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189B1 -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 Google Patents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189B1
KR102191189B1 KR1020190025169A KR20190025169A KR102191189B1 KR 102191189 B1 KR102191189 B1 KR 102191189B1 KR 1020190025169 A KR1020190025169 A KR 1020190025169A KR 20190025169 A KR20190025169 A KR 20190025169A KR 102191189 B1 KR102191189 B1 KR 10219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camping
body portion
ben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659A (ko
Inventor
박경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비스
Priority to KR102019002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18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5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6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방이 개구되고 하방의 하단면에 외기공이 다수 천공되는 숯불화로를 이루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저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숯이 안착되도록 하는 숯안착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 양측으로 활개되어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지지되도록 하는 다리부(300); 로 구성되어,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캠핑용 숯불화로(또는 캠핑용 난로캔)의 측면에는 외기의 공급이 가능한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하단부측에 외기의 공급이 가능한 외기공을 천공하여 내부의 열원이 연소되어 발생되는 재나, 불씨 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연소 효율성 및 이로인한 열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캠핑용 숯불화로 하단부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활개되어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부를 형성하되, 다리부의 고정 지지력을 높여 캠핑 지역의 특성상 평지가 고르지 못한 영역에서도 캠핑용 숯불화로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Disposable camping charcoal fire}
본 발명은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에 관한 것으로, 캠핑 등 야외에서 고기를 구워 즐기고자 할 때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숯불화로 저면으로 외기가 공급되는 구멍을 뚫고 측면에는 통상적으로 천공되는 외기 공급구멍이 뚫리지 않도록 하여, 기존과 같이 숯불화로 측면을 통하여 외부측으로 배출되는 불씨 등이 주변으로 불씨가 번져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방지하고, 숯불화로 저부면 양측으로부터 활개되는 다리부가 고르지 못한 캠핑장 지면의 조건에 구애됨 없이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불안정한 상태에서 숯불등이 연소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숯이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숯의 적재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과 주5일 근무 환경 등으로, 여가 활동의 패턴이 매우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주말 연휴 등을 이용하여 가족, 친구 등과 함께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급속한 증가로 이와 관련된 캠핑 장비들의 수요 급증 및 시장의 저변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장의 조건 성숙으로 인하여 캠핑 장비들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캠핑을 즐기기에 매우 유용한 수많은 새로운 캠핑 장비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캠핑을 즐기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중의 하나가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소지가 간편하여 캠핑시 요리를 하거나 모닥불을 피우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캠핑용 화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캠핑 화로 중 하나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95421호인, '중공 원통형의 다용도 조립식 화로'가 개시되어 있으나, 연료가 되는 차콜(charcoal)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고 복잡한 구성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77538호인 '차콜 컨테이너 기능을 구비한 캠핑 화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캠핑 화로의 구성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중공 원통체의 몸체 측벽이 일부 절개되어 내부로 굽혀지도록 하고, 다수의 굽힘돌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이루며, 몸체 내부의 지지부 상부에 수용되는 포장 차콜을 구성하고, 지지부 하측 부위에 몸체 원주면에 형성되는 화력조절부를 구성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의한 캠핑 화로는 원통형체를 구성하는 몸체를 이루고 상하부가 개구되고, 원주면의 몸체에 다수의 천공된 구멍이 형성되어 내부에 포장 차콜이 수용되어 연소되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몸체의 측면에 다수 천공된 구멍과 몸체 하단으로 개구된 부위측으로 외기가 공급되어 열원의 연소 효율성이 높도록 구성되고, 열원 연소 후 발생되는 연소재는 하방으로 낙하 처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구조 이외에,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캠핑용 난로캔 등이 개시되고 있는바 캔의 외측을 다수 천공하고 하단측에 재받이 등을 수용하는 예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수용된 숯 등의 열원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캠핑용 난로캔 측면으로 천공된 외기공을 통해 외부로 불씨가 남아 있는 재 등이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주변의 인화성 물질등에 화재를 일으키는 등 안전상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불씨가 남아있는 재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은 물론, 숯 등의 열원이 연소되어 캠핑용 캔 내부 하단으로 낙하되어 적재되는 재가 어느 정도 쌓여지게 되면 캠핑용 캔 측면으로 천공된 외기공을 통하여 재가 외부로 날리게 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95421호 (2013.08.09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77538호 (2015.12.16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캠핑용 숯불화로(또는 캠핑용 난로캔)의 측면에는 외기의 공급이 가능한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하단부측에 외기의 공급이 가능한 외기공을 천공하여 내부의 열원이 연소되어 발생되는 재나, 불씨 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핑용 숯불화로 내부에 열원인 숯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숯 등의 연소 후 발생되는 재가 측방향을 통해 캠핑용 숯불화로 내부 가장자리측으로 낙하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하여, 재로 인해 캠핑용 숯불화로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로가 방해받지 않음으로써 연소 효율성 및 이로인한 열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핑용 숯불화로 하단부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활개되어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부를 형성하되, 다리부의 고정 지지력을 높여 캠핑 지역의 특성상 평지가 고르지 못한 영역에서도 캠핑용 숯불화로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방이 개구되고 하방의 하단면에 외기공이 다수 천공되는 숯불화로를 이루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저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숯이 안착되도록 하는 숯안착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 양측으로 활개되어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지지되도록 하는 다리부(300);
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캠핑용 숯불화로(또는 캠핑용 난로캔)의 측면에는 외기의 공급이 가능한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하단부측에 외기의 공급이 가능한 외기공을 천공하여 내부의 열원이 연소되어 발생되는 재나, 불씨 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캠핑용 숯불화로 내부에 열원인 숯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숯 등의 연소 후 발생되는 재가 측방향을 통해 캠핑용 숯불화로 내부 가장자리측으로 낙하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하여, 재로 인해 캠핑용 숯불화로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로가 방해받지 않음으로써 연소 효율성 및 이로인한 열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캠핑용 숯불화로 하단부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활개되어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부를 형성하되, 다리부의 고정 지지력을 높여 캠핑 지역의 특성상 평지가 고르지 못한 영역에서도 캠핑용 숯불화로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숯안착부를 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숯안착부를 2개를 한 조로 하여 구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1의 몸체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몸체부의 저면부와 다리부간을 분리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부 내부에 본 발명의 숯안착부가 수용된 상태의 개괄적인 정단면도
도 7은 도 1의 본 발명에서 다리부의 활개된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를 채택한 상태에서의 도면
도 8은 도 7에 적용되는 간격유지부재의 일실시예도
도 9는 도 7에 적용되는 간격유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숯을 안착한 후 그릴망을 게재하게 되는 상태의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캠핑과 같은 야외 활동시 육류 또는 음식 조리 등을 위해 활용되는 숯불화로를 제시하며, 특히 숯 등을 열원으로 사용할 때 숯 연소시 발생되는 재가 주변으로 날리며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낙하되는 재가 숯의 연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활개되며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숯불화로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의 안정적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불규칙한 지면상태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듯이 숯불화로를 구성하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숯을 안착 지지하기 위한 숯안착부(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 양측에서 활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지면으로부터 몸체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에 숯 등의 열원이 수용되어 내부에서 연소되도록 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각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굳이 사각 형태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몸체부(100)의 상방은 개구되어 별도의 뚜겅 등에 의해 닫혀질 수 있도록 하여, 제조 후 판매에 의해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가지는 그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유통된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도면에서 보듯이 상방은 개구되고 하단은 막혀지는 형태를 취하되 그 하단면에는 다수의 외기공(110)이 천공되도록 하여, 숯의 연소시 연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외기가 내부로 유입 공급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몸체부(100)는 통상적으로 숯 등을 열원으로 채택할 때, 몸체부(100)의 측면을 관통하게 되는 외기공들이 천공되어 있음을 공지의 기술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기술에 의하여 제시되는 몸체부 즉, 측면에 외기공들이 천공되어 소비자들에게 공급되는 통상의 숯불화로 또는 숯불캔, 난로캔 등의 경우 지적된 것처럼 불씨가 남아 있는 재 등이 외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화재 발생 위험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몸체부(100)의 측면에는 기존과 같은 외기공들을 천공하지 않으며 이를 대체하여 몸체부(100)의 하단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외기공(110)들을 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기공(110)들이 몸체부(100)의 하단면에 천공되었을 때, 숯 등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재가 외기공(110)을 통하여 하부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 외기공(110)을 통하여 몸체부(100)의 내부측으로 외기가 원할히 공급되도록 하여야 하고, 숯의 연소 효율성이 높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숯안착부(200)를 채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숯안착부(200)는 숯이 몸체부(100)의 내부에 적재되도록 하는 것과, 연소시 몸체부(100)의 외기공(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에 의해 연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재가 몸체부(100)의 저면측에 다수 관통되는 외기공(110)측으로 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숯안착부(200)는 상부패널(210)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220)를 형성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자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절곡부(220)의 끝단부에서 다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21)를 형성하여 몸체부(100)의 일내측면과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패널(210)에 상기 몸체부(100)의 외기공(110) 위치를 회피하는 영역 범위내에서 다수의 구멍(211)이 천공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숯안착부(20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산(212)과 골(213)로 이루어지는 파형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파형체의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외기공(110) 위치를 회피하는 영역 범위내에서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211) 위치는 산(212) 또는 골(213) 중 선택되는 위치에 천공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다수의 구멍(211) 위치가 몸체부(100) 저면부에 천공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공(110)의 위치와는 상이하게 되므로, 숯안착부(200)에 안착된 숯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재는 외기공(110)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이 완전히 차단되고, 외기공(110)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는 구멍(211)을 통하여 숯에 공급되어 연소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불씨 등이 남아 있는 재의 외부 배출이 차단되므로써 외부에서 캠핑을 즐기는 과정에서 종전의 캠핑 난로캔과 같이 몸체의 측면으로 관통된 외기공을 통하여 불씨가 잔존하는 재의 외부 배출로 인한 화재 위험 발생 요소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숯안착부(200)는 몸체부(100)의 내부 저면에 하나로 구성되어 인입되기 보다는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2개의 숯안착부(200)를 한 조로 구성하여 내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조로 구성되어 몸체부(100)에 인입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숯안착부(200)간의 텐션 작용에 의해 숯안착부(200)의 절곡부(220) 단부측으로부터 몸체부(100) 저면과 접한 상태에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21)의 단부가, 몸체부(100)의 양내측면에 긴밀하게 접하게 되므로 숯안착부(200)의 좌우 유동성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숯안착부(200)의 수평연장부(221)측방향으로는 몸체부(100) 양내측면과 긴밀히 접하는 구성을 갖는데 반하여 수평연장부(221)와 직교되는 타방향측으로는 몸체부(100)의 내측면과 유격되는 이격공간(120)을 형성하게 된다.
이격공간(120)은 숯안착부(200)의 상부패널(210)에 안착되어 연소되는 숯의 재가 낙하될 수 있는 여유공간에 해당된다. 즉, 숯의 연소에 의해 일부의 재가 상부패널(210)의 구멍(211)을 통하여 몸체부(100)의 저면부측에 낙하되더라도 연소된 재의 상당량은 숯안착부(200)의 상부패널(210)에 잔존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잔전하는 일부의 재는 이격공간(120)을 통하여 몸체부(100)의 내측 주연부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숯안착부(200)에는 재가 어느정도 잔존하게 되지만 숯의 연소 효율성을 방해할 정도의 재는 남아있지 않게 되고, 상기 외기공(110)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숯안착부(200)의 구멍(211)과, 이격공간(120)을 통하여 연소되는 숯에 원할하게 공급되어 숯의 연소 효율성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이격공간(120)으로 인하여 숯안착부(200)가 수평연장부(22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는 유동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동 현상을 방지하여 숯안착부(200)가 몸체부(100)의 내측 사면에서 완전하게 밀착되어 유동성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수평연장부(221)와 직교되는 상부패널(210)의 타방향측 골(213)의 단부에 '⊂' 형태로 절개한 후 절곡하여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절곡연장부(2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절곡연장부(214)는 상기 이격공간(120)을 가로질러 몸체부(100)의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수평연장부(221)와 직교되는 방향에서 숯안착부(200)의 유동성을 억제하게 되므로, 결국 숯안착부(200)는 몸체부(100)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내벽면 사면에서 긴밀하게 접하며 유동성 없이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리부(300)는, 몸체부(100)의 하단 양측으로 활개되어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야외의 캠핑 지역은 일반적으로 지면이 균일하지 못한 경향이 강하고, 다리부(300)를 활개시켜 몸체부(100)를 지지할 때 그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예컨데 다리부(300)의 안정적 지지 상태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몸체부(100)가 엎어지는 등의 사고 발생시 내부의 높은 화력을 지닌 숯에 의한 화재 등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6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몸체부(100)의 저면에 결합공(131)이 형성되는 다리단부삽입부(130)를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하여 다리단부(310) 양단측이 삽입되어 회동 되는 다리부(300)를 상호 대향되며 좌우로 활개되도록 한 조로 구성하되, 상기 다리단부삽입부(130))와 인접되며 직교되는 위치에 다리단부(310)의 인접되는 부위가 다리부(300)의 활개에 의해 강제로 인입 고정지지되도록 표면에 절개삽입부(141)를 갖는 다리단부지지부(14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다리부(300)의 대향 활개 회동 후 다리단부(310)의 인접부위가 상기 다리단부지지부(140)의 절개삽입부(141)에 삽입되어 활개 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면 상태가 불규칙적이고 불균형적인 야외에서 캠핑을 즐길 때 본 발명의 다리부(300)에 의해 활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몸체부(100)를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다리부(300)의 고정 지지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리단부지지부(140)에 의해서만 고정 지지되는데 이러한 구조 이외에, 다리부(300)의 안정성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9 에서 보는바와 같이 다리부(300)와 다리부(300) 사이의 활개상태를 고정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400)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0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 형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바, 다리부(300)를 파지하기 위하여 원호형태를 취하는 파지구(410)를 양단에 형성하고 상기 파지구(410)와 일체로 연결되는 판재 형태의 판연결부재(420)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재(40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일예의 간격유지부재(400)의 경우에는 길이가 고정된 상태를 갖으나 도 @의 간격유지부재(400)는 스프링에 의한 텐션 작용을 부가하므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다리부(300)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며 지지할 수 있다.
예컨데 도 9에 의한 간격유지부재(400)는, 다리부(300)를 파지하기 위하여 원호형태를 취하는 파지구(410)로부터 연장되는 판연결부재(420)를 형성하고, 상기 판연결부재(420) 타단부측에는 수직선상으로 연결되어지되 외측면에 돌기(431)를 갖는 수직부재(430)를 갖는 구성을 상호 대향 시키고, 상기 대향되는 수직부재(430)의 돌기(431)와 돌기(431) 사이에 압축스프링(440)을 탄지하고, 상기 수직부재(430)들과 압축스프링(440)이 내합되되 상기 판연결부재(420)가 압축스프링(440의 탄지 및 탄발력에 의해 인입출되는 인입출구(451)를 갖는 하우징(450)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리부(300)와 다리부(300)간을 탄력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도 9에 의한 간격유지부재(400)의 경우, 다리부(300)와 다리부(300)간의 간격을 압축스프링(440)에 의해 탄지하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100)의 하단부에서 접혀져 있는 원봉형태의 다리부(300)를 상호 대향되게 활개시킨 다음, 다리부(300)와 다리부(300) 사이에 상기 간격유지부재(400) 이용하게 되면, 다리부(300)의 활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리부(300)의 안정적 활개 상태의 유지 효과는 캠핑 지역 지면의 고르지 못한 상황에서 더욱 효과적이며 안정감을 제공하며 몸체부(100)를 지지할 수 있어, 화재 위험이 있는 숯불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도 10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다리부(300)를 몸체부(100) 저면으로부터 활개 시킨 다음, 간격유지부재(400)를 이용하여 다리부(300)의 안정 상태를 유지한 후, 몸체부(100) 내부에 구비되는 숯안착부(200)에 숯을 놓고 연소시키며, 상기 몸체부(100) 상단부측에 그릴망(500) 등을 이용하여 거치한 후 고기 등을 구우며 안전하게 취식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숯의 연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몸체부(100) 저면에 천공된 외기공(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는 숯안착부(200)의 구멍(211)과 숯안착부(200)와 몸체부(100) 내벽면간 형성되는 일측의 이격공간(110)으로 이어지는 유로를 통하여 숯의 연소 효율성을 높이게 되고, 이어서 숯의 연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재는 숯안착부(20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채 상기 외기공(110)의 영역을 벗어난 범위에 천공되어 있는 숯안착부(200)의 구멍(211) 및 상기 이격공간(120)을 통하여 낙하되어 몸체부(100) 저면에 적재된다.
이와 같이 야외 활동이 주요한 캠핑 활동에서 숯 등의 화력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등 취식행위를 할 때, 불씨가 남아 있는 재의 주변 확산으로 인한 화재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다리부의 견고한 고정에 의한 지탱력에 의해 안전성이 제공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몸체부 110; 외기공
120; 이격공간 130; 다리단부삽입부
131; 결합공 140; 다리단부지지부
141; 절개삽입부 200; 숯안착부
210; 상부패널 211; 구멍
212; 산 213; 골
214; 절곡연장부 220; 절곡부
221; 수평연장부 300; 다리부
310; 다리단부 400; 간격유지부재
410; 파지구 420; 판연결부재
430; 수직부재 431; 돌기
440; 압축스프링 450; 하우징
451; 인입출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상방이 개구되고 하방의 하단면에 외기공이 다수 천공되는 숯불화로를 이루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저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숯이 안착되도록 하는 숯안착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 양측으로 활개되어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지지되도록 하는 다리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숯안착부(200)는 전체적으로 산(212)과 골(213)로 이루어지는 파형체로 구성하되, 상부패널(210)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220)의 끝단부에서 다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21)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일내측면과 긴말하게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100)의 외기공(110)을 회피하는 영역 범위내의 위치에 다수의 구멍(211)이 상기 산(212) 또는 골(213) 중 선택되는 위치에 천공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외기공(110)을 통하여 연소되어 발생되는 재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4. 상방이 개구되고 하방의 하단면에 외기공이 다수 천공되는 숯불화로를 이루는 몸체부(100);
    상부패널(210)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220), 상기 절곡부(220)의 끝단부에서 다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일내측면과 접촉되는 수평연장부(221), 상기 상부패널(210)에 상기 몸체부(100)의 외기공(110) 위치를 회피하는 영역 범위내에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211)에 의해 상기 외기공(110)을 통하여 연소되어 발생되는 재가 배출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저면에 구비되어 숯이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2개를 한 조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저면에 인입 구성하여 텐션 작용에 의해 상기 절곡부(220)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몸체부(100) 저면과 접한 상태에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21)의 단부가 상기 몸체부(100)의 양내측면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하여 좌우 유동성을 차단하게 되는 숯안착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장부(221)와 직교되는 타방향측으로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면과 유격 형성되는 이격공간(120);
    상기 수평연장부(221)와 직교되는 상기 상부패널(210) 타방향측 골(213)의 단부에 '⊂' 형태로 절개한 후 절곡하여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이격공간(120)을 가로질러 몸체부(100)의 내측면과 접하며 숯안착부(200)의 유동성을 억제하는 절곡연장부(214);
    를 포함하는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숯안착부(200)의 수평연장부(221)와 직교되는 타방향측으로는 몸체부(100)의 내측면과 유격 형성되는 이격공간(120);
    상기 수평연장부(221)와 직교되는 상기 숯안착부(200)의 상부패널(210) 타방향측 골(213)의 단부에 '⊂' 형태로 절개한 후 절곡하여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이격공간(120)을 가로질러 몸체부(100)의 내측면과 접하며 숯안착부(200)의 유동성을 억제하는 절곡연장부(214);
    를 포함하는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상방이 개구되고 하방의 하단면에 외기공이 다수 천공되는 숯불화로를 이루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저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숯이 안착되도록 하는 숯안착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 양측으로 활개되어 상기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지지되도록 하되 활개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간격유지부재(400)가 게재되는 다리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유지부재(400)는, 상기 다리부(300)를 파지하기 위하여 원호형태를 취하는 파지구(410)로부터 연장되는 판연결부재(420)를 형성하고, 상기 판연결부재(420) 타단부측에는 수직선상으로 연결되어지되 외측면에 돌기(431)를 갖는 수직부재(430)를 갖는 구성을 상호 대향 시키고, 상기 대향되는 수직부재(430)의 돌기(431)와 돌기(431) 사이에 압축스프링(440)을 탄지하고, 상기 수직부재(430)들과 상기 압축스프링(440)이 내합되되 상기 판연결부재(420)가 상기 압축스프링(440)의 탄지 및 탄발력에 의해 인입출되는 인입출구(451)를 갖는 하우징(450)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리부(300)와 다리부(300)간을 탄력적으로 고정 지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KR1020190025169A 2019-03-05 2019-03-05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KR10219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69A KR102191189B1 (ko) 2019-03-05 2019-03-05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69A KR102191189B1 (ko) 2019-03-05 2019-03-05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59A KR20200106659A (ko) 2020-09-15
KR102191189B1 true KR102191189B1 (ko) 2020-12-15

Family

ID=7245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169A KR102191189B1 (ko) 2019-03-05 2019-03-05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270A (ko)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엠션전자 연료 자동점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410Y1 (ko) * 2020-12-16 2022-05-16 조형필 원터치 다리핀 우드스토브 재받침대
KR102354375B1 (ko) * 2021-06-21 2022-01-24 주식회사 현준산업 기능성 그리들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715B1 (ko) * 2014-03-13 2016-06-10 김광림 점화 효율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화로대
KR101703292B1 (ko) * 2015-12-10 2017-02-06 김정애 접철식 휴대용 화로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593A (ko) * 2012-04-26 2013-11-05 서명훈 조립식 야외용 캠핑 화로
KR101295421B1 (ko) 2012-06-12 2013-08-09 최진선 다용도 조립식 화로
KR101577538B1 (ko) 2014-07-10 2015-12-16 박현식 차콜 컨테이너 기능을 구비한 캠핑 화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715B1 (ko) * 2014-03-13 2016-06-10 김광림 점화 효율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화로대
KR101703292B1 (ko) * 2015-12-10 2017-02-06 김정애 접철식 휴대용 화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270A (ko)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엠션전자 연료 자동점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59A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189B1 (ko) 일회용 캠핑 숯불화로
ES2553343T3 (es) Estimulador de humo
US20210018181A1 (en) Vertical fire pit
CN113825951A (zh) 用于烹饪的具有炭火功能的手持式气炬
WO2017064528A1 (es) Dispositivo para encender combustibles sólidos y para calentamiento
US6523463B1 (en) Controlled burn smoking device
US20160123598A1 (en) Ultimate fire pit
KR200454479Y1 (ko)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US6883512B2 (en) Portable grilling apparatus
US7624729B2 (en) Easily lighted grill
AU2012216618B2 (en) Foldable barbecue apparatus for substantially minimizing fat and oil spills in both operating and storage conditions
JP6548767B2 (ja) 油排出が簡単なバーナ
KR102190341B1 (ko) 화로대
KR200434665Y1 (ko) 로스터용 기름받이 가이드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20050101126A (ko) 일회용 숯불구이기
KR20110101273A (ko) 소화기능을 갖는 재떨이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KR200433298Y1 (ko) 야외용 로스터의 절첩다리
JP2005073969A (ja) コンロ
KR20210048079A (ko) 숯 받침망 지지 구조를 갖는 일회용 숯불난로
KR101613633B1 (ko) 기름가이드를 구비한 숯불구이용 화로장치
US1883946A (en) Charcoal broiler
US20030231991A1 (en) Incense burner
JP3196876U (ja) バーベキュー用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