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498B1 -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498B1
KR102190498B1 KR1020190132602A KR20190132602A KR102190498B1 KR 102190498 B1 KR102190498 B1 KR 102190498B1 KR 1020190132602 A KR1020190132602 A KR 1020190132602A KR 20190132602 A KR20190132602 A KR 20190132602A KR 102190498 B1 KR102190498 B1 KR 10219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unit
transfer
fram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2Gates or closures having closure members movable out of the plane of the opening
    • B65D90/623Gates or closures having closure members movable out of the plane of the opening having a rotation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9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for augmenting or creating a pression force between the load and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65G28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피더부, 상기 이송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더부를 지지하는 피더부프레임, 상기 피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OVERCHARGING CONTROLING APPARATUS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원료의 불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구의 개폐를 통해 원료의 불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 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 및 광석은 대부분 부두에서 연속식 하역기로 하역작업을 거친 후, 지상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원료저장고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8376호(2014.06.09 공개, 발명의 명칭: 이송물 공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료의 과불출을 방지하고 일정한 양의 원료를 이송할 수 있는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는: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피더부; 및 상기 피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이송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이송부로부터 설정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쌓인 원료가 닿으면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피더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중심축; 및
상기 회전부중심축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부의 외측에 구비된 제2프레임부; 및 일측이 상기 회전부중심축에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피더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부재가 외주에 접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피더부보다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더부는, 상기 이송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3프레임부; 상기 제3프레임부에 구비되는 피더부중심축; 및 상기 피더부중심축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부중심축에 구비되어, 상기 피더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피더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피더를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에 쌓이는 원료의 높이에 따라 작동되는 피더의 개폐동작에 의해 원료의 불출량이 조절됨으로써, 원료의 과불출에 따른 낙광 및 벨트 컨베이어의 오버로드를 방지하고 설비고장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평상시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원료과불출 시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피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평상시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원료과불출 시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피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는 투입부(100), 이송부(200), 피더부(300), 피더부프레임(310), 작동부(400)를 포함한다.
투입부(100)는 원료가 투입되는 곳으로, 원료가 상부로 투입되서 하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1에서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호퍼(hopper)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료를 투입받아 배출하는 슈트(chute), 상하부의 넓이가 동일한 호퍼(hopper) 등으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송부(200)는 투입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원료를 배출구(110)로부터 공급받아 원료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송부(200)는 벨트 상부로 배출되어 쌓이는 원료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고 이송이 완료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무한궤도 구조의 벨트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롤러의 회전으로 원료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롤러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피더부프레임(310)은 이송부(2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이송부(200)를 사이에 둔 2개의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2개의 기둥이 수평한 축에 의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피더부프레임(310)은 투입부(100)하단과 후술할 피더부(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송부(200)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피더부(300)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피더부(300)는 투입부(100)와 이송부(200)의 사이에 위치하여 투입부(100)하부의 배출구(110)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편평한 판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원료가 배출되지 않는 한쪽 끝이 투입부(100)의 하단과 피더부프레임(310)에 핀과 같은 장치에 의해 결합되어 투입부(100)와 이송부(200)사이에서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배출구(110)의 개방시에는 배출구(110)로부터 공급받은 원료가 이송부(200)로 연속적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배출구(110)의 폐쇄시 피더부(300)의 원료를 배출하는 일측이 투입부(100)와 충돌하여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더부결합부(310)와 결합하는 결합수단에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하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투입부(100)와 접촉하는 지점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압축스프링과 같은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작동부(400)는 피더부(300)으로부터 원료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작동부(400)의 일측은 피더부(300)의 일측과 연결되어 피더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외력을 부가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작동부(400)는 제1프레임부(410), 회전부(420), 구동부(430)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부(410)는 이송부(2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이송부(200)를 사이에 둔 2개의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2개의 기둥이 수평한 축에 의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프레임부(410)는 후술할 회전부(420)가 결합되어 회전부(420)을 지지하고 회전부(4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조 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송부(200)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회전부(420)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회전부(420)는 제1프레임부(4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송부(200)로부터 설정높이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설정높이는 원료의 종류, 이송부(200)의 종류, 공정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부(410)에는 회전부(4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420)는 원료가 설정높이 이하가 되어 회전부(420)의 원료방향으로의 회전이 중단되면 피더부(300)가 다시 배출구(200)을 개방할 수 있게 반대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동부(430)는 일측이 회전부(420)와 연결되고 타측이 피더부(300)과 연결되어 회전부(420)의 회전에 연동되어 피더부(300)를 위로 당길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구동부(430)는 피더부(300)와 회전부(4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30)은 회전부(420)의 회전이 중단되고 회전부(4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더부(300)가 다시 배출구(200)를 개방할 수 있도록 왕복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420)는 회전부중심축(421)과 날개부(422)를 포함한다.
회전부중심축(421)은 양단이 제1프레임부(410)의 관통홀에 결합되어 회전부(420)를 지지한다. 회전부중심축(421)은 회전부(420)를 지지하면서도 회전부(420)의 회전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중심축(421)에는 후술할 와이어부(432)가 권출 및 권선될 수 있도록 권선홈(423)이 형성된다. 권선홈(423)은 와이어부(432)가 회전부(4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전부중심축(42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날개부(422)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권선홈(423)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422)는 회전부중심축(421)의 외주에 형성된다. 날개부(422)의 폭은 이송부(200)의 폭과 수평하도록 형성되며 폭의 넓이는 이송부(200)의 원료가 이송부(200)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한 높이로 이송되도록 폭 넓이와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날개부(422)는 복수로 형성된다. 날개부(422)의 개수는 원료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원료의 높이 변화에 따른 회전부(420)의 반응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개수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날개부(422)는 회전부중심축(421)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날개부(422)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원료로부터 회전부(420)로 힘이 가해지는 주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회전부(420)의 회전을 일정속도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420)는 이송부(200)로부터 설정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설정높이는 날개부(422)의 회전부중심축(421)에서 먼쪽의 단부가 이송부와 가장 가까울 때의 거리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30)는 제2프레임부(431), 와이어부(432), 가이드부(433)를 포함한다.
제2프레임부(431)는 이송부(2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이송부(200)를 사이에 둔 2개의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2개의 기둥이 수평한 축에 의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프레임부(410)는 후술할 가이드부(433)가 결합되어 가이드부(433)를 지지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조 등의 결합수단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송부(200)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가이드부(433)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와이어부(432)는 회전부(420)에 권선될 수 있도록 로프 형상을 가진다. 또한 피더부(300)의 하중에 의해 걸리는 장력을 견디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강철 등과 같은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와이어부(432)의 일단은 회전부중심축(421)에 형성된 권선홈(423)에 권선 또는 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와이어부(432)의 타단은 피더부의 일측에 연결부(434)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와이어부(43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부(432)의 강도 및 피더부(300)에 걸리는 하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를 갖는다.
연결부(434)는 와이어부(432)와 피더부(300)을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리결합, 일체형결합, 부착식결합등 다양한 구성의 결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434)의 위치는 와이어부(432)의 장력을 피더부(30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피더부(300)의 원료가 배출되는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중심축(421)은 피더부(300)에 연결된 연결부(434)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회전부(420)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부(432)에 작용하는 장력이 피더부(300)를 위쪽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420)가 위쪽으로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부(432)와 피더부(300)가 이루는 각도가 커지고 이에 따라 수직방향의 장력을 키울 수 있어 피더부(300)의 회동을 더 효과적으로 일으킬 수 있다.
가이드부(43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피더부(300)와 회전부(4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프레임부(431)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가이드부(433)는 와이어부(432)가 일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외주면에 가이드부홈(435)이 형성될 수 있다.이러한 구성을 통해, 회전부(420)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 없이 와이어부(432)에 가해지는 장력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33)는 회전부(420)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420)가 도 5의 실시예에 비해 낮게 설치되더라도 가이드부(433)에 의해 와이어부(432)와 피더부(300)가 이루는 각도를 키워 피더부(300)에 가해지는 수직방향의 장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더부(300)는 피더부중심축(320), 피더(330), 탄성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더부중심축(320)은 양단이 피더부프레임(310)의 관통홀에 결합되어 피더부(300)를 지지한다. 피더부중심축(320)은 피더부(300)를 지지하면서도 피더부(300)의 회전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더부중심축은(320)은 후술할 탄성부재(340)가 내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더(330)는 편평한 판형으로 형성되며 피더부중심축(320)이 내부에 구비되거나 피더부중심축(320)을 기준으로 두개의 피더(330)가 수평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더(330)의 일측에는 와이어부(432)가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434)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40)는 피더부중심축(3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일측은 피더(330)에, 타측은 피더부프레임(310)에 결합할 수 있다. 탄성부재(340)는 피더부(300)가 배출구(110)을 개방하고 있을 때, 즉 피더(330)가 와이어부(432)와 연결된 부분이 아래로 기울어져 있을 때 탄성부재(340)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340)는 피더부(300)가 배출구(110)를 닫은 후 회전부(420)의 회전이 중단되면 피더부(300)가 다시 배출구(11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탄성부재(340)에 의한 탄성력이 회전부(420)가 원료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피더부(300)로 전달되는 장력보다 작도록 적절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구성을 선택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340)를 비틀림스프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더부(300)가 배출구(110)를 다시 개방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5를 참조하면, 투입부(100)로 투입된 원료는 배출구(110)로 배출되며 원료를 배출구(110)로부터 공급받은 피더부(300)는 원료를 이송부(200)로 배출한다. 이 때 과불출이 일어나지 않는 평상시에는 피더부프레임(3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피더부(300)가 배출구(110)를 개방하는 방향인 아래로 기울어져 원료를 배출하게 된다. 배출된 원료는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된다.
과불출이 일어나게 되면 피더부(300)에서 배출되는 원료의 양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원료의 높이가 설정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원료가 회전부(420)의 날개부(422)에 닿게되고, 원료가 날개부(422)를 밀어내는 힘이 토크로 전환되어 회전부(42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4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420)의 회전부중심축(421)의 권선홈(423)에 설치된 와이어부(432)가 권선된다. 와이어부(432)가 권선됨에 따라 와이어부(432)에 장력이 걸리게 되고, 장력은 와이어부(432)를 따라 가이드부(433)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연결부(434)로 전달된다. 연결부(434)로 전달된 장력은 피더부(300)로 전달되고, 와이어부(432)가 권선되어 짧아지면서 피더부(300)는 장력에 의해 상측으로 움직이고 배출구(110)를 닫게 된다.
배출구(110)가 피더부(300)에 의해 닫혀져 원료의 이송부(200)로의 공급량이 줄어들게 되면 이송부(200)에 쌓인 원료의 높이는 다시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원료가 설정높이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날개부(422)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져 회전부(420)의 회전이 중단된다. 회전부(420)의 회전이 중단되면 와이어부(432)에 걸리는 장력 또한 제거되어 와이어부(432)가 느슨해지게 된다. 따라서 피더부(300)는 원료의 무게에 의한 중력에 의해 와이어부(432)에 배출구(1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가한다. 가해진 장력은 권선홈(423)에 권선된 와이어부(432)를 권출시키며 와이어부(432)가 권출됨에 따라 회전부(420)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피더부(300)는 배출구(110)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피더부중심축(320)에 탄성부재(340)이 구비되는 경우 탄성부재(340)의 일측은 피더(330)에, 타측은 피더부프레임(310)에 결합한다. 피더부(300)가 배출구(110)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 탄성부재(340)는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중립상태가 되도록 결합되므로 탄성부재(340)는 피더부(3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원료가 회전부(420)에 외력을 가해 회전부(420)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부(420)에서 피더부(300)로 전달되는 장력에 의한 토크보다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한 토크가 작아 피더부(300)는 정상적으로 배출구(110)를 닫도록 회동한다. 이후 피더부(300)가 배출구(110)를 닫은 후 이송부의 원료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40)에 저장된 탄성에너지는 토크로 전환되어 피더부(300)가 배출구(110)를 다시 개방하도록 회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더부(300)가 배출구(110)를 개방하는 회동이 자동적으로 일어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투입부 110 : 배출구
200 : 이송부 300 : 피더부
310 : 피더부프레임 320 : 피더부중심축
330 : 피더 340 : 탄성부재
400 : 작동부 410 : 제1프레임부
420 : 회전부 421 : 회전부중심축
422 : 날개부 423 : 권선홈
430 : 구동부 431 : 제2프레임부
432 : 와이어부 433 : 가이드부
434 : 연결부 435 : 가이드부홈

Claims (6)

  1.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피더부;
    상기 이송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더부를 지지하는 피더부프레임; 및
    상기 피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이송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이송부로부터 설정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쌓인 원료가 닿으면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피더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중심축; 및
    상기 회전부중심축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중심축에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피더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부의 외측에 구비된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2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와이어부가 외주에 접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피더부보다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부는,
    상기 피더부프레임과 결합되는 피더부중심축;
    상기 피더부중심축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피더; 및
    상기 피더부중심축에 구비되어, 상기 피더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피더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피더를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KR1020190132602A 2019-10-24 2019-10-24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KR10219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602A KR102190498B1 (ko) 2019-10-24 2019-10-24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602A KR102190498B1 (ko) 2019-10-24 2019-10-24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498B1 true KR102190498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602A KR102190498B1 (ko) 2019-10-24 2019-10-24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4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299B1 (ko) * 2015-03-26 2016-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KR20190044777A (ko) * 2017-10-23 2019-05-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용 고착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299B1 (ko) * 2015-03-26 2016-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KR20190044777A (ko) * 2017-10-23 2019-05-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용 고착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498B1 (ko)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KR101950586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JP4363787B2 (ja) 農産物の計量箱詰装置
WO2003062764A1 (fr) Equipement de pesage combine
KR102234563B1 (ko) 과일 적재 시스템
KR101256615B1 (ko)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RU2698361C1 (ru)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смеси шихты и стеклобоя в бункеры загрузчиков стекловаренной печи
KR101937906B1 (ko) 사일로 균일 투입장치
KR100925633B1 (ko) 가역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이탈방지 장치
KR200265064Y1 (ko) 언로우더 피더의 과불출 차단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0002041A (ko) 피더의 광석과불출 제어장치
KR100833003B1 (ko) 편중이 방지된 리크레이머의 붐 벨트 컨베이어 웨이트장치
KR20140068376A (ko) 이송물 공급장치
KR20030048587A (ko)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KR101377503B1 (ko) 스태커용 이송물 운반장치
KR20140009827A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CN218423303U (zh) 一种破碎机的上料机构
CN220683814U (zh) 一种可调节转运溜槽防堵料装置
CN217687435U (zh) 一种无给料机和无称重斗的浅基坑静态配料秤
CN215557428U (zh) 一种抛料式散货装箱机
KR101365529B1 (ko) 스태커
KR101980830B1 (ko) 강구 자동투입 장치
CN212558487U (zh) 一种自动上料装置
CN217125910U (zh) 一种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