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234A - 과실수용 수목지지구 - Google Patents

과실수용 수목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234A
KR20100113234A KR1020090031692A KR20090031692A KR20100113234A KR 20100113234 A KR20100113234 A KR 20100113234A KR 1020090031692 A KR1020090031692 A KR 1020090031692A KR 20090031692 A KR20090031692 A KR 20090031692A KR 20100113234 A KR20100113234 A KR 20100113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ixing plate
support
plate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대균
Original Assignee
나대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대균 filed Critical 나대균
Priority to KR102009003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3234A/ko
Publication of KR2010011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숭아, 사과, 포도 또는 배와 같은 과실수의 나뭇가지를 지탱해주기 위한 과실수용 수목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복숭아나무 등 과실수의 나뭇가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립되게 설치되는 포스트(1)와 상기 포스트(1)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판(3)으로 구성되는 과실수용 지지구에 있어서 일단이 힌지로 연결됨으로써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반원통 형태의 2개의 압착판(7) 상기 포스트(1)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포스트(1)의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판(7)의 타단에 설치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클램프(5)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판(7)중 하나가 상기 고정판(3)의 일면에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숭아나무, 사과나무, 지지, 지주, 폴대, 끈, 삐삐선, 과실수, 수목

Description

과실수용 수목지지구{Supporter For Fruit Tree}
본 발명은 수목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숭아, 사과, 포도 또는 배와 같은 과실수의 나뭇가지를 지탱해주기 위한 과실수용 수목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숭아, 사과, 배, 포도 등 주로 장미과에 속하는 형태의 과수목의 가지를 지지함으로써 가지의 부러짐을 방지하고 낙과를 방지하여 수취율을 높이기 위한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숭아 나무를 유념하여 창안된 것이다. 복숭아나무에는 여러 갈래의 가지가 나무에서 뻗어 나와 각 가지마다 과실이 맺힌다. 복숭아나무는 특히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특성이 있으며, 과실이 어느 정도 성숙하게 되면 그 자체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여 가지가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수목지지대가 사용되고 있다. 도 7은 종래기술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설치상태의 정면도이다.
수목의 뿌리 근처에 수직으로 높게 파이프 형태의 포스트(100)가 설치된다. 그리고 포스트의 상단부에 용접으로 판재 형태의 고정판(102)이 접합된다. 때에 따라서 고정판(102)과 포스트(100) 사이에는 일단이 고정판(102)에 용접되는 단관(미도시됨)이 개입되기도 한다. 고정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개의 끼움공(104)이 마련된다. 끼움공(104)에 인장강도가 큰 끈부재(106)의 일단이 묶인다. 끈부재(106)의 타단은 지지가 필요한 수목의 가지(T)에 묶인다.
고정판(102)이 용접에 의해 포스트(100)에 반영구적으로 고정되는 형식의 경우, 기다란 포스트에 고정판을 용접하는 작업이 쉽지 않으며, 용접을 한 상태에서 다량의 지지구를 농장으로 운반하는데 있어서도 물류상 불편하였다. 포스트(100)에 고정판(102)이 직각방향으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영구접합식인 경우 사용이 완료된 후 용접부위를 절단하지 않는 이상 재활용함에 불편이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언급한 것처럼 단관을 미리 포스트의 단부에 용접시켜 놓은 후 현장에서 포스트를 끼우는 방식도 있으나 이는 포스트와 고정판이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설치작업중 단관에서 포스트가 빠지는 문제와 설치 후에도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숭아나무 등을 재배함에 있어 사방으로 뻗어가는 가지의 처짐을 방지하여 나무의 형태를 유지하고 낙과를 방지하 기 위한 수목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형태의 포스트와 그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는 수목지지구에 있어서, 설치와 운반이 편리하고 사용후 재활용하기에도 편리한 구조를 가지는 수목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복숭아나무 등 과실수의 나뭇가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립되게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과실수용 지지구에 있어서
일단이 힌지로 연결됨으로써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반원통 형태의 2개의 압착판;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판의 타단에 설치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판중 하나가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용 지지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2개의 압착판에 각각 반원 형태의 고정판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고정판의 중심에는 상기 포스트가 인입될 수 있는 포스트끼움공이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체결수단을 가지는 클램프에 의해 고정판을 용이하게 포스트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과실수의 지지를 위한 지주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지주를 쉽게 해체할 수도 있어 재활용 또는 재설치에도 용이하게 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숭아 나무 등 과실수의 가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립되게 설치되는 포스트(1)와 상기 포스트(1)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판(3)으로 구성된다. 포스트(1)와 고정판(3)은 클램프(5)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체될 수 있다.
클램프(5)는, 일단이 힌지로 연결됨으로써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반원통 형태의 2개의 압착판(7)과, 상기 압착판(7)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포스트(1)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포스트(1)의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압착판(7')만이 고정판(3)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용접 이외에 볼트, 리벳 등의 다른 요소결합수단이 대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판(3)에는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개의 끼움공(9)이 마련된다. 끼움공(9)은 4개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체결수단은 일단은 하나의 압착판(7')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압착판(7")의 선단에 마련되는 볼트홈(11)에 끼워질 수 있는 볼트(13)와 이 볼트(13)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5)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고정판(3)에 사용자는 고정판(3)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압착판(7")과 볼트(13)는 각각의 힌지축(H1,H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고정판(3)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압착판(7")을 고정되어 있는 압착판(7')으로부터 벌리고 파이프형태의 포스트(1)를 그 사이에 끼운후 압착판(7)을 오므린 다음 볼트(13)를 볼트홈(11)에 끼운후 너트(15)로 조임으로써 고정판(3)과 포스트(1)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압착판(7) 내주면에는 클램프(5)에 결합된 포스트(1)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돌기(17)가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은 포스트(1)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체될 수 있다. 각 끼움공에는 일명 삐삐선과 같은 인장강도가 높은 끈부재(W)의 일단이 묶인다. 끈부재의 타단은 각 나뭇가지(T) 에 묶이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포스트(1)의 임의 위치에 고정판(3)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2개의 압착판(7)에 각각 반원 형태의 단위 고정판(3')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포스트(1)가 인입될 수 있도록 단위 고정판(3')의 중심에는 각각 반원 형태의 포스트안착홈(21)이 마련된다.
이로써 단위 고정판(3')은 클램프(5)의 힌지축(H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오므려지거나 벌려질 수 있게 된다. 단위 고정판(3)의 후단은 벌려질 때 저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사면(3a)이 마련된다. 고정판(3)의 포스트안착홈(21)은 포스트(1)가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고정판(3)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고정판(3) 중 하나를 압착판(7)으로부터 분리한 상태가 도 4에 도시된다.
클램프(5)는 포스트(1)의 외주면을 압박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을 포스트(1)의 임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심지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의 하단에 고정판(3)이 지면에 맞닿도록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 이 경우 고정판(3)은 포스트(1)의 지면(E)에 박히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되며 상황에 따라 고정핀(19)을 포스트(1)와 지면(E) 간의 결합력을 공고히 할 수도 있게 된다. 고정핀(19)은 텐트 또는 차양막 등을 가설할 때 쓰이는 것이면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포스트(1)의 하단에 말뚝부재(51)가 더 결합된다. 말뚝부재(51)는 하단부가 지면(E)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뾰족하며, 내부에 포스 트(1)가 끼워지는 결합공이 마련되며, 상단에는 지면에 박기에 용이하도록 플랜지부(53)가 마련된다. 말뚝부재는 부식 및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말뚝부재의 상부 내주면에는 고무재질의 오링(55, O-ring)이 끼워져 포스트(1)와 말뚝부재(51) 사이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오링(55)은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 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설치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실수용 지지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포스트 3 ; 고정판
5 ; 클램프 7(7',7") ; 압착판
13 ; 볼트 15 ; 너트
17 ; 미끄럼방지돌기 51 ; 말뚝부재
W ; 끈부재 T ; 나뭇가지

Claims (3)

  1. 복숭아나무 등 과실수의 나뭇가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립되게 설치되는 포스트(1)와 상기 포스트(1)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판(3)으로 구성되는 과실수용 지지구에 있어서
    일단이 힌지로 연결됨으로써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반원통 형태의 2개의 압착판(7) 상기 포스트(1)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포스트(1)의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판(7)의 타단에 설치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클램프(5)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판(7)중 하나가 상기 고정판(3)의 일면에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용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은 반원 형태인 2개의 단위 고정판(3')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압착판(7)은 상기 단위 고정판(3)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단위 고정판(3)의 중심에는 상기 포스트(1)가 인입될 수 있는 반원 형태의 포스트안착홈(2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용 지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하단부가 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뾰족하며, 내부에 상기 포스트(1)가 끼워지는 결합공이 마련되며, 상단에는 지면에 박기에 용이하도록 플랜지부(53)가 마련되는 말뚝부재(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 실수용 지지구.
KR1020090031692A 2009-04-13 2009-04-13 과실수용 수목지지구 KR20100113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692A KR20100113234A (ko) 2009-04-13 2009-04-13 과실수용 수목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692A KR20100113234A (ko) 2009-04-13 2009-04-13 과실수용 수목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234A true KR20100113234A (ko) 2010-10-21

Family

ID=4313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692A KR20100113234A (ko) 2009-04-13 2009-04-13 과실수용 수목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32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7450A (zh) * 2015-12-25 2016-05-11 贵州交勘生态园林有限责任公司 一种观赏性树木多用途护理装置
KR20170001304U (ko) * 2015-10-06 2017-04-14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과수목용 지지구
CN108967031A (zh) * 2018-10-17 2018-12-11 康国民 一种新式的园林树木用撑直装置
CN111657048A (zh) * 2020-06-23 2020-09-15 北京丹青园林绿化有限责任公司 一种苗木的养护装置及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304U (ko) * 2015-10-06 2017-04-14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과수목용 지지구
CN105557450A (zh) * 2015-12-25 2016-05-11 贵州交勘生态园林有限责任公司 一种观赏性树木多用途护理装置
CN108967031A (zh) * 2018-10-17 2018-12-11 康国民 一种新式的园林树木用撑直装置
CN111657048A (zh) * 2020-06-23 2020-09-15 北京丹青园林绿化有限责任公司 一种苗木的养护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3234A (ko) 과실수용 수목지지구
CN100998303A (zh) 树木保护支架
US20090056781A1 (en) Shelter System
MA35751B1 (fr) Système de production d'énergie à partir de sources renouvelables
KR100697841B1 (ko) 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하우스용 골조
KR200392400Y1 (ko) 수목지지구조
KR200477647Y1 (ko)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JP3187623U (ja) 樹木の枝支持装置
CN210298803U (zh) 一种苹果果树种植用固定装置
KR200458605Y1 (ko) 과수나무의 가지처짐방지용 견인줄결속부를 가지는 방조망설치용 와이어고정부재
KR20100052694A (ko) 표지판 지지구조
KR102194507B1 (ko) 농작물 지지대
CN212813202U (zh) 一种苗木支撑装置
KR102123165B1 (ko) 파라솔 말뚝
CN207885323U (zh) 一种古树保护支撑架
CN213639106U (zh) 一种适用于不同树径的脐橙果树种植用支撑装置
KR20170052412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나뭇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유인지지대
CN210275331U (zh) 一种苹果种植枝干支撑器
KR200448418Y1 (ko) 과일 수확기
CN216714034U (zh) 一种电线杆扶正装置
KR20100101228A (ko) 수목 지지용 밴드 결속체
KR101813021B1 (ko) 나무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지지대
KR20120018635A (ko) 수목용 지지구
KR20150130697A (ko) Diy 다용도 말뚝
KR102511215B1 (ko) 고추대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