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244A -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244A
KR20200078244A KR1020180167955A KR20180167955A KR20200078244A KR 20200078244 A KR20200078244 A KR 20200078244A KR 1020180167955 A KR1020180167955 A KR 1020180167955A KR 20180167955 A KR20180167955 A KR 20180167955A KR 20200078244 A KR20200078244 A KR 20200078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inge
slide
body por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옥
Original Assignee
최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옥 filed Critical 최병옥
Priority to KR1020180167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8244A/ko
Publication of KR2020007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슬라이드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대 및 보조지지대가 Y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고추와 같은 작물의 줄기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작물 지지대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슬라이드부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지지대를 접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작물 지지대를 간편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드부를 지지대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시킬 시, 지지대의 양 측에 각각 구성되는 각각의 보조지지대가 힌지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하며 벌어져 상기 지지대 및 보조지지대가 Y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드부를 지지대를 따라 스토퍼가 허용하는 최대범위까지 하부로 슬라이딩시킬 시,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가 힌지를 축으로 내측으로 회동하며 접혀 상기 보조지지대가 상기 지지대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드부를 이용하여 보조지지대를 간편하게 펼침 및 접힘 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Easy to transport and store crop support}
본 발명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슬라이드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대 및 보조지지대가 Y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고추와 같은 작물의 줄기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작물 지지대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슬라이드부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지지대를 접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작물 지지대를 간편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나 토마토, 가지 등의 농작물은 작물이 일정크기로 성장하게 되면 작물의 자체 하중과 외풍 등에 유실되지 않도록 지지대 및 지주를 매립하여 작물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농작물 지지대, 지주 및 말뚝은 농작물의 줄기 근처에 일정 깊이로 매립하여 끈 등의 결속 수단을 이용하여 매립된 지지대에 농작물의 줄기를 견고하게 결속하도록 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제20-2000-0012333호(실) 상단에 돌출 타격부가 있고 보강편부위에 다수의 칼날형경사홈이 있는 지주대의 상단 양측부분에 랙크톱니를 만든 고정편을 형성하며, 고정편에는 보강편에 칼날형경사홈을 만든 연결대의 선단에 각홈을 만든 삽입부를 끼우며 그런 다음 일측에 랙크톱니와 각축이 일체로 된 체결구로 결합하여 스프링을 각축의 일측에 삽입후 눌름버튼을 결합하여 Y형으로 일체로 체결함을 특징으로 한 고추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지주대에 결합된 연결대의 각도 및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고정편의 랙크톱니와 체결구의 랙크톱니가 상호간에 맞물려 연결대가 지주대에 고정되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조 단가 상승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에 따라 상기 랙크톱니의 톱니가 닳게 되는 경우,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제10-2009-0029597호(특) 농작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체결, 고정하도록 한 체결구에 있어서, 합성수지 소재로서, 일체의 형태로 제작되도록 형성한 체결구 본체와; 상기 체결구 본체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지지대를 관통, 삽입시키도록 형성하고, 관통된 지지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를 체결하는 볼트공을 형성한 중앙 관통공과; 상기 체결구 본체의 양측에 일정 각도로 비스듬히 형성하고, 지지대의 하단을 일정 깊이로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요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용 일체형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체결구 본체에 지지대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농작물 지지대의 조립과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체결구 본체 및 지지대를 각각 개별적으로 운반 및 보관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체결구 본체에 지지대가 삽입된 후에 Y자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체결구 본체의 양측에 요홈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체결구 본체의 부피가 커져 진열대 또는 창고 등의 공간을 불필요하게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슬라이드부를 지지대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시킬 시, 지지대의 양 측에 각각 구성되는 각각의 보조지지대가 힌지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하며 벌어져 상기 지지대 및 보조지지대가 Y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드부를 지지대를 따라 스토퍼가 허용하는 최대범위까지 하부로 슬라이딩시킬 시,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가 힌지를 축으로 내측으로 회동하며 접혀 상기 보조지지대가 상기 지지대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드부를 이용하여 보조지지대를 간편하게 펼침 및 접힘 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하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 측에 각각 구성되는 보조지지대로 구성되는 작물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작물 지지대에는, 상기 지지대의 일 측에 지지대를 따라 상, 하부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지지대의 양 측에 각각 구성되되 상, 하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지지대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소정범위를 초과하여 하부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대는 상기 지지대의 양 측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되, 각각의 하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 측과 타 측에 힌지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측 단부가 상기 각각의 가이드부의 내부를 관통하며 가이드부에 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지지대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가 힌지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하며 벌어져 상기 지지대 및 보조지지대가 Y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지지대를 따라 상기 스토퍼가 허용하는 최대범위까지 하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가 힌지를 축으로 내측으로 회동하며 접혀 상기 보조지지대가 상기 지지대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에 의하면, 고추와 같은 작물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보조지지대를 간편하게 펼침 하여 펼침 된 보조지지대 및 지지대에 작물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어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물 지지대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슬라이드부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지지대가 지지대와 평행을 이루며 전체적인 부피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진열대 또는 창고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를 나타내는 확대도 및 사용상태도(a')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의 b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c를 나타내는 확대도 및 측면도(c')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 중 지지대에 몸체부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 중 지지대에 몸체부가 삽입홀 및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슬라이드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대 및 보조지지대가 Y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고추와 같은 작물의 줄기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작물 지지대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슬라이드부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지지대를 접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작물 지지대를 간편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하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양 측에 각각 구성되는 보조지지대(200)로 구성되는 작물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작물 지지대(10)에는, 상기 지지대(100)의 일 측에 지지대(100)를 따라 상, 하부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300); 상기 지지대(100)의 양 측에 각각 구성되되 상, 하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400); 상기 지지대(1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소정범위를 초과하여 하부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500); 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대(200)는 상기 지지대(100)의 양 측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되, 각각의 하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1)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h1)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측 단부가 상기 각각의 가이드부(400)의 내부를 관통하며 가이드부(400)에 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지지대(100)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200)가 힌지(h1)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하며 벌어져 상기 지지대(100) 및 보조지지대(200)가 Y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지지대(100)를 따라 상기 스토퍼(500)가 허용하는 최대범위까지 하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200)가 힌지(h1)를 축으로 내측으로 회동하며 접혀 상기 보조지지대(200)가 상기 지지대(100)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종래의 일반적인 작물 지지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하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의 양 측에 각각 구성되는 보조지지대(200)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100) 및 보조지지대(200)에 작물의 줄기를 끈 등의 결속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작물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작물 지지대(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300), 가이드부(400), 스토퍼(5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300)는 도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의 일 측에 지지대(100)를 따라 상, 하부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부(300)는 상기 지지대(100)의 외주 일 측에 구성되되 내측에 상기 보조지지대(200)가 연결 구성되어 보조지지대(2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상기 지지대(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성되되 지지대(100)를 중심으로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1)가 각각 구성되어 상기 보조지지대(200)가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성되는 슬라이드부(300)의 사이에 힌지(h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힌지(h1)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상기 지지대(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성되어 내측에 상기 보조지지대(200)가 힌지(h1)와 연결 구성됨으로써, 상기 보조지지대(200)가 상기 힌지(h1)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하며 벌어질 시,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양 측이 개방된 형태로 인해 상기 보조지지대(200)의 일 측이 상기 슬라이드부(300)에 걸림 되지 않고 외측으로 원활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400)는 도 2,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의 양 측에 각각 구성되되 상, 하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보조지지대(200)가 가이드부(400)의 내부 일 측과 맞닿으며 상기 지지대(100)를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펼침 및 접힘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지지대(100)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부(300)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부(400)의 하부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토퍼(50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소정범위를 초과하여 하부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대(100)의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전, 후면의 일 측에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토퍼(500)가 상기 지지대(100)의 전, 후면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스토퍼(500)가 구성되는 위치까지 소정범위 하부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하부가 상기 스토퍼(500)의 상부 일 측에 걸림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상기 지지대(1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대(200)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의 양 측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되, 각각의 하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1)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h1)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측 단부가 상기 각각의 가이드부(400)의 내부를 관통하며 가이드부(400)에 거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지지대(100)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200)가 힌지(h1)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하며 벌어져 상기 지지대(100) 및 보조지지대(200)가 Y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지지대(100)를 따라 상기 스토퍼(500)가 허용하는 최대범위까지 하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200)가 힌지(h1)를 축으로 내측으로 회동하며 접혀 상기 보조지지대(200)가 상기 지지대(100)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드부(300)를 지지대(100)를 따라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보조지지대(200)를 간편하게 펼쳐 Y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고추와 같은 작물의 줄기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본 발명인 작물 지지대(10)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상기 슬라이드부(300)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보조지지대(200)를 지지대(100)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간편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지지대(200) 및 가이드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지지대(100)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200)가 각각의 힌지(h1)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하며 슬라이드부(300)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부(400)의 하부에 맞닿을 시,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부 일 측 및 타 측에 상기 보조지지대(200)의 외주 일 측 및 타 측이 각각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가이드부(400)에 상기 보조지지대(200)가 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하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보조지지대(200)가 상기 지지대(100)를 중심으로 접혀지지 않고 Y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써, 본 발명인 작물 지지대(10)에는, 작물 지지대(10)의 상부에 별도의 차광막을 거치할 수 있도록 몸체부(600), 고정부재(700), 몸체슬라이드부(800), 차광막거치대(900), 브라켓(1000), 고정부재(11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로 설명하면,
먼저, 도 7,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삽 되어 형성되는 삽입부(110)와, 상측 끝 단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반원 형상으로 내삽 되어 형성되는 걸림홈(120)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1)로 각각 연결되는 각각의 보조지지대(200)의 타 측 끝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걸림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600)는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00)의 삽입부(110)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700)는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몸체부(600)가 삽입부(110)에 삽입될 시, 상기 걸림홈(120)에 걸림 되어 몸체부(6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700)는 상기 몸체부(600)가 삽입부(110)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홈(120)에 고정부재(700)가 걸림 될 시, 작업자가 손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부재(7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상기 고정부재(700)로 상기 걸림홈(120)의 외주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몸체부(600)가 삽입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는 도 8,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00)의 일 측에 몸체부(600)를 따라 상, 하부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측 끝 단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반원 형상으로 내삽 되어 형성되는 걸림홈(8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810)은 상기 몸체부(6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성되는 하기될 고정부재(1100)에 대응하여 몸체슬라이드부(800)의 상측 끝 단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하기될 고정부재(1100)가 상기 몸체부(600)의 전면에 구성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810)이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의 상측 끝 단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차광막거치대(900)는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00)의 양 측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되, 각각의 일 측 끝 단부가 상기 몸체부(600)의 상부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2)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h2)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타 측 끝 단부에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상기 걸림부(210)가 걸림 될 수 있도록 걸림홀(913)이 형성되는 고리부(910)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인 작물 지지대(10)가 다수개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작물 지지대(10)에 구성된 차광막거치대(900)의 상부에 차광막을 안착시켜 덮고 각각의 차광막거치대(900)의 타 측 끝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910)의 끝 단부에 차광막의 끝 부분을 삽입하여 차광막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리부(910)는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막거치대(900)의 타 측 끝 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끝 단부가 차광막거치대(900)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차광막거치대(900)의 상부로 고리부(910)의 끝 단부가 돌출되어 노출될 시, 상기 고리부(910)의 끝 단부에 의해 차광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상기 차광막거치대(900)로부터 차광막을 해체시킬 시, 상기 고리부(910)의 끝 단부에 삽입된 차광막의 끝 부분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브라켓(10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00)의 양 측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되, 각각의 일 측 끝 단부가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의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3)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h3)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각각의 타 측 끝 단부가 상기 각각의 차광막거치대(900)의 일 측에 힌지(h4)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힌지(h4)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가 상, 하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차광막거치대(900)가 상기 몸체부(600)를 중심으로 펼침 및 접힘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작업자가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를 몸체부(600)를 따라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차광막거치대(900)를 ‘∧’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차광막거치대(900)의 상부에 차광막을 얹어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차광막거치대(9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차광막거치대(900)를 접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몸체부(600), 차광막거치대(900), 브라켓(1000)을 간편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가 몸체부(600)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의 걸림홈(810)이 걸림 되어 몸체슬라이드부(80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1100)는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가 몸체부(60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몸체슬라이드부(800)의 걸림홈(810)에 고정부재(1100)가 위치되어 걸림 될 시, 작업자가 손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1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상기 고정부재(1100)로 상기 걸림홈(810)의 외주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가 몸체부(60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14, 15를 참고로 설명하면,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다른 실시 예의 설명 중에서 상기 지지대(100)의 상측 끝 단부에 고정부재(130)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600)의 외주에 다수개의 삽입홀(650)이 형성되는 것에 관한 것으로써,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및 일반적인 구성요소로써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14,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삽입부(110)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토록 상기 지지대(100)의 상측 끝 단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홀(650)은 상기 몸체부(600)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삽 되며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600)가 삽입부(110)에 삽입될 시, 상기 고정부재(130)를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몸체부(600)의 다수개의 삽입홀(650) 중 어느 하나의 삽입홀(650)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몸체부(600)를 지지대(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지지대(100)의 삽입부(110)에 몸체부(600)를 삽입하되, 상기 고정부재(130)를 상기 몸체부(600)의 다수개의 삽입홀(650) 중 어느 하나의 삽입홀(650)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상기 몸체부(600)를 지지대(100)의 삽입부(110)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부(60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작물 지지대(10)에는, 하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지지대(10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삽 되는 삽입홈(1210)이 형성되는 삽입부재(120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부재(1200)는 작업자가 상기 작물 지지대(10)의 지지대(100)를 지면에 꽂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먼저 상기 삽입부재(1200)를 망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지면에 꽂고, 상기 삽입부재(1200)의 삽입홈(1210)에 상기 지지대(100)를 삽입하여 본 발명인 작물 지지대(1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삽입부재(1200)는 상기 지지대(100)의 상측 끝 단부를 작업자가 망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두드리며 지지대(100)를 지면에 꽂을 경우, 상측 끝 단부의 전,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120)에 의해 강성이 저하된 지지대(100)의 상측 끝 단부가 공구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작물 지지대(10)에는,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조판(1310)과, 상기 보조판(1310)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100)의 삽입부(110)에 삽입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보조삽입부(1320)로 구성되는 보조부재(130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부재(1300)는 작업자가 상기 작물 지지대(10)의 지지대(100)의 상측 끝 단부를 망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두드리며 지면에 꽂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지지대(100)의 삽입부(110)에 보조삽입부(1320)를 삽입하고, 상기 보조판(1310)의 상부를 공구로 두드려 상기 지지대(100)를 지면에 꽂아 본 발명인 작물 지지대(1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부재(1300)는 상기 지지대(100)의 상측 끝 단부를 작업자가 망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두드리며 지지대(100)를 지면에 꽂을 경우, 상측 끝 단부의 전,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120)에 의해 강성이 저하된 지지대(100)의 상측 끝 단부가 공구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대(100)를 지면에 꽂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에 의하면, 고추와 같은 작물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보조지지대를 간편하게 펼침 하여 펼침 된 보조지지대 및 지지대에 작물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어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물 지지대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슬라이드부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지지대가 지지대와 평행을 이루며 전체적인 부피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진열대 또는 창고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작물 지지대
100 : 지지대
110 : 삽입부 120 : 걸림홈
130 : 고정부재
200 : 보조지지대 210 : 걸림부
300 : 슬라이드부
400 : 가이드부
500 : 스토퍼
600 : 몸체부 650 : 삽입홀
700 : 고정부재
800 : 몸체슬라이드부 810 : 걸림홈
900 : 차광막거치대
910 : 고리부 913 : 걸림홀
1000 : 브라켓
1100 : 고정부재
1200 : 삽입부재 1210 : 삽입홈
1300 : 보조부재
1310 : 보조판 1320 : 보조삽입부
h1 : 힌지 h2 : 힌지
h3 : 힌지 h4 : 힌지

Claims (3)

  1.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하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양 측에 각각 구성되는 보조지지대(200)로 구성되는 작물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작물 지지대(10)에는,
    상기 지지대(100)의 일 측에 지지대(100)를 따라 상, 하부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300);
    상기 지지대(100)의 양 측에 각각 구성되되 상, 하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400);
    상기 지지대(1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소정범위를 초과하여 하부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500); 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대(200)는 상기 지지대(100)의 양 측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되,
    각각의 하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1)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h1)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측 단부가 상기 각각의 가이드부(400)의 내부를 관통하며 가이드부(400)에 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지지대(100)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200)가 힌지(h1)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하며 벌어져 상기 지지대(100) 및 보조지지대(200)가 Y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지지대(100)를 따라 상기 스토퍼(500)가 허용하는 최대범위까지 하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각각의 보조지지대(200)가 힌지(h1)를 축으로 내측으로 회동하며 접혀 상기 보조지지대(200)가 상기 지지대(100)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삽 되어 형성되는 삽입부(110)와, 상측 끝 단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반원 형상으로 내삽 되어 형성되는 걸림홈(120)이 형성되고,
    일 측이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1)로 각각 연결되는 각각의 보조지지대(200)의 타 측 끝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걸림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작물 지지대(1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00)의 삽입부(110)에 삽입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몸체부(600);
    상기 몸체부(6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몸체부(600)가 삽입부(110)에 삽입될 시, 상기 걸림홈(120)에 걸림 되어 몸체부(6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700);
    상기 몸체부(600)의 일 측에 몸체부(600)를 따라 상, 하부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측 끝 단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반원 형상으로 내삽 되어 형성되는 걸림홈(810)이 형성되는 몸체슬라이드부(800);
    상기 몸체부(600)의 양 측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되, 각각의 일 측 끝 단부가 상기 몸체부(600)의 상부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2)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h2)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타 측 끝 단부에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상기 걸림부(210)가 걸림 될 수 있도록 걸림홀(913)이 형성되는 고리부(910)가 형성되는 차광막거치대(900);
    상기 몸체부(600)의 양 측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되, 각각의 일 측 끝 단부가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의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3)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h3)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각각의 타 측 끝 단부가 상기 각각의 차광막거치대(900)의 일 측에 힌지(h4)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힌지(h4)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가 상, 하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차광막거치대(900)가 상기 몸체부(600)를 중심으로 펼침 및 접힘 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1000);
    상기 몸체부(6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가 몸체부(600)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의 걸림홈(810)이 걸림 되어 몸체슬라이드부(80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1100);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삽 되어 형성되는 삽입부(110)와, 상측 끝 단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고정부재(130)가 구성되고,
    일 측이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1)로 각각 연결되는 각각의 보조지지대(200)의 타 측 끝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걸림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작물 지지대(1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00)의 삽입부(110)에 삽입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몸체부(600);
    상기 몸체부(600)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삽 되며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600)가 삽입부(110)에 삽입될 시, 상기 고정부재(130)를 내측으로 삽입하여 몸체부(600)를 지지대(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홀(650);
    상기 몸체부(600)의 일 측에 몸체부(600)를 따라 상, 하부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측 끝 단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반원 형상으로 내삽 되어 형성되는 걸림홈(810)이 형성되는 몸체슬라이드부(800);
    상기 몸체부(600)의 양 측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되, 각각의 일 측 끝 단부가 상기 몸체부(600)의 상부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2)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h2)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타 측 끝 단부에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상기 걸림부(210)가 걸림 될 수 있도록 걸림홀(913)이 형성되는 고리부(910)가 형성되는 차광막거치대(900);
    상기 몸체부(600)의 양 측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각각 구성되되, 각각의 일 측 끝 단부가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의 일 측과 타 측에 힌지(h3)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h3)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각각의 타 측 끝 단부가 상기 각각의 차광막거치대(900)의 일 측에 힌지(h4)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힌지(h4)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가 상, 하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차광막거치대(900)가 상기 몸체부(600)를 중심으로 펼침 및 접힘 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1000);
    상기 몸체부(6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가 몸체부(600)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할 시, 상기 몸체슬라이드부(800)의 걸림홈(810)이 걸림 되어 몸체슬라이드부(80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1100);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KR1020180167955A 2018-12-21 2018-12-21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KR20200078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955A KR20200078244A (ko) 2018-12-21 2018-12-21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955A KR20200078244A (ko) 2018-12-21 2018-12-21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244A true KR20200078244A (ko) 2020-07-01

Family

ID=7160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955A KR20200078244A (ko) 2018-12-21 2018-12-21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82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761B1 (ko) * 2020-09-02 2020-12-02 김유경 Y형 농작물 지지대
KR102194507B1 (ko) * 2020-07-24 2020-12-23 정연재 농작물 지지대
KR102580810B1 (ko) 2023-06-15 2023-09-19 최승영 작물 유인 지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507B1 (ko) * 2020-07-24 2020-12-23 정연재 농작물 지지대
KR102185761B1 (ko) * 2020-09-02 2020-12-02 김유경 Y형 농작물 지지대
KR102580810B1 (ko) 2023-06-15 2023-09-19 최승영 작물 유인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8244A (ko)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물 지지대
US8448656B2 (en) Roof connecting mechanism of foldable tent
US20200180671A1 (en) Multifunctional folding trolley
US20160157620A1 (en) Leg structure for a folding bed
US9551367B1 (en) Structure of back clip of tool box
AU2016265468B2 (en) Portable stove and method for operating a locking mechanism thereof
KR101221431B1 (ko) 비닐하우스용 고정밴드의 고정수단
US20080169389A1 (en) Collapsible stand
AU2015100374A4 (en) A tent with a reinforced frame-supporting structure
CN203757313U (zh) 多腿的支架和能够调整高度的支架
CN108138518A (zh) 用于圈式锁的保持器
US9518403B1 (en) Collapsible picnic table canopy device
KR200454880Y1 (ko) 다중 절첩식 진열판 일체형 상품 진열대
US6851836B2 (en) Collapsible lampshade
US9788616B1 (en) Umbrella tip structure for vertical placement of umbrella
GB2563107A (en) Clothes airer
KR200477342Y1 (ko) 접철식 테이블 프레임
KR100774143B1 (ko) 물품수납대
KR20160132298A (ko) 접이식 우산 거치대
KR102153227B1 (ko) 포터블 스탠드형 행거
JP3390738B2 (ja) 植木鉢用支柱体
CN210987232U (zh) 一种拼装式花箱
KR940003787Y1 (ko) 낚시대 지지물
KR200484800Y1 (ko) 내피를 구비하는 접이식 가방
CN209031402U (zh) 一种折叠桌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