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507B1 - 농작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507B1
KR102194507B1 KR1020200092408A KR20200092408A KR102194507B1 KR 102194507 B1 KR102194507 B1 KR 102194507B1 KR 1020200092408 A KR1020200092408 A KR 1020200092408A KR 20200092408 A KR20200092408 A KR 20200092408A KR 102194507 B1 KR102194507 B1 KR 102194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pport plate
branch
central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재
Original Assignee
정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재 filed Critical 정연재
Priority to KR102020009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나 가지, 토마토 등과 같은 농작물이 비바람이나 열매의 무게 등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지대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지지력을 높이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인바, 말뚝기둥(10), 가지대(20) 및 일체형으로 형성된 ㄷ자형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되, 가지대(20)의 하단부는 말뚝기둥(1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강하게 지지되고, ㄷ자형 프레임(30)에 형성된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지지력을 높이며, 말뚝기둥(10)과 ㄷ자형 프레임(30)은 말뚝기둥(10)의 삽입홈(11)에 ㄷ자형 프레임(30)의 삽입공(36)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Description

농작물 지지대{CROP SUPPORT}
본 발명은 고추나 가지, 토마토 등과 같은 농작물이 비바람이나 열매의 무게 등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가지대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지지력을 높이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나 가지, 토마토 등의 농작물은 열매가 커지면 그 무게에 의해 넘어지거나 비바람에 의해 쉽게 넘어질 우려가 있어서 지지대를 세우고, 지지대에 가지를 묶어 고정시킴으로써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농작물용 지지대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소재로서 일체로 형성된 체결구 본체(10)에 구비된 중앙 관통공과 양측의 요홈에 지지대를 삽입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양측의 요홈에 삽입되는 지지대의 말단이 중앙 관통공에 삽입되는 지지대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구조가 아니어서 지지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체결구 본체(10)가 햇빛에 노출됨에 따라 열화(劣化)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100), 가지대(200) 및 브라켓(300)으로 이루어지는데, 가지대 결합부(350)에 삽입되는 가지대(200)의 하단부가 말뚝(100)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구조가 아니어서 지지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면과 배면으로 번갈아 돌출되어 말뚝(100) 또는 가지대(200)를 감싸는 반원형의 밴드로 구성되는 말뚝 결합부(350) 및 가지대 결합부(380)의 형상이 복잡하여 그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펙(10), 연결구(30) 및 연결구(30)의 양측에 형성된 팔결합공(31)에 결합되는 양팔(20)로 이루어지되, 팔결합공(31)을 각도가 다르게 적어도 2쌍 이상 형성함으로써 양팔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한 것인데, 팔결합공(31)에 결합되는 양팔(20)의 하단이 펙(10)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지지력이 떨어지는 문제뿐만 아니라, 연결구(30)는 펙(10)이 결합되는 관통공 및 팔결합공(31)의 구성이 프레스가공으로는 제작이 불가능한 구조여서 사출성형방법으로 제조하여야 하는데 그에 따른 소재의 제약 및 제조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9597호 농작물 지지대용 일체형 체결구(2009. 3. 23.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789433호 농작물 지지대 및 이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의 제조방법(2017. 10. 23.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6217호 양팔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농작물지지대(2018. 1. 17.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지대의 하단부가 말뚝 기둥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가지대의 지지력이 강하고, 그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작업효율성이 높은 농작물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형성된 중앙관통공에 결합된 상태로 땅에 박혀 세워지는 말뚝기둥; 상기 말뚝기둥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지대; 및 상기 말뚝기둥이 결합되는 중앙관통공 및 상기 가지대가 설치되는 가지대삽입홈이 천공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지지판(31);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지지판(31)의 하측에 상부지지판(31)의 저면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하부지지판(32); 및 상기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을 연결하는 연결판(33);이 일체로 형성되는 ㄷ자형 프레임(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에는 중앙에 말뚝기둥(10)이 관통되는 중앙관통공(34)이 서로 대응되도록 천공되고, 중앙관통공(34)의 양측에는 가지대(20)가 삽입되는 가지대삽입홈(35)이 각각 대응되도록 천공되며, 상기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의 주위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도록 농작물 지지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의 가지대삽입홈(35)에 삽입되는 가지대(20)는 그 상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되 그 하단부와 말뚝기둥(10)의 외주면이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가지대(20)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에 형성된 가지대삽입홈(35)은 가지대(20)의 경사도에 맞춰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32)에 형성된 가지대삽입홈(35)에는 가지대(20)가 상부지지판(31)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37)가 상부지지판(31)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의 주위에 형성되는 플랜지는 상기 말뚝기둥(10) 또는 가지대(20)가 삽입되어 결합될 때 결합력을 높이도록 그 선단부(38)가 내측을 향해 오므려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ㄷ자형 프레임(30)의 연결판(33)은 상기 중앙관통공(34)의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또는 상기 플랜지에 외접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양측의 가지대삽입공(35)의 외접선을 잇는 선을 따라 절곡되어 연결판(33)이 형성되되, 상기 양측의 가지대삽입공(35)의 외접선을 잇는 선을 따라 절곡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관통공(34)에 삽입되는 말뚝기둥(10)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부위의 연결판(33)은 말뚝기둥(10)의 외주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프레스 가공되어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말뚝기둥(10)의 외주면에는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33)의 중앙부에는 삽입공(36)이 천공되며, 상기 삽입홈(11)과 삽입공(36)을 일치되도록 겹친 상태에서 삽입공(36)에 고정구를 결합시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뚝기둥(10)의 외주면에는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33)의 중앙부에는 삽입공(36)이 천공되며, 상기 삽입공(36)의 주위에는 상기 삽입홈(11)에 삽입되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말뚝기둥의 외주면에 가지대의 하단이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말뚝기둥 또는 가지대가 삽입되는 중앙관통공 및 가지대삽입홈의 주위에 플랜지가 형성되므로, 삽입된 말뚝기둥 및 가지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앙관통공 및 가지대삽입홈은 펀치 등에 의한 천공 가공으로 쉽게 형성될 수 있고, 버링 가공(Burring; 평판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진 펀치를 밀어 넣어서 구멍에 플랜지를 만드는 가공)에 의해 중앙관통공 및 가지대삽입홈 주위에 플랜지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ㄷ자형 프레임도 단순한 프레스 가공만으로 쉽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는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연결판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중앙관통공에 삽입되는 말뚝기둥의 외주면과 연결판의 내측면을 접하게 구성하면, 말뚝기둥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연결판의 삽입공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를 삽입시켜 쉽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용 일체형 체결구의 사용상태도와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의 결합상태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양팔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농작물지지대의 결합상태 및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를 보인 사시도 및 ㄷ자형 프레임의 세부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를 보인 사시도 및 ㄷ자형 프레임의 세부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를 보인 사시도 및 ㄷ자형 프레임의 세부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 및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을 잇는 연결판(33)을 가지는 ㄷ자형 프레임(30); 상기 ㄷ자형 프레임(30)에 결합되는 말뚝기둥(10); 및 가지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ㄷ자형 프레임(30)의 상부지지판(31) 및 하부지지판(32)의 중앙에는 중앙관통공(34)이 수직으로 천공되고, 중앙관통공(34)의 양측으로는 각각 1개씩의 가지대삽입홈(35)이 경사지게 천공되는데, 말뚝기둥(10)은 상기 중앙관통공(34)에 관통되게 결합된 상태로 지면에 박혀 세워지고, 가지대(20)는 상기 가지대삽입홈(35)에 삽입되어 그 하단부가 말뚝기둥(1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지대(20)에 농작물의 가지를 묶어 지지하게 된다.
또한, 말뚝기둥(10) 및 가지대(20)가 각각 삽입되는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은 버링 가공됨으로써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의 주위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삽입된 말뚝기둥(10) 및 가지대(2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ㄷ자형 프레임(30)은 철판의 중앙부로부터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을 펀칭 등의 1차 가공으로 천공하고, 1차 가공으로 천공된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을 버링 가공하여 그 주위에 플랜지를 형성한 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곡하여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 사이에 연결판(33)을 형성함으로써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에 형성되는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은 말뚝기둥(10) 및 가지대(20)에 각각 대응하여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일반적으로 지면에 박혀 세워짐으로써 농작물 지지대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말뚝기둥(10)은 가지대(20)보다 큰 직경의 소재로 구성한다.
또한, 경사진 가지대삽입홈(35)에 삽입되는 가지대(20)는 중앙관통공(34)에 끼워진 말뚝기둥(10)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그 하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가지대삽입홈(35)에 삽입되고 말뚝기둥(10)에 의해 지지되는 견고한 가지대(20)는 농작물의 가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버링 가공에 의해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의 주위에 형성되는 플랜지는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되도록 하거나 양쪽에 모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c)는 버링 가공에 의해 중앙관통공(34)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의 선단부(38)를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가공함으로써 중앙관통공(34)에 결합된 말뚝기둥(10)의 표면을 파고들어 결합되도록 하여 그 결합력을 높인 것이고, 이러한 구성은 가지대삽입홈(35)의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가지대(20)를 지지하는 다른 구성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판(32)에 형성된 가지대삽입홈(35)에는 가지대(2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37)를 포함하고, 고정돌기(37)는 파이프형 소재로 제조된 가지대(20)의 내측 통공에 삽입되어 가지대(20)를 고정하며, 가지대삽입홈(35) 주위의 플랜지가 가지대(20) 외주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가지대(20)의 하단부는 말뚝기둥(10)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ㄷ자형 프레임(30)에 말뚝기둥(10)을 고정하는 구성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뚝기둥(10)의 외주면에 삽입홈(11)을 형성하고, ㄷ자형 프레임(30)의 연결판(33)에 상기 삽입홈(11)에 대응되는 삽입공(36)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11)과 삽입공(36)이 일치되도록 겹친 상태에서 소정의 고정구를 결합시켜 고정한다. 이때, 연결판(33)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선이 중앙관통공(34)의 플랜지로부터 소정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말뚝기둥(10)과 연결판(33)을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고정나사나 핀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연결판(33)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선이 중앙관통공(34)의 플랜지에 외접하는 경우와 중앙관통공(34)보다 직경이 작은 양측의 가지대삽입홈(35)의 플랜지에 외접하는 선을 잇는 선을 따라 절곡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공(36)을 버링 가공하여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공(36)의 플랜지가 상기 삽입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 양측의 가지대삽입홈(35)의 플랜지에 외접하는 선을 잇는 선을 따라 절곡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관통공(34)에 삽입되는 말뚝기둥(10)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부위의 연결판(33)을 말뚝기둥(10)의 외주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프레스 가공하여 원호형으로 형성하여야 하고, 상기 절곡에 의해 연결판(33) 상에 위치하게 되는 플랜지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말뚝 기둥(10)의 삽입홈(11)의 중심을 지나는 유도선이 말뚝기둥(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연결판(33)의 삽입공(36)의 중심을 지나는 유도선이 연결판(33)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말뚝 기둥(10)을 ㄷ자형 프레임(30)의 중앙관통공(34)에 결합시킬 때 삽입홈(11)과 삽입공(36)의 위치를 쉽게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말뚝기둥
11: 삽입홈
20: 가지대
30: ㄷ자형 프레임
31: 상부지지판
32: 하부지지판
33: 연결판
34 : 중앙관통공
35 : 가지대삽입홈
36 : 삽입공
37 : 고정돌기

Claims (7)

  1. 프레임에 형성된 중앙관통공에 결합된 상태로 땅에 박혀 세워지는 말뚝기둥; 상기 말뚝기둥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지대; 및 상기 말뚝기둥이 결합되는 중앙관통공 및 상기 가지대가 설치되는 가지대삽입홈이 천공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지지판(31);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지지판(31)의 하측에 상부지지판(31)의 저면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하부지지판(32); 및 상기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을 연결하는 연결판(33);이 일체로 형성되는 ㄷ자형 프레임(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에는 중앙에 말뚝기둥(10)이 관통되는 중앙관통공(34)이 서로 대응되도록 천공되고, 중앙관통공(34)의 양측에는 가지대(20)가 삽입되는 가지대삽입홈(35)이 각각 대응되도록 천공되며,
    상기 말뚝 기둥(10)을 상기 ㄷ자형 프레임(30)의 중앙관통공(34)에 결합시킬 때 상기 말뚝 기둥(10)에 형성된 삽입홈(11)과 상기 ㄷ자형 프레임(30)의 연결판(33)에 형성된 삽입공(36)의 위치를 쉽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11)의 중심을 지나는 유도선이 말뚝기둥(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36)의 중심을 지나는 유도선이 연결판(33)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의 주위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의 가지대삽입홈(35)에 삽입되는 가지대(20)는 그 상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되 그 하단부와 말뚝기둥(10)의 외주면이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가지대(20)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판(31)과 하부지지판(32)에 형성된 가지대삽입홈(35)은 가지대(20)의 경사도에 맞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32)에 형성된 가지대삽입홈(35)에는 가지대(20)가 상부지지판(31)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37)가 상부지지판(31)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통공(34) 및 가지대삽입홈(35)의 주위에 형성되는 플랜지는 그 선단부(38)가 내측을 향해 오므려지게 형성되어 상기 말뚝기둥(10) 또는 가지대(20)가 삽입되어 결합될 때 결합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프레임(30)의 연결판(33)은 상기 중앙관통공(34)의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로부터 이격 또는 상기 플랜지에 외접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양측의 가지대삽입공(35)의 외접선을 잇는 선을 따라 절곡되어 연결판(33)이 형성되되, 상기 양측의 가지대삽입공(35)의 외접선을 잇는 선을 따라 절곡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관통공(34)에 삽입되는 말뚝기둥(10)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부위의 연결판(33)은 말뚝기둥(10)의 외주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기둥(10)의 외주면에는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33)의 중앙부에는 삽입공(36)이 천공되며,
    상기 삽입홈(11) 및 삽입공(36)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36)에 고정구를 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기둥(10)의 외주면에는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33)의 중앙부에는 삽입공(36)이 천공되며, 상기 삽입공(36)의 주위에는 상기 삽입홈(11)에 삽입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KR1020200092408A 2020-07-24 2020-07-24 농작물 지지대 KR102194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408A KR102194507B1 (ko) 2020-07-24 2020-07-24 농작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408A KR102194507B1 (ko) 2020-07-24 2020-07-24 농작물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507B1 true KR102194507B1 (ko) 2020-12-23

Family

ID=7408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408A KR102194507B1 (ko) 2020-07-24 2020-07-24 농작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859A (ko) * 2021-07-16 2023-01-26 박준호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100U (ko) * 2008-01-04 2008-01-23 이종웅 파이프 연결용 고정구
KR20090029597A (ko) 2007-09-18 2009-03-23 안덕기 농작물 지지대용 일체형 체결구
KR101789433B1 (ko) 2016-07-14 2017-10-23 장병호 농작물 지지대 및 이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의 제조방법
KR20180006217A (ko) 2016-07-08 2018-01-17 김선화 양팔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농작물지지대
KR20200078244A (ko) * 2018-12-21 2020-07-01 최병옥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597A (ko) 2007-09-18 2009-03-23 안덕기 농작물 지지대용 일체형 체결구
KR20080000100U (ko) * 2008-01-04 2008-01-23 이종웅 파이프 연결용 고정구
KR20180006217A (ko) 2016-07-08 2018-01-17 김선화 양팔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농작물지지대
KR101789433B1 (ko) 2016-07-14 2017-10-23 장병호 농작물 지지대 및 이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의 제조방법
KR20200078244A (ko) * 2018-12-21 2020-07-01 최병옥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859A (ko) * 2021-07-16 2023-01-26 박준호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
KR102611180B1 (ko) * 2021-07-16 2023-12-07 박준호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3839A (en) Tree support
KR102194507B1 (ko) 농작물 지지대
RU2010104677A (ru) Решетчатый желоб, соединение решетчатых желобов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решетчатого желоба
KR10157928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장치
CN208047465U (zh) 一种可移动式甘蔗防倒伏支架
KR100818715B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200477647Y1 (ko)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CN208462524U (zh) 一种避免作物倒伏的装置
CN207969443U (zh) 一种单排甘蔗支撑架
KR200429769Y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ES1069817U (es) Dispositivo de sujecion y guia para forzar el crecimiento vertical de las cepas de vid.
KR20100113234A (ko) 과실수용 수목지지구
AU2017204039B2 (en) A Trellis Component.
KR20210136658A (ko) 과실나무 가지용 지주 캡
KR102580390B1 (ko) 농작물 지지장치
KR102611180B1 (ko)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
KR101389271B1 (ko) 와이어 펜스 고정장치
KR20220076159A (ko) 농작물 지지대
CN212184377U (zh) 一种辅助甘蔗成排竖直生长的支架
EP2468089A1 (en) Support post assembly, particularly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KR20230001641U (ko) 지주대용 와이어 고정 장치
KR19990046533A (ko) 과수재배용철선지지지지대
KR102662772B1 (ko)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
FR2887398A1 (fr) Attache pour la culture de la vigne avec zone de blocage
CN209234308U (zh) 果实摘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