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021B1 -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021B1
KR102193021B1 KR1020140047400A KR20140047400A KR102193021B1 KR 102193021 B1 KR102193021 B1 KR 102193021B1 KR 1020140047400 A KR1020140047400 A KR 1020140047400A KR 20140047400 A KR20140047400 A KR 20140047400A KR 102193021 B1 KR102193021 B1 KR 102193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uxiliary memory
processing unit
memory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486A (ko
Inventor
황요섭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021B1/ko
Priority to US14/591,446 priority patent/US10074153B2/en
Publication of KR2015012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영상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주 메모리, 영상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의 동작시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주 메모리로부터 로딩 및 저장하는 제1 보조 메모리, 신호 처리부의 동작시 신호 처리한 영상 컨텐츠를 임시 저장하고, 신호 처리부의 미동작시,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주 메모리로부터 로딩 및 저장 가능한 제2 보조 메모리, 및 영상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고, 신호 처리부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주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를 근거로,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주 메모리로부터 제2 보조 메모리로 로딩 및 저장하고,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에 존재하는 엠펙 2 디코더(MPEG 2 decoder) 및 GPU(Graphic Processing Unit)와 같은 하드웨어(H/W)의 전용 메모리를 장치가 동적으로 사용할 때, 영상 컨텐츠의 처리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정보를 근거로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한 저장 경로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처리 가능한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TV나 BD 재생기(Blue ray player)와 같은 제품군에는 하드웨어가 전용으로 사용하는 전용 메모리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TV의 경우 엠펙 2 디코더나, GPU가 전용으로 사용하는 메모리가 있고, BD 재생기와 같은 제품의 경우 BD 하드웨어 전용 메모리가 존재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해당 하드웨어만이 전용으로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어, 시스템, 즉 장치의 운영체계(OS) 측에서는 해당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접근조차 불가능하였다.
이를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TV 또는 BD 재생기에서 해당 하드웨어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 해당 하드웨어의 전용 메모리를 OS 측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HDMA(Hardware Dedicated Memory Allocator)를 개발하여 사용 중에 있다. HDMA 기술은 해당 하드웨어 메모리를 OS의 연속 메모리로 인식시키는 기술이다. 하드웨어 메모리가 필요한 상황이면 HDMA를 온시키고, 이때 OS는 현재 시스템에 사용되는 메모리, 즉 시스템 메모리에 해당 HW 메모리를 추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시스템 메모리가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HDMA가 오프되면, OS는 해당 메모리를 시스템 메모리에서 분리시킨다. 결과적으로 시스템 메모리가 원래대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이와 같이 HDMA가 동작 중에 해당 HW는 동작되지 말아야 하며, 메모리의 누설(leak)도 발생하면 안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HDMA가 오프될 때, 전용 메모리에 저장된 두었던 데이터를 시스템 즉 장치 메모리로 백업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오프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장치가 이전 상태로 복귀하여 동작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시간은 시스템 메모리의 크기에 비례하고, HDMA 온 상태에서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에 비례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에 존재하는 엠펙 2 디코더 및 GPU와 같은 하드웨어(H/W)의 전용 메모리를 장치가 동적으로 사용할 때, 영상 컨텐츠의 처리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정보를 근거로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한 저장 경로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처리 가능한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영상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주 메모리, 상기 영상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의 동작시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주 메모리로부터 로딩 및 저장하는 제1 보조 메모리,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시 상기 신호 처리한 영상 컨텐츠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의 미동작시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주 메모리로부터 로딩 및 저장 가능한 제2 보조 메모리, 및 상기 영상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고, 상기 신호 처리부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주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 로딩 및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신호 처리하고, 상기 디코딩한 영상 컨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결과에 근거해 상기 신호 처리부가 동작하지 않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로딩 및 저장하고, 상기 설정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 로딩 및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결과 상기 신호 처리부가 재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속성 정보 및 유형(type)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의 재동작시, 상기 유형 정보를 근거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backup)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근거해 백업시킬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실행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동작인 프로세스 및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설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그래픽을 생성하는 GUI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UI 그래픽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메모리 및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은, 영상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를 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의 동작시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주 메모리로부터 제1 보조 메모리로 로딩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시 상기 신호 처리한 영상 컨텐츠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의 미동작시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주 메모리로부터 제2 보조 메모리로 로딩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고, 상기 신호 처리부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주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 로딩 및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신호 처리하고, 상기 디코딩한 영상 컨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결과에 근거해 상기 신호 처리부가 동작하지 않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로딩 및 저장시키고, 상기 설정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 로딩 및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신호 처리부가 재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속성 정보 및 유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신호 처리부의 재동작시, 상기 유형 정보를 근거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근거해 백업시킬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실행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동작인 프로세스 및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설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그래픽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행시키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UI 그래픽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은, 임의의 영상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상태의 판단 결과, 동작하지 않는 경우, 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전용으로 사용되는 보조 메모리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 및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로딩 및 저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설정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보조 메모리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 및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은 상기 신호 처리부가 재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결과 재동작하는 경우, 상기 보조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은 상기 신호 처리부가 재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결과 재동작하는 경우, 상기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부에 연동하는 보조 메모리로 백업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백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메모리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 및 저장하는 것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백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되는 유형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실행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동작인 프로세스 및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연동하는 보조 메모리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 정보를 근거로 백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영상처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방법은, 임의의 영상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상태의 판단 결과, 동작하지 않는 경우, 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전용으로 사용되는 보조 메모리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 및 저장시키는 단계를 실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오디오 처리부 및 비디오 처리부의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1의 동작상태 감지부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도 1의 오디오 처리부 및 비디오 처리부의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90)는 신호 수신부(100), 신호 처리부(110), 제어부(120), 주 메모리(130), 보조 메모리 1(140), 동작상태 감지부(150), 보조 메모리 2(160), 리모컨 수신부(170), 오디오 출력부(180) 및 비디오 출력부(19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리모컨 수신부(17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동작상태 감지부(15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12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신호 수신부(100)는 영상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이때, 영상 컨텐츠는 방송국이나 외부 서버에서 제공받을 수 있고, 영상처리장치(60)가 가령 BD 재생기인 경우, BD에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신호 수신부(100)는 영상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눅스(Linux)와 같은 OS를 설치하는 경우, 익스플로러(Explorer), 웹브라우저(web browser), 동영상미디어 및 뷰 등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든, 외부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이용하는가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신호 수신부(100)는 영상 컨텐츠를 방송국으로 방송 신호의 형태로 제공받고, 이는 RF 신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영상 컨텐츠가 외부 서버나 별도의 재생기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에는 HDMI 신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HDMI 신호는 해상도를 조정하는 스케일링 동작만 수행한다는 점에서 디코딩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RF 신호와 차이가 있다.
이에 신호 수신부(100)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튜너와 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는 수신된 방송 신호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수신하고, 복조부는 변조되어 제공된 방송 신호를 원 신호의 형태로 복원하는 것이다. 한편, 신호 수신부(100)는 방송 신호 이외의 영상 컨텐츠를 가령 HDMI 신호의 형태로 수신하는 경우, HDMI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0)는 영상 컨텐츠를 처리하고, 나아가 애플리케이션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부(110)는 신호 분리부(111), 오디오 처리부(113) 및 비디오 처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분리부(111)는 가령 입력된 영상 컨텐츠가 방송신호인 경우, 해당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부가 정보로 분리한다. 이때, 분리된 부가 정보를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정보는 특정 비디오 신호를 실행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거나, 자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13)는 신호 분리부(111)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한 오디오 신호를 후처리 한다. 다시 말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13)는 도 2에와 같이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딩부(200) 및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후처리하는 오디오 스케일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15)는 신호 분리부(111)에서 분리되어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비디오 처리부(115)는 수신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한 비디오 신호의 해상도 조정 등 스케일링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비디오 처리부(115)는 도 2에서와 같이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딩부(220) 및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스케일링하는 비디오 스케일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가령 사용자로부터 UI(User Interface) 그래픽을 표시하기 위한 명령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UI 그래픽을 비디오 신호와 혼합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비디오 처리부(115)는 GUI 생성부(240) 및 비디오 스케일러(230)의 후단에 배치되는 믹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I 그래픽은 영상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설정(또는 등록)하기 위한 부가 화면이다.
또한 비디오 처리부(115)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디오 처리부(115)는 동작상태 감지부(150)와 연동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비디오 처리부(115)는 처리되는 비디오 신호가 없다고 판단되면, 이를 동작상태 감지부(150)로 통지할 수 있다. 물론, 비디오 처리부(115)의 프로세서가 동작상태 감지부(150)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20)로 해당 상태가 직접 통지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20)는 셋탑 박스, TV 또는 BD 재생기와 같은 영상처리장치(90)를 구성하는 신호 수신부(100), 신호 처리부(110) 등과 같은 내부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영상 컨텐츠로서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호 분리부(111)에서 분리된 부가 정보를 주 메모리(130) 또는 보조 메모리 1(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보조 메모리 1(140)에 저장된 부가 정보를 불러내어 비디오 처리부(115)에 제공하여 디코딩 및 스케일링이 완료된 비디오 신호와 결합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주 메모리(13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보조 메모리 1(140) 또는 보조 메모리 2(160)에 로딩(또는 할당)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가령 HDMA와 같은 동작상태 감지부(150)로부터 감시 결과를 제공받아 비디오 처리부(115)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 즉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가령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설정한 설정정보에 근거해 보조 메모리 2(160)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로딩 및 저장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화면에 표시된 UI 그래픽을 통해 설정정보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및 유형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이 있는 경우, 설정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보조 메모리 2(160)에 로딩 및 저장하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설정이 없다고 판단되면, 보조 메모리 1(1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익스플로러에 관계되는 것인지, 웹브라우저에 관련되는지 등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유형 정보는 속성의 여러 종류를 의미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세부적인 정보, 가령 프로세스(process)나 스레드(thread)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는 동작상태 감지부(150)로부터 감지 결과를 제공받아 비디오 처리부(115)가 재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 메모리(13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근거로 보조 메모리 2(16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처리 데이터를 백업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백업이 이루어지지만, 그렇지 않다면 보조 메모리 2(16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백업시에 보조 메모리 1(140)의 저장 공간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하드디스크와 같은 주 메모리(130)에 저장된 우선순위 정보를 근거로 우선순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부터 먼저 백업시키고 후순위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백업시킬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백업이 어려운 후 순위의 데이터는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정보는 주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제어부(120)의 시스템 메모리 범주에 포함되는 보조 메모리 1(140)에 저장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리모컨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170)가 제공하는 사용자 명령 관련 신호에 따라 영상처리장치(9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주 메모리(130)는 리눅스와 같은 OS를 포함한 제어부(120)의 전용 메모리로서 동작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주 메모리(130)는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메모리로서, OS 프로그램이나 관련 프로그램, 나아가 웹브라우저 및 익스플로러 등과 같은 특정 동작을 수행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주 메모리(130)는 신호 분리부(111)에서 분리된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UI 그래픽을 통해 설정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설정정보는 속성정보, 유형정보, 백업여부 정보, 우선순위 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메모리 1(140)은 제어부(120)의 전용 메모리의 범주에 포함된다. 다만, 주 메모리(130)와 비교해 볼 때, 보조 메모리 1(140)은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쉬 메모리에 해당된다. 보조 메모리 1(140)은 가령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웹브라우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웹브라우저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주 메모리(130)로부터 보조 메모리 1(140)로 로딩 및 저장할 수 있다. 다만,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보조 메모리 1(140)로 저장될 수 있는 경우는 동작상태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 비디오 처리부(115)가 동작상태에 있을 때이다. 또는 비디오 처리부(115)가 동작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보조 메모리 2(160)로 로딩 및 저장하겠다는 설정 정보가 없는 경우이다. 그 이외에 보조 메모리 1(140)은 제어부(120)에서 처리하는 다양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상태 감지부(150)는 가령 HDMA와 같은 메모리 할당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상태 감지부(150)는 감지를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을 내부에 저장하고 이를 실행시켜 비디오 처리부(115)와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상태 감지부(150)는 비디오 처리부(115)에서 처리되는 영상 신호 즉 영상 컨텐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는 가령 비디오 처리부(115)의 프로세서에서 알려줌으로써 판단할 수 있는데, 이의 과정에서 감지 결과를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보조 메모리 2(160)의 할당, 즉 사용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보조 메모리 2(160)는 신호 처리부(110), 더 정확하게는 비디오 처리부(115)의 동작 또는 동작상태 감지부(150)의 온 동작시에는 비디오 처리부(115)의 전용 메모리로 사용된다. 따라서, 보조 메모리 2(160)는 비디오 처리부(115)에서 처리되는 비디오 신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비디오 처리부(115)에서 처리되는 비디오 신호가 없다고 판단되면, 보조 메모리 2(160)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사용자가 요청한, 가령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에 관련된 처리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영상 컨텐츠 또는 관련 데이터는 사용자의 설정정보에 따라 저장될 수 있는데, 가령 중요도가 낮은 컨텐츠 또는 데이터가 저장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 처리부(115)가 재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가령 보조 메모리 2(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중요도가 있는 일부 애플리케이션 또는 관련 데이터만 백업을 함으로써 장치의 재동작에 필요한 복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리모컨 수신부(170)는 리모컨과의 통신을 수행하고,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 이를 제어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오디오 처리부(113)에서 후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일 수 있으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15)에서 신호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일 수 있으며, 비디오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동작상태 감지부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상태 감지부(150)는 도 3의 (a)에서와 같이, 도 1의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오프 상태일 때 보조 메모리 2(160)가 비디오 처리부(115)의 전용 메모리로 사용된다. 또한 도 3의 (b)에서와 같이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온 상태일 때, 보조 메모리 1(140) 및 보조 메모리 2(160)는 모두 OS를 실행하는 제어부(120)의 메모리로 사용될 수 있다.
좀더 살펴보면, 도 3의 (b)에서 제어부(120)가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비디오 처리부(115)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만큼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오프되면, 다시 도 3의 (a)와 같은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는데, 제어부(120)에서 사용가능한 메모리가 비디오 처리부(115)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만큼 다시 줄어들게 된다.
이때,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온 상태에서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들 중에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메모리는 가령 동작상태 감지부(150)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이를 배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메모리 2(160)와 같은 전용 메모리가 장치의 내부에 복수 개 구비하는 경우, 가령 디코더나 GPU에 각각 메모리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메모리 중 일부 메모리만을 할당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메모리 2(16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관련 데이터를 계속 유지해야 하는 경우, 보조 메모리 2(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부(120)가 보조 메모리 1(140)에 백업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제어부(120)에서 사용가능한 전체 메모리가 크거나, 동작상태 감지부(150)의 온 상태에서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들이 많고, 이 메모리들이 지속적으로 관리 및 유지되어야 할 경우, 동작상태 감지부(150)의 오프시 보조 메모리 2(160)에서 보조 메모리 1(140)로 백업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특히, 보조 메모리 1(140)에 여유 메모리 즉 공간이 없을 경우, 페이지 스왑핑(swapping) 등으로 여유 메모리를 확보하기 위한 작업도 동작상태 감지부(150) 즉 HDMA의 오프 시간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작상태 감지부(150)의 온 상태에서, 사전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process)나 스레드(thread)에서 할당하는 메모리들만 보조 메모리 2(160)에 할당하고,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나 스레드에서 할당하는 메모리들은 보조 메모리 1(140)에 할당함으로써 동작상태 감지부(150)의 오프시 백업을 수행할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장치의 복귀 시간이 줄어든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90)는 입력된 영상 컨텐츠를 신호 처리부(110)에서 처리하고, 처리한 영상 컨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공한다(S400). 이의 과정에서, 영상처리장치(90)는 영상 컨텐츠를 실행(또는 처리)하는 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는 초기 OS 설치시, OS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익스플로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는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방송신호이거나,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타 영상신호일 수 있다.
이어 영상처리장치(90)는 영상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410). 여기서, 설정정보는 보조 메모리 1(140)에 저장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설정정보는 앞서 언급한 웹브라우저를 동작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속성정보, 속성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유형정보, 백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우선순위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장치(90)는 신호 처리부(11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한다(S420). 도 1에서는 비디오 처리부(115)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호 처리부(110)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능 블록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블록은 그래픽 처리부(GPU) 등의 다양한 블록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기능 블록은 보조 메모리 2(160)와 같은 전용 메모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영상처리장치(90)는 감지한 결과, 신호 처리부(110)의 동작시, 가령 사용자의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주 메모리(13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보조 메모리 1(140)로 로딩 및 저장한다(S430). 물론 신호 처리부(11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라도 설정정보가 없다면 보조 메모리 1(140)로 로딩 및 저장될 수 있다.
이어 영상처리장치(90)는 신호 처리부(110)의 동작시 신호 처리된 영상 컨텐츠를 임시 저장하고, 신호 처리부(110)의 미동작시, 주 메모리(13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보조 메모리 2(160)로 로딩 및 저장한다(S440). 이때, 보조 메모리 2(160)로 로딩 및 저장은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장치(90)는 감지한 결과, 신호 처리부(11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설정정보에 근거해, 주 메모리(13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보조 메모리 2(160)로 로딩 및 저장하고,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450).
리눅스와 같은 OS를 예로 들면, 웹브라우저 등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누가 하드웨어 전용 메모리를 사용할지, 사전에 협의 되어야하고, 부팅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는 등록되어야 한다. 등록하는 인터페이스는 OS를 통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리눅스 커널의 시스템 콜, 가령 ioctl나 /proc와 같은 시스템 콜을 이용해서 각 애플리케이션들이 등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모리 할당을 위해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는 OS에서 제공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전에 등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OS는 사전에 등록된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와 등록되지 않은 것들과 분리하여 다르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등록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UI 그래픽을 통해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HDMA와 같은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온된 상태에서 특정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메모리 할당을 요청하면, OS는 해당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사전에 등록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사전에 등록된 것이라며, 보조 메모리 2(160)에 할당해 준다. 사전에 등록된 것이 아니라면, 보조 메모리 1(140)에 할당해 준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나중에 HDMA의 오프 수행시 백업해야 할 대상 즉 데이터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HDMA 오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영상처리장치(90)는 이후에도 신호 처리부(110)가 재동작, 즉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오프 상태가 될 때, 보조 메모리 2(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보조 메모리 1(140)로 백업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이후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90)는 가령 HDMA로서 동작하는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500). 이는 가령 동작상태 감지부(150)에서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감시 결과에 따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감시 결과는 온 상태인 경우 2진수 '1'을 제공할 수 있고, 오프 상태인 경우 '0'을 제공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오프 상태이면, 현 상태 즉 신호 처리 상태를 유지하겠지만, 온 상태인 경우, 영상처리장치(90)는 메모리의 할당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510). 즉 도 1에서 보조 메모리 2(160)의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메모리의 할당 요청은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정보에 근거해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속성정보란 애플리케이션이 익스플로러에 관련되는지, 웹브라우저에 관련되는지, 동영상미디어에 관련되는지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만약 할당 요청이 없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즉 사전에 등록된 속성정보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면 영상처리장치(9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를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할당 요청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즉 사전에 등록된 속성정보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영상처리장치(9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설정한 유형정보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인지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S520).
추가적인 판단 결과, 사전에 등록된 유형, 가령 프로세스나 스레드의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 영상처리장치(9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데이터를 도 3의 ⓐ 영역, 즉 메모리 1(130)에만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다(S530).
그러나, 사전에 등록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영상처리장치(9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데이터를 도 3의 ⓑ 영역, 즉 메모리 2(150)에 할당하여 저장하게 된다(S540).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S600에서 S640까지의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S500에서 S540의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은 영상처리장치(90)가 보조 메모리 2(160)에 할당 및 저장한 이후에, HDMA 등의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다시 오프 상태가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650). 이는 다시 말해, 도 1의 신호 처리부(110)에서 신호 처리되는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만약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처리장치(90)는 보조 메모리 2(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조건적으로 삭제하거나, 보조 메모리 1(14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근거로 삭제하거나, 일부 데이터를 보조 메모리 1(140)로 백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처리장치(90)는 가급적 중요도가 낮은 데이터를 보조 메모리 2(160)에 할당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일부 데이터를 보조 메모리 1(140)에 백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경우, 영상처리장치(90)는 주 메모리(130) 또는 보조 메모리 1(14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근거로 백업이 필요한 데이터로 판단될 때, 백업을 수행하며, 백업시 보조 메모리 1(140)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추가로 설정정보로서 우선순위 정보를 근거로 중요도가 있는 데이터를 먼저 백업할 수 있다. 가령 우선순위에 근거하더라도 후순위의 데이터 중 더 이상 백업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데이터는 삭제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7의 영상처리방법은 도 1에서 볼 때, 동작상태 감지부(150)가 제어부(120)에 통합되어 구성되어 구동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무엇보다 제어부(120)의 관점에서 기술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90), 더 정확하게는 제어부(120)는 임의의 영상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는지 판단한다(S700). 가령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실행하는지 동영상미디어를 실행하는지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판단 결과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영상처리장치(90)는 영상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여, 가령 디코딩 및 스케일링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11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S710).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10)로부터 현재 동작 중이라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이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이어 영상처리장치(90)는 동작 상태의 판단 결과, 동작하지 않는 경우, 도 1의 주 메모리(130) 또는 보조 메모리 1(14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정보를 근거로, 주 메모리(13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신호 처리부(110)에 연결되어 전용으로 사용되는 보조 메모리, 즉 보조 메모리 2(160)로 로딩 및 저장하게 된다(S720).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120)는 다양한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앞서 도 4 내지 도 6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 있지만, 설정 정보가 없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보조 메모리 1(140)로 로딩 및 저장할 수 있고, 보조 메모리 2(160)에 저장된 후, 해당 애플리케이션 또는 관련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백업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신호 수신부 110: 신호 처리부
111: 신호 분리부 113: 오디오 처리부
115: 비디오 처리부 120: 제어부
130: 주 메모리 140: 보조 메모리 1
150: 동작상태 감지부 160: 보조 메모리 2
170: 리모컨 수신부 180: 오디오 출력부
190: 비디오 출력부 200: 오디오 디코딩부
210: 오디오 스케일러 220: 비디오 디코딩부
230: 비디오 스케일러 240: GUI 생성부

Claims (25)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주 메모리;
    제1 보조 메모리;
    제2 보조 메모리; 및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가 미동작 상태일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 및 상기 제2 보조 메모리 중 어느 하나로 로딩하여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 로딩된 동안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미동작 상태에서 동작 상태가 되면, 상기 로딩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결과에 근거해 상기 신호 처리부가 동작하지 않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로딩 하고,
    상기 설정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미동작 상태에서 상기 동작 상태가 되면,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 로딩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속성 정보 및 유형(type)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미동작 상태에서 상기 동작 상태가 되면, 상기 유형 정보를 근거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backu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근거해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실행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동작인 프로세스(process) 및 스레드(thr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설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그래픽을 생성하는 GUI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UI 그래픽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 및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0.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가 미동작 상태일 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 및 상기 제2 보조 메모리 중 어느 하나로 로딩하여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 로딩된 동안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미동작 상태에서 동작 상태가 되면, 상기 로딩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여 신호 처리하고, 상기 디코딩한 영상 신호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한 결과에 근거해 상기 신호 처리부가 동작하지 않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로딩하고,
    상기 설정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주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미동작 상태에서 동작 상태가 되면,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 로딩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속성 정보 및 유형(type)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미동작 상태에서 동작 상태가 되면, 상기 유형 정보를 근거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backu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근거해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실행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동작인 프로세스(process) 및 스레드(thr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설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그래픽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행시키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UI 그래픽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8.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영상 컨텐츠를 신호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부가 미동작 상태일 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 및 상기 제2 보조 메모리 중 어느 하나로 로딩하여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 로딩된 동안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미동작 상태에서 동작 상태가 되면, 상기 로딩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미동작 상태에서 동작 상태가 되면,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 로딩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1. 삭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메모리 및 상기 제2 보조 메모리 중 하나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로딩되는 것은 상기 설정 정보에 포함된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백업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유형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실행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동작인 프로세스(process) 및 스레드(thr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연동하는 상기 제1 보조 메모리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 정보를 근거로 백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5. 영상처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방법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부가 미동작 상태일 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보조 메모리 및 상기 제2 보조 메모리 중 어느 하나로 로딩하여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보조 메모리에 로딩된 동안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미동작 상태에서 동작 상태가 되면, 상기 로딩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보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보조 메모리로 백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40047400A 2014-04-21 2014-04-21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9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400A KR102193021B1 (ko) 2014-04-21 2014-04-21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4/591,446 US10074153B2 (en) 2014-04-21 2015-01-07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comprising main memory to store applic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400A KR102193021B1 (ko) 2014-04-21 2014-04-21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486A KR20150121486A (ko) 2015-10-29
KR102193021B1 true KR102193021B1 (ko) 2020-12-18

Family

ID=5432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400A KR102193021B1 (ko) 2014-04-21 2014-04-21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74153B2 (ko)
KR (1) KR102193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0621B1 (en) * 2020-07-21 2021-07-20 Cisco Technology, Inc. Reuse of execution environments while guaranteeing isolation in serverless computing
CN114063887A (zh) * 2020-07-31 2022-02-18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写入及读取方法、处理器芯片、存储介质和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217B1 (ko) * 1997-12-12 2000-04-15 구자홍 디지탈 위성방송 및 지상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탈 수상기 및그의 제어방법
JP2009200722A (ja) * 2008-02-20 2009-09-03 Nec Corp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バックアップデータ読み込みプログラム
KR100950491B1 (ko) * 2006-08-03 201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 이를 갖는 네트워크프린터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0806B1 (en) * 2001-10-31 2006-10-1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setting a power operating mode transition interval of a disk drive in a mobile device based on application category
US8660545B1 (en) * 2010-01-06 2014-02-25 ILook Corporation Responding to a video request by displaying information on a TV remote and video on the TV
US9032194B2 (en) * 2010-12-06 2015-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ast computer startup
US20120324481A1 (en) * 2011-06-16 201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termination and pre-launching policy for improving application startup time
WO2014108743A1 (en) * 2013-01-09 2014-07-1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cpu cache memory for non-cpu related tas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217B1 (ko) * 1997-12-12 2000-04-15 구자홍 디지탈 위성방송 및 지상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탈 수상기 및그의 제어방법
KR100950491B1 (ko) * 2006-08-03 201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 이를 갖는 네트워크프린터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JP2009200722A (ja) * 2008-02-20 2009-09-03 Nec Corp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バックアップデータ読み込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02547A1 (en) 2015-10-22
US10074153B2 (en) 2018-09-11
KR20150121486A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4317B2 (ja) メディア装置インターフェース機能の拡張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87867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060200573A1 (en) Multimedia Computer System and Method
US20120169931A1 (en) Presenting customized boot logo on tv display
JP2006277472A (ja) 情報処理装置
US20090086030A1 (en) Camera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341391B2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performing a first booting mode in which only some booting operations of a second booting mode are performed
KR20140140720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3021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0613874B2 (en) Application execution apparatus an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US919793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979774B (zh) 一种终端开机方法、终端以及存储介质
JP5984500B2 (ja) 情報処理装置、放送受信装置及びソフトウェア起動方法
JP2007052764A (ja) デュアルプロセッサを具えたマルチメディア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とそのマルチメディアインスタントプレイ方法
US10417998B2 (en) Application execution apparatus an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US10417008B2 (en) Application execution apparatus an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KR20070061612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838617B2 (en) Smart device detection for display devices
JP2008104131A (ja) 情報処理装置、映像表示方法およびos実行方法
US2017002667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1952889A (zh) 多媒体电脑系统及快速启始该系统播放多媒体数据的方法
CN111466118B (zh) 包括处理功能性的外部模块
CN111819859B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901224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872387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