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143B1 -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143B1
KR102194143B1 KR1020190141503A KR20190141503A KR102194143B1 KR 102194143 B1 KR102194143 B1 KR 102194143B1 KR 1020190141503 A KR1020190141503 A KR 1020190141503A KR 20190141503 A KR20190141503 A KR 20190141503A KR 102194143 B1 KR102194143 B1 KR 102194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r
homing system
simulation
sig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락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1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006Guided missiles training or simula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41G7/22Homing guida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AR 호밍시스템의 이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영상의 흔들림을 실시간 보상할 수 있는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SAR 호밍시스템의 성능을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SAR 호밍시스템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 SAR 호밍시스템이 레일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 복수개의 혼안테나로 구성된 모의 표적; 움직이는 SAR 호밍시스템으로 복수개의 혼안테나를 통해서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모의신호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SAR 호밍시스템은, SAR 안테나 수신부;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복원하는 신호처리부; 복원된 SAR 영상과 모의 표적에서 형성한 기준영상을 비교하고, 신호처리부의 SAR 복원 영상의 해상도를 실시간 보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Simulation device and method of SAR homming system for guidance weapon}
본 발명은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AR 호밍시스템의 이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영상의 흔들림을 실시간 보상할 수 있는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합성 개구 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이하 SAR이라 약함) 호밍시스템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으로,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한 방위각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SAR 호밍시스템은 초고주파를 사용하여 영상을 얻어내기 때문에 가시광의 유무와 날씨, 구름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상의 일정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즉, SAR 호밍시스템은 고정된 지상 표적에 대해 레이더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안테나를 통해 전자파를 송수신하여 지상 표적에 대한 도플러 정보를 통해 영상을 합성하는 시스템이다.
종래는 SAR 호밍시스템에 적용되는 SAR 탐색기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SAR 탐색기를 비행체에 탑재하고, 비행체의 비행 시험을 통해서 영상을 얻고,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SAR 탐색기의 성능을 확인하고 있다.
등록특허 10-1773179호(발명의 명칭 : 탐색기 성능 점검 제어 장치 및 방법)는, 탐색기를 비행체에 탑재한 상태에서 탐색기의 성능 점검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등록특허는 비행체에 탑재된 탐색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탐색기 작동 판단부; 탐색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탐색기의 성능 점검과 관련된 시나리오들 중에서 비행체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선택부; 및 비행체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시나리오를 기초로 탐색기의 성능을 점검하는 탐색기 성능 점검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의 탐색기 성능 점검 제어 장치는 SAR 영상 획득을 위하여 비행시험을 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시간적, 공간적으로 여러가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SAR 호밍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함에 있어서도 SAR 호밍시스템의 수신성능 확인, SAR 탐색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김발제어기의 성능 확인, 그리고 SAR 호밍시스템에서 복원된 SAR 영상의 해상도 확인 등, 여러과정에 따른 개별적인 성능확인 구성을 통하여, SAR 호밍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성능을 확인하였을 때, SAR 호밍시스템의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없고, 특히 SAR 호밍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는 모체, 예를 들면 무인 비행체, 유도무기 등의 이동과정이나 비행과정에서 발생되는 흔들림에 대한 SAR 영상의 보상을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317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이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영상의 흔들림을 실시간 보상할 수 있는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험실 환경에서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를 구현하되, SAR 호밍시스템의 이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영상의 흔들림을 실시간 보상할 수 있는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전체 구성요소의 연동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실시간 보상할 수 있는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SAR 호밍시스템의 성능을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SAR 호밍시스템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 SAR 호밍시스템이 레일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 복수개의 혼안테나로 구성된 모의 표적; 움직이는 SAR 호밍시스템으로 복수개의 혼안테나를 통해서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모의신호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SAR 호밍시스템은, SAR 안테나 수신부;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복원하는 신호처리부; 복원된 SAR 영상과 모의 표적에서 형성한 기준영상을 비교하고, 신호처리부의 SAR 복원 영상의 해상도를 실시간 보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실험실 환경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모터부는, SAR 호밍시스템을 레일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모의 표적은 16개 이상의 혼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 실험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 실험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제어, 시뮬레이션을 제어하는 분석 시스템을 포함하고, 모의신호발생장치는 분석 시스템의 제어하에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 실험신호를 생성하여 혼 안테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AR 호밍시스템과 분석 시스템은 이더넷 통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분석 시스템은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SAR 영상을 복원하고, 복원된 SAR 영상과 모의 표적에서 형성한 기준영상을 비교하여 SAR 호밍시스템의 SAR 복원 영상 해상도를 실시간 보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모의신호발생장치는 모의 표적에 따라서 다른 크기의 16개의 모의 신호를 생성하거나 다른 도플러 신호를 갖는 16개의 모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SAR 안테나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보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AR 호밍시스템이 일정 속도로 이동할 때, SAR 안테나 수신부가 모의 표적을 향하도록 각도 조절되는 김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김발의 각도를 제어하는 서보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보제어부는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김발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AR 호밍시스템이 일정 속도로 이동할 때, SAR 안테나 수신부가 모의표적을 향하도록 각도 조절하는 제1김발과, SAR 호밍시스템이 일정 속도로 이동할 때, 모의 표적을 구성하는 혼 안테나가 SAR 안테나 수신부의 방향을 향하도록 각도 조절하는 제2김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AR 호밍시스템이 이동 상태에서, 이동 상태의 모의 표적을 추적하면서 멀티-룩 상황에서의 실험을 수행하고, 복원된 SAR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신호처리부의 영상 해상도를 높이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방법은, SAR 호밍시스템의 성능을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SAR 호밍시스템을 레일 상부에 설치하고, SAR 호밍시스템을 이동시키는 1단계; 모의신호발생장치에서 복수의 혼 안테나로 구성된 모의표적을 통해서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2단계: 이동 중인 SAR 호밍시스템에 탑재된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복원하는 3단계; 복원된 SAR 영상과 모의 표적에서 형성한 기준영상을 비교하고, SAR 복원 영상의 해상도를 실시간 보상 제어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방법은 실험실 환경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단계에서 SAR 호밍시스템이 일정속도로 이동이 시작되면, SAR 안테나 수신부가 모의 표적을 향하도록 김발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단계에서 SAR 호밍시스템이 일정속도로 이동이 시작되면, SAR 안테나 수신부가 모의표적을 향하도록 제1김발의 각도를 조절하고, 모의 표적을 구성하는 혼 안테나가 SAR 안테나 수신부 방향을 향하도록 제2김발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AR 호밍시스템이 이동하면서 각도 조절되는 모의 표적을 추적하여 멀티-룩 상황에서의 실험을 수행하고, 복원된 SAR 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영상 해상도를 높이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은 SAR 호밍시스템의 이동상태에 있을 때, 발생되는 복원 SAR 영상의 흔들림을 실시간 검출하고, 보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은, SAR 호밍시스템의 탐색기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와 이 검출신호를 이용한 SAR 복원 영상 간의 실시간 보상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실 환경에서 모의실험장치를 구현하여,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이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영상의 흔들림을 실시간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SAR 영상을 얻기 위하여 SAR 탐색기를 비행기에 탑재하던 종래와 비교하여, 경제적, 시간적, 공간적으로 많은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전체 구성요소 사이의 연동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실시간 보상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은 SAR 호밍시스템을 이동시키면서 실시간 획득되는 SAR 영상의 보상 처리가 가능하고, SAR 호밍시스템의 SAR 안테나 김발제어에 의하여 실시간 수신성능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의 표적의 각도 제어를 통하여 멀티-룩 상황에서의 SAR 호밍시스템의 실시간 SAR 영상 복원 및 보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SAR 호밍시스템 전체적으로 성능 시험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드에 적용되었을 때, SAR 호밍시스템의 안전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에 사용 가능한 모의 표적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에서 획득한 SAR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에서 획득한 SAR 해상도 제어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을 위한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와 "기", "모듈"과 "부", "유닛"과 "부", "장치"와 "시스템", "모의 표적"과 "혼 안테나", "SAR 안테나"와 "SAR 안테나 수신부"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실험실 환경에서 SAR 영상을 획득하여 시험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고 있는 본 발명의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실험실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이하 'SAR 호밍시스템'이라고 명명함)의 모의실험장치는 실시간 검출과 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SAR 호밍시스템의 이동과 함께 획득되는 수신신호를 실시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수신신호로부터 복원된 SAR 영상의 해상도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SAR 안테나수신부를 통해서 실시간 획득되는 수신신호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복원하고, 복원된 SAR 영상의 해상도를 실시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시스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개별적 성능 검사가 아니라 시스템 전체적인 구성들의 연동과정에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실험실 환경 내에서, SAR 호밍시스템(10)의 성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SAR 호밍시스템(10)을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20)과, SAR 호밍시스템(10)이 레일(20) 상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30)를 포함한다.
레일(20)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터부(30)의 속도 제어를 받는 SAR 호밍시스템(10)이 가속과 감속에 따른 이동 변화에 따른 신호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만큼의 일정 길이를 갖고, SAR 호밍시스템(10)의 왕복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모의 실험이 실험실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할 때, 레일(20)은 S자 형태, O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실험실 환경 내에서 적절한 길이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모터부(30)는 SAR 호밍시스템(10)을 레일(20) 위에서 이동 가능한 용량의 모터로 구성되고, SAR 호밍시스템(10)을 일정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속과 감속 제어가 가능한 용량의 모터를 사용한다. 여기서 일정속도는 SAR 호밍시스템(10)을 탑재할 유도무기용 비행체의 이동속도와 비례되는 값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호처리 과정에서 유도무기용 비행체의 이동속도에 비례하도록 기설정된 가중치값이 적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모터부(30)의 속도 제어로 이동되는 SAR 호밍시스템(10)은 SAR 안테나 수신부(12)와 SAR 안테나 수신부(12)의 신호 수신 방향 조절을 위한 김발(14), SAR 안테나 수신부(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복원하고, SAR 복원 영상의 보정을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16), SAR 호밍시스템(10)의 이동시 실시간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기설정된 기준신호의 크기보다 큰 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SAR 안테나 수신부(12)의 방향 지향을 위하여 김발(14)을 제어하는 제어부(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SAR 호밍시스템(10)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김발의 각도 제어를 위한 서보제어부의 구성도 포함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신호처리부(16)는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획득되는 수신신호를 분석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의 구성을 포함 가능하다. 이미지획득부는,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량을 최소화해야 하고, 따라서 수신신호에 대해 CFAR(Constant False Alarm Rate)을 조절하여, 기준신호 세기 이상의 수신신호 성분만을 획득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미지획득부는 에지 필터와 같은 공지된 기술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신호처리부(16)는 획득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미지획득부에서 얻은 이미지 영상과 모의 표적의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 복원된 SAR 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영상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6)는 복원된 SAR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고, 스펙클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멀티-룩(Multi-Look)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간 복원되는 SAR 영상의 보상과 실시간 검출되는 수신신호의 보상을 위한 가중치,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보상제어값 등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신호의 보상 및 SAR 복원 영상의 보상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이용 가능하다.
그리고 SAR 호밍시스템(10)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모의 표적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의 표적을 16개로 구성된 혼 안테나(40)를 사용한다. 즉, 16개로 구성된 혼 안테나(40)를 통해서 동일한 16개의 모의 신호를 이동상태에 있는 SAR 호밍시스템(1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한다.
혼 안테나(40)는 최소 16개로 구성한다. 최소 3dB 이격된 신호를 구성하기 위해서 16개의 혼 안테나가 필요하다. 즉, 모서리와 모서리의 혼 안테나로 서로 다른 도플러 신호를 가지는 모의신호를 송신할 경우, 호밍시스템에서 수신하여 신호처리 후 각각의 신호 피크(peak)가 식별 가능하다. 물론 혼 안테나의 구성을 더 많은 수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혼 안테나(40)는 발생할 모의 표적에 따라서 다른 신호의 크기를 갖거나 다른 도플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혼 안테나(40)는 모의신호발생장치(50)에서 발생한 모의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이때 모의신호발생장치(50)에서 발생되는 16개의 모의신호에 대한 도플러편이는 신호를 수신하는 SAR 호밍시스템(10)에서 미리 알고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신호처리부(16)는 미리 알고 있는 도플러 편이를 기준으로 수신신호를 이용한 SAR 영상 복원을 수행한다. 도플러 편이를 이용한 SAR 영상 복원의 과정은 SAR 신호처리 과정에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모의신호발생장치(50)는 혼 안테나(40)를 이용하여 모의 표적을 구현한다. 모의신호발생장치(50)는 분석시스템(60)에서 전송된 모의신호 발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적 생성신호를 생성하고, 표적위치생성부(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한다. 따라서 모의 표적에 대한 각도, 속도,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모의 시나리오 정보가 구성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모의 신호가 생성된다. 따라서 표적위치생성부는 혼안테나로 출력할 표적 생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므로서 표적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SAR 호밍시스템(10)의 SAR 복원 영상의 성능을 확인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모의신호발생장치(50)는 16개의 혼 안테나(40)의 신호 출력을 다양하게 제어하여, 다양한 형상의 모의 표적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해당 모의 표적신호를 수신한 SAR 호밍시스템(10)의 복원영상과 모의 표적에 대한 기준 영상신호의 비교를 통해서 SAR 호밍시스템(10)의 SAR 복원 영상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모의신호발생장치(50)는 분석시스템(60)의 제어를 받아서 모의 시나리오에 기반한 모의 표적에 대한 속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표적 모의신호를 생성하고, 혼안테나(40)에서 생성된 모의 표적에 대한 모의신호가 방사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실험실 환경에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시험 대상체인 SAR 호밍시스템(10)을 비롯한 모의 표적을 구성하는 혼 안테나(40)는 실험실 내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의 구성들(모터부, 모의신호발생장치, 분석시스템)은 실험실 외부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험실 내부 환경은, 일반적인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을 위한 환경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분석시스템(60)은 SAR 호밍시스템(10)의 모의실험을 위해 필요한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분석시스템(60)은 SAR 호밍시스템(10)의 검출 데이터, SAR 호밍시스템(10)의 운용을 위한 알고리즘 데이터, SAR 호밍시스템(10)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션 데이터, SAR 호밍시스템(10)의 SAR 복원 영상 보정을 위한 데이터, SAR 호밍시스템(10)의 운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데이터 등을 내부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기저장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SAR 호밍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부(70)를 포함하고,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터(80)를 포함한다. 분석시스템(60)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해서 구현 가능하고, 운용자에게 SAR 호밍시스템(10)의 시험 결과를 실시간 보여주는 모니터링 장치로 이용 가능하다. 분석시스템(60)은 모의 비행 시나리오 기반으로 SAR 호밍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HILS(Hardware-In-the-Loop Simulation)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본 발명의 모의실험을 위해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 구성요소로 필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도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은 모의실험장치의 특성에 맞도록 SAR 호밍시스템(10)을 구성함에 있어서, SAR 안테나 수신부(12) 그리고 김발(14)의 구성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SAR 영상 복원을 위한 신호처리부 및 SAR 복원 영상의 분석과 보상 제어를 위한 제어부는 SAR 호밍시스템(10)과는 분리시켜서 분석시스템(60)에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 과정에서 SAR 안테나(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시스템(60)으로 전달 가능하도록 SAR 호밍시스템(10)과 분석시스템(60) 사이에는 이더넷(Ethernet)을 이용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경로가 구성되어진다.
다른 실시예로 SAR 호밍시스템(10)은 진동가진기(도시하지 않음)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레일(20) 상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가진기는 유도무기용 비행체의 비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시뮬레이터(80)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SAR 호밍시스템(10)에 수십Hz에서 수천Hz에 이르는 주파수 범위의 진동조건을 인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모터부(30)는 SAR 호밍시스템 이동을 제어할 때, SAR 호밍시스템(10)을 상부에 장착한 진동가진기를 함께 이동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의 표적을 구성하기 위한 16개로 구성된 혼 안테나이다.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본 발명의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레일(20)에서 SAR 호밍시스템(10)을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면서, 실시간 SAR 안테나 수신부(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복원하고, 복원된 영상에 대한 보상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시뮬레이터(80)는 기저장된 SAR 호밍시스템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모터부(30)의 속도를 제어하여 SAR 호밍시스템(10)의 이동속도를 제어한다. 이때 시뮬레이터(80)는 유도무기용 비행속도에 비례하여 기설정된 가중치를 모터부(30)의 속도값에 적용하여 SAR 호밍시스템(10)의 이동속도를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시뮬레이터(80)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모의신호발생장치(50)에 모의신호 발생을 제어한다.
모의신호발생장치(50)는 혼 안테나(40)를 이용하여 모의 표적을 구현한다. 즉, 모의신호발생장치(50)는 시뮬레이터(80)에서 전송된 모의신호 발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적 생성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모의 표적에 대한 각도, 속도,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모의 시나리오 정보가 구성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모의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모의 신호에 기초하여 혼안테나(40)로 출력할 표적생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므로서 표적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모의표적인 혼 안테나(4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동일한 16개의 모의신호이고, 서로 다른 도플러값을 가지고 있는 신호이다. SAR 호밍시스템(10) 내 제어부(18)는 분석시스템(60)으로부터 혼 안테나(40)로부터 송신되는 16개의 모의 신호에 대한 서로 다른 도플러 값을 제공받는다. 이때, 제어부(18)는 가변되는 표적 위치에 따른 모의 표적 기준영상도 확인 가능하다.
즉, 제어부(18)는 16개 송신신호에 대한 서로 다른 속도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상태에 있는 SAR 안테나 수신부(12)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6)는 제어부(18)의 제어하에 수신시점은 다르지만 위상이 같은 신호를 더하여 합성된 안테나 신호를 획득한다. 따라서 신호처리부(16)는 시간차이를 갖는 16개의 송신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입력하고, 모의 표적에 대한 SAR 영상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이동 중인 SAR 호밍시스템(10)이 SAR 안테나(12)를 통해서 모의 표적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모의 표적(40)에 대한 도플러 정보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복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혼 안테나(40)를 통해서 항공 모형을 구현했을 때, 정상적인 신호 수신상태에서 SAR 호밍시스템(10)이 이동하면서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얻어지는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SAR 호밍시스템(10)의 이동과정에서 SAR 안테나 수신부(12)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처리부(16)에서 SAR 영상을 복원했을 때, 정상적으로 SAR 영상을 복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는 송신신호에 대한 도플러편이, 모의신호로 생성되는 모의표적에 대한 기준 영상,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 그리고 신호처리부(16)에서 얻은 SAR 영상 등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에 대한 성능을 높이는 제어를 반복 수행한다.
일 예로 모의표적에 대한 기준영상과 신호처리부(16)에서 얻은 SAR 영상을 비교하고, 실제 수신된 신호로부터 획득한 SAR 영상에서 보상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SAR 안테나 수신부(12)의 수신단의 잡음 제거 및 이득 보상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수신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이에 기반해서 SAR 안테나 수신부(12)의 수신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김발(14)의 각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신호처리부(16) 내의 이미지획득부 및 영상보정부의 이득 조절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분석시스템(60)과의 정보 공유는 당연히 이루어지고, 분석시스템(60)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기설정된 보상값에 기초해서 보상처리가 제어되어진다. 또한 모의신호발생장치(50)에서 표적의 크기에 따라서 16개의 서로 다른 도플러 신호를 가진 모의표적을 생성했을 때, 이 모의 표적에 대한 신호를 알고 있는 제어부(18)는 수신신호의 처리를 통하여 SAR 안테나 수신부(12)와 신호처리부(16)의 성능을 보상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SAR 복원 영상을 감시하고, 보정을 제어하는 구성을 분석시스템(60)에서 실시간 제어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된 제어부의 수신 성능 제어 및 영상 해상도 보상을 위한 제어를 분석시스템(60)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분석시스템(60)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부(70)는 이동상태에 있는 SAR 호밍시스템(10)으로부터 SAR 안테나 수신부(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실시간 복원하고, 실시간 복원된 SAR 영상과 모의 표적에 대한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SAR 호밍시스템(10)의 해상도 보상을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도 분석시스템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기설정된 보상값에 따라서 복원 SAR 영상의 해상도 보상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구성은 이동상태에 있는 SAR 호밍시스템에서 SAR 안테나 수신부가 모의표적을 향해서 방향을 지향하도록 제어되는 김발(14)을 추가적으로 제어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시뮬레이터(80)는 기저장된 SAR 호밍시스템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모터부(30)의 속도를 제어하여 SAR 호밍시스템(10)의 이동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시뮬레이터(80)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모의신호발생장치(50)에 모의신호 발생을 제어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부(18)는 김발(14)의 각도를 조절하여 SAR 안테나 수신부(12)가 모의표적(40)을 향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어한다.
모의신호발생장치(50)는 혼 안테나(40)를 이용하여 모의 표적의 형상을 구현한다. 즉, 모의신호발생장치(50)는 시뮬레이터(80)에서 전송된 모의신호 발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적 생성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모의 표적에 대한 각도, 속도,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모의 시나리오 정보가 구성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모의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모의 신호에 기초하여 혼안테나(40)로 출력할 표적생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므로서 표적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SAR 호밍시스템(10)은 레일(20) 위에서 모터부(30)의 속도제어에 의해서 이동되면서, 혼 안테나(40)로부터 발생되는 모의신호를 수신한다. SAR 안테나 수신부(1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신호처리부(16)에서 SAR 영상으로 복원된다.
한편, SAR 안테나 수신부(12)가 레일(10)의 이동 시작점에서부터 모의 표적(40)의 방향을 정확히 지향할 수 있도록 제어부(18)는 김발(14)을 제어한다. 즉, 시뮬레이터(80)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서 모의신호발생장치(50)에서 모의신호가 발생되고, 모터부(30)의 속도제어에 의해서 SAR 호밍시스템(10)의 이동이 시작될 때, 제어부(18)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어값에 기초해서 SAR 안테나 수신부(12)가 모의 표적(40)을 지향할 수 있도록 김발(14)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8)는 SAR 안테나 수신부(12)의 수신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수신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값보다 높아지도록 김발(14)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18)는 수신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김발(14)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SAR 안테나의 방향을 제어하고, 이와 같은 제어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SAR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서 SAR 영상을 실시간 복원하고, 복원된 SAR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해상도가 적절하도록 조절한다. 즉, 분석시스템(60)의 제어하에 제어부(18)는 SAR 호밍시스템(10)의 이동과 함께 신호처리부(16)에서 실시간 복원되는 SAR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모의 표적에 대한 기준영상과의 비교를 통해서 현재 SAR 호밍시스템(10)의 SAR 복원 영상을 실시간 보상 제어한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의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의 동작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구성은 이동상태에 있는 SAR 호밍시스템에서 SAR 안테나 수신부의 방향이 모의표적을 지향하도록 김발을 제어하고, 동시에 모의 표적도 SAR 안테나 수신부를 향해서 각도가 제어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 모의 표적은 혼 안테나(40)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혼 안테나(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김발(도시하지 않음)을 추가적으로 구성하고, 김발의 각도를 조절함에 의해서 혼 안테나(40)의 방향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분석시스템(60)에서 모의신호발생장치(50)로 인가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 신호에는 혼 안테나(40)의 모의 표적 구현을 위한 표적위치생성신호와, 혼 안테나의 방향 제어를 위한 신호도 포함되어진다.
시뮬레이터(80)는 기저장된 SAR 호밍시스템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모터부(30)의 속도를 제어하여 SAR 호밍시스템(10)의 이동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시뮬레이터(80)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모의신호발생장치(50)에 모의신호 발생을 제어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부(18)는 김발(14)의 각도를 조절하여 SAR 안테나 수신부(12)가 모의표적(40)을 향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모의신호발생장치(50)의 제어를 받는 혼 안테나(40)도 SAR 호밍시스템(10)을 향하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제어하에, 모의신호발생장치(50)는 혼 안테나(40)를 이용하여 모의 표적을 구현한다. 즉, 모의신호발생장치(50)는 시뮬레이터(80)에서 전송된 모의신호 발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적 생성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모의 표적에 대한 각도, 속도,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모의 시나리오 정보가 구성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모의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모의 신호에 기초하여 혼안테나(40)로 출력할 표적생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므로서 표적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SAR 호밍시스템(10)은 레일(20) 위에서 모터부(30)의 속도제어에 의해서 이동되면서, 혼 안테나(40)로부터 발생되는 모의신호를 수신한다. SAR 안테나 수신부(1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신호처리부(16)에서 SAR 영상으로 복원된다.
한편, SAR 안테나 수신부(12)가 레일(10)의 이동 시작점에서부터 모의 표적(40)의 방향을 정확히 지향할 수 있도록 제어부(18)는 김발(14)을 제어한다. 즉, 시뮬레이터(80)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서 모의신호발생장치(50)에서 모의신호가 발생되고(100), 모터부(30)의 속도제어에 의해서 SAR 호밍시스템(10)의 이동이 시작될 때, 제어부(18)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어값에 기초해서 SAR 안테나 수신부(12)가 모의 표적(40)을 지향할 수 있도록 김발(14)을 제어한다. 그리고 혼 안테나(40)에서 모의신호가 방사될 때, 혼 안테나(40)도 SAR 호밍시스템(10)을 향하도록 혼 안테나를 지지하는 김발의 각도가 조절된다(110).
제어부(18)는 SAR 안테나(12)의 수신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값보다 높아지도록 김발(14)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18)는 수신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김발(14)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SAR 안테나의 방향을 제어하고(120), 이와 같은 제어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SAR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서 SAR 영상을 실시간 복원하고(130), 복원된 SAR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수신성능 및 영상 해상도가 적절하도록 조절한다(140). 즉, 분석시스템(60)의 제어하에 제어부(18)는 SAR 호밍시스템(10)의 이동과 함께 신호처리부(16)에서 실시간 복원되는 SAR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모의 표적에 대한 기준영상과의 비교를 통해서 현재 SAR 호밍시스템(10)의 SAR 복원 영상을 실시간 보상 제어한다.
도 7는 SAR 호밍시스템(10)이 표적 모델을 지향하여 SAR 영상을 얻었을 때, 다중-보기 처리(Multi-Look Processing)를 통하여 SAR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는 과정의 변화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레일(20)에서 SAR 호밍시스템(10)이 정속으로 이동할 때, 혼 안테나(40)의 각도 조절이 제어되면, 혼 안테나(40)에서 방사되는 동일한 신호가 SAR 호밍시스템(10)의 SAR 안테나 수신부(12)로 여러번 신호를 획득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즉, 동일한 신호에 대하여 멀티 룩(multi look)을 통한 해상도 증대에 대한 시험을 할 수 있다. 모의 표적(40)은 SAR 호밍시스템(10)이 레일(20)에서 정속 직선 운동을 할 때 해당 위치에 맞게 혼 안테나의 각도가 이동된다. 따라서 SAR 호밍시스템(10)의 SAR 안테나 수신부(12)와 모의 표적을 구성하는 혼 안테나(40)가 서로 마주보는 상황이 되어 멀티 룩을 통한 해상도 증대 시험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이동 제어되는 SAR 호밍시스템(10)에 탑재된 SAR 안테나 수신부(12)는 김발(14)의 각도 제어로 모의 표적(40)을 향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모의 표적(40)도 김발(도시하지 않음)의 각도 제어로 SAR 안테나 수신부(12)를 향하는 제어가 이루어졌을 때, 이동 제어되는 SAR 호밍시스템(10)의 SAR 안테나 수신부(12)는 다중-보기 처리를 위한 신호가 수신되어진다.
제어부(18)는 신호처리부(16)를 통해서 실시간 복원된 SAR 영상을 감시하고, 다중-보기 처리를 통하여 신호대잡음비(SNR) 제어값이 상승되었을 때, 복원되는 SAR 영상을 확인한다. 즉, SAR 영상을 얻는 과정에서 다중보기 처리를 통하여 신호대잡음비(SNR)가 상승되고, 이때 이미지 값의 분포의 산포가 좁아지면서 더욱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다중 보기 처리(multilook processing)는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룩(look)의 형성을 기초로 한다. 각각의 룩에 적정 크기와 가중치를 주고, 이들을 비-일관적으로 (incoherently) 더함으로써, 최종 이미지가 형성되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한다.
신호처리부(16)는 제어부(18)의 제어하에 신호대잡음비 제어값을 높이면서 다중-보기 처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선명한 SAR 영상을 획득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되고 있는 100 Looks 영상이 1 Look 영상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스펙클 노이즈(speckle noise) 감소가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 처리는 유도무기용 비행조건 하에서 발생하는 기하학적 및 방사선 이미지 왜곡을 보정하는데 효율적이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SAR 호밍시스템 20 : 레일
30 : 모터부 40 : 혼 안테나
50 : 모의신호발생장치 60 : 분석시스템

Claims (20)

  1. SAR 호밍시스템의 성능을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SAR 호밍시스템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
    SAR 호밍시스템이 레일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
    복수개의 혼안테나로 구성된 모의 표적;
    움직이는 SAR 호밍시스템으로 복수개의 혼안테나를 통해서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모의신호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SAR 호밍시스템은,
    SAR 안테나 수신부;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복원하는 신호처리부;
    복원된 SAR 영상과 모의 표적에서 형성한 기준영상을 비교하고, 신호처리부의 SAR 복원 영상의 해상도를 실시간 보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SAR 안테나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보상 제어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는, 실험실 환경에서 구현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모터부는, SAR 호밍시스템을 레일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동시키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모의 표적은 16개 이상의 혼 안테나로 구성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 실험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 실험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제어, 시뮬레이션을 제어하는 분석 시스템을 포함하고,
    모의신호발생장치는 분석 시스템의 제어하에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 실험신호를 생성하여 혼 안테나로 제공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SAR 호밍시스템과 분석 시스템은 이더넷 통신 연결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분석 시스템은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SAR 영상을 복원하고,
    복원된 SAR 영상과 모의 표적에서 형성한 기준영상을 비교하여 SAR 호밍시스템의 SAR 복원 영상 해상도를 실시간 보상 제어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모의신호발생장치는 모의 표적에 따라서 다른 크기의 16개의 모의 신호를 생성하거나 다른 도플러 신호를 갖는 16개의 모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9. 삭제
  10. 청구항 3에 있어서,
    SAR 호밍시스템이 일정 속도로 이동할 때, SAR 안테나 수신부가 모의 표적을 향하도록 각도 조절되는 김발을 포함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김발의 각도를 제어하는 서보제어부를 포함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서보제어부는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김발의 각도를 조절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13. 청구항 3에 있어서,
    SAR 호밍시스템이 일정 속도로 이동할 때, SAR 안테나 수신부가 모의표적을 향하도록 각도 조절하는 제1김발과,
    SAR 호밍시스템이 일정 속도로 이동할 때, 모의 표적을 구성하는 혼 안테나가 SAR 안테나 수신부의 방향을 향하도록 각도 조절하는 제2김발을 포함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SAR 호밍시스템이 이동 상태에서, 이동 상태의 모의 표적을 추적하면서 멀티-룩 상황에서의 실험을 수행하고, 복원된 SAR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신호처리부의 영상 해상도를 높이는 제어를 수행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15. SAR 호밍시스템의 성능을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SAR 호밍시스템을 레일 상부에 설치하고, SAR 호밍시스템을 이동시키는 1단계;
    모의신호발생장치에서 복수의 혼 안테나로 구성된 모의표적을 통해서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2단계:
    이동 중인 SAR 호밍시스템에 탑재된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이용하여 SAR 영상을 복원하는 3단계;
    복원된 SAR 영상과 모의 표적에서 형성한 기준영상을 비교하고, SAR 복원 영상의 해상도를 실시간 보상 제어하는 4단계를 포함하고,
    4단계는 SAR 안테나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방법은 실험실 환경에서 제어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1단계에서 SAR 호밍시스템이 일정속도로 이동이 시작되면, SAR 안테나 수신부가 모의 표적을 향하도록 김발의 각도를 조절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1단계에서 SAR 호밍시스템이 일정속도로 이동이 시작되면, SAR 안테나 수신부가 모의표적을 향하도록 제1김발의 각도를 조절하고,
    모의 표적을 구성하는 혼 안테나가 SAR 안테나 수신부 방향을 향하도록 제2김발의 각도를 조절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SAR 호밍시스템이 이동하면서 각도 조절되는 모의 표적을 추적하여 멀티-룩 상황에서의 실험을 수행하고, 복원된 SAR 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영상 해상도를 높이는 제어를 수행하는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방법.
  20. 삭제
KR1020190141503A 2019-11-07 2019-11-07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 KR10219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03A KR102194143B1 (ko) 2019-11-07 2019-11-07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03A KR102194143B1 (ko) 2019-11-07 2019-11-07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143B1 true KR102194143B1 (ko) 2020-12-22

Family

ID=7408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503A KR102194143B1 (ko) 2019-11-07 2019-11-07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1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755B1 (ko) * 2012-01-30 2012-08-2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김발 구동을 제어하는 밀리미터파 탐색기
KR101773179B1 (ko) 2017-01-10 2017-08-3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탐색기 성능 점검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89547B1 (ko) * 2018-11-15 2019-06-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ar 영상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9644B1 (ko) * 2019-01-31 2019-10-0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종센서 영상탐색기 시험평가를 위한 hils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755B1 (ko) * 2012-01-30 2012-08-2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김발 구동을 제어하는 밀리미터파 탐색기
KR101773179B1 (ko) 2017-01-10 2017-08-3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탐색기 성능 점검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89547B1 (ko) * 2018-11-15 2019-06-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ar 영상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9644B1 (ko) * 2019-01-31 2019-10-0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종센서 영상탐색기 시험평가를 위한 hils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058B1 (ko) 무인 비행체 탑재형 합성 개구 레이더용 표적 모의 장치
KR101320508B1 (ko) 항공기에 탑재된 영상 레이더의 성능 시험 장치
US11215696B2 (en) Controlled radar stimulation
CN109507667B (zh) 基于导航卫星信号的双站sar接收机运动误差补偿方法
CN107422321B (zh) 微波凝视关联成像对地观测方法
CN101464511A (zh) 一种星载合成孔径雷达的工作波位判定方法
KR102035756B1 (ko) 소형 무인기 탑재용 영상레이더 요동 모의시험 지상 레일시험장치
US5955989A (en) Optimum edges for speakers and musical instruments
KR102194143B1 (ko) 유도무기용 sar 호밍시스템의 모의실험장치 및 방법
RU2488137C2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ов пеленгования объекта визирования инерциального и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го дискриминаторов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1983577B (zh) 机载分布式sar外场试验系统及方法
CN109425875B (zh) 卫星信号分离处理装置和方法
Berardino et al. On the Time Domain Airborne SAR Focusing in Presence of Strong Azimuth Variations of the Squint Angle
AU2002300745A1 (en) Complex radar target simulator
CN114791592B (zh) 一种合成孔径雷达对抗模拟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EP2738568A1 (en) Radar system, sub-module, and radar processing method
JPH095433A (ja) 干渉型合成開口レーダ画像処理方法及び干渉型合 成開口レーダ装置
CN114301571B (zh) 一种多旋翼无人机反制方法及系统
RU2527923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навигационного поля с распределенными источниками навигационных сигналов
Arnold et al. Effects of vibration on a wing-mounted ice-sounding antenna array
KR102124137B1 (ko) 레이다의 빔 형성 제어장치 및 방법
CN115189779A (zh) 一种基于无人机的低轨卫星设备测试方法及无人机
KR102229191B1 (ko) 방향 탐지 장치를 위한 보정 시스템
JP2023548193A (ja) 天頂リアクティブジャマー
JPH07128434A (ja) 航法装置及び航空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