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154B1 -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 Google Patents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154B1
KR102192154B1 KR1020190125252A KR20190125252A KR102192154B1 KR 102192154 B1 KR102192154 B1 KR 102192154B1 KR 1020190125252 A KR1020190125252 A KR 1020190125252A KR 20190125252 A KR20190125252 A KR 20190125252A KR 102192154 B1 KR102192154 B1 KR 10219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eadlining
housing
fusion
sunroof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2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31Roof or head liners specially adapted for roofs with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착제가 도포된 헤드라이닝의 개구부 테두리측에 하면이 압착됨으로써 상기 헤드라이닝에 부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일체형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으로서,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좌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좌면부의 상면에는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융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융착부에는 상면에 자석이 부착되어 고정된 하우징이 끼워지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융착부의 융착에 의해 상기 좌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좌면부에 고정되는 자석을 통해 선루프시스템의 스틸부에 자력으로 마운팅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가압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편의성 및 공정성이 증대되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Sunroof opening bracket}
본 발명은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면부에 고정되는 자석을 통해 선루프시스템의 스틸부에 자력으로 마운팅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가압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편의성 및 공정성이 증대되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지붕 즉, 루프는 차량의 상부 외관을 이루는 루프패널과, 루프패널의 내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천장을 이루는 헤드라이닝(헤드라이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근에는 차량 내부의 환기, 채광 및 실내 개방감 등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루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선루프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이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선루프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 차량의 실내와 차량의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차량의 루프패널과 헤드라이닝에 개구부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개구부는 특히 헤드라이닝의 강성 저하를 유발하게 되므로 이를 적절하게 보강하기 위한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이 헤드라이닝에 부착될 수 있다.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통상 스틸 재질로 제작되고, 헤드라이닝에 마련된 개구부 테두리측에 부착되어 헤드라이닝의 개구부 주위를 보강하며, 차량의 루프패널측에 장착됨으로써 헤드라이닝이 루프패널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차량의 연비 개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최근 차량 경량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스틸에서 플라스틱으로의 재질 변경을 통해 중량 절감을 이루고자 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069962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헤드라이닝의 선루프 개구부 주연 상면에 경질 합성수지 재질의 띠판형으로 형성된 전부 스티프너, 후부 스티프너 및 좌우 한쌍의 측부 스티프너가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으로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브라켓에는 벨크로가 부착되고, 브라켓의 벨크로는 루프측에 마련된 벨크로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헤드라이닝이 루프측에 장착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헤드라이닝에 적용되어 벨크로를 이용해 루프패널측에 장착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별도로 가압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공정 상의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별도의 전부 스티프너, 후부 스티프너 및 좌우 한쌍의 측부 스티프너로 이루어져 각 스티프너의 이음부측이 충격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별도의 전부 스티프너, 후부 스티프너 및 좌우 한쌍의 측부 스티프너로 이루어져 제작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JP 2018-069962 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좌면부에 고정되는 자석을 통해 선루프시스템의 스틸부에 자력으로 마운팅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가압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편의성 및 공정성이 증대되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접착제가 도포된 헤드라이닝의 개구부 테두리측에 하면이 압착됨으로써 상기 헤드라이닝에 부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일체형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으로서,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좌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좌면부의 상면에는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융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융착부에는 상면에 자석이 부착되어 고정된 하우징이 끼워지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융착부의 융착에 의해 상기 좌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융착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융착부가 융착될 경우, 상기 융착부의 상단부는 상기 융착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는 하우징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의 중앙에는 자석홀이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홀의 직경을 초과하고, 상기 자석홀의 직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융착부가 융착되기 전, 상기 융착부에는 별도의 소음방지부재가 더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부재는 상기 좌면부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부재는 EPDM(E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좌면부에 고정되는 자석을 통해 선루프시스템의 스틸부에 자력으로 마운팅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가압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편의성 및 공정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하우징, 자석 및 소음방지부재 등 필요에 따라 여러 구성을 좌면부에 일체화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플라스틱 재질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제작 및 헤드라이닝에 대한 부착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플라스틱 재질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별도로 분할된 브라켓보다 내충격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이 부착되는 헤드라이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이 헤드라이닝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융착부가 융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의 융착부의 융착 전(a) 및 융착 후(b)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상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상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이 부착되는 헤드라이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이 헤드라이닝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융착부가 융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의 융착부의 융착 전(a) 및 융착 후(b)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은, 접착제(10a)가 도포된 헤드라이닝(10)의 개구부(15) 테두리측에 하면이 압착됨으로써 헤드라이닝(10)에 부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일체형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100)으로서, 브라켓(100)의 상면에는 좌면부(1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좌면부(130)의 상면에는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융착부(134)가 마련되며, 융착부(134)에는 상면에 자석(138)이 부착되어 고정된 하우징(136)이 끼워지되, 하우징(136)은 융착부(134)의 융착에 의해 좌면부(130)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헤드라이닝(10)은 차량의 상부 외관을 이루는 루프패널(미도시)의 내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즉 실내의 천장을 이룬다.
이러한 헤드라이닝(10)은 일례로 부직포 등과 같은 원단(11)의 상면에 보드부(13)가 적층되어 부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헤드라이닝(10)은 교통사고 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두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차량 외부에 대한 실내의 단열 및 방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헤드라이닝(10)에는 차량에 탑재되는 선루프 시스템(미도시)을 위한 개구부(15)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부(1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헤드라이닝(10)의 전방 측에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개구부(15)측에서 원단(11)의 단부는 보드부(13)의 단부에 비해 더 길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접힘부(11a)를 이룬다.
접힘부(11a)는 개구부(15)의 전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도 1에서, 접힙부(11a)는 개구부(15)의 외측 방향으로 접혀져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실질적으로 접힙부(11a)는 후술할 브라켓(100)이 헤드라이닝(10)에 부착되기 전 상태일 경우, 개구부(15)의 내측을 향해 펼쳐져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부(11a)의 네 모서리측에는 절개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11b)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각 모서리마다 세 개의 절개부(11b)가 마련되어 있다.
절개부(11b)는 접힘부(11a)가 개구부(15)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원활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접힘부(11a)가 접힐 때 의도치 않은 부위가 찢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개구부(15)가 형성된 헤드라이닝(10)은 개구부(15)로 인해 강성이 저하되고, 특히 이러한 현상은 개구부(15) 주변부에서 나타나게 되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100)이 헤드라이닝(10)의 개구부(15) 테두리측에 부착되어진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헤드라이닝(10)의 개구부(15) 테두리측에 부착됨으로써 헤드라이닝(10)의 개구부(15) 테두리측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헤드라이닝(10)을 루프패널(미도시)측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브라켓(100)은 전체적으로 사각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에서 내측 테두리로 갈수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측 테두리에 가까워질수록 경사도가 더 커진다.
또한, 브라켓(100)은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더 큰 경사도를 가지게 형성된다.
브라켓(100)의 외측 테두리라 함은 브라켓(100)의 최하단부 테두리를 의미하고, 브라켓(100)의 내측 테두리라 함은 브라켓(100)의 최상단부 테두리를 의미한다.
브라켓(100)의 중앙에는 헤드라이닝(10)에 형성된 개구부(15)에 대응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사각형상의 중공부(100a)가 형성된다.
중공부(100a)에는 브라켓(100)과 헤드라이닝(10)의 부착 시, 헤드라이닝(10)의 접힘부(11a)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고, 중공부(100a)에 삽입된 접힘부(11a)는 개구부(15)의 외측 방향으로 접혀 브라켓(100)의 상단부를 마감하게 된다.
브라켓(100)은 기계 부품이나 구조재료 등 공업용 재료로 사용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됨으로써 별도로 분리 불가능하게 형성된다.
브라켓(100)의 상면에는 브라켓(100)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허니컴리브(110)가 일체로 형성된다.
허니컴리브(110)는 브라켓(100)의 둘레를 따라 브라켓(100)의 상면, 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00)의 외측 테두리와 후술할 경계리브(120) 사이의 브라켓(100) 상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브라켓(10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접착제(10a)가 도포된 헤드라이닝(10)의 개구부(15) 테두리측에 압착됨으로써 헤드라이닝(10)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라이닝(10)에 도포되는 접착제(10a)는 고온의 흐름성이 있는 핫멜트(hot melt)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접착제(10a)는 헤드라이닝(10)의 개구부(15)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1열 이상이 개구부(15)에 인접한 헤드라이닝(10)의 상면에 도포되며, 브라켓(100)은 헤드라이닝(10)의 상면에서 접착제(10a)가 도포된 부위에 하면이 맞닿은 채 압착되는 것이다.
이때, 접착제(10a)는 브라켓(100)의 하면과 헤드라이닝(10)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 채 브라켓(100)의 하면과 헤드라이닝(10)의 상면 간의 압착에 의해 유동하게 되어 브라켓(100)의 하면과 헤드라이닝(10)의 상면 사이에서 퍼진 채 경화되는 동시에 후술할 유입홈(160)의 안내에 따라 후술할 빠짐홀(150)을 통과하여 브라켓(100)의 상면 상에 배치된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브라켓(100)과 헤드라이닝(10)이 부착되도록 한다.
브라켓(10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부(101)와 측벽부(103)를 포함한다.
플랜지부(101)는 브라켓(100)의 외측부를 이루고, 측벽부(103)는 브라켓(100)의 내측부를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01)와 측벽부(103)는 브라켓(100)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고리 형상으로 마련된 경계리브(120)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되어진다.
플랜지부(101)의 외측 테두리는 실질적으로 브라켓(100)의 외측 테두리와 동일하고, 측벽부(103)의 내측 테두리는 실질적으로 브라켓(100)의 내측 테두리와 동일한 것이다.
전술했던 복수 개의 허니컴리브(110)는 측벽부(103)에 형성되지 않고, 플랜지부(101)의 상면에만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측벽부(103)의 상면(외주면)에 허니컴리브(110)가 형성될 경우, 돌출된 허니컴리브(110)로 인해 측벽부(103)에 부착되는 원단(11)의 접힘부(11a)가 측벽부(103)의 상면(외주면)에 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됨으로써 측벽부(103)와 접힘부(11a) 간의 부착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플랜지부(101)와 측벽부(103)는 브라켓(100)이 부착되는 헤드라이닝(10)의 부착부위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플랜지부(101)는 측벽부(103)에 비해 완만한 경사를 갖는다.
측벽부(103)는 플랜지부(101)의 내주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플랜지부(101)에 대해 상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측벽부(103)의 상단에는 중공부(100a)의 중심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05)가 형성된다.
돌출부(105)는 헤드라이닝(10)과 브라켓(100)이 압착되기 전에 개구부(15)측 보드부(13) 상단면에 하면이 맞닿도록 올려짐으로써 브라켓(100)이 헤드라이닝(10)의 정위치에 배치된 채 압착될 수 있도록 하며, 개구부(15)측 원단(11)의 단부에 마련된 접힘부(11a)는 헤드라이닝(10)과 브라켓(100)이 압착된 후에 돌출부(105)의 상면측으로 접혀 돌출부(105)를 감싸게 됨으로써 개구부(15)의 상단 테두리가 마감된다.
이때, 돌출부(105)의 상면 및 측벽부(103)의 상면(외주면)은 마주하는 접힘부(11a)의 하면(접힘부가 개구부의 외측으로 접힌 상태에서의 하면)과 본드에 의해 서로 부착되거나 별도의 본드없이 초음파 융착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00)의 상면에는 좌면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좌면부(130)는 브라켓(100)의 상면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판상 부분으로서, 브라켓(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브라켓(100)의 상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면부(130)는 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네 둘레면이 각각 브라켓(100)의 상면, 서로 마주보는 두 지지벽(131)의 상단 및 두 지지벽(131)의 각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벽(133)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두 지지벽(131)은 역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벽(133)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두 지지벽(131)과 연결벽(133)에 의해 좌면부(130)의 하부에는 공간(130a)이 마련된다.
복수 개의 좌면부(130)에는 각각 상측으로 돌출된 융착부(134)가 마련된다.
융착부(134)는 하우징(136), 자석(138) 및 소음방지부재(139)를 조립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면부(130)의 상면 중앙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융착되기 전에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융착부(134)에는 하우징(136)이 끼워진다.
하우징(136)은 후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하우징홀(136a)이 형성된다.
하우징(136)의 상기 수용공간에는 하우징홀(136a)보다 큰 직경의 자석홀(138a)을 갖고, 루프패널(미도시)측의 선루프시스템(미도시) 스틸부에 자력으로 마운팅되기 위한 자석(138)이 수용되어 하우징(136)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하우징(136)에 고정되며, 하우징(136)은 자석(138)을 파손을 방지하는 가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상호 고정된 하우징(136)과 자석(138)은 각각 하우징홀(136a) 및 자석홀(138a)을 통해 융착부(134)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끼워지고, 하우징(136)과 자석(138)이 끼워진 융착부(134)는 상단부가 별도의 융착장치(미도시)에 의해 가압되면서 융착되는 것이다.
융착장치(미도시)에 의해 융착된 융착부(134)의 상부는 융착부(13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34a)로 변형되고, 플랜지(134a)는 하우징(136)의 상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하우징(136) 및 자석(138)이 융착부(134) 및 좌면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36)의 상면을 가압하는 플랜지(134a)의 외경은 하우징홀(136a)의 직경을 초과하고, 자석홀(138a)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어 플랜지(134a)가 하우징(136)의 상면을 가압한 상태로 하우징(136)을 융착부(134)에 구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랜지(134a)의 상하 높이는 자석(138)의 상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플랜지(134a)의 상단이 자석(138)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선루프시스템(미도시)의 스틸부에 자석(138)이 자력에 의해 부착될 경우, 플랜지(134a)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융착부(134)에는 별도의 소음방지부재(139)가 더 끼워질 수 있다.
소음방지부재(139)는 융착부(134)에 끼워지기 위해 하우징홀(136a)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패드홀(139a)을 갖는 EPDM(E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음방지부재(139)는 융착부(134)가 융착되기 전에 융착부(134)에 끼워져 좌면부(130)의 상면과 하우징(136)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된다.
즉, 소음방지부재(139)는 하우징(136)과 자석(138)이 융착부(134)에 끼워지기 전에 먼저 끼워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융착되기 전인 원통 상태의 융착부(134)에 소음방지부재(139)가 가장 먼저 끼워지고, 이후 상면에 자석(138)이 부착된 하우징(136)이 융착부(134)에 끼워지며, 이후 융착장치(미도시)가 융착부(134)의 상단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 및 융착함으로써 융착부(134)의 상단부가 플랜지(134a)로 변형되어 플랜지(134a)에 의해 하우징(136), 자석(138) 및 소음방지부재(139)가 좌면부(130) 상에 구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음방지부재(139)는 좌면부(130)와 하우징(136) 간의 마찰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융착부(134)의 융착을 통해 좌면부(130)에 하우징(136)과 함께 고정된 자석(138)은 선루프시스템(미도시)의 스틸부에 근접할 경우 자력에 의해 자동으로 선루프시스템(미도시)의 스틸부에 부착되어 브라켓(100) 및 헤드라이닝(10)이 루프패널(미도시)측에 고정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작업자는 별도로 브라켓(100) 및 헤드라이닝(10)을 상측으로 세게 미는 등의 가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 및 공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좌면부(130)의 하면에는 십자형리브(141)가 일체로 형성된다.
십자형리브(141)는 좌면부(130)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130a) 내에 형성되어 좌면부(130)를 지지함으로써 좌면부(130)의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십자형리브(141)는 저면상으로 볼 때, 두 개의 직선 형상의 리브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해 '+' 형상을 갖는 형태로 리브로 이루어진다.
십자형리브(141)는 공간(130a)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즉, 세 개의 측벽인 두 지지벽(131) 및 연결벽(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십자형리브(141)는 공간(130a) 내에서 상단부 전체가 좌면부(13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두 개의 직선 형상 리브 중 하나의 양단이 두 지지벽(131)의 중앙부에 각각 일체로 직접 연결되고, 두 개의 직선 형상 리브 중 나머지 하나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벽(133) 및 브라켓(100)의 하면에 일체로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되어진다.
이때, 연결벽(133) 및 브라켓(100)에 연결되는 직선 형상 리브는 지지벽(131)과 동일한 역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 지지벽(131) 사이 중앙에 배치된다.
십자형리브(141)는 적어도 하나의 좌면부 하면에서 두 개의 평행한 직선 형상 리브를 하나의 직선 형상 리브가 수직으로 교차하여 두 개의 교차점이 마련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브라켓(100)에는 빠짐홀(150)이 형성된다.
빠짐홀(150)은 헤드라이닝(10)의 상면과 브라켓(100)의 하면 간의 압착에 의해 유동하는 접착제(10a)를 브라켓(100)의 상면 측으로 통과시켜 리벳 형태로 경화시키기 위한 원통 형상의 관통공으로서, 브라켓(10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브라켓(100)에 형성된다.
빠짐홀(150)은 브라켓(100)의 상하측 외부와 연통되고, 브라켓(100)의 둘레를 따라 브라켓(100)의 외측 테두리와 후술할 경계리브(120) 사이의 브라켓(100), 즉, 플랜지부(101)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빠짐홀(150)은 각각에 대응하는 후술할 유입홈(160)과 후술할 유출홈(170)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빠짐홀(150)은 허니컴리브(110)와 마찬가지로 측벽부(103)에 형성되지 않고, 플랜지부(101)에만 형성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측벽부(103)에 빠짐홀(150)이 형성될 경우, 측벽부(103)의 빠짐홀(150)을 통과하여 경화되는 접착제(10a)로 인해 측벽부(103)에 부착되는 원단(11)의 접힘부(11a)가 측벽부(103)의 상면(외주면)에 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됨으로써 측벽부(103)와 접힘부(11a) 간의 부착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빠짐홀(150)에는 헤드라이닝(10)과 브라켓(100)의 압착에 의해 헤드라이닝(10)의 상면과 브라켓(100)의 하면 사이를 유동하는 접착제(10a)가 후술할 유입홈(160)의 안내에 의해 유입되고, 빠짐홀(150)에 유입된 접착제(10a)는 후술할 유출홈(170)의 안내에 따라 브라켓(100)의 플랜지부(101) 상면 상으로 안내되어 경화됨으로써 리벳의 형태를 가지게 되어 헤드라이닝(10)과 브라켓(100)이 서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00)의 하면에는 유입홈(160)이 형성된다.
유입홈(160)은 브라켓(100)의 하면과 헤드라이닝(10)의 상면 간의 압착에 의해 유동하는 고온의 흐름성이 있는 접착제(10a)를 빠짐홀(150)로 안내하기 위해 브라켓(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빠짐홀(150)을 향한 접착제(10a)의 흐름성을 높여준다.
유입홈(160)은 브라켓(100)의 하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각각의 상단이 대응하는 각각의 빠짐홀(150)의 하단에 연통되며, 빠짐홀(150)과 동일한 중심을 가진다.
유입홈(160)은 상단 테두리가 빠짐홀(150)의 하단 테두리에 일치하고, 하단 테두리가 빠짐홀(150)의 하단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홈(160)은 상단이 빠짐홀(150)의 하단 직경과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빠짐홀(150)의 하단 직경보다 큰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어 내부에 상협하광의 테이퍼 형태로 경사진 유입면(161)이 마련된다.
즉, 유입홈(160)은 전체적으로 원뿔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유입면(161)의 하단은 브라켓(100)의 하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유입면(161)의 상단은 빠짐홀(150)의 내주면 하단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브라켓(100) 하면과 헤드라이닝(10) 상면 간의 압착에 의해 유동하는 접착제(10a)는 유입홈(160)의 입구인 유입홈(160) 하단측으로 유입되어 유입면(161)의 경사를 타고 유입홈(160)의 출구인 유입홈(160) 상단측을 통해 빠짐홀(150)의 내부로 안내됨으로써 빠짐홀(150)로의 흐름성이 높아진다.
한편, 브라켓(100)의 상면에는 유출홈(170)이 형성된다.
유출홈(170)은 유입홈(160)에 의해 안내되어 빠짐홀(150)을 통과하는 고온의 흐름성이 있는 접착제(10a)를 브라켓(100)의 상면 상으로 안내하기 위해 브라켓(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빠짐홀(150)을 통과한 접착제(10a)의 빠짐홀(150)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흐름성을 높여준다.
유출홈(170)은 브라켓(100)의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각각의 하단이 대응하는 각각의 빠짐홀(150)의 상단에 연통되며, 빠짐홀(150) 및 유입홈(160)과 동일한 중심을 가진다.
유출홈(170)은 하단 테두리가 빠짐홀(150)의 상단 테두리에 일치하고, 상단 테두리가 빠짐홀(150)의 상단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출홈(170)은 하단이 빠짐홀(150)의 상단 직경과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빠짐홀(150)의 상단 직경보다 큰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어 내부에 상광하협의 테이퍼 형태로 경사진 유출면(171)이 마련된다.
즉, 유출홈(170)은 유입홈(160)과 반대 형태의 원뿔대, 즉, 전체적으로 역원뿔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유출면(171)의 상단은 브라켓(100)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유출면(171)의 하단은 빠짐홀(150)의 내주면 상단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유입홈(160)의 안내에 의해 빠짐홀(150)로 유입된 접착제(10a)는 빠짐홀(150)을 통과하여 유출홈(170)의 입구인 유출홈(170)의 하단측으로 유입되어 유출면(171)의 경사를 타고 유출홈(170)의 출구인 유출홈(170)의 상단측을 통해 브라켓(100)의 상면으로 퍼지는 형태로 흐르게 됨으로써 브라켓(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리벳의 형태로 접착제(10a)가 경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브라켓(100) 상에서 경화된 접착제(10a)는 브라켓(100)에서 떨어지지 않게되고, 브라켓(100)과 헤드라이닝(10)이 보다 견고히 부착되어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브라켓(100)에는 안내유로(180)가 형성된다.
안내유로(180)는 브라켓(100)의 내측 테두리의 인접한 경사진 하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안내유로(180)는 브라켓(100)의 내주면인 측벽부(103)의 내주면 상부에 복수 개가 브라켓(100)의 내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진다.
안내유로(180)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측벽부(103)의 내주면에 대해 함몰된 안내유로(180) 내부의 오목면(181)을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브라켓(100)의 둘레를 따라 브라켓(100)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빠짐홀(150)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브라켓(100)에 형성된다
안내유로(180)의 상단면은 돌출부(105)의 하면에 의해 막혀 있다.
안내유로(180)는 측벽부(103)와 헤드라이닝(10) 사이에 개재된 접착제(10a)의 자중에 의한 하측으로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안내유로(180)의 하단부는 안내유로(180) 하측의 브라켓(100) 하면과 헤드라이닝(10) 상면 사이로 안내유로(180) 내의 접착제(10a)가 보다 쉽게 흐를 수 있도록 안내유로(180) 내부 오목면(181)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183)으로 형성된다.
즉, 안내유로(180)는 브라켓(100)과 헤드라이닝(10) 간의 압착 시, 측벽부(103)와 헤드라이닝(10) 사이에 개재된 접착제(10a)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접착제의 하측 방향 흐름성을 높여주어 접착제(10a)가 불필요하게 측벽부(103)의 상측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함으써 브라켓(100)과 헤드라이닝(10) 사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헤드라이닝 10a : 접착제
11 : 원단 11a : 접힘부
11b : 절개부 13 : 보드부
15 : 개구부 100 : 브라켓
100a : 중공부 101 : 플랜지부
103 : 측벽부 105 : 돌출부
110 : 허니컴리브 120 : 경계리브
130 : 좌면부 130a : 공간
131 : 지지벽 133 : 연결벽
134 : 융착부 134a : 플랜지
136 : 하우징 136a : 하우징홀
138 : 자석 138a : 자석홀
139 : 소음방지부재 139a : 패드홀
141 : 십자형리브 150 : 빠짐홀
160 : 유입홈 161 : 유입면
170 : 유출홈 171 : 유출면
180 : 안내유로 181 : 오목면
183 : 경사면

Claims (7)

  1. 접착제가 도포된 헤드라이닝의 개구부 테두리측에 하면이 압착됨으로써 상기 헤드라이닝에 부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일체형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으로서,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좌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좌면부의 상면에는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융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융착부에는 상면에 자석이 부착되어 고정된 하우징이 끼워지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융착부의 융착에 의해 상기 좌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융착부가 융착될 경우, 상기 융착부의 상단부는 상기 융착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는 하우징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의 중앙에는 자석홀이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홀의 직경을 초과하고, 상기 자석홀의 직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가 융착되기 전, 상기 융착부에는 별도의 소음방지부재가 더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부재는 상기 좌면부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부재는 EPDM(E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KR1020190125252A 2019-10-10 2019-10-10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KR10219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252A KR102192154B1 (ko) 2019-10-10 2019-10-10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252A KR102192154B1 (ko) 2019-10-10 2019-10-10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154B1 true KR102192154B1 (ko) 2020-12-16

Family

ID=7404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252A KR102192154B1 (ko) 2019-10-10 2019-10-10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1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420B1 (ko) * 2021-07-12 2021-11-05 주식회사 명성씨앤앰 치아 스트립 및 치아 스트립 제조방법
KR20220119882A (ko) 2021-02-22 2022-08-3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선루프용 오프닝 브래킷
KR102525565B1 (ko) * 2021-11-29 2023-04-25 (주)대한솔루션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에 장착되는 오프닝 브래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381A (ja) * 2005-03-31 2006-11-09 Toyoda Gosei Co Ltd 車両の外装材、同外装材を具備する車両の吸音構造、並びに同吸音構造の吸音周波数特性調整方法
JP2011073653A (ja) * 2009-10-02 2011-04-14 Kasai Kogyo Co Ltd 車両用内装部品の取付構造
KR20140047361A (ko) * 2012-10-12 2014-04-22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도어트림내 부품들의 융착구조
KR101446607B1 (ko) * 2013-06-21 2014-10-0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JP2018069962A (ja) 2016-10-31 2018-05-10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部材の組立構造および部材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381A (ja) * 2005-03-31 2006-11-09 Toyoda Gosei Co Ltd 車両の外装材、同外装材を具備する車両の吸音構造、並びに同吸音構造の吸音周波数特性調整方法
JP2011073653A (ja) * 2009-10-02 2011-04-14 Kasai Kogyo Co Ltd 車両用内装部品の取付構造
KR20140047361A (ko) * 2012-10-12 2014-04-22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도어트림내 부품들의 융착구조
KR101446607B1 (ko) * 2013-06-21 2014-10-0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JP2018069962A (ja) 2016-10-31 2018-05-10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部材の組立構造および部材の組立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882A (ko) 2021-02-22 2022-08-3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선루프용 오프닝 브래킷
KR102323420B1 (ko) * 2021-07-12 2021-11-05 주식회사 명성씨앤앰 치아 스트립 및 치아 스트립 제조방법
KR102525565B1 (ko) * 2021-11-29 2023-04-25 (주)대한솔루션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에 장착되는 오프닝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154B1 (ko)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US8801075B2 (en) Vehicle door trim
JP6494569B2 (ja) カメラユニット
WO2016035430A1 (ja) 車両下部構造
JP2004359230A (ja) 自動車用のフェンダーサポート
JP6843266B2 (ja) 車両バンパーアセンブリ
EP3520653B1 (en) Seat
CN102133850A (zh) 一件式覆盖元件
KR102285291B1 (ko)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US20110204608A1 (en) Energy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knee bolster cover
EP3590750B1 (en) A duct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 vehicle
JP6160580B2 (ja) 車両用レジスター固定構造
JP3121948B2 (ja) クリップ取付座
KR102222261B1 (ko)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JP2018058403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N211288004U (zh) 用于移动冰箱压缩机的安装系统和用于安装系统的脚垫
JP4550524B2 (ja) 自動車用トリム構造
JP5278877B2 (ja) ブラケット及び車両用内装材
JP3838555B2 (ja) 内装部品におけるアームレスト構造
JP2019093775A (ja) 自動車のルーフ構造
JP6215627B2 (ja) 車両用内部部材
JPWO2018220695A1 (ja) 車両用内装部材
CN107554439A (zh) 具有带侧面碰撞增强部的支撑结构的控制台组件
JP6514160B2 (ja) 車両用のヘルムホルツ型吸音構造
JP3891478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