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485B1 -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485B1
KR102188485B1 KR1020140022646A KR20140022646A KR102188485B1 KR 102188485 B1 KR102188485 B1 KR 102188485B1 KR 1020140022646 A KR1020140022646 A KR 1020140022646A KR 20140022646 A KR20140022646 A KR 20140022646A KR 102188485 B1 KR102188485 B1 KR 102188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retching
cellulose acylate
area
acyl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957A (ko
Inventor
마사노리 다카세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14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24081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습열내구 시험을 거쳐도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작게 억제된 투명한 광학필름을 제조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2 텐터(20)는, 반송방향(Z1)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예열에리어(45), 제1 연신에리어(46), 제2 연신에리어(47), 냉각에리어(48)를 가진다. 제1 연신에리어(46)에서는, 필름(12)의 온도를 (Tg+1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한다. 제1 연신에리어(46)에서는, 필름(12)을 폭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폭을 1.5배 이상 넓힌다. 제2 연신에리어(47)에서는,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의 연신각도(θ1)보다 작은 연신각도(θ2)로 필름(12)을 폭방향으로 연신한다.

Description

광학필름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LM}
본 발명은, 광학필름, 특히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필름은, 뛰어난 광투과성이나 유연성 및 경량 박막화가 가능하다는 등의 특징으로부터 광학필름으로서 여러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폴리머필름 중에서도,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은,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의 보호필름, 위상차필름 등의 광학필름에 이용되고 있다.
폴리머필름의 주된 제조방법으로서는, 용융압출방법과 용액제막방법이 있다. 용융압출방법은, 폴리머를 그대로 가열용해시킨 후, 압출기로 압출하여 폴리머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용융압출방법은, 폴리머필름의 생산성이 높고, 설비 코스트도 비교적 낮은 등의 특징을 가진다. 한편, 용액제막방법은, 폴리머가 용매에 녹아 있는 폴리머용액(이하, 도프라고 함)을 지지체 상에 유연하여, 유연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용액제막방법은, 유연막이 자기 지지성을 가지는 것이 된 후, 용매를 포함한 상태의 유연막을 지지체로부터 벗김으로써 필름을 형성하고, 이 필름을 건조하는 방법이다. 이 용액제막방법은, 용융압출방법에 비해, 두께의 균일성이 뛰어나고, 함유 이물이 적은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에 적합하다.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 성능은 최근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표시장치에 사용하는 광학필름에 대해서도 요구 성능은 높아지고만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두께가 더욱 얇고, 화면이 더욱 크며, 휘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어, 이에 따라, 위상차필름 등의 광학필름에 대해서는, 광학특성의 균일성이나 투명성에 대하여, 보다 까다로운 요구가 나오고 있다.
또, 액정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에는, 소정의 환경조건하에서 일정한 특성,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고온고습의 조건(예를 들면, 온도 60℃ 이상 상대습도 90%RH)하에 있어서의 내구 시험(이하, 습열내구 시험이라고 함)에 의하여 폴리머필름의 리타데이션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작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투명성의 저하나,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안이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4686916호 공보는, 3층 구조의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공유연(共流延)에 의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일본특허 제4686916호 공보에서는, 코어층과 제1 표층을,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와 유기용매와 첨가제가 포함되며, 첨가제의 함유량이 서로 상이한 도프로 형성하고, 제2 표층을,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와 미립자와 유기용매가 포함되는 도프로 형성하고 있다. 코어층은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층이며, 제1 표층은 코어층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고, 제2 표층은 코어층의 타방의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용매를 포함한 상태로 유연막을 지지체로부터 벗김으로써 형성한 필름을, 잔류 용매량이 3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동안, 혹은, 연신 시의 필름의 온도를 140℃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로 하면서, 적어도 폭방향으로 연신한다. 일본특허 제4686916호 공보는, 이로써, 투명성이 뛰어난 필름을 제조한다.
또,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0-107949호는, 연신스텝을 거친 폴리머필름에 수증기 접촉처리와,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로써,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를 작게 억제한다. 수증기 접촉처리를 행하는 수증기 접촉스텝은, 연신스텝 후의 폴리머필름에 수증기를 접촉시키고, 폴리머필름의 온도를 10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한다. 열처리스텝은, 수증기 접촉스텝을 거친 폴리머필름에 건조한 기체를 접촉시키고, 폴리머필름의 온도를 120℃ 이상 130℃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한다.
또한, 폴리머필름에 목적으로 하는 광학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장척의 폴리머필름에 대해서, 예를 들면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신처리가 실시되는 경우가 많다.
광학필름에 목적으로 하는 리타데이션을 발현시키려면, 두께가 얇을 수록, 연신처리에 있어서 폴리머필름을 보다 높은 연신배율로 연신시킬 필요가 있지만, 연신배율이 높을 수록 폴리머필름의 투명성은 저하된다. 그리고,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신처리에 있어서 폴리머필름을 보다 높은 온도로 한 상태에서 연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신처리에 있어서 이와 같이 폴리머필름의 온도를 보다 높게 한 상태에서 연신배율을 보다 높게 할 수록,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커져 버린다. 이러한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는, 일본특허 제4686916호 공보의 방법으로는 작게 억제할 수 없다.
또,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0-107949호의 방법에 의하면, 투명성이 뛰어난 필름을 얻을 수 있고, 또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를 작게 억제하는 점에 대하여 일정한 효과는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0-107949호의 방법은,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에 대해서는, 최근 요구되어 온 레벨을 확실히 달성하기에는 이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작게 억제되고, 투명성이 뛰어난 광학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 연신스텝(A스텝)과 제2 연신스텝(B스텝)을 구비하고, 장척의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반송하면서 폭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광학필름으로 한다. A스텝은,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Tg+1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하여 일정한 연신각도(θ1)로 폭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폭을 1.5배 이상 넓힌다.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Tg+1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연신각도(θ1)에서 연신을 행한다. B스텝은, A스텝에 연속하여 연신각도(θ1)보다 작은 연신각도(θ2)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폭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폭을 넓힌다. 여기에서, Tg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유리 전이점이다. Tg의 단위는 ℃이다. 연신각도(θ1) 및 연신각도(θ2)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측가장자리의 통과로와 반송방향이 이루는 각이다.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은, 또한 예비 연신스텝(C스텝)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스텝은, A스텝 전에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폭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폭을 1.01배 이상 1.20배 이하의 범위 내로 넓힌다.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140℃ 이하의 온도로 한 상태에서 연신한다.
또한, 유연스텝(D스텝)과, 박리스텝(E스텝)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스텝은,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가 용매에 녹은 도프를 이동하는 지지체 상에 유연하여 유연막을 형성한다. E스텝은, 용매를 포함한 상태의 유연막을 박리함으로써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형성한다. A스텝은 잔류 용매량이 20질량% 이하가 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연신한다.
또한, 수증기 접촉스텝(F스텝)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스텝은, B스텝 후에 광학필름에 수증기를 접촉시키고, 광학필름의 온도를 10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한다.
상기 B스텝은,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온도를 상기 A스텝에 있어서의 온도로부터 낮춰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은, 총아실기 치환도(Z)가 하기 식(I)을 충족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제1 층과, 이 제1 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되어, 총아실기 치환도(Z)가 하기 식(II)를 충족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제2 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0≤Z<2.7…(I)
2.7≤Z≤3.0…(II)
본 발명에 의하면,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작게 억제되고, 투명성이 뛰어난 광학필름이 얻어진다.
상기 목적,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용액제막설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제2 텐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수증기 접촉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하는 광학필름에 있어서의 폴리머는, 투명한 열가소성의 폴리머이다. 열가소성 폴리머가 흡습성을 가지는 경우에 본 발명은 효과가 있고, 흡습성이 높은 것일 수록, 본 발명은 효과가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흡습성이 있는 열가소성 폴리머로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에 대한 아실기의 치환도가 하기 식(1)~(3)을 충족하는 TAC(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은 특히 유효하다. 식(1)~(3)에 있어서, A 및 B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 중의 수소 원자에 대한 아실기의 치환도를 나타내고, A는 아세틸기의 치환도, B는 탄소 원자수가 3~22인 아실기의 치환도이다. 다만,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총아실기 치환도(Z)는, A+B로 구하는 값이다.
(1) 2.7≤A+B≤3.0
(2) 0≤A≤3.0
(3) 0≤B≤2.9
또, TAC 대신에, 또는 더하여,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에 대한 아실기의 치환도가 하기 식(4)를 충족하는 DAC(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특히 유효하다.
(4) 2.0≤A+B<2.7
리타데이션의 파장 분산성의 관점에서, 식(4)를 충족하면서도, DAC의 아세틸기의 치환도(A), 및 탄소 원자수 3 이상 22 이하의 아실기의 치환도의 합계(B)는, 하기 식(5) 및 (6)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1.0<A<2.7
(6) 0≤B<1.5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β-1,4 결합하고 있는 글루코오스 단위는, 2위, 3위 및 6위에 유리(遊離)된 수산기(히드록실기)를 가지고 있다.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는, 이들 수산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소 원자수 2 이상의 아실기에 의하여 에스테르화한 중합체(폴리머)이다. 아실 치환도는, 2위, 3위 및 6위 각각에 대하여, 셀룰로오스의 수산기가 에스테르화하고 있는 비율(100%의 에스테르화인 경우를 치환도 1로 함)을 의미한다.
도 1의 용액제막설비(10)는, 도프(11)로부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이하, 간단히 “필름”이라고 함)(12)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도프(11)는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것이다. 용액제막설비(10)는, 유연장치(15)와, 제1 텐터(16)와, 제1 절제장치(17)와, 제2 텐터(20)와, 제2 절제장치(21)와, 건조실(25)과, 냉각실(26)과, 권취장치(27)를,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한다.
유연장치(15)는, 도프(11)로부터 용매를 포함한 상태의 필름(1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유연장치(15)는, 벨트(30)와, 유연다이(31)와, 백업롤러(33)와, 박리롤러(35)를, 외부 공간과 구획하는 챔버(36) 중에 구비한다. 유연다이(31)는, 벨트(30)를 향하여 도프(11)를 유출한다. 벨트(30)는, 환형상으로 형성된 무단(無端)의 유연지지체이며, 1쌍의 백업롤러(33)에 걸쳐진다.
1쌍의 백업롤러(33)의 적어도 어느 일방은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이 구동부에 의하여, 단면 원형의 중앙에 설치된 축(33a)을 중심으로 화살표(A1)로 나타내는 둘레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하여, 둘레면에 걸쳐져 있는 벨트(30)는 길이방향으로 반송된다. 반송되고 있는 벨트(30)의 둘레면을 향하여, 유연다이(31)로부터 도프(11)가 유출됨으로써, 벨트(30)의 둘레면 상에서 도프가 유연되어 유연막(32)이 형성된다. 유연다이(31)로부터 벨트(30)에 걸쳐서는, 도프(11)로 이루어지는 비드가 형성된다. 백업롤러(33)의 회전방향(A1)에 있어서의 비드의 상류에는,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비드의 상류측 에리어를 감압하는 챔버(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각 백업롤러(33)는, 온도조절기(33b)에 의하여, 둘레면의 온도가 제어된다. 백업롤러(33)의 내부에는, 전열매체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온도조절기(33b)는, 전열매체의 온도를 조정하고, 백업롤러(33)와의 사이에서, 전열매체를 순환시킨다. 백업롤러(33)의 둘레면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벨트(30)를 통하여 유연막(32)의 온도가 제어된다. 예를 들면, 유연막(32)을 냉각 고화(겔화)시키는 이른바 냉각유연의 경우에는, 온도조절기(33b)는 전열매체를 냉각하고, 냉각된 전열매체를 백업롤러(33)에 송출한다. 이 송출을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행함으로써, 전열매체는, 백업롤러(33)의 내부의 유로를 돌아, 온도조절기(33b)로 되돌아온다. 유연막(32)을 건조하여 고화시키는 이른바 건조유연의 경우에는, 온도조절기(33b)는, 백업롤러(33)를 가열한다.
다만, 유연지지체는, 벨트(3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벨트(30) 대신에,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도시하지 않음)을 유연지지체로서 이용해도 된다. 건조유연의 경우에는, 벨트(30)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냉각유연의 경우에는 드럼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드럼을 유연지지체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드럼의 내부에 전열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드럼의 둘레면의 온도를 조정하고, 이 드럼을 통하여 유연막(32)의 온도를 제어한다.
박리롤러(35)는, 유연막(32)이 벨트(30)로부터 박리되는 박리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축방향이 백업롤러(33)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필름(12)이 반송방향(Z1)으로 인장되고, 이 필름(12)을 박리롤러(35)가 둘레면으로 지지함으로써, 유연막(32)은 소정의 위치에서 벨트(30)로부터 벗겨진다. 이 연속적인 박리에 의하여, 필름(12)이 장척으로 형성된다.
유연장치(15)의 내부에는, 도프(11), 유연막(32), 필름(12)의 각각으로부터 증발하여 기체가 된 용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콘덴서)가 구비된다. 이 응축기로 액화된 용매는, 챔버(36)의 외부에 배치된 회수장치로 안내되고, 이 회수장치로 회수된다. 다만, 응축기와 회수장치의 도시는 생략한다.
폴리머로서 TA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름(12)은 TAC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해, 폴리머로서 DA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름(12)은 복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복층 구조는, DAC로 이루어지는 층의 일방의 면에 TAC로 이루어지는 층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보다 바람직한 복층 구조는, DAC로 이루어지는 층의 일방의 면 및 타방의 면에 각각 TAC로 이루어지는 층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DAC로 이루어지는 층을 가지는 복층 구조의 광학필름은, 용액제막방법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시 공유연 혹은 순차 유연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 공유연의 경우의 유연다이(31)는, 주지의 멀티매니폴드다이이다. 멀티매니폴드다이 대신에, 피드블록과 싱글매니폴드다이를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피드블록은, 공급되어 온 복수 종류의 도프를 내부에서 합류시키고, 합류한 흐름을 싱글매니폴드다이로 보낸다.
필름(12)은, 롤러(40)에 의하여, 유연장치(15)로부터 제1 텐터(16)로 안내된다. 제1 텐터(16)는, 후술하는 제2 텐터(20)에 의한 제1 연신스텝과 제2 연신스텝 전의 예비 연신처리를 행하기(예비 연신스텝) 위한 것이다. 제1 텐터(16)는, 필름(12)의 각 측부를 복수의 클립(16a)으로 협지(파지)함으로써 지지하는 이른바 클립텐터이며, 클립(16a)이 소정 궤도를 주행한다. 클립(16a)의 주행에 의하여 필름(12)은 반송된다.
제1 텐터(16)는 에어공급부(16b)와 덕트(에어유출부)(16c)를 구비한다. 에어공급부(16b)가 덕트(16c)에 대해서, 소정 온도의 건조한 공기(이하, 건조공기라고 함)를 보내고, 덕트(16c)로부터 건조공기가 필름(12)으로 보내진다. 이로써, 제1 텐터(16)를 통과하는 동안에 필름(12)은 건조가 진행된다. 이 제1 텐터(16)에서는, 필름(12)의 건조를 진행함으로써, 필름(12)의 잔류 용매량을 3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잔류 용매량이란, 잔류 용매량을 구해야 하는 측정 대상의 필름(12)의 질량을 X, 이 필름(12)을 완전히 건조한 후의 질량을 Y로 하는 경우에, {(X-Y)/Y}×100으로 구하는 이른바 건량 기준의 값이다. 다만, “완전히 건조”는 용매의 양이 엄격하게 0(제로)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110℃에서 3시간, 측정 대상의 필름(12)에 대해서 건조처리를 행한 후의 질량을 Y로 하면 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텐터(16)로서 클립텐터를 이용하고 있지만, 클립텐터 대신에, 핀텐터를 이용해도 된다. 핀텐터는, 필름(12)의 측부에 복수의 핀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핀플레이트를 가지고, 이 핀플레이트가 소정 궤도를 주행함으로써, 필름(12)은 반송된다. 핀텐터를 제1 텐터(16)로서 이용하는 경우도, 클립텐터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필름(12)의 건조를 진행함으로써, 필름(12)의 잔류 용매량을 3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제2 텐터(20)로 안내하기 전에 필름(12)을 폭방향으로 신장하는 경우, 즉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에는, 제1 텐터(16)는 클립텐터로 하는 경우가 많다.
제1 절제장치(17)는, 필름(12)의 각 측부를 컷하는 절단날(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필름(12)이 절단날에 연속적으로 안내되어, 각 측부를 잘라냄으로써 제1 텐터(16)에서의 클립(16a)에 의한 지지흔적을 제거한다. 상술과 같이 클립텐터 대신에 핀텐터를 제1 텐터(16)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 절제장치(17)는 각 측부를 잘라냄으로써 핀에 의한 지지흔적을 제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12)을 제1 텐터(16)에서 건조한 후 제2 텐터(20)에 안내한다. 그러나, 제1 텐터(16)는 반드시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TAC로 이루어지는 2층의 사이에 DAC의 층을 구비하는 복층 구조의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1 텐터(16)를 이용함으로써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건조유연의 경우에는 핀텐터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제1 절제장치(17)로 양측부가 절제된 필름(12)은, 제2 텐터(20)에 안내된다. 필름(12)은, 잔류 용매량이 20질량% 이하가 된 후 제2 텐터(20)에 안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텐터(16)에 의하여 잔류 용매량이 20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필름(12)을 건조하고 있다. 제2 텐터(20)는, 후술하는 제1 연신처리와 제2 연신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텐터(20) 및 제1 연신처리와 제2 연신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제2 절제장치(21)는, 제1 절제장치(17)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필름(12)을 절단날에 연속적으로 안내하여, 제2 텐터(20)에서의 클립(50)(도 2 참조)에 의한 지지흔적이 제거되도록 각 측부를 잘라낸다.
건조실(25)에는, 필름(12)을 둘레면으로 지지하는 롤러(41)가 복수 구비된다. 이들 복수의 롤러(41) 중에는,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롤러가 있고, 이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필름(12)이 반송된다. 건조실(25)에는, 가열된 건조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이 건조실(25)을 통과시킴으로써 필름(12)을 더욱 건조한다.
냉각실(26)에는, 실온의 건조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실온이란, 15℃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이다. 이 냉각실(26)을 통과시킴으로써, 필름(12)을 강온시킨다. 온도가 저하된 필름(12)은, 냉각실(26)로부터 권취장치(27)에 안내되어 권심(42)에 권취된다.
제2 텐터(20)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12)의 반송로를 둘러싸 이 반송로 및 주변을 외부 공간과 구획하는 챔버(43)를 구비한다. 챔버(43)는, 반송방향(Z1)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예열에리어(45), 제1 연신에리어(46), 제2 연신에리어(47) 및 냉각에리어(48)를 가진다. 단, 챔버(43)는, 예열에리어(45)와 제1 연신에리어(46)와 제2 연신에리어(47)와 냉각에리어(48)가 각각 독립한 공간이 되도록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예열에리어(45)와 제1 연신에리어(46)와 제2 연신에리어(47)와 냉각에리어(4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립(50)의 주행궤도와, 제1~제4 급기실(55a~55d)의 각각으로부터 유출되는 건조공기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형성된다.
제2 텐터(20)는, 필름(12)의 측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립(50)과, 클립(50)의 주행궤도를 이루는 레일(51, 52)과, 건조공기를 유출하는 덕트(에어유출부)(55)와, 덕트(55)에 소정 조건의 건조공기를 송출하는 에어공급부(56)를 구비한다. 레일(51, 52)은, 필름(12)의 반송로의 양측에 설치된다.
복수의 클립(5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체인(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어 있다. 이 체인은, 레일(51)과 레일(52)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레일(51, 5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체인은, 예열에리어(45)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는 턴휠(57)과, 냉각에리어(48)의 하류단에 배치되는 스프로킷(58)에 맞물리고 있다. 스프로킷(58)이 회전함으로써, 체인은 연속 주행한다. 체인의 주행에 의하여, 클립(50)은 레일(51, 52)을 따라 이동한다.
예열에리어(45)보다 상류에는, 클립(50)에 필름(12)의 측부의 파지를 개시시키는 파지개시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냉각에리어(48)의 하류측에는, 클립(50)에 필름(12)의 측부의 파지를 해제시키는 파지해제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로써, 필름(12)은, 예열에리어(45)보다 상류에서 클립(50)에 파지되고, 클립(50)이 레일(51, 5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반송되어, 예열에리어(45)와 제1 연신에리어(46)와 제2 연신에리어(47)와 냉각에리어(48)를 순차 통과한다. 예열에리어(45)와 제1 연신에리어(46)와 제2 연신에리어(47)와 냉각에리어(48)를 통과하는 동안에 필름(12)은 예열에리어(45)와 제1 연신에리어(46)와 제2 연신에리어(47)와 냉각에리어(48)에 있어서 후술하는 소정의 처리가 실시되어, 냉각에리어(48)의 하류단에서 파지가 해제된다.
레일(51)과 레일(52)은, 소정의 레일폭으로 서로 이간하고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체인에 장착되어 있는 클립(50)은 레일 상을 이동하므로, 필름의 폭과 레일폭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레일폭은, 예열에리어(45)에서는 폭(W1)으로 일정하다. 이로써, 예열에리어(45)에서는, 필름(12)은 폭을 규제한 상태에서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반송된다.
제1 연신에리어(46)는, 제1 연신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며, 반송방향(Z1), 즉 하류를 향함에 따라 레일폭은 점차 넓어진다. 이로써 제1 연신에리어(46)에서는, 필름(12)은 반송되면서 폭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폭을 넓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연신에리어(46)에 도입되는 필름(12)의 폭을 W1, 제1 연신에리어(46)를 나오는 필름(12)의 폭을 W2로 할 때에, 제1 연신에리어(46)에서의 레일폭을 조정함으로써, W2/W1로 구하는 연신배율을 1.5배 이상으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2.2배 이하로 한다. 여기에서, 반송방향(Z1)과 필름(12)의 측가장자리(12e)가 통과하는 통과로가 이루는 각을 연신각도라고 하고,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의 연신각도를 θ1로 한다.
연신각도(θ1)는, 일정하다. 목적으로 하는 광학특성을 필름(12)에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연신각도(θ1)는 0°보다 크고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각도(θ1)가 10°이하이면 필름(12)은 제2 텐터(20) 내에서 파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 연신에리어(46)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제2 연신에리어(47)는, 제2 연신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의 연신각도를 θ2로 한다.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는, 반송방향(Z1), 즉 하류를 향함에 따라 제1 연신에리어(46)와 마찬가지로 레일폭은 점차 넓어진다. 이로써, 제2 연신에리어(47)에서는, 필름(12)이, 반송되면서 폭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폭을 넓힐 수 있다. 그러나, 연신각도(θ2)는 연신각도(θ1)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단위시간당 폭의 넓어짐의 정도는,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가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 보다 작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의 연신각도(θ2)를 일정하게 하고 있다. 다만, 제2 연신에리어(47)를 나오는 필름(12)의 폭을 W3으로 한다.
TAC로 이루어지는 2층의 사이에 DAC의 층을 구비하는 복층 구조의 필름(12)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W3/W1로 구하는 연신배율은, 1.51배 이상 2.5배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5배 이상 2.2배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6배 이상 2.0배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W3/W1로 구하는 연신배율을 1.51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1.51배 미만의 경우에 비해, 목적으로 하는 리타데이션이 확실히 발현한다. W3/W1로 구하는 연신배율을 2.5배 이하로 함으로써, 2.5배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필름(12)의 내부 헤이즈의 상승, 즉 투명성의 저하가 억제되고, 또한, 파단도 방지된다.
냉각에리어(48)는, 냉각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며, 레일폭은 일정해진다. 이로써, 냉각에리어(48)에서는, 필름(12)은 폭을 W3으로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반송된다.
단, 예열에리어(45) 및 냉각에리어(48)에 있어서의 레일폭에 관한 상기 “일정”이란, 엄밀할 필요는 없다. 즉, 목적으로 하는 광학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예열에리어(45)와 냉각에리어(48)의 각각에 있어서, 상류로부터 하류에 걸쳐 폭(W1), 폭(W3)으로 각각 대략 일정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레일폭을 약간 변화시키는 양태여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55)는, 필름(12)의 반송로와의 간격이 대략 일정해지도록, 반송로의 상방에 설치된다. 다만, 반송로의 하방에도, 반송로와의 간격이 대략 일정해지도록, 덕트(55)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덕트를 설치하고 있지만, 도시는 생략한다. 덕트(55)의 하부에는, 필름(12)의 폭방향(Z2)으로 뻗은 슬릿(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61)은 반송방향(Z1)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에 반해, 반송로의 하방의 덕트(도시하지 않음)에서는, 각 슬릿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다만, 반송방향(Z1)과 폭방향(Z2)은 직교한다.
덕트(55)의 내부는, 복수의 구획판(62)에 의하여 제1~제4 급기실(55a~55d)로 구획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4 급기실(55a~55d)의 슬릿(61)을 각각 복수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급기실(55a)의 슬릿(61)은 1개, 제2~제4 급기실(55b~55d)의 슬릿(61)은 각각 3개이다. 그러나, 각 급기실(55a~55d)에 있어서의 각 슬릿(61)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급기실(55a)에 있어서의 슬릿(61)의 수를 1 또는 3 이상, 제2~제4 급기실(55b~55d)에 있어서의 슬릿(61)의 수를 1, 2, 4 이상 중 어느 것으로 하여도 된다.
에어공급부(56)는, 덕트(55)의 제1~제4 급기실(55a~55d)에 건조공기를 공급한다. 에어공급부(56)는, 제1~제4 급기실(55a~55d)에 각각 공급하는 각 건조공기의 온도를 독립하여 제어하는 온도조절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 온도조절기에 의하여, 소정 온도로 조절된 건조공기가, 각각 제1~제4 급기실(55a~55d)을 통하여 예열에리어(45), 제1 연신에리어(46), 제2 연신에리어(47), 냉각에리어(48)로 공급된다. 다만, 각 급기실(55a~55d) 내의 온도는 일정하여도 되고, 혹은, 온도 영역이 필름(12)의 반송방향(Z1)으로 더욱 세분화되어 있어도 된다.
제1 급기실(55a)로부터의 건조공기의 공급에 의하여, 필름(12)을 제1 연신에리어(46)로 들어가기 전에 미리 가열한다. 이 예열에리어(45)에 의한 가열에 의하여, 제1 연신에리어(46)에서의 연신이 신속하게 개시되게 됨과 함께, 제1 연신에리어(46)에서의 연신 시에, 필름(12)에 대해서 폭방향(Z2)으로 보다 균일한 장력이 부여되게 된다.
여기에서, 필름(12)의 유리 전이점을 Tg(℃)로 한다. 제2 급기실(55b)로부터의 건조공기의 공급에 의하여, 제1 연신에리어(46)에서는, 필름(12)을 가열하여 필름(12)의 온도를 (Tg+1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한다.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 필름(12)의 온도를 (Tg+10℃)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부 헤이즈의 상승이 확실히 억제된다. 또,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 필름(12)의 온도를 (Tg+50℃) 이하로 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h)이 확실히 발현한다. 또, (Tg+50℃) 이하로 함으로써, 필름(12)이 느슨해지기 어려워지므로, 느슨함에 의한 흠집의 발생이 방지된다. TAC로 이루어지는 2층의 사이에 DAC의 층을 구비하는 복층 구조의 필름(12)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의 필름(12)의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 이상 (Tg+40℃) 이하의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g+10℃) 이상 (Tg+30℃) 이하의 범위 내이다.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의 필름(12)의 온도는, 제조하는 광학필름의 리타데이션 등의 광학특성과, 제1 연신에리어(46)에서의 연신에 의하여 필름(12)의 내부에 잔류한 응력(잔류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화 작용의 정도에 근거하여 설정한다. 이 완화 작용에 의하여, 필름(12) 중의 분자 배향을 목적으로 하는 상태로 한다.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는, 필름(12)의 온도를, 반송방향(Z1)을 향함에 따라,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의 필름(12)의 온도로부터 낮춰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강온은, 연속적인 하강이어도 되고, 단계적인 하강이어도 된다.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의 필름(12)의 온도는, (Tg-5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 θ1보다 작은 연신각도(θ2)에서 연신처리를 행해도, 내부 헤이즈가 상승하지 않아, 목적으로 하는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h)이 필름(12)에 발현함과 함께,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작게 억제된다.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의 필름(12)의 온도는, (Tg-3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연신에리어(47)에서는, 필름(12)의 온도를 (Tg-50℃)까지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고, (Tg-30℃)까지 낮추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의 필름(12)의 온도를 (Tg+1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 내와 같은 고온으로 하여, 제2 연신에리어(47)에서 이 온도를 유지하면, 필름(12)이 느슨해져 각 장치와 부딪치는 등 간섭해 버려, 그 결과 필름(12)에 흠집이 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1 연신에리어(46)로부터 공급되어 온 필름(12)의 온도를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 상기의 온도로 함으로써, 필름(12)에는 흠집이 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1 연신에리어(46)에서는, 필름(12)의 온도를 (Tg+1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 내로 한 상태에서, 연신각도(θ1)로 폭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필름(12)의 폭을 1.5배 이상으로 하는 제1 연신처리를 행한다(제1 연신스텝). 또, 제2 연신에리어(47)에서는, 제1 연신에리어(46)에서의 연신각도(θ1)보다 작은 연신각도(θ2)로 필름(12)을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제2 연신처리를 행한다(제2 연신스텝). 이로써, 얻어지는 필름(12)은, 투명성이 뛰어나고, 습열내구 시험을 거쳐도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작게 억제된다. 또, 필름(12)의 두께가 얇은 것일 수록, 이들의 리타데이션의 변화의 억제는 보다 현저하다. 다만, 예열에리어(45), 제1 연신에리어(46),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의 제1~제3 급기실(55a~55c)로부터의 건조공기에 의한 가열에 의하여, 필름(12)의 건조는 더욱 진행된다.
냉각에리어(48)에서는, 제2 연신에리어(47)에서 목적으로 하는 광학특성 및 분자 배향이 된 필름(12)을, 건조공기에 의하여 냉각하여 분자를 고정한다. 다만, 도 3에서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클립(50)이나 턴휠(57), 스프로킷(58)의 도시를 생략한다.
제1 연신스텝으로부터 제2 연신스텝으로 전환하는 타이밍, 즉 제1 연신에리어(46)와 제2 연신에리어(47)와의 경계의 위치는, 목적으로 하는 성능을 얻기 위하여 적절히 선택해도 된다. 그러나, 제2 텐터(20)의 반송방향(Z1)에 있어서의 길이는 통상 길이에 제약이 있고, 그 중에서 예열에리어(45)에 있어서의 예열처리와, 냉각에리어(48)에 있어서의 냉각처리의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열처리의 시간 Ta와, 제1 연신처리의 시간(Tb)과, 제2 연신처리의 시간(Tc)과, 냉각처리의 시간(Td)을, 하기의 (1) 및 (2)를 충족하는 시간으로 설정한다. 이로써, 제1 연신스텝으로부터 제2 연신스텝으로 전환하는 타이밍이 설정되어,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확실히 억제된다. 다만, 각 시간 Ta~Td는, 각 에리어(45~48)를 각각 필름(12)이 통과하는 시간이므로, 각 에리어(45~48)의 반송방향(Z1)에 있어서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하기의 (1) 및 (2)를 충족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0.5≤(Ta+Td)/(Tb+Tc)≤3.0…(1)
0.2≤(Tb/Tc)≤4.5 …(2)
연신각도(θ1)에서 연신각도(θ2)로 연신각도가 변화할 때의 변화량도 목적으로 하는 성능을 얻기 위하여 적절히 선택해도 된다. 그러나, (θ2/θ1)×100(단위:%)으로 나타내는 각도 변화율이 40%를 넘어 큰 경우에는,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의 억제 효과가 저감된다. 또 각도 변화율이 0%인 경우에는, θ1=θ2이므로 종래의 텐터에서의 연신 조건과 동일하므로,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율이 크다. 각도 변화율은 0.5% 이상 40%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 이상 30%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상 20% 이하의 범위 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제2 텐터(20)에서의 제1 연신처리와 제2 연신처리를 행함으로써, 필름(12)은 광학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발현한다.
다만, 제2 텐터(20)에 있어서 상기의 제1 연신처리와 제2 연신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1 텐터(16)에 있어서의 예비 연신스텝은, 필름(12)의 온도를 140℃ 이하로 유지한 상태에서 필름(12)을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 텐터(16)에 있어서의 예비 연신처리의 연신배율은, 1.01배 이상 1.20배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율이, 보다 확실히 작게 억제된다. 다만, 제1 텐터(16)에 있어서의 연신배율은, 제1 텐터(16)에 들어가는 필름(12)의 폭을 W4, 제1 텐터(16)를 나오는 필름(12)의 폭을 W5로 할 때에, W5/W4로 구한다.
제1 텐터(16)는 제2 텐터(20)와 동일하게 레일 상을 이동하는 복수의 클립(16a)(도 1 참조)을 가진다. 따라서, 레일간의 거리를 반송방향(Z1)을 향함에 따라 넓혀 설정함으로써, 필름(12)을 폭방향으로 연신한다. 이 연신에 의하여 필름(12)은 폭을 넓힐 수 있다. 또, 제1 텐터(16)는, 제2 텐터(20)와 마찬가지로, 덕트(16c)(도 1 참조)와 에어공급부(16b)(도 1 참조)를 가지고, 에어공급부(16b)로부터의 건조공기에 의하여, 필름(12)의 온도를 조절한다.
제1 텐터(16)에 있어서의 상기 연신배율 및 온도의 예비 연신처리는, TAC로 이루어지는 2층의 사이에 DAC를 구비하는 복층 구조의 필름(12)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율을 작게 억제하는 관점에서, 특히 유효하다.
상기의 실시형태는, 용액제막과정에서 폭방향(Z2)으로 연신하는 경우이지만, 본 발명은 이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일단 제조된 폴리머필름을 폭방향(Z2)으로 연신하는 이른바 오프라인 연신의 경우에도, 제2 텐터(20)에 의한 상기의 제1 연신처리와 제2 연신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로써, 오프라인 연신으로 제조되는 필름은,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율이 작게 억제되어, 광학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TAC로 이루어지는 2층의 사이에 DAC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복층 구조의 필름을, 오프라인 연신하여 광학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특히 현저한 효과가 얻어진다.
일단 제조된 폴리머필름으로서는, 용융압출로 제조된 용매가 함유되지 않은 폴리머필름이나, 용액제막으로 제조되어, 잔류 용매량이 수 % 미만과 같이 실질적으로 함유되지 않았다고 통상 간주되는 폴리머필름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필름(12)을, 용매가 함유되지 않은 혹은 실질적으로 함유되지 않았다고 간주되는 폴리머필름 대신에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오프라인 연신에 제공하는 필름은, 용액제막방법과 용융압출방법 중 어느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또, 용액제막방법으로 제조된 폴리머필름 혹은 용액제막의 과정에 있어서의 필름(12)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층 구조의 것이어도 되고, 동시 공유연과 순차 유연 등에 의한 복층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율을 억제한 후, 더욱, 필름(12)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건조실(25)의 내부, 또는 건조실(25)과 냉각실(26)과의 사이에,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수증기 접촉장치(1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건조실(25)의 내부에 수증기 접촉장치(120)를 설치하고 있다.
수증기 접촉장치(120)는, 필름(12)에 수증기를 접촉시켜, 필름(12)을 후술하는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수증기 접촉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수증기 접촉장치(120)는,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과,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을 구비하고,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은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 내에 설치된다. 또, 수증기 접촉장치(120)는, 필름(12)을 반송하는 롤러(41)가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 및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의 각 내부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에는, 필름(12)을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입구(140b)와, 필름(12)을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출구(140c)가 형성되어 있다.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에는, 필름(12)을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입구(141b)와 필름(12)을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출구(141c)가 형성되어 있다. 필름(12)은, 롤러(41)에 안내되어, 입구(140b)로부터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 내에 들어가고, 그 후, 입구(141b)로부터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 내에 들어간다. 필름(12)은,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 내를 통과하여, 출구(141c)로부터 나와,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을 통과하여 출구(140c)로부터 나온다.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은, 결로방지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에 저노점 건조기체(404)가 충전된다. 저노점 건조기체(404)는, 노점이 필름(12)의 온도보다 낮은 건조한 기체이다.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은, 필름(12)에 대해서 습윤기체 접촉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에 습윤기체(400)가 충전된다. 습윤기체(400)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기체이다.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은, 송출덕트(142) 및 복귀덕트(143)에 의하여, 습윤기체 공급설비(145)와 접속한다. 습윤기체 공급설비(145)는, 복귀덕트(143)를 통하여,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0)의 내부의 기체를 회수기체(300)로서 회수한다. 습윤기체 공급설비(145)는, 회수기체(300)로부터 소정의 조건으로 조절된 습윤기체(400)를 만들고, 송출덕트(142)를 통하여, 습윤기체(400)를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에 공급한다.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에 있어서의 필름(12)의 온도는, 습윤기체(400)에 의하여 조절된다.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에서의 습윤기체 접촉처리는, 필름(12)의 온도를 10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이 필름(12)을 상대습도가 20%RH 이상인 습윤기체(400)와, 5초 이상 60분 이하의 범위 내에서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12)의 온도를 100℃ 이상 140℃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이 필름(12)을 상대습도가 25%RH 이상인 습윤기체(400)와, 30초 이상 30분 이하의 범위 내에서 접촉시키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필름(12)의 온도를 100℃ 이상 130℃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이 필름(12)을 상대습도가 30%RH 이상인 습윤기체(400)와, 1분 이상 15분 이하의 범위 내에서 접촉시키는 것이다.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은, 덕트(122 및 123)에 의하여, 저노점 건조기체 공급설비(121)와 접속한다. 저노점 건조기체 공급설비(121)는, 습윤기체 공급설비(145)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덕트(123)를 통하여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에 있는 저노점 건조기체(404)의 일부를 회수한다. 저노점 건조기체 공급설비(121)는, 소정의 온도의 새로운 저노점 건조기체(404)를 만들고, 덕트(122)를 통하여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으로 새로운 저노점 건조기체(404)를 공급한다. 이로써,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 내에는 저노점 건조기체(404)가 충전된다.
수증기 접촉장치(120)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2 텐터(20)에서 제1 연신스텝과 제2 연신스텝을 거친 필름(12)은, 건조실(25)에 안내되고, 건조실(25) 내에 설치된 수증기 접촉장치(120)의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으로 안내된다. 필름(12)은,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으로 안내되면, 저노점 건조기체(404)에 접촉하는 결로방지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으로 들어가도, 필름(12)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이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의 외벽면에서의 결로가 방지되어, 외벽면에서의 결로에 의하여 발생한 물방울이 필름에 적하되는 경우도 없다.
필름(12)은, 결로방지처리 케이싱(140)으로부터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으로 안내된다. 필름(12)에는, 습윤기체접촉 케이싱(141)에 있어서, 습윤기체(400)와 접촉시키는 습윤기체 접촉처리가 이루어진다. 습윤기체(400)에 접촉하면, 필름(12)은 수분자를 흡수한다. 이 결과, 필름(12)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Tg)가 저하됨과 함께, 필름(12)에 있어서의 수분자의 확산이 촉진된다. 필름(12)에 있어서의 수분자의 확산의 촉진에 의하여,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분자의 고차 구조가 보다 안정된 구조로 천이하기 쉬워진다. 이로 인하여, 단순한 열처리에 비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분자의 구조가 단시간으로 안정화된다. 이 결과, 습열내구 시험의 전후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 특히,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h)의 변동량(ΔRth)이 보다 작은 필름(12)이 얻어진다. 이상에 의하여, 제2 텐터(20)를 거친 필름(12)에는, 결로방지처리와 습윤기체 접촉처리로 이루어지는 수증기 접촉처리가 행해진다(수증기 접촉스텝).
습윤기체 접촉처리의 전후에 있어서, 저노점의 가열된 건조기체에 접촉시켜, 임의의 필름온도, 반송장력으로, 일정시간 열처리한다. 이 열처리는, 통상 알려져 있는 조건 범위에서 임의로 실시할 수 있다.
필름(12)은, 광학필름으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필름(12)은, 편광판에 사용되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보상하는 위상차필름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VA용 위상차필름이나 IPS용 위상차필름으로서, 특히 유효하다. 또, 필름(12)은, 투명성이 뛰어나고, 온도나 습도 조건이 변화했을 때에도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작게 억제되므로, 이것을 사용한 표시장치는, 대화면으로 휘도가 높고, 환경 변화에 대해서 안정된 표시 성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먼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실기의 치환도가 상이한 2종류의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를 조제하였다. 샘플명은 각각 C2, C4로 하였다. 샘플명이 C2인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는 TAC, 샘플명이 C4인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는 DAC이다. 조제 시에는, 촉매로서 황산을 이용하였다. 이 촉매의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100질량부에 대한 첨가량은 7.8질량부이다. 아실 치환기의 원료가 되는 카르복시산을 첨가하여 40℃에서 아실화 반응을 행하였다. 아실기의 종류, 치환도의 조정은, 카르복시산의 종류, 양을 조정함으로써 행하였다. 또, 아실화 후에 40℃에서 숙성을 행하였다. 또한 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저분자량 성분을 아세톤으로 세정하여 제거하였다.
[표 1]
Figure 112014019002191-pat00001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의 도프를 2종 조제하였다.
(도프(C2))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표 1에 기재된 C2            100질량부
첨가제(A):표 2의 A-3                    11.3질량부
화합물(D):화학식 1에 나타내는 화합물(D)           4질량부
디클로로메탄                         406질량부
메탄올                             61질량부
[화학식 1]
Figure 112014019002191-pat00002
(도프(C4))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표 1에 기재된 C4            100질량부
첨가제(A):표 2의 A-3                      19질량부
화합물(D):화학식 1에 나타내는 화합물(D)            4질량부
디클로로메탄                         406질량부
메탄올                             61질량부
또, 이상의 2개의 도프 모두에, 매트제 분산액을 혼합, 교반하였다. 미립자인 매트제(AEROSIL R972, 일본에어로질(주)(Nippon Aerosil Co., Ltd.)제, 2차 평균 입자사이즈 1.0㎛ 이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100질량부에 대해서 0.13질량부로 하였다.
[표 2]
Figure 112014019002191-pat00003
다만, 첨가제(A)는, 폴리에스테르이고, 이 폴리에스테르는, 표 2에 기재된 디카르복시산과 디올과의 조합 및 비율에 따라 얻어진다. 표 2에 있어서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란의 “TPA”는 테레프탈산, “지방족 디카르복시산”란의 “SA”는 숙신산을 나타낸다. 표 2의 “디카르복시산비”란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을 나타내고, “디올비”란은 디올 1/디올 2를 나타낸다.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실험 1~실험 9를 실시하였다. 실험 1~4는 TAC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의 필름(12)을 제조하는 것이며, 표 3의 “필름”의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란에는 “TAC”라고 기재한다. 실험 5~9는 DAC로 이루어지는 층의 양면에 TAC로 이루어지는 층을 각각 배치한 3층 구조의 필름(12)을 제조하는 것이며, 표 3의 “필름”의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란에는 “DAC”라고 기재한다. 실험 5~9는, 동시 공유연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3층 구조 중 노출되는 2개의 표층은, 서로 동일한 도프로 형성하였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3층 구조 중 DAC로 이루어지는 층을 주층으로 한다.
[실험 1]~[실험 9]
용액제막설비(10)를 이용하여, 도프(C2)에 의하여, 필름(12)을 제조하고, 이들을 실험 1~4로 하였다. 또, 용액제막설비(10)를 이용하여, 도프(C2)와 도프(C4)에 의하여, 필름(12)을 제조하고, 이들을 실험 5~9로 하였다. 실험 5~9에 있어서는, 도프(C2)와 도프(C4)를 공유연하여, 도프(C4)로부터 주층, 도프(C2)로부터 표층을 형성하였다. 각 실험에서 제조한 필름(12)과 후술하는 각 비교 실험에 있어서 제조한 필름의 각 두께는, 표 2의 “필름”의 “두께”란에 나타낸다.
각 실험에 대하여, 제2 텐터(20)의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의 필름(12)의 온도(℃) 및 연신배율(W2/W1)과,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의 연신각도(θ2) 및 연신배율(W3/W2)은, 표 3의 각 란에 나타낸다. 다만, 연신각도(θ2)는, 표 3의 “연신각도(θ2)”란에,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의 연신각도(θ1)와 동일한 경우에는 “=θ1”이라고 기재하고, θ1보다 작은 경우에는 “<θ1”이라고 기재한다. 또, 건조실(25) 내에 수증기 접촉장치(120)를 배치하여, 필름(12)에 대해서 수증기 접촉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수증기 접촉스텝의 유무”란에 “유”라고 기재하고,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라고 기재한다.
실험 1~실험 9에서 얻어진 각 필름(12)에 대하여, 투명성과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에 대한 평가를 이하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각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1) 투명성의 평가
투명성은, 내부 헤이즈(단위:%)로서 평가하였다. 내부 헤이즈는,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얻어진 필름(12)으로부터 샘플링하여 샘플필름을 얻었다. 샘플필름을 25℃, 60%RH로 2시간 이상 습도조절하였다. 습도조절 후의 샘플필름을, 2매의 슬라이드 유리판에 유동 파라핀을 통하여 끼워 넣고, 헤이즈미터(HGM-2DP, 스가시험기(Suga Test Instruments Co., Ltd.)제)에 의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또, 2매의 슬라이드 유리판에 샘플필름 없이 유동 파라핀만을 끼워 넣고, 이것을 블랭크샘플로 하였다. 이 블랭크샘플의 헤이즈를 상술한 헤이즈메타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샘플필름의 헤이즈값으로부터, 블랭크샘플의 헤이즈값을 뺀 것을 내부 헤이즈로 하였다. 광학필름으로서 사용하는 실용상의 관점에서, 내부 헤이즈는 0.1% 이하이면 합격이라고 할 수 있다.
(2)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의 평가
습열내구 시험은, 필름(12)으로부터 샘플링한 샘플필름에 대하여 행하였다. 샘플링은, 필름의 반송방향(Z1)과 폭방향(Z2)에 각각 따르는 절단선으로 직사각형으로 일정한 크기로 복수매 절출함으로써 행하여, 각각 샘플필름으로 하였다.
샘플필름에 대하여, 습열내구 시험 전과, 시험 중에서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h)을 구하였다. 습열내구 시험에 제공하기 전의 샘플필름의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h0), 습열내구 시험에 제공하여 1일 경과하였을 때의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h1), 습열내구 시험에 제공하여 5일 경과하였을 때의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h5)을 각각 구하고, {(Rth1-Rth0)/Rth0}×100으로 구하는 값과, {(Rth5-Rth0)/Rth0}×100으로 구하는 값을 변동량(ΔRth)으로 하였다. 이 ΔRth의 값을 표 3의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란에 기재한다.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h)은, 하기 방법으로 구하였다. 샘플필름을 온도 25℃, 습도 60%RH로 2시간 습도조절한 후, 자동 복굴절율계(KOBRA21DH, 오지계측기기(주)(Oji Scientific Instruments)제)로, 589.3nm에 있어서의 필름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측정한 굴절률과, 필름면을 기울이면서 측정한 굴절률로부터 하기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다만, 하기 식에 있어서, nZ2는 필름(12)의 폭방향(Z2)에 대응하는 샘플필름에 있어서의 방향의 굴절률, nZ1은 필름(12)의 반송방향(Z1)에 대응하는 샘플필름에 있어서의 방향의 굴절률, nTH는 두께방향의 굴절률, d는 두께(단위:㎛)이다.
Rth={(nZ2+nZ1)/2-nTH}×d
다만, 습열내구 시험은, 이 샘플필름을 일정한 시험환경 내에 일정기간 계속해서 둔다는 것이다. 샘플필름을 두는 시험실의 내부를 온도 60℃, 상대습도 90%RH로 대략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일정한 시험환경을 마련하였다. 이 시험실 내에 샘플필름을 두었다. 다만, ΔRth는, 습열내구 시험 전의 Rth가 낮은 필름(12)일 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 ΔRth가 동일한 값이어도, 습열내구 시험 전의 Rth가 낮은 것일 수록 Rth의 변화가 큰 것을 의미하고, 높은 것일 수록 Rth의 변화가 작은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실험 3에서 제조한 필름(12)은, 실험 1에서 제조한 필름(12)이나 후술하는 비교 실험 2에서 제조한 필름보다 습열내구 시험 전의 Rth는 낮다. 광학필름으로서 사용하는 실용상의 관점에서, 목적으로 하는 Rth가 동일한 경우에는, ΔRth는 매우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표 3의 각 실험 및 하기의 각 비교 실험의 결과로부터, 습열내구 시험에 의하여 Rth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비교 실험 1]~[비교 실험 7]
용액제막설비(10)를 이용하여, 도프(C2)에 의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이들을 비교 실험 1~3으로 하였다. 또, 용액제막설비(10)를 이용하여, 도프(C2)와 도프(C4)에 의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이들을 비교 실험 4~7로 하였다. 비교 실험 4~7에 있어서는, 도프(C2)와 도프(C4)를 공유연하여, 도프(C4)로부터 주층, 도프(C2)로부터 표층을 형성하였다.
각 비교 실험에 대하여, 제2 텐터(20)의 제1 연신에리어(46)에 있어서의 필름의 온도(℃) 및 연신배율(W2/W1)과, 제2 연신에리어(47)에 있어서의 연신각도(θ2) 및 연신배율(W3/W2)은, 표 3의 각 란에 나타낸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와 동일하다.
비교 실험 1~비교 실험 7에서 얻어진 각 필름에 대하여, 투명성과 습열내구 시험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에 대한 평가를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였다. 각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4019002191-pat00004

Claims (9)

  1. 장척의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반송하면서 폭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광학필름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예열하는 예열에리어와,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제 1 연신에리어 및 제 2 연신에리어와, 냉각하는 냉각에리어를 구비하는 텐터의 상기 예열에리어에서,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예열하는 예열공정과,
    상기 예열공정에 연속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 1 연신에리어에서,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Tg+1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하여 일정한 연신각도(θ1)로 폭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폭을 1.5배 이상 1.8배 이하로 넓히는 제 1 연신공정과,
    상기 제 1 연신공정에 연속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 2 연신에리어에서, 상기 연신각도(θ1)보다 작은 연신각도(θ2)로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폭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폭을 넓히는 제 2 연신공정과,
    상기 제 2 연신공정에 연속하여 수행되고, 상기 냉각에리어에서,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반송하면서 냉각하는 냉각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Tg+1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연신각도(θ1)에서의 연신을 행하며,
    여기에서, Tg는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유리 전이점이고, Tg의 단위는 ℃이며, 연신각도(θ1) 및 연신각도(θ2)는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측가장자리의 통과로와 반송방향이 이루는 각이고,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이 상기 예열에리어를 통과하는 시간을 Ta, 상기 제 1 연신에리어를 통과하는 시간을 Tb, 상기 제 2 연신에리어를 통과하는 시간을 Tc, 상기 냉각에리어를 통과하는 시간을 Td 라 할 때, 하기의 (1) 및 (2)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0.5≤(Ta+Td)/(Tb+Tc)≤3.0…(1)
    0.2≤(Tb/Tc)≤4.5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신공정은,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온도를 낮춰가면서,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θ2/θ1)×100으로 나타내는 각도 변화율(단위:%)이 0.5% 이상 4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신공정 전에,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140℃ 이하의 온도로 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폭을 1.01배 이상 1.20배 이하의 범위 내로 넓히는 예비 연신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가 용매에 녹은 도프를 이동하는 지지체 상에 유연하여 유연막을 형성하는 유연공정과,
    상기 용매를 포함한 상태의 상기 유연막을 박리함으로써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형성하는 박리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신공정은, 잔류 용매량이 20질량% 이하가 된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신공정 후에 상기 광학필름에 수증기를 접촉시키고, 상기 광학필름의 온도를 10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수증기 접촉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은, 총아실기 치환도(Z)가 하기 식(I)을 충족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제 1 층과, 이 제 1 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되어, 총아실기 치환도(Z)가 하기 식(II)를 충족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제 2 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2.0≤Z<2.7…(I)
    2.7≤Z≤3.0…(II)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신공정은,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폭을 1.6배 이상 1.8배 이하로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9. 삭제
KR1020140022646A 2013-03-21 2014-02-26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KR102188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8488 2013-03-21
JPJP-P-2013-058488 2013-03-21
JPJP-P-2014-014289 2014-01-29
JP2014014289A JP5824081B2 (ja) 2013-03-21 2014-01-29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957A KR20140115957A (ko) 2014-10-01
KR102188485B1 true KR102188485B1 (ko) 2020-12-08

Family

ID=5154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646A KR102188485B1 (ko) 2013-03-21 2014-02-26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88485B1 (ko)
CN (1) CN104057620B (ko)
TW (1) TWI6038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4291B2 (ja) * 2015-01-14 2019-04-0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3750A (ja) * 2005-07-26 2007-02-08 Sekisui Chem Co Ltd 位相差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フィルムを用いた複合偏光板、偏光板
JP2009137289A (ja) * 2007-11-15 2009-06-25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32496A (ja) * 2009-11-25 2011-07-07 Fujifilm Corp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7094B2 (ja) * 2000-01-20 2008-07-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の乾燥方法
CN1220911C (zh) * 2000-11-15 2005-09-28 富士胶片株式会社 纤维素酯胶片及其制造方法
KR101267672B1 (ko) * 2006-09-28 2013-05-23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필름, 그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액정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3750A (ja) * 2005-07-26 2007-02-08 Sekisui Chem Co Ltd 位相差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フィルムを用いた複合偏光板、偏光板
JP2009137289A (ja) * 2007-11-15 2009-06-25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32496A (ja) * 2009-11-25 2011-07-07 Fujifilm Corp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3833B (zh) 2017-11-01
CN104057620A (zh) 2014-09-24
TW201436993A (zh) 2014-10-01
CN104057620B (zh) 2018-01-02
KR20140115957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369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96655B1 (ko)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연신 장치
KR20080088534A (ko) 필름 건조 방법과 장치 및 용액 캐스팅 방법
KR102188485B1 (ko)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JP5292265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653747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090085236A1 (en) Film stretching method and solution casting method
JP4593180B2 (ja) 溶液製膜方法
JP5636200B2 (ja) セルローストリアセテ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1201089A (ja) テンタ装置
JP5824081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082992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158787A (ja) ポリマーフィルムの性状調整方法及び装置、並びに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188247B2 (ja) 溶液製膜方法
KR20110102194A (ko) 열가소성 필름의 연신 방법 및 장치 및 용액 제막방법
KR20090102708A (ko) 지지 롤러, 웹 반송 방법, 용액 캐스팅 방법 및 용액 캐스팅 장치
JP2010158833A (ja) ポリマーフィルムの性状調整方法及び装置、並びに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879057B2 (ja)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107272A (ja) フイルム延伸緩和方法及び溶液製膜方法
KR20090033145A (ko) 필름 연신 방법, 필름 연신 장치 및 용액 캐스팅 방법
JP2008230105A (ja) 溶液製膜方法及び溶液製膜設備
JP4764748B2 (ja) テンタ装置、溶液製膜方法及び設備
JP2008230103A (ja) 溶液製膜方法及び溶液製膜設備
JP5611847B2 (ja) クリップテンタ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5100986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テ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