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19B1 - 레그의 잭킹 장치 - Google Patents

레그의 잭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19B1
KR101359519B1 KR1020120015253A KR20120015253A KR101359519B1 KR 101359519 B1 KR101359519 B1 KR 101359519B1 KR 1020120015253 A KR1020120015253 A KR 1020120015253A KR 20120015253 A KR20120015253 A KR 20120015253A KR 101359519 B1 KR101359519 B1 KR 10135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rotating cylinder
jacking device
presen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3971A (ko
Inventor
김홍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Abstract

레그의 잭킹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는 선체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그를 외측에서 감싸도록는 형태로 구비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레그의 돌기가 삽입되는 장홈이삽입부가 형성되는 회전원통 및 상기 회전원통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할 때 상기 레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레그의 돌기가 가이딩되는 가이딩홈가이딩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그의 잭킹 장치 {Jacking Apparatus for Leg}
본 발명은 해상에서 작업하는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레그의 잭킹 장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 구조물이나 시추선과 같은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은 해상에서 작업 가능한 설비 등을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잭킹 장치(Jacking Apparatus)를 포함한다.
잭킹 장치는 선체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해저로 레그(Leg)를 내린 후 해저 바닥에 레그를 지지하여 바다 위로 선박 등의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장치다.
도 1의 (a)는 원통형 잭킹레그(jacking leg)의 사진, (b)는 사다리형 잭킹레그의 사진이다.
도 1과 같이 잭킹 장치에 사용되는 레그는 크게 원통형(Cylindrical type)과 사다리형(Lattic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원통형 레그의 잭킹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종래의 원통형 레그의 잭킹 장치는 원통형의 레그(10)의 양측면에는 렉기어(rack gear)(20)가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잭하우스(jcak house)(50) 내에는 유압모터(30)에 의해 회전하면서 각 레그(10)를 승, 하강 시키도록 각 레그(10)의 렉기어(20)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pinion gear)(40)가 설치되어 레그(10)를 선체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선체 또는 해양 구조물(1)이 위치하는 곳의 수심이 깊을수록 사다리형의 레그에 상기와 같은 렉기어(20)와 피니언기어(40)를 이용한 잭킹 장치가 결합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다리형 레그는 트러스(truss) 구조로 이루어진 레그로, 원통형에 비하여 물의 저항을 덜 받으면서, 무게도 원통형에 비하여 적은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잭킹 장치는 렉기어(20)가 레그(10)의 양 측면에 레그(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40)와 유압모터(30) 또한 렉기어(20)와 맞물려 구동될 수 있도록 레그(10)의 주변에 레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설치된다.
때문에, 피니언기어(40)와 모터(30) 등의 구동부가 레그(10)의 수직하중을 고스란히 받기 때문에 구동부의 손상이 컸다. 또한, 렉기어(20)의 구조 때문에 구동부가 데크(deck)(1) 위에 설치될 수 밖에 없어 데크(1) 상부의 작업 공간이 줄어들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잭킹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특허 10-2007-0006723(2007. 01. 1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레그의 위치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레그의 잭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레그의 이동에 필요한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데크 하부에 배치하여 데크 상부의 작업 공간을 늘릴 수 있는 레그의 잭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레그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부를수평적으로 배치하여 수직하중에 의한 구동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레그의 잭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사다리형 레그의 잭킹 장치레그의 잭킹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그, 회전원통 및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함에따라 상기 레그가 승강상승 도는 하강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그는 선체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원통은 상기 하나 이상의 레그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레그의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전원통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할 때 상기 레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레그의 돌기가 가이딩되는 가이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는 상기 회전원통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딩홀은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할 때 상기 레그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는 상기 회전원통의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회전원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딩홀은 상기 가이드에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그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는 삽입홈 또는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단면은 서로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원통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원통의 둘레를 따라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통의 주변에는 상기 톱니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기어가 구비되어 모터에 연결된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모터는 상기 레그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수평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톱니, 상기 기어 및 상기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원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는 데크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 구조물에 의하면, 원하는 만큼 회전원통을 회전하여 레그의 위치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 구조물에 의하면, 레그의 잭킹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의 부품이 평면상에 위치하여 데크 하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모터 등의 부품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 상부에 작업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 구조물에 의하면, 모터 등의 회전원통의 회전에 필요한 부품이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원통이 잭킹 장치의 하중을 받는다. 따라서, 수직하중에 의한 모터 등의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의 (a)는 원통형 잭킹레그의 사진, (b)는 사다리형 잭킹레그의 사진;
도 2는 종래 잭킹 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 중 삽입홈이 형성된 회전원통을 도시한 종단면도;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 중 삽입홀이 형성된 회전원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 중 회전원통과 가이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의 톱니와 기어를 도시한 나타낸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의 구동부가 데크 하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 중 회전원통과 가이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 중 삽입홀이 형성된 회전원통을 도시한 종단면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는 하나 이상의 레그(300), 회전원통(100) 및 가이드(guide)(2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300)의 일측에는 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그(300)는 선체 또는 해양 구조물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선체 또는 해양 구조물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는 들어올려져 있다가 선체 또는 해양 구조물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해저로 내려서 선체 또는 해양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호 인접한 두 레그(300) 사이에는 레그지지대(320)가 사다리처럼 구비될 수도 있다.
회전원통(100)은 하나 이상의 레그(300)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원통(100)은 회전원통(10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원통(100)의 회전을 위하여 회전원통(100) 주변에는 모터(140)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140)의 개수는 레그의 잭킹 장치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출력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모터(140)는 레그(3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수평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그의 잭킹 장치의 수직하중을 회전원통(100)이 받기 때문에 레그(3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구동되는 모터(140) 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회전원통(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40)가 레그(3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수평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데크(1)의 하부에 모터(140)가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하여 모터(140)를 데크(1)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종래의 레그의 잭킹 장치와 비교하면, 종래의 잭킹 장치는 렉기어(20)가 레그(10)의 양 측면에 레그(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40)와 유압모터(30) 또한 렉기어(20)와 맞물려 구동될 수 있도록 레그(10)의 주변에 레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설치되었다.
때문에, 피니언기어(40)와 모터(30) 등의 구동부가 레그(10)의 수직하중을 고스란히 받기 때문에 구동부의 손상이 컸다. 또한, 렉기어(20)의 구조 때문에 구동부가 데크(deck)(1) 위에 설치될 수 밖에 없어 데크(1) 상부의 작업 공간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140)를 데크(1)의 하부에 설치하여 데크(1) 상부의 작업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회전원통(100)의 내주면에는 레그(300)의 돌기(310)가 삽입되는 삽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0)는 여러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삽입부(110)의 형태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실시예를 들어 후술하기로 한다.
돌기(310)와 삽입부(110)는 그 단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310)와 삽입부(110)의 단면은 여러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310)와 삽입부(11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가이드(200)는 회전원통(100)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회전원통(100)의 내측, 회전원통(100)과 레그(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200)의 일측에는 회전원통(100)이 회전할 때 레그(300)의 돌기(310)가 가이딩되는 가이딩홀(guideing hall)(2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딩홀(210)은 회전원통(100)에 형성되는 삽입부(1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딩홀(210)의 형태 또한 삽입부(110)의 형태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 중 회전원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 중 회전원통과 가이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통(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삽입부(110)는 회전원통(10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딩홀(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일자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원통(100)의 회전에 따라 회전원통(100)의 나선형 삽입부(110)에 삽입된 돌기(310)가 가이딩홀(210)에 의해 가이딩되어 회전원통(100)의 회전이 레그(300)의 상, 하 직선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 회전원통(100)의 삽입부(110)에 삽입된 돌기(310)는 가이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딩홀(210)에 가이딩되어 회전원통(100)의 회전에 따른 레그(3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 중 삽입홀이 형성된 회전원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삽입부(110)가 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0)는 삽입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종래에 렉기어(20)와 피니언기어(40)로 레그(10)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의 잭킹 장치는 렉기어(20)의 상호 인접한 톱니의 간격만큼만 레그(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에 의하면 원하는 만큼 회전원통(100)을 회전시켜 레그(300)의 위치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의 톱니와 기어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통(100)의 둘레를 따라 톱니(1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원통(100)의 주변에는 톱니(120)와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기어(130)는 모터(140)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기어(130)의 회전에 의해 회전원통(10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기어(130)의 개수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어(130)는 평면상에 수평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140)는 기어(130)를 회전하여 레그의 잭킹 장치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출력에 따라 각 기어(130)마다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모터(140)로 다수의 기어(130)를 구동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의 구동부가 데크(1) 하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120)와 기어(130) 및 모터(140)를 포함하여 회전원통(1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는 데크(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1) 상부의 작업공간을 늘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는 레그(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해저에서 레그(300)를 지지하는 지주(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1 참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 중 회전원통과 가이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반대로 회전원통(100)의 내주면에는 회전원통(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일자형의 삽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200)에 형성되는 가이딩홀(210)은 원통형의 가이드(200)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110)가 일자형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삽입부(110) 또한 삽입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원통(10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원통(100)의 일자형 삽입부(110)에 삽입된 돌기(310)가 나선형의 가이딩홀(210)에 의해 가이딩되어 레그(300)가 회전원통(100)과 함께 회전하며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만큼 회전원통(100)을 회전시켜 레그(300)의 위치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잭킹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해저 바닥은 일반적으로 진흙으로 이루어지며, 레그(300)가 해저 바닥에 박힌 후 다시 레그(300)를 바닥에서 뺄 경우 레그(300)를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지주(330)의 밑부분이 진공상태가 되어 레그(300)를 바닥에서 빼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지주(330) 아래에 물을 주입하여 압력을 줄여주는 젯팅시스템(Jetting System)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원통(100)의 회전에 의해 레그(300) 가 함께 회전하면서 레그(300)가 상승하므로 레그(300)의 회전에 의해 지주(330) 아래의 진흙 등이 지주(330) 아래로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젯팅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레그(300)를 바닥에서 빼내기가 쉽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데크 10: 레그
20: 렉기어 30: 유압모터
40: 피니언기어 50: 잭하우스
100: 회전원통 110: 삽입부
120: 톱니 130: 기어
140: 모터 200: 가이드
210: 가이딩홀 300: 레그
310: 돌기 320: 레그지지대
330: 지지부

Claims (8)

  1. 선체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레그;
    상기 하나 이상의 레그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레그의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회전원통; 및
    상기 회전원통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할 때 상기 레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레그의 돌기가 가이딩되는 가이딩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회전원통의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회전원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딩홀은 상기 가이드에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그가 회전하는 레그의 잭킹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삽입홈 또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레그의 잭킹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단면은 서로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는 레그의 잭킹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통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원통의 둘레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원통의 주변에는 상기 톱니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기어가 구비되어 모터에 연결된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레그의 잭킹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모터는 상기 레그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레그의 잭킹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 상기 기어 및 상기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원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는 데크 하부에 위치하는 레그의 잭킹 장치.
KR1020120015253A 2012-02-15 2012-02-15 레그의 잭킹 장치 KR10135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53A KR101359519B1 (ko) 2012-02-15 2012-02-15 레그의 잭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53A KR101359519B1 (ko) 2012-02-15 2012-02-15 레그의 잭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971A KR20130093971A (ko) 2013-08-23
KR101359519B1 true KR101359519B1 (ko) 2014-02-07

Family

ID=4921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253A KR101359519B1 (ko) 2012-02-15 2012-02-15 레그의 잭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255B1 (ko) * 2013-10-10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부유 구조물에서의 잭업 리그 승강 장치
FR3092814B1 (fr) * 2019-02-18 2022-07-22 Nabec Gregori Dispositif de pilotis rétractables pour structures flottant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631B1 (ko) * 1984-05-29 1993-03-08 베들레형 스티이 코오포레이션 경사진 해상에 대해 조절가능한 이동성 근해 잭엎선대
KR100436110B1 (ko) 1999-03-26 2004-06-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승강식 구조물 가설 공법
EP2193239A1 (en) * 2007-07-30 2010-06-09 Gusto B.V. Jacking system
KR20110126787A (ko) * 2010-05-18 2011-11-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631B1 (ko) * 1984-05-29 1993-03-08 베들레형 스티이 코오포레이션 경사진 해상에 대해 조절가능한 이동성 근해 잭엎선대
KR100436110B1 (ko) 1999-03-26 2004-06-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승강식 구조물 가설 공법
EP2193239A1 (en) * 2007-07-30 2010-06-09 Gusto B.V. Jacking system
KR20110126787A (ko) * 2010-05-18 2011-11-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971A (ko)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3576A (en) Elevating assembly for an offshore platform
JP5119346B2 (ja) 昇降式スラスタ装置
KR20140018910A (ko) 캔틸레버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20170107628A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KR101359519B1 (ko) 레그의 잭킹 장치
KR101384712B1 (ko) 데크 승강시스템
KR101763691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KR100946646B1 (ko) 바지선의 승하강장치
KR20150093031A (ko) 잭업 리그
JP2017516929A (ja) 地盤構成物内に基礎構成部材を設置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ならびに方法
KR101136067B1 (ko) 그라운드 앵커케이블의 팩킹장치
CN111877296A (zh) 自升式平台及其液压插销升降装置和升降方法
KR101762840B1 (ko) 해양 구조물
KR101396858B1 (ko) 바지선의 잭업장치
KR20150076461A (ko) 잭업 리그와 잭업 리그의 승강 장치
CN117715819A (zh) 自升式驳船的齿条齿轮式顶升系统
KR20190123006A (ko)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
CN219260953U (zh) 一种自安装井口平台
KR101463756B1 (ko) 잭업 바지의 승하강장치
CN219604309U (zh) 自升式钻井平台升降装置
KR101435653B1 (ko) 라이저 이송장치
KR20190123011A (ko) 잭업 리그의 위치 제어장치
JP3223368U (ja) 昇降式作業台船
KR102124208B1 (ko) 레이더 포스트의 승하강 장치
KR102474058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