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282B1 - 시각 기능 검사 및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각 기능 검사 및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282B1
KR102188282B1 KR1020187036546A KR20187036546A KR102188282B1 KR 102188282 B1 KR102188282 B1 KR 102188282B1 KR 1020187036546 A KR1020187036546 A KR 1020187036546A KR 20187036546 A KR20187036546 A KR 20187036546A KR 102188282 B1 KR102188282 B1 KR 10218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subject
visual function
valu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919A (ko
Inventor
요시키 나카무라
스에코 가나야
노리아키 아사다
쇼코 마쯔무라
아키노리 나가토모
타이조 니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비쥬아루 테크노로지 겐큐쇼
미쯔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비쥬아루 테크노로지 겐큐쇼, 미쯔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비쥬아루 테크노로지 겐큐쇼
Publication of KR2019000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contrast sensi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91Fixation targets for viewing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4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determining the visual field, e.g. perimeter ty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61B3/06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와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주목 부분 및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지표의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경계를 구하는 분석 수단을 가진다.

Description

시각 기능 검사 및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본 발명은,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광학 부재의 선택 방법,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표시 부재의 제조 방법,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 시각 기능 검사 장치, 광학 특성 산출 장치, 시각 기능 검사 방법, 광학 특성의 산출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안경 렌즈 등의 광학 부재는, 분광 투과율이나 색의 3 자극치인 X치, Y치, Z치 등의 광학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학 특성에 관해서, 객관적인 정량 평가에 기초하여, 각 개인의 시각 기능에 있는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수단이나, 상기 광학 특성을 가진 광학 부재를 선택하는 수단은, 아직 개발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서는, 종래의 검안 장치나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학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방법에 있어서는, 피험자가 다양한 광학 부재를 하나하나 테스트하는 것이 요구된다.
아타라시이간카(新眼科) 24(9), 2007, 1179-1186, 후지카도(不二門) 외
상술한 종래의 시각 기능 검사를 이용하여 광학 특성의 평가를 행하는 경우, 시각 기능 검사시의 어느 일정한 광환경하에서 유효한 광학 특성을 가지는 광학 부재를 선택할 수 있지만, 다른 광환경하에서는, 효과를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은, 피험자가 다양한 광학 부재를 하나하나 테스트하고, 주관적으로 광학 특성의 평가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검사시를 포함하는 다양한 광환경을 고려한 시각 기능 검사와, 그것에 기초한,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의 객관적인 정량 평가 방법을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광학 특성의 평가시에, 다양한 광학 부재의 테스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방법의 확립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인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은,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상기 경계를 구하는 분석 수단을 가진다.
또한,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은, 상기 주목 부분의 휘도와 상기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하는 시각 기능 검사 수단을 가져도 좋다.
또한, 상기 시각 기능 검사 수단은,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이 동일한 시각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한 후, 먼저 제시한 시각표와는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이 다른 시각표를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시각표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시각표는, 상기 피험자의 시야 내에 들어가는 위치에 글레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글레어 부분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좌표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경계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수단을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예인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은,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가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되는 것으로 얻어지는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상기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상기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상기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상기 경계를 구하는 분석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례인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에 의한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가진다.
또한,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에 의한 검사 결과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을 가져도 좋다.
또한, 상기 산출 수단에서는, 상기 검사 결과에서는, 상기 피험자가 상기 광학 부재를 사용하는 환경에 있어서 지배적인 광원의 분광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해도 좋다.
또한, 상기 피험자의 시인성에 관한 목표 정보로서, 상기 피험자를 둘러싼 환경에 있어서의 광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목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좌표계에 있어서의 목표치를 산출하는 목표치 산출 수단을 가지고, 상기 산출 수단에서는, 상기 검사 결과와 상기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례인 광학 부재의 선택 방법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에 의해 산출한 상기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광학 특성이 상기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일례인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에 의해 산출한 상기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한다.
또한, 상기 광학 특성이 상기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일례인 표시 부재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에 의해 산출한 상기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표시 부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례인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에 의해 산출한 상기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조명 부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례인 시각 기능 검사 장치는,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상기 경계를 구하는 분석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피험자에 대해서 시각표를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주목 부분의 휘도와 상기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를 상기 제시부에 순차 제시하는 시각 기능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부를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의 일례인 광학 특성 산출 장치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시각 기능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례인 시각 기능 검사 방법은,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상기 경계를 구한다.
또한, 상기 주목 부분의 휘도와 상기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례인 광학 특성의 산출 방법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시각 기능 검사 방법에 의한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례인 프로그램은,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지표의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상기 경계를 구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또한, 상기 주목 부분의 휘도와 상기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시각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하는 처리에 의한 검사 결과와, 상기 경계를 구하는 처리에 의한 분석 결과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례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사시를 포함하는 다양한 광환경을 고려한 시각 기능 검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계속)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CA도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의 CA도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의 CA도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의 CA도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의 CA도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의 광원의 분광 분포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의 광원의 분광 분포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의 광원의 분광 분포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의 분광 투과율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다른 플로우차트이다.
도 24는 실시형태의 CA도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25는 실시형태의 CA도에 대해서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26은 실시형태의 광학 부재의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실시형태의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8은 실시형태의 표시 부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9는 실시형태의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0은 실시형태의 다른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 및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제1 실시형태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퓨터(11)와 입력 디바이스(18)와 모니터(19)를 가진다.
컴퓨터(11)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의 각 부를 제어하는 시각 기능 검사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컴퓨터이다. 컴퓨터(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읽기부(12), 기억 장치(13), CPU(14), 메모리(15) 및 입출력 I/F(16), 버스(17)를 가지고 있다. 데이터 읽기부(12), 기억 장치(13), CPU(14), 메모리(15) 및 입출력 I/F(16)는, 버스(17)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11)에는, 입출력 I/F(16)를 통하여, 입력 디바이스(18)(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등)와, 표시 장치의 일례인 모니터(19)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I/F(16)는, 입력 디바이스(18)로부터의 각종 입력을 접수함과 함께, 모니터(19)에 대해서 표시용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 읽기부(12)는, 상기의 시각 기능 검사 프로그램을 외부로부터 읽어들일 때 이용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읽기부(12)는, 탈착 가능한 기억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읽기 디바이스(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광학 자기 디스크의 읽기 장치 등)나, 공지의 통신 규격에 준거하여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디바이스(USB 인터페이스, LAN 모듈, 무선 LAN 모듈 등)로 구성된다.
기억 장치(13)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나, 비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된다. 기억 장치(13)에는, 시각 기능 검사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CPU(14)는, 컴퓨터(11)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이다. 이 CPU(14)는, 상기의 시각 기능 검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서, 시각표 결정부(21), 검사 결과 기억부(22), 분석부(23), 광학 특성 산출부(24)의 각 부로서 기능한다. 각각의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또한, 시각표 결정부(21), 검사 결과 기억부(22), 분석부(23), 광학 특성 산출부(24)의 각 부는, 전용의 회로에 의해서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메모리(15)는, 시각 기능 검사 프로그램에서의 각종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이 메모리(15)는, 예를 들면 휘발성의 SDRAM 등으로 구성된다.
모니터(19)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이다. 모니터(19)는, 피험자가 착석한 위치로부터 예를 들면, 1m 정도의 거리에서, 피험자가 착석했을 때의 시선(예를 들면, 지상 1.2m) 정도의 높이에 설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우선, 시각 기능 검사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각 기능 검사는,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광학 부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검사이다. 여기서, 시각 기능의 보정에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보정에 한정하지 않고, 시인성의 저하를 수반하는 보정이나, 시각 기능을 변화시키는 보정이나, 시각 기능을 최적화하는 보정 등이 포함된다. 시각 기능 검사에서는, 예를 들면, 순차로 모니터(19)에 표시되는 시각표(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를 피험자가 보고, 피험자에 의한 시각표의 시인성(예를 들면, 시각표가 보인다/보이지 않는다, 눈부심을 느낀다/느끼지 않는다 등)이 검사된다. 이 때의 광환경은, 예를 들면, 모니터(19)의 보기 쉬움을 고려하여, 실내에 있어서, 암막에 의해 외광을 차단하고, 실내 조명을 점등한 환경이다.
또한, 시각 기능 검사는, 불쾌 글레어(discomfort glare)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와 불능 글레어(disability glare)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를 포함한다. 불쾌 글레어는, 인접하는 부분의 휘도차가 현저한 경우나, 눈에 입사되는 광량이 급격하게 증가했을 때에 불쾌감을 느끼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불능 글레어는, 눈 조직에 있어서 생기는 산란광에 의해, 망막상(網膜像)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고, 시력 저하를 초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각각의 시인성 검사의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다음에, 시각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2종류의 시각표를 사용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시각표는 주목 부분인 원 부분(A)과 그 배경 부분을 가진다. 상술한 불쾌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에 이용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시각표를 이용한 시인성 검사에서는, 피험자는, 시각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보아, 원 부분(A)에 대한 눈부심을 판정한다. 또한, 도 2에서는, 1개의 원 부분(A)을 나타내지만, 2 이상의 복수의 원 부분(A)이 시각표로서 모니터(19)에 표시되어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시각표는 주목 부분인 란돌트 고리(B)와 그 배경 부분을 가진다. 상술한 시각표의 외측에 또한 방해광으로서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C)을 마련하고, 상술한 불능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에 이용한다. 여기서 말하는 란돌트 고리는, 시력의 판정에 이용하는 것이지만, 상하 좌우에 한정하지 않고 어느 하나의 방향이 1개소 결락된 링 형상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시각표를 이용한 시인성 검사에서는, 피험자는, 시각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보아, 란돌트 고리(B)가 결락된 방향을 판정한다. 또한, 도 3에서는, 란돌트 고리(B)와 글레어 부분(C)의 1조(組)를 나타내지만, 2 이상의 복수조가 시각표로서 모니터(19)에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피험자에 의한 판정 결과의 취득은 어떠한 방법으로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피험자가 구두로 판정 결과를 말하고, 검사자가 히어링을 행한 후에, 상술한 입력 디바이스(18) 및 입출력 I/F(16)를 통하여 판정 결과를 입력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상술한 입력 디바이스(18)의 적어도 일부를 피험자의 근방에 준비하고, 피험자가 이 입력 디바이스(18) 및 입출력 I/F(16)를 통하여 판정 결과를 입력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음성 인식의 기술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소리에 기초하여 판정 결과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각표는 상술한 모니터(19)에 표시된다. 시각표 결정부(21)는, 모니터(19)에 어떠한 시각표를 표시할지를 결정하고, 버스(17) 및 입출력 I/F(16)를 통하여, 모니터(19)에 결정한 시각표를 표시시킨다. 모니터(19)에 있어서의 화면의 밝기(휘도)는, 예를 들면 최대 휘도가 300cd/m2 정도인 경우, 50% 이하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각표 결정부(21)의 결정 내용의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은, 이러한 시각 기능 검사를 실행함과 함께,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한 것이다. 광학 부재는, 기계·기구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부분품으로, 광의 현상 및 성질에 관련된 것(예를 들면, 광학 렌즈, 광학 필터 등)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부재의 일례로서 광학 렌즈를 대상으로 한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CPU(14)는, 각 부를 제어하여 시각 기능 검사를 행한다. 시각 기능 검사의 상세한 사항은,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스텝 S11에서 S1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각 기능 검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불쾌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와, 불능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가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1에서 스텝 S13에 있어서는, 일정 배경으로 제시된 시각표의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의 밝기를 변경하고, 피험자가 눈부심을 느끼는 밝기를 조사하는 것으로써, 불쾌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를 행한다. 이 검사는, 예를 들면, 3분 정도의 소요 시간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4에서 스텝 S18에 있어서는, 일정 배경으로 제시된 시각표의 주목 부분인 란돌트 고리(B)와, 그 외측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의 적어도 한쪽의 밝기를 변경하고, 피험자가 란돌트 고리(B)가 결락된 방향을 시인할 수 있는 밝기의 임계치를 조사하는 것으로써, 불능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를 행한다. 이 검사는, 예를 들면, 10분 정도의 소요 시간으로 행할 수 있다.
스텝 S11에 있어서, CPU(14)는,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를 이용한 기준 검사를 행한다. 기준 검사는,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광학 부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검사의 기준이 되는 검사이다. 스텝 S11의 기준 검사는, 후술하는 스텝 S12에 있어서의 ND 필터의 효과의 검사 및 스텝 S13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의 대조(對照)가 되는 검사이다.
CPU(14)는, 시각표 결정부(21)에 의해, 도 2에서 설명한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를 순차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시각표 결정부(21)가,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의 밝기를 어두운 상태에서 밝은 상태로 일정한 제시 시간으로 순차 변화시켜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시각표 결정부(2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 배경으로 제시된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의 밝기를, A-0, B-0, C-0, D-0의 순으로 순차 밝은 상태로 변화시킨다. 피험자는, 시각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보아, 조금이라도 눈부심을 느꼈을 경우에는 「눈부심을 느꼈다」라고 판정한다. 이 눈부심은, 불쾌 글레어에 의한 것이며, 시각 기능 검사에 있어서 일정 배경과 원 형상의 주목 부분과의 휘도차가 현저한 상태를 나타낸다. 기준 검사가 종료되면, CPU(14)는, 「눈부심을 느꼈다」라고 판정한 시각표보다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의 밝기가 한단계 어두운 시각표를 검사 결과로서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기억하고, 스텝 S12로 진행한다.
또한, 시각표 결정부(21)는, 예를 들면, A-0, B-0, C-0, D-0의 밝기가 다른 4개의 주목 부분을 동시에 모니터(19)에 표시하고, 피험자는, 4개의 주목 부분을 비교하여 판정해도 좋다.
스텝 S12에 있어서, CPU(14)는, ND 필터 효과의 검사를 행한다. ND 필터 효과의 검사는, 광량만을 적게 하여 행하는 검사이다. ND 필터 효과의 검사에서는, 그 결과를 상술한 스텝 S11에 있어서의 기준 검사와 비교하는 것으로써, 피험자의 시각 기능에 대한 광량의 영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ND 필터 효과의 일례로서는, 이른바 선글래스에 의한 차광 효과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선글래스는, 눈부심을 경감하기 위해서, 특정의 파장이 아니라, 모든 파장을 평균적으로 컷 한 렌즈를 가지는 안경을 나타낸다.
CPU(14)는, 시각표 결정부(21)에 의해, 스텝 S11에서 설명한 기준 검사에서 이용한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에 대해서, 예를 들면 밝기를 50%로 한 시각표를 순차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각 시각표(A-0, B-0, C-0, D-0)에 대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밝기를 50%로 한 A-N1, B-N1, C-N1, D-N1을 시각표 결정부(21)가 모니터(19)에 순차 제시한다. 피험자는, 스텝 S11과 마찬가지로 판정을 행한다. ND 필터 효과의 검사가 종료되면, CPU(14)는, 「눈부심을 느꼈다」라고 판정한 시각표보다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의 밝기가 한단계 어두운 시각표를 검사 결과로서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기억하고,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또한, 시각표 결정부(21)는, 예를 들면, A-N1, B-N1, C-N1, DN1의 밝기가 다른 4개의 주목 부분을 동시에 모니터(19)에 표시하고, 피험자는, 4개의 주목 부분을 비교하여 판정해도 좋다. 그리고, 시각표 결정부(21)는, 피험자에 의한 판정 결과를, 일람으로 하여 모니터(19)에 표시해도 좋다.
스텝 S13에 있어서, CPU(14)는,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를 행한다.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는, 모니터(19)의 분광 특성을 변경하여 행하는 검사이다.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에서는, 그 결과를 상술한 스텝 S11에 있어서의 기준 검사와 비교하는 것으로써, 피험자의 시각 기능에 대한 광량의 영향을 나타내는 제1의 영향과,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의 영향을 나타내는 제2의 영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컬러 필터 효과의 일례로서는, 이른바 컬러 렌즈를 가지는 안경에 의한 효과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컬러 렌즈는, 특정의 파장을 컷 한 분광 투과율의 렌즈를 가지는 안경용의 광학 렌즈를 나타낸다.
CPU(14)는, 시각표 결정부(21)에 의해, 스텝 S11에서 설명한 기준 검사에서 이용한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에 대해서,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이 다른 시각표를 순차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시각표 결정부(21)는,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각 시각표(A-0, B-0, C-0, D-0)에 대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의 색자극치를 50%로 한 A-C1, B-C1, C-C1, D-C1을 모니터(19)에 순차 제시한다. 또한, 시각표 결정부(2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의 색자극치를 50%로 한 A-C2, B-C2, C-C2, D-C2를 순차 제시한 후, B의 색자극치를 50%로 한 A-C3, B-C3, C-C3, D-C3을 모니터(19)에 순차 제시한다. 또한, 각 시각표는, R의 자극치를 50%로 했을 경우에는 청색, G의 자극치를 50%로 했을 경우에는 적색, B의 자극치를 50%로 했을 경우에는 황색이 된다. 피험자는, 스텝 S11 및 스텝 S12와 마찬가지로 판정을 행한다.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가 종료되면, CPU(14)는, 「눈부심을 느꼈다」라고 판정한 시각표보다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의 밝기가 한단계 어두운 시각표를 검사 결과로서 각각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기억하고, 스텝 S14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13에서는,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이 다른 3패턴의 시각표를 이용하여 검사를 행하기 때문에, 검사 결과도 3종류가 된다. 또한, 3종류의 검사 결과는, 피험자의 시각 기능에 기인하여 차이가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시각표 결정부(21)는,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색의 복수의 주목 부분을 동시에 모니터(19)에 표시하고, 각 주목 부분의 밝기를 변화시키고, 피험자는, 각 색 밝기를 판정해도 좋다. 또한, 주목 부분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그레이로 제시되어도 좋다.
스텝 S14에 있어서, CPU(14)는, 란돌트 고리(B)의 사이즈 검사를 행한다. 이 검사는, 이후 행하는 시각 기능 검사에 있어서, 피험자가 결락된 방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란돌트 고리(B)의 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검사이다.
CPU(14)는, 시각표 결정부(21)에 의해, 란돌트 고리(B)를 가지는 시각표를 순차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시각표 결정부(21)는, 란돌트 고리(B)의 크기를 순차 변화시켜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시각표 결정부(2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 배경으로 제시된 란돌트 고리(B)의 크기를, a-S, b-S, c-S, d-S의 순으로 순차 변화시킨다. 피험자는, 시각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보아, 결락된 방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란돌트 고리(B)의 사이즈를 판정한다. 란돌트 고리(B)의 사이즈 검사가 종료되면, CPU(14)는,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의해 결과를 기억하고,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CPU(14)는, 란돌트 고리(B)를 이용한 기준 검사를 행한다. 이 기준 검사는,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광학 부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검사의 기준이 되는 검사이다. 스텝 S15의 기준 검사는, 후술하는 스텝 S17에 있어서의 ND 필터의 효과의 검사 및 스텝 S18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의 대조가 되는 검사이다.
CPU(14)는, 시각표 결정부(21)에 의해, 스텝 S14에서 결정한 사이즈의 란돌트 고리(B)를 순차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시각표 결정부(21)는, 란돌트 고리(B)의 밝기를 밝은 상태에서 어두운 상태로 순차 변화시켜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시각표 결정부(2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 배경으로 제시된 란돌트 고리(B)의 밝기를, a-01, b-01, c-01, d-01의 순으로 순차 어두운 상태로 변화시킨다. 피험자는, 시각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보아, 시인성을 판정한다. 기준 검사가 종료되면, CPU(14)는, 「시인할 수 없다」라고 판정한 시각표보다 란돌트 고리(B)의 밝기가 한단계 밝은 시각표를 검사 결과로서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기억하고,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또한, CPU(14)는, 예를 들면, 「시인할 수 없다」라고 판정한 란돌트 고리(B)의 밝기와 「시인할 수 있다」라고 판정한 란돌트 고리(B)의 밝기와의 경계를 나타내는 임계치 부근에서, 단순·변형 상하법(up-and-down method)을 이용하여 콘트라스트를 변화시켜도 좋다. 그리고, CPU(14)는, 반대 지점(inverted point)의 자극치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치를 이용하여 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를 결정해도 좋다.
스텝 S16에 있어서, CPU(14)는,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을 란돌트 고리(B)의 외측에 추가하여 기준 검사를 행한다. 이 기준 검사는,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광학 부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검사의 기준이 되는 검사이다. 스텝 S16의 기준 검사는, 상술한 스텝 S15의 검사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스텝 S17에 있어서의 ND 필터의 효과의 검사 및 스텝 S18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의 대조가 되는 검사이다.
CPU(14)는, 시각표 결정부(21)에 의해, 도 3에서 설명한 란돌트 고리(B)를 포함하는 시각표와 그 외측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을 순차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이 때, 시각표 결정부(21)는, 글레어 부분의 밝기는 일정한 한편, 란돌트 고리(B)의 밝기는 밝은 상태에서 어두운 상태로 순차 변화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각표 결정부(21)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 배경으로 제시된 일정한 밝기의 글레어 부분에 대해서, 란돌트 고리(B)의 밝기를, a-02, b-02, c-02, d-02의 순으로 순차 어두운 상태로 변화시킨다. 피험자는, 시각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보아, 시인성을 판정한다. 일반적으로, 시인성은, 글레어 부분이 추가되는 것으로 악화된다. 이 시인성의 저하는, 불능 글레어에 의한 것이다. 불능 글레어는, 눈 안에 있어서 생기는 산란광에 의해, 망막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고, 시각 기능 저하를 초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기준 검사가 종료되면, CPU(14)는, 「시인할 수 없다」라고 판정한 시각표보다 란돌트 고리(B)의 밝기가 한단계 밝은 시각표를 검사 결과로서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기억하고,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 있어서, CPU(14)는, 상술한 스텝 S12와 마찬가지로, ND 필터 효과의 검사를 행한다.
CPU(14)는, 시각표 결정부(21)에 의해, 스텝 S16에서 설명한 기준 검사에서 이용한 란돌트 고리(B)를 포함하는 시각표와 그 외측에 배치된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에 대해서, 예를 들면, 밝기를 50%로 하여 순차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시각표 결정부(21)는,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각 시각표(a-02, b-02, c-02, d-02)에 대해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밝기를 50%로 한 a-N1, b-N1, c-N1, d-N1을 순차 제시한다. 피험자는, 스텝 S15 및 스텝 S16와 마찬가지로 판정을 행한다. ND 필터 효과의 검사가 종료되면, CPU(14)는, 「시인할 수 없다」라고 판정한 시각표보다 란돌트 고리(B)의 밝기가 한단계 밝은 시각표를 검사 결과로서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기억하고,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8에 있어서, CPU(14)는, 상술한 스텝 S13와 마찬가지로,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를 행한다.
CPU(14)는, 시각표 결정부(21)에 의해, 스텝 S16에서 설명한 기준 검사에서 이용한 란돌트 고리(B)를 포함하는 시각표와 그 외측에 배치된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에 대해서,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을 다른 것으로 하여 순차로 모니터(19)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시각표 결정부(21)는,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각 시각표(a-02, b-02, c-02, d-02)에 대해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의 색자극치를 50%로 한 a-C1, b-C1, c-C1, d-C1을 순차 제시한다. 또한, 시각표 결정부(21)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의 자극치를 50%로 한 a-C2, b-C2, c-C2, d-C2를 순차 제시한 후, B의 색자극치를 50%로 한 a-C3, b-C3, c-C3, d-C3을 순차 제시한다. 피험자는, 스텝 S15에서 스텝 S17과 마찬가지로 판정을 행한다.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가 종료되면, CPU(14)는, 「시인할 수 없다」라고 판정한 시각표보다 란돌트 고리(B)의 밝기가 한단계 밝은 시각표를 검사 결과로서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각각 기억하여 시각 기능 검사를 종료하고, 도 4에 나타내는 스텝 S2로 진행한다.
또한, 여기까지 설명한 시각 기능 검사는 일례이며,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불쾌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와 불능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 중, 어느 한쪽만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순서를 바꿔서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불쾌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와 불능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의 양쪽 모두에 있어서, ND 필터 효과의 검사와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의 양쪽 모두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어느 한쪽만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불능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에서는, 란돌트 고리(B)를 포함하는 시각표와 그 외측에 배치된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을 예시했지만, 글레어 부분은 링 형상 이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스텝 S2에 있어서, CPU(14)는, 분석부(23)에 의해 CA도를 이용한 분석을 행한다. CA도는, 세로축을 휘도 콘트라스트치(Contrast)로 하고, 가로축을 휘도 평균치(Average Luminance)로 한 시인성의 2차원 평가도이며,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이다. CA도에 대해서는, 발명자들이 일본 특허 제3963299호에 있어서 상세하게 개시하고 있다.
휘도 콘트라스트치는, 시각표의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와의 콘트라스트를 나타내는 값이다. 도 2에 나타낸 시각표에 있어서는, 주목 부분인 원 형상의 부분과 배경 부분과의 휘도의 콘트라스트를 나타내는 값이 휘도 콘트라스트치에 상당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시각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란돌트 고리(B)가 주목 부분이며, 란돌트 고리(B)의 외측이며 그리고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의 내측이 배경 부분이다. 또한, 휘도 평균치는, 주목 부분 및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를 나타내는 값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휘도 평균치의 일례로서 대수(對數) 휘도 평균치를 이용한다. 또한, 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는, 어떠한 산출 방법으로 산출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스텝 S1의 시각 기능 검사(보다 상세하게는, 도 5의 스텝 S11에서 S13, S15에서 S18)에서는,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를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했다. 또한, 스텝 S11 및 스텝 S12에서 이용한 시각표는, 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가 다른 시각표가 된다. 스텝 S16 및 스텝 S1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스텝 S1의 시각 기능 검사에 있어서, 스텝 S13 및 스텝 S18에서는,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이 동일한 시각표를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한 후에, 먼저 제시한 시각표와는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이 다른 시각표를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했다.
또한, 상술한 시각 기능 검사의 변형예로서 ND 필터 효과의 검사에 있어서, 밝기를 예시한 50%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단계로 변화시켜서 검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에 있어서,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은 몇가지라도 좋다. 또한, 시각표의 제시 순서는, 각각, 휘도 콘트라스트치가 큰 상태에서 작은 상태로의 변화라도 좋고, 휘도 콘트라스트치가 작은 상태에서 큰 상태라도 좋다. 또한, 스텝 S1의 시각 기능 검사에 있어서, 기준 검사, ND 필터 효과의 검사,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의 순으로 검사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휘도 콘트라스트치를 고정하고, 도 6의 A-0, 도 7의 A-N1, 도 8의 A-C1, A-C2, A-C3의 순으로 시각표를 순차 제시해도 좋다. 이 경우, 휘도 콘트라스트치가 고정 상태에서, 기준, ND 필터 효과, 컬러 필터 효과(3종류)의 검사를 한다. 또한,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을 랜덤으로 변경한 시각표를 순차 제시해도 좋다.
스텝 S2에 있어서의 분석부(23)는, 우선, 스텝 S1의 시각 기능 검사(보다 상세하게는, 도 5의 스텝 S11, S12, S13, S15에서 S18)의 결과에 기초하여 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를 산출하고, CA도에 플롯한다. 구체적으로는, 분석부(23)는,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로서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기억한 시각표의 휘도 화상을 작성한다. 그리고, 분석부(23)는, 그 휘도 화상에 대해서 매트릭스를 이용한 컨볼루션 연산을 실시한 후에, 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를 산출한다. 연산의 상세한 사항은, 상술한 일본 특허 제3963299호에 있어서 상세하게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 14는, 도 5의 스텝 S11 및 S12의 결과에 기초하는 CA도를 나타낸다. 점(P1)은, 스텝 S11에 있어서의 기준 검사의 결과를 플롯한 것이다. 점(P1)은,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의 밝기를 순차로 밝게 했을 때에, 피험자가 눈부심을 느끼지 않는 경계를 나타낸다. 이 점(P1)을 플롯하면, CA도에 있어서 경계선(L1)이 결정된다. 경계선(L1)은, 점(P1)을 통과하는 소정의 직선이며, 실험 및 연산의 수법에 따라서 정해진다. 경계선(L1)이 정해지는 근거로서 2015년 일본건축학회대회 학술강연회 개요집(梗槪集)(관동) 40200에서 보고되고 있는 연구를 들 수 있다. 이후의 각 경계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도 14에 있어서, CA도의 경계선(L1)의 하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며, 경계선(L1)의 상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이다.
점(P2)은, 스텝 S12에 있어서의 ND 필터 효과의 검사의 결과를 플롯한 것이다. 점(P2)은, 스텝 S12에 있어서의 ND 필터 효과의 검사에 있어서,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의 밝기를 순차로 밝게 했을 때에, 피험자가 눈부심을 느끼지 않는 경계를 나타낸다. 또한, 점(P1) 및 점(P2)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L01) 상에 존재한다. 이 점(P2)를 플롯하면, 경계선(L2)이 CA도에 있어서 정해진다. 경계선(L2)은, 경계선(L1)이 점(P2)를 통과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선(L2)을 정할 때에, 경계선(L1)의 평행 이동과 함께, 경계선(L1)의 기울기나 형상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보정해도 좋다. 그리고, 도 14에 있어서, CA도의 경계선(L2)의 하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며, 경계선(L2)의 상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1에 있어서의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를 이용한 기준 검사를 대조로 하면, 스텝 S12에 있어서의 ND 필터 효과의 검사의 결과에 있어서는,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 변화되고, ND 필터 효과에 의해 피험자의 시인성이 변화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화살표는, 피험자의 시인성이 개선된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5의 스텝 S11 및 S12에 더하여, 스텝 S13의 결과에 기초하는 CA도를 나타낸다. 점(P1), 점(P2), 경계선(L1), 경계선(L2)은, 도 14와 마찬가지이다. 점(P3)은, 스텝 S13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의 결과 중, 가장 효과가 높았던 것을 플롯한 것이다. 스텝 S13에 있어서는,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이 다른 3종류의 시각표를 이용하여 검사를 행했다. 그 중에서 가장 효과가 높은, 즉, 눈부심을 느낀 주목 부분의 밝기가 가장 밝은 시각표를 나타내는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한 점(P3)을 플롯한다. 점(P3)은, 스텝 S13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에 있어서,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의 밝기를 순차로 밝게 했을 때에, 피험자가 눈부심을 느끼지 않는 경계를 나타낸다. 또한, 점(P3)도, 점(P1) 및 점(P2)과 마찬가지로, 직선(L01) 상에 존재한다. 이 점(P3)을 플롯하면, 경계선(L3)이 CA도에 있어서 정해진다. 경계선(L3)은, 경계선(L1)이 점(P3)을 통과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선(L3)을 정할 때에도, 경계선(L1)의 평행 이동과 함께, 경계선(L1)의 기울기나 형상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보정해도 좋다. 그리고, 도 15에 있어서, CA도의 경계선(L3)의 하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며, 경계선(L3)의 상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1에 있어서의 원 형상의 주목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를 이용한 기준 검사를 대조로 하면, 스텝 S13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의 결과에 있어서는,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 변화되고, 컬러 필터 효과에 의해 피험자의 시인성이 변화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화살표는, 피험자의 시인성이 개선된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5의 스텝 S15 및 S16의 결과에 기초하는 CA도를 나타낸다. 점(R1)은, 스텝 S15에 있어서의 란돌트 고리(B)를 이용한 기준 검사의 결과를 플롯한 것이다. 점(R1)은, 란돌트 고리(B)의 밝기를 순차로 어둡게 했을 때에, 피험자가 시각표를 시인할 수 없게 되는 경계를 나타낸다. 이 점(R1)을 플롯하면, 경계선(L4)이 CA도에 있어서 정해진다. 경계선(L4)이 정해지는 근거로서 2015년 일본건축학회대회 학술강연회 개요집(관동) 40238에서 보고되고 있는 연구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 있어서, CA도의 경계선(L4)의 하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며, 경계선(L4)의 상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이다.
점(R2)은, 스텝 S16에 있어서의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을 추가한 기준 검사의 결과를 플롯한 것이다. 점(R2)은, 스텝 S16에 있어서의 검사에 있어서, 란돌트 고리(B)의 밝기를 순차로 어둡게 했을 때에, 피험자가 시각표를 시인할 수 없게 되는 경계를 나타낸다. 또한, 점(R1) 및 점(R2)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L02) 상에 존재한다. 이 점(R2)을 플롯하면, 경계선(L5)이 CA도에 있어서 정해진다. 경계선(L5)은, 경계선(L4)이 점(R2)을 통과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선(L5)을 정할 때에도, 경계선(L4)의 평행 이동과 함께, 경계선(L4)의 기울기나 형상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보정해도 좋다. 그리고, 도 16에 있어서, CA도의 경계선(L5)의 하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며, 경계선(L5)의 상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5에 있어서의 란돌트 고리(B)를 이용한 기준 검사를 대조로 하면, 스텝 S16에 있어서의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을 추가한 기준 검사의 결과에 있어서는,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 감소되고, 피험자의 시인성이 악화된다.
도 17은, 도 5의 스텝 S15 및 S16에 더하여, 스텝 S17의 결과에 기초하는 CA도를 나타낸다. 점(R1), 점(R2), 경계선(L4), 경계선(L5)은, 도 16과 마찬가지이다. 점(R3)은, 스텝 S17에 있어서의 ND 필터 효과의 검사에 있어서, 란돌트 고리(B)의 밝기를 순차로 어둡게 했을 때에, 피험자가 시각표를 시인할 수 없게 되는 경계를 나타낸다. 또한, 점(R3)도,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L02) 상에 존재한다. 이 점(R3)을 플롯하면, 경계선(L6)이 CA도에 있어서 정해진다. 경계선(L6)은, 경계선(L4)이 점(R3)을 통과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선(L6)을 정할 때에도, 경계선(L4)의 평행 이동과 함께, 경계선(L4)의 기울기나 형상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보정해도 좋다. 그리고, 도 17에 있어서, CA도의 경계선(L6)의 하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며, 경계선(L6)의 상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6에 있어서의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을 추가한 시각표를 이용한 기준 검사를 대조로 하면, 스텝 S17에 있어서의 ND 필터 효과의 검사의 결과에 있어서는,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 변화되고, ND 필터 효과에 의해 피험자의 시인성이 변화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화살표는, 피험자의 시인성이 개선된 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5의 스텝 S15에서 S17에 더하여, 스텝 S18의 결과에 기초하는 CA도를 나타낸다. 점(R1), 점(R2), 점(R3), 경계선(L4), 경계선(L5), 경계선(L6)은, 도 17과 마찬가지이다. 점(R4)은, 스텝 S18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의 결과 중, 가장 효과가 높았던 것을 플롯한 것이다. 스텝 S18에 있어서는,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이 다른 3종류의 시각표를 이용하여 검사를 행했다. 그 중에서 가장 효과가 높은, 즉, 시인할 수 있는 란돌트 고리(B)의 밝기가 가장 낮은(어두운)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한 점(R4)을 플롯한다. 점(R4)은, 스텝 S18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에 있어서, 란돌트 고리(B)의 밝기를 순차로 어둡게 했을 때에, 피험자가 시각표를 시인할 수 없게 되는 경계를 나타낸다. 또한, 점(R4)도,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L02) 상에 존재한다. 이 점(R4)을 플롯하면, 경계선(L7)이 CA도에 있어서 정해진다. 경계선(L7)은, 경계선(L4)이 점(R4)을 통과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선(L7)을 정할 때에도, 경계선(L4)의 평행 이동과 함께, 경계선(L4)의 기울기나 형상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보정해도 좋다. 그리고, 도 18에 있어서, CA도의 경계선(L7)의 하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며, 경계선(L7)의 상방의 영역은,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6에 있어서의 링 형상의 글레어 부분을 추가한 기준 검사를 대조로 하면, 스텝 S18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의 결과에 있어서는,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 변화되고, 컬러 필터 효과에 의해 피험자의 시인성이 변화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화살표는, 피험자의 시인성이 개선된 예를 나타낸다.
도 14로부터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 CA도를, 분석부(23)는, 입출력 I/F(16)를 통하여 모니터(19)에 표시해도 좋다. 이러한 CA도를 모니터(19)에 표시하는 것으로써, 검사자나 피험자에게,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를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스텝 S3에 있어서, CPU(14)는, 광학 특성 산출부(24)에 의해 광학 특성을 산출한다. 광학 특성으로서는, X치, Y치, Z치, 또는 L*a*b*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로서 안경용의 렌즈의 광학 특성을 구한다. X치, Y치, Z치는, CIE(국제 조명 위원회)에 의해 정해진 표색계의 하나이며, 본건에서는 광학 렌즈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평가치의 하나로서 사용한다.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우선, 스텝 S1의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광학 특성의 산출의 기초가 되는 시각표를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1의 시각 기능 검사에 있어서는, 스텝 S11, 스텝 S12, 스텝 S13, 스텝 S15, 스텝 S16, 스텝 S17, 스텝 S18의 7개의 처리에 있어서,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검사 결과가 기억되고 있다. 광학 특성의 산출에 이용하는 검사 결과의 선택은 어떻게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도 14로부터 도 18에서 설명한 CA도에 있어서,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이 가장 큰 것을 선택해도 좋다. 그 후,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피험자의 이용 목적에 대응하여 검사 결과를 선택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스텝 S18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에 있어서, B의 자극치를 50%로 했을 경우(황색)의 시각표를 기초로 하여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학 특성의 산출의 기초가 되는 시각표를 선택하면,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그 시각표에 상당하는 광원의 분광 분포를 구한다. 여기서, 광원은 광을 발생하는 것이며, 전구나 태양 등의 발광체뿐만이 아니라, 반사광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니터(19)가 광원에 상당하고, 시각표에 상당하는 광원의 분광 분포는, 시각표를 제시했을 때의 모니터(19)의 분광 분포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도 19에 스텝 S18의 컬러 필터 효과의 검사에 있어서, 검사 결과 기억부(22)에 검사 결과로서 기억된 시각표 중, B의 자극치를 50%로 했을 경우(황색)의 시각표를 표시했을 때의 모니터(19)의 분광 분포(이하, 분광 분포 A라고 칭한다)를 나타낸다. 또한, 도 20에, 피험자가 시인하고 싶은 환경에 있어서의 지배적인 광원의 분광 분포(이하, 분광 분포 B라고 칭한다)를 나타낸다. 또한, 도 20에는, 일례로서 어느 광원의 분광 분포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1에 2개의 분광 분포를 기재한 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9로부터 도 21에 있어서, 각각의 가로축은 광의 파장을 나타내고, 각각의 세로축은 각 파장에 있어서의 분광 방사 휘도 또는 분광 방사 조도를 나타낸다.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분광 분포 B를 분광 분포 A로 변환하기 위한 분광 투과율을 산출한다. 여기서, 분광 투과율은, 투과된 광속의 분광 밀도와 입사된 광속의 분광 밀도비를 나타낸다.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소정 간격의 광의 파장마다, (분광 분포 A의 세로축의 수치)/(분광 분포 B의 세로축의 수치)를 구하는 것으로, 광의 파장마다의 분광 투과율을 산출한다. 또한, 분광 투과율을 산출하는 광의 파장의 간격은, 등간격이라도 좋고, 비등간격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피험자가 중요시하는 파장대에 대해서는 좁은 파장의 간격으로 상세한 분광 투과율을 산출하고, 그 이외의 파장대에 대해서는 넓은 파장의 간격으로 대략의 분광 투과율을 산출해도 좋다. 도 22에 산출한 분광 투과율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분광 투과율의 상한치는 1.00으로 하고, 산출한 분광 투과율이 1.00을 초과하는 것에 관해서는, 산출 결과를 1.00으로 치환한다. 그리고,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이 분광 투과율에 상당하는 X치, Y치, Z치를 산출한다.
또한,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의 분광 투과율의 파장 의존 특성을 구하는 것에 있어서, 그 파장 영역을, 시각표의 R, G, B 각 광의 주된 발광 파장 영역에 대응한 3개의 파장 영역으로부터 구성된다고 하는 전제를 설정하고, 또한 3개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각 투과율 평균치를, 시각표의 R, G, B의 각 자극치와 동일한 수치로 정의하는 처리를 행해도 좋다.
CPU(14)는, 광학 특성 산출부(24)에 의해 X치, Y치, Z치를 산출하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와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주목 부분 및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를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하여 시각 기능 검사를 행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한다. 따라서,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과 시인성과의 관계를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시를 포함하는 다양한 광환경을 고려한 시각 기능 검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각표는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따라서, 피험자는, 복수의 광학 렌즈를 테스트하는 일 없이, 비교적 단시간으로, 시각 기능 검사를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은, 제1 실시형태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다만, 제2 실시형태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은, 피험자의 시인성에 관한 목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목표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목표치에 기초하여 광학 특성을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의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도 23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21에 있어서, CPU(14)는, 상술한 도 4의 스텝 S1(보다 상세하게는 도 5의 스텝 S11로부터 S18)과 마찬가지로, 각 부를 제어하여 시각 기능 검사를 행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CPU(14)는, 입출력 I/F(18)를 통하여 목표 정보를 취득한다. 목표 정보는, 피험자를 둘러싼 환경에 있어서의 광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피험자가 시인하고 싶은 곳, 피험자가 시인성에 문제를 느끼거나, 또는, 느낀다고 추측되는 장면이나 상황을 촬영한 화상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피험자가 시인성에 문제를 느끼는 장면이나 상황은, 예를 들면, 피험자가 일상 생활에 있어서, 눈부심 또는 어두움을 느끼는, 안내 싸인 등의 주목 부분의 식별이 어려운, 기둥이나 계단 등의 주목 부분의 입체감을 얻기 어려운 등의 장면이나 상황이다. 마찬가지로, 피험자가 시인성에 문제를 느낀다고 추측되는 장면이나 상황은, 연구자나 의료 종사자 등이 실험이나 피험자로부터의 히어링에 기초하여 추측 가능한 장면이나 상황이다. 어느 경우도, 이러한 장면이나 상황을 미리 촬영한 화상을 목표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으로써, 피험자마다 다른 시각 기능에 맞춘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떤 화상도, 어떻게 촬영한 것이라도 좋지만, 상술한 CA도에의 이용에 비추어서, 휘도 화상에의 변환 또는 근사가 가능한 것(예를 들면, RGB 화상, YCbCr 화상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화상 이외에도, 피험자를 둘러싼 환경에 있어서의 광원을 나타내는 정보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피험자가 시인하고 싶은 곳, 피험자가 시인성에 문제를 느끼거나, 또는, 느낀다고 추측되는 장면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평가치나 수치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피험자가 시인성에 문제를 느끼는 장면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평가치는, 예를 들면, 피험자가 일상 생활에 있어서, 눈부심 또는 어두움을 느끼는, 안내 싸인 등의 주목 부분의 식별이 어려운, 기둥이나 계단 등의 주목 부분의 입체감을 얻기 어려운 등의 장면이나 상황에 있어서 측정한 조도나 휘도이다. 마찬가지로, 피험자가 시인성에 문제를 느낀다고 추측되는 장면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평가치는, 연구자나 의료 종사자 등이 실험이나 피험자로부터의 히어링에 기초하여 추측 가능한 장면이나 상황에 있어서 측정한 조도나 휘도이다. 어느 경우도, 이러한 장면이나 상황에 있어서 미리 측정한 평가치를 목표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으로써, 피험자마다 다른 시각 기능에 맞춘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떤 평가치도, 어떻게 측정 또는 산출한 것이라도 좋지만, 상술한 CA도에의 이용에 비추어서, 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에의 변환 또는 근사가 가능한 것(예를 들면, 조도, 휘도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23에 있어서, CPU(14)는, 분석부(23)에 의해 CA도를 이용한 분석을 행한다. CA도의 상세한 사항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분석부(23)는, 우선, 스텝 S22에서 취득한 목표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치를 산출한다. 목표치는, 목표 정보에 대응하는 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이다. 분석부(23)는, 목표 정보가 화상인 경우에는, 그 화상을 휘도 화상으로 변환 또는 근사한다. 예를 들면, 목표 정보가 RGB 화상인 경우에는, 분석부(23)는, 주지의 방법에 의해 RGB 표색계의 화상을 XYZ 표색계의 화상으로 변환하고, Y 화상을 휘도 화상으로 한다. 그리고, 분석부(23)는, 휘도 화상에 있어서 주목 부분과 배경 부분을 설정하고, 이들의 영역의 휘도치에 기초하여, 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를 산출한다.
한편, 목표 정보가 평가치인 경우에는, 분석부(23)는, 그 평가치를 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로 변환 또는 근사한다. 예를 들면, 분석부(23)는, 목표 정보가 조도인 경우에는, 공지의 식에 의해 조도를 휘도로 변환한 후,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와의 비를 휘도 콘트라스트치로 하고, 주목 부분 및 배경 부분의 휘도의 평균치를 휘도 평균치로 한다.
도 24는, 스텝 S21에 있어서, 불쾌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를 했을 경우의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는 CA도를 나타낸다. 점(P1), 점(P2), 점(P3), 경계선(L1), 경계선(L2), 경계선(L3)은, 제1 실시형태의 도 15와 마찬가지이다. 점(C1)은, 상술한 목표치(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를 CA도 상에 플롯한 것이다. 점(C1)은, CA도 상에 있어서, 피험자가 시인성을 원하는 포인트를 나타낸다.
한편, 도 25는, 스텝 S21에 있어서, 불능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를 했을 경우의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는 다른 CA도를 나타낸다. 점(R1), 점(R2), 점(R4), 경계선(L4), 경계선(L5), 경계선(L7)은, 제1 실시형태의 도 16과 마찬가지이다. 점(D1)은, 상술한 목표치(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를 CA도 상에 플롯한 것이다. 점(D1)은, CA도 상에 있어서, 피험자가 시인성을 바라는 포인트를 나타낸다.
스텝 S24에 있어서, CPU(14)는, 광학 특성 산출부(24)에 의해 광학 특성(예를 들면, X치, Y치, Z치)을 산출한다.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스텝 S21에 있어서, 불쾌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를 했을 경우,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24에서 산출한 목표치(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에 대응하는 점(C1)이, 경계선(L3)에 관해서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에 포함되도록, 점(C1)을 CA도 상의 가로축의 부(負)의 방향으로 점(P4)까지 이동한다. 이 점(P4)은, 목표치에 대응하는 점(C1)을,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에 포함하게 하기 위한 경계가 된다. 그리고,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이 점(P4)으로부터 광학 특성을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점(P4)과 점(C1)과의 대수 휘도 평균의 차(T), 즉, 휘도 평균치의 비를 산출하고, 점(P3)에 상당하는 시각표의 분광 분포에 상기 비를 곱하는 것으로 점(P4)에 상당하는 시각표의 분광 분포를 구한다. 그 후, 점(P4)에 상당하는 분광 분포로부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처리로, 광학 특성을 구할 수 있다.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스텝 S21에 있어서, 불능 글레어를 상정한 시인성 검사를 했을 경우,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24에서 산출한 목표치(휘도 콘트라스트치 및 휘도 평균치)에 대응하는 점(D1)이,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에 포함되도록 경계선(L9)을 CA도에 있어서 정한다. 경계선(L9)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경계선(L4)이,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에 점(D1)을 포함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것으로 정해진다. 다음에,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계선(L9)과,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직선(L02)이 교차하는 점(R5)을 구한다. 이 점(R5)은, 목표치에 대응하는 점(D1)을,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에 포함하게 하기 위한 경계가 된다. 그리고,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이 점(R5)으로부터 광학 특성을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점(R5)과 점(R4)과의 휘도 평균치의 비를 산출하고, 점(R4)에 상당하는 시각표의 분광 분포에 상기 비를 곱하는 것으로 점(R5)에 상당하는 시각표의 분광 분포를 구한다. 그 후, 점(R5)에 상당하는 분광 분포로부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처리로, 광학 특성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특성 산출부(24)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광원의 분광 분포에 기초하여 X치, Y치, Z치를 산출하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험자의 시인성에 관한 목표 정보로서 피험자를 둘러싼 환경에 있어서의 광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목표 정보에 기초하여, 좌표계에 있어서의 목표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시각 기능 검사의 검사 결과와 산출한 목표치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한다. 따라서, 실생활에서 피험자가 시인하고 싶은 대상물의 조건을 CA도에 플롯하여 분석을 행하는 것으로써,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한다. 즉 피험자가 시인하고 싶은 대상물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하는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CA도에 있어서의 분석에는 여러가지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험자가 광학 렌즈 등의 광학 부재를 사용하는 환경에 있어서 지배적인 광원의 분광 분포를 구하고,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의 산출에 이용하는 것으로써, 사용 환경에 있어서의 시인성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학 렌즈 등의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마다 CA도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에 관한 여러가지 시뮬레이션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시각표는,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시각표의 주목 부분으로서 원 형상의 부분이나 란돌트 고리를 예시했지만, 그 이외의 도형이나 문자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니터(19)의 구체적인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분광 분포가 기지(旣知) 또는 계측 가능하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RGB의 3원색 이외의 광원(예를 들면, Yellow)을 가지는 표시 장치라도 좋다. 또한, 백 라이트 방식의 표시 장치라도 좋고, 자발광형의 표시 장치라도 좋고, 투영형의 표시 장치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부재의 일례로서 광학 렌즈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루페형(Loupe-type)의 광학 렌즈라도 좋고, 개인에 맞추어서 광의 파장을 컨트롤하는 광학 부재로서 조명 및 유리창 등에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정하는 커버나 필름이라도 좋다. 또한, 조명기구, 디스플레이, 건물이나 탈것 등의 유리창 등의 대상물 자체에 설치하는 커버, 필터, 필름이라도 좋다. 또한, 바닥, 벽, 천정 등의 건축재나 도료에 대해서도 응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광학 부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하와 같은 응용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특성이 다른 복수의 광학 부재로부터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광학 부재를 선택하는 광학 부재의 선택 방법도 본 발명의 구체적 형태로서 유효하다. 도 26은, 광학 부재의 선택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31에서 스텝 S33의 각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 실시형태의 스텝 S1에서 스텝 S3의 각 공정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34에서는, 스텝 S33에서 산출된 광학 특성(예를 들면, X치, Y치, Z치나 L*a*b*)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의 선택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미리 준비된 복수의 광학 부재에 대해서, 미리 준비된 광학 특성(예를 들면, X치, Y치, Z치)을 대응시킨 테이블이 참조된다. 그리고, 스텝 S33에서 산출된 광학 특성(예를 들면, X치, Y치, Z치나 L*a*b*)에 대응하거나, 혹은 그것에 가까운 광학 특성의 광학 부재가 선택된다.
상기한 광학 부재의 선택 방법에 의해,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광학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광학 부재를 제조하는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도 본 발명의 구체적 형태로서 유효하다. 도 27은,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41에서 스텝 S43의 각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 실시형태의 스텝 S1에서 스텝 S3의 각 공정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44에서는, 스텝 S43에서 산출된 광학 특성(예를 들면, X치, Y치, Z치)에 기초하여, 혹은 그것에 가까운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의 제조 조건이 결정된다.
스텝 S45에서는, 스텝 S44에서 결정된 제조 조건에 따라서, 광학 부재의 제조가 행해진다.
상기한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광학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표시 부재를 제조하는 표시 부재의 제조 방법도 본 발명의 구체적 형태로서 유효하다. 여기서, 표시 부재는, 예를 들면, 컴퓨터의 각종 모니터, 스마트폰 등의 모니터, 태블릿 PC의 모니터, 텔레비전의 모니터, 확대 독서기(CCTV/Closed Circuit TV)의 디스플레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8은, 표시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51에서 스텝 S53의 각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 실시형태의 스텝 S1에서 스텝 S3의 각 공정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54에서는, 스텝 S53에서 산출된 광학 특성(예를 들면, X치, Y치, Z치)에 기초하여, 혹은 그것에 가까운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표시 부재의 제조 조건이 결정된다.
스텝 S55에서는, 스텝 S54에서 결정된 제조 조건에 따라서, 표시 부재의 제조가 행해진다.
상기한 표시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표시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조명 장치를 제조하는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도 본 발명의 구체적 형태로서 유효하다. 도 29는,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61에서 스텝 S63의 각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 실시형태의 스텝 S1에서 스텝 S3의 각 공정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64에서는, 스텝 S63에서 산출된 광학 특성(예를 들면, X치, Y치, Z치)에 기초하여, 혹은 그것에 가까운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의 제조 조건이 결정된다.
스텝 S65에서는, 스텝 S64에서 결정된 제조 조건에 따라서, 조명 장치의 제조가 행해진다.
상기한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해,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는 조명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26으로부터 도 29의 플로우차트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스텝 S1에서 스텝 S3의 각 공정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광학 특성(예를 들면, X치, Y치, Z치)을 산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2 실시형태의 스텝 S21에서 스텝 S24의 각 공정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광학 특성(예를 들면, X치, Y치, Z치)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컴퓨터(11)와 입력 디바이스(18)와 모니터(19)로부터 구성되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을 예시했지만,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가 일체로 되어 제조되는 시각 기능 검사 장치도 본 발명의 구체적 형태로서 유효하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광학 특성 산출 장치도 본 발명의 구체적 형태로서 유효하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일련의 처리를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 내에서 완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각 처리의 담당을 분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퓨터(111)와 입력 디바이스(118)와 모니터(119)를 가지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과, 컴퓨터(211)와 입력 디바이스(218)와 모니터(219)를 가지는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으로 각 처리를 분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예를 들면, 의료 기관 등에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을 구비하여 시각 기능 검사만을 행하고, 분석 전문의 회사 등에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을 구비하여 분석이나 광학 특성의 산출을 행할 수 있다.
도 30의 컴퓨터(111)는, 데이터 읽기부(112), 기억 장치(113), CPU(114), 메모리(115), 입출력 I/F(116), 버스(117), 통신부(101)의 각 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읽기부(112), 기억 장치(113), 메모리(115), 입출력 I/F(116), 버스(117)의 각 부의 구성은, 각각, 제1 실시형태의 도 1의 데이터 읽기부(12), 기억 장치(13), 메모리(15), 입출력 I/F(16), 버스(17)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30의 컴퓨터(111)의 각 부는, CPU(114)에 의해 통괄적으로 제어된다. 통신부(101)는, 컴퓨터(111)와 외부의 장치의 사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이다. CPU(114)는, 기억 장치(113)에 기억된 시각 기능 검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서, 시각표 결정부(121) 및 검사 결과 기억부(122)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시각표 결정부(121) 및 검사 결과 기억부(122)는, 제1 실시형태의 스텝 S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스텝 S21과 마찬가지로, 시각 기능 검사를 행한다. 그리고,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는, 버스(117) 및 입출력 I/F(116)를 통하여, 통신부(101)로부터 출력된다.
한편, 도 30의 컴퓨터(211)는, 데이터 읽기부(212), 기억 장치(213), CPU(214), 메모리(215), 입출력 I/F(216), 버스(217), 통신부(201)의 각 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읽기부(212), 기억 장치(213), 메모리(215), 입출력 I/F(216), 버스(217)의 각 부의 구성은, 각각, 제1 실시형태의 도 1의 데이터 읽기부(12), 기억 장치(13), 메모리(15), 입출력 I/F(16), 버스(17)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30의 컴퓨터(211)의 각 부는, CPU(214)에 의해 통괄적으로 제어된다. 통신부(201)는, 컴퓨터(211)와 외부의 장치와의 사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이다. CPU(214)는, 기억 장치(213)에 기억된 광학 특성 산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서, 분석부(223) 및 광학 특성 산출부(224)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분석부(223) 및 광학 특성 산출부(224)는, 제1 실시형태의 스텝 S2, 스텝 S3, 제2 실시형태의 스텝 S22, 스텝 S23, 스텝 S24의 적어도 1개와 마찬가지로, CA도의 분석이나 광학 특성의 산출을 행한다. 또한, 분석부(223) 및 광학 특성 산출부(224)는, 통신부(201)에 의해 수신한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를, 입출력 I/F(216) 및 버스(217)를 통하여 취득하고, 취득한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CA도의 분석이나 광학 특성의 산출을 행한다.
또한, 시각표 결정부(121), 검사 결과 기억부(122), 분석부(223), 광학 특성 산출부(224)의 각 부는, 전용의 회로에 의해서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시각 기능 검사 프로그램이나 광학 특성 산출 프로그램도, 본 발명의 구체적 형태로서 유효하다. 이들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억된 것이라도 좋고, Web 상의 서버 등에 기억되고, 인터넷을 통하여 컴퓨터에 다운로드 가능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의 기술은, 또한, 의료 기기나 의료 장치에의 응용의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실시형태의 특징점 및 이점은 명백해질 것이다. 이것은, 특허 청구의 범위가 그 정신 및 권리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과 같은 실시형태의 특징점 및 이점에까지 미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라면, 모든 개량 및 변경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성을 가지는 실시형태의 범위를 상술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고, 실시형태에 개시된 범위에 포함되는 적당한 개량물 및 균등물에 의한 것도 가능하다.
11, 111, 211…컴퓨터,
14, 114, 214…CPU,
19…모니터,
21, 121…시각표 결정부,
22, 122…검사 결과 기억부,
23, 223…분석부,
24, 224…광학 특성 산출부

Claims (27)

  1.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상기 경계를 구하는 분석 수단을 가지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목 부분의 휘도와 상기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하는 시각 기능 검사 수단을 가지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기능 검사 수단은,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이 동일한 시각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한 후, 먼저 제시한 시각표와는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이 다른 시각표를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표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표는, 상기 피험자의 시야 내에 들어가는 위치에 글레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글레어 부분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경계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수단
    을 가지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
  7.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가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되는 것으로 얻어지는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시각 기능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상기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상기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상기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상기 경계를 구하는 분석 수단
    을 가지는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
  8. 제 1 항에 기재된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에 의한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가지는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시각 기능 검사 시스템에 의한 검사 결과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을 가지는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에서는, 상기 검사 결과에서는, 상기 피험자가 상기 광학 부재를 사용하는 환경에 있어서 지배적인 광원의 분광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시인성에 관한 목표 정보로서 상기 피험자를 둘러싼 환경에 있어서의 광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목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좌표계에 있어서의 목표치를 산출하는 목표치 산출 수단을 가지고,
    상기 산출 수단에서는, 상기 검사 결과와 상기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12. 제 8 항에 기재된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에 의해 산출한 상기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를 선택하는 광학 부재의 선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특성이 상기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것인,
    광학 부재의 선택 방법.
  14. 제 8 항에 기재된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에 의해 산출한 상기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는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특성이 상기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것인,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16. 제 8 항에 기재된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에 의해 산출한 상기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는 표시 부재의 제조 방법.
  17. 제 8 항에 기재된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에 의해 산출한 상기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는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
  18.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상기 경계를 구하는 분석부를 가지는 시각 기능 검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에 대해서 시각표를 제시하는 제시부와,
    상기 주목 부분의 휘도와 상기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를 상기 제시부에 순차 제시하는 시각 기능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부
    를 가지는 시각 기능 검사 장치.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기재된 시각 기능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가지는 광학 특성 산출 장치.
  21.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상기 경계를 구하는 시각 기능 검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목 부분의 휘도와 상기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하는 시각 기능 검사 방법.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기재된 시각 기능 검사 방법에 의한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시각 기능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광학 특성의 산출 방법.
  24. 주목 부분의 휘도와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의 조합마다, 피험자가 시인성을 가지는 영역과 시인성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를 구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2개의 상기 경계를 구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목 부분의 휘도와 상기 배경 부분의 휘도의 휘도 콘트라스트치와, 상기 주목 부분 및 상기 배경 부분을 포함하는 시각표의 휘도 평균치와, 시각표의 색자극의 자극치와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각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순차 제시하는 처리에 의한 검사 결과와, 상기 경계를 구하는 처리에 의한 분석 결과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여, 광학 부재의 광학 특성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7. 삭제
KR1020187036546A 2016-07-11 2017-07-03 시각 기능 검사 및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KR102188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6992 2016-07-11
JP2016136992 2016-07-11
PCT/JP2017/024334 WO2018012334A1 (ja) 2016-07-11 2017-07-03 視機能検査および光学特性算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919A KR20190008919A (ko) 2019-01-25
KR102188282B1 true KR102188282B1 (ko) 2020-12-08

Family

ID=6095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546A KR102188282B1 (ko) 2016-07-11 2017-07-03 시각 기능 검사 및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29523B2 (ko)
EP (1) EP3482675A4 (ko)
JP (1) JP6641012B2 (ko)
KR (1) KR102188282B1 (ko)
CN (1) CN109640786B (ko)
BR (1) BR112018075952A2 (ko)
TW (1) TWI752052B (ko)
WO (1) WO2018012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9124449A1 (ja) * 2017-12-22 2020-08-20 株式会社ビジュアル・テクノロジー研究所 視機能検査および光学特性算出システム
JP7100500B2 (ja) * 2018-06-08 2022-07-13 三井化学株式会社 視機能検査および光学特性算出システム
JP7226736B2 (ja) * 2019-02-19 2023-02-21 株式会社アイシン グレア知覚検査装置及びグレア知覚検査方法
JP7207724B2 (ja) * 2019-05-17 2023-01-18 東海光学株式会社 着色レンズ付き眼鏡の要否判断システム及び要否判断方法
JP7269357B2 (ja) * 2019-09-12 2023-05-08 三井化学株式会社 視機能検査装置
US20230380678A1 (en) 2020-10-22 2023-11-30 Mitsui Chemicals,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3085037A1 (ja) * 2021-11-10 2023-05-19 三井化学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6327110A (zh) * 2023-04-06 2023-06-27 江苏鸿晨集团有限公司 一种对比视力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198A (ja) 2010-04-21 2011-11-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視機能検査装置
US20170181618A1 (en) 2015-12-23 2017-06-29 Oculus Optikgeraete Gmbh Vision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Ey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7833B2 (ja) * 1997-08-25 2004-05-17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視検査方法、立体視検査装置および立体視検査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963299B2 (ja) 2000-07-24 2007-08-22 財団法人理工学振興会 輝度の対比を定量する定量方法および定量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TWI289437B (en) * 2002-01-04 2007-11-11 Vision Optic Co Ltd Optometry apparatus, optometry method, optometry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4121707A (ja) * 2002-10-07 2004-04-22 Yamanashi Tlo:Kk 視野検査方法および装置
CN200948128Y (zh) * 2006-06-20 2007-09-19 无锡市康明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眩光对比敏感度仪
US7654673B2 (en) * 2006-08-03 2010-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eyesight age
US8210681B2 (en) 2007-07-17 2012-07-03 Heidelberg Engineering Gmbh Method and device for assessing the field of vision
EP2793682A1 (en) 2011-12-20 2014-10-29 ICheck Health Connection Inc. Video game to monitor visual field loss in glaucoma
US9420945B2 (en) * 2013-03-14 2016-08-23 Carl Zeiss Meditec, Inc. User interface for acquisition, display and analysis of ophthalmic diagnostic data
US10561312B2 (en) * 2014-05-02 2020-02-18 Cheryl Nordstrom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a low luminance visual dysfunction test
WO2016095062A1 (de) * 2014-12-19 2016-06-23 Haag-Streit Ag Kinetische perimetrie
FR3043901A1 (fr) * 2015-11-25 2017-05-26 Essilor Int Procede d'evaluation de la vision d'un individu dans des conditions de luminance predefin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198A (ja) 2010-04-21 2011-11-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視機能検査装置
US20170181618A1 (en) 2015-12-23 2017-06-29 Oculus Optikgeraete Gmbh Vision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Ey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0786B (zh) 2022-04-26
TW201806547A (zh) 2018-03-01
TWI752052B (zh) 2022-01-11
EP3482675A1 (en) 2019-05-15
JP6641012B2 (ja) 2020-02-05
US20190239741A1 (en) 2019-08-08
WO2018012334A1 (ja) 2018-01-18
BR112018075952A2 (pt) 2019-04-09
JPWO2018012334A1 (ja) 2019-04-04
KR20190008919A (ko) 2019-01-25
US11129523B2 (en) 2021-09-28
EP3482675A4 (en) 2020-03-11
CN109640786A (zh)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282B1 (ko) 시각 기능 검사 및 광학 특성 산출 시스템
JP7100500B2 (ja) 視機能検査および光学特性算出システム
Livingston et al. Basic perception in head-worn augmented reality displays
US9378563B2 (en) Method for simulating the effect of viewing an image through a colored filter or ophthalmic spectacle lens
Thompson et al. Simulating visibility under reduced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Linhares et al. Radiometric characterization of a novel LED array system for visual assessment
JP7045674B2 (ja) 照明光調整システム、照明光調整方法、及び、照明光調整プログラム
JP6467881B2 (ja) 視覚補助装置,視覚補助プログラム,視覚補助方法,検査装置,検査プログラム,及び検査方法
Karmann et al. User assessment of fabric shading devices with a low openness factor
Bellia et al. Lit environments quality: A software for the analysis of luminance maps obtained with the HDR imaging technique
JP2009050399A (ja) 分光視感効率測定システムおよび分光視感効率測定方法
Sarey Khanie et al. A sensitivity analysis on glare detection parameters
TWI788486B (zh) 視機能檢查系統、光學特性算出系統、光學構件的選擇方法、光學構件的製造方法、顯示構件的製造方法、照明裝置的製造方法、視機能檢查裝置、光學特性算出裝置、視機能檢查方法、光學特性的算出方法、電腦程式、及記錄媒體
CN115688426A (zh) 一种用于平板显示器件显示的感知亮度表征方法
Koreng et al. Augmented Reality Interface: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Contrast Ratios
Viula Discomfort glare from daylight in classrooms
WO2024058160A1 (ja) 視覚情報提供装置、視覚情報提供方法、及び視覚情報提供プログラム
Jakubiec History of Visual Comfort Standards
Ma et al. Assessing and modeling discomfort glare for raw white LEDs with different patterns
CN112566304B (zh) 用于管理包括易于由用户操纵的至少一个物体的感兴趣区域的照明的系统和方法
JP7184414B1 (ja) 特性情報収集方法および特性情報収集装置
JP7220000B1 (ja) 特性情報収集方法および特性情報収集装置
US20230320582A1 (en) Visual function examination device, spectacle lens presentation system, printed matter, visual function examination method, spectacle lens present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pieringhs et al. Road Marking Contrast Threshold for the Elderly and the Impact of Glare
KR20240067964A (ko) 특성 정보 수집 방법 및 특성 정보 수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