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798B1 - 안경 렌즈 및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및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798B1
KR101941798B1 KR1020177013083A KR20177013083A KR101941798B1 KR 101941798 B1 KR101941798 B1 KR 101941798B1 KR 1020177013083 A KR1020177013083 A KR 1020177013083A KR 20177013083 A KR20177013083 A KR 20177013083A KR 101941798 B1 KR101941798 B1 KR 101941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pectacle lens
film
ey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889A (ko
Inventor
에이사쿠 이와사키
요이치 오고
게이지 니시모토
겐지 다카시바
나오미 오가와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6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7Interference 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렌즈 기재와, 그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위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eye 및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object 는, 각각 0 % 초과이고, 또한 Reye 는 Robject 보다 큰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및 안경{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본 출원은 2014년 10월 1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21298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기재는, 여기에 특별히 개시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디지털 기기의 모니터 화면은 브라운관으로부터 액정으로 바뀌어, 최근에는 LED 액정도 보급되어 있지만, 액정 모니터, 특히 LED 액정 모니터는, 이른바 청색광이라 불리는 파장 430 ∼ 450 ㎚ 정도의 단파장광을 강하게 발광한다. 그 때문에,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안정 피로나 눈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청색광에 대해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청색광이란, 파장 430 ∼ 450 ㎚ 의 광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점에 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93689호 또는 영어 패밀리 멤버 US2013/222913A1, 그것들의 전체 기재는 여기에 특별히 개시로서 원용된다. 여기에는, 청색광의 파장역을 포함하는 파장 400 ∼ 450 ㎚ 의 광을 반사시키는 성질을 갖는 다층막을 갖는 광학 물품이 제안되어 있다.
청색광에 대한 대책에 관하여, 안경 렌즈 표면에 입사되는 청색광을 반사시키는 성질 (이하,「청색광 반사 특성」이라고도 한다) 을 부여하면, 안경 렌즈를 통하여 장용자의 눈에 입사되는 청색광의 양을 저감시켜,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안경 렌즈에는, 안경 장용자가 양호한 장용감을 가지고 사용 가능한 것도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청색광 반사 특성이 부여된 안경 렌즈는, 장용감이 반드시 양호하지는 않아, 가일층의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 분명해졌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 가능함과 함께, 장용감이 양호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가운데, 이하의 새로운 지견을 얻었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93689호에는, 안경 렌즈의 양면에 청색광 반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층막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층막을 형성하여 안경 렌즈 양면에 청색광 반사 특성을 갖게 하는 것은, 청색광이 눈에 주는 부담을 저감시키는 데에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안경 장용자의 눈에 입사되는 광은 물체측 표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한정되지 않고, 비스듬한 후방으로부터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입사된 광도, 안구측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으로서 장용자의 눈에 입사된다. 그리고 이 안구측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에는, 안구측 표면을 반사면으로 하는 광 외에, 안구측으로부터 입사되어 물체측 표면에서 반사되고 복귀광으로서 렌즈로부터 출사되는 광도 포함된다. 여기서 물체측 표면에 안구측 표면보다 높은 청색광 반사 특성을 부여한 안경 렌즈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이한 면에서 반사된 청색광이 눈에 입사됨으로써 눈부심이 발생하는 것이 장용감 저하의 한 요인이 된다고 본 발명자들은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의 안경 렌즈 :
렌즈 기재와, 이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위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eye 및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object 는, 각각 0 % 초과이고, 또한 Reye 는 Robject 보다 큰 안경 렌즈를 새로 알아내어, 본 발명의 일 양태를 완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안구측 표면에 물체측 표면보다 높은 청색광 반사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눈부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안경 렌즈와, 이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갖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게다가 장용감이 양호한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와, 이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위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eye 및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object 는, 각각 0 % 초과이고, 또한 Reye 는 Robject 보다 큰 안경 렌즈이다.
이하에,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안경 렌즈는,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eye 및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object 가 각각 0 % 초과이다. 즉,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에서 각각 430 ∼ 450 ㎚ 의 파장역의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성질 (청색광 반사 특성) 을 갖는다. Reye, Robject 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 이상이다. 상기 직입사 평균 반사율이 높을수록,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직입사 평균 반사율이 높을수록 안경 렌즈의 푸른 기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푸른 기가 적은 안경 렌즈를 얻는 관점에서는, Reye, Robject 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21.00 % 이하이고, 보다 장용감이 양호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관점에서는, Reye 및 Robject 의 적어도 일방, 바람직하게는 양방이 15.00 %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0 % 이하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또한 직입사 평균 반사율이란, 측정 대상 표면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 임의의 파장마다 (임의의 피치로) 측정된 직입사 반사율의 산술 평균값을 말한다. 측정에 있어서, 측정 파장 간격 (피치) 은, 예를 들어 1 ㎚ ∼ 10 ㎚ 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상기 안경 렌즈는,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의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eye 가,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의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object 보다 크다. 이와 같이, 보다 높은 청색광 반사 특성을 안구측 표면에 부여함으로써, 전술한 눈부심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또는 발생의 정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여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의 경감과, 양호한 장용감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양호한 장용감을 얻는 관점에서는, Reye 는, (Robject + 0.90) % 이상인 것, 즉, Reye 와 Robject 의 차분 (Reye - Robject) 이 0.9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0 % 이상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차분은, 예를 들어 7.00 % 이하 또는 6.00 % 이하여도 되지만, 7.00 % 초과여도 되고 6.00 % 초과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차분은, 18.00 % 이하, 12.00 % 이하 등이어도 된다. 또, Robject 에 대한 Reye 의 비 (Reye/Robject) 는, 1.00 초과 6.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초과 5.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안경 렌즈에 있어서,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위 및 물체측 표면 위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은, 안경 렌즈에 상기 청색광 반사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안구측 표면이란, 본 발명의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장용자에게 장용되었을 때 안구측에 배치되는 면을 말하고, 물체측 표면이란, 물체 측에 배치되는 면을 말한다. 상기 다층막은, 렌즈 기재의 표면 위에, 직접 또는 1 층 이상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된다. 렌즈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트)아크릴 수지를 비롯한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알릴 수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 (CR-39) 등의 알릴카보네이트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우레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킨 티오우레탄 수지, 분자 내에 1 개 이상의 디술파이드 결합을 갖는 (티오)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무기 유리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렌즈 기재로는, 염색되어 있지 않은 것 (이하, 무색 렌즈라고 한다) 을 사용해도 되고, 염색되어 있는 것 (염색 렌즈) 을 사용해도 된다.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60 ∼ 1.75 정도이다. 단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범위 내여도 되고, 상기 범위로부터 상하로 떨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굴절률이란, e 선 (파장 546.07 ㎚) 에 대한 굴절률 ne 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안경 렌즈는, 단초점 렌즈, 다초점 렌즈, 누진 굴절력 렌즈 등의 각종 렌즈일 수 있다. 렌즈의 종류는, 렌즈 기재의 양면의 면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또, 렌즈 기재 표면은, 볼록면, 오목면, 평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통상적인 렌즈 기재 및 안경 렌즈에서는, 물체측 표면은 볼록면, 안구측 표면은 오목면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색광 반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층막은, 렌즈 기재 표면에 직접 형성해도 되고, 1 층 이상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렌즈 기재와 상기 다층막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층으로는, 예를 들어, 하드코트층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안경 렌즈에 방상성 (防傷性) (내찰상성) 을 부여할 수 있고, 또 안경 렌즈의 내구성 (강도) 을 높일 수도 있다. 하드코트층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28135호 단락 0025 ∼ 0028, 0030 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렌즈 기재와 상기 피막 사이에는, 밀착성 향상을 위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28135호 단락 0029 ∼ 0030 을 참조할 수 있다.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위, 물체측 표면 위에 각각 형성하는 다층막은, 이들 다층막을 갖는 안경 렌즈 표면에 430 ∼ 450 ㎚ 의 파장역의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성질 (청색광 반사 특성) 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다층막은, 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막 재료의 굴절률과, 반사시켜야 하는 광인 청색광의 파장에 기초하여, 공지된 수법에 의한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층의 막 두께를 결정하고, 결정된 막 두께가 되도록 정한 성막 조건하에서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상기 다층막을 형성할 수 있다. 성막 재료로는, 무기 재료여도 유기 재료여도 유기 무기 복합 재료여도 되고, 성막이나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무기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Reye,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Robject 는, 성막 재료의 종류, 막 두께, 적층 순서 등을 조정함으로써, 각각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굴절 재료로는, ZrO2, Ta2O5, TiO2, Al2O3, Y2O3, HfO2, 및 Nb2O5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산화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저굴절률 재료로는 SiO2, MgF2 를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편의상, 산화물 및 불화물을 화학량론 조성으로 표시하였지만, 화학량론 조성으로부터 산소 또는 불소가 결손 혹은 과다인 상태에 있는 것도,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다층막에 포함되는 각 층의 막 두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다층막의 층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렌즈 최표면측을 향하여,
제 1 층 (저굴절률층)/제 2 층 (고굴절률층)/제 3 층 (저굴절률층)/제 4 층 (고굴절률층)/제5층 (저굴절률층)/제 6 층 (고굴절률층)/제 7 층 (저굴절률층) 의 순으로 적층된 구성 ;
제 1 층 (고굴절률층)/제 2 층 (저굴절률층)/제 3 층 (고굴절률층)/제 4 층 (저굴절률층)/제 5 층 (고굴절률층)/제 6 층 (저굴절률층) 의 순으로 적층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조합의 일례로는,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의 조합을 들 수 있고, 이들 2 층의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1 개 포함하는 다층막을, 다층막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층은, 전술한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피막에 있어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전체의 50 질량% 정도 ∼ 100 질량%, 나아가서는 90 질량% 정도 ∼ 100 질량% 를 차지하는 성분이다. 상기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막 재료 (예를 들어 증착원) 를 사용하여 성막을 실시함으로써, 그와 같은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막 재료에 관한 주성분도 상기와 동일하다. 피막 및 성막 재료에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미량의 불순물이 함유되는 경우가 있고, 또, 주성분이 달성하는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다른 무기 물질이나 성막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된 첨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성막은 공지된 성막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며, 성막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증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증착에는, 건식법,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 등이 포함된다. 진공 증착법에서는, 증착 중에 이온 빔을 동시에 조사하는 이온 빔 어시스트법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다층막은, 이상 설명한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에 추가하여,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증착원을 사용하는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1 층 이상의 도전성 산화물층을, 다층막의 임의의 위치에 포함할 수도 있다. 도전성 산화물로는, 안경 렌즈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아연, 티타니아 및 이들 복합 산화물 등의, 일반적으로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 알려진 각종 도전성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및 도전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한 도전성 산화물로는, 산화주석, 인듐-주석 산화물 (ITO) 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산화물층을 함유함으로써, 안경 렌즈가 대전되어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층막 위에, 또 다른 기능성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기능성막으로는, 발수성 또는 친수성의 방오막, 방담막, 편광막, 조광막 등의 각종 기능성막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능성막에 대해서는, 모두 공지 기술을 전혀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안경 렌즈는, 눈에 부담을 가하는 청색광이 눈에 입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장용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와 같은 안경 렌즈와, 이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갖는 안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안경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8]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어 미리 하드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플라스틱 렌즈 기재 (무색 렌즈) 의 볼록면측 (물체측) 의 하드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합계 8 층의 다층 증착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였다.
오목면측 (안구측) 의 하드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에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8 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하여 안경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1 ∼ 8 에서는,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 (하드코트측) 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사용하여 제 1 층, 제 2 층 … 의 순으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 8 층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불순물을 제외하면 표 1 에 나타내는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원을 사용하고, 다층 증착막을 구성하는 층의 1 층 이상의 막 두께를 바꿈으로써, 직입사 평균 반사율 Reye 및 Robject 를 제어하였다.
[표 1]
Figure 112017045875988-pct00001
[실시예 9 ∼ 21, 비교예 1]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어 미리 하드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플라스틱 렌즈 기재 (무색 렌즈) 의 볼록면측 (물체측) 의 하드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합계 8 층의 다층 증착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였다.
오목면측 (안구측) 의 하드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에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8 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하여 안경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9 ∼ 21, 비교예 1 에서는,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 (하드코트측) 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2 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사용하여, 표 2 에 나타내는 막 두께 (물리 막 두께) 로, 제 1 층, 제 2 층 … 의 순으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 8 층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불순물을 제외하면 표 2 에 나타내는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원을 사용하였다.
표 2 에 나타내는 렌즈 기재는, 표 2 에 나타내는 도수를 갖고, 굴절률 1.60 의 것은 HOYA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아이아스, 굴절률 1.50 의 것은 HOYA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하이룩스 (굴절률 1.50) 이고, 굴절률 1.74 의 것은 HOYA 주식회사 제조 아이비아이고, 각각 표 2 에 나타내는 굴절률을 갖는 하드코트가 양면에 형성되어 있다.
<평가 방법>
1. 청색광 반사 특성 (Reye, Robject), 주파장의 측정
제작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볼록면측), 안구측 표면 (오목면측) 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올림푸스 현미 분광 측정기 USPM 을 사용하여 3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피치 : 1 ㎚). 측정 결과로부터, Reye, Robject 및 주파장을 구하였다. 또한 주파장이란, 3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분광 반사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반사 극대 파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안경 렌즈는, 400 ∼ 500 ㎚ 의 파장역에 주파장을 갖는 것이, 청색광 반사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2. 눈부심 평가
제작된 안경 렌즈를, 통상적인 밝기의 실내에서 안구측으로부터 관찰하여, 물체측 표면의 내측에서 반사되는 광 (눈부심) 의 강도를 관찰자의 눈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관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안경 렌즈에서는, 비교예의 안경 렌즈와 비교하여 눈부심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A++ : 눈부심이 관찰되지 않는다.
A+ : 눈부심이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A 보다 눈부심이 적다).
A : 눈부심이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B : 눈부심이 관찰된다.
C : 눈부심이 관찰된다 (B 보다 중도(重度)).
D : 눈부심이 현저하게 관찰된다.
3. 고스트 평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2. 에서 평가되는 눈부심은,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입사된 청색광이 발생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입사된 청색광에 관해서는, 그 일부는 물체측 표면에서 반사되지만, 일부는 물체측 표면을 통과하여 안경 렌즈에 입사된다. 이렇게 하여 입사된 청색광이 안경 렌즈 내부에서 다중 반사되는 것에서 기인하여, 안경 장용자가 이중 이미지를 관찰하는 고스트라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안경 렌즈의 장용감을 보다 개선하기 위해서는, 고스트의 발생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작된 안경 렌즈를, 암실에서 형광등 아래 30 ㎝ 의 위치에서 안구측으로부터 관찰하여, 고스트 (이중 이미지) 의 발생 유무·정도를 관찰자의 눈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관능 평가하였다.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안경 렌즈에서는, 비교예의 안경 렌즈와 비교하여 고스트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 고스트 발생의 억제도, 안구측 표면에 물체측 표면보다 높은 청색광 반사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초래된 것으로 추찰하고 있다.
A : 고스트가 관찰되지 않거나,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B : 고스트가 관찰된다 (A 보다 중도).
C : 고스트가 현저하게 관찰된다.
이상의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1]
Figure 112017045875988-pct00002
[표 2-2]
Figure 112017045875988-pct00003
[표 2-3]
Figure 112017045875988-pct00004
마지막으로, 전술한 각 양태를 총괄한다.
일 양태에 의하면, 렌즈 기재와, 이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위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eye 및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object 는, 각각 0 % 초과이고, 또한 Reye 는 Robject 보다 큰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안경 렌즈와, 이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갖는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는, 상기와 같이 안구측 표면에 물체측 표면보다 높은 청색광 반사 특성이 부여된 안경 렌즈이며,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장용자에게 양호한 장용감을 가져올 수 있다.
일 양태에서는, Reye 및 Robject 는, 각각 2.00 ∼ 21.00 % 의 범위이고, 단 Reye 는 Robject 보다 크다.
일 양태에서는, 보다 양호한 장용감을 가져오는 관점에서, Reye 및 Robject 는, 각각 2.00 ∼ 10.00 % 의 범위이고, 단 Reye 는 Robject 보다 크다.
일 양태에서는, Reye 와 Robject 의 차분 (Reye - Robject) 은 0.90 %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는, Robject 에 대한 Reye 의 비 (Reye/Robject) 는 1.00 초과 6.50 이하의 범위이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다층막은, 무기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 복수 적층된 다층막이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다층막은,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1 개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다층막은,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을 적어도 1 층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피막은 증착막이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위의 다층막 및 물체측 표면 위의 다층막의 적어도 일방을, 적어도 하드코트층을 개재하여 렌즈 기재 위에 갖는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안경의 제조 분야에서 유용하다.

Claims (11)

  1. 렌즈 기재와, 그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위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eye 및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평균 반사율 Robject 는, 각각 2.00 % 이상 9.00 % 이하이며, 또한 R eye 는 (R object +0.90) % 이상 (R object +7.00) % 이하인 안경 렌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은, 무기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 복수 적층된 다층막인 안경 렌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은,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1 개 포함하는 안경 렌즈.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은,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을 적어도 1 층 포함하는 안경 렌즈.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은 증착막인 안경 렌즈.
  10. 제 1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위의 다층막 및 물체측 표면 위의 다층막 중 적어도 일방을, 적어도 하드코트층을 개재하여 상기 렌즈 기재 위에 갖는 안경 렌즈.
  11. 제 1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경 렌즈와, 그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갖는 안경.
KR1020177013083A 2014-10-17 2015-10-16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1941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2988 2014-10-17
JPJP-P-2014-212988 2014-10-17
PCT/JP2015/079354 WO2016060257A1 (ja) 2014-10-17 2015-10-16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889A KR20170067889A (ko) 2017-06-16
KR101941798B1 true KR101941798B1 (ko) 2019-01-23

Family

ID=5574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083A KR101941798B1 (ko) 2014-10-17 2015-10-16 안경 렌즈 및 안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02666B2 (ko)
EP (1) EP3208653B1 (ko)
JP (1) JP6415587B2 (ko)
KR (1) KR101941798B1 (ko)
CN (1) CN107077010B (ko)
AU (1) AU2015331263B2 (ko)
CA (1) CA2964444C (ko)
WO (1) WO2016060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84120B (zh) * 2014-05-30 2015-06-10 奥特路(漳州)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防蓝光光学镜片的制造方法
KR102349699B1 (ko) 2017-05-31 2022-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JP6473281B1 (ja) 2017-09-29 2019-02-20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JP6473282B1 (ja) * 2017-09-29 2019-02-20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JP6873880B2 (ja) * 2017-09-29 2021-05-19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KR102189656B1 (ko) 2017-09-29 2020-12-14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및 안경
WO2019065985A1 (ja) * 2017-09-29 2019-04-04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EP3528037A1 (en) * 2018-02-15 2019-08-21 Essilor International Ophthalmic tinted glass
KR102627742B1 (ko) 2022-09-23 2024-01-23 주식회사 진양정밀 엔코더링 착자기의 요크 냉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4734A2 (en) 2000-07-17 2002-01-23 Konica Corporation Optical element and eyeglass lens
WO2014050930A1 (ja) 2012-09-28 2014-04-03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775341A1 (en) 2011-10-31 2014-09-10 HOYA Corporation Lens for eyeglass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858A (en) * 1975-01-14 1976-08-23 ****** *** *ku***chi*se*ku*******ka*****************chi***ne********
JP2012093689A (ja) * 2010-09-29 2012-05-17 Nikon-Essilor Co Ltd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69195B2 (ja) * 2011-10-31 2016-08-17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WO2013122253A1 (ja) 2012-02-17 2013-08-22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838305A (zh) * 2012-11-05 2015-08-12 株式会社尼康依视路 光学元件、光学元件的制造方法、及重影光的定量方法
US8911082B2 (en) 2013-03-14 2014-12-16 Indizen Optical Technologies, SLL. Eyewear lenses with controlled filters for night driv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4734A2 (en) 2000-07-17 2002-01-23 Konica Corporation Optical element and eyeglass lens
JP2002031701A (ja) * 2000-07-17 2002-01-31 Konica Corp 光学素子および眼鏡用レンズ
US20020024705A1 (en) 2000-07-17 2002-02-28 Satoshi Nakano Optical element and eyeglass lens
EP2775341A1 (en) 2011-10-31 2014-09-10 HOYA Corporation Lens for eyeglasses
WO2014050930A1 (ja) 2012-09-28 2014-04-03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8653A1 (en) 2017-08-23
EP3208653A4 (en) 2018-05-30
AU2015331263B2 (en) 2018-09-13
CN107077010A (zh) 2017-08-18
US11402666B2 (en) 2022-08-02
AU2015331263A1 (en) 2017-05-04
WO2016060257A1 (ja) 2016-04-21
JPWO2016060257A1 (ja) 2017-08-03
US20170242273A1 (en) 2017-08-24
CN107077010B (zh) 2020-09-01
EP3208653B1 (en) 2022-06-08
CA2964444C (en) 2020-04-14
KR20170067889A (ko) 2017-06-16
JP6415587B2 (ja) 2018-10-31
CA2964444A1 (en)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798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JP6530765B2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KR102189657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JP7136907B2 (ja) 眼鏡レンズ
JP7136908B2 (ja) 眼鏡レンズ
JP7136909B2 (ja) 眼鏡レンズ
JP7303613B2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