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656B1 - 안경 렌즈 및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및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656B1
KR102189656B1 KR1020197008266A KR20197008266A KR102189656B1 KR 102189656 B1 KR102189656 B1 KR 102189656B1 KR 1020197008266 A KR1020197008266 A KR 1020197008266A KR 20197008266 A KR20197008266 A KR 20197008266A KR 102189656 B1 KR102189656 B1 KR 10218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pectacle lens
blue light
lens
multi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052A (ko
Inventor
요이치 오고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4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8Lens systems mounted to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02B1/116Multilayers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7Interference 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8Colouring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기재와,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을 가지고, 청색광 커트율이 21.0% 이상이며,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 이하이며, 또한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 이하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및 안경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디지털 기기의 모니터 화면은 브라운관으로부터 액정으로 바뀌고, 최근에는 LED 액정도 보급되어 있지만, 액정 모니터, 특히 LED 액정 모니터는 청색광으로 불리는 단파장 광을 강하게 발광한다. 그 때문에,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에 생기는 안정 피로나 눈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400~500 nm의 파장 영역의 광 또는 이 파장 영역 부근의 광이, 청색광으로 불린다.
상기의 점에 관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파장 400~450 nm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다층막을 플라스틱 기재의 표면 위에 가지는 광학 물품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13-8052호 공보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안경 렌즈에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 기재의 표면 위에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다층막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런데, 렌즈 기재의 표면 위에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다층막을 마련하면, 안경 렌즈를 통해서 안경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량은 저감할 수 있지만, 안경 착용자의 시야가 황색(이하, 간단하게 「황색」이라고도 기재함)을 띠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가시 영역의 여러가지 파장의 광 중에서 청색광이 선택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녹색광과 적색광의 비율이 높아지는 결과, 적색과 녹색의 혼색인 황색이 시인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 가능하면서, 황색의 저감이 가능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기재와,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을 가지고,
청색광 커트율이 21.0% 이상이며,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 이하이며, 또한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 이하인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에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그 청색광 커트율은 21.0% 이상이다. 이와 같이 높은 청색광 커트율로 청색광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경 렌즈에 의하면,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량을 저감해 청색광에 의한 착용자의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안경 렌즈는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을 갖는다. 금속은 청색광의 파장 영역의 광뿐만 아니라 녹색광이나 적색광 등의 가시 영역의 여러가지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다. 다층막에 의해서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켜 차단하면 안경 착용자의 시야가 황색을 띠어 버리는 반면, 다층막 중의 한층으로서 금속층을 포함함으로써, 황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금속층을 후막(厚膜)으로 하면 안경 렌즈의 투과율(예를 들면 시감 투과율)을 크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지만,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이면, 안경 렌즈의 투과율이 크게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상기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황색이 적은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안경 렌즈에 대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이다.
[안경 렌즈]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기재와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을 가지고, 청색광 커트율이 21.0% 이상이며,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 이하이며, 또한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 이하인 안경 렌즈이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의 정의 및/또는 측정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물체측 표면」이란,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에 물체측에 위치하는 표면이며, 「안구측 표면」이란, 그 반대, 즉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에 안구측에 위치하는 표면이다. 면 형상에 관해서, 일 태양에서는 물체측 표면은 철면(凸面)이며, 안구측 표면은 요면(凹面)이다. 다만, 이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이란,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 흡수를 가지는 화합물을 말한다.
「청색광 커트율」이란, 일본 의료용 광학 기기 공업회의 규격에 따라서, 하기 식 1에 의해 구해진다.
(식 1)
청색광 커트율 Cb = 1-τb
식 1 중, τb는 일본 의료용 광학 기기 공업회의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눈에 유해한 청색광의 가중 투과율이며, 하기 식 2에 의해 산출된다. 식 2 중, WB(λ)는 가중 함수이며, 하기 식 3에 의해 산출된다. τ(λ)는 분광 광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파장 λnm에서의 투과율이다. 따라서, 청색광 커트율 Cb에는 흡수에 의한 청색광의 커트율과 반사에 의한 청색광의 커트율이 합산되어 있다.
[수 1]
(식 2)
Figure 112019029255838-pct00001
[수 2]
(식 3)
Figure 112019029255838-pct00002
식 3 중, E(λ)는 태양광의 분광 방사 조도이며, B(λ)는 블루 라이트 하자드 함수이다. E(λ), B(λ) 및 WB(λ)는 JIS T 7333 부속서 C에 기재되어 있다. E(λ), B(λ) 및 WB(λ)를 이용해 값을 산출하는 경우, 분광 광도계에 의한 측정은 1~5 nm의 측정 파장 간격(피치)으로, 적어도 파장 380 nm로부터 500 nm까지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파장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물체측으로부터 직입사하는 광(즉 입사각도가 0°)에 대한 평균 반사율로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분광 광도계를 이용해 파장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의 산술 평균이다.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파장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안구측으로부터 직입사하는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로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분광 광도계를 이용해 파장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의 산술 평균이다. 측정할 때에, 측정 파장 간격(피치)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1~5 nm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파장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청색광 반사율」이라고도 기재한다.
후술하는 「주파장」이란, 사람의 눈으로 느끼는 광의 색 파장을 수치화한 지표이며, JIS Z 8781-3:2016의 부속서 JA에 따라서 측정된다.
후술하는 「시감 반사율」은 JIS T 7334:2011에 따라 측정되고, 「시감 투과율」은 JIS T 7333:2005에 따라 측정된다.
후술하는 「YI(Yellowness Index)값」이란, JIS K 7373:2006에 따라 측정된다. YI값은 황색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YI값이 높을수록, 황색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막 두께」는 물리막 두께이다. 막 두께는 공지된 막 두께 측정법에 따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막 두께는 광학식 막 두께 측정기에 의해서 측정된 광학막 두께를 물리막 두께로 환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을, 「금속층 함유 다층막」이라고도 기재하고, 그 외의 다층막을 「다른 다층막」이라고도 기재한다.
이하,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청색광 커트율>
상기 안경 렌즈의 청색광 커트율은 21.0% 이상이다. 청색광 커트율이 21.0% 이상인 안경 렌즈에 의하면,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을 착용자가 착용함으로써,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량을 저감해,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청색광 커트율은 2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2.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3.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23.5%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24.0% 이상인 것이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다. 또, 청색광 커트율은, 예를 들면 50.0% 이하, 40.0% 이하 또는 30.0%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량을 저감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청색광 커트율은 높을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에 예시된 상한을 넘어도 된다.
<청색광 반사율>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렌즈 기재의 표면 위에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다층막을 마련하면, 안경 착용자의 시야가 황색을 띠어 버린다. 이것에 대해,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에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및 금속층 함유 다층막을 가짐으로써, 안경 렌즈 표면에서의 청색광 반사율을 높게 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서도 21.0% 이상의 청색광 커트율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 및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이, 모두 1.00% 이하이다. 황색을 보다 저감하는 관점으로부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은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9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9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90%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0.80%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0.7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동일한 관점으로부터,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은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9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9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90%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0.80%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0.7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 및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은 모두, 예를 들면 0.10% 이상일 수 있지만, 이것을 하회해도 된다.
상기 안경 렌즈가, 양표면에서의 청색광 반사율이 모두 1.00% 이하이며, 안경 렌즈 표면에서의 청색광 반사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21.0% 이상의 청색광 커트율을 나타내는 것에는 렌즈 기재가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및 상기 안경 렌즈가 다층막 중의 한층으로서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금속층 함유 다층막)을 가지는 것이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기재 및 금속층 함유 다층막에 대해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렌즈 기재>
상기 안경 렌즈에 포함되는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렌즈 기재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 또는 유리 렌즈 기재일 수 있다. 유리 렌즈 기재는, 예를 들면 무기 유리제의 렌즈 기재일 수 있다. 렌즈 기재로서는, 경량이며 갈라지기 어렵고, 또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의 도입이 용이하다는 관점으로부터, 플라스틱 렌즈 기재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렌즈 기재로서는, (메타)아크릴 수지를 비롯한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알릴 수지, 디에틸렌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CR-39) 등의 알릴카보네이트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히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으로 얻어진 우레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킨 티오우레탄 수지,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디술피드 결합을 가지는 (티오)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물(일반적으로 투명 수지로 불림)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조성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기재로서는, 염색되어 있지 않은 것(무색 렌즈)을 이용해도 되고, 염색되어 있는 것(염색 렌즈)을 이용해도 된다.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예를 들면 1.60~1.75 정도일 수 있다. 다만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의 범위 내이어도, 상기의 범위로부터 상하로 떨어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굴절률이란, 파장 500 nm의 광에 대한 굴절률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렌즈 기재는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이른바 도수 렌즈)이어도 되고, 굴절력 없는 렌즈(이른바 무-도수 렌즈)이어도 된다.
상기 안경 렌즈는 단초점 렌즈, 다초점 렌즈, 누진 굴절력 렌즈 등의 각종 렌즈일 수 있다. 렌즈의 종류는 렌즈 기재의 양면의 면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또, 렌즈 기재 표면은 철면, 요면, 평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통상의 렌즈 기재 및 안경 렌즈에서는 물체측 표면은 철면, 안구측 표면은 요면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
상기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21.0% 이상의 청색광 커트율을 부여할 수 있는 이유의 하나이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인돌 화합물 등의 청색광의 파장 영역에 흡수를 가지는 각종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로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및 인돌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로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1)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 1]
Figure 112019029255838-pct00003
식(1)에서, X는 공명 효과를 부여하는 기를 나타낸다. X의 치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졸환의 5위치이다.
X의 예로서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불소 원자, 요오드 원자, 술포기, 카르복시기, 니트릴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불소 원자가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1)에서, R2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알킬기 및 알콕시기의 각각에 대해서, 탄소수 1~8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8이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4~8이 더욱 바람직하다.
알킬기 및 알콕시기는 분기이어도 직쇄이어도 된다. 알킬기 및 알콕시기 중에서도,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n-옥틸기, 1,1,3,3-테트라메틸부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및 1,1,3,3-테트라메틸부틸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및 1,1,3,3-테트라메틸부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tert-부틸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알콕시기의 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 헵틸옥시기, 옥틸옥시기, 노닐옥시기, 데실옥시기, 운데실옥시기, 도데실옥시기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부톡시기, 또는 에톡시기가 바람직하다.
식(1)에서, R2의 치환 위치는 벤조트리아졸릴기의 치환 위치를 기준으로, 3위치, 4위치 또는 5위치가 바람직하다.
식(1)에서, R1은 탄소수 1~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3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이들 구체예로서는, R2에 대해서 들었던 상기 예 중 탄소수가 적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틸기 또는 에틸기가 바람직하다.
식(1)에서, m은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1)에서, R2의 치환 위치는 벤조트리아졸릴기의 치환 위치를 기준으로, 5위치가 바람직하다.
n은 R3의 가수(價數)를 나타내고, 1 또는 2이다.
식(1)에서,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n이 1인 경우, R3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n이 2인 경우, 탄소수 1~8의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3으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로서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R3으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탄소수 1~8이며, 탄소수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R3으로 표시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의 예로서는 메탄디일기, 에탄디일기, 프로판디일기, 벤젠디일기, 톨루엔디일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메탄디일기가 바람직하다.
식(1)에서, R3의 치환 위치는 벤조트리아졸릴기의 치환 위치를 기준으로, 3위치가 바람직하다.
R3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며, 이 경우 n은 1이다.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1-1)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다.
[화 2]
Figure 112019029255838-pct00004
식(1-1)에서, R1, R2, m은 각각 상기와 동의이며, 예시 및 바람직한 태양도 상기와 동일하다.
식(1)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1,1,3,3-테트라메틸부틸)-2-히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tert-부틸)-2-히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tert-부틸-2-히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tert-부틸-2-히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에톡시-2-히드록시페닐], 페닐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1,1,3,3-테트라메틸부틸)-2-히드록시페닐], 및 하기 식(1-1)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구체예를 들 수 있다.
식(1-1)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5-디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4-에톡시-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4-부톡시-2-히드록시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및 5-클로로-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4-에톡시-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2-(4-부톡시-2-히드록시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 기재는, 예를 들면 렌즈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또는 수지를 얻기 위한 중합성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0.05~3.00 질량부 포함할 수 있고, 0.05~2.50 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0~2.00 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30~2.00 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안경 렌즈의 청색광 커트율을 21.0%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상기 범위의 함유량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기재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렌즈 형상의 성형품으로서 렌즈 기재를 얻는 방법에서, 경화성 조성물에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기재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일반적으로 렌즈 기재의 염색 방법으로 이용되는 각종 습식 또는 건식의 방법에 의해, 렌즈 기재에 청색광 흡수성 색소를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습식의 방법의 일례로서는 딥법(침지법)을 들 수 있고, 건식의 방법의 일례로서는 승화 염색법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렌즈 기재에는 안경 렌즈의 렌즈 기재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렌즈 기재를, 중합성 화합물과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성형하는 경우, 이러한 경화성 조성물에, 예를 들면 일본 특개 평7-063902호 공보, 일본 특개 평7-104101호 공보, 일본 특개 평9-208621호 공보, 일본 특개 평9-255781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중합 촉매, 일본 특개 평1-163012호 공보, 일본 특개 평3-281312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내부 이형제, 산화 방지제, 형광 증백제, 블루잉제 등의 첨가제의 1종 이상을 첨가해도 된다. 이들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량, 및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는 렌즈 기재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다층막>
(금속층 함유 다층막)
상기 안경 렌즈는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을 갖는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은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안구측 표면 위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양표면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 일 태양에서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의 일방의 표면 위에 금속층 함유 다층막이 위치하고, 타방의 표면 위에 다른 다층막이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일 태양에서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의 일방의 표면 위에 금속층 함유 다층막이 위치하고, 타방의 표면 위에는 금속층 함유 다층막도 다른 다층막도 위치하지 않는 것도 있을 수 있다. 일 태양에서는 후술하는 안경 렌즈의 양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을 모두 500.0~550.0 nm의 범위 내로 제어하는 것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는, 금속층 함유 다층막은 안경 렌즈의 적어도 물체측 표면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체측 표면 위에만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 및 다른 다층막은 모두 렌즈 기재의 표면 위에 직접 위치해도 되고, 한층 이상의 다른 층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렌즈 기재의 표면 위에 위치해도 된다. 렌즈 기재와 다층막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편광층, 조광층, 하드 코트층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을 마련함으로써 안경 렌즈의 내구성(강도)을 높일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층일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12-128135호 공보의 단락 0025~0028, 0030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렌즈 기재와 상기 다층막의 사이에는 밀착성 향상을 위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12-128135호 공보의 단락 0029~0030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금속층」은 금속 원소의 단체(순금속), 복수의 금속 원소의 합금, 및 1종 이상의 금속 원소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이하에서, 「금속 성분」이라고도 기재함)을 임의의 성막 방법에 따라 퇴적시켜 형성된 막을 의미하며, 성막시에 불가피적으로 혼입하는 불순물 및 성막을 보조하기 위해서 임의로 사용되는 공지된 첨가제를 제외하면,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막이다. 예를 들면, 금속층은 막의 질량에 대해서 90~100 질량%를 금속 성분이 차지하는 막이며, 95~100 질량%를 금속 성분이 차지하는 막일 수도 있다. 금속 원소로서는 천이 원소, 예를 들면 크롬족 원소(예를 들면 Cr, Mo, W), 철족 원소(예를 들면 Fe, Co, Ni), 귀금속 원소(예를 들면 Cu, Ag, Au)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층의 구체적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크롬층, 니켈층 및 은층을 들 수 있다. 크롬층에 포함되는 금속 성분은 크롬의 단체(즉 금속 Cr), 크롬 산화물, 및 이들 혼합물일 수 있다. 니켈층에 포함되는 금속 성분은 니켈의 단체(즉 금속 Ni), 니켈 산화물, 및 이들 혼합물일 수 있다. 은층에 포함되는 금속 성분은 은의 단체(즉 금속 Ag), 은의 산화물, 및 이들 혼합물일 수 있다. 금속층에 포함되는 금속 성분은 금속 원소의 단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의 성막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성막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성막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는, 성막은 증착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층은 금속 성분의 증착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막이란, 증착에 의해서 성막된 막을 의미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의 「증착」에는 건식법,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패터링법 등이 포함된다. 진공 증착법으로는 증착 중에 이온 빔을 동시에 조사하는 이온 빔 어시스트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상의 점은 하기의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의 성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에 포함되는 금속층은 막 두께가 1.0~10.0 nm이다. 이하에서,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을, 간단하게 금속층이라고도 기재한다. 안경 렌즈의 투과율(예를 들면 시감 투과율)의 관점으로부터는, 금속층의 막 두께는 9.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 nm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5.0 nm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4.0 nm 이하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며, 3.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다. 또, 금속층의 막 두께는 금속층에 의한 청색광 등의 여러가지 파장의 광의 흡수 효율의 관점으로부터 1.0 nm 이상이며, 1.1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에는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이 한층만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 태양에서는 이러한 금속층이 2층 이상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층의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는 것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2층 이상으로 분할된 금속층의 합계 막 두께가 1.0~10.0 nm이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은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이 교호로 적층된 다층막 중에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에 관한 「고」, 「저」란, 상대적인 표기이다. 즉, 고굴절률층이란, 동일한 다층막에 포함되는 저굴절률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층을 말한다. 환언하면, 저굴절률층이란, 동일한 다층막에 포함되는 고굴절률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층을 말한다. 고굴절률층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예를 들면 1.60 이상(예를 들면 1.60~2.40의 범위)이며, 저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저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예를 들면 1.59 이하(예를 들면 1.37~1.59의 범위)일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에 관한 「고」, 「저」의 표기는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고굴절률 재료 및 저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굴절률 재료 및 저굴절률 재료로서는 무기 재료, 유기 재료 또는 유기·무기 복합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성막성 등의 관점으로부터는, 무기 재료가 바람직하다. 즉, 금속층 함유 다층막은 무기 다층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굴절률 재료로서는, 지르코늄 산화물(예를 들면 ZrO2), 탄탈 산화물(Ta2O5), 티탄 산화물(예를 들면 TiO2), 알루미늄 산화물(Al2O3), 이트륨 산화물(예를 들면 Y2O3), 하프늄 산화물(예를 들면 HfO2), 및 니오브 산화물(예를 들면 Nb2O5)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저굴절률 재료로서는, 규소 산화물(예를 들면 SiO2), 불화 마그네슘(예를 들면 MgF2) 및 불화 바륨(예를 들면 BaF2)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물 또는 불화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시에서는 편의상, 산화물 및 불화물을 화학량론 조성으로 표시했지만, 화학량론 조성으로부터 산소 또는 불소가 결손 혹은 과다의 상태에 있는 것도,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층은 고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이며, 저굴절률층은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이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막에서 가장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은 막의 질량에 대해서 50 질량% 정도~100 질량%, 나아가서는 90 질량% 정도~100 질량%를 차지하는 성분이다. 상기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막 재료(예를 들면 증착원)를 이용하여 성막을 수행함으로써, 그와 같은 막(예를 들면 증착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막 재료에 관한 주성분도, 상기와 동일하다. 막 및 성막 재료에는 불가피적으로 혼입하는 불순물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고, 또 주성분이 완수하는 기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면 다른 무기 물질이나 성막을 보조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공지된 첨가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성막은 공지된 성막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고, 성막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는, 증착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은, 예를 들면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이 교호로 합계 3~10층 적층된 다층막일 수 있다. 고굴절률층의 막 두께 및 저굴절률층의 막 두께는 층 구성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다층막에 포함되는 층의 조합, 및 각층의 막 두께는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성막 재료의 굴절률과, 다층막을 마련함으로써 안경 렌즈에 부여하고 싶은 원하는 반사 특성 및 투과 특성에 근거하여, 공지된 수법에 의한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의 층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렌즈 최표면측을 향하여,
제1층(고굴절률층)/제2층(금속층)/제3층(저굴절률층)/제4층(고굴절률층)/제5층(저굴절률층)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
제1층(저굴절률층)/제2층(고굴절률층)/제3층(저굴절률층)/제4층(고굴절률층)/제5층(금속층)/제6층(저굴절률층)/제7층(고굴절률층)/제8층(저굴절률층)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
제1층(고굴절률층)/제2층(금속층)/제3층(고굴절률층)/제4층(저굴절률층)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층 구성의 예시에서, 「/」라는 표기는 「/」의 왼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과 오른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이 인접하는 경우와, 「/」의 왼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과 오른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의 사이에 후술하는 도전성 산화물층이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되고 있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에 포함되는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조합의 바람직한 일례로서는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저굴절률층)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고굴절률층)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저굴절률층)과 니오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고굴절률층)의 조합을 들 수도 있다. 상기 조합의 2층의 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1개 포함하는 다층막을, 금속층 함유 다층막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예시할 수 있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은 이상 설명한 금속층,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에 더하여,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도전성 산화물층),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증착원을 이용하는 증착에 의해 형성된 도전성 산화물의 증착막의 한층 이상을, 다층막의 임의의 위치에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점은 다른 다층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도전성 산화물층에 관해서 기재하는 주성분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다.
도전성 산화물층으로서는 안경 렌즈의 투명성의 관점으로부터, 막 두께 10.0 nm 이하의 산화 인듐 주석(tin-doped indium oxide;ITO)층, 막 두께 10.0 nm 이하의 주석 산화물층, 및 막 두께 10.0 nm 이하의 티탄 산화물층이 바람직하다. 산화 인듐 주석(ITO)층이란, ITO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층이다. 이 점은 주석 산화물층, 티탄 산화물층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 및 다른 다층막은 도전성 산화물층을 포함함으로써, 안경 렌즈가 대전해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 금속층 함유 다층막 및 다른 다층막에 포함되는 「금속층」,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으로서는 막 두께 10.0 nm 이하의 산화 인듐 주석(ITO)층, 막 두께 10.0 nm 이하의 주석 산화물층, 및 막 두께 10.0 nm 이하의 티탄 산화물층은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이들 층의 한층 이상이 금속층 함유 다층막 또는 다른 다층막에 포함되는 경우이어도, 이들 층은 「금속층」, 「고굴절률층」 또는 「저굴절률층」으로는 간주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막 두께 10.0 nm 이하의 상기의 도전성 산화물층의 막 두께는, 예를 들면 0.1 nm 이상일 수 있다.
(다른 다층막)
상기 안경 렌즈가,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의 일방의 표면 위에 금속층 함유 다층막을 가지고, 타방의 표면 위에 다른 다층막을 가지는 경우, 다른 다층막으로서는 안경 렌즈에 반사 방지막으로서 통상 마련되는 다층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막으로서는 가시광(380~780 nm의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서 반사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다층막을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다층막의 구성은 공지이다. 다른 다층막은, 예를 들면 무기 다층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다층막으로서는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이 교호로 합계 3~10층 적층된 다층막을 들 수 있다.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의 상세한 것은 앞에서 기재한 것과 같다. 또, 다른 다층막에 포함되는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조합의 바람직한 일례로서는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저굴절률층)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고굴절률층)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저굴절률층)과 니오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고굴절률층)의 조합을 들 수도 있다. 상기 조합의 2층의 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1개 포함하는 다층막을, 다른 다층막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 함유 다층막상 및/또는 다른 다층막상에는 추가적인 기능성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기능성막으로서는 발수성 또는 친수성의 방오막, 방담막 등의 각종 기능성막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능성막에 대해서는 모두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안경 렌즈의 각종 특성>
(시감 투과율)
상기 안경 렌즈는 일 태양에서는 높은 시감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성이 뛰어난 안경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의 시감 투과율은, 예를 들면 35.0% 이상이며,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5.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60.0%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65.0% 이상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며, 70.0% 이상인 것이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며, 75.0% 이상인 것이 더 한층 바람직하며, 80.0% 이상인 것이 더 더욱 한층 바람직하며, 85.0% 이상인 것이 더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안경 렌즈의 시감 투과율은, 예를 들면 95.0% 이하이며, 90.0% 이하일 수도 있다. 금속층 함유 다층막에 포함되는 금속층을 박막(상세하게는 막 두께 1.0~10.0 nm)으로 함으로써, 시감 투과율을 크게 내리지 않고 앞에서 기재한 청색광 커트율을 실현하고, 또한 황색을 저감할 수 있다.
(시감 반사율)
안경 렌즈의 외관 품질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안경 렌즈의 착용감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외관 품질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착용감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 및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각각, 예를 들면 0.10% 이상, 0.20% 이상, 0.30% 이상, 0.40% 이상, 또는 0.50% 이상일 수 있지만, 상기의 하한은 예시로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위 및/또는 안구측 표면 위에 마련되는 금속층 함유 다층막 또는 다른 다층막의 막 설계에 의해서, 상기 시감 반사율을 실현할 수 있다. 막 설계는 공지된 방법에 의한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수행할 수 있다.
(YI값)
상기 안경 렌즈는 21.0% 이상의 청색광 커트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안경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다만, 안경 렌즈의 양표면에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은 1.00% 이하이기 때문에, 청색광이 선택적으로 반사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시야가 황색을 띠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경 렌즈는 10.0% 이하의 YI값을 나타낼 수 있다. YI값은 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또, YI값은, 예를 들면 2.0% 이상 또는 3.0% 이상일 수 있지만, YI값이 낮을수록 황색이 저감되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예시한 하한을 상회해도 된다.
(주파장)
그런데, 일반적인 안경 렌즈는 반사 방지막을 가지지만, 통상의 반사 방지막은 사람의 눈이 위화감을 느끼기 어려운 녹색의 간섭색을 나타내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와 같은 안경 렌즈는 반사 방지막을 가지는 측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통상 녹색광의 파장 영역이 된다. 한편,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종래 안경 렌즈 기재의 표면 위에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다층막을 마련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다층막을 마련한 안경 렌즈는, 이 다층막을 가지는 측의 표면에서 청색광을 강하게 반사하기 때문에, 이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통상 녹색광의 파장 영역보다 단파장측의 청색광의 파장 영역에 있다. 이와 같은 안경 렌즈는 이 안경 렌즈를 관찰해 확인되는 간섭색은 청색이기 때문에, 녹색의 간섭색을 나타내는 반사 방지막을 가지는 통상의 안경 렌즈와는 외관이 상이하다. 이 외관의 차이에 관해서, 근래 청색광에 대한 대책은 실시되고 있지만 통상의 안경 렌즈와 동일한 외관을 가지는 안경 렌즈에 대한 요구가 있다.
상기의 점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는 청색광 커트율은 높기는 하지만, 안경 렌즈의 양표면에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은 1.00% 이하로 낮기 때문에, 일 태양에서는 녹색의 파장 영역에 주파장을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 및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의 적어도 일방이, 500.0~550.0 nm의 범위일 수 있다. 500.0~550.0 nm은 녹색광의 파장 영역이기 때문에,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서 500.0~550.0 nm의 파장 영역에 주파장을 가지는 안경 렌즈는 그 표면측으로부터 관찰되면, 통상의 안경 렌즈와 동일하게 녹색의 간섭색을 나타낼 수 있다.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와 마주 본 제3자가 인식하는 안경 렌즈의 외관에는 물체측의 간섭색이 부여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적어도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550.0 n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안경 렌즈의 외관 품질의 관점으로부터는, 안경 렌즈의 양표면에서 관찰되는 간섭색이 동일한 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안경 렌즈의 양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모두 500.0~550.0 nm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각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예를 들면 510.0 nm 이상일 수 있다. 또,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각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예를 들면 540.0 nm 이하일 수도 있다.
주파장에 관해서는 금속층이 렌즈 기재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와 렌즈 기재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경우를 대비하면, 금속층이 렌즈 기재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 주파장이 보다 장파장측에 있는 경향이 있다.
[안경]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상기의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이 안경에 포함되는 안경 렌즈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앞에서 기재한 것과 같다. 상기 안경 렌즈는 이러한 안경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눈에 대한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에 구비된 안경 렌즈에 의하면, 안경 착용자의 시야가 황색을 띠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프레임 등의 안경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기재(렌즈 기재 A)의 제작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술피드 100.00 질량부,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인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0.40 질량부를 교반 혼합한 후, 촉매로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0.05 질량부를 첨가하고, 10 mmHg의 감압 하에서 3분간 교반 혼합해, 렌즈용 모노머 조성물(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다음에, 이 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을, 미리 준비한 유리제 몰드와 수지제 개스킷으로 구성되는 렌즈 성형용 주형(0.00 D, 두께 2.0 mm로 설정) 중에 주입하여, 로(爐) 내 온도 20℃~100℃의 전기로 중에서 20시간에 걸쳐 중합을 수행했다. 중합 종료 후, 개스킷 및 몰드를 분리한 후, 11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플라스틱 렌즈(렌즈 기재 A)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 기재 A는 물체측 표면이 철면, 안구측 표면이 요면, 굴절률은 1.60이었다.
(2) 다층막의 성막
렌즈 기재 A의 양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연마)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표면 위에 각각 막 두께 3000 nm의 하드 코트층(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층)을 형성했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1(표 1-1, 표 1-2)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했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에 금속층(크롬(금속 Cr)층) 함유 다층막을 가지고,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금속층을 포함하지 않음)을 가지는 실시예 1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철면측, 요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하드 코트층측)으로부터 안경 렌즈의 표면측을 향하여, 1층, 2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의 최외층이 표 1 중의 최하란에 기재된 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불가피적으로 혼입할 가능성이 있는 불순물을 제외하면 표 1에 나타내는 산화물 또는 크롬(금속 Cr)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원(성막 재료)을 사용하여 성막을 수행했다. 따라서, 여기서 형성된 금속층은 크롬층(금속 Cr층)이다. 각 산화물의 굴절률 및 각층의 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낸다. 이들 점은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실시예 2]
렌즈 기재 A의 양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연마)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표면 위에 각각 막 두께 3000 nm의 하드 코트층(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층)을 형성했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2(표 2-1, 표 2-2)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했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에 금속층(크롬(금속 Cr)층) 함유 다층막을 가지고,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금속층을 포함하지 않음)을 가지는 실시예 2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3]
렌즈 기재 A의 양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연마)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표면 위에 각각 막 두께 3000 nm의 하드 코트층(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층)을 형성했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3(표 3-1, 표 3-2)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했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에 금속층(크롬(금속 Cr)층) 함유 다층막을 가지고,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금속층을 포함하지 않음)을 가지는 실시예 3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4]
렌즈 기재 A의 양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연마)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표면 위에 각각 막 두께 3000 nm의 하드 코트층(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층)을 형성했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4(표 4-1, 표 4-2)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했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에 금속층(니켈(금속 Ni)층) 함유 다층막을 가지고,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금속층을 포함하지 않음)을 가지는 실시예 4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5]
렌즈 기재 A의 양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연마)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표면 위에 각각 막 두께 3000 nm의 하드 코트층(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층)을 형성했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5(표 5-1, 표 5-2)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했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에 금속층(크롬(금속 Cr)층) 함유 다층막을 가지고,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금속층을 포함하지 않음)을 가지는 실시예 5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6]
렌즈 기재 A의 양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연마)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표면 위에 각각 막 두께 3000 nm의 하드 코트층(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층)을 형성했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6(표 6-1, 표 6-2)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했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에 금속층(크롬(금속 Cr)층) 함유 다층막을 가지고,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금속층을 포함하지 않음)을 가지는 실시예 6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비교예 1]
렌즈 기재 A의 양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연마)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표면 위에 각각 막 두께 3000 nm의 하드 코트층(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층)을 형성했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8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했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 및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금속층을 포함하지 않음)을 가지는 비교예 1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비교예 2]
렌즈 기재 A의 양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연마)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표면 위에 각각 막 두께 3000 nm의 하드 코트층(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층)을 형성했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위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9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했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 및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금속층을 포함하지 않음)을 가지는 비교예 2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표 1~표 9에 기재된 막 두께는 광학식 막 두께 측정기에 의해서 측정된 광학막 두께를 물리막 두께로 환산하여 구한 값(단위:nm)이다. 각층의 두께는 성막 시간에 의해서 제어했다.
[표 1-1]
Figure 112019029255838-pct00005
[표 1-2]
Figure 112019029255838-pct00006
[표 2-1]
Figure 112019029255838-pct00007
[표 2-2]
Figure 112019029255838-pct00008
[표 3-1]
Figure 112019029255838-pct00009
[표 3-2]
Figure 112019029255838-pct00010
[표 4-1]
Figure 112019029255838-pct00011
[표 4-2]
Figure 112019029255838-pct00012
[표 5-1]
Figure 112019029255838-pct00013
[표 5-2]
Figure 112019029255838-pct00014
[표 6-1]
Figure 112019029255838-pct00015
[표 6-2]
Figure 112019029255838-pct00016
[표 7]
Figure 112019029255838-pct00017
[표 8]
Figure 112019029255838-pct00018
[평가 방법]
<1. 안경 렌즈의 청색광 커트율, 시감 투과율>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직입사 투과 분광 특성을, 히타치 제작소 제 분광 광도계 U4100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의 물체측의 표면측(철면측)으로부터 물체측 표면의 광학 중심으로 광을 입사시켜 파장 380 nm로부터 780 nm까지 1 nm 피치로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앞에서 기재한 방법에 의해, 청색광 커트율 및 시감 투과율을 구했다.
<2.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 표면(철면측)의 광학 중심에서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앞에서 기재한 방법에 의해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물체측 표면에서의 평균 반사율(청색광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을, 각각 구했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안구측으로부터, 안구측 표면(요면측)의 광학 중심에서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앞에서 기재한 방법에 의해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안구측 표면에서의 평균 반사율(청색광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을, 각각 구했다.
상기 측정은 올림푸스사 제 렌즈 반사율 측정기 USPM-RU를 이용해서 수행했다(측정 피치:1 nm).
실시예 1의 안경 렌즈에 대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내고, 실시예 2의 안경 렌즈에 대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을 도 2에 나타낸다.
<3. 주파장>
상기 2.에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대해서 얻어진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고, JIS Z 8781-3:2016의 부속서 JA에 따라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을 구했다.
또, 상기 2.에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대해서 얻어진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고, JIS Z 8781-3:2016의 부속서 JA에 따라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을 구했다.
<4. YI값>
상기 1.에서 얻어진 직입사 투과 분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고, JIS K 7373:2006에 따라 YI값을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직입사 투과 분광 특성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투과 스펙트럼으로부터, JIS Z 8701:1999의 식(3)에 따라서, X, Y, Z를 산출하고, JIS K 7373:2006의 6.1절의 계산식에 의해, D65 광원에 대한 YI값을 산출했다.
이상의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표 9]
Figure 112019029255838-pct00019
표 9 중, 비교예 1의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의 양표면에서 측정된 청색광 반사율이 1.00%를 넘고 있다. 이와 같이 비교예 1의 안경 렌즈는 양표면에서 높은 청색광 반사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비교예 2의 안경 렌즈와 비교해서 높은 청색광 커트율을 나타내고 있지만, YI값은 실시예 1~6의 안경 렌즈보다 높다. 따라서, 비교예 1의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을 착용하면, 실시예 1~6의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을 착용한 경우와 비교해서, 착용자의 시야가 황색을 띠어 버린다.
이것에 대해, 표 6에 나타내고 있는 결과로부터, 실시예 1~6의 안경 렌즈는 21.0% 이상의 높은 청색광 커트율을 나타내고, 또한 비교예 1의 안경 렌즈와 비교해서 YI값이 낮고 안경 착용자가 시인하는 황색이 저감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각 태양을 총괄한다.
일 태양에 의하면,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기재와,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을 가지고, 청색광 커트율이 21.0% 이상이며,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 이하이며, 또한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 이하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상기 안경 렌즈는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황색의 저감이 가능하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500.0~550.0 nm의 범위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500.0~550.0 nm의 범위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 및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모두 500.0~550.0 nm의 범위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에서,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위 및 안구측 표면 위에 다층막이 위치하고, 상기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은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금속층은 크롬층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금속층은 니켈층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시감 투과율은 80.0% 이상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YI값은 10.0% 이하이다.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태양은 임의의 조합으로 2개 이상을 조합할 수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안경의 제조 분야에서, 유용하다.

Claims (8)

  1.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기재와,
    막 두께 1.0~10.0 nm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을 가지고,
    청색광 커트율이 21.0% 이상이며,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 이하이며, 또한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 이하인 안경 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500.0~550.0 nm의 범위인 안경 렌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500.0~550.0 nm의 범위인 안경 렌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위 및 안구측 표면 위에 다층막이 위치하고,
    상기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은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위에 위치하는 다층막인 안경 렌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크롬층인 안경 렌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니켈층인 안경 렌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시감 투과율이 80.0% 이상인 안경 렌즈.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
KR1020197008266A 2017-09-29 2018-09-28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189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91687 2017-09-29
JP2017191687 2017-09-29
PCT/JP2018/036302 WO2019065989A1 (ja) 2017-09-29 2018-09-28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052A KR20190040052A (ko) 2019-04-16
KR102189656B1 true KR102189656B1 (ko) 2020-12-14

Family

ID=6590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266A KR102189656B1 (ko) 2017-09-29 2018-09-28 안경 렌즈 및 안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37623B2 (ko)
EP (1) EP3505998A4 (ko)
JP (1) JP7274875B2 (ko)
KR (1) KR102189656B1 (ko)
CN (1) CN110073281A (ko)
AU (1) AU2018334589B2 (ko)
CA (1) CA3038077C (ko)
WO (1) WO2019065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0930B1 (en) 2019-09-09 2020-11-10 Apple Inc. Antireflective infrared cut filter coatings for electronic devices
US11835739B2 (en) * 2020-02-14 2023-12-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ark mirror thin films
EP4095570A1 (en) * 2021-05-27 2022-11-30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lens having an asymmetric mirr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0930A1 (ja) 2012-09-28 2014-04-03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46540A1 (ja) 2013-09-30 2015-04-0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透明プラスチック基材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WO2015137282A1 (ja) 2014-03-14 2015-09-1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ミラーコートレンズ
WO2016088763A1 (ja) 2014-12-01 2016-06-09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858A (en) * 1975-01-14 1976-08-23 ****** *** *ku***chi*se*ku*******ka*****************chi***ne********
JPS5766401A (en) * 1980-10-13 1982-04-22 Seiko Epson Corp Synthetic resin lens
JPH07118989B2 (ja) 1987-09-22 1995-12-20 ホーヤ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レンズの製造方法
JPH0620752B2 (ja) 1990-03-30 1994-03-23 ホーヤ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レンズの製造方法
JP2644671B2 (ja) 1993-08-31 1997-08-25 ホーヤ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695599B2 (ja) 1993-09-29 1997-12-24 ホーヤ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レンズの製造方法
JPH09255781A (ja) 1996-01-17 1997-09-30 Mitsubishi Gas Chem Co Inc 新規なエピスルフィド化合物
JP3709901B2 (ja) 1996-01-31 2005-10-2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ゴム組成物
US6172812B1 (en) * 1997-01-27 2001-01-09 Peter D. Haaland Anti-reflection coatings and coated articles
JP4524877B2 (ja) * 2000-07-17 2010-08-1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眼鏡用レンズ
US8500274B2 (en) * 2000-11-03 2013-08-06 High Performance Optics, Inc. Dual-filter ophthalmic lens to reduce risk of macular degeneration
JP4643233B2 (ja) 2004-11-17 2011-03-02 株式会社乾レンズ 眼鏡用レンズ、及び、眼鏡
ES2611129T3 (es) * 2005-09-08 2017-05-05 Calhoun Vision Inc. Nuevos elementos ópticos ajustables con protección aumentada frente a la luz ultravioleta
EP1967891B1 (en) * 2005-12-28 2014-01-08 Tokai Optical Co., Ltd.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US20070216861A1 (en) * 2006-03-20 2007-09-20 Andrew Ishak Ophthalmic system combining ophthalmic components with blue light wavelength blocking and color-balancing functionalities
GB0617806D0 (en) 2006-09-11 2006-10-18 Johnson Matthey Plc Fuel cell assembly
JP5195858B2 (ja) 2010-09-22 2013-05-15 日立金属株式会社 窒化珪素基板
JP5173076B2 (ja) 2010-09-29 2013-03-2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28135A (ja) 2010-12-15 2012-07-05 Seiko Epson Corp 光学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688145B (zh) * 2011-03-03 2020-03-17 恩光码公司 多频带色觉滤波器和使用线性程序解算器优化的方法
EP2850484B1 (fr) * 2012-05-16 2018-12-19 Essilor International Lentille ophtalmique
JP2015049338A (ja) * 2013-08-30 2015-03-16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885885B2 (en) * 2013-11-27 2018-0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ue edge filter optical lens
EP2887129B1 (en) * 2013-12-23 2020-04-22 Essilor International Transparent optical article having a colorless appearance
JP2015152735A (ja) * 2014-02-13 2015-08-24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並びに眼鏡レンズ及び眼鏡
CN103984120B (zh) * 2014-05-30 2015-06-10 奥特路(漳州)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防蓝光光学镜片的制造方法
KR101941798B1 (ko) * 2014-10-17 2019-01-23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및 안경
US20170097521A1 (en) * 2015-10-01 2017-04-06 Tokai Optical Co., Ltd.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WO2017058562A1 (en) * 2015-10-02 2017-04-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ter
CN105353528B (zh) * 2015-12-15 2018-01-02 龙南县生产力促进中心 一种防蓝光镜片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0930A1 (ja) 2012-09-28 2014-04-03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46540A1 (ja) 2013-09-30 2015-04-0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透明プラスチック基材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WO2015137282A1 (ja) 2014-03-14 2015-09-1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ミラーコートレンズ
WO2016088763A1 (ja) 2014-12-01 2016-06-09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052A (ko) 2019-04-16
EP3505998A1 (en) 2019-07-03
EP3505998A4 (en) 2020-05-06
CN110073281A (zh) 2019-07-30
WO2019065989A1 (ja) 2019-04-04
CA3038077A1 (en) 2019-03-29
US20190219843A1 (en) 2019-07-18
JP7274875B2 (ja) 2023-05-17
AU2018334589A1 (en) 2019-04-18
AU2018334589B2 (en) 2020-03-26
CA3038077C (en) 2021-05-18
JP2019082718A (ja) 2019-05-30
US11137623B2 (en)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655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148582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189656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US11262601B2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KR102362349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JP6473282B1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