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808B1 - 농작물 뒤집기 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뒤집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808B1
KR102024808B1 KR1020180089846A KR20180089846A KR102024808B1 KR 102024808 B1 KR102024808 B1 KR 102024808B1 KR 1020180089846 A KR1020180089846 A KR 1020180089846A KR 20180089846 A KR20180089846 A KR 20180089846A KR 102024808 B1 KR102024808 B1 KR 10202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rop
drying rack
drying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술
Original Assignee
김범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술 filed Critical 김범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on or in stationary dishes, trays, pans, or other mainly-open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뒤집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고추와 같은 농작물이 펼쳐져 건조되는 건조대가 구비되는 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바퀴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대차 위에 상향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며 양측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판 내측에서 갈고리 형상의 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가 회전하여 상기 핀이 상기 건조대에서 건조되는 고추를 들어올리고 상기 이동대차가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향컨베이어에서 고추가 수직 낙하하여 고추를 완전히 뒤집어 줌으로써, 건조대에 두껍게 쌓인 고추를 쉽고 균일하게 뒤집어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 뒤집기 장치{A crop reversal device}
본 발명은 농작물 뒤집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고추와 같은 농작물이 펼쳐져 건조되는 건조대가 구비되는 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바퀴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대차 위에 상향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며 양측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판 내측에서 갈고리 형상의 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가 회전하여 상기 핀이 상기 건조대에서 건조되는 고추를 들어올리고 상기 이동대차가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향컨베이어에서 고추가 수직 낙하하여 고추를 완전히 뒤집어 줌으로써, 건조대에 두껍게 쌓인 고추를 쉽고 균일하게 뒤집어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특히 고추는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썩는 것을 방지하며 맛을 월등히 향상시키기 위해 수확 후에 건조시킨 다음 가루를 내어 식용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대개 태양열에 의한 자연건조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고추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태양에 의존하여 건조하는 태양초와, 건조기 내에서 스팀으로 쪄서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고추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유통되는 건고추는 건조기에서 건조한 것이다.
현재 자연상태의 햇볕에서 말린 건고추는 빛깔이 좋으면서 매콤한 맛의 깊이가 있어 소비자들이 많이 선호하고 있으나 자연상태에서 건고추를 만들기 위해서는 햇볕 좋은 날이 10~14일가량 지속되어야 하고 작업자가 하루에 두 세번 이상 고추를 수작업으로 뒤집어 줘야 하고, 통풍과 배습에 각별히 신경 써야하며 노지일 경우 밤이 되면 덮어 주고 비가 오면 걷어 줘야 하는 등의 손이 많이 가는 단점이 있다.
요즘 같이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현실에서는 많은 양의 고추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뒤집어 건조할 수가 없으며,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에 태양초의 건고추를 생산함에 기후변화에 관계없이 건조하도록 비닐하우스 내에 고추를 수용하는 건조대를 설치하여 건조대를 이동 유닛이 이동하면서 브러쉬가 회전하여 고추를 교반시키는 고추 자동 교반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2634호)가 출원되었으나, 종래의 고추 자동 교반 장치는 건조대에 펼쳐진 고추를 교반함에 있어,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고추를 뒤집어주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브러쉬는 한 곳에서만 회전됨으로 고추들을 한 곳으로 모아가며 회전함으로 인하여 고추를 골고루 뒤집어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러쉬를 강하게 회전하여 고추를 뒤집을 경우에는 고추가 건조대에서 이탈하여 후속적인 일처리가 많아지면서도 뒤집지의 효과는 거의 없었다.
또한, 종래의 고추 자동 교반 장치는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이동시에 고추들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쉬에 의해 점차 밀리어 쌓인 상태로서 건조되므로 고추 간에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효율이 떨어지고, 브러쉬가 고추들을 앞에 쌓인 체로 교반시켜 줌으로 인하여 오히려 브러쉬가 고추를 뒤집을 때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아울러 고추를 건조함에 있어 단순히 브러쉬에 의해 고추를 뒤집도록 하는 작업 외에는 건조시 고추의 이물질의 제거에 따른 세척이나 살균에 따른 위생성을 갖지 못함으로 양질의 건고추를 생산하기에 미흡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닐하우스 내에 설치되어 고추를 자연건조에 따른 기후의 변화에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뒤집어 줌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킨 농작물 고추 건조장치(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004549호)가 출원되었으나, 상기 농작물 고추 건조장치는 전후로 스윙 작동되어 뒤집는 작업을 하므로 하부에 있는 고추는 계속 하부에 있게 되고, 상부에 있는 고추는 계속 상부에 있어 상부와 하부에 있는 고추가 위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빠르게 스윙이 이루어지면 고추가 건조대 위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1172634 (등록번호) 2012.08.02. KR 10-1373768 (등록번호) 2014.03.06. KR 10-2018-0004549 (공개번호) 2018.01.1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고추와 같은 농작물이 펼쳐져 건조되는 건조대가 구비되는 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바퀴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대차 위에 상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며 양측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판 내측에서 갈고리 형상의 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가 회전하며 상기 핀이 상기 건조대에서 건조되는 고추를 들어올리고 상기 이동대차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향컨베이어에서 고추가 수직 낙하하여 고추를 골고루 뒤집어 놓음으로써, 높은 위치로 이동된 농작물이 수직 낙하하면서 서로 뒤섞일 수 있어 건조대에 두껍게 쌓인 고추라도 쉽고 균일하게 뒤집어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작물을 들어올려서 뒤집어 놓는 핀이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가 회전하는 교반수단을 건조대의 끝단에서 회전수단에 의해 180도 회전하고, 상기 상향컨베이어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며 뒤집기 작업을 하므로 건조대 위에서 왕복하는 모든 시간에 농작물을 뒤집으며 이동하므로 건조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교반수단을 회전하기 전에 들어올리고 회전 후 내리기 위한 전자기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교반수단을 일정각도로 들어올리도록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업소버가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대에 농작물이 두껍게 쌓여 있어도 농작물 전체를 경사진 상향컨베이어를 따라 넓은 면을 이동시킨 후 갑자기 낙하시키므로 모터를 빠르게 회전하지 않아도 쌓여 있는 농작물의 뒤집기를 할 수 있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작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건조대를 왕복하면서 면으로 형성된 상향컨베이어로 농작물을 올린 후 갑작스런 낙하를 시키므로 농작물의 뒤집기를 위하여 농작물을 교반기로 멀리 보내지 않아도 가능하여 농작물이 건조대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낮아 뒤집기 후에 잔업 비율이 매우 낮아지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작물의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에 별도의 컨베이어 장치와 포장대차를 부착시켜 건조된 농작물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농작물이 펼쳐져 건조되는 건조대(11)가 구비되는 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구동바퀴(110)가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구동모터(120)가 구비되는 이동대차(100)와; 상기 이동대차(100) 위에 설치되고, 상향 경사진 평면 형태의 상면이 구비되며, 양측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판(210) 내측에서 핀(22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열과 행으로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220)가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2구동모터(230)가 장착구비되는 교반수단(2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판(210) 외부 양측에서 고정설치되고 상기 교반수단(200) 하부에 배치되는 터렛(310)의 중심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대차(100)에 설치되는 회전모터(320)에 결합되는 피니언(330)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340)가 구비되어 상기 교반수단(200)을 이동대차(100) 위에서 180도 방향전환시키는 회전수단(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구동모터(230)에는 상기 상향컨베이어(22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수단(300)이 교반수단(200)을 회전하기 전에 상기 교반수단(200)을 들어올리고 회전 후에 내리기 위한 전자기 클러치(240)가 결합설치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상향컨베이어(220)는 상기 핀(221)에 의하여 건조대 위의 농작물을 들어 상면에 놓고, 상향 경사진 상면을 따라 위로 올린 후 회전에 의하여 상향컨베이어(220)의 후방에서 건조대로 수직 낙하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핀(221)은 상기 가이드 판(210)의 높이보다 낮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향컨베이어(220)은 상면의 전방 끝단에서 후방 끝단까지의 길이가 상향컨베이어(220)의 후방 끝단에서 건조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회전수단(300)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대차(100)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회전하는 수거컨베이어(501)을 포함하는 수거수단(500)이 구비되며, 상기 상향컨베이어(220)의 끝단이 상기 수거컨베이어(501)의 수직 상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거수단(500)의 끝단에는, 상부와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수납대차(600)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수거컨베이어(501)는 수거수단(5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거모터(510)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수납대차(600)는 상기 건조대(11) 외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복수개의 수납바퀴(610)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고추와 같은 농작물이 펼쳐져 건조되는 건조대가 구비되는 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바퀴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대차 위에 상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며 양측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판 내측에서 갈고리 형상의 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가 회전하며 상기 핀이 상기 건조대에서 건조되는 고추를 들어올리고 상기 이동대차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향컨베이어에서 고추가 수직 낙하하여 고추를 골고루 뒤집어 놓음으로써, 높은 위치로 이동된 농작물이 수직 낙하하면서 서로 뒤섞일 수 있어 건조대에 두껍게 쌓인 고추라도 쉽고 균일하게 뒤집어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농작물을 들어올려서 뒤집어 놓는 핀이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가 회전하는 교반수단을 건조대의 끝단에서 회전수단에 의해 180도 회전하고, 상기 상향컨베이어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며 뒤집기 작업을 하므로 건조대 위에서 왕복하는 모든 시간에 농작물을 뒤집으며 이동하므로 건조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상기 교반수단을 회전하기 전에 들어올리고 회전 후 내리기 위한 전자기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교반수단을 일정각도로 들어올리도록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업소버가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건조대에 농작물이 두껍게 쌓여 있어도 농작물 전체를 경사진 상향컨베이어를 따라 넓은 면을 이동시킨 후 갑자기 낙하시키므로 모터를 빠르게 회전하지 않아도 쌓여 있는 농작물의 뒤집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농작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건조대를 왕복하면서 면으로 형성된 상향컨베이어로 농작물을 올린 후 갑작스런 낙하를 시키므로 농작물의 뒤집기를 위하여 농작물을 교반기로 멀리 보내지 않아도 가능하여 농작물이 건조대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낮아 뒤집기 후에 잔업 비율이 매우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농작물의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에 별도의 컨베이어 장치와 포장대차를 부착시켜 건조된 농작물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어 노동력 감소와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가 온실 내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이동대차와 교반수단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이동대차와 교반수단과 회전수단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전자기 클러치의 사시도이고,
도 5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전자기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이동대차가 이동하며 상향컨베이어가 회전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이동대차가 도 6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향컨베이어가 역으로 회전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교반수단을 들어올리고 180도 회전한 후 다시 내리고 이동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의 상태도이다 .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수거컨베이어와 수납대차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수거컨베이어와 납대차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뒤집기 장치의 수거컨베이어와 대차의 하부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온실(1) 내의 건조대(11)에 놓인 고추를 자동으로 뒤집기 위한 장치로서,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고추와 같은 농작물이 펼쳐져 건조되는 건조대(11)가 구비되는 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구동바퀴(110)가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구동모터(120)가 장착구비되는 이동대차(100)와,
상기 이동대차(100) 위에서 설치되고, 상향 경사진 평면 형태의 상면이 구비되며, 양측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판(210) 내측에서 갈고리 형상의 핀(22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열과 행으로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220)가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2구동모터(230)가 상기 가이드 판(210) 외부 일측에 장착구비되는 교반수단(200)과,
상기 가이드 판(210) 외부 양측에서 고정설치되고 상기 교반수단(200) 하부에 배치되는 터렛(310)의 중심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대차(100)에 설치되는 회전모터(320)에 결합되는 피니언(330)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340)가 구비되어 상기 교반수단(200)을 이동대차(100) 위에서 180도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되는 대표 농작물이 고추이므로 이하 농작물을 고추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상기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상기 교반수단(200)의 상향컨베이어(220)가 제2구동모터(230)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핀(221)이 상기 건조대(11)에서 건조되는 고추를 들어올려서 상기 상향컨베이어(220)의 후방 끝단의 상부에서 건조대로 상기 고추를 수직ㅇ,로 떨어뜨려 고추를 골고루 뒤집게 되며, 상기 프레임(10)의 끝단에서 상기 교반수단(200)이 회전수단(300)에 의해 180도 방향전환하고 상기 교반수단(200)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추를 뒤집는 작업을 이어서 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교반수단은 건조대 위에서 전진할때에 후진할때에 모두 고추를 뒤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7~10cm 정도의 두꺼운 두께로 쌓여 있는 고추를 충분히 골고루 뒤집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온실(1) 내에서 고추와 같은 농작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대(11)를 온실(1)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형성하기 위한 틀로 구비되고, 농작물로 온풍을 공급하여 건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온실내에 온풍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대(11)는 고추와 같은 농작물이 펼쳐져 건조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다공성 건조판 또는 일자형 건조판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10)의 가이드 레일(12)이 상기 건조대(11) 보다 일정높이 위에 구비된다.
고추 등 농작물을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태양이 있는 주간은 물론, 태양이 없는 야간과 태양이 있더라도 비가 오거나 흐른 날에도 계속하여 건조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건조대(11)는 건조판과 건조판 사이 또는 건조대(11) 하부에 파이프(13)를 연속적으로 두고, 파이프에서 온열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건조대(11)가 다공성 건조판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에는 그 하부에 파이프(13)를 배치하고, 건조대(11)가 일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에는 건조판과 건조판 이에 파이프(13)를 두며( 도9 참조), 그 파이프 내측에 별도의 보일러에 의하여 가열된 물 또는 열매체를 계속 흐르게 하여 건조대 위에 놓은 농작물에 온열을 제공한다. 온열이 제공되는 쪽에는 따뜻한 열(13a)이 나오고, 건조대를 지나는 파이프에는 농작물 사이를 지나며 온도가 하강하여 조금 차가워진 열(13b)가 흐를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에는 물 또는 열매체가 아닌 전기에 의하여 열을 제공하는 열선에 의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100)는 상기 교반수단(200)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으로, 상기 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내측에서 고추가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가이드 레일 밑으로 지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10)의 끝단에서 자동으로 멈출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은 고추가 쌓여 있는 높이보다 높게 구비시켜 고추가 건조중에 건조대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동대차(100)에는 4개의 구동바퀴(110)가 구비되어 이중 2개의 바퀴는 제1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받고, 2개의 바퀴는 구동력 없이 베어링으로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나, 설명의 편의상 구동바퀴로 칭한다. 상기 구동바퀴(110)는 상기 이동대차(100) 내측에 장착구비되는 제1구동모터(120)와 연결되는 제1기어(130)가 장착되는 제1회전축(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140)과 연결된 전방에 위치한 2개의 바퀴가 이동하게 되며, 후방에 위치한 2개의 바퀴는 전방의 바퀴의 움직임에 의해 따라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회전축(140)은 2개의 바퀴를 연결하는 중심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대차(100)의 상부에는 회전수단(300)과 교반수단(200)이 차례로 결합되며, 상기 교반수단(200)이 고정결합되는 회전수단(300)이 상기 이동대차(100)에 방향전환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회전수단(300)에 의해 상기 교반수단(200)을 이동대차(100) 상부에서 방향전환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교반수단(200)은 상향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회전수단(300)에 의해 방향전환 하기 전에 일정각도 들어올려서 핀(221)의 하부높이가 쌓여진 고추 높이 보다 높아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교반수단(200)의 양측에는 가이드 판(210)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판(210) 내측에는 평면 형상의 상면을 갖는 상향컨베이어(220)가 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230)와 연결되는 제2회전축(250)이 상기 가이드 판(210)과 상향컨베이어(220)의 후방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향컨베이어(220)는 상면이 넓은 판 형상으로 상기 건조대의 너비보다 작게 구비되며 건조대 위에서 이동대차(100)의 이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건조대 위에 놓은 고추를 상향컨베이어(220)의 상면에 올려 놓아 고추를 상향 경사지게 이동시킨다.
상향컨베이어(220)의 후방에 도달한 고추는 수직으로 건조대 위로 떨어진다. 고추는 핀(221)에 의하여 들어올리면서 핀의 끝단에서 상향컨베이어(220)의 상면으로 이동하며 1차로 뒤섞이고, 상향컨베이어(220)의 후방에서 건조대(11)로 떨어지며 2차로 뒤섞여 건조대 위에 두껍게 쌓인 모습에서 상부와 하부 사이에 위치 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에 완전히 하부에 위치한 고추가 상부로 위치 변경이 변경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동대차가 왕복으로 이동하면 계속하여 위치변경을 시켜줌으로 하부에 있는 고추가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에 있는 고추가 하부로 이동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된다.
상향컨베이어(220)의 상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은 전방끝단에서에서 후방 끝단까지의 길이가 상향컨베이어(220)의 후방끝단에서 건조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향컨베이어가 경사지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판(210)은 일정높이의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향컨베이어(220)가 회전하며 이송되는 고추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상향컨베이어(220)에 설치되는 핀(221)보다 그 높이가 높게 구비되어 상기 핀(221) 사이사이에 들어가는 고추가 상향컨베이어(220) 양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향컨베이어(220)는 내측에 체인(미도시) 또는 벨트(미도시)로 상하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제2구동모터(23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2구동모터(230)에는 상기 제2회전축(250)이 장착되고, 상기 제2회전축(250)에 의해 상기 상향컨베이어(220)가 이동 대차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핀(221)은 많은 양의 고추를 안정적으로 건조대(11)에서 들어 상향컨베이어(220)의 상면에 올릴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향컨베이어(220)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통공에 결합되되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줄 형태로 구비되며, 한 줄에 다수개의 핀(221)으로 고추가 지지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같은 열에서의 핀(221)과 핀 사이의 간격, 열과 열 사이의 간격은 농작물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핀(221)은 건조대(11) 위에 놓인 농작물을 들어 올려야 하므로 건조대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아래로 라운드되게 형성되며, 라운드의 직경은 건조되는 농작물에 종류에 따라 다르게 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10) 위에서 왕복하며 농작물을 뒤집을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끝단에 이동대차가 도착하면 프레임(10) 위에서 180도 방향전환해서 이동되어 왔던 방향(역방향)으로 이동하며 뒤집기를 할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10) 위에서 이동하면서 계속하여 농작물을 뒤집을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터(230)에는 상기 교반수단(200)를 180도 회전(방향전환)시키기 위해 제2회전축(250)이 장착되되, 상기 회전수단(300)이 교반수단(200)을 180도 회전시키기 전에 상기 상향컨베이어(220) 및 가이드 판(210)을 상기 제2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전방을 상승시키고 회전수단(300)에 의하여 180도 회전시킨 후에 하강시키기 위해 전자기 클러치(240)가 결합설치된다.
상기 제2구동모터(230)는 이동대차가 프레임 위에서 이동하며 고추를 들어올리도록 상향컨베이어(220)만을 회전(제1차 회전)시켜 핀(221)에 걸린 고추가 상향컨베이어의 전방에서 올려져 상향컨베이어의 상면에 놓여진 후 경사 이동되고, 후방에서 수직으로 낙하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이동대차의 운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프레임의 끝단에 도착하였을 때에 180도 방향 전환시키기 전후에서 회전(제2차 회전)을 실시한다. 상기 제2차 회전은 상향컨베이어(220)와 가이드 판(210)이 포함된 교반수단(200)이 상승 또는 하강 회전된다. 제2차 회전은 회전수단(300)에 의하여 교반장치가 180도 방향 전환되기 전후에서 수행되며, 교반장치(200)가 방향전환하면서 건조대(11)에 상향컨베이어(220)의 끝단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향컨베이어(220)만을 회전시켜 고추를 뒤섞는 회전 동작과 상향컨베이어(220)의 운행방향을 반대로 하기 위하여 상향컨베이어(220)와 가이드 핀(210)가 포함된 교반수단(200)을 회동시키는 회전 동작이 제2구동모터(230)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전자기 클러치(240)는 하우징(241) 내측에 코일(242), 로터(243), 아마추어(244) 및 출력부(245)가 결합구성되어 상기 코일(242)에 전류가 인가되면 로터(243)와 아마추어(244)가 코일(242)에 붙어 상기 제2구동모터(230)가 구동시 상기 교반장치(200)가 상기 제2회전축(25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되며(제2차 회전),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면 아마추어(244)가 코일(242)에서 벗어나 그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상향컨베이어(220)만이 그 자리에서 회전되는 제1차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기 클러치의 동작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회전수단(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판(210)의 외부 양측에서 상기 제2회전축(250)이 관통결합되는 회전축 삽입공(311)에 의해 상기 교반수단(2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수단(200) 하부에 배치되는 터렛(310)과, 상기 이동대차(100)에 고정설치되는 회전모터(320)과, 상기 회전모터(320)에 결합되는 피니언(330)과, 상기 터렛(310)의 하부 중심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330)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340)로 이루어져 상기 교반수단(200)을 이동대차(100) 위에서 180도 방향전환하게 한다.
상기 터렛(310)은 상기 교반수단(200)의 하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교반수단(200)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모터(32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모터(320)는 상기 이동대차(100)가 프레임(10)의 끝단에 갔을 때 멈춘 상태에서 180도 방향전환 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교반수단(200)이 180도 방향전환 후 상기 이동대차(10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모터(320)는 피니언(330)이 결합형성되고, 상기 피니언(330)에는 제2기어(340)가 맞물려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기어(340)는 이동대차를 가로지르는 가로판과 결합되어 터렛(310)에 고정결합된다.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상기 가이드 판(210)과 터렛(3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교반수단(200)의 가이드 판(210) 외측에 방향전환 하게 결합설치되고, 반대측이 상기 터렛(310)의 업소버 결합부(312)에 방향전환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 클러치(240)에 의해 상기 교반수단(200)이 들어올려질 때 상기 교반수단(200)을 잡아당기는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업소버(400)가 더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방향전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업소버(400)는 쇼바로 줄여서 부르기도 하는 쇼크업소버로 스프링의 신축 작용을 억제하여 기기를 안정시키는 장치로 흔들림에 대한 브레이크(저항)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업소버(400)는 스프링의 수축을 조절해 충격을 받은 스프링이 위아래로 반복해서 운동을 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스프링이 원상태로 천천히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의 신축 작용은 농작물 뒤집기 장치가 위 아래로 흔들리거나 진동하는 것을 약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건조대(11)에 펼쳐져 적재된 고추와 같은 농작물을 쉽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이동대차(100)가 프레임(10)의 끝단에서 멈추게 되고, 상기 전자기 클러치(240)가 교반수단(200)을 일정각도로 들어올리게 되며, 상기 회전수단(300)이 교반수단(200)을 180도 회전한 후 상기 교반수단(200)을 상향경사진 형태로 일정각도 내린 다음 상기 교반수단(200)이 역으로 회전하며 상기 이동대차(10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추와 같은 농작물을 뒤집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상기 이동대차(100), 교반수단(200) 및 회전수단(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대차(100)와 교반수단(200)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추 등 농작물은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교반정도를 조절해야함으로써, 상기 제어부에서 이동대차(100)와 교반수단(20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를 이용하여 고추를 뒤집게 되면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되는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조된 농작물을 건조대에서 내려 별도의 수거 자루 또는 포장용기에 넣는 것을 모두 사람이 수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건조대(11)는 주변에 가이드레일(12)이 구비되어 농작물 수거가 다른 곳에서 건조시키는 농작물보다 더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회전수단(300) 또는 이동대차(100) 일측에 수거수단(500)와 수납대차(600)를 착탈식으로 결합시켜 건조가 완료된 농작물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수거수단(500)의 수거컨베이어(501)의 회전(또는 이동)방향은 이동대차(100)의 이동방향 및 교반수단(200)의 상향컨베이어(220)의 회전(또는 이동) 방향과 서로 수직으로 형성(즉, 건조대의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위치한다)되며, 경사져 상부로 올라간 상향컨베이어(220)의 끝단이 상기 수거컨베이어(501)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여 상향컨베이어(220)의 끝단에서 떨어지는 농작물이 상기 수거컨베이어(501)의 상면으로 낙하하고, 상기 상향컨베이어(220)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되어 건조대(11)의 일측 끝단으로 농작물을 이송하여 구비된 수납대차(600)에 놓인 포장용기(640) 속으로 들어간다. 본 발명의 상향컨베이어(220)는 일측이 건조대에 가깝지만, 상향 경사진 평면으로, 타측이 건조대에서 상당히 높게 배치되고, 상당히 높아진 상향컨베이어의 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수거컨베이어(501)가 위치한다.
수거수단(500)은 일측에 수거모터(510)가 구비되어 수거컨베이어(501)를 회전시키며, 수거컨베이어(501)는 건조대에서 일정 간격 상부로 이격되어 건조대(11)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수거컨베이어(501)의 측면 양쪽에는 상부로 길게 돌출된 수거가이드(520)가 구비되어 상향컨베이어(220)에서 낙하한 농작물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수거가이드(520)의 외측에는 수납대차와 결합하는 수거지지판(521)이 설치되며, 수거지지판(521)의 끝단에는 수납대차(600)의 수거결합부(650)와 결합되도록 장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홈은 건조대(11) 사이의 간격이 건조대마다 달라 수납대차(600)와 결합할 때 이러한 차이를 수용하기 위함이다.
수거수단(500)의 수거컨베이어(501)는 수거모터(510)에 의하여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며, 양쪽에 수거회전축(540)이 설치된다. 수거컨베이어(501)의 하단에는 수거컨베이어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수거컨베이어(501)를 아래에서 가로지르는 수거받침부(530)가 수거지지판(521)과 결합되어 있다. 수거수단(500)은 수거지지판(520)에서 회전수단(300) 또는 이동대차(100)와 결합되나 수거받침부(530) 또는 수거가이드(520)에서 결합될수도 있다. 수거수단(500)과 회전수단 또는 이동대차와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 또는 돌기와 홈 등 암수결합 형태와 같이 다양한 양태로 결합될 수 있다.
수거컨베이어(501)는 건조대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건조대(11) 위에 놓인 농작물을 들어올려 경사지게 상향으로 이송시킨 상향컨베이어(220)의 상향 끝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향컨베이어(220)에서 낙하되는 농작물을 수거하여 수납대차(600)쪽으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은 상향컨베이어에 의하여 농작물이 건조대에서 위로 들어올려질 수 있어 건조된 농작물을 쉽게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거컨베이어(501)는 농작물이 건조된 이후에 부착시키며, 농작물을 건조하는 동안에는 부착하지 않는다.
한편, 수거수단(500)의 일측 끝단에는 수납대차(600)가 결합된다. 수납대차(600)는 수거컨베이어(501)에서 이송된 농작물이 수거되는 대차로, 건조대(11) 외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삽입된 포장용기(640)에 상부에서 건조된 농작물이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포장용기를 들지 않고 이동시키기 위하여 측면 일측이 개방된다.
수납대차(600)는 수거수단(500)과 일체형으로 또는 착탈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10에서는 착탈식 형태를 도시하였다.
건조된 농작물의 무게가 가벼울 경우에 수납대차(600)는 별도의 바퀴없이 수거수단(500)과 결합되어, 수납대차(600)의 하부가 지면에서 일정 이상 이격되어 이동대차의 구동력으로 이동된다. 건조된 농작물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에는 수납대차(600)는 하부에 복수개의 수납바퀴(610)를 구비하여 지면과 맞닿으며 이동대차(100)와 같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납바퀴(610)는 수거수단과 결합되어 이동되거나 별도의 수납대차모터(630)를 구비하여 수납바퀴(610) 사이를 연결하는 수납바퀴축(620)과 결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수납대차(600)의 이동속도는 이동대차의 이동속도와 동일하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포장용기(640)는 수납대차(600) 위에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펼쳐져 수거컨베이어(501)에서 이송된 농작물이 들어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수납대차(600)의 내부 측면에는 포장용기(640)의 상부가 개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건조된 농작물이 포장용기(640)에 안전하게 낙하하기 위해서 수거컨베이어(501)의 끝단이 포장용기(640)의 수직 상부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고추와 같은 농작물이 펼쳐져 건조되는 건조대(11)가 구비되는 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바퀴(110)가 제1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대차(100) 위에 설치되고 상향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며 양측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판(210) 내측에서 갈고리 형상의 핀(22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220)가 회전하며 상기 핀(221)이 상기 건조대(11)에서 건조되는 고추를 들어올려서 상기 이동대차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향컨베이어에서 고추가 수직 낙하하여 고추를 골고루 뒤집어 놓음으로써, 상기 건조대(11)에 두껍게 쌓인 고추를 쉽고 균일하게 뒤집어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고추를 들어올려서 뒤집어 놓는 핀(221)이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220)가 회전하는 교반수단(200)을 건조대(11)의 끝단에서 회전수단(300)에 의해 180도 회전하고, 상기 상향컨베이어(220)가 역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후진하고 다시 회전하는 장치에 비해 기기의 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모터를 빠르게 회전시키지 않아도 두껍게 적재된 농작물의 하부도 쉽게 들어올려 뒤집을 수 있어 건조대 내부에서 농작물을 이탈시키지 않으면서 뒤집기가 가능하여 뒤집기 후속 작업이 필요없어 노동력 절감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상기 교반수단(200)을 회전하기 전에 들어올리고 회전 후 내리기 위한 전자기 클러치(240)가 구비되고, 상기 교반수단(200)이 일정각도로 들어올리도록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업소버(400)가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작물 뒤집기 장치는 농작물의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에 별도의 수거수단(500)과 수납대차(600)를 부착시켜 건조된 농작물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어 노동력 감소는 물론 신속하게 건조된 농작물을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온실
10 : 프레임 11 : 건조대
12 : 가이드 레일
100 : 이동대차 110 : 구동바퀴
120 : 제1구동모터 130 : 제1기어
140 : 제1회전축
200 : 교반수단 210 : 가이드 판
220 : 상향컨베이어 221 : 핀
230 : 제2구동모터 240 : 전자기 클러치
241 : 하우징 242 : 코일
243 : 로터 244 : 아마추어
245 : 출력부 250 : 제2회전축
300 : 회전수단 310 : 터렛
311 : 회전축 삽입공 312 : 업소버 결합부
320 : 회전모터 330 : 피니언
340 : 제2기어
400 : 업소버
500 : 수거수단 501:수거컨베이어
510 : 수거모터 520 : 수거가이드
600: 수납대차 610 : 수납바퀴
640: 포장용기 650 : 수납결합부

Claims (9)

  1.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농작물이 펼쳐져 건조되는 건조대(11)가 구비되는 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구동바퀴(110)가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구동모터(120)가 구비되는 이동대차(100)와;
    상기 이동대차(100) 위에 설치되고, 상향 경사진 평면 형태의 상면이 구비되며, 양측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판(210) 내측에서 핀(22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열과 행으로 설치되는 상향컨베이어(220)가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2구동모터(230)가 장착구비되는 교반수단(200);
    을 포함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판(210) 외부 양측에서 고정설치되고 상기 교반수단(200) 하부에 배치되는 터렛(310)의 중심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대차(100)에 설치되는 회전모터(320)에 결합되는 피니언(330)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340)가 구비되어 상기 교반수단(200)을 이동대차(100) 위에서 180도 방향전환시키는 회전수단(300);
    을 포함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모터(230)에는 상기 상향컨베이어(22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수단(300)이 교반수단(200)을 회전하기 전에 상기 교반수단(200)을 들어올리고 회전 후에 내리기 위한 전자기 클러치(240)가 결합설치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컨베이어(220)는 상기 핀(221)에 의하여 건조대 위의 농작물을 들어 상면에 놓고, 상향 경사진 상면을 따라 위로 올린 후 회전에 의하여 상향컨베이어(220)의 후방에서 건조대로 수직 낙하시키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향컨베이어(220)은 상면의 전방 끝단에서 후방 끝단까지의 길이가 상향컨베이어(220)의 후방 끝단에서 건조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00) 또는 이동대차(100)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대차(100)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회전하는 수거컨베이어(501)를 포함하는 수거수단(500)이 구비되며;
    상기 상향컨베이어(220)의 경사진 상향 끝단이 상기 수거컨베이어(501)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수단(500)의 끝단에는, 상부와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수납대차(600)가 결합되어 있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컨베이어(501)는 수거수단(5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거모터(510)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수납대차(600)는 상기 건조대(11) 외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복수개의 수납바퀴(610)가 구비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221)은 상기 가이드 판(210)의 높이보다 낮게 구비되는 농작물 뒤집기 장치.



KR1020180089846A 2018-06-07 2018-08-01 농작물 뒤집기 장치 KR102024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79 2018-06-07
KR20180065579 2018-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808B1 true KR102024808B1 (ko) 2019-09-24

Family

ID=6806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846A KR102024808B1 (ko) 2018-06-07 2018-08-01 농작물 뒤집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8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0855A (zh) * 2020-04-03 2020-07-17 杨丽丽 一种拼接装饰玻璃烘干装置
CN112066667A (zh) * 2020-09-18 2020-12-11 南京农业大学 一种豆豉加工用具有自动收集功能的黄豆晾晒装置
CN112611196A (zh) * 2020-12-22 2021-04-06 王艳民 一种护肤品薰衣草提取液制备方法
CN114716129A (zh) * 2022-04-11 2022-07-08 广西壮族自治区畜牧研究所 一种畜牧牛粪处理用温控式烘干装置
CN115574560A (zh) * 2022-09-13 2023-01-06 中国计量大学 一种铁皮石斛用加工设备及使用方法
CN115900289A (zh) * 2022-10-24 2023-04-04 卢远亮 一种农作物辅助晾晒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957Y1 (ko) * 2000-09-15 2001-02-15 주식회사한국자외선 고추 건조설비
KR20120070187A (ko) * 2010-12-21 2012-06-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자동 교반 장치
KR20140004441A (ko) * 2012-07-03 2014-01-13 손판해 농산물 다목적 건조 장치
KR20180004549A (ko) 2016-07-04 2018-01-12 주식회사 지앤피 농산물 고추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957Y1 (ko) * 2000-09-15 2001-02-15 주식회사한국자외선 고추 건조설비
KR20120070187A (ko) * 2010-12-21 2012-06-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자동 교반 장치
KR101172634B1 (ko) 2010-12-21 2012-08-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자동 교반 장치
KR20140004441A (ko) * 2012-07-03 2014-01-13 손판해 농산물 다목적 건조 장치
KR101373768B1 (ko) 2012-07-03 2014-03-13 손판해 농산물 다목적 건조 장치
KR20180004549A (ko) 2016-07-04 2018-01-12 주식회사 지앤피 농산물 고추 건조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0855A (zh) * 2020-04-03 2020-07-17 杨丽丽 一种拼接装饰玻璃烘干装置
CN111420855B (zh) * 2020-04-03 2022-09-02 杨丽丽 一种拼接装饰玻璃烘干装置
CN112066667A (zh) * 2020-09-18 2020-12-11 南京农业大学 一种豆豉加工用具有自动收集功能的黄豆晾晒装置
CN112066667B (zh) * 2020-09-18 2022-02-01 南京农业大学 一种豆豉加工用具有自动收集功能的黄豆晾晒装置
CN112611196A (zh) * 2020-12-22 2021-04-06 王艳民 一种护肤品薰衣草提取液制备方法
CN112611196B (zh) * 2020-12-22 2022-04-15 吉林省蓝浦浩业科技有限公司 一种护肤品薰衣草提取液制备方法
CN114716129A (zh) * 2022-04-11 2022-07-08 广西壮族自治区畜牧研究所 一种畜牧牛粪处理用温控式烘干装置
CN114716129B (zh) * 2022-04-11 2023-01-13 广西壮族自治区畜牧研究所 一种畜牧牛粪处理用温控式烘干装置
CN115574560A (zh) * 2022-09-13 2023-01-06 中国计量大学 一种铁皮石斛用加工设备及使用方法
CN115574560B (zh) * 2022-09-13 2024-02-23 中国计量大学 一种铁皮石斛用加工设备及使用方法
CN115900289A (zh) * 2022-10-24 2023-04-04 卢远亮 一种农作物辅助晾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808B1 (ko) 농작물 뒤집기 장치
KR102190840B1 (ko) 농산물 건조용 교반장치
KR100940418B1 (ko) 채소수확기
CN110338198A (zh) 一种自动烘烤设备
CN113498869A (zh) 一种瓜蒌籽加工用烘干装置
CN112344719A (zh) 一种茶艺茶叶烘干装置
CN207410952U (zh) 一种方便折叠的温室大棚
CN108811784A (zh) 一种基于玉米面条生产的物料加工设备
CN205511078U (zh) 植物栽培机
CN206324125U (zh) 一种多层萎凋架结构及具有其的萎凋室
CN110934316B (zh) 一种宠物罐头生产用鲜鱼蒸煮装置
CN208547186U (zh) 一种油茶籽冷藏前的处理装置
CN107114498B (zh) 茶叶加工流水线
CN104067729A (zh) 一种种子包衣设备
CN207266533U (zh) 马铃薯收获机及收获系统
CN205682393U (zh) 一种回转烘干蔬菜脱水装置
CN110651848A (zh) 一种茶叶摇青机
CN207340837U (zh) 一种自动采收的循环式栽培架
CN109527131A (zh) 一种茶叶烘干设备及花茶制作方法
KR102024798B1 (ko) 농산물 교반장치
CN107333919B (zh) 茶叶萎凋室
CN206564835U (zh) 一种小麦收割装置
CN208480582U (zh) 一种饲料自动加工和喂养系统
CN207219620U (zh) 一种全自动循环式菌菇栽培架
CN206776671U (zh) 一种方便收集茶叶的萎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