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47Y1 -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 Google Patents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47Y1
KR200477647Y1 KR2020130009279U KR20130009279U KR200477647Y1 KR 200477647 Y1 KR200477647 Y1 KR 200477647Y1 KR 2020130009279 U KR2020130009279 U KR 2020130009279U KR 20130009279 U KR20130009279 U KR 20130009279U KR 200477647 Y1 KR200477647 Y1 KR 200477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sertion hole
base plate
reinforcing plate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904U (ko
Inventor
김홍민
최봉준
Original Assignee
김홍민
최봉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민, 최봉준 filed Critical 김홍민
Priority to KR2020130009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4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9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으로 일측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지주삽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삽입구의 내측에는 지주가 관통 삽입되며 지주삽입구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결합돌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지주삽입구의 타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분기지지대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1지지대삽입구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수결착수단과, 수직으로 세워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측면절곡부가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주삽입구의 테이퍼진 양측 결합돌부가 가이드홈에 삽입되면서 수결착수단의 하강에 따라 지주삽입구의 개구부 사이 간격이 점점 좁혀져 내측에 삽입된 지주를 조임체결하여 결속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분기지지대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2지지대삽입구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암결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A support coupler for the crops prop}
본 고안은 고추나 가지 등 각종 농작물의 인근에 설치된 지주에 결합 장착되면서 양측에 분기지지대가 끼움설치되어 "
Figure 112013102722462-utm00001
"형태로 세워져 농작물의 줄기와 가지부분을 함께 지지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으로 일측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지주삽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삽입구의 내측에는 지주가 관통 삽입되며 지주삽입구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결합돌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지주삽입구의 타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분기지지대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1지지대삽입구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수결착수단과, 수직으로 세워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측면절곡부가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주삽입구의 테이퍼진 양측 결합돌부가 가이드홈에 삽입되면서 수결착수단의 하강에 따라 지주삽입구의 개구부 사이 간격이 점점 좁혀져 내측에 삽입된 지주를 조임체결하여 결속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분기지지대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2지지대삽입구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암결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추나 참깨와 같은 농작물을 재배할 때에 농작물의 줄기가 성장함에 따라 줄기가 휘어져 넘어지거나 꺾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농작물의 줄기를 소정의 지주에 묶어 수직으로 세워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나무막대나 플라스틱, 철재파이프 등을 지주로 사용하여 농작물이 재배되는 농경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하고 복수개의 지주를 와이어나 끈으로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나 끈 사이에 농작물이 위치되면서 지지되어 옆쪽으로 휘어지거나 꺾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나무막대나 플라스틱, 철재파이프 등의 지주는 단순한 막대나 파이프형상으로 와이어 등이 고정설치되지 않고 지주가 흔들리거나 바람 등에 의해 쉽게 흘러내려 농작물이 지지되지 않으며 수명이 짧고 사용 및 설치가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998818호에서는 농작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고정하도록 한 받침틀에 있어서, 고추 지주용 지지대 받침틀을 한 쌍으로 전면과 후면으로 상호 대향되어 체결되도록 하며, 줄기 지지대를 고정하는 중앙 고정부와 그 양측으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진 가지 지지대를 고정하는 좌, 우측 고정부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판을 상호 대향으로 형성한 구성과, 상기 중앙 고정부와 좌, 우측 고정부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를 내향 돌출하고, 좌, 우측 고정부에는 하단 마감부를 형성한 구성과, 전면 받침틀의 좌,우측 고정부에는 삽입편을 형성하여 후면 받침틀의 좌,우측 고정부에 형성된 "ㄷ"자형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볼트로 조립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고추 지주용 받침틀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줄기지지대에 고추 지주용 받침틀을 결합 설치하기 위하여 줄기지지대의 전후에 종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고추지주용 지지대 받침틀을 대향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중앙고정부에 천공된 볼트공을 통해 나비볼트를 나사체결하여 중앙고정부 내측에 위치되는 줄기지지대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 볼트체결을 통한 결합 설치방식으로 결합 설치가 번거롭고 어려우며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지 않아 줄기지지대로부터 고추 지주용 받침틀이 쉽게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전후방 고추지주용 지지대 받침틀의 분리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판을 구비하고 지지판의 통공을 통해 전후방 고추지주용 지지대 받침틀을 리벳체결하도록 되어 있어 전체적인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전후방 고추지주용 지지대 받침틀 사이의 결속력이 약해 그 사이가 쉽게 벌어져 줄기지지대 및 가지지지대가 흔들거려 농작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농작물의 가지부분을 지지하는 분기지지대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수체결수단과 암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체결수단과 암체결수단은 끼움결합식으로 볼트 등의 체결없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농작물의 줄기부분을 지지하는 지주에 결속되도록 하되, 상기 수체결수단에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파이프형상의 지주삽입구를 구비하고 지주삽입구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결합돌부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하며 상기 암체결수단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된 베이스판을 구비하고 베이스판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내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측면절곡부를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하여 지주삽입구의 테이퍼진 양측 결합돌부가 암체결수단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면서 수결착수단의 하강에 따라 지주삽입구의 개구부 사이 간격이 점점 좁혀져 내측에 삽입된 다양한 직경을 지닌 지주를 간편하게 조임체결하여 결속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으로 일측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지주삽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삽입구의 내측에는 지주가 관통 삽입되며 지주삽입구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결합돌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지주삽입구의 타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분기지지대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1지지대삽입구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수결착수단과, 수직으로 세워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측면절곡부가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주삽입구의 테이퍼진 양측 결합돌부가 가이드홈에 삽입되면서 수결착수단의 하강에 따라 지주삽입구의 개구부 사이 간격이 점점 좁혀져 내측에 삽입된 지주를 조임체결하여 결속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분기지지대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2지지대삽입구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암결착수단으로 구성된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농작물의 가지부분을 지지하는 분기지지대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수체결수단과 암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체결수단과 암체결수단은 끼움결합식으로 볼트 등의 체결없이 농작물의 줄기부분을 지지하는 지주에 결속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수체결수단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파이프형상의 지주삽입구이 구비되고 지주삽입구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결합돌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며 상기 암체결수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된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베이스판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내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측면절곡부가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어 지주삽입구의 테이퍼진 양측 결합돌부가 암체결수단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면서 수결착수단의 하강에 따라 지주삽입구의 개구부 사이 간격이 점점 좁혀져 내측에 삽입된 다양한 직경을 지닌 지주를 간편하게 조임체결하여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의 분해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의 수결착수단에 지주가 삽입된 상태로 암결착수단이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에서 지주가 관통 삽입된 수결착수단이 암결착수단에 의해 결속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의 수결착수단과 암결착수단의 측면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에서 지주가 관통 삽입된 수결착수단이 암결착수단에 의해 결속된 상태의 평면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에서 지주가 관통 삽입된 수결착수단이 암결착수단에 의해 결속되고 분기지지대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1)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추나 가지 등 각종 농작물의 인근에 설치된 지주(3)에 결합 장착되면서 양측에 분기지지대(8)가 끼움설치되어 "
Figure 112013102722462-utm00002
"형태로 세워져 농작물의 줄기와 가지부분을 함께 지지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으로 일측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구부(5)가 형성된 지주삽입구(4)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삽입구(4)의 내측에는 지주(3)가 관통 삽입되며 지주삽입구(4)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결합돌부(6)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지주삽입구(4)의 타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분기지지대(8)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1지지대삽입구(7)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수결착수단(2)과, 수직으로 세워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베이스판(14)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14)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가이드홈(16)이 형성된 측면절곡부(15)가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주삽입구(4)의 테이퍼진 양측 결합돌부(6)가 가이드홈(16)에 삽입되면서 수결착수단(2)의 하강에 따라 지주삽입구(4)의 개구부(5) 사이 간격이 점점 좁혀져 내측에 삽입된 지주(3)를 조임체결하여 결속하며 상기 베이스판(14)의 일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분기지지대(8)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2지지대삽입구(18)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암결착수단(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결착수단(2)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농작물의 줄기부분을 지지하는 지주(3)가 내측에 삽입되면서 이를 감싸 결속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PVC, PE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으로 일측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구부(5)가 형성된 지주삽입구(4)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삽입구(4)의 내측에는 농작물의 줄기부분을 지지하는 다양한 직경을 지닌 지주(3)가 관통 삽입되며 지주삽입구(4)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결합돌부(6)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지주삽입구(4)의 타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농작물의 가지부분을 지지하는 분기지지대(8)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1지지대삽입구(7)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결착수단(2)은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의 지주삽입구(4)의 일측을 수직방향으로 절개하여 지주삽입구(4)의 일측에 개구부(5)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직경을 지닌 지주(3)가 지주삽입구(4)의 내측에 용이하게 관통 개재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삽입구(4)의 좌우양측끝단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된 결합돌부(6)가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직선형의 바(bar)형상으로 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결합돌부(6)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이 하부는 좁고 상부는 점점 넓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수결착수단(2)의 테이퍼진 좌우측 결합돌부(6)가 암결착수단(13)의 베이스판(14) 좌우양측끝단에 각각 타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측면절곡부(15) 사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좌우측 결합돌부(6)의 하부는 용이하게 삽입되고 수결착수단(2)의 하강 또는 암결착수단(13)의 상승시 좌우측 측면절곡부(15)에 의해 좌우측 결합돌부(6) 사이에 위치되는 개구부(5)의 간격이 점점 좁혀져 지주삽입구(4)의 내측에 관통 개재된 지주(3)의 직경에 맞게 조임체결되면서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결착수단(2)은 지주삽입구(4)의 타측 가운데부분에 파이프형상으로 된 제1지지대삽입구(7)가 상향경사지게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삽입구(7)에 농작물의 가지부분을 지지하는 분기지지대(8)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대삽입구(7)는 외주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암나사공(9a)이 천공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통상의 볼트 등을 암나사공(9a)에 나사체결하여 제1지지대삽입구(7)에 끼움결합된 분기지지대(8)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결착수단(2)은 지주삽입구(4)와 제1지지대삽입구(7) 사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보강판(10a)과 하부보강판(1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주삽입구(4)와 제1지지대삽입구(7)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전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보강판(10a)과 하부보강판(11a)에는 각각 도 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고정용 끈(도시하지 않음)이 관통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끈관통공(12a)이 천공되어 있어 통상적으로 일렬로 심어지는 농작물에 각각 근접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1)의 수결착수단(2)과 암결착수단(13)에 천공된 고정끈관통공(12a)(12b)을 통해 농작물고정용 끈을 관통시켜 일렬로 심어진 여러개의 농작물을 한꺼번에 고정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암결착수단(13)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을 통해 지주(3)가 삽입된 수결착수단(2)을 조임체결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PVC, PE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세워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베이스판(14)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14)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가이드홈(16)이 형성된 측면절곡부(15)가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주삽입구(4)의 테이퍼진 양측 결합돌부(6)가 가이드홈(16)에 삽입되면서 수결착수단(2)의 하강에 따라 지주삽입구(4)의 개구부(5) 사이 간격이 점점 좁혀져 내측에 삽입된 지주(3)를 조임체결하여 결속하며 상기 베이스판(14)의 일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농작물의 가지부분을 지지하는 분기지지대(8)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2지지대삽입구(18)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결착수단(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4)의 좌우양측끝단에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된 측면절곡부(15) 사이의 간격이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져 있어 좌우측 측면절곡부(15)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16) 사이의 간격도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져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측면절곡부(15)의 상부 사이의 간격이 수결착수단(2)의 테이퍼진 좌우측 결합돌부(6)의 하부간격 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 좌우측 결합돌부(6)의 하부가 좌우측 측면절곡부(15)의 상부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되며 좌우측 측면절곡부(15) 사이의 하부 간격은 좌우측 결합돌부(6)의 상부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어 수결착수단(2)의 하강 또는 암결착수단(13)의 상승시 테이퍼진 좌우측 측면절곡부(15)에 의해 좌우측 결합돌부(6)의 외측면이 가이드홈(16)의 내측면에 점차적으로 긴밀하게 맞닿으면서 수결착수단(2)의 좌우측 결합돌부(6) 사이에 위치되는 개구부(5)의 간격이 점점 좁혀져 지주삽입구(4)의 내측에 관통 개재된 지주(3)의 직경에 맞게 조임체결되면서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암결착수단(13)은 베이스판(14)의 타측면 가운데부분에 수직방향을 따라 횡단면이 호(弧)형상으로 된 안착홈(17)이 형성되어 있어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결착수단(2)의 지주삽입구(4)에 형성된 개구부(5)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주(3)의 일측면이 베이스판(14)의 안착홈(17)에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수결착수단(2)과 암결착수단(13)의 결합 체결시 지주삽입구(4)의 내측에 관통 개재되는 지주(3)를 베이스판(14)이 더욱 긴밀하게 조임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결착수단(13)은 베이스판(14)의 일측면 가운데부분에 파이프형상으로 된 제2지지대삽입구(18)가 상향경사지게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삽입구(18)에 농작물의 가지부분을 지지하는 분기지지대(8)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면서 지주(3)와 함께 수결착수단(2)과 암결착수단(13)의 분기지지대(8)가 ""
Figure 112013102722462-utm00003
"형상으로 설치되어 농작물의 줄기 및 가지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대삽입구(18)는 외주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암나사공(9b)이 천공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통상의 볼트 등을 암나사공(9b)에 나사체결하여 제2지지대삽입구(18)에 끼움결합된 분기지지대(8)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암결착수단(13)은 베이스판(14)과 제2지지대삽입구(18) 사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보강판(10b)과 하부보강판(11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판(14)과 제2지지대삽입구(18)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전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보강판(10b)과 하부보강판(11b)에는 각각 도 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고정용 끈(도시하지 않음)이 관통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끈관통공(12b)이 천공되어 있어 통상적으로 일렬로 심어지는 농작물에 각각 근접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1)의 수결착수단(2)과 암결착수단(13)에 천공된 고정끈관통공(12a)(12b)을 통해 농작물고정용 끈을 관통시켜 일렬로 심어진 여러개의 농작물을 한꺼번에 고정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결착수단(2)과 암결착수단(13)은 지주(3)에 끼움결합식으로 결합 장착되어 농작물의 성장에 따라 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지주(3)에 결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주(3)에 복수개의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1)를 상하 일정간격으로 결착하여 사용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결착수단(2)의 제1지지대삽입구(7)와 암결착수단(13)의 제2지지대삽입구(18)는 선단부의 내경이 종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분기지지대(8)가 선택적으로 삽입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1)를 사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추나 가지 등 각종 농작물의 인근에 설치된 지주(3)에 결합 장착되면서 양측에 끼움결합되는 분기지지대(8)를 이용하여 "
Figure 112013102722462-utm00004
"형태로 세워져 농작물의 줄기와 가지부분을 함께 지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결착수단(2)에 구비된 지주삽입구(4)의 내측에 농작물의 줄기부분을 지지하는 지주(3)를 관통 개재하고 수결착수단(2)의 지주삽입구(4) 좌우양측끝단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돌부(6)의 하부에 암결착수단(13)의 베이스판(14) 좌우양측끝단에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된 측면절곡부(15) 사이에 끼움결합하되, 상기 수결착수단(2)의 좌우측 결합돌부(6)가 암결착수단(13)의 좌우측 측면절곡부(15)의 내측면에 가이드홈(16)을 따라 가이드결합되면서 끼움결합되게 하며 수결착수단(2)과 암결착수단(13)의 끼움결합과정에서 좌우측 측면절곡부(15) 사이의 하부 간격이 좌우측 결합돌부(6)의 상부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어 수결착수단(2)의 하강 또는 암결착수단(13)의 상승시 테이퍼진 좌우측 측면절곡부(15)에 의해 좌우측 결합돌부(6)의 외측면이 가이드홈(16)의 내측면에 점차적으로 긴밀하게 맞닿으면서 수결착수단(2)의 좌우측 결합돌부(6) 사이에 위치되는 개구부(5)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혀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삽입구(4)의 내측에 관통 개재된 지주(3)의 직경에 맞게 조임체결되면서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속되게 한다.
또한, 상기 수결착수단(2)과 암결착수단(13)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파이프형상의 제1지지대삽입구(7)와 제2지지대삽입구(18)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농작물의 가지부분을 지지하는 분기지지대(8)를 끼움결합하여 지주(3)와 함께 "
Figure 112013102722462-utm00005
"형태로 설치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의 인근에 지주(3)를 세워 농작물의 줄기 및 가지부분을 끈 등으로 묶음고정하여 바람이나 열매의 하중에 의해 농작물이 쓰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1. 지지대결착구 2. 수결착수단
3. 지주 4. 지주삽입구
5. 개구부 6. 결합돌부
7. 제1지지대삽입구 8. 분기지지대
9a, 9b. 암나사공 10a, 10b. 상부보강판
11a, 11b. 하부보강판 12a, 12b. 고정끈관통공
13. 암결착수단 14. 베이스판
15. 측면절곡부 16. 가이드홈
17. 안착홈 18. 제2지지대삽입구

Claims (5)

  1.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형상으로 일측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구부(5)가 형성된 지주삽입구(4)가 구비되고 지주삽입구(4)의 내측에는 지주(3)가 관통 삽입되며 지주삽입구(4)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결합돌부(6)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고 지주삽입구(4)의 타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분기지지대(8)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1지지대삽입구(7)가 돌출형성된 수결착수단(2)과, 수직으로 세워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양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베이스판(14)이 구비되고 베이스판(14)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가이드홈(16)이 형성된 측면절곡부(15)가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어 지주삽입구(4)의 테이퍼진 양측 결합돌부(6)가 가이드홈(16)에 삽입되면서 수결착수단(2)의 하강에 따라 지주삽입구(4)의 개구부(5) 사이 간격이 점점 좁혀져 내측에 삽입된 지주(3)를 조임체결하여 결속하며 베이스판(14)의 일측에는 상향경사진 상태로 분기지지대(8)가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제2지지대삽입구(18)가 돌출형성된 암결착수단(13)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수결착수단(2)은 지주삽입구(4)와 제1지지대삽입구(7) 사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보강판(10a)과 하부보강판(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결착수단(13)은 베이스판(14)과 제2지지대삽입구(18) 사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보강판(10b)과 하부보강판(11b)이 형성되고, 상부보강판(10a)(10b)과 하부보강판(11a)(11b)에는 각각 농작물고정용 끈이 관통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끈관통공(12a)(12b)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결착수단(2)은 지주삽입구(4) 좌우양측끝단의 결합돌부(6)가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진 직선형의 바형상으로 되어 있어 좌우측 결합돌부(6)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대삽입구(7)와 제2지지대삽입구(18)는 외주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암나사공(9a)(9b)이 천공되어 있어 암나사공(9a)(9b)에 볼트가 나사체결되면서 제1지지대삽입구(7)와 제2지지대삽입구(18)에 끼움결합된 분기지지대(8)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결착수단(13)은 베이스판(14)의 좌우양측끝단에 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된 측면절곡부(15) 사이의 간격이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져 있어 좌우측 측면절곡부(15)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16) 사이의 간격도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테이퍼져 있으며, 상기 암결착수단(13)은 베이스판(14)의 타측면 가운데부분에 수직방향을 따라 횡단면이 호형상으로 된 안착홈(17)이 형성되어 있어 수결착수단(2)의 지주삽입구(4)에 형성된 개구부(5)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주(3)의 일측면이 베이스판(14)의 안착홈(17)에 부합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결착수단(2)의 제1지지대삽입구(7)와 암결착수단(13)의 제2지지대삽입구(18)는 선단부의 내경이 종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분기지지대(8)가 선택적으로 삽입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KR2020130009279U 2013-11-12 2013-11-12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KR200477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279U KR200477647Y1 (ko) 2013-11-12 2013-11-12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279U KR200477647Y1 (ko) 2013-11-12 2013-11-12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04U KR20150001904U (ko) 2015-05-20
KR200477647Y1 true KR200477647Y1 (ko) 2015-07-03

Family

ID=5351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279U KR200477647Y1 (ko) 2013-11-12 2013-11-12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950B1 (ko) 2021-01-14 2021-10-15 임완수 말뚝베이스와 이것을 이용한 말뚝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150B1 (ko) * 2017-06-30 2019-04-05 제천시 과실나무 수형구성 장치
AU2020217364B2 (en) * 2019-09-23 2021-06-17 Nz Tube Mills Limited A Trellis
KR102240919B1 (ko) * 2021-02-26 2021-04-16 이수득 농작물용 지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18B1 (ko) * 2007-08-22 2010-12-06 안덕기 고추 지주용 받침틀
KR101036395B1 (ko) * 2010-06-23 2011-05-23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수목용 가지 유인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18B1 (ko) * 2007-08-22 2010-12-06 안덕기 고추 지주용 받침틀
KR101036395B1 (ko) * 2010-06-23 2011-05-23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수목용 가지 유인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950B1 (ko) 2021-01-14 2021-10-15 임완수 말뚝베이스와 이것을 이용한 말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04U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647Y1 (ko) 농작물지주용 지지대결착구
JP2007166949A (ja) 植物栽培用の開閉式支柱及びこれを構成する支柱相互の連結具
KR101769449B1 (ko) 비가림시공이 가능한 농작물 가지걸침지지구
KR20140004689U (ko) 비닐하우스용 레일브라캐트
KR200482209Y1 (ko) 농작물가지 걸침지지구
KR101332951B1 (ko) 과수 지지 및 유인구
US8136291B2 (en) Device for supporting a plant, fence or object
KR200457513Y1 (ko) 농업용 조립식 지주
KR101877172B1 (ko) 배수가 용이한 공중재배용 화분
KR20080015200A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101036395B1 (ko) 수목용 가지 유인구
KR101840861B1 (ko) 식물 지지용 클립
KR102151570B1 (ko) 나무 지주목 체결구
KR101395747B1 (ko) 조립식 농작물 지지대
KR101524910B1 (ko) 터널식 조경 구조물 및 터널식 조경 구조물용 조립식 조경 구조물
KR20210054692A (ko) 스크루 설치식 삼지형 고추 지주대
KR20200109456A (ko) 작물가지 지지대
AU2017204039B2 (en) A Trellis Component.
KR20210136658A (ko) 과실나무 가지용 지주 캡
KR20170004274U (ko) 양식장용 그물지지기구
KR20120005595A (ko) 과실수 가지의 지지대
KR200429607Y1 (ko) 포도 재배용 비닐 하우스 지지대 연결구
JP2005124437A (ja) ツル科植物育成装置
KR101507106B1 (ko) 조립성 및 내구성을 높인 작물지지대
KR102611180B1 (ko)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