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178B1 -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 Google Patents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178B1
KR102187178B1 KR1020190042407A KR20190042407A KR102187178B1 KR 102187178 B1 KR102187178 B1 KR 102187178B1 KR 1020190042407 A KR1020190042407 A KR 1020190042407A KR 20190042407 A KR20190042407 A KR 20190042407A KR 102187178 B1 KR102187178 B1 KR 102187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action
composite material
drum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044A (ko
Inventor
정진호
조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텍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텍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텍에이치
Priority to KR102019004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1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는 폐 섬유 복합소재(FRP)인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반응용기부, 터널 형상이고 상기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분해하기 위한 복수의 반응조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미리 정해진 공정 순서대로 상기 반응조 각각의 내부에 수용된 용액과 상기 피처리물의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반응용기부를 상기 본체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Apparatus for FRP Recycling}
본 발명은 화학적 분해법에 의하여 섬유 복합소재에 포함된 섬유 보강재를 회수하기 위한 섬유 복합소재의 리사이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고분자 수지를 해중합(분해)하여 섬유 보강재를 회수하는데 필요한 전처리 공정과 본처리 공정이 단일의 일관공정에 의하여 연속처리되는 인라인 시스템(in-line system)으로 구성됨으로써 다량의 폐 FRP를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편으로, 고분자 수지에 각종 섬유상의 보강재를 첨가하여 제조한 복합소재를 일반적으로 강화 플라스틱 또는 섬유 복합소재(fiber reinforced plastic, FRP)라고 하는데, 이들 중 특히 보강재로 탄소섬유를 사용한 복합소재를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라 하고 유리섬유를 사용한 복합소재를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라 한다.
이러한 CFRP, GFRP를 포함하는 섬유 복합소재(이하, FRP라 함)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금속을 대체하는 경량화 소재로서 항공우주 산업, 스포츠 레저용품 산업, 풍력발전 산업, 전자 산업, 자동차 산업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됨으로써 점차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FRP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폐기물의 양도 그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폐 FRP의 폐기가 주로 매립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매립지의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과 고가의 섬유 보강재가 고스란히 폐기 처분됨으로써 FRP 생산비용의 증가를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경적인 이유와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폐 FRP로부터 탄소섬유와 같은 섬유 보강재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폐 FRP의 재활용 기술로는 크게 열 분해법과 화학적 분해법으로 구분된다.
이들 중 열 분해법은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이산화탄소와 다이옥신으로 인하여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과 회수된 섬유 보강재의 물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하기 [문헌 1]과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화학적 분해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기 [문헌 1]과 [문헌 2]에 따른 FRP의 화학적 분해법의 경우에도 강산성의 질산 수용액에 의하여 에폭시 수지를 분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회수되는 섬유 보강재의 표면에 화학적 변화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전처리 공정과 본처리 공정이 따로 분리되어 수행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정 시간이 길어져 다량의 폐 FRP를 처리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189436호(2012. 8. 30. 공개)
[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134154호(2011. 5. 9.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고분자 수지를 해중합하여 섬유 보강재를 회수하는데 필요한 전처리 공정과 본처리 공정이 단일의 일관공정에 의하여 연속처리되는 인라인 시스템(in-line system)으로 구성됨으로써 다량의 폐 FRP를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는 폐 섬유 복합소재(FRP)인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반응용기부, 터널 형상이고 상기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분해하기 위한 복수의 반응조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미리 정해진 공정 순서대로 상기 반응조 각각의 내부에 수용된 용액과 상기 피처리물의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반응용기부를 상기 본체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반응조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공정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내부의 하부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이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응조는 각각 상기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반응조는, 상기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팽윤 처리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전처리조, 상기 팽윤 처리된 피처리물을 세정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제1세정조, 상기 세정된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분해하여 섬유 보강재를 회수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본처리조, 및 상기 회수된 섬유 보강재를 세정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제2세정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처리조와 본처리조의 내부 온도를 각각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응용기부는, 내부에 상기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드럼과, 내부에 상기 드럼이 결합되는 박스 형상이고 상단 테두리부의 외측 방향으로 판형의 플랜지가 연장 형성된 드럼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의 내부에는 양측 단부가 상기 드럼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교반 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 지지체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양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반응용기부는 상기 드럼 지지체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정역회전시키는 교반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 지지체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고, 각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부는, 상기 반응용기부를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부와, 상기 반응용기부를 본체부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이송부는 외면 일측에 상기 드럼 지지체의 플랜지가 장착되어 상기 반응용기부를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수직 승강부는 상기 수평 이송부를 승강시켜 상기 반응용기부를 상기 본체부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이송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측면에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바(bar) 형상의 제1수평 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 측면에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바(bar) 형상의 제2수평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수평 이송부와 제2수평 이송부는 각각 외면 일측에, 바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된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드럼 지지체의 플랜지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 단부가 상기 이송벨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평 이송부와 제2수평 이송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 형상의 내부 이송부재,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바 형상의 외부 이송부재, 및 상기 내부 이송부재와 외부 이송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벨트와 이송모터는 상기 내부 이송부재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승강부는 상기 제1수평 이송부와 제2수평 이송부의 외부 이송부재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수평 이송부와 제2수평 이송부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측 측면에는 상기 제1수평 이송부의 연결부재가 승강할 수 있는 제1승강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 측면에는 상기 제2수평 이송부의 연결부재가 승강할 수 있는 제2승강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는 미리 정해진 공정 순서에 따라 본체부의 내부에 전처리조, 제1세정조, 본처리조, 제2세정조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제어부가 수평 이송부와 수직 승강부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이 수용된 반응용기부를 각각의 반응조에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피처리물인 폐 FRP에 포함된 섬유 보강재를 회수하는데 필요한 공정들이 단일의 일관공정에 의하여 자동으로 연속처리되는 인라인 시스템(in-line system)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량의 폐 FRP를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A-A부에 대한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한 반응용기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도4에 도시한 반응용기부 중 드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6과 도7은 각각 도1에 도시한 수평 이송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도6의 B-B부에 대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의 동작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 및
도9는 도1에 도시한 장치의 동작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는 폐 CFRP, 폐 GFRP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폐 FRP 중 어느 하나인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분해하는데 적용될 수 있으며,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피처리물이 폐 CFRP인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는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반응용기부(20), 상기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분해하기 위한 복수의 반응조(15a,15b,15c,15d)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10), 및 상기 반응조(15a,15b,15c,15d) 각각의 내부에 수용된 용액과 상기 피처리물의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반응용기부(20)를 상기 본체부(10)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30,40,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는 전체적으로 양단부(즉, 전면과 후면)가 개방된 대략 터널 형상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지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길이가 긴 패널 형상의 바닥면(11b), 상기 바닥면(11b)의 상부에 배치되는 천정면(11c), 상기 바닥면(11b)과 천정면(11c)의 양측단부를 연결하여 터널 형상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측면(11a)과 제2측면(11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반응조(15a,15b,15c,15d)는 본체부(10) 내부의 하부 영역(즉, 바닥면)에 미리 정해진 공정 순서에 따라 상기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11b)에는 내부의 하부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11d)이 상기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응조(15a,15b,15c,15d)는 각각 상기 격벽(11d)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반응조(15a,15b,15c,15d) 각각은 본체부(10)의 제1측면(11a), 제2측면(11a'), 바닥면(11b), 및 전후 방향의 격벽(11d)에 의하여 구분되는 대략 사각형의 풀(pool)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는 내화학성 또는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예로서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 테프론 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 순서는 피처리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폐 CFRP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정 순서는 일예로서 전처리 공정-제1세정 공정-본처리 공정-제2세정 공정의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수의 반응조(15a,15b,15c,15d)는 일예로서 순차적으로 배치된 전처리조(15a), 제1세정조(15b), 본처리조(15c), 제2세정조(15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공정 순서가 본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될 경우 이들 반응조 사이에 추가적인 반응조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응조(15a,15b,15c,15d) 각각은 해당 반응조에서의 반응 시간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를 고려하여 상기 격벽(11d)의 이격 거리는 서로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일예로서 반응 시간이 가장 긴 상기 본처리조(15c)의 크기를 가장 크게 구성하였고, 나머지 반응조(15a,15b,15d)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전처리조(15a)는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일예로서, 에폭시 수지)를 팽윤 처리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수용된 전처리 용액에 의해 피처리물의 고분자 수지 경화물을 팽윤시킴으로써 후술하는 본처리조(15c)에서의 고분자 수지 분해 반응의 반응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피처리물의 고분자 수지 경화물을 팽윤시킬 경우 본처리조(15c)에서의 고분자 수지 분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 공정에서 발생되는 섬유 보강재(본 실시예의 경우 탄소섬유)의 특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용액은 피처리물의 종류에 따라 조성물 및/또는 조성비가 달라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피처리물이 폐 CFRP인 경우 상기 전처리 용액은 일예로서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또는 부티르산 등과 같은 산성 용액과 계면활성제의 혼합 용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공정은 상온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50℃ 내지 120℃의 가열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전처리조(15a)에는 바닥면에 내부에 수용된 전처리 용액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1가열장치(17a)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열장치(17a)는 통상의 히터나 내부에 고온 유체가 유동되는 히팅 파이프 등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세정조(15b)는 상기 팽윤 처리된 피처리물에 포함된 전처리 용액을 세정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세정 용액은 일예로서 물 또는 증류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처리조(15c)는 상기 세정된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분해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수용된 본처리 용액에 의하여 피처리물의 고분자 수지 경화물을 분해(즉, 해중합)시켜 섬유 보강재(본 실시예의 경우 탄소섬유)를 회수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처리 용액은 피처리물의 종류에 따라 조성물 및/또는 조성비가 달라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피처리물이 폐 CFRP인 경우 상기 본처리 용액은 공지된 바와 같이 강산인 질산용액, 아세톤과 과산화수소의 혼합 용액, 또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되는 섬유 보강재(즉, 탄소섬유)의 특성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본처리 용액이 물을 주 용매로 하여 화학식 XOmYn (여기서, X는 수소 또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고, Y는 할로겐이고, m은 1≤m≤8을 만족하고, n은 1≤n≤6을 만족한다)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함유된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화합물은 일예로서 HOF, HOCl, HOBr, HOI, NaOF, NaOCl, NaOBr, NaOI, LiOF, LiOCl, LiOBr, LiOI, KOF, KOCl, KOBr, KOI, HO2F, HO2Cl, HO2Br, HO2I, NaO2F, NaO2Cl, NaO2Br, NaO2I, LiO2F, LiO2Cl, LiO2Br, LiO2I, KO2F, KO2Cl, KO2Br, KO2I, Ca(OF)2, Ca(OCl)2, Ca(OBr)2, Ca(OI)2, HO3F, HO3Cl, HO3Br, HO3I, NaO3F, NaO3Cl, NaO3Br, NaO3I, LiO3F, LiO3Cl, LiO3Br, LiO3I, KO3F, KO3Cl, KO3Br, KO3I, HO4F, HO4Cl, HO4Br, HO4I, NaO4F, NaO4Cl, NaO4Br, NaO4I, LiO4F, LiO4Cl, LiO4Br, LiO4I, KO4F, KO4Cl, KO4Br, KO4I, NaOCl6, MgO6F2, MgO6Cl2, MgO6Br2, MgO6I2, CaO6F2, CaO6Cl2, CaO6Br2, CaO6I2, SrO6F2, SrO6Cl2, SrO6Br2, SrO6I2, BaO6F2, BaO6Cl2, BaO6Br2, BaO6I2, NaOCl3,NaOCl4, MgO8Cl2, CaO8Cl2, SrO8Cl2, BaO8Cl2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처리 공정은 상온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50℃ 내지 120℃의 가열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본처리조(15c)에는 바닥면에 내부에 수용된 본처리 용액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장치(17b)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열장치(17b)는 통상의 히터나 내부에 고온 유체가 유동되는 히팅 파이프 등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세정조(15d)는 상기 본처리조(15c)에서 회수된 섬유 보강재에 포함된 본처리 용액을 세정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세정 용액은 일예로서 물 또는 증류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각 반응조(15a,15b,15c,15d)의 상부를 서로 격리하기 위한 반응조 도어(16)가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조 도어(16)는 각 격벽(11d)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반응조 도어(16) 각각은 상단부에 결합된 제1회전축(16a)에 의하여 상기 제1측면(11a)과 제2측면(11a')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측면(11a)의 외면 일측에 설치된 반응조 도어모터(16b)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장치부(30,40,50)에 의하여 반응용기부(20)가 각 반응조로 이동하는 경우나 이동이 완료된 경우에 해당 반응조의 상부 영역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제1측면(11a)과 제2측면(11a')의 외면 일측에는 반응 공정을 작업자가 관찰하기 위한 복수의 윈도우(11f)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천정면(11c)에는 본체부(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12)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기 덕트(12)의 중도에는 배기팬 구동부(12a)에 의하여 구동되는 배기팬(미도시)이 설치된다.
도4는 도1에 도시한 반응용기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에 도시한 반응용기부 중 드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반응용기부(20)는 내부에 상기 피처리물(본 실시예의 경우 폐 CFRP)이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드럼(23)과, 내부에 상기 드럼(23)이 결합되는 박스 형상이고 상단 테두리부의 외측 방향으로 판형의 플랜지(22)가 연장 형성된 드럼 지지체(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는 원통의 원주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드럼도어(23a)와 제2드럼도어(23b)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2드럼도어(23a,23b)의 개폐에 의하여 작업자는 상기 드럼(23)의 내부에 피처리물을 투입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분자 수지 경화물의 분해에 의하여 회수된 섬유 보강재를 드럼(23)으로부터 인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드럼도어(23a,23b)의 단부 일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 반응조(15a,15b,15c,15d)에서의 반응 공정동안 제1,2드럼도어(23a,23b)의 개방에 의하여 드럼(23)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클램프 구조 등으로 이루어진 해제가능한 도어잠금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23)의 내부에는 양측 단부가 상기 드럼(23)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결합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교반 블레이드(23d)가 형성된 제2회전축(23c)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회전축(23c)은 드럼(23)의 원통 중심축과 동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회전축(23c)의 양측 단부는 상기 드럼(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단부 각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드럼 지지체(21)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드럼(23)의 양단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드럼 지지체(21)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제2회전축(23c)의 양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 지지체(21)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제2회전축(23c)을 정역회전시키는 교반모터(2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드럼 지지체(21)는 일예로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고 각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21a)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23)과 교반 블레이드(23d)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통공(23e)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반응용기부(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장치부(30,40,50)의 동작에 의하여 반응조(15a,15b,15c,15d)의 내부로 침지될 경우 드럼 지지체(21)의 개방된 하부면과 측면의 개구(21a)를 통하여 유입되는 반응조 내부의 용액이 드럼(23)의 통공(23e)을 통하여 드럼(23)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용액과 피처리물 사이의 반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해당 반응조(15a,15b,15c,15d)에서의 반응이 완료된 이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응용기부(20)가 반응조의 상부로 상승될 경우 드럼(23) 내부에 채워진 용액은 상기 통공(23e)을 통하여 반응조에 다시 유출된다.
도6과 도7은 각각 도1에 도시한 수평 이송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도6의 B-B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이동장치부(30,40,50)은 상기 반응용기부(20)를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부(30,40)와, 상기 반응용기부(20)를 본체부(1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승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 이송부(30,40)는 외면 일측에 상기 드럼 지지체(21)의 플랜지(22)가 장착되어 상기 반응용기부(20)를 상기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수직 승강부(50)는 상기 드럼 지지체(21)의 플랜지(22)가 장착된 수평 이송부(30,40) 전체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반응용기부(20)를 상기 본체부(1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평 이송부(30,40)는 상기 본체부(10)의 제1측면(11a)에 상기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바(bar) 형상의 제1수평 이송부(30)와, 상기 본체부(10)의 제2측면(11a')에 상기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바(bar) 형상의 제2수평 이송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수평 이송부(30)와 제2수평 이송부(40)는 각각 외면 일측에 바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된 이송벨트(36,46)와 상기 이송벨트(36,46)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35,45)가 설치되는데, 상기 드럼 지지체(21)의 플랜지(22)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 단부가 상기 이송벨트(36,46)에 각각 장착되어 이송벨트(36,46)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평 이송부(3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 형상의 내부 이송부재(31), 상기 본체부(10)의 외부에 배치되는 바 형상의 외부 이송부재(32), 및 상기 내부 이송부재(31)와 외부 이송부재(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36)와 이송모터(35)는 상기 내부 이송부재(31)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수평 이송부(30)의 내부 이송부재(31)는 대략 H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내부 이송부재(31)는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패널(31a,31a')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패널(31a,31a')의 중간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3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31b)의 높이는 지지패널(31a,31a')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한 쌍의 지지패널(31a,31a')의 중앙부에 이송벨트(36)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패널(31a,31a')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상기 이송벨트(36)를 회전시키는 회전롤러(31c,31c')가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롤러(31c,31c')는 각각 양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패널(31a,31a')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패널(31a,31a')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단부 외면에는 상기 회전롤러(31c,31c')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모터(35)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모터(35)가 지지패널(31a')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31c')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이 경우, 상기 회전롤러(31c')는 이송벨트(3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롤러가 되고, 상기 회전롤러(31c)는 종동 롤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36)의 표면에는 반응용기부(20)의 수평방향 이동시 슬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돌기(36a)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36a)는 플랜지(22)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돌기(36a)와 동일한 형상 및 간격으로 형성된 결합홈(22a)와 치합됨으로써 수평방향 이동시 상기 반응용기부(20)가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수평 이송부(40)의 경우에도 도면에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수평 이송부(30)와 마찬가지로 외면 일측에 바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된 이송벨트(46)와 상기 이송벨트(46)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45)가 설치되는데, 앞서 설명한 제1수평 이송부(30)와 좌우 대칭형이라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구체적인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2수평 이송부(30,40)는 이송벨트(36,46)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반응용기부(20)를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즉,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 승강부(50)는 본체부(10)의 외측에서 상기 제1수평 이송부(30)와 제2수평 이송부(40)의 외부 이송부재(32,42)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수평 이송부(30)와 제2수평 이송부(4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 승강부(50)는 롤러와 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수직 승강부(50)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로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단부는 외부 이송부재(32,42) 각각의 하부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기 제1수평 이송부(30)와 제2수평 이송부(40)를 승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수평 이송부(30)와 제2수평 이송부(40)는 각각 본체부(10)의 길이 또는 반응조의 갯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1수평 이송부(30)와 제2수평 이송부(40)가 각각 반응조15a,15b,15c,15d)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제1측면(11a)에는 상기 제1수평 이송부(30)의 연결부재(33)가 승강할 수 있는 제1승강 가이드 홀(11e)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제2측면(11a')에는 상기 제2수평 이송부(40)의 연결부재(43)가 승강할 수 있는 제2승강 가이드 홀(11e')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승강부(50)는 제1수평 이송부(30)와 제2수평 이송부(40)를 상기 제1,2승강 가이드 홀(11e,11e')을 따라 승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수평 이송부(30)와 제2수평 이송부(40)에 플랜지(22)가 장착된 반응용기부(20)가 본체부(1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의 동작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9는 도1에 도시한 장치의 동작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의 경우 배기팬(미도시), 반응조 도어모터(16b), 제1,2가열장치(17a,17b), 교반모터(25), 및 제1,2이송모터(35,4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부(110)를 통하여 장치의 작동 개시신호, 작동 조건 등이 입력되면 메모리부(140)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각 반응조(15a,15b,15c,15d)에서의 반응 시간 등은 타이머부(150)를 이용하여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일예로서 전처리조(15a)와 본처리조(15c)에 설치된 반응조 온도센서(120)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1,2가열장치(17a,17b)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반응조 온도센서(120)와 가열장치는 각 반응조마다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본체부(10) 내부에 설치된 반응조 공기센서(130)의 출력에 따라 배기팬 구동부(12a)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반응조 공기센서(130)는 전처리조(15a)와 본처리조(15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8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의 입구측(도면에서 오른쪽)에서 전처리조(15a)에 설치된 제1,2수평 이송부(30,40)에 피처리물이 수용된 반응용기부(20)가 장착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승강부(50)에 의해 제1,2수평 이송부(30,40)를 상승시킨 후 제1,2이송모터(35,45)를 작동시켜 반응용기부(20)를 전처리조(15a)의 상부로 수평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반응용기부(20)의 저면이 격벽(11d)보다 높아지도록 상기 제1,2수평 이송부(30,40)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반응조 도어모터(16b)를 작동시켜 각 반응조에 설치된 반응조 도어(16)를 개방하여 상기 반응용기부(20)의 수평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반응용기부(20)가 이송되는 반응조의 반응조 도어(16)만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나, 피처리물의 연속 처리를 위하여 복수의 반응용기부(20)가 각 반응조에 순차 이동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전체 반응조 도어(16)가 일체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반응용기부(20)가 전처리조(15a)의 상부로 수평 이동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도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승강부(50)에 의해 제1,2수평 이송부(30,40)를 하강시켜 상기 반응용기부(20)가 전처리조(15a)의 내부에 수용된 용액(즉, 전처리 용액)에 침지되도록 함으로써 피처리물을 팽윤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교반모터(25)를 정역회전시켜 교반 블레이드(23d)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전처리 공정이 균일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40)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전처리조(15a)의 내부 온도와 전처리 공정 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처리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도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조(15a)와 제1세정조(15b)의 제1,2수평 이송부(30,40)를 같이 상승시킨 후 전술한 방식에 의하여 반응용기부(20)를 제1세정조(15b)의 상부로 수평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전처리조(15a)와 제1세정조(15b)의 제1,2수평 이송부(30,40)를 같이 상승시키기 이전에 전처리조(15a)의 제1,2수평 이송부(30,40)만 소정 높이로 상승시킨 후 드럼(23)에 유입된 전처리 용액이 유출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술한 방식으로 상기 반응용기부(20)를 제1세정조(15b)의 상부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는 교반모터(25)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탈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세정 공정, 본처리 공정, 및 제2세정 공정도 도8의 (a) 내지 (d)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 : 본체부 12 : 배기 덕트
20 : 반응용기부 21 : 드럼 지지체
22 : 플랜지 23 : 드럼
30 : 제1수평 이송부 40 : 제2수평 이송부
50 : 수직 승강부 100 : 제어부

Claims (12)

  1. 폐 섬유 복합소재(FRP)인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반응용기부;
    터널 형상이고, 상기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분해하기 위한 복수의 반응조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미리 정해진 공정 순서대로 상기 반응조 각각의 내부에 수용된 용액과 상기 피처리물의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반응용기부를 상기 본체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용기부는, 내부에 상기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드럼과, 내부에 상기 드럼이 결합되는 박스 형상이고 상단 테두리부의 외측 방향으로 판형의 플랜지가 연장 형성된 드럼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부는, 상기 반응용기부를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부와, 상기 반응용기부를 본체부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이송부는 외면 일측에 상기 드럼 지지체의 플랜지가 장착되어 상기 반응용기부를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수직 승강부는 상기 수평 이송부를 승강시켜 상기 반응용기부를 상기 본체부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응조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공정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내부의 하부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이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응조는 각각 상기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응조는,
    상기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팽윤 처리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전처리조, 상기 팽윤 처리된 피처리물을 세정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제1세정조, 상기 세정된 피처리물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분해하여 섬유 보강재를 회수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본처리조, 및 회수된 섬유 보강재를 세정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제2세정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처리조와 본처리조의 내부 온도를 각각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부에는 양측 단부가 상기 드럼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교반 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 지지체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양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반응용기부는 상기 드럼 지지체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정역회전시키는 교반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지지체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고, 각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측면에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바(bar) 형상의 제1수평 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 측면에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바(bar) 형상의 제2수평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수평 이송부와 제2수평 이송부는 각각 외면 일측에, 바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된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드럼 지지체의 플랜지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 단부가 상기 이송벨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 이송부와 제2수평 이송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 형상의 내부 이송부재,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바 형상의 외부 이송부재, 및 상기 내부 이송부재와 외부 이송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벨트와 이송모터는 상기 내부 이송부재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승강부는 상기 제1수평 이송부와 제2수평 이송부의 외부 이송부재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수평 이송부와 제2수평 이송부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측 측면에는 상기 제1수평 이송부의 연결부재가 승강할 수 있는 제1승강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 측면에는 상기 제2수평 이송부의 연결부재가 승강할 수 있는 제2승강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KR1020190042407A 2019-04-11 2019-04-11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KR102187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407A KR102187178B1 (ko) 2019-04-11 2019-04-11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407A KR102187178B1 (ko) 2019-04-11 2019-04-11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044A KR20200120044A (ko) 2020-10-21
KR102187178B1 true KR102187178B1 (ko) 2020-12-04

Family

ID=7303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407A KR102187178B1 (ko) 2019-04-11 2019-04-11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31835A1 (en) 2021-10-29 2023-05-04 Jordan Gray Harris Fiber-containing particles with dual-tapered shap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0940D0 (en) * 2008-01-18 2008-02-27 Milled Carbon Ltd Recycling carbon fibre
KR101189436B1 (ko) * 2011-02-22 2012-10-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폐 씨에프알피의 탄소섬유 회수용 연속식 순환흐름 반응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044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178B1 (ko) 섬유 복합소재 리사이클링 장치
CN105449304B (zh) 废旧锂电池的处理方法及处理系统
US20160207824A1 (en) Chemical Process for Obtaining Glass with a Total or Partial Satin/Matte Finish Comprising Immersion in an Acid Solution, for Simultaneous and Continuous Production
KR20070087648A (ko) 동시 및 연속적 생산을 위해 산 용액에의 침지를 포함하는,저반사 유리를 얻는 화학 공정
CN106719531A (zh) 微波介电加热原木检疫处理方法
CN111252568A (zh) 一种桶装结团污泥卸泥装置
CN105016043B (zh) 一种用于热室之间的物料转运装置
CN201258265Y (zh) 方便沉槽处理的氧化铝分解槽
CN211004622U (zh) 一种医药中间体化工废水处理设备
CN102057103A (zh) 用于通过流体润湿纤维材料的装置
ITTV20080038A1 (it)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il lavaggio di ortaggi e frutta ed altri prodotti, in ambiente confinato, con alta efficienza di utilizzazione dell acqua.
CN105344637A (zh) 血型板清洗设备
CN216420057U (zh) 一种用于电子产品易清洁涂层的鼓风干燥箱
CN215465816U (zh) 热塑性丙烯酸树脂涂料用加速固化装置
KR19990080552A (ko) 발효장치
CN206661185U (zh) 用于工业合成石膏的反应装置
CN216460822U (zh) 一种用于有机固废处理的集成化设备
WO2013180323A1 (ko) 폐 씨에프알피의 탄소섬유 회수용 연속식 순환흐름 반응장치 및 그 방법
CN202824098U (zh) 具有分离剂回收的铝塑复合包装材料卧式连续分离系统
CN216538159U (zh) 一种硅烷偶联剂电热温控处理装置
CN213256230U (zh) 一种化工废料处理罐
CN218968972U (zh) 一种污水污泥处理系统
CN216513425U (zh) 一种污泥干化处理装置
CN213679996U (zh) 一种高浓度有机废水生物强化处理设备
CN218901323U (zh) 一种废液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