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390B1 - 농작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390B1
KR102580390B1 KR1020200132215A KR20200132215A KR102580390B1 KR 102580390 B1 KR102580390 B1 KR 102580390B1 KR 1020200132215 A KR1020200132215 A KR 1020200132215A KR 20200132215 A KR20200132215 A KR 20200132215A KR 102580390 B1 KR102580390 B1 KR 102580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ylindrical
support
cylindrical portion
cylindrica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865A (ko
Inventor
김달중
김기태
Original Assignee
대영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3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길게 센터 개구부가 마련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직립 배치되는 센터 원통부; 센터 원통부의 센터 개구부의 양측 연장된 위치에서 경사진 형상으로서, 원통형으로 말려 있는 한 쌍의 사이드 원통부; 및 센터 원통부의 센터 개구부에서 사이드 원통부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Y"자형을 이루는 센터 원통부와 사이드 원통부의 성형이 용이하면서 구조가 견고하며, 외력이나 충격에 쉽게 훼손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센터 서포트와 가지대의 고정이 견고하고 이탈 방지 구조가 추가되어 외부로 빠지거나 움직임이 충분히 제한됨으로써 농작물을 받치는"Y"자형을 작물 재배기간 동안 온전하게 유지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작물 지지장치{Crop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땅속에 박히어 농작물을 지지하는 농작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지에서 재배되는 고추, 가지, 오이, 토마토와 같은 열매 수확을 위한 농작물은, 열매가 달리게 되면 그 무게에 의해 자립이 어렵거나 비바람에 쉽게 넘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작물용 지지대를 세우고 줄이나 끈을 연결하여 가지를 지지시킨다.
기존의, 농작물용 지지대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789433호에 개시된 농작물 지지대 및 그 브라켓의 제조방법이 있으며, 문헌 안에는 다수의 선행문헌이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농작물 지지대는 이전의 단순 Y자형 농작물 지지대를 개선한 것이다.
기존의 농작물 지지대는, 센터 서포트의 양측에 가지대가 상방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고정된 기존의 Y자형 농작물용 지지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우수한 지지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기존의 농작물 지지대는, 금속 판체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센터 서포트 결합부와 가지대 결합부를 전후면으로 각각 절반씩 반원형이 되도록 돌출 형성한 가능한 것으로서, "Y"센터 서포트 결합부와 가지대를 결합부가 양측 절반씩 반대로 반원형을 이루는 밴드들로 구성되어 밴드들이 반대로 성형되므로, 프레스 금형의 구조가 복잡하며, 작은 너비를 갖는 밴드가 상호 교대로 반대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기존의 농작물 지지대는, 밴드의 형성 과정에서 밴드의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밴드에서 센터 서포트와 가지대가 지지되지 않는 이격 부분이 존재하므로, 센터 서포트와 가지대의 지지구조가 반복사용에서 약화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훼손되기 쉬우며, 센터 서포트와 가지대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으므로 쉽게 빠지거나 이동되어 흔들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Y"자형을 이루는 센터 서포트 결합부와 가지대 결합부의 성형이 용이하면서 구조가 견고하며, 외력이나 충격에 쉽게 훼손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센터 서포트와 가지대의 고정이 견고하고 이탈 방지 구조가 추가되어 외부로 빠지거나 움직임이 충분히 제한됨으로써 농작물을 받치는"Y"자형을 작물 재배기간 동안 온전하게 유지하는 농작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직립 배치되는 센터 원통부와, 상기 센터 원통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말리게 형성되며, 센터 원통부와 상부가 멀어지게 마주보며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원통부와, 상기 센터 원통부에서 양측의 사이드 원통부에 접선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게 연결 구성되는 연결판과, 상기 사이드 원통부의 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 원통부에 마련되는 하부 개구의 중앙에서 일부를 차단토록 구성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져 하부 이동을 제한시키는 이탈방지수단이 하나의 금속판체를 이용하여 센터 원통부와 한 쌍의 사이드 원통부는 벤딩으로, 연결판과 이탈방지수단은 절곡으로 성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사이드 원통부의 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 원통부에 마련되는 하부 개구의 중앙에서 일부를 차단토록 구성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사이드 원통부의 하단부가 상향 내측으로 테이퍼진 형태의 테이퍼 돌기부 또는 하향 내측으로 테어퍼진 형태의 테이퍼 받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센터 원통부에 측방으로 형성된 체결 홀에 대응하는 체결 홀이 마련되어 리벳, 피스, 볼트, 핀 중 하나가 결합되며 하단부가 테이퍼진 첨예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말뚝 형상의 센터 서포트 및 상기 사이드 원통부의 상부로 삽입되어 하부의 이탈방지수단에 의해서 받침 지지되게 결합되는 사이드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Y"자형을 이루는 센터 서포트 결합부와 가지대 결합부의 성형이 용이하여 가운데 절개공정이 빠지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구조가 견고하며, 외력이나 충격에 쉽게 훼손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센터 서포트와 가지대의 고정이 견고하고 이탈 방지 구조가 추가되어 외부로 빠지거나 움직임이 충분히 제한됨으로써 농작물을 받치는"Y"자형을 작물 재배기간 동안 온전하게 유지하는 농작물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사용을 위해 센터 서포트와 사이드 서포트가 결합된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4b는 도 2의 단면도 및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농작물 지지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과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농작물 지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 요소의 실시 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사용을 위해 센터 서포트와 가지대가 결합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및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농작물 지지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장치(100)는, 센터 원통부(110), 사이드 원통부(120), 및 연결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본 발명의 센터 원통부(110), 센터 원통부(110) 양측의 각 사이드 원통부(120) 및 연결판(130)과 후술하는 연결판(130)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수단(123)은 하나의 금속 판체를 이용하여 상기 센터 원통부(110)와 한 쌍의 사이드 원통부(120)는 벤딩으로 성형되며, 상기 연결판(130)과 이탈방지수단(123)은 절곡으로 성형되도록 이루어진다.
센터 원통부(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직립 배치되는 것으로서, 사이드 원통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며, 가공된 형상에 따라 일측에 상하로 길게 센터 개구부(111)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센터 원통부(110)는 땅속으로 박히는 센터 서포트(140)가 결합되며, 사이드 원통부(120)에 사이드 서포트(145)가 삽입된 상태에서 농작물을 지지하며, 지면에 자립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센터 원통부(110)에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센터 서포트(140)와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 홀(112)이 마련된다.
센터 원통부(110)는 센터 서포트(140)가 상하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에 가깝게 배치 가능한 통로가 마련되며, 체결 홀(112)은 통로를 관통하여 센터 개구부(111) 측에 대응된다.
사이드 원통부(120)는 센터 원통부(110)의 센터 개구부(111)의 양측 연장된 위치에서 경사진 형상이며 평판 원형의 사이드 원통부(120')가 원통형으로 말리도록 가공된 한 쌍으로서, 센터 원통부(110)의 중심 라인과 동일하거나 거의 인접한 평면에 중심 라인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원통부(120)는 센터 원통부(110)의 양측에 펼져친 평판 형상에서 원통형으로 말리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사이드 원통부(120)는 센터 원통부(110)의 양측 상부에서 하부로 가까워지는 경사진 양상으로서, 사이드 서포트(145)가 삽입됨으로써 센터 원통부(110)에 "Y"자형 지지 구조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사이드 원통부(120)에는 연결판(130)에서 이격되어 개구로 마련된 사이드 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원통부(120)는 원통형으로 말리면서 형성됨으로써 압축, 굽힘, 및 토션에 강하며, 쉽게 변형되거나 파단되지 않는 인성을 갖게 된다.
사이드 원통부(120)의 저면부에는 가지대의 하부 이동을 제한시키는 이탈방지수단(123)이 마련된다.
이탈방지수단(123)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25)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125)은 사이드 원통부(120)의 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사이드 원통부(120)에 마련되는 하부 개구의 중앙에서 일부를 차단함이 적절하다.
이러한 받침판(125)은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되는 사이드 서포트(145)를 견고하게 충분한 면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이드 서포트(145)가 하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에서 상정 가능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25)에는 사이드 서포트(145)에 삽입되어 사이드 서포트(145)의 움직임을 차단시키는 테이퍼 돌기(126)가 형성될 수도 있다.
사이드 원통부(120)의 상면부와 하면부는 중심 라인에 직각 형상으로 배치된다.
연결판(130)은 센터 원통부(110)의 센터 개구부(111)에서 사이드 원통부(120)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센터 원통부(110)의 양측으로 평평하게 절곡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연결판(130)은 센터 원통부(110)와 사이드 원통부(120)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센터 원통부(110)에 사이드 원통부(120)를 견고하게 지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센터 원통부(110)와 연결판(130)은 직각을 이루며, 연결판(130)은 센터 원통부(110)의 내주면에 접선 방향으로 인접함이 적절하다.
이탈방지수단(123)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원통부(120)의 하단부가 테이퍼진 형태로 좁아져 오므려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므려진 형상은 테이퍼 받침부(127)를 형성한다.
따라서 테이퍼 받침부(127)의 내경이 좁아짐에 따라 사이드 원통부(130)에 결합되는 좁아지는 내경이 사이드 서포트(140)의 외경이 가압되어 하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4a 내지 4b를 참조하면,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사이드 원통부(120)는, 오므려진 테이퍼 받침부(127) 구조가 받침판(125)과 같이 사이드 서포트(145)의 이탈을 제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장치는, 센터 원통부(110)에 삽입되어 체결 홀(112)에 결합되며 체결 홀(112)에 대응하는 체결 홀(112)이 마련된 센터 서포트 형상을 갖는 센터 서포트(140), 및 사이드 원통부(120)의 삽입되어 결합되는 사이드 서포트(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서포트(140)의 하단부는 테이퍼진 첨예부(141) 형상을 갖게 되며, 사이드 서포트(145)는 밋밋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사이드 서포트(145)의 하단부에는 사이드 원통부(120)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세레이션(146)이나 작을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서포트(145)의 회전 방지 구조는 농작물의 지지 상태에서 농작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움직임을 적절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서포트(145)는 좌굴이나 굽힘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터 원통부(110)와 센터 서포트(140)의 결합을 위한 체결 홀(112)에는 리벳, 피스, 볼트, 핀 중에서 선택된 체결부재(150)가 결합됨이 적절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격 설치된 농작물 지지장치(100)는 센터 서포터(140)가 지면에 박히면서"Y"자형으로 경작지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이드 서포터(145)가 농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160)로 연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농작물 지지장치 110: 센터 원통부
111: 센터 개구부 112: 체결 홀
120: 사이드 원통부 121: 사이드 개구부
123: 이탈방지수단
125: 받침판 126: 테이퍼 돌기
127: 테이퍼 받침부 130: 연결판
140: 센터 서포트 141: 첨예부
145: 사이드 서포트 146: 세레이션
150: 체결부재

Claims (4)

  1. 센터 서포터(140)가 삽입되게 원통형으로 통로가 형성되어 직립 배치되는 센터 원통부(110);
    벤딩으로 성형되는 원통형의 센터 원통부(110)의 일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센터 개구부(111);
    센터 원통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센터 원통부(110)에 상하로 삽입되는 센터 서포터(140)가 결합되도록 센터 원통부(110)의 통로를 관통하여 센터 개구부(111) 측에 대응되게 이루어진 체결 홀(112);
    상기 센터 원통부(110)의 센터 개구부(111)에서 양측으로 각각 접선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양측에 원통형으로 말리게 형성되며, 센터 원통부(110)와 상부가 멀어지게 마주보며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센터 원통부(110)의 중심 라인과 평면적으로 동일 또는 인접한 중심 라인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원통부(120);
    상기 센터 원통부(110)의 센터 개구부(111)에서 양측의 사이드 원통부(120)에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게 연결 구성되어 양단부가 원통형으로 벤딩으로 말리게 형성되어 양측 사이드 원통부(120)의 각 단부와 각각 접하게 형성된 연결판(130);
    상기 사이드 원통부(120)의 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원통부(120)에 마련되는 하부 개구의 중앙에서 일부를 차단하여 사이드 원통부(120)에 상부에서 결합되는 사이드 서포트(145)를 지지해서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받침판(125)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수단(123);
    이 하나의 금속판체를 이용하여 절곡으로 성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32215A 2020-10-13 2020-10-13 농작물 지지장치 KR102580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15A KR102580390B1 (ko) 2020-10-13 2020-10-13 농작물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15A KR102580390B1 (ko) 2020-10-13 2020-10-13 농작물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865A KR20220048865A (ko) 2022-04-20
KR102580390B1 true KR102580390B1 (ko) 2023-09-20

Family

ID=8139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215A KR102580390B1 (ko) 2020-10-13 2020-10-13 농작물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3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433B1 (ko) * 2016-07-14 2017-10-23 장병호 농작물 지지대 및 이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18B1 (ko) * 2007-08-22 2010-12-06 안덕기 고추 지주용 받침틀
KR101780467B1 (ko) * 2015-06-05 2017-09-21 이기석 농작물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433B1 (ko) * 2016-07-14 2017-10-23 장병호 농작물 지지대 및 이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865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9181T3 (es) Sistema de fijacion de un poste con base unica y metodo de montaje de dicho sistema.
US4936550A (en) Universal connector for T-posts and the like
US20170193862A1 (en) Apparatus for interior signpost support
KR102580390B1 (ko) 농작물 지지장치
US20230039568A1 (en) Agricultural trellis systems,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KR200392441Y1 (ko) 포도재배용 비닐하우스용 지주대 구조
DE10050021A1 (de) Montagesystem für flächige Solarkomponenten
US9212504B1 (en) Fence post system, construction, and method
KR200477647Y1 (ko)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KR101127638B1 (ko) 배전용 전주의 양방향 볼쇄클
KR102194507B1 (ko) 농작물 지지대
KR100782864B1 (ko) 비닐하우스용 보조지주
WO2007138475A2 (en) Modular 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of fences or for supporting climbing plants or the like
KR200487596Y1 (ko) 딸기 고설재배용 가대
US7251911B2 (en) Leg support apparatus for trees and bushes
KR20220048868A (ko) 농작물 지지장치
KR200304733Y1 (ko) 수목 지주대
KR102359374B1 (ko) 고추작물 지지대용 와이어 연결장치
KR102312808B1 (ko) 농작물 지지대
EP3195722A1 (de) Pfahl für wein- oder obstbau
KR102611180B1 (ko)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
US10653079B1 (en) Underground tree stake system
KR101044516B1 (ko) 수목 지지용 밴드 결속체
KR200413233Y1 (ko) 비닐하우스용 형강 프레임
RU217250U1 (ru)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гряд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