홀(225)의 크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로드(242)가 상기 플레이트(220)의 중앙홀(225)을 중심으로 단면상 시계추와 같은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로드(242)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안착부(241)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장로드(242)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한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연장로드(242)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플레이트(220)와 상기 안착부(241) 사이에 와셔(231,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와셔가 적용될 수도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241)에 접촉되는 와셔(232)는 상기 안착부(241)와 접촉되는 부위가 상기 안착부(241)의 구형상에 대응되어 굴곡지게 형성된 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부(250)는 소정의 질량을 가지는 무게추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철질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부(250)는 상기 이동부재(24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재(240)를 이루는 연장로드(242)의 끝단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중량부(250)는 상기 연장로드(242)에 회전하여 나사방식에 따른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홈(252)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 방진모듈(200)는 상기 중량부(250)와 상기 하우징(210) 사이에 제1 진동 흡수부재(2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진동 흡수부재(260)로는 코일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진동 흡수부재(260)는 상기 중량부(250)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 개가 설치 적용된다. 상기 제1 진동 흡수부재(26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중량부(250)의 둘레에는 후크(25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 내측에는 상기 중량부(250)가 이동하여 하우징(210) 내주면에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충격완화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재(270)는 고무재질 또는 스티로폼 등과 같은 탄성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에 적용되는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 방진모듈에 적용되는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6에서는 구형의 안착부(241)가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며 안착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와셔가 적용되었으나,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중앙홀(325)이 구비되며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돌출되게 굴곡진 플레이트(320)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이동부재(240) 즉 구형 형태로 이루어진 안착부(241)의 원활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에 적용되는 중량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된 중량부가 적용되는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진모듈에 적용되는 중량부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중량부(350)가 메인몸체부(351)와, 상기 메인몸체부(351)의 상부에 상기 연장로드의 끝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나사결합홈(352)과, 상기 메인몸체부(351)의 하부에 상기 연장로드의 끝단부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돌기부(354)가 구비된다. 이 경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중량부(350)를 두 개 이상 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지주구조물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절 중량으로 중량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며, 그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를 지나는 대형트럭 등에 의하여 지반의 진동이 발생하거나 또는 태풍 등에 의한 강한 바람이 가로등, 조명 타워 등과 같은 지주구조물에 직접 작용하여 지주구조물에 진동 또는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지주구조물의 진동방향에 따라서 중량부(250)가 설치된 상기 이동로드(240)가 상기 플레이트(220)의 중앙홀(225)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지주구조물(100)에 작용되는 진동에너지가 중량부(250)의 이동 시 변형되는 제1 진동 흡수부재(260)에 전달됨으로써 즉, 상기 제1 진동 흡수부재(260)의 변형에 진동 에너지가 사용되어 지주구조물에 적용되는 에너지는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서, 지주구조물의 진동 또한 저감되므로 구조물의 안정을 가져오게 된다.
다만, 전술한 제1 진동 흡수부재(260)만 구비되는 경우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너비 방향의 진동에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나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의 성분을 갖는 진동에는 대처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3 내지 13에서 설명하는 제1 내지 제5 추가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2 진동 흡수부재(410), 완충연결부(500), 제3 진동 흡수부재(750) 등을 추가 구비하여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상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진동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간단한 기계적 구성을 취하는 방진모듈을 적용하여 지주구조물에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성분의 진동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의 성분의 진동까지 저감시키게 되어 지주구조물 자체는 물론 지주구조물에 설치된 전기/전자장비의 안정적인 기능제공을 보장하며 기타 시설물의 결합부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유지관리 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지주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은 지주구조물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너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a), 및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b)이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된 중량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은 기본 실시예와 달리 연장로드(242)가 중량부(250)를 일측에서 타측까지 관통하게 형성되고 중량부(250)의 하단에는 제2 중량부(800)와 제2 중량부(800)의 외측면에 좌우 방향으로 진동을 흡수하는 제1-2 진동 흡수부재(860)가 구비되며, 제2 진동 흡수부재(410)가 연장로드(242)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중량부(250)와 플레이트(220)의 사이와 중량부(260)와 제2 중량부(800)의 사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부(250)의 중앙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53)에 연장로드(24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연장로드(242)는 관통홀(253)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연장로드(242)와 중량부(250)는 서로 슬라이딩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제2 진동 흡수부재(410)는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중량부(250)의 상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플레이트(220)의 하단에 그 타측이 연결되며 연장로드(242)가 중앙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진동 흡수부재(410)는 중량부(250)의 하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제2 중량부(800)의 상단에 그 타측이 연결되며 연장로드(242)가 중앙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좌우 방향의 진동은 물론이거니와 연장로드(242)가 중량부(250)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되며 그 하단에 위치하는 제2 중량부(800)에 연결되는 이중 흡수 구조이므로 상하 방향의 진동까지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중량부(250)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350)의 개략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중량부(350)는 메인몸체부(351)와 메인몸체부(351)의 중앙을 일측에서 타측까지 관통하는 관통홀(353)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몸체부(351)의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돌기부(35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부(350)의 상단은 나사돌기부(354)가 조립될 수 있도록 나사돌기부(354)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350)를 두 개 이상 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지주구조물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절한 중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 때, 도 1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상단에 위치하는 중량부(350)에는 나사돌기부(354)가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2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a), 및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b)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은 제2 진동 흡수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 (a)를 참조하면 제2 진동 흡수부재(410)는 플레이트(220)와 중량부(250)의 사이에 구비되어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에 따른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진동 흡수부재(410)는 중량부(250)의 상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그 타측은 플레이트(220)의 하측면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3 (b)를 참조하면 제2진동 흡수부재(41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진동 흡수부재(410)는 연장로드(242)를 중앙에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 진동 흡수부재(410)가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제2 진동 흡수부재(410)의 타측이 플레이트(220)의 하측면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2 진동 흡수부재(410)는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제2 진동 흡수부재(410)는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2 진동 흡수부재(410)가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상하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능력은 감소하고 좌우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제2 진동 흡수부재(410)의 타측이 플레이트(220)의 하측면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되는 장소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진동이 각각 발생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는 각 장소에 맞게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3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a), 및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b)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3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완충연결부의 여러 실시예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은 제2 진동 흡수부재(410)는 플레이트(220)와 중량부(250)의 사이에 구비되되, 그 일측은 중량부(250)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플레이트(22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완충연결부(5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완충연결부(500)는 도면에는 고정턱(215)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배치되는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레이트(220)의 하측면을 포함한 플레이트(220)와 고정턱(215)의 인접한 일측 어느 곳에도 배치될 수 있다.
완충연결부(500)는 케이스, 보조 중량부(550) 및 보조 진동 흡수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일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제2 진동 흡수부재(410)가 간섭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구(530), 개구(530)를 형성하는 걸림부(510), 케이스의 좌우 측에 해당하여 후술하는 보조 진동 흡수부재(540)가 연결되는 측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중량부(550)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2 진동 흡수부재(410)에 연결되어 진동 발생에 따라 케이스의 내부에서 진동을 흡수하며 이동될 수 있다. 보조 중량부(550)의 측면에는 보조 중량부(550)와 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 중량부(550)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보조 진동 흡수부재(5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5 (a)는 완충연결부(5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연결부(500)는 케이스가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구비되되 플레이트(220)의 가장자리의 곡률에 대응되는 소정의 곡률을 가져 전체적으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530)가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상면이 플레이트(220)의 하측면과 마주보도록 결합하여 개구(530)가 측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 케이스의 후면이 플레이트(220)의 하측면과 마주보도록 결합하여 개구(530)가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5 (b)는 완충연결부(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연결부(500)는 전체적으로 원형에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연결부(500)는 그 후면이 플레이트(220)의 하측면과 마주보도록 결합하여 개구(530)가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연결부(500)는, 상하 방향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제2 진동 흡수부재(4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 또는 플레이트(220)의 둘레방향에 따른 진동까지 흡수할 수 있도록 제2 진동 흡수부재(410)를 보조하여 거의 모든 방향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완충연결부(500)는 플레이트(220)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곳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구비되는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 복수의 완충연결부(500)가 플레이트(220)의 중앙에 가까운 곳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진동의 세기와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진모듈이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4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a), 및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b)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은 제3 중량부(600), 제2-1 진동 흡수부재(710), 제2-2 진동 흡수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중량부(600)는 중량부(250)와 플레이트(220) 사이에 추가로 구비되어 중량부(250)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되 제2-1 진동 흡수부재(710)와 제2-2 진동 흡수부재(720)에 의해 중량부(250)에 연결됨에 따라 중량부(250)와 서로 유기적으로 흡수할 진동량을 분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1 진동 흡수부재(710)는 제3 중량부(600)와 중량부(250)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2-2 진동 흡수부재(720)는 제3 중량부(600) 플레이트(2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2-1 진동 흡수부재(710)가 수축했다가 이완하여 중량부(250)와 제3 중량부(600)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워진 후 멀어지고, 제2-2 진동 흡수부재(720)가 수축했다가 이완하여 제3 중량부(600)와 플레이트(220)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워진 후 멀어지는 제2-1 진동 흡수부재(710)와 제2-2 진동 흡수부재(720)의 순차적인 수축 이완 작용과 중간에 구비되는 완충용 제3 중량부(600)에 의하여 상하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실시예로 제2-1 진동 흡수부재(710)와 상기 제2-2 진동 흡수부재(7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각 복수개의 제2-1 진동 흡수부재(710)와 상기 제2-2 진동 흡수부재(720)는 서로 엇갈려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의 측단면도(a), 및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b)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은 상기 제4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에 제3 진동 흡수부재(7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3 중량부(600)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면이 개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홀(610)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홀(610)은 추가로 구비되는 제3 진동 흡수부재(7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진동 흡수부재(750)는 중량부(250)와 플레이트(220)의 사이에 구비되며 연통홀(610)에 수용되어 제3 중량부(60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진모듈은, 앞서 설명한 순차적인 수축, 이완의 상호작용을 하는 제2-1 진동 흡수부재(710)와 제2-2 진동 흡수부재(720)에 더하여 중량부(260)과 플레이트(220)의 사이에 직접 연결되어 수축, 이완 작용하는 제3 진동 흡수부재(7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으로 진동을 겹겹이 흡수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어 예상치를 훨씬 상회하는 심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까지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추가 실시예 내지 제5 추가 실시예는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각 실시예가 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추가 실시예와 제3 추가 실시예, 제3 추가 실시예와 제4 추가 실시예, 제3 추가 실시예와 제5 추가 실시예가 각각 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3 추가 실시예가 제4 추가 실시예에 조합되는 경우는 완충연결부(500)가 제2-2 진동 흡수부재(720)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추가 실시예가 제5 추가 실시예에 조합되는 경우는 완충연결부(500)가 제2-2 진동 흡수부재(720) 및 제3 진동 흡수부재(7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방진모듈
220: 플레이트
250: 중량부
260: 제1 진동 흡수부재
410: 제2 진동 흡수부재
500: 완충연결부
530: 개구
540: 보조 진동 흡수부재
550: 보조 중량부
600: 제3 중량부
710: 제2-1 진동 흡수부재
720: 제2-2 진동 흡수부재
800: 제2 중량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지주구조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지주구조물의 진동을 방지하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로,
    지주구조물의 내측에 상기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에 교차되어 설치되고 중앙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앙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로드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상기 연장로드의 하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중량부;
    상기 중량부의 외측면과 상기 지주구조물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 진동 흡수부재;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중량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지주구조물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진을 가능케 하는 복수의 제2 진동 흡수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진동 흡수부재는 일측이 상기 중량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완충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완충연결부는,
    상기 제2 진동 흡수부재가 간섭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2 진동 흡수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보조 중량부; 및
    상기 보조 중량부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진동 흡수부재의 방진을 보조하는 보조 진동 흡수부재
    를 포함하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연장로드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추가로 구비되는 제3 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중량부와 상기 중량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1 진동 흡수부재와 상기 제3 중량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2 진동 흡수부재
    를 포함하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진동 흡수부재와 상기 제2-2 진동 흡수부재는 서로 엇갈려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중량부는,
    상기 제3 중량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홀
    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연통홀에 수용되어 상기 제3 중량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3 진동 흡수부재
    를 더 포함하는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KR1020190071269A 2019-06-17 2019-06-17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KR10209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69A KR102097688B1 (ko) 2019-06-17 2019-06-17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69A KR102097688B1 (ko) 2019-06-17 2019-06-17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688B1 true KR102097688B1 (ko) 2020-04-06

Family

ID=7028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269A KR102097688B1 (ko) 2019-06-17 2019-06-17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6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106B1 (ko) * 2010-08-31 2011-03-14 주식회사 콘텍 제진장치가 장착된 다기능 교통 시설물
KR101316696B1 (ko) * 2012-12-28 2013-10-10 (주) 매그나텍 지주구조물용 방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106B1 (ko) * 2010-08-31 2011-03-14 주식회사 콘텍 제진장치가 장착된 다기능 교통 시설물
KR101316696B1 (ko) * 2012-12-28 2013-10-10 (주) 매그나텍 지주구조물용 방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696B1 (ko) 지주구조물용 방진장치
CN110629699B (zh) 一种道路指示牌用缓冲式连接装置
KR101066589B1 (ko)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가로 조명용 지주
CN212046909U (zh) 燃料电池车用燃料电池减震安装托盘
KR102097688B1 (ko) 지주구조물용 조립식 방진모듈
CN100519239C (zh) 汽车悬架支撑构造
CN216405070U (zh) 一种抗风抗震减振器
CN101059341A (zh) 十字线激光器
CN110661398A (zh) 一种可防震的轨道交通双向变流器的安装结构
CN110778647B (zh) 一种减震装置
KR101545652B1 (ko) 진동저감장치를 갖는 가로등주 및 그 설계방법
CN102052640B (zh) 一种用于直升机的氙灯减振装置
KR101414783B1 (ko) 내진형 가로등
CN110906122A (zh) 一种减震led显示屏
KR20070021443A (ko) 캡 리어 마운팅장치
KR20090033669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교량
KR20090033671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교량
KR101773778B1 (ko) 옥외 지주용 진동방지장치
CN213930689U (zh) 一种用于高柔路灯结构风致振动的减振装置及路灯
CN208675613U (zh) 一种具有防摔功能的控制盒
WO2018209699A1 (zh) 一种电梯曳引机构减震装置
CN112458959A (zh) 一种安防工程用多方向减震警示灯
KR200453935Y1 (ko) 스크린도어용 광고프레임 고정장치
KR102580330B1 (ko) 항공장애 표시등 전용 진동저감 연결용 구조체
KR200387103Y1 (ko) 차선규제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