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467B1 -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 Google Patents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467B1
KR102194467B1 KR1020190062676A KR20190062676A KR102194467B1 KR 102194467 B1 KR102194467 B1 KR 102194467B1 KR 1020190062676 A KR1020190062676 A KR 1020190062676A KR 20190062676 A KR20190062676 A KR 20190062676A KR 102194467 B1 KR102194467 B1 KR 102194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vehicle
fixing
infusion bottle
hook
ceil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082A (ko
Inventor
김병욱
Original Assignee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4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좌우측 수평 걸이부가 양단에서 일정길이 하부로 꺽어지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에 밀착 설치되더라도 기울기를 가지는 좌우측 수평 걸이부에 수액병이나 수혈팩의 걸림줄을 용이하게 걸이 두어, 응급 차량내에서의 응급 처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Sap bottle hanger for Emergency vehicle}
본 발명은 수액병 및/또는 수혈팩 걸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면에 부착되는 고정블럭에 삽입 지지되어, 수액병 및/또는 수혈팩의 걸림줄을 용이하게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응급 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급차량의 실내 천정면에는 수액병이나 수혈팩을 걸어 놓기 위한 걸이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걸이 장치는 지지대의 상단 좌우측으로 수평 걸이부를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평 걸이부는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일반 병실에서 사용하는 스탠드형 걸이 장치에서는 상부가 공개되어 있어 그 사용이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지만, 차량 부착형인 경우에는 수평 걸이부가 차량 천정면에 밀착되면서, 수평 걸이부에 수액병 또는 수혈팩의 걸림줄을 제대로 걸어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공보 제20-0000787호(공고일 1991.02.08.)
등록특허공보 제10-0945318호(공고일 2010.03.08.)
본 발명은, 좌우측 수평 걸이부가 양단에서 일정길이 하부로 꺽어지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에 밀착 설치되더라도 기울기를 가지는 좌우측 수평 걸이부에 수액병이나 수혈팩의 걸림줄을 용이하게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는,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 블럭; 상기 고정 블럭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매직테이프를 사용하여 수액병이 고정되는 U자형의 걸이 몸체부; 및, 상기 걸이 몸체부의 양끝단에서 절곡되는 것으로, 끝단에는 각각 비틀림 고리부가 형성되는 좌,우측의 수평 걸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걸이부는 응급 차량의 천정면과 일정한 간격 유지를 위해 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걸이부의 기울기는 상기 수평 걸이부의 일정 지점에서 꺽임라인을 기점으로 하부로 꺽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걸이부의 기울기는 하부로 향하는 완만한 곡률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걸이 몸체부의 양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상기 비틀림 고리부는 한바퀴 이상의 감김상태를 유지하며 그 선단부가 상면을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은,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제 1 체결홀을 가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제 2 체결홀을 가지면서 상기 걸이 몸체부와 상기 수평 걸이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결속 블럭;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 블럭에는, 상기 걸이 몸체부가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부터 전개시 상기 걸이 몸체부를 걸림 고정하는 전개 고정부와, 상기 걸이 몸체부가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 수납시 상기 걸이 몸체부를 걸림 고정하는 수납 고정부와, 상기 수평 걸이부를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키면서 상기 걸이 몸체부의 전개 또는 수납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우측 수평 걸이부가 양단에서 일정길이 하부로 꺽어지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에 밀착 설치되더라도 기울기를 가지는 좌우측 수평 걸이부에 수액병이나 수혈팩의 걸림줄을 용이하게 걸어 두어, 응급 차량내에서의 응급 처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응급 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응급 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걸이 장치에 수액병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걸이 몸체부 상부에 형성되는 수평 걸이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응급 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걸이 장치에 수액병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걸이 몸체부 상부에 형성되는 수평 걸이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응급 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응급 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걸이 장치에 수액병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걸이 몸체부 상부에 형성되는 수평 걸이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는, 고정 블럭(10), 걸이 몸체부(20), 수평 걸이부(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블럭(10)은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 플레이트(11)와 결속 블럭(12)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1)는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면에 체결부재(예; 나사)(300)를 통해 고정되도록 3점의 제 1 체결홀(11a)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결속 블럭(12)은 상기 체결부재(300)를 통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11)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체결홀(11a)에 대응하는 3점의 제 2 체결홀(12a)을 형성한 것으로서, 전개 고정부(121)와 수납 고정부(122) 및 안착부(123)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개 고정부(121)는 상기 걸이 몸체부(20)가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전개시 상기 걸이 몸체부(20)가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수납 고정부(122)는 상기 걸이 몸체부(20)가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 수평되게 수납시 상기 걸이 몸체부(20)가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안착부(123)는 상기 수평 걸이부(30)를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키면서 상기 걸이 몸체부(20)의 전개 또는 수납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안착부(123)에는 U자형을 이루는 상기 걸이 몸체부(20)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상기 수평 걸이부(30)가 통과될 때, 상기 걸이 몸체부(20)는 상기 안착부(123)를 통과하는 상기 수평 걸이부(30)를 축으로 하여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전개 회전하거나 또는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 수평되게 수납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 몸체부(20)는 U자형의 구조물로서, 상기 고정 블럭(10)을 이루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1)와 상기 결속 블럭(1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며, 매직테이프(100)를 사용하여 수액병(200)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 걸이부(30)는 상기 걸이 몸체부(20)의 양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끝단에는 각각 수액병(200)의 걸림줄(미도시)를 걸어둘 수 있는 비틀림 고리부(31)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 걸이부(30)는 응급 차량의 천정면과 일정한 간격 유지를 위해 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되, 상기 기울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 걸이부(30)의 일정 지점에서 꺽임라인(L1)을 기점으로 하부로 꺽어지는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수평 걸이부(30) 기울어진 양측 단부를 이용하여 수액병(200)의 걸림줄(미도시)을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걸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 몸체부(20)의 양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상기 비틀림 고리부(31)는 한바퀴 이상의 감김상태를 유지하며 그 선단부가 상면을 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비틀림 고리부(31)를 이같은 양측 단부에 1회전 이상의 감김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주행상태에 따라 흔들림이 심한 긴급차량에서도 수액병(200)의 걸림줄(미도시)이 상기 비틀림 고리부(31)로 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평 걸이부(30)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하부로 향하는 완만한 곡률(D1)을 유지하는 각도일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걸이 몸체부(20)의 상부에 연장되는 상기 수평 걸이부(30)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률(D1)을 유지하며 하부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그 양끝단에 한바퀴 이상의 감김상태를 유지하는 비틀림 고리부(31)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수액병(200)의 걸림줄(미도시)을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걸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차량의 수액병 걸이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우선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면에 고정블럭(10)에 포함되는 고정 플레이트(1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11)에 걸이 몸체부(20)와 수평 걸이부(30)의 일부분을 밀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11)에 결속 블럭(12)을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결속 블럭(12)의 안착부(123)를 통해 상기 수평 걸이부(3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결속 블럭(12)의 전개 고정부(121)에는 상기 걸이 몸체부(20)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고정 플레이트(11)와 상기 결속 블럭(12)에 각각 형성되는 3점의 체결홀(11a, 12a)에 체결부재(300)가 체결되도록 하면서, 상기 체결부재(300)를 최종적으로 응급차량의 실내 천정면으로 체결하면,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면에는 수액병(200)이나 수혈팩을 고정할 수 있는 걸이 장치 고정이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첨부된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걸이 몸체부(20)에 매직 테이프(100)를 이용하여 수액병(200)을 결속 고정한 후, 상기 수액병(200)의 걸림줄(미도시)은 상기 수평 걸이부(30)에 형성되는 비틀림 걸이부(31)에 걸어둔다.
즉, 상기 수평 걸이부(3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꺽임라인(L1)을 기점으로 하부로 꺽어지는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거나, 내지 첨부된 도 5 및 도 7 에서와 같이 하부로 향하는 완만한 곡률(D1)을 유지하는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므로, 상기 수평 걸이부(30)는 응급차량의 천정면으로부터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수액병(200)의 걸림줄을 손쉽게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직하게 전개되는 걸이 몸체부(20)는 그 사용이 없을 때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 수평되게 수납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 블럭(12)에 형성되는 전개 고정부(121)로부터 U자형을 이루는 걸이 몸체부(20)를 벌어지게 하면서 상기 전개 고정부(121)로부터 걸림 상태를 우선 해제시킨다.
이후, 상기 걸이 몸체부(20)를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이 몸체부(20)는 수평 걸이부(30)를 축으로 하여 그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회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결속 블럭(12)에 형성되는 수납 전개부(122)에 걸림 고정되면서, 상기 걸이 몸체부(20)는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 수납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수납 고정으로부터 응급 차량 내에서 상기 걸이 몸체부(20)에 의한 통행 방해 등의 문제를 없앨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응급 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고정 블럭 11; 고정 플레이트
11a; 제 1 체결홀 12; 결속블럭
12a; 제 2 체결홀 121; 전개 고정부
122; 수납 고정부 123; 안착부
20; 걸이 몸체부 30; 수평 걸이부
31; 비틀림 고리부 100; 매직테이프
200; 수액병 300; 체결부재

Claims (6)

  1.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 블럭;
    상기 고정 블럭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매직테이프를 사용하여 수액병이 고정되는 U자형의 걸이 몸체부; 및,
    상기 걸이 몸체부의 양끝단에서 절곡되는 것으로, 응급 차량의 천정면과 일정한 간격 유지를 위해 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끝단에는 각각 비틀림 고리부가 형성되는 좌,우측의 수평 걸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럭은,
    응급 차량의 실내 천정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제 1 체결홀을 가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제 2 체결홀을 가지면서 상기 걸이 몸체부와 상기 수평 걸이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결속 블럭; 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결속 블럭에는,
    상기 걸이 몸체부가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부터 전개시 상기 걸이 몸체부를 걸림 고정하는 전개 고정부와;
    상기 걸이 몸체부가 응급 차량의 천정면으로 수납시 상기 걸이 몸체부를 걸림 고정하는 수납 고정부와;
    상기 수평 걸이부를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키면서 상기 걸이 몸체부의 전개 또는 수납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걸이부의 기울기는 상기 수평 걸이부의 일정 지점에서 꺽임라인을 기점으로 하부로 꺽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걸이부의 기울기는 하부로 향하는 완만한 곡률을 유지하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 몸체부의 양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상기 비틀림 고리부는 한바퀴 이상의 감김상태를 유지하며 그 선단부가 상면을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2676A 2019-05-28 2019-05-28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KR102194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76A KR102194467B1 (ko) 2019-05-28 2019-05-28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76A KR102194467B1 (ko) 2019-05-28 2019-05-28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082A KR20200137082A (ko) 2020-12-09
KR102194467B1 true KR102194467B1 (ko) 2020-12-24

Family

ID=7378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676A KR102194467B1 (ko) 2019-05-28 2019-05-28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4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921B2 (ja) * 1993-09-13 2001-09-04 株式会社リコー 光磁気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859A (en) * 1980-07-14 1983-01-11 The Horton Company Ceiling-mounted holder for intravenous fluid receptacles
KR0131519Y1 (ko) * 1996-08-20 1998-12-01 서재근 벽면 부착용 링거병 홀더
KR100945318B1 (ko) 2008-04-22 2010-03-08 정갑진 링거 걸이구
JP3205921U (ja) * 2016-06-09 2016-08-18 株式会社Ksk 点滴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921B2 (ja) * 1993-09-13 2001-09-04 株式会社リコー 光磁気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082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6604B2 (en) Picture hanger assembly and method
US7497028B2 (en) Picture hanger assembly and method
US1751691A (en) Bracket
US2009028878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ployment of curtains
EP1588656A2 (en) Curtain corner supports
EP3162260A1 (en) Towel rack
KR102194467B1 (ko) 응급차량의 수액병 걸이 장치
JP2004337604A (ja) 天井取付スタンドの旋回アーム
US6267257B1 (en) Door mounted hanging device
US10098508B1 (en) Resettable breakaway shower rod system
US4244549A (en) Self straightening picture hanger
US20090256041A1 (en) Hanging fixture for wall board and method for its use
US5454539A (en) Plate holder device
JP6824578B2 (ja) 充電コネクタ取付部材
US6783106B2 (en) Wall article hang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JP3133339U (ja) 携帯用保持具
US20020125398A1 (en) Multi-loop hanging system
JP3416492B2 (ja) 安全ネット吊り下げ金具
US20050139747A1 (en) Plain sight hanging
JP2005183227A (ja) 照明器具
JP7227044B2 (ja) フック部材および装備品収容構造
JPH09271441A (ja) パイプレール用摺動フック
WO2018190764A1 (en) A suspension system for suspending and securing an object to a wall
JP2006283961A (ja) 長さ調節ができる吊り下げ具
KR960004667Y1 (ko) 포스트형 선반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