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202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202B1
KR102190202B1 KR1020197037647A KR20197037647A KR102190202B1 KR 102190202 B1 KR102190202 B1 KR 102190202B1 KR 1020197037647 A KR1020197037647 A KR 1020197037647A KR 20197037647 A KR20197037647 A KR 20197037647A KR 102190202 B1 KR102190202 B1 KR 10219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gas purification
purification device
casing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467A (ko
Inventor
슌지 하마오카
šœ지 하마오카
데츠야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43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39Arrangements for mounting catalyst support in housing, e.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21Removing nitrogen compounds
    • B01D53/8625Nitrogen oxides
    • B01D53/8631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1Engine exhaust gases
    • B01D2258/012Diesel engines and lean burn gasoline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복수의 엔진과, 각 엔진의 배기 가스의 배기 경로에 형성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상기 배기 가스를 정화시키는 정화 촉매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정화 촉매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를 갖고,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당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각각의 개구가 동일한 공간과 마주함과 함께, 당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중 적어도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통해 실시되는 작업의 작업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엔진의 배기 경로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에 포함되는 NOx (질소산화물) 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배기관의 내부에 선택 환원형 NOx 촉매 (SCR 촉매) 를 배치 형성하고, 암모니아를 환원제로 하여 NOx 를 질소와 물로 환원하는 배기 정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우레아수 분사 노즐로부터 배기관의 내부에 우레아수를 공급하여, 배기의 열을 이용하여 우레아수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성하고, NOx 를 질소와 물로 환원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내연 기관의 설치 대수와 같은 수로 설치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86726호
선박에 있어서, 선박을 움직이게 하는 구동원이 되는 주엔진과 선박 내 전력을 보충하는 발전기용 엔진을 각각 복수 대 배치하는 경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치에 따라서는 정화 촉매의 설치나 메인터넌스 등의 보수 관리 작업을 실시할 때에,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작업 영역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거리가 커져, 작업에 수고가 드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대한 보수 관리 작업시의 이동 거리를 작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복수의 엔진과, 각 엔진의 배기 가스의 배기 경로에 형성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상기 배기 가스를 정화시키는 정화 촉매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정화 촉매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를 갖고,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당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각각의 개구가 동일한 공간과 마주함과 함께, 당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중 적어도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통해 실시되는 작업의 작업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선박의 갑판의 상하 층에 걸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당해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됨과 함께, 상기 고정 부재는,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멍을 갖고,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상기 고정 부재의 고정 구멍에 고정된 상태에서 당해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선박 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보수 관리 작업시의 이동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 은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선박의 기관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작업 방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할 때에 사용하는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갑판의 상하 층에 관통시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인접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케이싱을 공통화시킨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레이아웃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선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은, 선박 (1) 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선박 (1) 의 기관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엔진 및 엔진의 배기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선박 (1) 은, 선체 (2) 와, 선체 (2) 의 선미측에 형성한 캐빈 (3) 과, 캐빈 (3) 의 후방에 배치되는 퍼널 (4) 과, 선체 (2) 의 선미 하부에 형성되는 프로펠러 (5) 및 키 (6) 를 구비한다. 선미측의 선박 바닥 (7) 에는, 스케그 (8) 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스케그 (8) 에는, 프로펠러 (5) 를 회전 구동시키는 추진축 (9) 이 축 지지된다. 선체 (2) 내의 선수측 및 중앙부에는 선박 짐칸 (10) 이 형성되고, 선미측에는 기관실 (11) 이 형성된다.
기관실 (11) 에는, 프로펠러 (5) 의 구동원인 주엔진 (12)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젤 엔진) 및 감속기 (13) 와, 선체 (2) 내의 전기 계통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 장치 (14) 가 배치된다. 주엔진 (12) 으로부터 감속기 (13) 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프로펠러 (5) 가 회전 구동된다. 기관실 (11) 의 내부는, 상갑판 (15), 제 2 갑판 (16), 제 3 갑판 (17) 및 내바닥판 (18) 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관실 (11) 의 최하단의 내바닥판 (18) 상에 주엔진 (12) 및 감속기 (13) 를 설치하고, 기관실 (11) 의 중단의 제 3 갑판 (17) 상에 발전 장치 (14) 를 설치하고 있다.
발전 장치 (14) 는, 디젤 발전기 (19) 를 복수 기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기) 구비한다. 디젤 발전기 (19) 는, 발전용 엔진 (20) 과 발전용 엔진 (20) 의 구동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 (21) 를 조합해서 구성된다.
각 발전용 엔진 (20) 에는, 공기 취입용 흡기 경로 (도시 생략) 와 배기 가스 배출용 배기 경로 (30) 가 접속된다. 흡기 경로를 통해서 취입되는 공기는, 발전용 엔진 (20) 의 각 기통에 보내진다. 각 기통의 압축 행정 완료 전후에, 연료 탱크로부터 빨아 올린 연료를 연료 분사 장치에 의해 기통마다의 연소실 내에 압송하고, 각 연소실에 의해 혼합기의 자기 착화 연소에 수반되는 팽창 행정이 실시된다.
배기 경로 (30) 는, 퍼널 (4) 까지 연장되어 외부에 직접 연통된다. 배기 경로 (30) 는 발전용 엔진 (20) 의 수와 같은 수로 준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기의 발전용 엔진 (20) 에 대응시켜, 3 개의 배기 경로 (30) 를 형성하고 있다. 각 배기 경로 (30) 에는, 발전용 엔진 (20)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시키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가 형성된다. 요컨대, 각 발전용 엔진 (20) 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통해 정화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는, 제 2 갑판 (16) 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에 대하여 실시하는 작업의 작업 방향 (A) 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는, 엔진 (발전용 엔진 (20))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정화시키는 것이고, 엔진의 대수와 같은 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시킨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NOx 를 선택 환원하는 NOx 촉매 (32) 를 수용하는 케이싱 (33) 과, 발전용 엔진 (20)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케이싱 (33) 내에 안내하는 입구측 배관 (34) 과, 케이싱 (33) 을 통과한 배기 가스를 안내하는 출구측 배관 (35) 을 구비한다.
케이싱 (33) 은, 내열 금속 재료제의 부재이고, 대략 통 형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 배면 및 측면을 갖는 각통 (角筒) 형상) 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33) 의 내부에는, 배기 가스의 이동 방향 (도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을 따라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 (40) 이 형성된다. 케이싱 (33) 내는, 구획판 (40) 에 의해 NOx 촉매 (32) 를 통과하는 메인 유로 (41) 와, NOx 촉매 (32) 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유로 (42) 로 구획되어 있다. 구획판 (40) 은, 케이싱 (33) 의 입구측 단 (端) 으로부터 출구측 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구획판 (40) 을 형성하고 케이싱 (33) 내에서 구획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 (42) 측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메인 유로 (41) 측에 배치된 NOx 촉매 (32) 를 난기 (暖機) 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 (33) 에 있어서 메인 유로 (41) (NOx 촉매 (32)) 가 배치되는 측을 케이싱 (33) 의 정면, 바이패스 유로 (42) 가 배치되는 측을 케이싱 (33) 의 배면으로 정의한다.
입구측 배관 (34) 은, 발전용 엔진 (20) 의 배기관 (22) 과 케이싱 (33) 을 접속하는 배관으로, 배기관 (22) 과 케이싱 (33) 내에 형성되는 메인 유로 (41) 및 바이패스 유로 (42) 의 각각을 접속하는 두 갈래 배관이다. 입구측 배관 (34) 은, 메인 유로 (41) 에 접속되는 메인측 배관 (43) 과, 바이패스 유로 (42) 에 접속되는 바이패스측 배관 (44) 으로 분기되어 있다.
메인측 배관 (43) 및 바이패스측 배관 (44) 에는, 배기 가스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경로 전환 부재로서 각각 전환 밸브 (45) 및 전환 밸브 (45) 를 구동기시키는 밸브 구동기 (46) 가 형성된다. 입구측 배관 (34) 에 있어서, 이들 밸브 구동기 (46) 를 구동시켜 전환 밸브 (45) 를 전환함으로써, 배기관 (22) 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메인 유로 (41) 또는 바이패스 유로 (42) 에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 메인측 배관 (43) 및 바이패스측 배관 (44) 의 전환 밸브 (45) 에 부설되는 밸브 구동기 (46) 의 배치는, 케이싱 (33) 의 정면, 배면, 측면 어느 측이어도 되고,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레이아웃을 결정할 때에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메인측 배관 (43) 의 전환 밸브 (45) 의 하류측에는, 환원제 공급 장치로서 우레아수를 배기 가스를 향해 공급하는 우레아수 분사 노즐 (51) 과, 공급된 우레아수와 배기 가스를 혼합하는 혼합 믹서 (52) 가 배치된다. 환원제 공급 장치는, 우레아수 분사 노즐 (51) 이외에 도시하지 않은 우레아수 탱크, 피드 펌프, 분사량 제어 장치 등을 구비하고, 피드 펌프의 구동에 의해 우레아수 탱크로부터 우레아수 분사 노즐 (51) 에 우레아수를 보내고, 분사량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분사량에 따른 양의 우레아수를 우레아수 분사 노즐 (51) 로부터 배기 가스를 향해 박무상으로 분사한다.
메인측 배관 (43) 에 안내된 배기 가스는, 우레아수 분사 노즐 (51) 로부터 분사된 우레아를 포함하여 혼합 믹서 (52) 에 도달한다. 그 사이에 우레아의 가수 분해가 시작되어, 우레아로부터 암모니아가 발생한다. 암모니아는 혼합 믹서에 의해 배기 가스와 충분히 혼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 믹서 (52) 에 의해 혼합되는 배기 가스와 암모니아가 케이싱 (33) 의 메인 유로 (41) 에 안내되어 NOx 촉매 (32) 에 보내진다.
NOx 촉매 (32) 는, 암모니아를 환원제로 하여 배기 가스 중의 NOx 를 선택 환원함으로써 메인 유로 (41) 에 보내진 배기 가스를 정화시키는 정화 촉매이다. NOx 촉매 (32) 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 바나디아, 티타니아 또는 제올라이트 등의 성분을 함유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NOx 촉매 (32) 는,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허니컴 구조를 갖는 대략 직방체의 복수 또는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유로 (41) 의 NOx 촉매 (32) 에 안내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NOx 는, NOx 촉매 (32) 와 접촉시켜 암모니아와 반응시킴으로써, 질소와 물로 환원된다. NOx 촉매 (32) 를 통과시켜 정화된 배기 가스는, 케이싱 (33) 으로부터 출구측 배관 (35) 에 보내져, 배기 경로 (30) 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유로 (41) 에 NOx 촉매 (32) 를 2 층 형성하고 있지만,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에 구비되는 정화 촉매로서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NOx 를 정화시킨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NOx 촉매 (32) 의 하류측에 NOx 의 환원제가 되는 암모니아를 환원하기 위한 슬립 처리 촉매를 형성해도 되고, NOx 촉매 (32) 를 설치하는 층수를 변경해도 된다.
바이패스측 배관 (44) 에 안내된 배기 가스는, 그대로 케이싱 (33) 내의 바이패스 유로 (42) 를 통과하여 출구측 배관 (35) 에 보내져, 배기 경로 (30) 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 엔진이나 선박의 사양에 따라서는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메인 유로 (41) 의 NOx 촉매 (32) 의 상류에는, NOx 촉매 (32) 에 부착된 매진을 제거하는 수트 블로워 (53) 가 형성된다. 수트 블로워 (53) 는, 케이싱 (33) 의 정면에서 메인 유로 (41) 의 내부에 임하도록 장착된다. 수트 블로워 (53) 는,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과, 가압 공기의 통로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분사 밸브를 구비한다. 또한, 노즐은 분사 밸브를 통해서 가압 공기를 저류하는 탱크와 접속되어 있다.
케이싱 (33) 의 상부에는, 복수의 리프팅 금구 (55) 가 형성된다. 리프팅 금구 (55) 는, 케이싱 (33) 의 서로 평행한 위치 관계에 있는 두 면 (정면 및 배면) 의 상부에 2 개씩, 총 4 개 장착되어 있다. 리프팅 금구 (55) 는, 케이싱 (33), 요컨대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설치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선박 (1) 의 조립 공장에 있어서, 체인 블록의 훅에 복수의 리프팅 금구 (55) 를 걸고, 체인 블록에 의해 케이싱 (33) 을 승강시켜 기관실 (11) 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케이싱 (33) 에는, 내부에 NOx 촉매 (32) 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 (36) 가 메인 유로 (41) 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 (36) 는, NOx 촉매 (32) 의 높이 및 폭에 따라 열려 있다. 개구 (36) 의 내부에는, NOx 촉매 (32) 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37)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구 (36) 를 통해 NOx 촉매 (32) 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NOx 촉매 (32) 를 케이싱 (33) 에 넣고 메인 유로 (41) 에 설치하는 것, NOx 촉매 (32) 를 케이싱 (33) 으로부터 취출하는 것, NOx 촉매 (32) 를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사용시에는, 케이싱 (33) 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덮개 (38) 를 개구 (36) 에 장착함으로써, 개구 (36) 가 막혀 있다.
개구 (36) 는, 케이싱 (33) 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 방향은 케이싱 (33) 의 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이 된다. 이로써,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36) 를 통해 NOx 촉매 (32) 를 삽입하고, 취출하고, 점검하거나, 또는 메인터넌스하는 등, NOx 촉매 (32) 에 대하여 보수 관리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의 작업 방향 (A) 은, 개구 (36) 의 개구 방향이고, 개구 (36) 를 통하여 케이싱 (33) 의 내부에 액세스하는 방향이 된다. 바꿔 말하면, 개구 (36) 를 통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에 대한 작업 방향은, 케이싱 (33) 내에 수납되는 NOx 촉매 (32) 의 안쪽 길이 방향이 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레이아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은, 3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L 자 형상으로 배치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3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설치할 때에 사용하는 고정 부재 (60)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인접시켜 배치하고, 1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그 측방에 배치하고, 또한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정면, 요컨대 NOx 촉매 (32) 가 배치되는 측의 면이 동일한 공간 (S) 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케이싱 (33) 의 개구 (36) (덮개 (38)) 가 공통된 공간 (S) 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에 대한 작업 방향 (A) 은, 개구 (36) 가 형성되는 케이싱 (33) 의 정면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인접하는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작업 방향 (A1·A2) 과, 측방에 배치되는 1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작업 방향 (A3) 이 동일한 공간 (S) 내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적어도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작업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개구 (36) 가 동일한 공간 (S) 과 마주하고, 또한 NOx 촉매 (32) 를 개구 (36) 를 통하여 삽입, 취출, 점검할 때의 작업 방향이 교차하도록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레이아웃하고 있다. 이로써,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보수 관리를 실시할 때의 보수 관리 스페이스를 공통화시키고, 큰 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동일 공간 (S) 내에서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에 대하여 작업을 실시할 때의 이동 거리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영역이 되는 공간 (S) 을 작게 포함시킴으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설치에 따른 공간의 제한을 저감하여 공간 절약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작업 방향이 동일한 공간 (S) 내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보다 컴팩트한 레이아웃을 실현시킨다.
또한,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에 대하여 점검 등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작업 영역이 되는 공간 (S) 은,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설치하는 경우에 필요 불가피한 공간이다. 반대로,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정면과 마주하고 있지 않고 작업 영역의 이측 (裏側) 이 되는 영역 (T) 은, 자유로운 레이아웃이 가능한 공간이고, 예를 들어 엔진의 각종 배관, 각종 배선 등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레이아웃에 따르면, 보수 관리 작업 시에 필요한 이동 거리를 억제하면서, 설치에 필요한 영역을 최소한으로 둠으로써, 기관실 (11) 내의 한정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배치된 3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는, 도 7 에 나타내는 고정 부재 (60) 를 사용하여 제 2 갑판 (16) 상의 공간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고정 부재 (60) 는, 판 형상의 부재이고, 2 개의 장방형 판재를 어긋나게 하여 맞춘 형상 (대략 크랭크 형상) 을 갖는다. 고정 부재 (60) 는, 3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배치에 따른 위치에, 그것들의 케이싱 (33) 의 저부를 지지하는 3 개의 독립된 고정 구멍 (61) 을 갖는다. 케이싱 (33) 을 고정 구멍 (61) 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케이싱 (33) 의 저부를 끼워넣는 방법, 케이싱 (33) 의 저부에 고정 구멍 (61) 보다 큰 플랜지를 형성하여 접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고정 부재 (60) 의 주연 (周緣) 에는, 설치용 볼트를 삽입 통과하는 설치 구멍 (62) 과, 케이싱 (33) 의 하부 측면과 고정되는 보강용 리브 (63) 가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다. 설치 구멍 (62) 의 개수는, 고정 부재 (60) 를 개재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충분히 고정시킬 수 있으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리브 (63) 의 크기, 개수 등에 대해서도, 케이싱 (33) 을 충분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는 일은 없고, 필요 없으면 없어도 된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 (60) 를 사용하여 3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연결하여 일체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설치한 경우와 비교해서 필요한 부재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써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배치할 때, 케이싱 (33) 은, 그 인접면을 제외한 정면에 수트 블로워 (53) 등을 형성함으로써, 레이아웃시에 수트 블로워 (53) 등이 장해가 되지 않고,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싱 (33) 의 입구측 배관 (34) 에 형성되는 환원제 공급 장치, 및 전환 밸브 (45) 를 각 케이싱 (33) 의 인접면을 제외한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고정 부재는, 상기 서술한 고정 부재 (60) 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설치용 볼트 구멍을 갖는 형태이면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 강이나 H 강을 조합하여 케이싱 (33) 의 저부를 지지하는 고정 구멍 (61) 에 상당하는 공극을 구성함과 함께, 그 주위에 설치 구멍 (62) 을 복수 형성함으로써, 고정 부재 (60) 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을 참조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갑판의 상하 층에 걸쳐 설치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제 2 갑판 (16) 에 형성한 관통 구멍 (70) 을 이용하여 제 2 갑판 (16) 에 고정시킨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갑판 (16) 에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케이싱 (33) 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 (70) 이 형성되고, 관통 구멍 (70) 을 통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제 2 갑판 (16) 의 상하에 걸쳐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제 2 갑판 (16) 에 설치할 때에, 상기 서술한 고정 부재 (60) 를 이용하고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고정 부재 (60) 대신에, 케이싱 (33) 의 주위에 제 2 갑판 (16) 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를 형성하고 케이싱 (33) 을 직접 제 2 갑판 (16) 에 고정시킴으로써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갑판의 상하 층에 걸쳐 배치함으로써, 상측 갑판의 상방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 를 참조하여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케이싱을 일체화시켜 공통화시키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는, 2 개의 인접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케이싱 (33) 을 공통화시키고, 그 사이에 단열재 (80) 를 형성하여 내부를 구획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해서 배치된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각 케이싱 (33) 을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요컨대, 케이싱 (33) 을 공통화시키고, 그 내부에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내부 구조를 수납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싱 (33) 의 내부 공간을 단열재 (80) 로 2 개로 구획하고, 각각의 공간에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내부 구조를 수납함으로써, 일측에서 타측으로의 열 전달을 방지하여, NOx 촉매 (32) 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케이싱 (33) 을 공통화시킴으로써, 전체 체격을 작게 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을 참조하여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레이아웃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의 상부는, 3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T 자 형상으로 배치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하부는 4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T 자 형상으로 배치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중,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가 그것들의 정면을 서로 대향시킴과 함께, 적어도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작업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이아웃을 채용함으로써, 필요한 작업 영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직교시켜 배치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개구가 동일한 공간과 마주하고, 또한 그 개구를 통한 작업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의 작업 방향이 약 60°의 각도를 이루며 교차하도록 배치하는 등, 수평 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를 기울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발전용 엔진 (20) 의 배기 경로 (30) 에 형성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1) 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주엔진 (12) 의 배기 경로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엔진의 배기 경로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한 선박에 이용할 수 있다.
1 : 선박
16 : 제 2 갑판
20 : 발전용 엔진 (엔진)
30 : 배기 경로
31 :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2 : NOx 촉매 (정화 촉매)
33 : 케이싱
36 : 개구
60 : 고정 부재
61 : 고정 구멍
70 : 관통 구멍
A : 작업 방향
S : 동일한 공간

Claims (4)

  1. 복수의 엔진과, 각 엔진의 배기 가스의 배기 경로에 형성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상기 배기 가스를 정화시키는 정화 촉매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정화 촉매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를 갖고,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의 각각의 상기 개구의 방향이 동일한 공간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 중 적어도 2 개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선박의 갑판의 상하 층에 걸쳐 배치되는,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당해 복수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됨과 함께,
    상기 고정 부재는, 각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멍을 갖고,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상기 고정 부재의 고정 구멍에 고정된 상태에서, 당해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선박 내에 고정되는, 선박.
KR1020197037647A 2016-09-16 2017-07-04 선박 KR102190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1596A JP6615076B2 (ja) 2016-09-16 2016-09-16 船舶
JPJP-P-2016-181596 2016-09-16
PCT/JP2017/024464 WO2018051612A1 (ja) 2016-09-16 2017-07-04 船舶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605A Division KR102060265B1 (ko) 2016-09-16 2017-07-04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467A KR20190143467A (ko) 2019-12-30
KR102190202B1 true KR102190202B1 (ko) 2020-12-11

Family

ID=616198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647A KR102190202B1 (ko) 2016-09-16 2017-07-04 선박
KR1020187027605A KR102060265B1 (ko) 2016-09-16 2017-07-04 선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605A KR102060265B1 (ko) 2016-09-16 2017-07-04 선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43782B2 (ko)
JP (1) JP6615076B2 (ko)
KR (2) KR102190202B1 (ko)
CN (1) CN109690044B (ko)
WO (1) WO2018051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04B1 (ko) * 2020-07-30 2020-10-14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선택적 촉매 환원 반응기
US11578836B2 (en) 2021-03-16 2023-02-14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Scalable greenhouse gas capture systems and methods
US11578638B2 (en) 2021-03-16 2023-02-14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Scalable greenhouse gas capture systems and methods
CN113107641A (zh) * 2021-05-25 2021-07-13 成都爱信智能燃气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尾气汇总消声器
CN113799954A (zh) * 2021-10-29 2021-12-1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钢铝混合烟囱及船舶
US11686070B1 (en) 2022-05-04 2023-06-27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Systems, methods, and controllers to enhance heavy equipment war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8540A1 (en) 2011-06-09 2012-12-13 Wärtsilä Finland Oy Modular catalyst for emission redu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a catalyst
WO2015141469A1 (ja) 2014-03-20 2015-09-24 ヤンマー株式会社 船舶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6388A3 (en) * 1988-01-29 1990-11-28 Johnson Matthey, Inc., Waste heat recovery having combined co and nox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US4843815A (en) * 1988-08-19 1989-07-04 Smojver Radmil R Catalytic conversion device
JPH08284652A (ja) * 1995-04-18 1996-10-29 Toyota Motor Corp 電気加熱式触媒の構造
JP3750969B2 (ja) * 1998-08-12 2006-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改質装置
US6713025B1 (en) * 1999-09-15 2004-03-3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Light-off and close coupled catalyst
DE10123361A1 (de) * 2001-05-14 2002-11-21 Man Nutzfahrzeuge Ag Fahrzeugabgasanlage mit Katalysatoren in einem Abgasleitungsabschnitt
JP2009180181A (ja) * 2008-01-31 2009-08-13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11017314A (ja) * 2009-07-10 2011-01-27 Yanmar Co Ltd 多気筒エンジンの排気装置
EP2501463A2 (en) * 2009-11-20 2012-09-26 Dansk Teknologi Produktionsaktieselskab System for selective catalyst reduction
JP2012047095A (ja) * 2010-08-26 201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舶用脱硝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
AT514512A1 (de) * 2013-06-19 2015-01-15 Ibiden Porzellanfabrik Frauenthal Gmbh Katalysatorreaktor
US10443469B2 (en) * 2013-10-28 2019-10-15 Yanmar Co., Ltd.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JP6232257B2 (ja) 2013-10-28 2017-11-15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DE102014005303A1 (de) * 2014-04-10 2015-10-15 Mtu Friedrichshafen Gmbh Abgasnachbehandlungsvorrichtung für ein Abgas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US9677447B2 (en) * 2014-12-05 2017-06-13 Caterpillar Inc. Aftertreatment module having replaceable catalyst housing
US10036294B2 (en) * 2015-05-28 2018-07-31 Caterpillar Inc. Aftertreatment module with reduced bypass flow
DE102016224617A1 (de) * 2016-12-09 2018-06-14 Man Diesel & Turbo Se Mischvorrichtung für ein Abgasnachbehandlungssystem, Abgasnachbehandlungssystem und Brennkraftmas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8540A1 (en) 2011-06-09 2012-12-13 Wärtsilä Finland Oy Modular catalyst for emission redu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a catalyst
WO2015141469A1 (ja) 2014-03-20 2015-09-24 ヤンマー株式会社 船舶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70500A1 (en) 2019-09-05
KR20190143467A (ko) 2019-12-30
KR102060265B1 (ko) 2019-12-27
JP2018044517A (ja) 2018-03-22
CN109690044A (zh) 2019-04-26
KR20180120205A (ko) 2018-11-05
WO2018051612A1 (ja) 2018-03-22
JP6615076B2 (ja) 2019-12-04
US10843782B2 (en) 2020-11-24
CN109690044B (zh)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202B1 (ko) 선박
KR101810521B1 (ko)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이것을 구비한 선박
EP2902601B1 (en) Exhaust gas denitration device
CN107923142B (zh) 工程机械
KR102010198B1 (ko) 선박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
KR101983520B1 (ko) 선박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2097186B1 (ko) 선박의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CN105189963A (zh) 发动机排气后处理系统
JP6232257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WO2015059981A1 (ja) 油圧ショベル
WO2016021046A1 (ja) 油圧ショベル
WO2013129089A1 (ja) 船舶用排ガス脱硝反応容器および船舶用脱硝設備
JP6228427B2 (ja) 船舶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6442428B2 (ja) 船舶用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2020020343A (ja) 船舶
JP7351600B2 (ja) 機体および作業機械
JP2022065320A (ja) 建設機械
JP6249869B2 (ja) 船舶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CN112639260A (zh) 废气净化装置以及具备废气净化装置的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