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840B1 -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840B1
KR102190840B1 KR1020180111795A KR20180111795A KR102190840B1 KR 102190840 B1 KR102190840 B1 KR 102190840B1 KR 1020180111795 A KR1020180111795 A KR 1020180111795A KR 20180111795 A KR20180111795 A KR 20180111795A KR 102190840 B1 KR102190840 B1 KR 10219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s
drying
stirring
drive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577A (ko
Inventor
김범술
Original Assignee
김범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술 filed Critical 김범술
Priority to KR1020180111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8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8Thin layer-, drum- or roller-drying or by contact with a hot surface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the open air; in pans or tables in rooms; Drying stacks of loose material on floors which may be covered, e.g. by a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나 대추 등과 같은 농산물이 잘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농산물이 상치되는 건조대와, 건조대의 양측 난간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대차부, 대차부에 장착되어 건조대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산물을 승강(昇降)하여 교반시키는 교반부 및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주는 브러쉬로 구성되어, 대차부가 건조대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대 상면에 놓인 농산물이 교반부에 의해 승강 교반되도록 하는 동시에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주도록 함으로써 태양열이 건조대에 상치된 농산물의 전면(全面)에 골고루 받도록 하여 건조(乾燥)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A Stirrer for the Agricultual Products}
본 발명은 고추나 대추 등과 같은 농산물이 잘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농산물이 상치되는 건조대와, 건조대의 양측 난간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대차부, 대차부에 장착되어 건조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농산물을 승강(昇降)시킨 후 낙하하여 교반시키는 교반부 및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주는 브러쉬로 구성되어, 대차부가 건조대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대 상면에 놓인 농산물이 교반부에 의해 승강 교반되도록 하는 동시에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주도록 함으로써 태양열이 건조대에 상치된 농산물의 전면(全面)에 골고루 받도록 하여 건조(乾燥)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중에는 건조시켜 활용하는 것이 다수 존재한다. 특히 고추나 대추 등과 같은 농산물은 건조한 것과 건조하지 않은 것에 있어 그 활용도 및 쓰임새가 전혀 상이한 것이 있는가 하면, 감이나 사과 고구마 등과 같은 농산물은 건조시켜 당도를 높이면서 저장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들이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농산물 중에서 고추는 우리나라의 먹거리 채소 중 대표적인 농산물이다. 고추는 사시사철 풋고추와 건고추로 생산 가공 및 유통되고 있다.
풋고추는 4계절 시설재배용 온실에서 생산되어 공급되고 있어서 품질이나 가격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건고추는 여름철 붉은 홍고추를 수확하여 건조시켜 가루로 가공한 것으로 많은 요리에 이용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모든 가정에서 상비적으로 필요로 하는 필수적인 조미양념이다.
이러한 건고추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태양열에 의존하여 건조하는 태양초가 있고, 건조기내에서 가열수단을 이용해서 건조시키는 건고추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유통되는 건고추는 건조기에서 건조한 것이다
태양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킨 태양초는 주로 노지에서 태양에만 의존하게 되는데 홍고추를 완전히 건조시키는데 약 일주일 이상 건조시간이 소요되고 하루에 두세번씩 뒤집어 주는 등 작업시간이나 노력이 많이 필요하고 강우시나, 날씨가 흐린 기상조건에 따라 건고추의 품질이 불량하고 심한 경우 식용으로 사용하지 못할 정도가 되어 중간에 폐기해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태양초는 가격이 매우 비싸지고 농가 고추 수확량의 일정량 이상을 태양초로 건조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일부 농가에서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강우 등 기상조건을 극복하고 높은 복사열을 이용하여 건조기간을 단축시키려는 노력을 하여 능률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도 강우시나 야간에는 온도가 떨어져 태양초를 다량 생산하는 데 한계가 있고, 특히, 9월 이후에는 주간온도 조건도 나빠져 품질이 떨어지는 것이 많이 발생하는 등 비닐하우스에서 태양초를 생산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조건이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172634호의 '고추 자동 교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추 자동 교반장치'는 비닐하우스내에서 태양초를 대량으로 건조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써, 비닐하우스 내에 일정 높이의 건조대를 설치하고, 건조대 상면에 고추를 일정 두께로 나란히 펴서 나열시키고, 상기 건조대 상부면에 나열된 홍고추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회동브러쉬를 회동시켜 건조대를 왕복 슬라이딩하면서 고추를 상하 뒤집어 태양열이 홍고추 전면(全面)에 골고루 쪼이도록 하여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추 자동 교반장치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건조대 상면을 따라 브러시가 회동하면서 건조대 상면에 상치된 홍고추를 밀어서 뒤집어 주도록 하는 것으로, 단순히 브러시의 회동에 의해 건조대 상면에 상치된 홍고추를 뒤집는데는 한계가 있다. 즉, 건조대 상면에 상치된 홍고추를 밀면서 뒤집어 주는 종래 기술은 효율이 상당히 떨어져 태양초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고추 자동 교반장치는 교반장치를 강하게 회전시킬 경우에 고추가 건조대 상면에서 벗어나므로 빠른 회전을 할 수 없었고, 쌓여 있는 고추의 위치를 살짝 뒤집는 것에 불과하여 고추가 두껍게 쌓여 있는 경우에는 교반의 효과가 거의 없었다.
또한, 건조대 상면에 고추가 두껍게 쌓여 있는 경우에, 하부에 있는 고추는 교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KR 10-1172634 (등록번호) 2012.08.02. KR 10-2015-0016857 (공개번호) 2015.02.13. KR 20-0442749 (등록번호) 2008.12.0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추나 대추 등과 같은 농산물을 널어 말리는 건조대의 양측면부에 구비되는 건조대난간(레일로드)을 따라 대차부를 이동시키면서 건조대 상면에 놓인 농산물이 대차부에 구비되는 교반부의 경사면부를 따라 상향 이동시킨 후 건조대 상면으로 자유 낙하시켜 교반(섞어주는)되도록 하여 건조대 상면에 상치되는 농산물이 태양열을 골고루 받아 농산물의 건조(乾燥)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차부에 장착되어 건조대를 따라 이동하는 교반부의 경사면부를 승강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대차부가 전진 슬라이딩하면서 농산물을 교반시킨 후 상기 경사면부를 상승시켜 대차부를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고 이를 다시 하강하여 전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반작업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차부에 장착되어 건조대를 따라 이동하는 교반부의 후단부에 브러쉬를 구비하여 교반되는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브러쉬가 회동하면서 털어 제거함으로써 농산물의 품질을 제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산물이 상치되는 건조대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로드(rod)로 구성하고, 교반부에 구비되는 경사면부에도 상기 로드 사이에 각각 삽설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회전밸트를 설치하여 대차부가 전진하는 동안 경사면부에 설치된 상기 회전밸트가 회전하면서 건조대에 상치된 농산물을 승강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교반부의 경사면부 끝단부가 농산물이 상치되는 건조대의 로드(rod) 사이를 따라 그 하면부로 삽설되도록 구성하여 대차부의 이동시 건조대에 상치된 농산물이 용이하게 상기 경사면부의 회전밸트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대의 맨 바닥면부에 놓인 농산물(두껍게 상치된 농산물 중 맨 하면에 위치한 농산물)도 교반이 용이하도록 하여 건조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대 상면에 농산물이 두껍게 쌓여 있어도, 건조대 상면의 하부에 위치한 농산물까지 모두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교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반장치에 있어서,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그 상부면으로 농산물을 널어 건조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바닥부의 선반지지로드(111)와 측면부의 난간레일로드(112)로 된 건조대(110)와; 상기 건조대(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난간레일로드(112)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120); 상기 대차부(120)에 장착되고 상기 대차부(1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건조대(110)를 따라 이동되는 교반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130)는 후반부에 상기 대차부(120)에 지지되는 구동축(131)이 위치하며, 전반부 끝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공회전롤러(133)가 구비되며,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상기 선반지지로드(1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131)이 선반지지로드(111) 상부에 위치하여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교반부(130)는 다수개의 요홈(13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교반구동모터(M1)에 의해 회동되고 양단부가 상기 대차부(120)에 삽설 지지되도록 후단부에 설치되는 구동축(131)과, 상기 요홈(131a)에 각각 대응되도록 하여 선단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브라케트(132),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의 각 끝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공회전롤러(133), 및 상기 구동축(131)에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요홈(131a)과 상기 지지브라케트(132) 및 상기 공회전롤러(133)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131)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며, 선반지지로드(111) 위에 놓인 농산물을 상향 이동시키는 회전밸트(13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대차부(120)는 난간레일로드(112)를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레일 위에는 상면브라케트(124)가 마련되며, 상면브라케트(124)의 상부면에는 대차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대차구동모터(12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의 상부면에는 상기 교반부(130)를 승강(昇降)시키는 승강장치(140)가 설치 구비되되, 상기 승강장치(140)는 작동모터(141)와 상기 작동모터(141)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승강구동축(142), 상기 승강구동축(14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원형의 회전판(143), 상기 회전판(143)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동아암(144), 및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37)의 연결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회동아암(144)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지지구(145)로 구성되어, 상기 교반부(130)가 상기 레일구동축(12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선단부가 승강(昇降)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교반부(130)의 전반부에는 그 선단부에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설치된 다수의 상기 지지브라케트(13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브라케트(136)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상기 후반부는 그 후단부에 상기 구동축(131) 설치되고 양측면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축(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137)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37)는 복수개의 로드축(138)으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교반부(130)의 후반부에는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주는 브러쉬장치(150)가 더 설치 구비되되, 상기 브러쉬장치(150)는 브러쉬(151a)가 설치되는 몸통부(151)와, 상기 몸통부(151)의 중심에 삽설되어 회동되는 몸통회동축(152), 상기 몸통부(151)를 상기 대차부(120)에 연결시키는 설치브라케트(153), 일측은 상기 몸통회동축(152)에 연결되고 타측은 대차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대차구동모터(125)에 연결되는 제3동력전달체인(154)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일 주변에는 상기 레일이 상기 난간레일로드(112)에서의 이탈을 막도록 하면이 난간레일로드(112)의 상면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탈선방지구(16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회전롤러(133)는 선반지지로드(111)와 선반지지로드(111) 사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밸트(134)의 회전에 의하여 건조대 선반지지로드(111)의 상면에 놓인 농산물을 교반부(130)의 후면부로 이송시킨 후 선반지지로드(111)로 낙하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축(131)은 상기 난간레일로드(112)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축(131)의 상부에 위치한 상면브라케트(124)는 개방부(124a)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는 고추나 대추 등과 같은 농산물을 널어 말리는 건조대의 양측면부에 구비되는 건조대난간(레일로드)을 따라 대차부를 이동시키면서 건조대 상면에 놓인 농산물이 대차부에 구비되는 교반부의 경사면부를 따라 상향 이송시킨 후 건조대 상면으로 자유 낙하시켜 교반(섞어주는)되도록 하여 건조대 상면에 상치되는 농산물이 태양열을 골고루 받아 농산물의 건조(乾燥)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차부에 장착되어 건조대를 따라 이동하는 교반부의 경사면부가 승강되도록 하여, 대차부가 전진 슬라이딩하면서 농산물을 교반시킨 후 상기 경사면부를 상승시켜 대차부를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고 이를 다시 하강하여 전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반작업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차부에 장착되어 건조대를 따라 이동하는 교반부의 후단부에 브러쉬를 구비하여 교반되는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브러쉬가 회동하면서 털어 제거함으로써 농산물의 품질을 좋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농산물이 상치되는 건조대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선반지지로드(rod)로 구성하고, 교반부에 구비되는 경사면부에도 상기 로드 사이에 각각 삽설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회전밸트를 설치하여 대차부가 전진하는 동안 경사면부에 설치된 상기 회전밸트가 회전하면서 건조대에 상치된 농산물을 승강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반부의 경사면부 끝단부가 농산물이 상치되는 건조대의 로드(rod) 사이를 따라 그 하면부로 삽설되도록 구성하여 대차부의 이동시 건조대에 상치된 농산물이 용이하게 상기 경사면부의 회전밸트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대의 맨 바닥면부에 놓인 농산물(두껍게 상치된 농산물 중 맨 하면에 위치한 농산물)도 교반이 용이하도록 하여 건조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조대 상면에 농산물이 두껍게 쌓여 있어도, 건조대 상면의 하부에 위치한 농산물까지 모두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교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가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되는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에 대해 전방측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에 대해 후방측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4와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에 대한 상태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에 구비된 교반부가 상승된 상태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교반부의 경사면부에 대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교반부의 경사면부에 대한 분리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건조대의 평면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가 전진 이동하면서 교반부를 이용해 농산물이 상승 및 하강되면서 교반되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의 대차부에 레일이탈방지구가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의 대차부에 설치되어 교반부를 승강시키는 다른 실시예의 승강장치에 대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100)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H)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그 상부면으로 고추나 대추 등의 농산물을 상치하고 태양열 또는 히터열을 쪼여 건조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바닥부의 선반지지로드(111)와 측면부의 난간레일로드(112)로 된 건조대(110)와;
상기 건조대(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건조대(110)의 양측면부에 구비되는 상기 난간레일로드(112)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대차부(120);
상기 대차부(120)에 장착되고 상기 대차부(1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건조대(110)를 따라 이동되는 교반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130)는 후반부에 상기 대차부(120)에 지지되는 구동축(131)이 위치하며, 전반부 끝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공회전롤러(133)가 구비되며,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상기 선반지지로드(1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131)이 상기 난간레일로드(112)보다 위에 위치하여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요홈(13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교반구동모터(M1)에 의해 회동되고 양단부가 상기 대차부(120)에 삽설 지지되도록 후단부에 설치되는 구동축(131)과, 상기 요홈(131a)에 각각 대응되도록 하여 선단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브라케트(132),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의 각 끝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공회전롤러(133), 및 상기 구동축(131)의 요홈(131a)과 상기 지지브라케트(132) 및 상기 공회전롤러(133)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131)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며, 선반지지로드(111) 위에 놓인 농산물을 상향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회전밸트(134)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부(130)는 그 후단부에 설치된 상기 구동축(131)을 중심으로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설치된 선단부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즉, 농산물을 교반시킬때는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설치된 상기 교반부(130)의 선단부를 상기 선반지지로드(111)들 사이를 통해 그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회동한 다음 전진하면서 농산물을 교반시키고, 상기 교반부(130)를 후진할 때에는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설치된 상기 교반부(130)의 선단부를 상승하여 후진한 다음 다시 교반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100)는 상기 건조대(110)의 상면부에 고추나 대추, 잘게 썰은 고구마, 잘게 썰은 사과 등과 같이 건조시키고자 하는 농산물(이하 대표적인 농산물인 고추(P)를 예로 설명한다)을 널어 두고 상기 대차부(120)를 전진 이동시키면 이에 장착된 상기 교반부(130)가 전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건조대(110)에서 두껍게 상치된 고추는 상기 교반부(130)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회전밸트(134)로 이동하고 이어 상기 회동밸트(13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밸트(134)를 타고 후방으로 상승 이동한 후 그 끝단부에서 다시 상기 건조대(110)로 자유 낙하하면서 교반(뒤섞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열이 농산물의 전면(全面)으로 골고루 쪼일 수 있어 건조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대 위에 아무리 두껍게 농산물이 쌓여있어도, 농산물의 가장 하부보다 밑에 위치하는 공회전롤러(133)와 공회전롤러(133)와 연결된 회전밸트(134)에 의하여 농산물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이송된 후, 높은 위치에서 건조대 상면으로 자유 낙하하게 되므로 자유 낙하하면서 서로 섞이게 되어 교반의 효율이 매우 높다. 통상 농산물은 건조대(110)의 난간레일로드(112)까지 쌓일 수 있으며, 이 높이는 건조대 상면에서 10cm 정도 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난간레일로드(112)의 높이를 더욱 높게 할 수 있어, 한번에 건조시킬 수 있는 농산물의 양이 대폭 증가된다.
상기 건조대(110)는 비닐하우스(H)의 내부에서 지지대(112)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그 상부면에는 고추 등과 같은 농산물이 상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조대(110)에는 그 측면부에서 상부측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대차부(1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난간레일로드(1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건조대(110)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교반부(130)의 전진 이동시에 상치된 고추 등의 농산물이 측면으로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면가이드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대(110)는 가늘고 긴 봉 형상의 선반지지로드(111)가 좁은 간격(고추 등의 농산물이 바닥으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좁은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는 구성이다.
농산물은 교반을 하지 않으면 상기 건조대(110) 상면으로 1~2cm의 얇은 두께로 널어야(상치) 하나, 본 발명과 같이 확실한 교반이 가능하면 7~10cm의 두터운 두께로 널어 건조시켜도 부패하지 않고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대차부(120)는 상기 건조대(110)의 상면부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치로, 상기 건조대(110)의 좌측에 구비되는 난간레일로드(112)에 안착되어 전후 이동하는 좌측전방레일(121a)과 좌측후방레일(121b) 및 이들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측가이드브라케트(121c)로 된 좌측레일부(121)와, 상기 건조대(110)의 우측에 구비되는 난간레일로드(112)에 안착되어 전후 이동하는 우측전방레일(122a)과 우측후방레일(122b) 및 이들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우측가이드브라케트(122c)로 된 우측레일부(122), 상기 좌측후방레일(121b)과 상기 우측후방레일(122b)을 연결하여 회동시키는 레일구동축(123), 상기 좌측가이드브라케트(121c)와 상기 우측가이드브라케트(122c)의 상부면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상면브라케트(124), 및 상면브라케트(124)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구동축(123)을 구동시키는 대차구동모터(1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대차구동모터(125)는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측면으로 구동스프라켓(125a)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레일구동축(123)에는 피동스프라켓(123a)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스프라켓(125a)과 상기 피동스프라켓(123a)에는 제1동력전달체인(126)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대차구동모터(125)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스프라켓(125a)과 상기 제1동력전달체인(126) 및 상기 피동스프라켓(123a)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레일구동축(123)을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레일구동축(123)의 회동하게 되면 상기 좌측후방레일(121b)과 상기 우측후방레일(122b)이 각각 구동되고 상기 좌측전방레일(121a)과 상기 우측전방레일(122a)이 각각 피동되면서 상기 난간레일로드(112)를 따라 상기 대차부(120)가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동력전달체인(126)이 설치되어 있으나 그 이외에 밸트와 같은 동력전달 방식으로 변형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의 상부면에는 상기 교반부(130)를 형성하는 경사면부의 후단에 설치된 상기 구동축(131)을 회동시키는 상기 교반구동모터(M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구동모터(M1)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축(131)에 전달하여 회동시키는 방식도 상기 대차구동모터(125)의 동력전달방식과 동일하다.
즉, 상기 교반구동모터(M1)의 모터축스프라켓(M1a)과 상기 구동축(131)의 회동축스프라켓(131b)은 제2동력전달체인(135)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어, 상기 모터축스프라켓(M1a)의 회전이 상기 제2동력전달체인(135)을 통해 상기 회동축스프라켓(131b)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구동축(131)이 회동된다.
상기 구동축(131)이 회동되면 상기 구동축(131)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밸트(134)가 회전되면서 상기 건조대(110)에 상치된 농산물을 승강시켜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에는 농산물이 승강되어 후방으로 이동될때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의 하면에 닿지 않도록 개방부(124a)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124a)에는 내부가 상부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개폐덮개(127)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축(131)이 난간레일로드(112)와 가깝게 높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높은 위치로 구동축(131)을 설치하게 되면 건조대 선반지지로드(111) 위에 놓인 농산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번에 건조되는 농산물이 증가하여도 본 발명은 교반의 효율이 높기에 건조가 가능하며, 이때 상면브라케트(124)의 일측에 개방부(124a)를 두어 농산물의 이송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개방부는 구동축(131)이 위치한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개폐덮개(127)는 상면브라케트(124) 위로 이송되는 농산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교반부(130)는 전반부(A1)와 후반부(A2)로 나뉘어지며, 상기 전반부는 그 선단부에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설치된 상기 지지브라케트(13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브라케트(136)에 의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후반부는 그 후단부에 상기 구동축(131) 설치되고 양측면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축(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13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37)의 연결부는 그 연결부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로드축(138)으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의 상부면에는 상기 교반부(130)를 승강(昇降)시키는 승강장치(140)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치(140)는 상기 교반부(130)가 상기 레일구동축(12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승강(昇降)되도록 하는 장치로, 작동모터(141)와 상기 작동모터(141)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승강구동축(142), 상기 승강구동축(14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원형의 회전판(143), 상기 회전판(143)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동아암(144), 및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37)의 연결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회동아암(144)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지지구(14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의 상부면에는 상기 회동아암(144)이 상기 회동지지구(145)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롯장홈(124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승강장치(140)는 상기 작동모터(14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구동축(142)이 회전되고 동시에 그 단부에 설치된 상기 회전판(143)이 회전된다. 상기 회전판(1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아암(144)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동지지구(145)가 승강된다. 이때 상기 회동지지구(145)에 연결 고정되는 상기 교반부(130)는 상기 구동축(13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승강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대(110)에 상치된 고추를 교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140)을 작동하여 상기 교반부(130)를 경사지게 회동시킨다. 즉, 상기 승강장치(1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교반부(130)는 상기 구동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설치된 선단부가 상승 또는 하강된다.
농산물을 교반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설치된 상기 교반부(130)의 선단부를 상기 건조대(110)의 선반지지로드(111)들 사이를 통해 그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회동하여 상기 교반부(130)을 경사지게한 다음 이를 전진하면서 농산물을 교반시킨다.
상기와 같이 농산물을 교반시킨 다음 다시 농산물을 교반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교반부(130)를 후진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설치된 상기 교반부(130)의 선단부를 상승하여 후진한 다음 다시 교반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장치(140)는 다른 실시예로 승강장치(140')로 실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의 대차부에 설치되어 교반부를 승강시키는 다른 실시예의 승강장치에 대한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승강장치(140')는 상기 교반부(130)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에 설치되는 작동모터(141)와, 상기 작동모터(141)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나선회동부(146),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의 상면에 구비되고 그 양단부에는 상기 슬롯장홈(124b)을 통해 상기 교반부(130)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연결아암(147a)이 설치되는 작동레버(147), 및 상기 작동레버(147)의 중간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나선회동부(146)에 나선 치합되어 상기 나선회동부(146)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하 승강되도록 하는 나선피동부(148)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모터(141)에 의해 상기 나선회동부(146)가 회동되면 이에 치합되어 있는 상기 나선피동부(148)가 상하 승강되면서 상기 작동레버(147)가 상하 승강되고 이어 그 양단부에 연결된 상기 연결아암(147a)이 승강되면서 상기 교반부(130)가 상하 승강된다.
또한 상기 교반부(130)의 후면부에는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주는 브러쉬장치(150)가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브러쉬장치(150)는 브러쉬(151a)가 설치되는 몸통부(151)와 상기 몸통부(151)의 중심에 삽설되어 회동되는 몸통회동축(152), 상기 몸통부(151)를 상기 대차부(120)에 연결시키는 설치브라케트(153), 일측은 상기 몸통회동축(152)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대차구동모터(125)에 연결되는 제3동력전달체인(15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장치(150)는 상기 대차구동모터(125)의 구동력이 상기 제3동력전달체인(154)에 의해 상기 몸통회동축(152)을 회동시키면서 상기 몸통부(151)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통부(151)에 구비된 상기 브러쉬(151a)가 상기 교반부(130)의 후면으로 교반되면서 이송된 농산물을 닦아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보다 깨끗하고 청결한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대차부(120)의 상기 좌우측가이드브라케트(121c,122c) 하부면에는 상기 좌측전방레일(121a) 및 상기 우측전방레일(122a)의 후방측과 상기 좌측후방레일(121b) 및 상기 우측후방레일(122b)의 전방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난간레일로드(112)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선방지구(160)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탈선방지구(160)는 상기 좌우측가이드브라케트(121c,122c)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케트(161)와 상기 고정브라케트(16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이들 사이에 상기 난간레일로드(112)가 위치되도록 하여 난간레일로드(112)의 상면과 대응되는 홈을 형성시켜 상기 난간레일로드(112)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레일로드지지구(16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대차부(120)의 상기 좌측전방레일(121a) 및 상기 우측전방레일(122a)과 상기 좌측후방레일(121b) 및 상기 우측후방레일(122b)이 상기 건조대(110)의 상기 난간레일로드(112)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때 그 전후방측에서 상기 탈선방지구(160)가 상기 난간레일로드(112)를 견고하게 지지해 줌으로써 상기 대차부(120)가 상기 건조대(1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대차부(120)의 상기 좌우측가이드브라케트(121c,122c) 하부면에는 상기 교반부(130)의 상기 구동축(131)이 삽설되는 설치요홈(128)이 형성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설치요홈(128)은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요홈과 상기 수직요홈의 상단부에 상기 수직요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수평요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요홈(128)을 통해 상기 교반부(130)의 상기 구동축(131)이 안정적으로 삽설 지지되고 그 외측으로 설치하는 스프라켓이나 체인 등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정비의 편의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대차부(120)의 전후진 이동과 상기 브러쉬장치(150)의 작동 및 상기 교반부(130)의 작동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를 통해 농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이를 교반하는 작동 절차를 살펴본다.
먼저,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건조대(110)의 상부면으로 고추를 일정 두께로 널어 둔다. 그리고 상기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100)는 상기 건조대(110)의 일단부에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태양열을 일정시간 쪼인 후 고추를 뒤집어 주어야 될 때 제어부를 통해 상기 건조대(110)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기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100)를 전진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교반부(130)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공회전롤러(133)는 상기 건조대(110)의 상기 선반지지로드(111)들 사이를 통해 그 하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부(130)가 경사지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대차부(120)가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고 상기 교반부(130)에 설치된 상기 회전밸트(134)는 상기 구동축(131)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선반지지로드(111)의 상면에 쌓인 고추(P)가 상기 회전밸트(134)를 타고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교반되어 상기 건조대(110)의 상기 선반지지로드(111) 상으로 떨어진다. 이어 상기 브러쉬장치(150)가 회동되면서 그 몸통부(151)에 구비된 상기 브러쉬(151a)가 교반된 고추(P)를 쓸어 주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후 모든 작동을 멈추고 상기 승강장치(140)를 작동하여 상기 교반부(130)을 상승시키고 상기 대차부(120)을 후진시켜 상기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10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둔다.
이와 같은 작업을 고추의 건조 상태에 따라 여러번 실시하게 되면 고추가 태양열에 의해 골고루 건조되어 양질의 태양초가 생산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는 상기 비닐하우스 내부에 농산물이 상치되는 건조대와, 건조대의 양측 난간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대차부, 대차부에 장착되어 건조대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산물을 승강(昇降)하여 교반시키는 교반부 및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주는 브러쉬로 구성되어, 대차부가 건조대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대 상면에 놓인 농산물이 교반부에 의해 승강 교반되도록 하는 동시에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주도록 함으로써 태양열이 건조대에 상치된 농산물의 전면(全面)에 골고루 받도록 하여 건조(乾燥)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100: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H:비닐하우스
110:건조대
111:선반지지로드 112:난간레일로드
120:대차부
121:좌측레일부 121a:좌측전방레일 121b:좌측후방레일
121c:좌측가이드브라케트
122:우측레일부 122a:우측전방레일 122b:우측후방레일
122c:우측가이드브라케트
123:레일구동축 124:상면브라케트 124a:개방부 124b:슬롯장홈
125:대차구동모터 125a:구동스프라켓 123a:피동스프라켓
126:제1동력전달체인 127:개폐덮개 128:설치요홈
130:교반부
131:구동축 131a:요홈 131b:회동축스프라켓
132:지지브라케트 133:공회전롤러 134:회전밸트
135:제2동력전달체인 136:연결브라케트 137:고정플레이트
138:로드축
140:승강장치
141:작동모터 142:구동축 143:회전판 144:회동아암
145:회동지지구
150:브러쉬장치
151:몸통부 151a:브러쉬 152:몸통회동축 153:설치브라케트
154:제3동력전달체인

Claims (10)

  1. 교반장치에 있어서,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그 상부면으로 농산물을 널어 건조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바닥부의 선반지지로드(111)와 측면부의 난간레일로드(112)로 된 건조대(110)와;
    상기 건조대(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난간레일로드(112)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120);
    상기 대차부(120)에 장착되고 상기 대차부(1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건조대(110)를 따라 이동되는 교반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130)는 후반부에 상기 대차부(120)에 지지되는 구동축(131)이 위치하며, 전반부 끝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공회전롤러(133)가 구비되며,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상기 선반지지로드(1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131)이 선반지지로드(111) 상부에 위치하여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130)는 다수개의 요홈(13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교반구동모터(M1)에 의해 회동되고 양단부가 상기 대차부(120)에 삽설 지지되도록 후단부에 설치되는 구동축(131)과, 상기 요홈(131a)에 각각 대응되도록 하여 선단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브라케트(132),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의 각 끝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공회전롤러(133), 및 상기 구동축(131)에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요홈(131a)과 상기 지지브라케트(132) 및 상기 공회전롤러(133)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131)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며, 선반지지로드(111) 위에 놓인 농산물을 상향 이동시키는 회전밸트(134)를 포함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120)는 난간레일로드(112)를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레일 위에는 상면브라케트(124)가 마련되며, 상면브라케트(124)의 상부면에는 대차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대차구동모터(125)를 포함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브라케트(124)의 상부면에는 상기 교반부(130)를 승강(昇降)시키는 승강장치(140)가 설치 구비되되,
    상기 승강장치(140)는 작동모터(141)와 상기 작동모터(141)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승강구동축(142), 상기 승강구동축(14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원형의 회전판(143), 상기 회전판(143)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동아암(144), 및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와 지지브라케트(13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137)의 연결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회동아암(144)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지지구(145)를 포함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130)의 전반부에는 그 선단부에 상기 공회전롤러(133)가 설치된 다수의 상기 지지브라케트(13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브라케트(136)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상기 후반부는 그 후단부에 상기 구동축(131) 설치되고 양측면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축(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137)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지지브라케트(13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37)는 복수개의 로드축(138)으로 고정 설치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130)의 후반부에는 농산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주는 브러쉬장치(150)가 더 설치 구비되되,
    상기 브러쉬장치(150)는 브러쉬(151a)가 설치되는 몸통부(151)와, 상기 몸통부(151)의 중심에 삽설되어 회동되는 몸통회동축(152), 상기 몸통부(151)를 상기 대차부(120)에 연결시키는 설치브라케트(153), 일측은 상기 몸통회동축(152)에 연결되고 타측은 대차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대차구동모터(125)에 연결되는 제3동력전달체인(154)으로 구성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주변에는 상기 레일이 상기 난간레일로드(112)에서의 이탈을 막도록 하면이 난간레일로드(112)의 상면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탈선방지구(160)가 더 구비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롤러(133)는 선반지지로드(111)와 선반지지로드(111) 사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밸트(134)의 회전에 의하여 건조대 선반지지로드(111)의 상면에 놓인 농산물을 교반부(130)의 후면부로 이송시킨 후 선반지지로드(111)로 낙하시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31)은 상기 난간레일로드(112)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31)의 상부에 위치한 상면브라케트(124)는 개방부(124a)가 형성되는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KR1020180111795A 2018-09-18 2018-09-18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KR10219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795A KR102190840B1 (ko) 2018-09-18 2018-09-18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795A KR102190840B1 (ko) 2018-09-18 2018-09-18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577A KR20200032577A (ko) 2020-03-26
KR102190840B1 true KR102190840B1 (ko) 2020-12-15

Family

ID=6995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795A KR102190840B1 (ko) 2018-09-18 2018-09-18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3562A (zh) * 2016-10-31 2017-05-10 郝哲 一种田间枣树防雨棚
CN111685357B (zh) * 2020-05-21 2023-07-18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草烘干加工用匀速移动装置
CN112595070B (zh) * 2020-12-15 2023-04-07 茂名壹钉农牧机械有限公司 一种赛马饲养用精饲料烘干装置
KR102593988B1 (ko) * 2023-02-07 2023-10-26 김유리 로우 스펙 마카롱 제조를 위한 스마트 건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957Y1 (ko) 2000-09-15 2001-02-15 주식회사한국자외선 고추 건조설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49Y1 (ko) 2008-08-18 2008-12-05 전천규 교반 추진식 농산물 저온(햇볕온도) 건조 장치
KR101172634B1 (ko) * 2010-12-21 2012-08-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자동 교반 장치
KR101373768B1 (ko) * 2012-07-03 2014-03-13 손판해 농산물 다목적 건조 장치
KR20150016857A (ko) 2013-08-05 2015-02-13 김기동 태양초고추비닐하우스건조장치
KR20180004549A (ko) * 2016-07-04 2018-01-12 주식회사 지앤피 농산물 고추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957Y1 (ko) 2000-09-15 2001-02-15 주식회사한국자외선 고추 건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577A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840B1 (ko)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KR102024808B1 (ko) 농작물 뒤집기 장치
CN205121710U (zh) 快餐自动售卖装置
KR100940418B1 (ko) 채소수확기
JPH09502419A (ja) 糞尿好気発酵促進装置、それを用いた好気発酵施設及び該施設で生成される堆肥
JPH01256325A (ja) 植物生産システム
CN208708320U (zh) 食用菌种植设备
CN111616615A (zh) 一种无人化全自动煎饼果子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08782641B (zh) 一种麻球生产烹炸装置
KR102024798B1 (ko) 농산물 교반장치
CN116655414A (zh) 一种废弃秸秆发酵肥料用制备装置
CN116762563A (zh) 一种自走式甘蓝收获机
CN116267173A (zh) 一种大白菜收获机
CN114651791B (zh) 一种链条传输式黑水虻立体自动化养殖装置及方法
CN112455990B (zh) 一种食用菌包错位输送不间断循环提升上架方法
CN205802497U (zh) 一种粮食伸缩出仓机
CN211378925U (zh) 一种蔬菜培养架
CN213949734U (zh) 一种食用菌包错位输送不间断循环提升上架装置
CN211997689U (zh) 一种养菌上架机
KR200442461Y1 (ko) 포트 상토 충전기
CN102919988B (zh) 新型烤笋机
CN109527131B (zh) 一种茶叶烘干设备及花茶制作方法
CN215189163U (zh) 一种茶叶萎凋装置
CN218977693U (zh) 一种蛋禽养殖场用捡蛋设备
CN218571323U (zh) 冰淇淋快速加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