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772B1 -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 - Google Patents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772B1
KR102662772B1 KR1020240017740A KR20240017740A KR102662772B1 KR 102662772 B1 KR102662772 B1 KR 102662772B1 KR 1020240017740 A KR1020240017740 A KR 1020240017740A KR 20240017740 A KR20240017740 A KR 20240017740A KR 102662772 B1 KR102662772 B1 KR 10266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binding surface
crop
fi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진
Original Assignee
안수진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진 filed Critical 안수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Abstract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이 개시된다. 상기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크구간 및 상기 아크구간 양측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선형구간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용부; 상기 제1 선형구간의 말단에서 가로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선형구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선형구간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줄걸이부; 상기 제2 선형구간의 말단에서 수평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절곡연장부; 상기 절곡연장부의 ㄱ자 형상의 말단에서 상기 제2 선형구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선형구간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ㄱ자 형상의 말단의 절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 줄걸이부; 상기 제1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1 선형구간 및 상기 제1 줄걸이부 사이의 제1 간격을 향하는 제1 줄결속면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간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줄이탈방지부; 상기 제2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2 선형구간 및 상기 제2 줄걸이부 사이의 제2 간격을 향하는 제2 줄결속면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2 간격을 향해 돌출되는 제2 줄이탈방지부; 상기 제1 줄이탈방지부 아래에서, 상기 제1 줄결속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줄끼움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 톱니형 돌출부; 상기 제1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1 줄결속면에 직교하는 제1 직교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줄끼움보조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2 톱니형 돌출부; 상기 제1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1 줄결속면에 직교하며 상기 제1 직교측면과 마주하면서 상기 제2 줄걸이부가 돌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직교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줄끼움보조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3 톱니형 돌출부; 및 상기 제2 줄이탈방지부 아래에서, 상기 제2 줄결속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줄끼움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Crop growth guide clip}
본 발명은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의 줄기를 쓰러짐 없이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에 관한 것이다.
오이, 토마토, 가지, 고추, 토마토 등은 주로 비닐하우스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생산되는 농작물이며, 이러한 농작물은 줄기가 성장되면서 열매를 맺는다.
이러한 농작물 중 나무가 얇아서 쓰러지기 쉬운 농작물의 경우, 농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농작물 사이로 말뚝을 세우고, 각 말뚝에 줄을 묶어서 농작물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줄이 위치하도록 하여 농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줄을 설치함에 있어서 사람이 줄을 각각의 말뚝에 묶는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등록실용 제20-0338862호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에 의하면, 줄에 결속되는 결속력이 향상되어 견고한 고정을 통해 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시 농작물의 줄기를 쓰러짐 없이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고, 줄을 삽입하여 결속하는 과정이 용이하도록 한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크구간 및 상기 아크구간 양측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선형구간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용부; 상기 제1 선형구간의 말단에서 가로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선형구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선형구간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줄걸이부; 상기 제2 선형구간의 말단에서 수평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절곡연장부; 상기 절곡연장부의 ㄱ자 형상의 말단에서 상기 제2 선형구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선형구간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ㄱ자 형상의 말단의 절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 줄걸이부; 상기 제1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1 선형구간 및 상기 제1 줄걸이부 사이의 제1 간격을 향하는 제1 줄결속면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간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줄이탈방지부; 상기 제2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2 선형구간 및 상기 제2 줄걸이부 사이의 제2 간격을 향하는 제2 줄결속면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2 간격을 향해 돌출되는 제2 줄이탈방지부; 상기 제1 줄이탈방지부 아래에서, 상기 제1 줄결속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줄끼움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 톱니형 돌출부; 상기 제1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1 줄결속면에 직교하는 제1 직교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줄끼움보조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2 톱니형 돌출부; 상기 제1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1 줄결속면에 직교하며 상기 제1 직교측면과 마주하면서 상기 제2 줄걸이부가 돌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직교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줄끼움보조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3 톱니형 돌출부; 및 상기 제2 줄이탈방지부 아래에서, 상기 제2 줄결속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줄끼움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줄결속면은 상기 제2 줄이탈방지부로부터 상기 절곡연장부를 향해 하향 경사져서 상기 제2 선형구간과의 사이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는 상기 제2 줄결속면의 경사를 따라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줄끼움홈은 상기 제2 줄결속면의 아래로 갈수록 상기 제2 선형구간과 가까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U자 형상을 평면으로 하여 볼 때, 상기 아크구간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사각의 제1 삽입구멍을 갖는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 상기 아크구간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며, 사각의 제2 삽입구멍을 갖는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선형구간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탄성밴드부 및 상기 탄성밴드부의 일 말단에 연결되고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농작물 줄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밴드부의 일 말단의 반대편의 타 말단이 상기 농작물 수용부의 U자 형상의 내측 방향에서 상기 제1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에 체결된 후 상기 아크구간의 하면 방향으로 밴딩되면서 상기 제2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에 체결되어, 상기 농작물 줄기 지지부가 상기 U자 형상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농작물 수용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는 상기 아크구간의 상면에 마주하는 상기 제1 삽입구멍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밴드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는 상기 아크구간의 하면에 마주하는 상기 제2 삽입구멍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밴드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부는 일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밴드체결돌기 및 상기 제2 밴드체결돌기와 평행한 터널체결돌기가 연속 형성되며, 상기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밴드부가 상기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 및 상기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에 체결될 때 상기 제1 밴드체결돌기 및 상기 제2 밴드체결돌기가 상기 연속된 터널체결돌기들 사이에 체결되면서 체결되며, 상기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밴드부의 말단을 상기 U자 형상의 내측으로 당기거나 상기 농작물 줄기 지지부를 상기 U자 형상의 내측으로 당겨서 상기 농작물 줄기 지지부가 상기 U자 형상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에 의하면, 줄에 결속되는 결속력이 향상되어 견고한 고정을 통해 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시 농작물의 줄기를 쓰러짐 없이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고, 줄을 삽입하여 결속하는 과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이 줄에 결속되어 농작물의 줄기를 둘러싼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줄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톱니형 돌출부를 경유하여 줄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이 줄에 결속되어 농작물의 줄기를 둘러싼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줄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톱니형 돌출부를 경유하여 줄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은 농작물 수용부(101), 수평연장부(102), 제1 줄걸이부(103), 절곡연장부(104), 제2 줄걸이부(105), 제1 줄이탈방지부(106), 제2 줄이탈방지부(107), 다수의 제1 톱니형 돌출부(108), 다수의 제2 톱니형 돌출부(110), 다수의 제3 톱니형 돌출부(112),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농작물 수용부(101)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크구간(1011) 및 아크구간(1011) 양측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선형구간(10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연장부(102)는 제1 선형구간(1012)의 말단에서 가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줄걸이부(103)는 수평연장부(102)의 말단으로부터 제1 선형구간(1012)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1 선형구간(1012)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절곡연장부(104)는 제2 선형구간(1013)의 말단에서 수평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줄걸이부(105)는 절곡연장부(104)의 ㄱ자 형상의 말단에서 제2 선형구간(1013)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2 선형구간(1013)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ㄱ자 형상의 말단의 절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줄이탈방지부(106)는 제1 줄걸이부(103)에서 제1 선형구간(1012) 및 제1 줄걸이부(103) 사이의 제1 간격(11)을 향하는 제1 줄결속면(1031)의 상부로부터 제1 간격(1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줄이탈방지부(107)는 제2 줄걸이부(105)에서 제2 선형구간(1013) 및 제2 줄걸이부(105) 사이의 제2 간격(12)을 향하는 제2 줄결속면(1051)의 상부로부터 제2 간격(1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톱니형 돌출부(108)는 제1 줄이탈방지부(106) 아래에서, 제1 줄결속면(1031)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줄결속면(10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줄끼움홈(109)을 형성하도록 제1 줄결속면(10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톱니형 돌출부(110)는 제1 줄걸이부(103)에서 제1 줄결속면(1031)에 직교하는 제1 직교측면(1032)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직교측면(10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줄끼움보조홈(111)을 형성하도록 제1 직교측면(10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제3 톱니형 돌출부(112)는 제1 줄걸이부(103)에서 제1 줄결속면(1031)에 직교하며 제1 직교측면(1032)과 마주하면서 제2 줄걸이부(105)가 돌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직교측면(1033)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직교측면(10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줄끼움보조홈(113)을 형성하도록 제2 직교측면(10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114)는 제2 줄이탈방지부(107) 아래에서, 제2 줄결속면(1051)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줄결속면(10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줄끼움홈(115)을 형성하도록 제2 줄결속면(10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제2 줄결속면(1051)은 제2 줄이탈방지부(107)로부터 절곡연장부(104)를 향해 하향 경사져서 제2 선형구간(1013)과의 사이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114)는 제2 줄결속면(1051)의 경사를 따라 배열되어 다수의 제2 줄끼움홈(115)은 제2 줄결속면(1051)의 아래로 갈수록 제2 선형구간(1013)과 가까워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은 농작물 성장 유도를 위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추의 성장 유도, 즉 고추 포기가 쓰러지지 않도록 고추 포기들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말뚝을 박고 각각의 말뚝에 줄을 엮어가면서 고추 포기들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줄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을 줄에 결속하여 고추 포기들이 쓰러지지 않고 성장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이 농작물의 줄기를 감싸면서 줄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농작물 수용부(101)의 U자 형상의 내측이 농작물의 줄기(2)를 둘러싸도록 위치시킨 후, 제1 간격(11)의 내측으로 줄(1)의 일부분을 삽입한다. 이때, 제1 간격(11) 내로 삽입되는 줄(1)의 일부분은 제1 줄걸이부(103)의 제1 줄이탈방지부(106) 아래로 삽입되면서 다수의 제1 톱니형 돌출부(108)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줄끼움홈(109)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1 톱니형 돌출부(108) 사이에 끼워지고, 이와 함께 제1 줄결속면(1031)에 직교하는 제1 직교측면(1032)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 톱니형 돌출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줄끼움보조홈(111)에 삽입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1 줄끼움보조홈(111) 사이에 추가로 끼워져서 제1 간격(11)의 내측으로 삽입된 줄(1)의 일부분이 결속 및 고정된다.
이어서, 제1 간격(11) 내로 삽입된 줄(1)의 농작물 수용부(10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농작물 수용부(101)의 제1 및 제2 선형구간(1013)을 가로질러서 제2 간격(12)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때 줄(1)의 다른 일부분은 제2 줄걸이부(105)의 제2 줄이탈방지부(107) 아래로 삽입되면서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114)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제2 줄끼움홈(115)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4 톱니형 돌출부(114) 사이에 끼워져서 제2 간격(12)의 내측으로 삽입된 줄(1)이 결속 및 고정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한편, 줄(1)은 다수의 제3 톱니형 돌출부(112), 다수의 제1 톱니형 돌출부(108),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114)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줄(1)이 다수의 제3 톱니형 돌출부(112)의 위로 위치하도록 한 후, 농작물 수용부(101)의 U자 형상의 내측이 농작물의 줄기(2)를 둘러싸도록 하고, 제1 간격(11)의 내측으로 줄(1)의 일부분을 삽입한다. 이때, 제1 간격(11)의 외측에서 줄(1)은 다수의 제3 톱니형 돌출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제2 줄끼움보조홈(11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3 톱니형 돌출부(112) 사이에 끼워지고, 이와 함께 줄(1)은 제1 간격(11)의 내에서는 제1 줄걸이부(103)의 제1 줄이탈방지부(106) 아래로 삽입되면서 다수의 제1 톱니형 돌출부(108)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줄끼움홈(109)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1 톱니형 돌출부(108)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어서, 제1 간격(11) 내에 삽입된 줄(1)의 농작물 수용부(10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농작물 수용부(101)의 제1 선형구간(1012)을 가로질러서 농작물 수용부(101)의 U자 형상의 내측으로 진입한 후 제2 선형구간(1013)을 가로지르면서 제2 간격(1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줄(1)의 다른 일부분은 제2 줄걸이부(105)의 제2 줄이탈방지부(107) 아래로 삽입되면서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114)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제2 줄끼움홈(115)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4 톱니형 돌출부(114) 사이에 끼워져서 제2 간격(12)의 내측으로 삽입된 줄(1)이 결속 및 고정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러한 과정들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이 줄(1)에 견고히 고정되며, 줄(1)에 고정된 상태에서 농작물의 줄기(2)를 농작물 수용부(101)의 U자 형상 내에 가두면서 줄(1)과 함께 농작물의 줄기(2)가 쓰러지지 않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줄(1)이 제2 간격(12) 내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과정에서 제2 줄걸이부(105)의 제2 줄결속면(1051)은 제2 줄이탈방지부(107)로부터 절곡연장부(104)를 향해 하향 경사져서 제2 선형구간(1013)과의 사이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다수의 제2 줄끼움홈(115)은 제2 줄결속면(1051)의 아래로 갈수록 제2 선형구간(1013)과 가까워지므로 줄(1)의 굵기에 따라 줄(1)이 제2 줄끼움홈(115)에 끼워지는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제2 줄결속면(1051)의 경사의 최저 위치에서 줄(1)을 끼우면 줄(1)이 더욱 견고하게 결속되므로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이 줄(1)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을 줄(1)에 결속할 때 줄(1)을 삽입하는 방향의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즉, 제1 줄걸이부(103)에는 제1 간격(11) 내의 다수의 제1 톱니형 돌출부(108)가 형성되고, 다수의 제1 톱니형 돌출부(108)에 각각 직교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 톱니형 돌출부(110) 및 다수의 제3 톱니형 돌출부(112)가 형성되므로 제1 간격(11) 내로 줄(1)을 삽입하는 방향의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은 줄(1)에 결속되는 결속력이 향상되어 견고한 고정을 통해 줄(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시 농작물의 줄기(2)를 쓰러짐 없이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고, 줄(1)을 삽입하여 결속하는 과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은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10),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20) 및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10),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20) 및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23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10)는 농작물 수용부(101)의 U자 형상을 평면으로 볼 때, 농작물 수용부(101)의 아크구간(101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사각의 제1 삽입구멍(211)을 가질 수 있다.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20)는 농작물 수용부(101)의 U자 형상을 평면으로 볼 때, 농작물 수용부(101)의 아크구간(101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며, 사각의 제2 삽입구멍(221)을 가질 수 있다.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230)는 농작물 수용부(101)의 제1 및 제2 선형구간(1013)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탄성밴드부(231) 및 탄성밴드부(231)의 일 말단에 연결되고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농작물 줄기 지지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10)는 아크구간(1011)의 상면에 마주하는 제1 삽입구멍(2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밴드체결돌기(212)를 더 포함하고,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20)는 아크구간(1011)의 하면에 마주하는 제2 삽입구멍(22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밴드체결돌기(222)를 더 포함하고, 탄성밴드부(231)는 일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밴드체결돌기(212) 및 제2 밴드체결돌기(222)와 평행한 터널체결돌기(2311)가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의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230)는 탄성밴드부(231)의 일 말단의 반대편의 타 말단이 농작물 수용부(101)의 U자 형상의 내측 방향에서 제1 삽입구멍(211)에 삽입되어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10)에 체결된 후 아크구간(1011)의 하면 방향으로 밴딩되면서 제2 삽입구멍(221)에 삽입되어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20)에 체결되어, 농작물 줄기 지지부(232)가 U자 형상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농작물 수용부(10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탄성밴드부(231)가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10) 및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220)에 체결될 때 제1 밴드체결돌기(212) 및 제2 밴드체결돌기(222)가 연속된 터널체결돌기(2311)들 사이에 체결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230)가 농작물 수용부(101)에 체결된 상태에서, 농작물 줄기 지지부(232)가 농작물 수용부(101)의 U자 형상의 내측에 위치하여 농작물 수용부(101)로 둘러싸인 농작물의 줄기(2)를 감싸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농작물 줄기(2)가 농작물 수용부(101)의 아크구간(1011)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이 줄(1)에 결속된 상태에서 얇은 줄기(2)의 경우에는 농작물 수용부(101)의 아크구간(1011)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되는데, 이때 이격된 공간에 의해 농작물의 줄기(2)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농작물의 줄기(2)가 기울어지는 경우 줄기(2)가 곧게 뻗어서 성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농작물 줄기 지지부(232)가 농작물 수용부(101)의 U자 형상의 내측에 위치하여 농작물 수용부(101)로 둘러싸인 농작물의 줄기(2)를 감싸서 지지하면 농작물의 줄기(2)가 기울어지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하여 농작물의 줄기(2)의 더욱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농작물의 줄기(2)의 두께 또는 위치에 따라 농작물 줄기 지지부(232)의 위치를 조절하여 농작물의 줄기(2)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탄성밴드부(231)의 말단을 농작물 수용부(101)의 U자 형상의 내측으로 당기거나 농작물 줄기 지지부(232)를 U자 형상의 내측으로 당겨서 농작물 줄기 지지부(232)가 U자 형상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농작물의 줄기(2)의 서로 다른 두께 또는 농작물 수용부(101) 내에서의 줄기(2)의 위치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농작물의 줄기(2)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크구간 및 상기 아크구간 양측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선형구간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용부;
    상기 제1 선형구간의 말단에서 가로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선형구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선형구간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줄걸이부;
    상기 제2 선형구간의 말단에서 수평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절곡연장부;
    상기 절곡연장부의 ㄱ자 형상의 말단에서 상기 제2 선형구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선형구간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ㄱ자 형상의 말단의 절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 줄걸이부;
    상기 제1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1 선형구간 및 상기 제1 줄걸이부 사이의 제1 간격을 향하는 제1 줄결속면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간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줄이탈방지부;
    상기 제2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2 선형구간 및 상기 제2 줄걸이부 사이의 제2 간격을 향하는 제2 줄결속면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2 간격을 향해 돌출되는 제2 줄이탈방지부;
    상기 제1 줄이탈방지부 아래에서, 상기 제1 줄결속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줄끼움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 톱니형 돌출부;
    상기 제1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1 줄결속면에 직교하는 제1 직교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줄끼움보조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2 톱니형 돌출부;
    상기 제1 줄걸이부에서 상기 제1 줄결속면에 직교하며 상기 제1 직교측면과 마주하면서 상기 제2 줄걸이부가 돌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직교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줄끼움보조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직교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3 톱니형 돌출부; 및
    상기 제2 줄이탈방지부 아래에서, 상기 제2 줄결속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줄끼움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줄결속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줄결속면은 상기 제2 줄이탈방지부로부터 상기 절곡연장부를 향해 하향 경사져서 상기 제2 선형구간과의 사이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4 톱니형 돌출부는 상기 제2 줄결속면의 경사를 따라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줄끼움홈은 상기 제2 줄결속면의 아래로 갈수록 상기 제2 선형구간과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자 형상을 평면으로 하여 볼 때,
    상기 아크구간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사각의 제1 삽입구멍을 갖는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
    상기 아크구간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며, 사각의 제2 삽입구멍을 갖는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선형구간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탄성밴드부 및 상기 탄성밴드부의 일 말단에 연결되고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농작물 줄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밴드부의 일 말단의 반대편의 타 말단이 상기 농작물 수용부의 U자 형상의 내측 방향에서 상기 제1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에 체결된 후 상기 아크구간의 하면 방향으로 밴딩되면서 상기 제2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에 체결되어, 상기 농작물 줄기 지지부가 상기 U자 형상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농작물 수용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는 상기 아크구간의 상면에 마주하는 상기 제1 삽입구멍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밴드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는 상기 아크구간의 하면에 마주하는 상기 제2 삽입구멍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밴드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부는 일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밴드체결돌기 및 상기 제2 밴드체결돌기와 평행한 터널체결돌기가 연속 형성되며,
    상기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밴드부가 상기 제1 탄성클립 삽입터널부 및 상기 제2 탄성클립 삽입터널부에 체결될 때 상기 제1 밴드체결돌기 및 상기 제2 밴드체결돌기가 상기 연속된 터널체결돌기들 사이에 체결되면서 체결되며,
    상기 농작물 줄기 보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밴드부의 말단을 상기 U자 형상의 내측으로 당기거나 상기 농작물 줄기 지지부를 상기 U자 형상의 내측으로 당겨서 상기 농작물 줄기 지지부가 상기 U자 형상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
KR1020240017740A 2024-02-05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 KR102662772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772B1 true KR102662772B1 (ko) 2024-05-03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47Y1 (ko) 2018-03-09 2019-08-20 주식회사 명산테크 농작물 줄기지지용 체결구
KR102516269B1 (ko) 2022-08-20 2023-03-30 윤진우 농작물 줄기 고정용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47Y1 (ko) 2018-03-09 2019-08-20 주식회사 명산테크 농작물 줄기지지용 체결구
KR102516269B1 (ko) 2022-08-20 2023-03-30 윤진우 농작물 줄기 고정용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534B1 (en) Spiral plant support
US4649666A (en) Self-stabilizing tree support assemblies
CN103477117B (zh) 地面稳定设备及包含其的地面稳定组件
US6435478B2 (en) Systems for positioning and tensioning wires in trellis systems for vineyards
US6454244B1 (en) Trellis post and method of holding tensioned wires
US6138407A (en) Cross arm and trellis apparatus and method
KR102662772B1 (ko) 농작물 성장 가이드 클립
US20130118069A1 (en) Vine training system
KR101840861B1 (ko) 식물 지지용 클립
US5893456A (en) Typing and fastening device
KR20230083120A (ko)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KR102194507B1 (ko) 농작물 지지대
US11029004B2 (en) No wrap strap for decorative Christmas lights
US2788615A (en) Trellis
KR940005135Y1 (ko) 농작물 지지대
KR101943092B1 (ko) 식물 줄기 지지용 집게
JP3111056U (ja) ツリープロテクタの保持具
JP2008224023A (ja) 紐状体固定用クリップ
US20190150374A1 (en) Plant Support
WO2018011797A1 (en) Arched stem support
KR20220000637U (ko) 작물 성장 유도용 줄 연결구
JP3152804U (ja) 添え木
KR102427311B1 (ko) 고추끈 결속장치
KR200497717Y1 (ko) 도로 중앙분리대 설치용 이중 화분
KR102290692B1 (ko) 인삼재배용 차광부재 고정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