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069B1 - 보트 리프트 - Google Patents

보트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069B1
KR102194069B1 KR1020180017348A KR20180017348A KR102194069B1 KR 102194069 B1 KR102194069 B1 KR 102194069B1 KR 1020180017348 A KR1020180017348 A KR 1020180017348A KR 20180017348 A KR20180017348 A KR 20180017348A KR 102194069 B1 KR102194069 B1 KR 102194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elevating
pillar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663A (ko
Inventor
최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재
Priority to KR102018001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069B1/ko
Priority to PCT/KR2019/001617 priority patent/WO2019160283A1/ko
Publication of KR2019009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조가 컴팩트하고 견고한 보트 리프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트를 수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승상태와, 수면에 접촉된 하강상태 간을 이동시키는 보트 리프트에 있어서, 소정의 보트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부력유니트와, 부력유니트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승강기둥과, 부력유니트에 설치되어 승강기둥들을 승강 안내하는 승강가이드와, 상호 대향한 승강기둥들을 보트공간을 가로질러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바아와, 승강기둥과 평행하게 신축하는 구동부재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트 리프트{BOAT LIFT}
본 발명은 보트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보트 리프트는 사용하지 않는 보트를 상승시켜 보트의 저면이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함으로써 보트의 하부 표면을 청결히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55114 호에서 보트의 승강시 부력탱크가 격동적으로 회전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특허 제 10-1655114 호의 발명은 크로스바와 구동부에 의해 공간효율성이 떨어지고 전체적 구조가 복잡한 한편 내구성이 떨어지고 미관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견고하고 컴팩트하며 외관이 미려한 보트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보트를 수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승상태와, 수면에 접촉된 하강상태 간을 이동시키는 보트 리프트에 있어서, 소정의 보트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부력유니트와, 상기 부력유니트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승강기둥과, 상기 부력유니트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둥들을 승강 안내하는 승강가이드와, 상호 대향한 상기 승강기둥들을 상기 보트공간을 가로질러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바아와, 상기 승강기둥과 평행하게 신축하는 구동부재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리프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둥은 내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중심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중심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심수용부는 상기 승강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끝단은 상기 중심수용부의 일단에서 상기 중심수용부의 타단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된 지점에 결합되게 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승강기둥의 높이를 낮추는 것으로 보다 보다 컴팩트하고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부력유니트에 상기 승강기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끝단은 상기 승강기둥의 상단과 결합하게 하는 것으로 구동부의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아와 상기 승강기둥의 하단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부력유니트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브래킷의 하강을 저지하는 리프팅유지부를 통해 공간활용성을 최적화 할 수 있으며, 보트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는 견고하고 컴팩트하며 외관이 미려하다.
도 1은 보트 리프트의 상승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보트 리프트의 하강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부력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승강기둥과 크로스바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연결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의 (a)는 고정상태의 리프팅유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이탈상태의 리프팅유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승상태에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하강상태에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의 (a)와 (b)는 상승상태와 하강상태에서의 유압주입구와 주입구슬롯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베어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승상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강상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랙과 피니언을 적용한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웜과 웜휠을 적용한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리드스크류를 적용한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의 (a)는 요철성형된 승강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
도 17은 부력유니트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의 상승상태와 하강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부력유니트(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승강기둥(200)과 크로스바아(4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연결브래킷(500)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리프팅유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과 도 8은 상승상태와 하강상태에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의 (a), (b)는 상승상태와 하강상태에서의 유압주입구와 주입구슬롯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트 리프트는 보트(1)를 사용할 때는 수면(2)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수면(2)으로부터 이격시켜 보트(1)의 저면이 물에 의해 부식되거나, 해양생물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트(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승상태로 전환 후 유지하여 보트(1)를 보호하고, 사용 할 때는 하강상태로 전환하여 보트(1)의 저면이 수면(2)에 닿아 보트(1)가 물에 뜰 수 있도록 한 후 보트(1)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를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는 보트(1)를 수면(2)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승상태와 수면(2)에 접촉하는 하강상태 간을 이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부력유니트(100)와, 복수 개의 승강기둥(200)과, 복수의 크로스바아(400)와, 승강기둥(200)을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가진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보트(1)는 크로스바아(400)에 지지되어 승강하게 되며, 크로스바아(400)의 양단에는 승강기둥(200)이 설치된다. 승강기둥(200)은 부력유니트(10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되며 이러한 승강기둥(200)은 구동부에 의해 작동된다. 승강기둥(200)과 구동부는 승강가이드(300) 내부에 배치되어 승강기둥(200)은 승강가이드(300)를 따라 안내되어 상하방향 승강한다. 부력유니트(100)의 상면에는 보트(1)가 수면(2)으로부터 이격 되어 상승상태로 전환된 후 상승상태를 유지하는 즉, 하강을 저지하는 리프팅유지부가 설치된다.
부력유니트(100)는 소정의 보트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한 쌍으로 배치된다. 부력유니트(100)는 보트(1)가 상승상태일 때 보트(1)의 자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부력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부력유니트(100)는 주로 보트(1)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는데 이렇게 배치되는 것이 보트(1)의 자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한쪽의 부력유니트(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유니트(100)는 상부케이싱(110)과 하부케이싱(120)의 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부력체가 결합부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부력유니트(100)로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부력유니트(100)는 내부에 비어 있는 공간을 가져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내부의 공간에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부력유니트(100)는 사이의 공간에 보트(1)가 배치될 수 있도록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이러한 거리와 부력유니트(100)의 길이는 적용되는 보트(1)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된다. 한 쌍의 부력유니트(100)는 서로 대면하는 내측 벽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소정 깊이 절취된 승강안내절취부(101)를 갖는다. 이러한 승강안내절취부(101)의 상측 영역에는 구동부와 승강가이드(300), 고정브래킷(130) 등이 설치되며, 승강안내절취부(101)의 외측단 영역에는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승강기둥(200)과 연결브래킷(500), 크로스바아(40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승강 이동하게 된다.
승강안내절취부(101)의 상측영역에 해당하는 부력유니트(100)의 상면에는 고정브래킷(130)이 설치된다. 고정브래킷(130)은 승강안내절취부(101)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기둥(20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와 승강안내절취부(101)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크로스바아(40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커버링부(133)가 마련되어 있으며, 보트(1)의 상승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리프팅유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브래킷(130)은 부력유니트(100) 보다 기계적 능력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며, 부력유니트(10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견고하게 결합된다.
커버링부(133)는 크로스바아(400)나 연결브래킷(500)이 부력유니트(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것과, 이들의 상승 높이를 제한한다. 커버링부(133)는 파도나 외력에 의해 연결브래킷(500)이나 크로스바아(40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이들이 부력유니트(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면서 이들이 파손되거나 구동부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제한 높이 이상으로 이들이 상승할 때 부력유니트(100)가 일체로 상승 되어 외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한다. 또한, 커버링부(133)는 이들이 노출되는 것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노출부의 끼임 사고나 미관상 좋지 못한 점을 해결해 준다.
이러한 커버링부(133)에는 하부로부터 상승 되는 연결브래킷(500)이나 크로스바아(4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고정하는 승강고정부(134)를 갖는다.
승강고정부(134)는 연결브래킷(500)이나 크로스바아(400)의 외형에 상응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 전체의 부품중 가장 견고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승강고정부(134)는 보트(1)가 상승상태일 때 크로스바아(400)나 연결브래킷(500)이 수용부에 삽입되어 이들의 좌우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보트 리프트에서 보트(1)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은 크로스바아(400) 이고, 이러한 크로스바아(400)는 후술하게 될 연결브래킷(500)에 의해 승강기둥(200)과 연결된다. 따라서, 보트(1)의 하중변화나 파도 등에 의해 외력이 발생할 때 측방으로 발생하게 되는 외력이나 진동은 크로스바아(400)와 연결브래킷(500)에 비틀림이나 밴딩을 유발시키고 이로 인해 보트 리프트의 전체의 내구성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승강고정부(134)는 크로스바아(400)와 연결브래킷(500)이 부력유니트(100)와 일체로 움직이게 하여 각각의 크로스바아(400)와 연결브래킷(500)에 걸리는 외력이 다를지라도 보트 리프트 전체가 이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외력에 견딜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승강고정부(134)의 내측 상면, 즉, 연결브래킷(500)이나 크로스바아(400)가 상승할 때 접촉되는 승강고정부(134)의 내측면에 고무판과 같은 탄성패드를 추가한다면, 상하방향으로 발생하는 외력을 일부 흡수시킬 수 있고, 승강고정부(134)의 양 측방 내면에 탄성패드를 추가한다면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외력을 일부 흡수시킬 수 있다.
도 4는 크로스바아(400)와 승강기둥(2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브래킷(500)의 실시예를 도시화 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복수 개의 승강기둥(200)은 부력유니트(100)의 승강안내절취부(101)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하며 서로 대향한 승강기둥(200)들의 하측은 한 쌍의 부력유니트(100) 사이에 생성된 보트공간을 가로지르게 배치되는 복수의 크로스바아(400)와 연결브래킷(50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크로스바아(400)는 보트(1)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크로스바아(400)는 크로스바아(400)를 세로방향으로 연결시키며 크로스바아(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바아(410)를 가진다. 즉 연결바아(410)는 크로스바아(400)의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며 격자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크로스바아(400)와 연결바아(410)의 결합구조로 인해 크로스바아(400)와 연결바아(4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보트(1)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크로스바아(400)나 연결바아(410)에는 보트(1)의 저면형상에 대응되어 보트(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지지부재(420)가 설치된다. 크로스바아(400)나 연결바아(410) 및 지지부재(420)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상호 조립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부품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연결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크로스바아(400)의 양단과 승강기둥(200)의 하부는 연결브래킷(500)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브래킷(500)은 크로스바아(400)나 승강기둥(200)을 각각 제작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크로스바아(400)와 승강기둥(200) 보다 기계적 성질이 강한 재질로 제작되어 이들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연결브래킷(500)에 크로스바아(400)와 승강기둥(200)이 결합하는 방법은 용접, 볼팅, 본딩 등 다양한 방법 중에서 선택가능하며, 연결브래킷(500)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인 도 5에서는 볼팅을 이용한 결합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와, 고정상태와 이탈상태의 리프팅유지부를 나타내고 있는 도 6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연결브래킷(500)과 고정브래킷(130)에는 크로스바아(400)와 승강기둥(200)이 상승하여 보트(1)가 수면(2)으로부터 이격되는 상승상태로 전환된 뒤 상승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리프팅유지부를 가진다. 즉, 연결브래킷(500)의 하강을 저지하기 위한 리프팅유지부가 설치된다.
리프팅유지부는 보트(1)가 상승상태로 전환 된 후 유압, 동력의 상실이나 외력에 의해 의도치 않게 하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연결브래킷(500)과 고정브래킷(130)에 걸쳐 형성되며, 도 5와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래킷(500)에 형성된 고정홀부재(510)가 가지는 고정홀(511)에 고정브래킷(130)에 형성된 고정핀(131)이 결합되는 고정상태에서는 보트(1)의 상승상태가 유지되고, 보트(1)를 하강상태로 전환해야 할 때는 고정핀(131)이 고정홀(511)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상태로 전환되어 연결브래킷(500)이 부력유니트(100)의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핀(131)은 고정핀구동부(132)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된다. 고정핀구동부(132)는 통상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작동하게 된다. 도면에서 고정홀부재(510)는 연결브래킷(500)의 상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부력유니트(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핀(131)이 고정홀(511)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리프팅유지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래킷(500)에 고정홀(511)이 형성되고 고정브래킷(130)에 고정핀(13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와 반대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어느 한쪽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걸림부재가 형성되도록 설계변경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결브래킷(500)과 고정브래킷(130)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나 승강기둥(200)과 연결브래킷(500)과 크로스바아(400)에 고정홀(511)이나 고정핀(131)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고정브래킷(130)이나 부력유니트(100)에 다른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은 상승상태와 하강상태에서의 구동부의 작동을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이고, 도 9의 (a), (b)는 상승상태와 하강상태에서의 유압주입구와 주입구슬롯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력유니트(100)에 설치되어 승강기둥(200)들을 승강 안내하는 승강가이드(300)의 내부에는 승강기둥(200)과 평행하게 신축하는 구동부재(610)를 갖는 구동부가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가이드(300)는 부력유니트(100)의 상면에 내부에 공간을 가진 기둥 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가이드(300)는 승강안내절취부(101)의 상부 영역에 해당하는 부력유니트(100)의 상면에 설치되거나 고정브래킷(1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승강기둥(20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가이드(300)의 상면에는 덮개(3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구동부는 이러한 승강가이드(300)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는 승강기둥(200)과 평행하게 신축하는 구동부재(610)를 갖는다.
도 7 내지 도 9에서의 구동부는 실린더와 엑츄에이터(620)를 갖는 유압실린더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때 실린더가 구동부재(610)의 역할을 하게 된다. 실린더는 엑츄에이터(62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며 유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며 연장될 때 승강기둥(200)이 하강하여 보트(1)가 수면(2)에 접촉되는 하강상태로 전환되며, 다시 유압에 의해 본래의 상태로 돌아와 줄어든 상태에서 승강기둥(200)이 상승하여 보트(1)가 수면(2)으로부터 이탈되는 상승상태로 전환된다. 엑츄에이터(620)는 실린더를 수용하고 있으며 유압에 의해 실린더를 신축시킨다.
엑츄에이터(620)는 승강가이드(300)의 상부에 실린더를 하향 신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승강기둥(20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엑츄에이터(620)의 후방은 덮개(330)에 의해 차단되고, 엑츄에이터(620)에 유압을 주입하게 되는 유압주입구(630)는 승강가이드(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승강가이드(300) 내부의 승강기둥(200)은 축선방향을 따라 중심수용부를 가지며, 구동부재(610) 즉, 도면에서 실린더의 끝단은 중심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실린더의 끝단과 중심수용부의 일단은 결합핀(210)에 의해 결합된다. 중심수용부는 승강기둥(2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소정깊이 함몰되거나 절취되어 형성되거나, 승강기둥(200)이 각파이프의 형상을 가질 때 파이프 내부의 공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구동부재(610)와 승강기둥(200)의 결합은,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의 끝단이 승강기둥(200)과 결합핀(210)에 의해 결합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실린더의 끝단이 승강기둥(200)에 결합되기 위한 용접,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선택가능한 정도이다.
이처럼 구동부재(610)의 끝단이 승강기둥(200)의 중심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인해 전체적인 승강가이드(300)의 높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1) 리프트의 외관이 기둥상으로 돌출되는 승강가이드(300)가 낮게 형성되어 보다 심미적으로 안정감을 주도록 하며, 외력이나 보트(1)의 하중에 의한 뒤틀림에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엑츄에이터(620)도 중심수용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므로 승강기둥(200)이 승강 시 엑츄에이터(620)의 외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엑츄에이터(620)가 승강기둥(200)의 축 틀어짐을 방지하는 역할 도 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수용부가 승강기둥(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구동부재(610)의 끝단이 중심수용부의 일단에서 중심수용부의 타단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된 지점에 결합하도록 하면 승강가이드(300)의 높이를 더욱 낮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재(610)와 승강기둥(200)의 결합위치로 인한 효과는 도 7과 도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동부재(610)와 승강기둥(200)이 결합되는 최적의 높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둥(200)과 연결브래킷(500) 및 크로스바아(400)가 수면(2)으로부터 모두 이격되고, 연결브래킷(500) 또는 크로스바아(400)가 승강고정부(13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위치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610)가 최대한 늘어났을 때 구동부재(610)의 끝단이 수면(2)과 최대한 근접하여 이격될 수 있는 높이이다. 이러한, 구동부재(610)의 신축길이는 보트(1)를 상승상태와 하강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길이로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승상태에서 구동부재(610)의 끝단이 승강기둥(200)의 하측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구동부재(610)와 승강기둥(200)을 결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하강상태에서 구동부재(610)의 끝단과 결합핀(210)이 수면(2)에 잠기게 되어 물에 의한 부식이나 오작동의 염려가 발생할 수 있다.
유압주입구(630)는 실린더를 확장시킬 때와 수축시킬 때를 위해 두 군데에 걸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엑츄에이터(6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부에 설치되는 유압주입구(630)는 승강가이드(3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유압주입구(630)는 승강기둥(200)과 승강가이드(300) 모두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승강기둥(200)은 승강기둥(200)이 승강운동을 하더라도 하부의 유압주입구(630)와 간섭이 없도록, 유압주입구(630)와 승강기둥(200)의 승강구간이 겹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취 되어 형성된 주입구슬롯(230)을 가진다. 이러한 주입구슬롯(230)으로 인해 구동부재(610)의 끝단이 승강기둥(200)의 중심수용부에 결합 되더라도 유압주입구(630)를 통해 엑츄에이터(620)를 작동시키는데 무리가 없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1) 리프트는 승강기둥(200)이 승강가이드(300) 내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부는 슬라이딩베어링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으며 승강가이드(300)와 승강기둥(20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베어링부는 승강가이드(3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측베어링(320)과 승강기둥(200)의 상측에 설치되는 기둥측베어링(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베어링부는 슬라이딩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과 승강기둥(200)이 승강축선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축선 이동을 보조하는 역할 및 파도나 외력에 의해 축 틀어짐이나 비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둥측베어링(220)은 승강기둥(200)의 상측 외측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면이 승강가이드(300)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측베어링(320)은 승강가이드(300)의 하부측 내측면에 설치되어 승강기둥(200)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승강기둥(200)이 승강하는 구간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매끄럽게 하고 축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베어링부는 슬라이딩베어링 형태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승강기둥(200)이 승강가이드(300) 내에서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구름베어링의 형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를 통해 승강기둥(2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상승상태와 하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는 부력유니트(100)에 승강기둥(20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구동부재(610)의 끝단은 승강기둥(200)의 상단과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에서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는 실린더와 엑츄에이터를 갖는 유압실린더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때 실린더가 구동부재(610')의 역할을 하게 된다. 실린더는 엑츄에이터(62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연장된 상태에서 승강기둥(200)이 상승하여 보트(1)가 수면(2)으로부터 이격되는 상승상태로 전환되며, 줄어든 상태에서 승강기둥(200)이 하강하여 보트(1)가 수면(2)에 접촉되는 하강상태로 전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의 유압실린더는 승강기둥(200)의 측면에 배치되고 엑츄에이터(620')의 하측은 부력유니트(100) 또는 고정브래킷(130)에 고정되고, 구동부재(610)에 해당하는 실린더의 끝단은 승강기둥(200)의 최상단과 결합된다. 이때, 구동부재(610')의 끝단과 승강기둥(200)의 최상단은 연결핀(640')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구동부재(610')가 신축하여 늘어날 때 승강기둥(200)은 상향 이동하여 보트(1)가 수면(2)으로부터 이탈되는 상승상태가 되고, 구동부재(610')가 줄어들 때 승강기둥(200)은 하향 이동하여 보트(1)가 수면(2)에 접촉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는 승강기둥(200)의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승강가이드는 구동부와 승강기둥(200)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이 사각형태의 승강가이드(300)의 형태보다 구동부에 해당하는 만큼 돌출된 영역이 발생하여 외형상 돌출되는 부위가 생긴다. 이러한 돌출된 부위는 승강가이드가 파도나 보트(1)의 자중 등의 외력을 받을 때 외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엑츄에이터(620')는 하단이 부력유니트(100) 또는 고정브래킷(130)에 고정되기 때문에 지지구조가 보다 안정적이다.
도 13은 구동부의 다양한 실시예 중 랙(710)과 피니언(720)을 적용한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는 승강기둥(200)과 구동모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랙(710)과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피니언(72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의 구동으로 인해 승강기둥(200)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이렇게 랙(710)과 피니언(72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구동부의 경우, 유압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승강기둥(200)을 효과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는 구동부의 다양한 실시예 중 웜휠(820)과 웜(810)를 적용한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는 승강기둥(200)에는 웜휠(820)이 승강기둥(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이에 맞물리는 웜(810)를 가진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웜휠(820)과 웜(81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구동부의 경우, 유압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승강기둥(200)을 효과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고장이나 보트(1)의 급격한 하중증가 등 다양한 외적요인이 발생하였을 때 승강기둥(200)이 의도치 않게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웜휠(820)과 웜(81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구동부를 채용할 경우 리프팅유지부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승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구동부의 다양한 실시예 중 암나사산(910)과 리드스크류(920)를 적용한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는 승강기둥(200)의 상측에 형성된 암나사산(910)과, 암나사산(910)과 축선 정렬되어 맞물리는 리드스크류(920)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나사산(910)과 리드스크류(92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구동부의 경우, 수동과 구동모터를 이용한 자동 조작이 가능하며, 리프팅유지부를 사용하지 않아도 나사결합으로 인해 승강기둥(200)이 축방향으로 하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강기둥(200)은 리드스크류(920)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정확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축 틀어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6의 (a)는 요철성형된 승강가이드(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1) 리프트는 파도나 급격한 보트(1)의 무게중심 이동으로 인해 승강가이드(300)에 발생하는 비틀림을 최소화 하기 위해 승강가이드(300)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요철부(34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340)는 요철부(340) 간에 결합으로 인해 승강가이드(300)를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면적을 넓게 하여 비틀림에 보다 견고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7은 부력유니트(100)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의 부력유니트(100)는 복수 개의 부력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력유니트(100)는 제조와 운송의 편의를 위해 복수 개의 부력체들이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부력유니트(100)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부력체들은 일측에 결합부(102)를 가진다. 이러한 결합부(102)는 부력체들이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핀부재나 나사부재 등을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부력체와 결합부(102)는 보트 리프트가 지지해야 할 보트(1)의 사이즈가 클수록 복수 개로 준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의 작동을 도 1, 2와 도 7,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에 보트(1)가 지지되어 있지 않을 때는 승강기둥(200)을 상향이동 시켜 상승상태로 전환시켜 놓게 된다. 즉, 보트 리프트에 보트(1)가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승강기둥(200), 연결브래킷(500), 크로스바아(400)를 수면(2)으로부터 이탈시켜 물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보트(1)를 보트 리프트에 지지되도록 해야 할 경우, 리프팅유지부를 해제하여 승강기둥(200)이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뒤, 구동부와 구동부재(610, 610')을 가지는 유압실린더의 유압주입구(630)를 통해 승강기둥(200)을 하향 이동시켜 하강상태로 전환시킨다.
승강기둥(200)이 하향하여 크로스바아(400)가 수면(2)으로 입수되면, 보트(1)를 부력유니트(100)의 보트공간으로 이동시켜 보트(1)의 하부가 크로스바아(400), 연결바아(410) 또는 지지부재(420) 등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보트(1)가 수면(2)에 입수된 채 지지되면, 유압실린더의 유압주입구(630)를 통해 승강기둥(200)을 상향 이동시켜 상승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연결브래킷(500)이 상승되어 연결브래킷(500)이 승강고정부(134)에 삽입되고, 고정홀부재(510)의 고정홀(511)이 고정브래킷(130)에 설치된 고정핀(131)과 일치하는 높이를 가지면 고정핀구동부(132)는 고정핀(131)을 이동시켜 고정홀(511)에 삽입되게 하여 상승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다시 보트(1)를 사용해야 할 때는 고정핀(131)을 고정홀(511)로부터 이탈시킨 후 승강기둥(200)을 하향 이동시켜 하강상태를 유지하게 한 후 보트(1)를 사용하고, 보트(1)가 보트 리프트를 벗어나면 다시 승강기둥(200)을 상향 이동시켜 상승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는 위와 같은 간단한 동작을 통해 보트(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수면(2)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사용할 때는 수면(2)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의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는 승강가이드(300) 내부에 구동부와 승강기둥(200)이 설치되어 구동부가 안전하게 보호되며 컴팩트한 구조를 가진다. 이때, 구동부의 구동부재(610)는 승강기둥(200)의 중심수용부에 설치되어 구동부재(610)의 신축길이에 따른 전체적인 승강가이드(300)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엑츄에이터(620)가 중심수용부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승강기둥(200)이 엑츄에이터(620)의 외면에 지지되어 승강 슬라이딩 하므로 엑츄에이터(620)에 의해 승강기둥(200)의 축 틀어짐이 방지된다. 이때, 승강기둥(200)은 주입구슬롯(230)을 가져 구동부가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데 무리가 없다. 이러한 구동부의 구조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리프트를 외부에서 봤을 때 돌출되는 기둥상의 승강가이드(300)의 길이가 짧아 외력에 강하고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부는 수직축선 방향으로만 힘을 가하며 보트(1)를 승강시키기 때문에 힘의 낭비가 없고, 승강기둥(200)이나 구동부재(610)를 포함하는 구동부의 내구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크로스바아(400)와 승강기둥(200)을 연결하며 이들보다 기계적 성질이 높은 재질을 가지는 연결브래킷(500)을 가진다. 연결브래킷(500)으로 인해 크로스바아(400)와 승강기둥(200)의 조립이 간편해지고, 승강 시 가장 큰 힘을 받게 되는 승강기둥(200)과 크로스바아(400)의 연결부가 보다 견고하게 보강된다.
본 발명은 보트(1)의 상승상태를 유지하며, 연결브래킷(500)의 하강을 저지하는 리프팅유지부를 가진다. 리프팅유지부로 인해 구동부가 오작동 되거나 보트(1)의 무게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등 큰 외력이 발생해도 상승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승강가이드(300)는 요철성형된 요철부(340)를 가진다. 이로 인해 파도나 보트(1)의 무게중심 이동 등 외력에 의해 승강가이드(300)의 비틀림이 최소화 된다.
본 발명의 커버링부(133)는 연결브래킷(500)이나 크로스바아(400)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여 상방으로 발생하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견디게 하고, 부력유니트(100)에 노출되는 공간을 차단하여 안전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링부(133)에 설치되는 승강고정부(134)는 연결브래킷(500)이나 크로스바아(40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이들이 승강고정부(134)에 삽입되는 것으로 인해 상방 또는 좌우방향으로 발생되는 외력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고 이들이 부력유니트(100)와 일체로 이동하게 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보트 리프트의 내구성을 향상 시킨다. 이때, 승강고정부(134)에 설치되는 탄성패드는 진동이나 외력을 일부 흡수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승강가이드(300)와 승강기둥(200)의 사이 공간에는 가이드측베어링(320)과 기둥측베어링(220)이 설치된다. 이러한 베어링부로 인해 승강기둥(200)은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축 비틀림이나 틀어짐이 최소화 된다. 이로 인해 승강기둥(200)을 복수로 가지는 보트 리프트의 경우 각 승강기둥(200)의 슬라이딩 속도가 다름으로 인해 각각의 승강기둥(200)에 발생되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보트 2 : 수면
100 : 부력유니트 101 : 승강안내절취부
102 : 결합부 110 : 상부케이싱
120 : 하부케이싱 130 : 고정브래킷
131 : 고정핀 132 : 고정핀구동부
133 : 커버링부 134 : 승강고정부
200 : 승강기둥 210 : 결합핀
220 : 기둥측베어링 230 : 주입구슬롯
300 : 승강가이드 320 : 가이드측베어링
330 : 덮개 340 : 요철부
400 : 크로스바아 410 : 연결바아
420 : 지지부재 500 : 연결브래킷
510 : 고정홀부재 511 : 고정홀
610, 610' : 구동부재 620, 620' : 엑츄에이터(620)
630 : 유압주입구 640' : 연결핀
710 : 랙 720 : 피니언
810 : 웜 820 : 웜휠
910 : 암나사산 920 리드스크류(920)

Claims (5)

  1. 보트를 수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승상태와, 수면에 접촉된 하강상태 간을 이동시키는 보트 리프트에 있어서,
    소정의 보트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서로 대면하는 내측 벽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소정 깊이 절취된 승강안내절취부를 갖는 한 쌍의 부력유니트와,
    상기 부력유니트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승강기둥과,
    상기 부력유니트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둥들을 승강 안내하는 승강가이드와,
    상호 대향한 상기 승강기둥들을 상기 보트공간을 가로질러 상호 연결하여 상기 승강안내절취부를 통해 승강 가능한 복수의 크로스바아와,
    상기 승강기둥과 평행하게 신축하는 구동부재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안내절취부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크로스바아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커버링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링부는 하부로부터 상승되는 상기 크로스바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고정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승강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 상면과 양측면에는 탄성패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둥은 내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중심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중심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리프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수용부는 상기 승강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끝단은 상기 중심수용부의 일단에서 상기 중심수용부의 타단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된 지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리프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부력유니트에 상기 승강기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끝단은 상기 승강기둥의 상단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리프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아와 상기 승강기둥의 하단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부력유니트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브래킷의 하강을 저지하는 리프팅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리프트.
KR1020180017348A 2018-02-13 2018-02-13 보트 리프트 KR102194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348A KR102194069B1 (ko) 2018-02-13 2018-02-13 보트 리프트
PCT/KR2019/001617 WO2019160283A1 (ko) 2018-02-13 2019-02-11 보트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348A KR102194069B1 (ko) 2018-02-13 2018-02-13 보트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63A KR20190097663A (ko) 2019-08-21
KR102194069B1 true KR102194069B1 (ko) 2020-12-22

Family

ID=6780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348A KR102194069B1 (ko) 2018-02-13 2018-02-13 보트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0247B (zh) * 2022-05-19 2023-09-12 天津科技大学 一种双体船网箱清洗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6806B2 (en) 2003-08-28 2005-12-20 Harvey Wilder Edson Boatlift and movable canop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976B1 (ko) * 2015-03-24 2017-08-17 (주)케이에스비엔성풍 프레임이 부력탱크에 매설된 수직 승하강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KR101655114B1 (ko) * 2015-02-27 2016-09-07 (주)케이에스비엔성풍 수직 승하강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6806B2 (en) 2003-08-28 2005-12-20 Harvey Wilder Edson Boatlift and movable canopy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63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4347B2 (en) Truss heave plate system for offshore platform
CN102639030B (zh) 线性致动器
KR102194069B1 (ko) 보트 리프트
US4203576A (en) Elevating assembly for an offshore platform
JP5119346B2 (ja) 昇降式スラスタ装置
MXPA06003907A (es) Plataforma semisumergible que se puede extender.
US9815189B1 (en) Tool cabinet
RU2010102117A (ru) Бу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буровую вышку и буровую машину
KR101625489B1 (ko)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US10618449B2 (en) Camping trailer lift with new and novel posts or jacks
KR102086793B1 (ko) 보트 리프트
KR20170107629A (ko) 해양구조물 설치장비
KR20190097710A (ko) 보트 리프트
KR102607972B1 (ko)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6858B1 (ko) 바지선의 잭업장치
KR101498212B1 (ko) 선박 건조용 캐리어
WO2019160283A1 (ko) 보트 리프트
JP5311905B2 (ja) パワーユニットおよびそのパワーユニットを備えた荷役車両の荷受台昇降装置。
US1101166A (en) Movable floor for bathing-pools.
CN108862087A (zh) 一种液压升降机
KR101359519B1 (ko) 레그의 잭킹 장치
KR101644553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380645B1 (ko) 선박의 체인수납장치
JP2015217822A (ja) 可動柵
CN217348160U (zh) 一种易安装拆卸的浮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