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206B1 -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206B1
KR102187206B1 KR1020190064762A KR20190064762A KR102187206B1 KR 102187206 B1 KR102187206 B1 KR 102187206B1 KR 1020190064762 A KR1020190064762 A KR 1020190064762A KR 20190064762 A KR20190064762 A KR 20190064762A KR 102187206 B1 KR102187206 B1 KR 102187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tainer
air fryer
layer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병천
조용혁
윤성영
박춘석
윤서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Priority to KR102019006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발열패드로 구성된 에어프라이어용 용기이고, 상기 발열패드는 기재 필름 일면에 위치하는 제1 종이층,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일면에 위치하는 알루미늄 증착층 및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 일면에 위치하는 제2 종이층을 포함하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및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VESSEL FOR AIR FR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기재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및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냉장 처리된 간편 조리식품들은 대부분이 전자레인지를 활용하여 가열 처리함으로써 섭취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마이크로파)로 식품을 가열하는 조리기구로서, 고주파 전장(電場) 중의 분자가 심하게 진동하여 발열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며, 이를 활용함으로써 조리식품을 빠른 시간에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하지만, 만두 등의 냉동식품의 경우에는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열 처리시 겉피가 눅눅해지고 딱딱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바삭함이 없는 등 식품 자체가 갖는 식감을 그대로 살리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전자레인지를 활용하여 식품들을 가열 처리시 겉 표면은 마르고 타는데 속내용물은 잘 익지 않는 문제점 등, 마이크로파(microwave)를 통한 물분자의 진동에 의한 가열방식만으로는 조리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자레인지를 활용하여 조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기구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본체용기나 발열조리용기 및 뚜껑 등을 포함하는 것들로서, 부피가 커 전자레인지의 사용에 제약이 발생될 우려가 높을뿐더러 제조비용 및 제품단가를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종래 제안되고 있는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기구들은 조리식품을 발열용기의 내부에 단순히 내재시키는 것들로서, 조리식품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지 못할뿐더러 조리효율의 향상 및 조리시간의 단축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는 문제점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
특히, 냉동/냉장 처리된 간편 조리식품들 또한 그 종류가 다 제각각이어서,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조리할 조리식품의 종류가 무엇이냐에 따라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기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는 바, 현재까지 개발된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기구들은 그 한계가 명확하다.
한편, 최근에는 전자레인지를 대신할 수 있는 에어프라이어가 개발됨으로써,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전자레인지는 음식물 속의 극성을 띄는 물분자가 전기장과 자기장이 결합된 마이크로파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격렬하게 회전운동을 하면서 음식물의 온도를 높이기 때문에, 튀김류의 식품을 조리할 수 없다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에어프라이어는 마이크로파가 아닌 열풍을 이용하여 음식을 튀기기 때문에, 즉 고온의 기름을 이용하여 음식물 속의 수분을 순식간에 빼앗아 음식물을 바삭하게 만들기 때문에, 튀김류의 식품을 매우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에어프라이어는 음식물 자체의 지방을 이용하여 단시간에 수분을 빼앗아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럽게 요리할 수 있어, 최근에는 전자레인지의 가정보급율을 크게 따라잡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에어프라이어는 전자레인지와 달리, 한번 사용하고 난 후, 이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에어프라이어를 매번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열풍을 이용하여 음식물 내 수분을 단시간에 빼앗기 때문에 조리 후 필연적으로 기름이 에어프라이어 바닥에 고여있을 수 밖에 없다. 이는 에어프라이어의 원리를 고려할 때 필연적인 것으로서, 에어프라이어의 원리가 변하지 않는 한, 동일한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조리 시마다 에어프라이어를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운 수고를 해야만 하며, 이는 매번 세척이 필요없는 전자레인지와 비교하여, 에어프라이어의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실리콘 그릇에 음식물을 담은 후, 이를 에어프라이어로 조리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마찬가지로 실리콘 그릇을 조리 시마다 매번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다. 즉, 세척의 번거로움이라는 문제점을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1회용 용기의 경우도 대부분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또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에어프라이어에 넣고 조리할 경우 음식물 내에 유해한 성분이 스며들거나 용기가 녹거나 타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문제가 된다. 따라서, 현재 별도의 세척없이 연속적으로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일 구현예는 세척없이 연속적으로 에어프라이어의 사용을 가능케하는 에어프라이어 전용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에어프라이어 전용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구현예는 발열패드로 구성된 에어프라이어용 용기이고, 상기 발열패드는 기재 필름 일면에 위치하는 제1 종이층,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일면에 위치하는 알루미늄 증착층 및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 일면에 위치하는 제2 종이층을 포함하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종이층은 황산지일 수 있고, 상기 제2 종이층은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황산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종이층은 형광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0.25 내지 0.55의 광학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제1 종이층 상에 준금속 코팅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1회용 용기일 수 있다.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상기 발열패드 안쪽에 반칼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발열패드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발열패드를 용기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드는 기재 필름 일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기재 필름 일면에 종이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기재 필름 일면에 종이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기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종이는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일 수 있다.
상기 종이는 20g 내지 400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열패드 제조방법은,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기재 필름 일면에 라미네이팅된 종이에 준금속을 코팅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금속을 코팅처리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발열패드 안쪽에 반칼선을 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기재 필름 일면에 라미네이팅된 종이는 황산지일 수 있고,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기재 필름 일면에 라미네이팅된 종이는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일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측면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이용하여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하면, 세척없이 연속적으로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전자레인지에서 음식물을 조리 시 문제되는 온도제어의 어려움 등을 개선하여, 만두, 피자, 빵, 튀김 등 다양한 음식물을 짧은 시간에 매우 바삭한 식감을 가지도록 조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일 구현예예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의 전개도 앞면이다.
도 3은 일 구현예예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의 전개도 뒷면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최근 1인 가구의 증가 및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으로 집에서 장시간 조리를 하기 어려운 여건이 점차 생활화됨에 따라, 간편하게 단시간 조리만으로 완제품이 제조되는 냉장/냉동 식품(가정간편식 포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하는 가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에어프라이어에서 식품을 조리할 경우, 조리 후 음식물로부터 빠져나온 기름이 에어프라이어 바닥이 고이고,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기름때와 기름찌거기가 에어프라이어에 들러붙어 에어프라이어의 재사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에어프라이어를 세척해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실리콘으로 제조된 그릇을 에어프라이어에 넣고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법 등이 소개되었으나,이 경우에도 실리콘으로 제조된 그릇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재사용 시마다 세척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방법은 아니었으며, 이는 그릇을 실리콘이 아닌 유리 등으로 교체한다 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유리그릇의 경우 조리 후 유리그릇이 너무 뜨겁고, 경우에 따라서 유리그릇이 깨질 위험이 있다. 이에 1회용 종이컵 등을 사용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조리 후 종이에 음식물이 들러붙거나, 음식물로부터 빠져나온 기름이 종이에 고여, 종이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도, 에어프라이어 조리 시 에어프라이어에 기름이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음식물을 그릇에 담가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에서 나온 기름이 그릇 아래에 고여 음식물이 기름에 담겨져 있는 형태가 되어, 조리 후 음식물의 겉이 바삭하지 않고 눅눅하고 눅진한 식감을 가지게 되어, 에어프라이어 고유의 기능(음식물 내 기름을 단시간에 빼내어 조리 후에 음식물의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잃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에어프라이어는 음식물을 담는 통 아래에 기름이 빠져나가는 구멍이 있는데, 별도의 그릇을 사용할 경우, 기름이 빠져나가지 못해 오히려 조리 후 음식물의 관능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 끝에, 에어프라이어 사용 시 음식물로부터 빠져나온 기름이 에어프라이어에 남지 않고, 나아가 상기 기름이 용기 내에 존재하더라도 조리 후 음식물의 관능을 저하되지 않고 오히려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프라이어 전용 용기, 예컨대 1회용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발열패드로 구성, 즉 발열패드를 용기 모양으로 성형한 것이며, 상기 발열패드는 기재 필름 일면에 위치하는 제1 종이층,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일면에 위치하는 알루미늄 증착층 및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 일면에 위치하는 제2 종이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구현예에 따른 발열패드는 알루미늄이 증착된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데,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기재필름 일면에 종이층(제1 종이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발열소재인 알루미늄 증착층이 깨져서 알루미늄이 상기 기재 필름의 균열된 틈으로 용출되더라도, 상기 알루미늄이 조리되는 식품에 직접 유입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 위에 증착된 제1 종이층으로 인해, 상기 제1 종이층이 없는 구성과 대비할 때, 발열온도를 10℃ 내지 20℃이상 상승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종이층이 발열소재인 알루미늄 증착층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외부 발산을 막아주는 역할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구성하는 발열패드는 알루미늄이 증착된 기재 필름을 2개의 종이가 샌드위치 형태로 감싸고 있는 바, 온도가 올라가면 쉽게 떨어지지 않아, 고온조건이 필요한 에어프라이어 조리 시 높은 조리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종이층은 또한 형광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형광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바, 조리되는 식품이 올려질 상기 제1 종이층이 형광물질을 포함할 경우, 유해한 형광물질이 에어프라이어 조리 중 식품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황산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이 상기와 같은 종이로 구성될 경우, 조리되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보다 잘 흡수할 수 있어, 제품에 바삭바삭한 식감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 특히 상기 제1 종이층이 글리신지인 경우, 조리되는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흡수가 충분하여, 최종적으로 조리된 음식물의 관능 향상 및 에어프라이어용 용기의 외관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바, 상기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은 글리신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종이층이 글리신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인 경우,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고온의 열풍조리 제품에 최적이며, 따라서 생육, 양념육 및 가정간편식을 에어프라이어에서 조리하기에 최적화된 에어프라이어용 용기일 수 있다. 예컨대, 생육, 양념육 및 가정간편식을 에어프라이어에서 조리하기에 최적화된 일 구현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구성하는 발열패드는 제2 종이층(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알루미늄 증착층/기재 필름/제1 종이층(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종이층은 황산지이고, 상기 제2 종이층은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종이층이 기름을 잘 흡수하지 않는 유산지인 황산지인 바, 오븐 효과(기름 흡수를 최소화해 바삭한 식감 및 browing 효과)를 원하는 제품, 예컨대 냉동 피자나 빵 등의 베이커리 제품 조리에 최적화된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종이층에 기름이 흡수되지 않는 바, 조리되는 음식물이 발열패드로 구성된 에어프라이어용 용기에 달라붙지 않아, 외관 상 기호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냉동 피자나 빵 등의 베이커리 제품 조리에 최적화된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구성하는 발열패드는 제2 종이층(황산지)/알루미늄 증착층/기재 필름/제1 종이층(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알루미늄 대신 철 등의 다른 전이금속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발열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0.25 내지 0.55의 광학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알루미늄은 0.25 내지 0.55의 광학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의 광학밀도가 높을수록 기체투과도 및 발열온도가 낮아지고, 상기 알루미늄의 광학밀도가 낮을수록 기체투과도 및 발열온도가 높아지는데,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구성하는 발열패드 내 알루미늄이 0.25 내지 0.55의 광학밀도를 가져야 짧은 시간에 고온의 조리가 가능하여, 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조리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해진다. 예컨대,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구성하는 발열패드 내 알루미늄이 0.25 미만의 광학밀도를 가질 경우 발열온도가 너무 높아져 발열소재인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있는 기재 필름이 타버릴 수 있고,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구성하는 발열패드 내 알루미늄이 0.55 초과의 광학밀도를 가질 경우 발열온도가 너무 낮아 고온 조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조리식품의 품질 저하를 유발할 위험성이 있어,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로서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제1 종이층 상에 준금속 코팅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준금속은 예컨대 붕소, 규소, 게르마늄, 비소, 안티모니, 텔루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준금속 코팅층이 붕소 코팅층, 규소 코팅층, 게르마늄 코팅층, 안티모니 코팅층, 텔루륨 코팅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코팅층인 경우, 기름이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구성하는 발열패드로 흡수되는 것을 막고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에 의해 제품이 튀겨지는 효과를 우수하게 구현할 있다. 따라서, 후라이팬 효과(기름을 둘러 굽는 효과)를 원하는 제품, 예컨대 냉동/냉장 만두나 냉동/냉장 튀김 등의 조리에 최적화된 발열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냉동/냉장 만두나 냉동/냉장 튀김 등의 조리에 최적화된 일 구현예에 따른 발열패드는 제2 종이층(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알루미늄 증착층/기재 필름/제1 종이층(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준금속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준금속 코팅층을 포함하는 발열패드는, 상기 발열패드 안쪽에 반칼선들이 서로 평행하게 또는 비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반칼선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뚫려있지 않을 수 있다. 발열패드 안쪽이라 함은, 발열패드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반칼선들은 발열패드의 가장자리가 아닌 발열패드의 안쪽에만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준금속 코팅층을 포함하는 발열패드가 상기 반칼선들을 포함할 경우, 유탕처리된 냉동만두나 튀김을 에어프라이어에서 조리할 때, 매우 우수한 식감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칼선들이 없는 발열패드를 포함하는 용기를 에어프라이어에서 사용할 경우, 에어프라이어 내에서 조리 시 상기 유탕처리된 냉동만두나 튀김으로부터 빠져나온 유분과 수분이 패드 위에 고이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고인 유분 및 수분과 접촉하는 냉동만두나 튀김의 부분은 눅눅해지게 되는 반면, 상기 고인 유분 및 수분과 접촉하지 않는 냉동만두나 튀김의 부분은 말라 딱딱해지게 되어, 바삭한 식감 구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관능이 매우 저하되어 상품성이 크게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유탕처리된 냉동만두나 튀김을 에어프라이어를 이용하여 조리할 경우에는, 상기 유탕처리된 냉동만두나 튀김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유분 및 수분을 적절하게 빼주어야 바삭한 식감을 구현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반칼선은 뚫려있는 구조가 아니기에 상기 유분과 수분이 상기 발열패드를 구성하는 종이층에 잘 스며들게 되고,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은 채 적절한 양의 유분 및 수분만이 패드 위에 남아있게 되어, 상기 패드 위에 소량 남아있는 유분이 에어프라이어 내에서 끓음으로서, 제품의 전체적인 식감이 바삭하게 유지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제품 조리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분 및 수분이 용기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기 때문에, 조리 후에도 에어프라이어를 깔끔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칼선들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발열패드에 대해 직선(발열패드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태의 한 면과 평행한 선)이나 곡선이 아닌 사선(발열패드를구성하는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태의 한 면과 평행하지 않고, 비스듬한 각도를 가지는 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칼선들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직선 또는 곡선 등 다른 형태, 그리고 평행하지 않은 형태와 비교하여, 유분 및 수분이 빠져나가는 속도가 적당하게 조절되어, 제품의 바삭한 식감을 구현하기에 가장 적합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평행한 반칼선들은 서로 15mm 내지 30mm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간격 또한 유탕처리된 냉동만두나 튀김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유분 및 수분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발열패드로 구성되고, 상기 발열패드는 최외각에 2개의 종이층을 각각 포함하는 바, 1회용 용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1회용 용기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구성하는 발열패드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들지 않고, 최외곽층이 종이로 구성되기에 성형 또한 용이한 바, 이를 1회용 용기로 사용할 경우, 생산자에게는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1회 조리시에만 사용되기에 음식물을 깨끗하게 조리할 수 있고, 에어프라이어를 재사용 시 에어프라이어를 세척할 필요가 없으며, 용기 또한 1회용이기 때문에 별도로 용기를 세척할 필요도 없고, 저렴한 비용으로 일 구현예에 따른 1회용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대량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에도 편리하다.
예컨대,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구성하는 발열패드는 성형이 용이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일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의 제조가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원통형의 모양을 가질 수도 있고, 직육면체형, 정육면체형 등의 다각통형(삼각기둥 모양, 사각기둥 모양, 오각기둥 모양, 육각기둥 모양 등)의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뚜껑을 포함할 수도 있고, 뚜껑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발열패드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발열패드를 용기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드는 기재 필름 일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기재 필름 일면에 종이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기재 필름 일면에 종이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종이는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황산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종이는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일 수 있다.
상기 종이는 20g 내지 400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20g 미만의 중량을 가지는 종이를 구하기가 어려우며, 상기 종이가 400g 초과의 중량을 가질 경우, 종이가 너무 두꺼워서 발열온도가 음식물에 전달되는 효과가 떨어져 최종 조리되는 음식물이 바삭한 식감을 잃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제조방법은,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기재 필름 일면에 라미네이팅된 종이에 준금속을 코팅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금속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제조방법은, 상기 준금속을 코팅처리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발열패드 안쪽에 상기 발열패드가 뚫리지 않도록 사선 모양의 칼선들을 평행하게 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준금속을 코팅처리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발열패드 안쪽에 상기 발열패드가 뚫리지 않도록 사선 모양의 반칼선들을 평행하게 내는 단계에서, 상기 반칼선들이 각각 15mm 내지 30mm의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기재 필름 일면에 라미네이팅된 종이는 황산지일 수 있고,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기재 필름 일면에 라미네이팅된 종이는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발열패드의 제조
제조예 1
PET 필름 일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고, 상기 PET 필름의 다른 면(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면)에 글리신지를 라미네이팅하고, 바로 이어서 상기 글리신지 상에 실리콘을 코팅하였다.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 일면에 또다른 글리신지를 라미네이팅하여, 발열패드(글리신지/알루미늄 증착층/PET 필름/글리신지/실리콘 코팅층)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PET 필름 일면에 라미네이팅된 글리신지 위에 실리콘을 코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글리신지/알루미늄 증착층/PET 필름/글리신지)
제조예 3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PET 필름 일면에 글리신지 대신 황산지를 라미네이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글리신지/알루미늄 증착층/PET 필름/황산지)
제조예 4
글리신지 대신 백상지(펄프지)를 사용한 것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백상지/알루미늄 증착층/PET 필름/백상지/실리콘 코팅층)
비교제조예 1
PET 필름 일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고, 증착된 알루미늄 위에 바로 글리신지를 라미네이팅하여, 발열패드(글리신지/알루미늄 증착층/PET 필름)를 제조하였다.
(평가 1)
광학밀도에 따른 발열능력 평가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 및 비교제조예 1에 따른 발열패드를 가지고, 알루미늄의 광학밀도를 달리하면서 120초 열풍 가열 직후의 발열패드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광학밀도 온도 (℃)
제조예 1 0.58 140±5
0.55 180±5
0.25 180±5
0.22 220±5
제조예 2 0.58 140±5
0.55 180±5
0.25 180±5
0.22 220±5
제조예 3 0.58 130±5
0.55 170±5
0.25 170±5
0.22 210±5
제조예 4 0.58 120±5
0.55 160±5
0.25 160±5
0.22 200±5
비교제조예 1 0.58 80±5
0.55 120±5
0.25 120±5
0.22 160±5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의 광학밀도가 0.25 내지 0.55인 경우 열풍을 이용하는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하여 조리하기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여,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의 발열패드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종이층이 존재하는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는, 상기 제1 종이층이 존재하지 않는 비교제조예 1과 비교하여, 발열능력이 크게 우수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종이로 백상지(펄프지)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글리신지를 사용하는 경우 또한 발열능력에 영향을 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종이층으로 유산지인 황산지를 사용할 경우, 알루미늄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외부 발산을 효과적으로 막아, 준금속 코팅층이 없어도 우수한 발열능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2)
제품 평가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 및 비교제조예 1에 따른 발열패드(광학밀도 0.35)를 접어 뚜껑이 없는 직육면체 형상의 용기로 성형한 뒤, 상기 용기 안에 치킨너겟(신세계푸드)을 넣고, 또 실리콘 그릇에 치킨너겟을 넣고, 에어프라이어에서 조리(10분)하고, 바삭한 식감 구현 정도 및 색상 관능을 확인하기 위해, 30세 내지 60세의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용기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제조예 1 실리콘 그릇
바삭함에 대한 기호도 8.6 8.7 8.3 8.2 7.1 5.3
색상에 대한 기호도 8.9 8.9 8.8 8.7 6.9 5.8
너겟피가 용기에 들러붙는 현상 유무
* 기호도 : 1점 매우 싫다 / 9점 매우 좋다
상기 표 2를 보면,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 따른 발열패드로 구성된 용기에 치킨너겟을 넣고 에어프라이어로 조리하는 경우가 비교제조예 1에 따른 발열패드로 구성된 용기에 치킨너겟을 넣고 에어프라이어로 조리하는 경우보다 관능 측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유통되고 있는 실리콘 그릇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세척이 불요하여 편리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음식물의 관능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ET 필름에 라미네이팅된 종이가 조리 후에도 만두피에 들러붙지 않고, 깔끔하게 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3)
제품 평가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 및 비교제조예 1에 따른 발열패드(광학밀도 0.35)를 접어 뚜껑이 없는 직육면체 형상의 용기로 성형한 뒤, 상기 용기 안에 냉동만두(신세계푸드)를 넣고, 또 실리콘 그릇에 냉동만두를 넣고, 에어프라이어에서 조리(10분)하고, 바삭한 식감 구현 정도 및 색상 관능을 확인하기 위해, 30세 내지 60세의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용기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제조예 1 실리콘 그릇
바삭함에 대한 기호도 8.1 8.2 7.7 7.6 6.0 5.3
색상에 대한 기호도 8.0 8.1 7.7 7.7 6.2 5.4
만두피가 용기에 들러붙는 현상 유무
* 기호도 : 1점 매우 싫다 / 9점 매우 좋다
상기 표 3을 보면,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 따른 발열패드로 구성된 용기에 냉동만두를 넣고 에어프라이어로 조리하는 경우가 비교제조예 1에 따른 발열패드로 구성된 용기에 냉동만두를 넣고 에어프라이어로 조리하는 경우보다 관능 측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유통되고 있는 실리콘 그릇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세척이 불요하여 편리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음식물의 관능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ET 필름에 라미네이팅된 종이가 조리 후에도 만두피에 들러붙지 않고, 깔끔하게 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8)

  1. 발열패드로 구성된 에어프라이어용 용기이고,
    상기 발열패드는 기재 필름 일면에 위치하는 제1 종이층, 상기 제1 종이층 상에 위치하는 준금속 코팅층,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일면에 위치하는 알루미늄 증착층 및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 일면에 위치하는 제2 종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드 가장자리를 제외한 안쪽에 반칼선을 포함하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종이층은 황산지이고,
    상기 제2 종이층은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4. 제1항에서,
    상기 제1 종이층은 형광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0.25 내지 0.55의 광학밀도를 가지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7. 제1항에서,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1회용 용기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10. 제1항에서,
    상기 에어프라이어용 용기는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을 가지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11. 삭제
  12. 발열패드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발열패드를 용기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드는
    기재 필름 일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기재 필름 일면에 종이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기재 필름 일면에 라미네이팅된 종이에 준금속을 코팅처리하는 단계;
    상기 발열패드 가장자리를 제외한 안쪽에 반칼선을 내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기재 필름 일면에 종이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제조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용기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제조방법.
  14. 제12항에서,
    상기 종이는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제조방법.
  15. 제12항에서,
    상기 종이는 20g 내지 400g의 중량을 가지는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제조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12항에서,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은 기재 필름 일면에 라미네이팅된 종이는 황산지이고,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기재 필름 일면에 라미네이팅된 종이는 백상지, 아트지, 크라프트지, 박엽지, 글리신지, 아이보리판지, 마닐라판지, 백판지 또는 왁스지인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제조방법.
KR1020190064762A 2019-05-31 2019-05-31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762A KR102187206B1 (ko) 2019-05-31 2019-05-31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762A KR102187206B1 (ko) 2019-05-31 2019-05-31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206B1 true KR102187206B1 (ko) 2020-12-07

Family

ID=7379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762A KR102187206B1 (ko) 2019-05-31 2019-05-31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2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4857A (ja) * 1995-03-08 1996-09-24 Sekisui Chem Co Ltd 加熱食品用紙製トレー
JP2012120654A (ja) * 2010-12-07 2012-06-28 Tokan Kogyo Co Ltd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調理法
JP2014068666A (ja) * 2012-09-27 2014-04-21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発熱シートと電子レンジ用発熱シート付き紙容器
KR20190079533A (ko) * 2017-12-26 2019-07-05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발열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4857A (ja) * 1995-03-08 1996-09-24 Sekisui Chem Co Ltd 加熱食品用紙製トレー
JP2012120654A (ja) * 2010-12-07 2012-06-28 Tokan Kogyo Co Ltd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調理法
JP2014068666A (ja) * 2012-09-27 2014-04-21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発熱シートと電子レンジ用発熱シート付き紙容器
KR20190079533A (ko) * 2017-12-26 2019-07-05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발열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6344C (en) Rice cooking system for microwave oven
JPS63294374A (ja) 繊維のマイクロ波感受性包装材料
JPH0673490B2 (ja) 食品用パッケージ
JPH0688618B2 (ja) 熱効果を制御したマイクロウエ−ブ調理用パッケ−ジ
JP2000501635A (ja) 食料品用マイクロ波調理コンテナ
KR102293268B1 (ko) 발열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5144106A (en) Microwave cooking utensil employing two different microwave susceptors
TW201228623A (en) Microwavable cooking implements and methods for crisping food items using the same
US20150250191A1 (en) Ready-to-eat farinaceous product and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2187206B1 (ko)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32739A1 (ja) 電子レンジ用加熱容器
JPS5836355A (ja) 調理米飯の処理方法
JPS60164465A (ja) 耐熱トレ−入り冷凍お好み焼
CN212234105U (zh) 一种双层蒸烤锅
KR200298123Y1 (ko) 전자레인지용 구이팬
JPH04117919A (ja) 加熱調理器
CN215348326U (zh) 一种方便清洗的电炊具
JP6103795B2 (ja) 電子レンジ用加熱容器
KR200298129Y1 (ko) 편리한 전자레인지 조리 용구
CN207936146U (zh) 煎烤盘组件与微波炉
KR0117155Y1 (ko) 전자렌지용 피자구이판
CN202078170U (zh) 一种电饼铛
JPH08154827A (ja) 電子レンジの加熱用容器
EP0029868B1 (en) A process for simulating the taste and texture of deep fat fried foods and products so obtained
JPH05306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