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120A -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120A
KR20230083120A KR1020210171239A KR20210171239A KR20230083120A KR 20230083120 A KR20230083120 A KR 20230083120A KR 1020210171239 A KR1020210171239 A KR 1020210171239A KR 20210171239 A KR20210171239 A KR 20210171239A KR 20230083120 A KR20230083120 A KR 20230083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uide strap
guide
crop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수
조연석
Original Assignee
김만수
조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수, 조연석 filed Critical 김만수
Priority to KR1020210171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120A/ko
Publication of KR2023008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6Wirespool suppo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농작물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가이드끈을 지주대에 고정할 수 있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는, 경작지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대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지지하는 가이드끈을 고정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장장치에 있어서, 플레이트가 'Ω' 형상으로 굴절되어 형성되어 일측에 지주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지주대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결합되는 고정클립과, 삽입구를 형성하는 고정클립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고정부와, 탄성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끈을 지지하는 연장바를 포함하는 고정행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crops guide rope}
본 발명은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가이드끈을 지주대에 고정할 수 있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키가 작고 약한 줄기로 형성되는 고추, 가지, 참깨 등과 같은 작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작물이 수직하게 잘 자라도록 가이드하는 지주대 혹은 가이드끈이 필요하다. 지주대는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하여 농작물의 줄기가 지주대를 따라 수직하게 성장하며 외력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다만, 농작물이 한 줄기로 자라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줄기로 펼쳐지며 열매를 맺으며 자라는 경우 지주대 주변으로 가이드끈을 설치하여 가이드끈 내측 영역의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즉,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은 농작물 주변을 둘러싸며 농작물의 줄기나 열매가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끈으로 농작물을 지지함으로써 재배와 수확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끈은 다양한 브라켓에 의해 지주대에 고정될 수 있다. 종래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는 주로 지주대에 결합되는 브라켓 형상으로, 브라켓에 가이드끈을 직접 묶어서 사용하는 구조였다. 이러한 종래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는, 브라켓을 지주대에 결합한 후 한 쌍의 가이드끈을 브라켓에 감아 고정하는 구조로, 가이드끈 사이의 간격이 좁은 문제가 있었다. 가이드끈 사이 간격이 좁으면, 농작물의 줄기는 고정하되 열매들은 고정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의 양단을 수평하게 연장시켜 넓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구조의 가이드끈 고정장치가 개발되었으나, 브라켓의 하중이 증가하여 지주대에 단단히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6349호 (2013. 04. 0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농작물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가이드끈을 지주대에 고정할 수 있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는, 경작지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대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지지하는 가이드끈을 고정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장장치에 있어서, 플레이트가 굴절되어 일측에 상기 지주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결합되는 고정클립, 상기 삽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고정클립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고정부와, 상기 탄성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끈을 지지하는 연장바를 포함하는 고정행거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지주대의 외면을 감싸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단부가 상기 삽입구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각각 굴절되어 형성되어 상기 탄성고정부가 결합되는 굴절홈을 형성하는 굴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은 플레이트가 'Ω' 형상으로 굴절되어 상기 밴드부와 상기 굴절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는, 탄성을 갖는 와이어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와 일체로 형성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 양측의 상기 굴절홈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부를 상기 지주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굴절부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장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굴절부의 내측면 중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삽입구를 향하여 굴절되어 상기 지주대를 가압 고정하는 돌출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고정부는, 상기 삽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밴드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예각으로 굴절되어 끝단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고정행거는, 상기 탄성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장바가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 끝단부에 상기 가이드끈이 고정되는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농작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끈을 지주대로부터 먼 거리에 고정이 가능하여 넓은 영역에 대한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행거를 가이드끈을 고정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고정클립의 지주대에 대한 결합력을 강화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고정클립이 지주대에 단단히 결합되어 무거운 하중도 지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고정클립만을 지주대에 결합한 상태로 농작물의 줄기를 고정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농작물이 자라나 열매가 맺히게 되면 추가로 고정행거를 고정클립에 설치하여 열매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의 사시도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의 결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는, 경작지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대(A)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지지하는 가이드끈(B)을 고정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에 있어서, 플레이트가 'Ω' 형상으로 굴절되어 형성되어 일측에 지주대(A)가 삽입되는 삽입구(101)가 형성되고 지주대(A)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결합되는 고정클립(100)과, 삽입구(101)를 형성하는 고정클립(100)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고정부(210)와, 탄성고정부(210)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끈(B)을 지지하는 연장바(220)를 포함하는 고정행거(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는, 경작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대(A)에 결합되어 농작물의 성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끈(B)을 지지할 수 있다. 지주대(A)는 농작물이 심어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지주대(A)는 일직선의 축 형상으로, 원형 혹은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끈(B)은 복수 개의 지주대(A)를 따라 연장되며, 각각의 지주대(A)에 결합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끈(B)은 주로 중심에 지주대(A)를 위치시키고 양측으로 한 쌍의 가이드끈(B)이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끈(B)은 지주대(A)를 따라 중심에 위치하는 농작물의 양측을 지탱하고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이?,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는 가이드끈(B)을 경작지 상단에 원하는 높이에 고정하기 위해 지주대(A)의 특정 높이에 결합될 수 있다.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는 지주대(A)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의 높이에 고정 가능하다. 더 나아가,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는 하나의 지주대(A)에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높이에 결합되어 각각 다른 높이에 가이드끈(B)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는, 지주대(A)에 결합되는 고정클립(100)과, 고정클립(100)에 결합되어 양단으로 연장되며 가이드끈(B)을 지지하는 고정행거(20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클립(100)은 지주대(A)에 임의의 높이에 고정결합되어 고정행거(200)를 지탱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클립(100)은 지주대의 일 구간을 둘러싸는 링의 일부 형상인 밴드부(110)와, 밴드부(110)의 양끝단이 굴절되어 개방되는 굴절부(120)가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클립(100)은 지주대(A)를 감싸며 일측이 개방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고정클립(100)의 형상을 'Ω' 형상으로 표현하였으나 고정클립(100)이 완전하게 'Ω'형상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즉, 고정클립(100)은 밴드부(110)가 완전히 원형일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진 기둥형태의 지주대(A)에 결합 가능하도록 밴드부(110)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으며, 굴절부(120) 또한 곡면으로 굴절되거나 각지게 굴절되는 등 기둥을 둘러싸며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클립(100)은 고정행거(200)를 지주대(A)의 임의의 높이에 설치하기 위한 매개체 기능을 할 수 있다. 고정클립(100)은 자체의 탄성만으로 지주대(A)에 결합될 수 있으나, 고정행거(200)가 결합되면 고정력이 더해져 지주대(A)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는 구조이다. 고정클립(100)과 고정행거(20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클립(100)은 얇은 플레이트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오메가(OMEGA, Ω) 형상으로 굴절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평 방향을 따라 오메가(OMEGA, Ω) 형상으로 굴절된다는 의미는 횡방향 단면형상이 오메가(OMEGA, Ω) 형상이라는 의미이다. 고정클립(100)은 플레이트의 일측면의 중심부가 만입된 오메가(OMEGA, Ω)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관통구(102)를 형성한다. 이때, 고정클립(100)은 금속, 플라스틱, 고무 재질 등과 같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라면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02)는 지주대(A)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며 일측이 삽입구(101)를 통해 개방된 구조이다. 즉, 관통구(102)는 수직 방향으로는 관통되고 수평 방향으로는 일측이 개방되어 수직하게 설치된 지주대(A)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관통구(102)는 단면적이 지주대(A)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되어 지주대(A)를 수용할 수 있다. 지주대(A)는 관통구(102)의 개방된 일측인 삽입구(101)를 통해 관통구(102)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구(101)의 단면적은 지주대(A)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주대(A)가 삽입되는 경우에만 양측의 굴절부(120)가 탄성 변형되어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지주대(A)가 관통구(102)에 삽입되면, 굴절부(12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가까워지며 삽입구(101)의 면적이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더 나아가, 고정클립(100)은 관통구(102)를 형성하는 밴드부(110)와 밴드부(110)의 양단에 외측으로 굴절되어 사이에 삽입구(101)를 형성하는 굴절부(12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밴드부(110)는 지주대(A)의 외주면과 맞닿으며 감싸는 부분을 의미하고, 굴절부(120)는 밴드부(110)의 양단에서 굴절 연장되며 지주대(A)의 외주면과는 접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한다.
먼저, 밴드부(110)는 지주대(A)를 둘러싸는 기능을 하며 중앙부에 관통구(102)를 형성한다. 밴드부(110)는 관통구(102)에 삽입되는 지주대(A)의 외면을 감싸며 지주대(A)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밴드부(110)는 플레이트가 지주대(A)의 외면을 따라 굴절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주대(A)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원형으로 굴절된 밴드부(110)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주대(A)의 외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지주대(A)는 원형 혹은 다각형 단면 등이 모두 가능하며, 밴드부(110) 또한 이와 동일하게 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굴절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110)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오므라들거나 펼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주대(A)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밴드부상단(110a)은 내측으로 경사져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지주대(A)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력 혹은 외력에 의해 하단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밴드부상단(110a)은 지주대(A)에 밀착되어 고정클립(100)이 지주대(A)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밴드부하단(110b)은 외측으로 경사져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고정클립(100)이 지주대(A)에 끼움결합되는 경우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밴드부하단(110b)은 밴드부(110)의 하단이 펼쳐지는 형상으로, 고정클립(100)을 지주대(A)의 수직 상방에서 하강시키며 끼움 결합하거나, 지주대(A)의 일 구간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해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보다 편리하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고정클립(100)을 지주대(A)에 끼움 결합하는 경우, 밴드부(110)의 양단에 연장되는 굴절부(120)의 상단부를 외력으로 벌려주어 지주대(A)에 수직하강시키며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 굴절부(120)의 상단부를 외측으로 가압하면, 밴드부상단(110a)만이 벌어지고, 밴드부하단(110b)은 원래 벌어져 있는 형상이므로 손쉽게 지주대(A)에 끼워낼 수 있다.
다음으로, 굴절부(120)는 밴드부(110)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굴절되며 연장되는 형상으로, 고정행거(200)와 탄성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굴절부(120)는 삽입구(101)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여 각각 외측으로 펼쳐지며 굴절되어 형성된다. 굴절부(120)는 밴드부(110)의 양단에서 외측을 향해 굴절되되, 끝단이 밴드부(110)와 접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연장되거나 굴절될 수 있다. 굴절부(120)는 외측으로 굴절되어 굴절홈(121)을 형성한다.
굴절홈(121)은 굴절부(120)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되되, 굴절부(120) 끝단과 밴드부(110) 외면 사이의 간격에 의해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굴절부(120) 끝단과 밴드부(110) 외면 사이의 간격은 고정행거(200)가 관통 가능한 간격보다 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굴절부(120)는 한 쌍이 대칭 형성되어 각각의 외측에 굴절홈(121)을 형성한다. 즉, 굴절부(120)는 고정클립(100)의 양단에 수직 관통되고 수평하게 일측이 개방된 굴절홈(121)을 형성하고, 고정행거(200)의 탄성고정부(210)가 굴절홈(121)을 관통하며 굴절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굴절부(120)는 끝단에 고정편(130)이 연장되어 굴절홈(121)에 결합된 탄성고정부(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편(130)은 굴절부(120)의 끝단의 일부가 연장되어 탄성고정부(210)가 굴절홈에서 빠지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고정편(130)은 탄성고정부(210)를 감싸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밴드부(110)의 외주면과는 이격되어, 고정편(130)과 밴드부(110) 사이의 공간을 관통하여 탄성고정부(210)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돌출고정부(140)는 굴절부(120)의 내측면의 일부가 절개되고 삽입구(101) 측으로 굴절 형성된다. 돌출고정부(140)가 삽입구(101) 측으로 굴절된다는 것은 굴절부(120)의 내측면에서 결합되는 지주대(A)를 향해 돌출된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돌출고정부(140)는 굴절부(120)의 내측면에서 절개 및 굴절되어 관통구(102) 혹은 삽입구(101) 측을 향해 굴절될 수 있다. 이때, 돌출고정부(140)는 굴절부(120)의 내측면에서 예각을 이루며 굴절된다. 이때, 예각을 이룬다는 의미는 돌출고정부(140)가 굴절되기 이전 상태의 위치와 이루는 각도가 예각임을 의미한다. 돌출고정부(140)는 양단의 굴절부(120)에서 각각 삽입구(101) 측을 향해 예각으로 돌출되어, 삽입구(101)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돌출고정부(140) 사이가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돌출고정부(140)는 지주대(A)가 삽입되는 삽입구(101)와 일부가 중첩되어, 지주대(A)가 삽입되는 경우 지주대(A)에 의해 가압되며 탄성 운동을 할 수 있다. 돌출고정부(140)의 탄성 운동이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지주대(A)에 의해 관통구(102)측으로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면 관통구(102) 측으로 밀려나며 기존의 각도보다 작은 각을 이루도록 탄성변형되며, 지주대(A)가 관통구(10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다시 원래의 각도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돌출고정부(140)는 지주대(A)가 관통구(102)에 완전히 삽입되면, 원래의 각도로 돌아와 삽입구(101)의 일부를 차단하여 돌출고정부(1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 나아가, 돌출고정부(140)는 개방된 끝단부가 지주대(A)와 접하며, 지주대(A)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돌출고정부(140)는 지주대(A)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개방된 끝단부로 지주대(A)의 외면을 가압 및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돌출고정부(140)는 고정클립(100)이 지주대(A)에 결합되면 지주대(A)의 외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클립(100)에 고정행거(200)가 추가로 결합되게 되면 고정행거(200)에 의해 가압되어 지주대(A)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고정행거(200)는 두께가 있는 굴절된 와이어 형상으로, 고정클립(100)에 탈착결합되며, 결합시 고정클립(100)의 굴절부(120)를 삽입구(101) 측으로 가압하며 고정클립(100)과 지주대(A)의 결합력을 더해줄 수 있다. 또한, 고정행거(200)는 양단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바(220)를 통해 지주대(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가이드끈(B)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행거(200)는 고정클립(100)에 탈착결합되는 탄성고정부(210)와, 탄성고정부(210)의 양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고 가이드끈(B)을 지지하는 연장바(220)를 포함한다.
탄성고정부(210)는 굴절부(120)에 탈착결합되어, 고정행거(200)와 고정클립(100)의 결합을 매개하는 기능을 한다. 탄성고정부(210)는 양단에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바(220) 사이에서 'U'형상으로 굴절되어 형성된다. 다시말해, 탄성고정부(210)는 연장바(220)의 일 구간이 'U'형상으로 굴절되어 형성된다. 탄성고정부(210)는 양단부가 연장바(220)로부터 굴절되는 수직축(211)과, 양단의 수직축(211)을 연결하는 수평축(212)을 포함한다. 즉, 탄성고정부(210)는 고정행거(200)의 일 구간에서 수직축(211), 수평축(212), 수직축(211)이 연속되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한 쌍의 수직축(211)은 고정클립(100)의 굴절홈(121)에 삽입되고, 수평축(212)은 굴절부(120)의 상단에 걸쳐지며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축(211)은 일측이 수평축(21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축(211)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고정부(210)가 굴절부(1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끼움결합되는 경우, 수직축(211)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며 반대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즉, 탄성고정부(210)는 굴절부(120)에 결합되면, 굴절부(120)가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하여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굴절부(120)는 탄성고정부(210)와 반대 방향인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즉, 굴절부(120)와 탄성고정부(21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서로 탄성력에 의해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장바(220)는 탄성고정부(210)의 양단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끝단에 가이드끈(B)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연장바(220)의 형상은 일직선 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거나 특정 형상을 갖도록 굴절되며 연장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연장바(220)는 탄성고정부(2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연장바(220)는 탄성고정부(210)를 사이에 두고 연장바(220)가 양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바(220) 끝단부에 가이드끈(B)이 고정되는 고리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230)는 연장바(220)의 끝단부가 굴절되어 가이드끈(B)이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고리부(230)는 연장바(220)와 교차되며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끈(B)을 틈새를 통해 고리부(230)로 쉽게 삽입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의 결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는 도 4의 (a)와 같은 상태로 지주대(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클립(100)은 삽입구(101)가 지주대(A)를 향하는 상태이다. 사용자는 고정클립(100)의 삽입구(101)를 지주대(A) 측을 향해 배치한 후 지주대(A)측을 향해 밴드부(110)를 가압하여, 고정클립(100)을 지주대(A)에 결합할 수 있다. 고정클립(100)은 지주대(A)의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의 높이에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지주대(A)에 복수 개의 고정클립(100)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100)을 지주대(A)측으로 가압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삽입구(101)의 폭이 지주대(A)의 단면적의 지름보다 작아, 굴절부(120)가 양단으로 벌어지며 지주대(A)에 결합된다. 굴절부(120)는 밴드부(110)의 양단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밴드부(1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어지며 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돌출고정부(140) 또한 지주대(A)가 삽입구(101)를 통과하며 외측으로 가압되어 밴드부(110)의 내측면을 향해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A)가 삽입구(101)를 완전히 통과하여 고정클립(100)의 결합이 완료된 경우, 굴절부(120)와 돌출고정부(140)는 다시 원래상태의 각도로 복구된다. 이때, 지주대(A)는 돌출고정부(140)의 경사면을 따라 부드럽게 삽입되었으나, 반대측 방향으로는 돌출고정부(140)의 끝단이 지주대(A)를 지지하고 있기?문에 분리되지 않는다. 지주대(A)를 고정클립(100)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길 경우, 돌출고정부(140)가 굴절각이 커지며 삽입구(101)를 차단할 수 있다. 즉, 돌출고정부(140)는 지주대(A)의 삽입구(101)로의 삽입은 가능하게 하나 외측으로 분리는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클립(100)은 지주대(A)에 결합된 상태로 단독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고정클립(100)은 밴드부(110)와 돌출고정부(140)의 고정력 만으로 지주대(A)의 일 구간에 결합되어 고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클립(100)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가이드끈을 고정클립(100)의 굴절부(120)에 감아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A)에 고정클립(100)을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클립(100)에 고정행거(200)를 결합하여 고정클립(100)의 고정힘을 강화하고 양단으로 연장되는 연장바(220)에 가이드끈(B)을 묶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잠시 도 1을 참조하면, 탄성고정부(210)가 굴절부(120)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호 고정이 가능하다. 고정행거(200)는 자체의 무게가 있어 고정클립(100)에 결합되는 경우, 고정클립(100)이 하단으로 미끄러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고정클립(100)과 고정행거(20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이러한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클립(100)과 고정행거(200)는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호결합될 수 있다. 고정클립(100)은 고정행거(200)의 탄성고정부(210)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에 대항되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한다. 탄성고정부(210)는 이러한 고정클립(100)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에 대항되도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한다. 또한, 굴절부(120)는 탄성고정부(210)에 의한 모아지는 힘에 의해 돌출고정부(140)가 지주대(A)측으로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자치의 설치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는 지주대(A)의 임의의 구간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 1a, 1b)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어 다양한 높이에 가이드끈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높이에 따라 고정행거(200)의 연장바(220) 길이도 다르게 형성하여,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될수록 고정행거(200)의 길이를 늘려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해 농작물을 보호 및 가이드할 수 있다. 농작물은 상대적으로 상단에 위치하는 곳에 열매가 맺히기 때문에 상단에 위치할수록 고정행거(2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더 넓은 범위에 대해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 1a, 1b)는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대(A)에 각각 결합되어, 농작물(C)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끈(B)을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끈(B)은 농작물(C)의 양단에 배치되어 농작물(C)이 심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끈(B)의 개수나 높이 등은 얼마든지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가이드끈(B)은 서로 다른 높이에 결합된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1, 1a, 1b)를 따라 연장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a, 1b: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100: 고정클립 101: 삽입구
102: 관통구 110: 밴드부
110a: 밴드부상단 110b: 밴드부하단
120: 굴절부 121: 굴절홈
130: 고정편 140: 돌출고정부
200: 고정행거 210: 탄성고정부
211: 수직축 212: 수평축
220: 연장바 230: 고리부
A: 지주대 B: 가이드끈
C: 농작물

Claims (8)

  1. 경작지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대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지지하는 가이드끈을 고정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장장치에 있어서,
    플레이트가 굴절되어 일측에 상기 지주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결합되는 고정클립;
    상기 삽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고정클립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고정부와, 상기 탄성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끈을 지지하는 연장바를 포함하는 고정행거를 포함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지주대의 외면을 감싸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단부가 상기 삽입구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각각 굴절되어 형성되어 상기 탄성고정부가 결합되는 굴절홈을 형성하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플레이트가 'Ω' 형상으로 굴절되어 상기 밴드부와 상기 굴절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4.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는,
    탄성을 갖는 와이어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와 일체로 형성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 양측의 상기 굴절홈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부를 상기 지주대에 밀착시키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굴절부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장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굴절부의 내측면 중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삽입구를 향하여 굴절되어 상기 지주대를 가압 고정하는 돌출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고정부는,
    상기 삽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밴드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예각으로 굴절되어 끝단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행거는,
    상기 탄성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장바가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 끝단부에 상기 가이드끈이 고정되는 고리부가 형성되는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KR1020210171239A 2021-12-02 2021-12-02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KR20230083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239A KR20230083120A (ko) 2021-12-02 2021-12-02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239A KR20230083120A (ko) 2021-12-02 2021-12-02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120A true KR20230083120A (ko) 2023-06-09

Family

ID=8676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239A KR20230083120A (ko) 2021-12-02 2021-12-02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1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810B1 (ko) * 2023-06-15 2023-09-19 최승영 작물 유인 지지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49Y1 (ko) 2012-08-13 2013-04-10 김재성 농작물 지지끈 연결용 클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49Y1 (ko) 2012-08-13 2013-04-10 김재성 농작물 지지끈 연결용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810B1 (ko) * 2023-06-15 2023-09-19 최승영 작물 유인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9666A (en) Self-stabilizing tree support assemblies
US3807089A (en) Plant trellis system and stake support therefor
KR101333754B1 (ko) 수목 지지장치
KR20230083120A (ko)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US6389656B1 (en) Clip, as well as wire/clip assembly
US4333264A (en) Tree nursery clip
US20160286734A1 (en) Method for adjusting and stabilizing a support for a plant
US1904700A (en) Protector for plants
US10477782B1 (en)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trees and bushes
US737707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lant stems
US5867936A (en) Resilient tree guy
KR102359374B1 (ko) 고추작물 지지대용 와이어 연결장치
US11737397B2 (en) Plant support
KR200481883Y1 (ko)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KR20220000737U (ko)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
KR20220041450A (ko) 수목지지대
EP3672396B1 (en) Improved elastic compensation device for rows of plant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70002877U (ko) 고추나무 지지용 끈 고정핀
KR890004279Y1 (ko) 수목 지지대
US2266470A (en) Plant support
US1893335A (en) Plant support
US20240224888A9 (en) Plant Support
JPH0411497Y2 (ko)
US20130185994A1 (en) Plant support stake
KR101794406B1 (ko) 식물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