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618B1 - 바이오 파울링에 강하며 세정/역세정/수처리가 동시 가능한 역삼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 파울링에 강하며 세정/역세정/수처리가 동시 가능한 역삼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618B1
KR102193618B1 KR1020200055428A KR20200055428A KR102193618B1 KR 102193618 B1 KR102193618 B1 KR 102193618B1 KR 1020200055428 A KR1020200055428 A KR 1020200055428A KR 20200055428 A KR20200055428 A KR 20200055428A KR 102193618 B1 KR102193618 B1 KR 10219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tage
cleaning
water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권
Original Assignee
탑에코에너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에코에너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에코에너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01D61/0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01D61/026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comprising multiple reverse osmosis steps
    • B01D61/1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01D61/146Ultrafiltration comprising multiple ultrafiltration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58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제1단 필터 어셈블리와 제2단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다단 필터 어셈블리로 구성된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단 필터 어셈블리가, 병렬 배치된 복수개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로 구성된 전단필터; 및 병렬 배치된 복수개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로 구성된 후단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필터의 각각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전단필터의 각각의 제1 서브어셈블리에 각각 직렬 연결되고, 상기 후단필터의 각각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는 복수개의 멤브레인 필터가 직렬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바이오 파울링에 강하며 세정/역세정/수처리가 동시 가능한 역삼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Reverse osmosis system capable of cleaning/backwashing/operation at the same time that is advantageous for biofouling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멤브레인 필터를 세정하고 수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해수담수화, 하수처리, 공업용수 처리 등 수처리 시설에 역삼투 멤브레인(Reverse Osmosis membrane) 필터(이하, 간단히 "멤브레인 필터" 또는 "필터"라고도 함)가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 필터(MF)는 도1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1미터의 원통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다공성의 내측 튜브(2) 주위를 역삼투막(역삼투 멤브레인)(3)이 둘러싸고 있고 그 표면을 케이스(1)가 감싸고 있는 구조를 가지며, 하수, 폐수, 해수 등의 수처리시 물속에 용존되어 있는 유기물과 무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1에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역삼투막에 의해 처리해야 할 공급수(즉, 하수, 폐수, 해수 등)가 역삼투막(MF)의 일 단의 측면, 즉 튜브(2)와 케이스(1) 사이의 영역을 통해 역삼투막(3)에 공급되고, 역삼투막을 통과한 물은 되어 내측 튜브(2)로 유입된 후 처리수(treated water)가 되어 튜브(2)로부터 배출되고, 역삼투막을 통과하지 못한 유기물, 무기물 성분을 함유한 물은 농축수(concentrated water)가 되어 역삼투막의 측면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멤브레인 필터는 수처리 용량에 따라 복수개 직렬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수처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2의 종래 수처리 시스템은 일 예로서 제1단부터 제3단까지 필터가 다단으로 배치된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가지며, 제1단 필터 어셈블리는 병렬 배치된 4개의 필터 서브 어셈블리, 제2단은 병렬 배치된 2개의 필터 서브 어셈블리, 그리고 제3단은 1개의 필터 서브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도2의 수처리 시스템의 경우 하나의 필터 서브 어셈블리가 6개의 멤브레인 필터(MF)의 직렬 연결로 구성된다.
수처리 시스템을 통해 처리해야 할 하수, 폐수, 해수 등의 원수는 공급수로서 유로(L1)를 통해 다단 필터 어셈블리로 공급되고 제1단부터 제3단까지 차례로 통과하며 처리되며, 각 단의 필터 서브 어셈블리의 처리수 배출구로 배출된 처리수는 유로(L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각 단의 농축수 배출구로 배출되는 농축수는 다음단으로 공급되어 다시 처리되며, 마지막 단(즉 제3단)의 농축수 배출구로 배출된 농축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 수처리 시스템에서는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각각의 멤브레인 필터(MF)를 세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세정 작업을 시행한다. 예컨대 펌프(P5)를 이용하여 세정액 탱크로부터 세정액을 다단 필터 어셈블리로 공급하고, 세정액은 다단 필터의 제1단부터 제3단까지 차례로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며 각각의 필터를 세정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멤브레인 필터 방식의 수처리 시스템의 세정 주기는 3개월에서 6개월 간격, 즉 년 2회 내지 4회 세정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공급수인 하수, 폐수 등의 오염도가 높으면 더 자주 세정을 해야 하며, 세정 작업을 자주 할수록 역삼투막의 수명이 단축되고 세정에 사용되는 약품과 물 사용량이 증가하며 또한 세정 작업을 하는 동안 수처리 시스템이 수처리 동작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54243호 (2011년 5월 25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 수처리 시스템의 다단 필터 어셈블리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앞단의 필터가 먼저 오염되고 막혀서 수처리 시스템의 전체 세정을 자주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제1단 필터 어셈블리와 제2단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다단 필터 어셈블리로 구성된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으로서, 제1단 필터 어셈블리는, 병렬 배치된 복수개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로 구성된 전단필터; 및 병렬 배치된 복수개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로 구성된 후단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필터의 각각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전단필터의 각각의 제1 서브어셈블리에 각각 직렬 연결되고, 상기 후단필터의 각각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는 복수개의 멤브레인 필터가 직렬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3항의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에 의한 수처리 방법으로서, 처리해야 할 공급수를 상기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제1단에서 마지막 단까지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처리수와 농축수로 각각 배출하는 수처리 단계; 및 세정액 탱크와 상기 전단필터의 각각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 사이에서 세정액을 순환시키며 상기 전단필터를 세정하는 부분세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 시스템의 제1단 필터 어셈블리를 전단 필터와 후단 필터로 분리하고 전단 필터에 대한 부분 세정이 가능하도록 유로를 설치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첫째, 제1단 필터 어셈블리의 전단 필터만 부분 세정할 수 있어 단시간에 수처리 시스템의 회복이 가능하고, 둘째, 수처리 시스템의 세정에 사용되는 약품 및 물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고, 셋째, 전단 필터에 대한 부분 세정을 하는 것과 동시에 후단의 나머지 필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수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연속 운전이 가능하고, 넷째, 전단 필터에 대한 세정 효율 및 교체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도1은 종래의 멤브레인 필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2는 종래의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5는 도4의 수처리 시스템의 정상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6은 도4의 수처리 시스템의 부분세정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7은 도4의 수처리 시스템의 전체세정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된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다단 필터 어셈블리 구조로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3단, 즉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 및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로 이루어진 다단 필터 어셈블리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구성이며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다단 필터 어셈블리가 2단 또는 4단 이상의 다단 필터 어셈블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각 단의 필터 어셈블리(100,200,300)에 연결된 다수의 유로 및 이들 유로에 설치된 펌프, 밸브, 압력계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러한 유로 및 펌프, 밸브, 압력계 등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만 도시하였고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구체적 유로 구성이 달라지거나 밸브, 펌프 등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공급수를 공급받아 다단 필터 어셈블리에서 이를 처리한 후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하여 배출한다. 여기서 '공급수'는 수처리 시스템에서 처리되어야 할 원수(raw water)로서, 예컨대 해수담수화 설비의 경우 공급수는 해수이고, 하수처리나 공업용수 처리 등의 설비에 적용되는 경우 공급수는 하수, 폐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수는 유로(L10)를 통해 다단 필터 어셈블리로 공급되어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에서부터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까지 차례로 통과한 후 처리수와 농축수로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처리수'(treated water)는 역삼투막을 투과한 물로서 공급수에서 유기물, 무기물 등 각종 물질이 필터링되어 제거된 상태의 물이며, '농축수'(concentrated water)는 공급수에서 처리수가 빠져나간 후 각종 유기물과 무기물이 농축 함유된 상태의 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는 전단 필터(110) 및 후단 필터(120)로 구성된다. 전단 필터(110)는 병렬 배치된 복수개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를 포함한다. 후단 필터(120)는 병렬 배치된 복수개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120-1,120-2,120-3,120-4)를 포함한다.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의 각각은 예컨대 도1에 도시한 멤브레인 필터(MF)가 적어도 하나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3에서는 실시예에서는 각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가 1개의 멤브레인 필터(MF)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2개, 3개 등 복수개의 멤브레인 필터(MF)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120-1,120-2,120-3,120-4)의 각각은 멤브레인 필터(MF)가 복수개 직렬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각 필터 서브어셈블리(120-1,120-2,120-3,120-4)가 5개의 멤브레인 필터(MF)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단 필터(120)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120-1,120-2,120-3,120-4)는 전단 필터(110)의 제1 서브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에 직렬로 연결된다. 즉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의 농축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농축수가 유로(L14)를 통해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120-1,120-2,120-3,120-4)의 공급수 유입구로 유입된다.
따라서 도2의 종래 구성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는 각 필터 서브어셈블리에서 가장 앞단의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필터가 그 후단의 나머지 역삼투 필터들과 분리되어 구성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도2의 종래 구성에서 제1단 필터 어셈블리의 가장 위쪽 열의 필터 서브어셈블리가 6개의 역삼투 필터(MF)의 직렬 연결로 구성된 반면, 도3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장 위쪽 열의 필터 서브어셈블리 중 가장 앞단의 역삼투 필터 하나가 분리되어 전단 필터(110)의 일부가 되고 나머지 5개의 역삼투 필터가 후단 필터(120)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서, 수처를 위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급수는 유로(L10)와 유로(L11)를 통해 전단 필터(110)의 각각의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21-4)의 공급수 유입구로 공급되어 수처리 되고, 각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의 처리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로(L13) 및 유로(L4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각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의 농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농축수는 유로(L14)를 따라 후단 필터(120)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120-1,120-2,120-3,120-4)의 공급수 유입구를 통해 공급수로서 공급된다.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120-1,120-2,120-3,120-4)의 처리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로(L16) 및 유로(L4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고,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120-1,120-2,120-3,120-4)의 농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농축수는 유로(L17)를 따라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의 각각의 필터 서브어셈블리(200-1,200-2)로 공급된다.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는 복수개의 필터 서브어셈블리(200-1,200-2)를 구비할 수 있고, 각 필터 서브어셈블리(200-1,200-2)는 복수개의 역삼투 필터(MF)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필터 서브어셈블리(200-1,200-2)의 각각이 6개의 역삼투 필터(MF)의 직렬 연결로 각각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필터 서브어셈블리의 개수 및 각 필터 서브어셈블리의 직렬 연결된 멤브레인 필터(MF)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의 각 필터 서브어셈블리(200-1,200-2)의 처리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로(L21) 및 유로(L4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고 농축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는 유로(L22)를 따라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의 각각의 필터 서브어셈블리(300-1)로 공급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가 6개의 멤브레인 필터(MF)의 직렬 연결로 구성된 하나의 필터 서브어셈블리(300-1)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터 서브어셈블리의 개수 및 각 필터 서브어셈블리에 직렬 연결되는 멤브레인 필터(MF)의 개수 역시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의 각 필터 서브어셈블리(300-1)의 처리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로(L31) 및 유로(L4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고 농축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는 유로(L3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각 단의 필터 어셈블리(100,200,30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로(L40)를 따라 예컨대 처리수 탱크나 그 다음 수처리 공정을 위해 외부로 배출되고, 각 단의 필터 어셈블리(100,200,300)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는 최종적으로 유로(L3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어 예컨대 바다에 방류되거나 폐수처리장 등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은 정치세정(CIP: Cleaning In Place) 방식으로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세정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부분 세정하거나 전체 세정할 수 있도록 세정액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세정액 탱크(도시 생략), 세정액 탱크와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세정 유로, 및 유로에 설치된 다수의 밸브와 펌프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에서 세정액 탱크(도시 생략)에서 공급되는 세정액은 세정 유로(L51)를 통해 전단 필터(110)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의 각각의 공급수 유입구측으로 공급된다. 각각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의 처리수 배출구 및/또는 농축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은 세정 유로(L52)를 통해 세정액 탱크로 반환되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부분 세정 작업에서는 세정액을 세정액 탱크와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 사이를 순환시키면서 전단 필터(110)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전단 필터(110)를 부분 세정 하는 동안 후단의 나머지 필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수처리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수처리 시스템은 전단 필터(110)를 우회하여 공급수를 후단 필터(120)로 이송하는 바이패스 유로(L12)를 더 포함한다. 바이패스 유로(L12)의 일단은 공급수를 공급하는 메인 유로(L10,L11)에 연결되고 바이패스 유로(L12)의 타단은 전단 필터(110)의 농축수 배출구와 후단 필터(120)를 연결하는 유로(L14)에 연결되며, 메인 유로에 설치된 밸브(V11)와 바이패스 유로(L12)에 설치된 밸브(V12)를 제어함으로써 전단 필터(110)를 우회하여 공급수를 후단 필터(120)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유로의 밸브(V11)를 폐쇄하고 바이패스 유로의 밸브의 밸브(V12)를 개방하여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의 후단 필터(120),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 및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를 이용하여 수처리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단 필터(110)에 대한 부분 세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전체 세정을 수행하는 경우, 세정액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이 세정 유로(L51)를 통해 전단 필터(110)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의 각각의 공급수 유입구측으로 공급되고,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110-3,110-4)의 처리수 배출구 및/또는 농축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은 유로(L14)를 통해 후단 필터(120)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120-1,120-2,120-3,120-4)로 공급된다. 그 후 제2 필터 서브 어셈블리(120-1,120-2,120-3,120-4)부터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와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까지의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차례로 통과한 세정액은 처리수 배출을 위한 유로(L40)와 농축수 배출을 위한 유로(L32)를 통해 세정액 반환 유로(L63)로 모여서 세정액 탱크로 반환되며, 이와 같이 전체 세정의 경우 세정액을 세정액 탱크와 다단 필터 어셈블리(100,200,300) 사이를 순환시키며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모든 멤브레인 필터를 세정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수처리 시스템의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를 하나의 멤브레인 필터(MF)의 전단 필터(110)와 그 후단의 나머지 멤브레인 필터(MF)로 구성된 후단 필터(120)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전단 필터(110)에 대한 부분 세정이 가능하도록 유로를 설치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의 전단 필터(110)만 부분 세정함으로써 단시간에 수처리 시스템의 회복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수(上水) 수처리 시스템의 경우 6개월마다 한번씩 수처리 시스템의 전체 세정 작업이 필요하고 폐수 수처리 시스템의 경우 1개월 내지 3개월마다 한번씩 전체 세정이 요구되고 폐수의 종류에 따라 1주일이나 수일마다 한번씩 전체 세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다단 필터 어셈블리로 구성된 수처리 시스템의 경우 처리해야 할 공급수의 불순물이나 오염물질의 대부분이 다단 필터 어셈블리 중 가장 앞단의 멤브레인 필터에 가장 많이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가장 앞단의 필터만 세정하는 것으로도 수처리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상당 부분 회복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다단 필터 어셈블리에서 가장 앞단 필터를 따로 분리하여 설치하지 않았으므로 앞단 필터만을 위한 부분 세정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를 전단 필터(110)와 후단 필터(120)로 분리하고 전단 필터(110)에 대한 부분 세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단시간에 전단 필터(110)에 대한 부분 세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단 필터 어셈블리 전체에 대한 전체 세정의 경우 세정 시간이 대략 8시간 내지 10시간이 소요되지만 전단 필터(110)에 대한 부분 세정만 할 경우 대략 3시간 내지 4시간만 소요되므로 수처리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신속히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부분 세정의 경우 세정 시간이 짧으므로 부분 세정을 비교적 자주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체 세정 주기를 늘릴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둘째, 수처리 시스템의 세정에 사용되는 약품 및 물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수처리 시스템은 처리해야 할 공급수에서 유기물과 무기물을 필터링하여 처리하는데 일반적으로 콜로이드성 오염물질, 바이오 파울링(biofouling), 바이오 필름(biofilm) 등의 유기물은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앞단에서 처리되고 무기물은 뒷단에서 주로 처리된다. 그러므로 전단 필터(110)에 대한 부분 세정의 경우 유기물을 클리닝하는데 필요한 약품(예컨대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 등의 약품)만 사용하면 되며 무기물 클리닝용 약품은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처리 시스템의 처리 능력 회복에 필요한 약품 사용량 및 그에 따른 물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삼투 필터(MF)의 세정 약품은 멤브레인 필터의 개수와 그 순환물량의 0.1%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필요한데, 1개의 역삼투막에 1kg의 세정 약품이 필요하다고 가정할 경우 도3과 같이 6개의 멤브레인 필터(MF)가 직렬 연결된 서브어셈블리가 4:2:1의 배열로 구성되어 전체 42개의 멤브레인 필터를 갖는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경우 세정 약품이 42kg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전단 필터(110)에 대한 부분 세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부분 세정은 전단의 4개의 멤브레인 필터(MF)만 세정하면 되므로 4kg의 약품만 필요하며 그에 따라 린스용 물 사용량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부분 세정을 하는 동안에도 후단의 나머지 필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수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은 전단 필터(110)를 우회하여 공급수를 후단 필터(120)로 이송하는 바이패스 유로(L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의 전단 필터(110)를 부분 세정하는 동안 공급수를 바이패스 유로(L12)를 통해 후단 필터(120)로 공급함으로써 후단 필터(120),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 및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를 이용하여 수처리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종래 대비 연속 운전 시간을 더 늘릴 수 있다.
넷째, 전단 필터(110)에 대한 세정 효율 및 교체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MF)의 세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고온(예컨대 섭씨 50도 이상) 고알칼리성(예컨대 pH 13 이상) 세정액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 세정방법은 역삼투막의 표면 손상을 유발하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부분 세정은 전단 필터(110)에 대해 비교적 짧은 시간만 세정하므로 이러한 고온 고알칼리 세정액을 사용할 수 있어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단 필터(110)의 멤브레인 필터(MF)가 다른 나머지 필터 어셈블리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전단 필터(110)의 멤브레인 필터만 교체하는 작업이 어렵지 않아 작업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이제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예시적 설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처리 시스템은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 및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로 이루어진 다단 필터 어셈블리로 구성된 메인 시스템을 포함하며, 공급수를 공급받아 수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세정액을 공급받아 부분 세정 및 전체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메인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은 도3의 수처리 시스템과 동일하며 동일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 부재번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는 전단 필터(110)와 후단 필터(120)로 분리되어 있고 그 후단에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와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가 차례로 연결되어 있다. 다만 도4에서는 구성을 간단히 도시하기 위해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가 2개의 서브어셈블리로 구성하고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와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는 각각 1개의 서브어셈블리로 구성하였지만 각 단의 필터 어셈블리(100,200,300)의 연결 구조는 도3과 동일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백업 시스템(BS)을 더 포함한다. 백업 시스템(BS)은 메인 시스템이 전체 세정을 하는 동안 메인 시스템을 대신하여 수처리를 수행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술한 메인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단 필터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공급수와 세정액을 각각 공급받아 수처리 및 부분 세정과 전체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메인 시스템과 백업 시스템(BS)이 동일 구성을 가지므로 백업 시스템(BS)에 대해서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5는 도4의 수처리 시스템의 정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수의 이송 경로를 굵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처리 시스템의 정상 동작에서 수처리 시스템으로 공급된 공급수는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제1단에서 제3단까지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처리되어 처리수와 농축수로 분리되어 각각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우선, 수처리 시스템은 메인 고압펌프(P11)를 이용하여 공급수를 유로(L11)를 통해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의 전단 필터(110)로 공급한다. 메인 고압펌프(P11)는 공급수를 예컨대 15bar 또는 그 이상의 고압으로 다단 필터 어셈블리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고압펌프(P11)와 병렬로 보조 고압펌프(P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 고압펌프(P11)의 고장시 보조 고압펌프(P12)를 통해 공급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전단 필터(110)로 공급된 공급수는 필터링되어 처리수와 농축수로 분리되고 처리수는 유로(L13) 및 유로(L40)를 통해 배출되고 농축수는 유로(L14)를 통해 후단 필터(120)에 공급수로서 공급된다. 후단 필터(120)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로(L16)를 통해 배출되고 농축수는 유로(L17)를 따라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로 공급된다.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로(L21)를 통해 배출되고 농축수는 유로(L22)를 따라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로 공급되고,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로(L31)를 통해 배출되고 농축수는 유로(L32)를 따라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위와 같은 수처리 시스템의 정상 동작에서는 공급수가 도5에 굵은 선으로 표시한 경로를 따라 이송되며 수처리 되며,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부(500)는 이러한 경로로 공급수를 이송하기 위해 각종 밸브의 개폐와 펌프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한 여러 밸브들(V11,V12,V13,V14,V51,V52,V53,…)과 펌프들 및 도면에 생략된 밸브와 펌프들의 개별 동작에 대해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업자라면 도5의 굵은 선으로 표시한 공급수 경로로부터 각 밸브와 펌프의 동작 상태를 이해하고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6은 도4의 수처리 시스템의 부분세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수와 세정액의 경로를 굵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의 전단 필터(110)에 대한 부분 세정을 위해 세정액 탱크(도시 생략)와 전단필터(110) 사이에서 세정액을 순환시키며 전단필터(110)를 세정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 세정은 역세정 방식과 순세정 방식이 있다. 역세정 방식은 세정액을 전단 필터(110)의 각각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의 처리수 배출구 또는 농축수 배출구로 주입하고 공급수 유입구로 배출하는 경로로 순환시키며, 순세정 방식은 세정액을 전단 필터(110)의 각각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의 공급수 유입구로 주입하고 처리수 배출구 또는 농축수 배출구로 배출하는 경로로 세정액을 순환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 세정 동작이 역세정 또는 순세정 중 하나의 방식만 포함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역세정과 순세정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6은 일 예로서 역세정을 위한 경로를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세정액 탱크(도시 생략)에서 공급되는 세정액이 세정 유로(L51)를 통해 전단 필터(110)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110-1,110-2)의 멤브레인 필터의 농축수 배출구 측으로 공급되고, 각 멤브레인 필터를 세정한 후 공급수 유입구 측으로 배출되어 유로(L52)를 통해 세정액 탱크로 되돌아간다. 이 때 멤브레인 필터의 세정액이 처리수 배출구로 배출되지 않도록 세정액의 공급 압력을 3.5bar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공급수 압력이 작으면 역삼투 작용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세정액이 역삼투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공급수 유입구로 배출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역세정 작업에서 세정액을 전단 필터(110)의 각 멤브레인 필터의 처리수 배출구 측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멤브레인 필터의 처리수 배출구로 주입된 세정액은 역삼투막을 통과하여 공급수 유입구와 농축수 배출구로 각각 배출된 후 세정액 탱크로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 세정 동작을 위해 도6에 굵은 선으로 표시한 경로를 따라 세정액을 이송시키기 위해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부(500)는 세정 유로의 각종 밸브(V51,V52,V53,…와 펌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밸브나 펌프의 개별 동작을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업자는 도5에 표시한 경로로 세정액을 이송하기 위한 각종 밸브 및 펌프의 동작 상태를 이해하고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부분 세정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 필터(MF)가 막히게 되면 멤브레인 필터에서 배출되는 유량이 감소하거나 수질이 나빠지거나 또는 멤브레인 필터 전후의 압력차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부분 세정을 개시하는 조건으로서 예컨대 (i) 다단 필터 어셈블리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이 최초 유량 대비 15% 감소하거나, (ii) 다단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처리수의 수질(예컨대 전기전도도 등의 수질센서로 측정한 수질 측정값)이 소정 기준 이하로 나빠지거나, 또는 (iii) 다단 필터 어셈블리 전후의 압력 차이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 부분 세정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유량, 수질, 및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 수질센서, 압력계 등 각종 센서가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전단(예컨대 제1단 필터 어셈블리의 공급수 유입구)과 후단(예컨대 제3단 필터 어셈블리의 처리수 배출구 및/또는 농축수 배출구)에 설치될 수 있고, 각 센서에서 측정한 측정값이 제어부(5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각 단 사이에 이러한 각종 센서가 설치되어 각 단의 수처리 능력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 세정을 위해 약품(세정액) 투입 및 순환 단계, 세정액 정체 단계, 세정액 재순환 단계, 및 린스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세정액 투입 및 순환 단계에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유기물 클리닝용 세정액을 전단 필터(110)에 투입하고 소정 시간(예컨대 30분) 동안 순환시킨다. 그 후 세정액 순환을 멈추고 소정 시간(예컨대 30분) 동안 세정액이 전단 필터(110) 내에 정체되어 머무르도록 하여 세정액과 필터내 유기물의 반응을 촉진하고, 그 후 소정 시간(예컨대 30분) 동안 세정액을 다시 순환시킨 후 마지막으로 필터를 린스(세척)함으로써 부분 세정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위와 같이 전단 필터(110)를 부분 세정 하는 동안 후단의 나머지 필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수처리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6에 굵은 선으로 공급수 이송 경로를 나타낸 것처럼, 바이패스 유로(L12)에 의해 전단 필터(110)를 우회하여 공급수를 후단 필터(120)로 공급할 수 있고, 후단 필터(120)로 공급된 공급수는 후단 필터(120),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 및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를 차례로 통과하며 수처리 될 수 있다.
도7은 도4의 수처리 시스템의 전체세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세정액의 경로를 굵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전체 세정 동작에서 세정액은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제1단(100)에서 마지막 단(300)까지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전체 필터 어셈블리를 세정한다. 도7에 도시한 것처럼, 세정 유로(L51)를 따라 전단 필터(110)로 공급되는 고압의 세정액은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의 전단 필터(110)와 후단 필터(120),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 및 제3단 필터 어셈블리(300)를 차례로 통과하며 처리수와 농축수로 분리되어 배출되고, 처리수는 유로(L40)와 유로(L61)를 따라 그리고 농축수는 유로(L32)와 유로(L62)를 따라 세정액 반환 유로(L63)로 모인 후 유로(L52)를 통해 세정액 탱크로 반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체 세정 동작은 부분 세정과 유사하게 세정액 투입 및 순환 단계, 세정액 정체 단계, 세정액 재순환 단계, 및 린스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전체 세정의 경우 세정액은 유기물 클리닝용 약품과 무기물 클리닝용 약품을 모두 함유한 세정액이며 각 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예컨대 1시간 내지 2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체 세정 동작을 위해 도7에 굵은 선으로 표시한 경로를 따라 세정액을 이송시키기 위해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부(500)는 수처리 시스템의 각종 밸브 개폐 동작과 펌프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밸브나 펌프의 개별 동작을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업자는 도7에 표시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각 밸브와 펌프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단 필터 어셈블리
110: 전단 필터
120: 후단 필터
200: 제2단 필터 어셈블리
300: 제3단 필터 어셈블리

Claims (6)

  1. 적어도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와 제2단 필터 어셈블리(200)를 포함하는 다단 필터 어셈블리로 구성된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으로서,
    제1단 필터 어셈블리(100)는,
    병렬 배치된 복수개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로 구성된 전단 필터(110); 및
    병렬 배치된 복수개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로 구성된 후단 필터(120);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필터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전단필터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후단 필터의 각각의 제2 필터 서브어셈블리는 복수개의 멤브레인 필터가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은,
    세정액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상기 전단필터의 각각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로 이송하는 제1 세정유로(L51);
    각각의 상기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을 세정액 탱크로 이송하는 제2 세정유로(L52); 및
    상기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마지막 단의 필터 어셈블리의 처리수 유로와 농축수 유로에 연결되어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탱크로 이송하는 제3 세정유로(L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에 의한 수처리 방법으로서,
    처리해야 할 공급수를 상기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제1단에서 마지막 단까지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처리수와 농축수로 각각 배출하는 수처리 단계; 및
    세정액 탱크와 상기 전단 필터(110)의 각각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 사이에서 세정액을 순환시키며 상기 전단 필터(110)를 세정하는 부분세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세정액 탱크의 세정액을 상기 다단 필터 어셈블리의 제1단에서 마지막 단까지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며 전체 필터 어셈블리를 세정하는 전체세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세정 단계가,
    세정액을 상기 전단 필터의 각각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의 처리수 배출구 또는 농축수 배출구로 주입하고 공급수 유입구로 배출하는 역세정 단계; 및
    세정액을 상기 전단 필터의 각각의 제1 필터 서브어셈블리의 공급수 유입구로 주입하고 처리수 배출구 또는 농축수 배출구로 배출하는 순세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KR1020200055428A 2020-05-08 2020-05-08 바이오 파울링에 강하며 세정/역세정/수처리가 동시 가능한 역삼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219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428A KR102193618B1 (ko) 2020-05-08 2020-05-08 바이오 파울링에 강하며 세정/역세정/수처리가 동시 가능한 역삼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428A KR102193618B1 (ko) 2020-05-08 2020-05-08 바이오 파울링에 강하며 세정/역세정/수처리가 동시 가능한 역삼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618B1 true KR102193618B1 (ko) 2020-12-21

Family

ID=7409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428A KR102193618B1 (ko) 2020-05-08 2020-05-08 바이오 파울링에 강하며 세정/역세정/수처리가 동시 가능한 역삼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5495A (zh) * 2022-07-14 2022-10-11 洛阳中硅高科技有限公司 制备系统和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4120A (ja) * 1993-11-26 1995-06-06 Shinko Pantec Co Ltd 逆浸透膜装置及び逆浸透膜装置の洗浄方法、ならびに逆浸透膜装置の洗浄運転方法
JP2011020032A (ja) * 2009-07-14 2011-02-03 Kurita Water Ind Ltd 逆浸透膜の処理方法及び逆浸透膜装置
KR20110054243A (ko) 2009-11-17 2011-05-25 한국수자원공사 역세척이 가능한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
JP2015142903A (ja) * 2013-12-26 2015-08-06 栗田工業株式会社 逆浸透膜装置の運転方法、及び逆浸透膜装置
JP2018130679A (ja) * 2017-02-15 2018-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逆浸透処理装置及び逆浸透処理方法
JP2018171563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逆浸透処理装置及び逆浸透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4120A (ja) * 1993-11-26 1995-06-06 Shinko Pantec Co Ltd 逆浸透膜装置及び逆浸透膜装置の洗浄方法、ならびに逆浸透膜装置の洗浄運転方法
JP2011020032A (ja) * 2009-07-14 2011-02-03 Kurita Water Ind Ltd 逆浸透膜の処理方法及び逆浸透膜装置
KR20110054243A (ko) 2009-11-17 2011-05-25 한국수자원공사 역세척이 가능한 역삼투 수처리 시스템
JP2015142903A (ja) * 2013-12-26 2015-08-06 栗田工業株式会社 逆浸透膜装置の運転方法、及び逆浸透膜装置
JP2018130679A (ja) * 2017-02-15 2018-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逆浸透処理装置及び逆浸透処理方法
JP2018171563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逆浸透処理装置及び逆浸透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5495A (zh) * 2022-07-14 2022-10-11 洛阳中硅高科技有限公司 制备系统和制备方法
CN115155495B (zh) * 2022-07-14 2024-03-19 洛阳中硅高科技有限公司 制备系统和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988A (en) Method of back-washing submerged-type ceramic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JP4996067B2 (ja) 逆浸透膜を使用した水処理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8956464B2 (en) Method of cleaning membranes
JP6762258B2 (ja) 逆浸透処理システム及び逆浸透処理方法
US9833743B2 (en) Reverse osmosis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reverse osmosis treatment device
KR101604017B1 (ko) 역방향 교차운전을 이용한 알오 멤브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일 오염방지 방법
KR20110007180A (ko) 역침투막 모듈의 운전방법
KR102193618B1 (ko) 바이오 파울링에 강하며 세정/역세정/수처리가 동시 가능한 역삼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US9238586B2 (en) Filter cleaning method
KR20050033547A (ko) 분리막 모듈 및 분리막 모듈의 운전 방법
JP6344114B2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設備の洗浄方法
JP6428017B2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設備の洗浄方法
JP4918512B2 (ja) 逆浸透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CN212559556U (zh) 一种树脂滤水装置
JP2018140376A (ja) 逆浸透処理装置及び逆浸透処理方法
JP4940631B2 (ja) 逆浸透膜分離装置の運転方法
CN209771840U (zh) 一种具有冲洗功能的反渗透净水系统
CN109331664B (zh) 一种超滤膜冲洗装置及方法
JP2005046762A (ja) 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214764575U (zh) 一种纳滤膜清洗装置
CN211394060U (zh) 一种带有冲洗装置的退浆碱液回收系统
JPH06126280A (ja) 中空糸膜のモジュールを用いる汚水の再利用装置
JP2005046801A (ja) 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100486905C (zh) 三级工业废水深度处理的反渗透过滤装置
JP7427890B2 (ja) 濃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